KR10266255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58B1
KR102662558B1 KR1020160145304A KR20160145304A KR102662558B1 KR 102662558 B1 KR102662558 B1 KR 102662558B1 KR 1020160145304 A KR1020160145304 A KR 1020160145304A KR 20160145304 A KR20160145304 A KR 20160145304A KR 102662558 B1 KR102662558 B1 KR 10266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screen
uni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125A (ko
Inventor
이보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58B1/ko
Priority to EP17197163.3A priority patent/EP3318969A1/en
Priority to US15/802,103 priority patent/US10678563B2/en
Publication of KR2018004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8Biomedical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 테스트 용 화면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아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맞는 UI 및 음성 신호 출력 설정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제조시 설정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시 설정된 인터페이스는 비장애인을 기준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장애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UI로 변경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시각 테스트용 화면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장애 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UI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 또는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UI 설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UI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사람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 출력 설정은, 상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pitch)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시각 테스트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화면에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UI 또는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 설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UI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객체는 사람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람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신호 출력 설정은, 상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지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각 테스트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화면에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각 테스트용 화면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장애 정도 및 분류에 따라 UI 설정 및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함으로써,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쉽게 본인에게 맞는 UI 설정 및 음성 신호 출력 설정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및 서버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및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설정 및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 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안내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 테스트용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UI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5 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리모컨(remotely controller, 200, 도1 참조)에 있는 "버튼(또는 키)의 선택"은 버튼(또는 키)의 눌림 또는 버튼(또는 키)의 터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버튼(또는 키) 선택, 사용자의 버튼(또는 키)의 눌림, 사용자의 버튼 터치,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의 모션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UI(User Interface)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이미지, 그래픽 오브젝트, 정지 영상 이미지,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I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음성 신호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 신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전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음성은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사람의 귀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및 서버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 리모컨(100)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서버(300)가 표시된다.
수신된 방송뿐만 아니라 콘텐트를 출력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내장되거나 또는 연결가능한 마이크(240,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마이크(163, 도 2 참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적외선(infrared) 또는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통해 제어 명령을 출력(또는,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적외선 또는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수신된 음성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100)에 있는 키(버튼을 포함)의 선택 및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패드(touchpad)를 통한 터치(제스처), 마이크(163)를 통한 음성 인식, 또는 센서(164, 도 2 참조)를 통한 모션 인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부팅(booting), 채널 변경, 음량 조정 또는, 콘텐트 재생 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100)의 마이크(16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수신된 음성을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디지털 데이터, 또는 패킷)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카메라(245, 도 2 참조)를 통한 모션 인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부팅, 채널 변경, 음량 조정 또는, 콘텐트 재생 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컨(200)의 움직임(예를 들어, 리모컨(200)을 파지(grip)하거나 또는 이동)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능 및/또는 동작에 대응되는 버튼(또는 키, 161)을 포함한다. 버튼(161)은 물리 버튼 또는 터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단일 기능 버튼(예를 들어, 161a 내지 162g) 및/또는 멀티 기능 버튼(161h)을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0)의 단일 기능 버튼(예를 들어, 전원 버튼(261a), 포인터 키(261e))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제어에 대응되는 키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리모컨(100)에 있는 키는 대부분 단일 기능 키일 수 있다.
리모컨(100)의 버튼의 배열 순서 및/또는 개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능에 대응하여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도 있다.
서버(300)는 리모컨(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를 음성 인식을 통해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텍스트, 코드 등)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사용자의 발화를 트레이닝 셋(training set)으로 하는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룰(rule) 기반 및 대화 기반 사용자 의도 파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해진 형태의 발화를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인식 가능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제어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컨 및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모컨(100)에서부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300, 또는 35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모컨(100)에서부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300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마이크(24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를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도시되지 아니함), 및 PC(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하고, 추가로 튜너(220), 통신부(230), 및 입/출력부(26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하고, 추가로 튜너(220), 통신부(230), 및 입/출력부(260)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튜너(도시되지 아니함)를 가지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또는 디스플레이부)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플렉시블(flexible) TV, 고정 곡률인 화면을 가지는 벤디드(bended) TV, 및/또는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가능한 곡률 가변형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튜너(tuner, 220), 통신부(230), 마이크(240), 카메라(245), 광 수신부(250), 입/출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오디오 출력부(275), 저장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상태,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프로세서(processor, 21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212)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 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210 내지 290)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전원 공급부(2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210 내지 29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화상(image) 또는 비디오(video)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그래픽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거나 또는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그래픽 프로세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1)는 롬(212) 및 램(2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11)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중 하나인 화면 오프(또는 전원 오프) 및/또는 준비 모드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로세서는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제어하는 센서 프로세서(sensor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 롬(212) 및 램(2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11), 롬(212) 및 램(213)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11)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메인 프로세서, 서브 프로세서 롬(212) 및 램(213)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어부(210)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튜너(2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비디오(video), 오디오(audio)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22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음성, 모션, 버튼 입력, 터치 입력 등)에 대응되는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채널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22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튜너(도시되지 아니함)를 가지는 별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set-top box), 또는, 원 커넥트(one connect),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리모컨(100),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를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300)에서부터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유선 이더넷(Ethernet, 231), 무선랜 통신부(232) 및 근거리 통신부(23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이더넷(232), 무선랜 통신부(232) 및 근거리 통신부(23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231)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AP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을 이용하여 AP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231)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부(231)는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23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AP 없이 무선으로 리모컨(100)과 외부 장치 사이에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리모컨(100)에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2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리모컨(100)에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240)는 사용자가 발화(utterance)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240)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사용자 가이드, 메뉴 또는 기능의 제어에 대응되는 음성일 수 있다. 마이크(240)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2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240)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245)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비디오(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를 촬영한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현(presenc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 인식 범위 내 나타남),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신체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45)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4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24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연속적인 프레임을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촬영된 연속적인 프레임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모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가이드를 표시, 메뉴를 표시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예를 들어, 채널 조정, 또는, 음량 조정 등)를 할 수 있다.
카메라(245)가 복수 개인 경우,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 (영상 또는 이미지)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4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 수신부(250)는 리모컨(100)에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광창(도시되지 아니함)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250)는 리모컨(200)에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 및/또는 추출된 제어 신호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콘텐트를 수신한다. 콘텐트는 예를 들어, 비디오, 이미지, 텍스트 또는 웹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콘텐트 수신에 대응되는 HDMI 입력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61), 컴포넌트 입력 잭(jack, 262), PC 입력 포트(port, 263), 및 USB 입력 잭(jack, 26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HDMI 입력 포트(262), 컴포넌트 입력 잭(262), PC 입력 포트(263), 및 USB 입력 잭(26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추가, 삭제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튜너(22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70)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트(예를 들어,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80)에 저장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7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음성 명령어 가이드(예를 들어, 추천 음성 데이터 또는 추천 가이드) 및 모션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추천 가이드의 표시에 대응되는 시각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출력부(26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2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22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75)는 통신부(230) 또는 입/출력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또는 사운드에 대응되는)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7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8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75)는 스피커(276), 헤드폰 출력 단자(277) 또는 S/PDIF 출력 단자(278)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75)는 스피커(276), 헤드폰 출력 단자(277) 및 S/PDIF 출력 단자(27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부(275)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에 대응되는 청각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튜너(220), 통신부(230), 마이크(240), 카메라(245), 광 수신부(250), 입/출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오디오 출력부(275) 및 전원 공급부(2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제어부(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이하에서는 "GUI'라고 칭한다),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음성 데이터 베이스. 모션 데이터 베이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음량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에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음량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또는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상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및/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서버(300)에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서버(300)에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8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음소에 대응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80)는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시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동영상,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청각 피드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8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피드백 제공 시간(예를 들어, 300 ㎳)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280), 제어부(210)의 롬(212), 램(213), SoC(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되는 저장부(도시되지 아니함),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 또한 입/출력부(260)의 USB 포트(264)에 연결가능한 외부 저장부(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90)에게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전원 오프(단, 전원 플러그가 전원 콘센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카메라(24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210 내지 29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및/또는 종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의 추가, 변경되거나 삭제(예를 들어, 점선으로 도시된 박스 중 적어도 하나)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예를 들어, 210 내지 29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컨(100)은 제어부(110), 통신부(130), 입력부(160), 광 출력부(150), 디스플레이부(170), 저장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 리모컨(100)은 통신부(130) 및 광 출력부(150)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통신부(130) 및 광 출력부(150) 중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원격에서 제어 가능한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아니함)을 설치 가능한(또한, 외부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아니함)이 설치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만 있는)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장치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 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도시되지 아니함), 노트 PC(도시되지 아니함),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가전 장치(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또는 청소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기능 버튼(예를 들어, 채널 변경 버튼, 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111), 리모컨(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112) 및 리모컨(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리모컨(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리모컨(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전원부(190)를 이용하여 내부 구성 요소들(110 내지 190)에게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라는 용어는 리모컨(100)의 프로세서(111), 롬(112) 및 램(11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전원 온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또는, 음량 조정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등)를 제어 대상인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무선랜 통신부(131)와 근거리 통신부(132) 중 적어도 하나(예를 들어, 무선랜 통신부(131) 및 근거리 통신부(132) 중 하나, 또는 무선랜 통신부(131)과 근거리 통신부(132)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0)의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부(23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이 수신하는 버튼(161) 또는 터치 패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발화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63), 리모컨(100)의 움직임(motion)을 검출하는 센서(164) 또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진동 모터(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버튼(161)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드(16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드(162)는 방향 키 및 엔터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62)는 리모컨(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마이크(163)는 사용자의 발화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63)는 수신된 음성을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164)는 리모컨(100)의 내부 상태 및/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64)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자이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가속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중력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64)는 리모컨(100)의 운동 가속도 또는 중력 가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진동 모터(도시되지 아니함)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도시되지 아니함)는 리니어 진동 모터, 바 타입 진동 모터, 코인 타입 진동 모터 또는 압전 소자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터(도시되지 아니함)는 리모컨(100) 내부에 하나 또는 복수로 위치할 수 있다.
광 출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예를 들어, 제어 신호를 포함)를 출력한다. 출력된 광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광 수신부(25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리모컨(100)에서 사용되는 리모컨 코드 포맷은 제조사 전용인 리모컨 코드 포맷 및 상용 리모컨 코드 포맷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리모컨 코드 포맷은 리더 코드(leader code) 및 데이터 영역(data word)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되는 광 신호는 반송파(carrier wave)에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제어부(11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리모컨(100)은 IR-LED(infrared-laser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 가능한 통신부(130) 및 광 출력부(150) 중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30) 및 광 출력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통신부(130) 및 광 출력부(150) 중 하나(예를 들어, 통신부(130))를 통해 우선(prior)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방송 채널 번호, 방송 채널 이름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예를 들어, 화면 오프, 준비 모드, 웰컴 모드 및/또는 일반 모드)등을 표시할 수 있다.
리모컨(200)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광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켜는 "TV on",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하는 "TV off", 선국된 채널 번호를 표시하는 "Ch No." 또는, 조정되는 음량을 나타내는 "Vol 값" 에 대응되는 텍스트, 아이콘 또는 심볼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방식, 또는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리모컨(100)을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통신부(130), 광 출력부(150), 및 전원 공급부(19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 및/또는 리모컨(100)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리모컨(100)에 대응되는 리모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컨 정보는 모델명, 고유의 장치 ID(device ID), 메모리 잔량, 객체데이터 유무, 블루투스 버전 또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리모컨(100)의 구성 요소(110 내지 19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리모컨(100)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원을 구성 요소(110 내지 190)에게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리모컨(100)의 표면(예를 들어, 버튼(161) 또는 터치 패드(162)가 있는)과 후면(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리모컨(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리모컨(1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예를 들어, 점선으로 도시된 박스 중 적어도 하나)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리모컨(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서버(300)(또는 음성 인식 서버)는 리모컨(1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패킷을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수신한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음성 인식부(도시되지 아니함) 및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한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또는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패킷)를 단어 또는 문장 형태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음성 인식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음성 데이터를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예를 들어, 제어 명령어)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서버(300)는 제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저장된 제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300)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10)가 파싱(parsing)하는)로 변환할 수도 있다.
서버(300)의 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일체형(200')일 수 있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 요소(210 내지 290)와 별개인 구성 요소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200')될 수 있다.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저장부(280)에 내장(embedded)되거나 또는 별도의 저장부(도시되지 아니함)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서버(300)와 별개로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가 구현될 수 있다.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는 서버(300)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는 서버(3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 중 하나에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제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대화형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는 변환된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서버(3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서버(3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입력부(260), 디스플레이부(27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00)에 포함된 버튼을 누르거나, 발화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정한 모션을 취하는 경우 입력부(2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70)는 화면에 콘텐트(content)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트는 동영상, 정지영상, 웹페이지 및 UI(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력부(260) 및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70)가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설정된 UI 또는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I를 설정하는 것은 화면에 표시되는 UI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첫째 화면에서는 객체의 크기를 작게(small) 표시하고, 둘째 화면에서는 객체의 크기를 중간(middle)으로 표시하고, 셋째 화면에서는 객체의 크기를 가장 크게(large)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3개의 단계보다 더 많은 단계로 세분화하여 객체 크기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70)에 객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UI(User Interface)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첫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UI(User Interface)의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둘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UI의 크기를 중간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셋째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UI의 크기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객체는 사람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10)는 사람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순차적으로 상기 이미지를 확대시키면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화면을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가 포함된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면서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10)는 첫째 화면에 녹색 색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둘째 화면에 청색 색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셋째 화면에 빨간색 색약자를 식별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면서 사용자에게 식별이 가능한 화면을 선택하도록 사용자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첫째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UI의 색상을 녹색을 배제하는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둘째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UI의 색상을 청색을 배제하는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셋째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10)는 UI의 색상을 빨간색을 배제하는 색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라는 의미는 제어부(210)가 음성 신호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로 음성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음성 신호는 일상적인 사람의 음성 또는 음악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되, 순차적으로 음량을 변경시켜 출력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되, 순차적으로 피치를 변경하여 출력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되, 순차적으로 좌우 밸런스를 변경하여 출력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출력이 설정되면 향후에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음성 신호 출력이 설정됨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시각 테스트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화면에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제어부(210)는,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UI 설정 및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 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 테스트용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UI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 내지 도 14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401에서 디스플레이부에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및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화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에 텍스트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화면(701, 703, 705)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텍스트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제 1 화면(701), 제 2 화면(703) 및 제 3 화면(705)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화면에 사람의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화면(801, 803, 805)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이미지가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제 4 화면(801), 제 5 화면(803) 및 제 6 화면(805)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7 화면(901), 제 8 화면(903) 및 제 9 화면(905)이 도시되어 있다. 제 7 화면(901)은 녹색 색약자 테스트 화면일 수 있다. 제 8 화면(903)은 청색 색약자 테스트 화면일 수 있다. 제 9 화면(905)은 빨간색 색약자 테스트 화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7 화면(901), 제 8 화면(903) 및 제 9 화면(905)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또는 좌우 밸런스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성 신호의 음량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음량은 진폭에 대응될 수 있으며 진폭이 클수록 음량이 크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신호(1103), 제 2 신호(1105) 및 제 3 신호(1107)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신호의 음량은 제 1 신호(1103) < 제 2 신호(1105) < 제 3 신호(1107), 순으로 커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성 신호의 피치가 순차적으로 증가되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피치는 주파수에 대응될 수 있으며 주파수가 클수록 피치가 높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4 신호(1203), 제 5 신호(1205) 및 제 6 신호(1207)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높이면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의 주파수는 제 4 신호(1203) < 제 5 신호(1205) < 제 6 신호(1207), 순으로 커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성 신호의 좌우 밸런스가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7 신호(1303), 제 8 신호(1305) 및 제 9 신호(1307)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신호의 좌우 밸런스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403에서,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화면(701)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405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화면(701)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시각장애 경증' 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화면(703)을 표시하고 제 2 화면(703)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를 '시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화면(705)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를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화면(701), 제 2 화면(703), 제 3 화면(705), 제 4 화면(801), 제 5 화면(803), 제 6 화면(805), 제 7 화면(901), 제 8 화면(903), 제 9 화면(905)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각장애 경증' 또는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신호(1103)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청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신호(1105)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청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신호(1107)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신호(1103), 제 2 신호(1105), 제 3 신호(1107), 제 4 신호(1203), 제 5 신호(1205), 제 6 신호(1207), 제 7 신호(1303), 제 8 신호(1305), 제 9 신호(1307)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청각장애 경증' 또는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407에서, 상기 결정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201)에 UI(1001)가 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따라 UI(1003), UI(1005) 또는 UI(1007)중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20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시각장애 경증' 으로 결정되면 UI(1003) 또는 UI(1005)를 화면(201)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가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면 UI(1007)를 화면(20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따라 UI의 크기를 변경하여 화면(2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화면(201)에 UI(1401) 및
음량의 크기에 따른 음성 신호(1403, 1405, 1407)가 도시되어 있다.
음성 신호(1403)는 UI(1401)가 '음량 크기 50'으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음성 신호(1405는 UI(1401)가 '음량 크기 70'으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음성 신호(1407)는 UI(1401)가 '음량 크기 90'으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따라 음성 신호(1403), 음성 신호(1405) 및 음성 신호(1407)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가 '청각장애 경증' 으로 결정되면 음성 신호(1403) 또는 음성 신호(1405)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가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면 음성 신호(1407)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409에서, 상기 설정된 UI 또는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또는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UI(1003)를 표시하면서 화면(201)에 "현재 상태로 UI를 설정합니다."라는 문구를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안내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501에서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503에서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505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507에서 결정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음성 안내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순차적으로 제 1 화면(701), 제 2 화면(703) 및 제 3 화면(705)을 표시한다. 제 1 화면(701)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대로 'OK'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 1 화면(701)을 선택하고, 사용자를 '시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701)에 표시된 문자의 폰트 크기로 UI의 크기를 설정한다.
제 3 화면(705)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대로 'OK'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705)에 표시된 문자의 폰트 크기로 UI의 크기를 설정한다.
한편, 제3 화면(705)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0 화면(707)을 표시하고,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이하, 줄여서 '음성 안내 설정 화면'으로 칭함)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가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는 경우, 음성 안내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순차적으로 제 4 화면(801), 제 5 화면(803) 및 제 6 화면(805)을 표시한다. 제 4 화면(801)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대로 'OK'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 4 화면(801)을 선택하고, 사용자를 '시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701)에 표시된 문자의 폰트 크기로 UI의 폰트 크기를 설정한다.
제 6 화면(805)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대로 'OK'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시각 테스트용 화면(805)에 대응하는 확대 비율로 UI의 확대 비율을 설정한다.
한편, 제3 화면(805)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1 화면(807)을 표시하고,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화면(이하, 줄여서 '음성 안내 설정 화면'으로 칭함)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장애 정도가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는 경우, 음성 안내 설정 화면을 표시하거나 또는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601에서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603에서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발화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605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계 S607에서 결정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순차적으로 제 1 음성 신호(1103), 제 2 음성 신호(1105) 및 제 3 음성 신호(1107)를 출력한다. 제 1 음성 신호(1103)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음성으로 들리는 대로 '예'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 1 음성 신호(1103)를 선택하고, 사용자를 '청각장애 경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음성 신호의 음량을 설정한다.
제 3 음성 신호(1107)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거나 또는 '예'라고 발화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1107)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음성 신호의 음량을 설정한다.
한편, 제3 음성 신호(1107)가 출력되는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하고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은 상술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5를 예로 설명한다.
도 15 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분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각장애 경증'으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01)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03)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청각장애 경증'으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05)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청각장애 중증'으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07)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문자이해장애(난독증)'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09)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청각이해장애'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11)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지체장애'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13)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색약장애'로 결정되면 카테고리(1515)에 포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는 비록 한정된 예시적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개시는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리모컨 110: 리모컨의 제어부
130: 통신부 150: 광 출력부
161b: 음성 버튼 163: 마이크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
230: 통신부 270: 디스플레이부
300: 음성 인식 서버

Claims (20)

  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시각 테스트용 화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스피커가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객체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UI 또는 상기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I 설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UI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사람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람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것은,
    상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pitch)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제공하는 화면에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객체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시각 테스트용 화면 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동작 및 스피커를 통하여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장애 정도 및 장애 분류에 기초하여 UI를 설정하거나 또는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객체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UI 또는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드백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I 설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UI의 크기, 색상 및 고대비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사람의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사람의 얼굴이 화면의 중앙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테스트용 화면은,
    색약 테스트용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순차적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출력에 대한 설정은,
    상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음량, 피치 및 좌우 밸런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각 테스트용 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화면에 음성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시각 테스트용 화면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UI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객체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사용자의 시각 장애 정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애 정도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청각 장애 정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에 대한 자막 안내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선택된 청각 테스트용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설정 값으로 음성 신호 출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145304A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6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04A KR102662558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17197163.3A EP3318969A1 (en) 2016-11-02 2017-10-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5/802,103 US10678563B2 (en) 2016-11-02 2017-11-0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304A KR102662558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125A KR20180048125A (ko) 2018-05-10
KR102662558B1 true KR102662558B1 (ko) 2024-05-03

Family

ID=60143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304A KR102662558B1 (ko) 2016-11-02 2016-11-0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78563B2 (ko)
EP (1) EP3318969A1 (ko)
KR (1) KR102662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2763B2 (en) * 2014-11-28 2018-10-16 D2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odifying content of an electronic learning system for vision deficient users
US10650702B2 (en) * 2017-07-10 2020-05-12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loss of peripheral vision
US10805676B2 (en) * 2017-07-10 2020-10-13 Sony Corporation Modifying display region for people with macular degeneration
US10845954B2 (en) 2017-07-11 2020-11-24 Sony Corporation Presenting audio video display options as list or matrix
US10303427B2 (en) 2017-07-11 2019-05-28 Sony Corporation Moving audio from center speaker to peripheral speaker of display device for macular degeneration accessibility
CN108958844B (zh) * 2018-07-13 2021-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终端
CN112732286B (zh) * 2019-10-14 2024-05-24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显示装置与其固件更新方法
JP2021071797A (ja) * 2019-10-29 2021-05-06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392318B1 (ko) * 2022-01-17 2022-05-02 주식회사 하이 혼합 테스트에 기초하여 치매를 식별하는 기법
KR20240028852A (ko) * 2022-08-25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2341B1 (en) * 1998-04-06 2001-02-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ing data processing system output for sense-impaired users
US20040218451A1 (en) * 2002-11-05 2004-11-04 Said Joe P. Accessible user interface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7554522B2 (en) * 2004-12-23 2009-06-30 Microsoft Corporation Personalization of user accessibility options
US20100180238A1 (en) * 2005-08-15 2010-07-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system for a personal healthcare environment
US8214766B1 (en) * 2008-07-09 2012-07-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review control for image adjustment
CN103026367B (zh) 2010-06-11 2017-07-04 焦点再现 用于渲染显示以补偿观看者的视力损伤的系统和方法
KR20130071253A (ko) 2011-12-20 2013-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키보드 ui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69300B1 (ko) * 2012-08-2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US20140063071A1 (en) * 2012-09-05 2014-03-06 Al Squared Applying enhancements to visual content
KR20140106801A (ko) 2013-02-27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GB2525817B (en) * 2013-03-12 2020-02-26 Opternative Inc Computerized refraction and astigmatism determination
US20140282285A1 (en) * 2013-03-14 2014-09-18 Cellco Partnership D/B/A Verizon Wireless Modifying a user interface setting based on a vision ability of a user
EP2796993B1 (en) * 2013-04-24 2022-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n initial setting
KR102257772B1 (ko) * 2013-04-24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9031247B2 (en) * 2013-07-16 2015-05-12 iHear Medical, Inc. Hearing aid fitt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sound segments representing relevant soundscape
WO2015093636A1 (ko) * 2013-12-16 2015-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장치 및 그의 ui 제공 방법
US9967631B2 (en) * 2015-11-11 2018-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udio-based display indicia activation based on viewer prefere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8969A1 (en) 2018-05-09
US10678563B2 (en) 2020-06-09
US20180129518A1 (en) 2018-05-10
KR20180048125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5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9390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KR102392087B1 (ko) 원격 조정 장치 및 원격 조정 장치의 사용자 음성 수신방법
JP59988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63630A2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ic device
EP296088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3160151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1025400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EP371963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146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정보 획득 방법
KR201800249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60063894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a system having the same, and a corresponding voice guidance method
KR201700491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CN108513152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269848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원거리 음성 인식율 향상 방법
KR20160099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6221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