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509B1 -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509B1
KR102662509B1 KR1020210073976A KR20210073976A KR102662509B1 KR 102662509 B1 KR102662509 B1 KR 102662509B1 KR 1020210073976 A KR1020210073976 A KR 1020210073976A KR 20210073976 A KR20210073976 A KR 20210073976A KR 102662509 B1 KR102662509 B1 KR 102662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cation method
tqi
downlink
femtocell
resource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853A (ko
Inventor
마영식
윤영민
유상일
이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1007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5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링크 자원을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여러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 및 매크로 셀 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한 후 간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하위 밴드에서 상위 밴드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은 하향링크 자원을 복수의 서브밴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펨토셀 스케줄러에 의해 수행되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서브밴드별 CQ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a)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MCS 및 R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b)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HARQ ACK/NCK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c)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한 경우 (a) 내지 (c) 단계에서 수집된 각종 채널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를 산출하는 (d) 단계 및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1 기준치(R1, 단 R2 > 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순방향 방식으로 할당하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1 기준치(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역방향 방식으로 할당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method for dynamically allocating downlink resource considering Macrocell Interference at femto cell environment}
본 발명은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크로셀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펨토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이 올리는 여러 품질 지표를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동적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펨토셀(Femto Cell)은 기존의 이동 통신 서비스 반경보다 훨씬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소형 기지국이다. 펨토셀은 주로 가정이나 빌딩 내부와 같이 매크로셀(Macro Cell)의 전파가 열화되는 지역이나 음영 지역에 설치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거나 매크로셀의 트래픽이 많은 핫스팟(hot spot)에 설치하여 기존 매크로셀의 트래픽을 경감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펨토셀은 또한 코어망(Core Network)과 연결을 위해 범용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 회선이 설치된 지역은 어디에서나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망에서 다수의 펨토셀이 도입됨에 따라, 셀 분할이 증가하여 펨토셀과 매크로셀 간의 상호 간섭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간섭을 줄이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기 선행기술 1에는 펨토셀 커버리지 내에서 트래픽에 따라 펨토셀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펨토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펨토셀 소모 전력을 절감하는 슬립 모드 운용을 위한 펨토셀 AP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선행기술 2에는 매크로셀과 펨토셀 간 간섭 제거를 위하여, 펨토셀 사용자 단말로 통신 자원을 할당하고, 매크로셀 사용자 단말과 매크로셀 기지국 간의 상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향 링크 신호로부터 강한 간섭 지표를 검출하며, 강한 간섭 지표를 전송한 매크로셀 사용자 단말을 간섭 대상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고, 간섭 대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향 링크 신호로부터 채널 상태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채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 사용자 단말로 할당된 통신 자원을 변경하여 할당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기 선행기술 3에는 펨토셀 기지국이 매크로셀에서의 상향링크 간섭의 정도를 계산하여 상향링크의 간섭이 강한 경우 펨토셀 상향링크 프레임 및 펨토셀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순서를 변경하도록 한, 이기종 셀룰러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매크로셀에서의 상향링크의 간섭을 회피하는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등록특허공보 10-1284262호(발명의 명칭: 매크로 셀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펨토 셀의 제어 리소스들의 할당)
선행기술 2: 등록특허공보 10-1370056호(발명의 명칭: 매크로셀 및 펨토셀 간의 간섭 완화/제거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3: 등록특허공보 10-1429339호(발명의 명칭: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향링크 자원을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여러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 및 매크로 셀 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한 후 간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하위 밴드에서 상위 밴드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은 하향링크 자원을 복수의 서브밴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펨토셀 스케줄러에 의해 수행되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서브밴드별 CQ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a)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MCS 및 R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b)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HARQ ACK/NCK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c)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한 경우 (a) 내지 (c) 단계에서 수집된 각종 채널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를 산출하는 (d) 단계 및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1 기준치(R1, 단 R2 > 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순방향 방식으로 할당하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1 기준치(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역방향 방식으로 할당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는 1일 이상으로 정해진다.
각 서브밴드별 CQI 정보는 비주기적 CQI(Aperiodic CQI) 정보를 통해 획득한다.
상기 (d) 단계에서 각 개별 품질 지표에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여 전체 품질 지표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 따르면, 하향링크 자원을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여러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와 상위 밴드 및 매크로 셀 간의 간섭 정도를 판단한 후 간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하위 밴드에서 상위 밴드 또는 그 반대의 순서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기지국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셀 커버리지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LTE 및 5G NR 시스템에서 RIV 방식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 의해 새롭게 도입된 RIV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서 복수의 서브밴드를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로 구분한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작 하향링크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WiMAX, LTE 및 5G NR(New Radio) 등의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매크로셀(macro-cell)과 펨토셀(femto-cell)이 혼재된 통신 환경이며, 매크로셀 기지국(eNB)(100)과 복수의 매크로셀 사용자 단말(MUE)(200-1, 200-2) 간에 통신 링크가 형성되고, 펨토셀 기지국(HeNB)(300-1, 300-2, 300-3, 300-4)과 복수의 펨토셀 사용자 단말(FUE)(400-1, 400-2, 400-3, 400-4) 간에 통신 링크가 형성된다.
이때, 매크로셀의 통신 링크와 펨토셀의 통신 링크는 상호 간에 간섭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매크로셀과 펨토셀이 동일한 채널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경우 공유 채널에서는 강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LTE와 5G NR 시스템의 자원 할당 방법에는 비트맵(Bitmap) 방식과 RIV(Resource Indicator Value) 방식이 있다. 비트맵 방식은 모든 RB(Resource Block)를 그룹(Resource Block Group; RGB) 단위로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에게 각각의 RGB에 대한 할당 여부를 비트맵으로 알려준다.
도 2는 LTE 및 5G NR 시스템에서 RIV 방식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LTE 및 5G NR 시스템에서 RIV 방식은 시작 RB 번호와 RB 개수를 사용자 단말에 알려 주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연속적으로 RB를 할당한다. 이러한 RIV 방식에서 스케줄러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게 1번 RB부터 순차적으로 RB를 할당한다. 이하 이러한 자원 할당 방식을 순방향(Forward) 방식이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 의해 새롭게 도입된 RIV 자원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에 따르면 각 사용자 단말에게 최종 RB(N번 RB)부터 역순으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1번 사용자 단말(User 1)에는 N번째 RB부터 2개의 RB를 할당하고, 2번 사용자 단말(User 2)에는 N-2번째부터 1개의 RB를 할당하며, 3번 사용자 단말(User 3)에는 N-3번째 RB부터 5개의 RB를 할당하는데, 이하 이러한 자원 할당 방식을 역방향(Reverse) 방식이라 한다.
한편,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하향링크 자원을 대략 반분하여 상위 자원블록(이하 '상위 밴드'라 함) 및 하위 자원블록(이하 '하위 밴드'라 함)으로 구분한 채로 밴드별로 여러 채널 품질 지표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펨토셀의 자원 할당 방식이 순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후 펨토셀 스케줄러는 이러한 자원 할당 방식 및 여러 품질 지표를 활용하여 자기 관할의 사용자 단말에게 매크로 셀과의 간섭이 적은 방향으로 하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3GPP TS 38.214로 정의된 5G NR 시스템의 MAC 규격에서 구성 가능 서브밴드 사이즈를 보인 표인바, 예를 들어 밴드위스 파트(Bandwidth part), 즉 물리적인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의 개수를 256이라 하고, 각 서브밴드의 물리적 자원 블록(PRB)의 사이즈를 32라고 할 때, 서브밴드의 개수는 8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에서 복수의 서브밴드를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로 구분한 도표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PRB의 개수가 256(RB1~RB256)이고, 서브밴드의 수가 8일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1번 RB부터 128번 RB, 즉 1번 서브밴드부터 4번 서브밴드까지를 하위 밴드(Low Bnad)로 설정하고, 129번 RB부터 256번 RB, 즉 5번 서브밴드부터 8번 서브밴드까지를 상위 밴드(High Band)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인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펨토셀 스케줄러를 주체로 하여 수행됨을 밝혀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0에서는 현재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한 체크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펨토셀 기지국은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등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경우가 거의 없고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도 소수일 뿐 아니라 거의 고정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주기, 예를 들어 1일 또는 그 이상의 주기로 자원 할당 방식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체크해도 무방할 수 있다.
한편, 펨토셀 기지국이 최초 설치되어 부팅시 또는 이동이나 전원 오프 후 리부팅시에는 현재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 예를 들어 순방향 방식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충분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체크 주기보다 긴 시간, 예를 들어 3일 동안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여러 품질 지표를 수집하여 평균 및 총합한 결과에 따라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를 체크한다. 이후부터는 1일 주기로 체크하되 이동 평균, 즉 마지막 3일 동안의 여러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상위 밴드 및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를 산출한다.
단계 S10에서의 판단 결과,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체크 주기가 도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브밴드별 CQ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데, 이러한 서브밴드별 CQI 정보는 펨토셀 스케줄러의 요청에 의해 각 사용자 단말이 전송하는 비주기적 CQI(Aperiodic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펨토셀 스케줄러는 서브밴드별로 CQI 정보를 수집한 후 복수의 서브밴드로 이루어진 상위 밴드 및 하위 밴드 채널에 대한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 펨토셀 스케줄러는 하향링크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정보 및 RI(Rank Indicator)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렇게 수집된 MCS 및 RI 정보에 의해 상위 밴드 및 하위 밴드의 매크로셀과의 간섭 정도, 즉 채널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 펨토셀 스케줄러는 펨토셀에 접속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향링크 HARQ ACK/NACK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렇게 수집된 하향링크 HARQ ACK/NACK 정보에 의해 상위 밴드 및 하위 밴드의 매크로셀과의 간섭 정도, 즉 채널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단계 S10 내지 S40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할당 방식 체크 주기, 예를 들어 1일이 경과하면 단계 S50으로 진행하여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여러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를 산출한다. 이 단계 S50에서 각 개별 품질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차등 부여, 예를 들어 CQI 품질 지표에 다른 품질 지표, 즉 MCS, RI 및 HARQ ACK/NCK 품질 지표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전체 품질 지표를 산출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0 및 단계 S80에서는 이렇게 산출된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를 제1 기준치(R1) 및 제2 기준치(R2, 단 R2 > R1)와 비교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2 기준치(R2)인 60%보다 크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1 기준치(R1)인 40%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보다 현저히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순방향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이 경우에 직전에 순방향으로 자원을 할당한 경우에는 당연히 순방향 자원 할당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
반면에, 예를 들어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2 기준치(R2)인 60%보다 크고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1 기준치(R1)인 40%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보다 현저히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90으로 진행하여 역방향으로 자원을 할당한다. 이 경우에 직전에 역방향으로 자원을 할당한 경우에는 당연히 역방향 자원 할당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
나머지 경우, 예를 들어 상위 밴드와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가 모두 제2 기준치(R2) 이상으로 양호하거나 모두 제1 기준치(R1) 이하로 불량한 경우 또는 그 차이가 제1 기준치(R1)와 제2 기준치(R2)의 차이보다 크지 않은 경우 등에는 자원 할당 방식을 바꾸는 것에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여 현재의 할당 방식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할당 방식 체크 주기, 제1 기준치(R1) 및 제2 기준치(R2) 등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하향링크 자원을 복수의 서브밴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로 구분한 상태에서 펨토셀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펨토셀 스케줄러에 의해 수행되되,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서브밴드별 CQ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a)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MCS 및 RI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b)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할 때까지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HARQ ACK/NCK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c) 단계;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가 도래한 경우 (a) 내지 (c) 단계에서 수집된 각종 채널 품질 지표를 평균 및 총합하여 하위 밴드 및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 TQIHB)를 산출하는 (d) 단계 및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1 기준치(R1, 단 R2 > 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순방향 방식으로 할당하고, 상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HB)가 제2 기준치(R2)보다 크고 하위 밴드의 전체 품질 지표(TQILB)가 제1 기준치(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향링크 자원을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역방향 방식으로 할당하는 (e)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 서브밴드별 CQI 정보는 비주기적 CQI(Aperiodic CQI) 정보를 통해 획득하되, (d) 단계의 전체 품질 지표 산출 과정에서 다른 품질 지표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식의 적절성 여부 체크 주기는 1일 이상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각 개별 품질 지표에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여 전체 품질 지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펨토셀 환경에서 동적 하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KR1020210073976A 2021-06-08 2021-06-08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KR102662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76A KR102662509B1 (ko) 2021-06-08 2021-06-08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976A KR102662509B1 (ko) 2021-06-08 2021-06-08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853A KR20220165853A (ko) 2022-12-16
KR102662509B1 true KR102662509B1 (ko) 2024-05-08

Family

ID=8453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976A KR102662509B1 (ko) 2021-06-08 2021-06-08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5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2952A (ja) * 2007-07-06 2010-10-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送信ノードにおける輻輳制御
WO2012144842A2 (ko) * 2011-04-20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2069B2 (en) 2008-04-14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enable uplink control for restricted association networks
KR20100125701A (ko) * 2009-05-21 2010-12-0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환경에서의 배타적 주파수 자원 재사용 장치
KR101429339B1 (ko) 2012-06-29 2014-08-1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70056B1 (ko) 2012-06-29 2014-03-0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매크로셀 및 펨토셀 간의 간섭 완화/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40127008A (ko) * 2013-04-24 2014-1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펨토 셀 네트워크 내 간섭 지표를 이용한 무선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32952A (ja) * 2007-07-06 2010-10-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送信ノードにおける輻輳制御
WO2012144842A2 (ko) * 2011-04-20 201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853A (ko)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7153C2 (ru) Динамическое повторное использование частот на основе измерений в сетях сотовой связи
US9319167B2 (en) Technique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2208356B1 (ko) 이종망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5038391B2 (ja) Sc−fdmaシステムにおける隣接セル干渉の管理
US9467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pectrum utilization in a wireless cellular environment
US859467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JP5496406B2 (ja) 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JP52227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
US9844048B2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10143674A1 (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13056B2 (en) Switching and aggregation of small cell wireless traffic
CN110870346B (zh) 无线通信系统中基站负载分配的设备和方法
KR20140118150A (ko) 동적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Giambene et al. Soft frequency reuse schemes for heterogeneous LTE systems
JP556365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高電力基地局、低電力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594787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KR102662509B1 (ko) 펨토셀 환경에서 매크로셀의 간섭을 고려한 동적 하향링크 할당 방법
US20140016588A1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llocating a Component Carrier to a Cel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7123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EP2652978B1 (en) Technique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JP594787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