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492B1 -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 Google Patents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492B1
KR102661492B1 KR1020210146794A KR20210146794A KR102661492B1 KR 102661492 B1 KR102661492 B1 KR 102661492B1 KR 1020210146794 A KR1020210146794 A KR 1020210146794A KR 20210146794 A KR20210146794 A KR 20210146794A KR 102661492 B1 KR102661492 B1 KR 10266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outer membrane
inner membrane
ai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61988A (en
Inventor
윤현규
윤창웅
Original Assignee
세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세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492B1/en
Publication of KR2023006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4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inflatable and movable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4Dra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위에서 걷거나 점핑하는 등의 다양한 운동과 놀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 관한 것으로, 기초부에 테두리가 고정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막부와, 상기 외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막부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의 내부에 에어펌프부로부터의 송풍압을 제공하는 송풍라인 및 배풍라인과, 상기 내막부 외측 및 외막부 내부 공간으로부터 결로되는 물을 배출하는 인출라인과, 상기 송풍라인, 배풍라인 및 인출라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that can safely perform various exercises and plays, such as walking or jumping on top, and improves maintainability. and one or more inner membrane par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part, a blowing line and an exhaust line that provide blowing pressure from the air pump to the outer membrane part and the inside of the inner membrane part, and an outer membrane part and an inner part of the outer membrane part.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 membrane structure is provided, including an outlet line that discharges condensed water from the space,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line, exhaust line, and outlet line.

Description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본 발명은 놀이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에서 걷거나 점핑하는 등의 다양한 운동과 놀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동의 신뢰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성이 개선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musement faciliti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ouble-layer structure bouncing that can safely perform various exercises and plays such as walking or jumping on top, improves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improves maintainability. It's about the dome.

체조나 놀이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트램펄린(Trampoline)이란 스프링이 달린 사각형의 탄력 있는 매트 위에서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 등의 동작을 펼치는 체조 경기 또는 그 경기에 사용되는 기구를 가리킨다.Trampoline, which is widely used for gymnastics and play, refers to gymnastics games or equipment used in gymnastics games that perform movements such as jumping or mid-air rotation on a square elastic mat with springs.

이러한 트램펄린은 매트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점핑하는 운동기구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어린이에게 흥미가 높고 성장판을 자극하는 효과도 있어서 운동과 병용한 놀이기구로서도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성인의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에도 사용된다. These trampolines are used as exercise equipment for jumping using the elasticity of the mat and springs. They are especially interesting to children and have the effect of stimulating the growth plate, so they are also widely used as amusement equipment combined with exercise. Recently, it is also used for exercise for dieting in adults.

그런데, 이러한 트램펄린은 매트가 골재나 철재 등에 매달려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스프링과의 사이에 하체가 끼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방지를 위해 트램펄린의 가장자리에 안전망을 설치하기도 하나 근본적인 사고의 대책이 되지 못했다. 또한, 체중에 더하여 과격한 운동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매트나 스프링이 손상되어 유지보수에도 문제점을 나타낸다.However, since these trampolines ar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mat is suspended in the air by hanging from aggregate or steel, etc., there is a problem that accidents frequently occur where the user's lower body gets caught between the springs or falls. To prevent these problems, safety nets were installed around the edges of the trampoline, but they did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to accidents. In addition, because the mat or spring must be subjected to extreme exercise in addition to body weight, the mat or spring may be damaged, causing problems with maintenance.

최근에는 이러한 트램펄린의 한계를 개선하여 에어를 주입하고 에어의 압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는 에어 주입식의 놀이기구에 대한 설치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Recently, the number of installation cases of air-injected play equipment that improves the limitations of trampolines by injecting air and supporting the load by the pressure of the air has been increasing.

이러한 에어 주입식의 놀이기구는 지면에 에어 주입할 공기팽창막을 고정하고 에어를 주입하여 필요시에 압력을 조정하여 탄성과 완충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된 트램펄린보다 구조적인 안정성이 우수하고 이용자에게도 보다 안전한 놀이가 가능하도록 한다.These air-injected amusement rides are designed to perform elasticity and shock absorbing functions by fixing an air expansion film to be injected into the ground and adjusting the pressure when necessary by injecting air. It has better structural stability than the above-mentioned trampoline and is more comfortable for users. Enable safe play.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1740호는 종래기술의 에어 주입형 유희구조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측단면도이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21740 discloses a prior art air injection type play structure, and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hereof.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판(10)의 주변에는 모래가 포설되어서 형성되는 모래층(40)이 구비되며, 이 모래층(40)은 상기 바닥판(10) 및 상부막(20)의 가장자리를 매립하고 있다. 상부막(20)은 바닥판(10)의 가장자리에 그 가장자리가 밀실하게 연결고정되며, 기밀성 및 탄성 천막이 사용되어서 바닥판(10)과 함께 협동하여 공기를 가두어 줌으로써 그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부로 부풀려진 봉우리(21)를 형성한다. Looking specifically, a sand layer 40 formed by laying sand is provided around the bottom plate 10, and this sand layer 40 fills in the edges of the bottom plate 10 and the upper membrane 20. . The upper membrane 20 is tight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0, and an airtight and elastic tent is used to cooperate with the bottom plate 10 to trap air, thereby preventing the air filled therein from being contained. A peak 21 is formed that is swollen upward by pressure.

종래의 에어 주입형 구조물의 경우 통상 단일막으로 구성되어 시공의 부담이 적고 경제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크고 복잡한 구조물 형태를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놀이에 사용되는 사용상태를 고려하면 미관적인 면과 놀이의 다양성의 관점에서는 개선이 어렵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air injection structures, they are usually composed of a single membrane,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of construction and being economical, but it is difficult to create large and complex structures, so considering the state of use for play, the aesthetic aspect is poor. It is difficult to improve in terms of diversity of play.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중막 내지 다단 형태로 구조물에 대한 시도가 있으며 종래의 단일막 구조에 비하여 구조물의 높이와 면적에 대한 적응성이 높고 안정성도 우수하다.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ttempts have been made to create structures in the form of double membranes or multi-stage structures, which are more adaptable to the height and area of the structure and have excellent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ngle membrane structure.

그러나, 상기 이중막 구조의 경우 복잡한 막 형태와 송풍 배관을 가지기 때문에 시공의 난이도가 높고 송풍 등의 제어도 어려운 한계가 있다. 더군다나, 소정의 구획된 개별적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특정 부분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발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보수하기 위한 작업도 까다롭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ouble membrane structure, because it has a complex membrane shape and blowing pipes,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is high and control of blowing, etc. is difficult. Moreover, because it has a predetermined, separate space, if a defect occurs in a specific part, it is not only difficult to find it, but also difficult to repair.

또한, 내부 공간의 결로가 발생한 경우 이를 배출하기 어렵고 미사용 또는 보관을 위한 배풍시의 제어에 대한 난이도가 높다. In addition, when condensation occurs in the internal space,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it and the difficulty in controlling it when blowing out air for non-use or storage is hig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막 구조의 놀이기구에 있어 내부 공간에 대한 압력의 제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a double-layer bouncing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control the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of a double-layer structure amusement equipment while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and maintainabil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ome.

또한, 시공의 복잡성을 낮추고 조작의 편리성과 시공 및 유지보수의 경제성을 만족할 수 있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that reduces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and satisfi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economics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초부에 테두리가 고정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막부와, 상기 외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내막부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의 가장자리를 고정부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에 공기의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펌프부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er membrane portion whose edg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to form an inner space, an inner membrane portion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the edges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A bouncing dome of a double-layer structure is provided, including a foundation installed in the ground to be connected through a top, and an air pump unit that provides air pressure to the outer membrane and the inner membran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엣지로프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여, 내막부 또는 외막부의 가장자리가 삽입공간의 내부에서 엣지로프의 외면을 감싸면서 개구 및 외부로 이어지고, 삽입공간에 내막부 또는 외막부가 엣지로프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내막부 또는 외막부만이 개구로 인출되어 지반에 고정되며, 엣지로프에 대해 고정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부가 분리되면 엣지로프와 외막부 또는 내막부도 전후로 분리가능하다. Preferably, the fixing part has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edge rope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ning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edg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or the outer membran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edge rope inside the insertion space. I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and connects to the opening and the outside, and with the inner or outer membrane part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edge rope, only the inner or outer membrane part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and fixed to the ground, and the fixing part is position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edge rope. Alternatively, if the fixing part is separated by sliding it backwards, the edge rope and the outer membrane or inner membrane can be separated back and forth.

또한, 상기 에어펌프부의 압력을 외막부에 전송하는 외막송풍라인 및 외막배풍라인과, 상기 에어펌프부의 압력을 내막부에 전송하는 내막송풍라인 및 내막배풍라인과, 상기 외막부 내부의 결로수를 배출하는 인출라인과, 상기 에어펌프부에 의한 공기의 압력 전송과 결로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outer membrane blowing line and an outer membrane exhaust line that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air pump unit to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 inner membrane blowing line and an inner membrane exhaust line that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air pump portion 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and condensation water inside the outer membran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charge line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air pressure transmission by the air pump unit and discharge of condensation water.

상기 내막송풍라인은, 내막부의 저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지반에 상측으로 이어지는 내막주입부와 상기 내막주입부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말단주입부로 연결될 수 있다. The endomembrane blowing line may be connected to an endomembrane injection part disposed across the bottom of the endomembrane unit and extending upward to the ground, and an end in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endomembrane injection unit and having flexibility.

또한, 상기 말단주입부는, 내막송풍라인으로 압축공기가 전송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기둥 형태를 이루어 내막부를 들어올리면서 내막부의 내부 공간 상측에서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compressed air is transmitted to the endomembrane blowing line, the distal injection part is preferably formed into a pillar shape by air pressure to lift the endomembrane and discharge compressed air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endomembrane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일실시예로, 상기 컨트롤러는, 내막송풍라인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내막주입부와, 내막배풍라인으로 내막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내막배출부와, 외막송풍라인으로 외막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외막주입부와, 외막배출라인으로 외막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외막배출부와, 인출라인을 통하여 결로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수제어부와, 전체적인 유로의 방향 절환 및 개폐를 관리하는 유로관리부와, 내막부 및 외막부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includes an inner film injection part that injects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film blowing line, an inner film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air from the inner film part through the inner film blowing line, and an inner film blowing line that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outer film part. An outer film injection part that allows injection, an outer film discharge part that discharges air from the outer film through the outer film discharge line, a discharge water control part that discharges condensation water through the discharge line, and a flow path management part that manages the direction switching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rall flow path. and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주입공정에서 내막주입부가 작동하여 내막부가 부풀어 올라 입체적인 형상으로 융기되어 외막부가 내막부의 형상을 따라 융기된 이후, 외막주입부가 압축공기를 외막부로 전송시켜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art in the injection process, causes the inner membrane part to swell and rise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after the outer membrane part is raised along the shape of the inner membrane part, the outer membrane injection part transmits compressed air to the outer membrane part to achieve the overall shape. .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결로수 배출공정에서 내막부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막배출부가 작동하여 외막부와 내막부 사이의 유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수제어부가 결로수를 집수부로 수집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outer membrane discharge unit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in the condensation water discharge process to remove fluid between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and causes the discharge water control unit to collect the condensation water into the water collection portion.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바운싱 돔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내구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constructing a bouncing dome, it can be installed with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so constructability is excellent and durability and maintainability are improved.

또한, 종래기술에서 나타나는 엣지로프의 마모나 부식의 문제를 해결하여 내막 또는 외막에 의하여 엣지로프 부위를 보호하기 때문에 구조적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이는 운동이나 놀이의 안전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In addition, by solving the problem of wear and corrosion of the edge rope that appears in the prior art and protecting the edge rope area by the inner or outer membrane, structural durability is dramatically improved, which leads to improved safety of exercise or play.

또한, 이중막 구조에서 내부의 압력 충진과 유지를 위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이 높고,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편중된 부위에 발생하더라도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인 놀이가 가능한 효가가 있다.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for filling and maintaining internal pressure in the double-layer structure,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is high, and even if excessive load or impact occurs in a concentrated area, the shape does not collapse and it is effective in enabling stable play.

또한, 외막부와 내막부 사이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수의 발생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막과 지반과의 연결구조가 단순하며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durability is high because it can efficiently respond to condensation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and the inner membrane, and the overall constructability is maintained becaus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ground is simple and reliabl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도 1은 종래기술의 유희구조물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 대한 실시예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유로의 말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막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막 고정구조에 대하여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엣지로프와 고정부 및 브라켓이 적용된 내막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or art play structure.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double-layer structure bouncing dom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end portion of the flow path in the bouncing dome of the double-laye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membrane fixing structure in the bouncing dome of the double membr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embrane fixing structur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to which the edge rope, fixing portion, and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in the double-layer structure bouncing dom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or device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bu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기초부에 테두리가 고정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막부와, 상기 외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막부와, 상기 내막부 또는 외막부의 고정설치를 위한 개선된 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n outer membrane portion whose edg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one or more inner membrane portion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a device for fixed installation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or the outer membrane portion. Provides an improv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의 내부에 에어펌프부로부터의 송풍압을 제공하는 송풍라인 및 배풍라인과, 상기 내막부 외측 및 외막부 내부 공간으로부터 결로되는 물을 배출하는 인출라인과, 상기 송풍라인, 배풍라인 및 인출라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ing line and a blowing line that provide blowing pressure from an air pump to the inside of the outer membrane and the inner membrane, and a draw line that discharges water condensed from the out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and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line, exhaust line, and draw line is provid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바운싱 돔은 소정의 지반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에어를 주입하여 상면에서 운동이나 놀이 등을 위하여 사용하되 그 내부 압력에 따라 점핑 놀이의 탄성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지 않거나 유지보수하는 경우는 에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배관이 설치되어 주입 및 배출 압력과 그 방향성의 제어가 가능하여 놀이의 효과와 안전한 사용 및 유지보수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돔형 놀이기구를 제공한다.The bouncing dom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ground and used for exercise or play on the upper surface by injecting air as needed, but the elasticity of jumping play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ternal pressure. there is. In addition, when not in use or during maintenance, a predetermined pipe is installed to discharge air, allowing control of the injection and discharge pressure and its direction,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play and safe use and maintainability at the same time. A dome-shaped amusement ride is provided.

여기서 지반이란 기본적으로 기초적인 평탄 작업이 이루어지고 어느 정도 에어의 실링성을 보장할 수 있는 내막 및 외막과 그 내부 구조 등의 설치를 위한 기반을 의미하는 것으로 토양 그 자체나 콘크리트가 타설된 기초면 등을 불문한다. Here, the ground basically refers to the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s and their internal structures on which basic leveling work is done and air sealing can be guaranteed to a certain degree, and is the soil itself or the foundation surface on which concrete is poured. Regardless, etc.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는 지반에서 테두리 부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의 하부 및 테두리 부위에서 공기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출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소정의 실링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한다.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re fixedly installed at the edges on the ground, and are predetermined to prevent undesirable inflow and outflow of air from the lower and edge portions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 sealing process may be perform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는 에어의 주입에 따라 어느 정도의 형태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놀이와 안전성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하중을 받으며 환경의 변화에 노출되므로 내구성 및 제조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를 포함하는 막 전체에는 실링성과 내구성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can fix the shape to a certain degree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air and has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and elasticity when considering play and safety. In addition, since it receives a continuous load from the upper surfa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is exposed to environmental changes, it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considering durability and manufactur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a polyurethan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entire membrane including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for sealing properties and durability.

상기 외막부(1100)는 종래기술과 같이 외부에 노출되며 공기의 주입에 따라 팽창하여 상측에서 놀이나 점핑 운동 등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데, 내막부(1200)는 이를 내부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내막부(1200)의 외막부(1100) 내에서의 형상과 배치는 선택적일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막부(1100)가 위치에 따라 볼록한 형태와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볼록한 부위의 하측에는 네 개의 내막부(1200) 유닛들이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여 외막부(1100)의 형상을 지지한다.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n the prior art and expands upon injection of air to form a structure that allows play or jumping movements at the top,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a support structure that supports this from the inside. It can function.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within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may be optiona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has a convex shape or a concave shape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four inner membrane portions 1200 units form a set below the convex portion, thereby forming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support.

상기 내막부(1200)의 배치에 따라 외막부(1100)의 형상이 어느 정도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외막부(1100)의 상면에서 뛰는 사람들이 편중되어 있거나 과도한 충격을 받아 일부분에 변형이 많이 발생하더라도 내막부(1200)의 조합들이 이를 분산 지지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무너지지 않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도 1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구조 전체가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부분에 강한 충격이 발생하면 타측으로 에어가 유동되어 형상의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고 그 상면에서 놀이를 하는 어린이들이 중심을 못 잡고 낙상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에서는 강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막부(1200)와 외막부(1100)의 복합적인 구조에 의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문제가 해소되어 안전한 놀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the shap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may have a certain degree of structural stability. As shown, people run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re biased or partially damaged due to excessive shock. Even if a lot of deformation occurs, the combination of inner membrane parts 1200 distributes and supports it to prevent the overall shape from collapsing. As in the prior art of Figure 1, when the entire structure is made up of one space, if a strong impact occurs in one part, air flows to the other side, causing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shape, and children playing on the upper surface lose their balance and fall. This happens frequent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trong impact occurs, the overall structure can be maintained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so that the above problem is solv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afe play. do.

상기 내막부(1200)와 외막부(1100)에 송풍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송풍라인(2200)이 배치되고, 충진된 공기의 배출을 위하여 배풍라인(23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유로로 이루어져 압력의 방향성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배풍이란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경우와 배풍라인(2300)으로 음압 내지 진공압을 제공하여 강제배출시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A blowing line 2200 may be disposed to supply blowing pressure 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a blowing line 2300 may be disposed to discharge the filled air. The blowing line ( 2200) and the exhaust line 2300 are entirely composed of one flow path and may perform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pressur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aust air includes cases where air naturally flows out to the outside due to internal pressure and cases where air is forcibly discharged by providing negative pressure or vacuum pressure to the exhaust line 2300.

상기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으로 이루어지는 유로에 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에어펌프부(2100)가 연결되어 소정의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 압력을 설정된 위치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내막부(1200)의 내부 공간과 외막부(1100)의 내부 및 내막부(1200)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 대한 압력의 제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An air pump unit 2100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formed by the blowing line 2200 and the blowing line 2300 to control pressure, and supplies the pressur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predetermined controller to a set position.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ure control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Example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Let's do it.

또한, 상기 내막부(1200) 및/또는 외막부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한 결로의 산출물인 결로수를 소정의 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는 집수부(2500)가 더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집수부(2500)가 에어펌프부(2100)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배치관계는 선택적이다. In addition, a water collection unit 2500 that can collect and store condensation water, which is a product of condensation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1200 and/or the outer membrane, b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line may be further disposed. will b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ater collection unit 2500 is formed adjacent to the air pump unit 2100, but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is optio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유로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w path in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이 분리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에어펌프부(2100)를 포함하여 모듈형태로 구성되는 관리시설에 말단이 연결된다. 상기 관리시설에는 집수부(2500)가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될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집중형 관리가 가능하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blowing line 2200 and the blowing line 2300 are configured separately, and their ends are connected to a management facility configured in a modular form including an air pump unit 2100. The management facility may include a water collection unit 2500 and is equipped with a controller to be described later, enabling centralized management.

상기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을 포함하는 유로는 내막부(1200) 및 외막부(1100) 내부의 각 공간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진 에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유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이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단일의 라인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flow path including the blowing line 2200 and the blowing line 2300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lying or discharging air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to each space insid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s shown, the flow path may be composed of a separate blowing line 2200 and a blowing line 2300, or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ine considering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유체의 주입을 위한 경로와 배출을 위한 경로가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소정의 유동로 선택을 위하여 개폐 또는 방향 절환 밸브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공지의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When the path for fluid injection and the path for discharge are interconnected, an opening/closing or direction switching valve may be included to select a predetermined flow path, and a known valve may be applied to this.

상기 유로의 말단에는 에어펌프부(2100)가 연결되며, 상기 에어펌프부(2100)는 압축공기를 유로로 전송할 수 있는 송풍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부(2100)는 음압 내지 진공압을 배풍라인(2300)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송풍라인(2200)과 배풍라인(2300)은 그 경로상 또는 말단에 주입구 또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지반에 대략 수평하게 매설 및 연결되어 외막부(1100) 및/또는 내막부(1200)의 저부를 가로지르면서 주입구 또는 배출구가 막 내부 공간을 지향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거나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n air pump unit 21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assage, and the air pump unit 2100 may be equipped with a blower capable of transmitting compressed air to the passage. Additionally, the air pump unit 2100 may provide negative pressure or vacuum pressure to the exhaust line 2300. The blowing line 2200 and the blowing line 2300 may have an inlet or outlet formed along the path or at the end. The flow path is buried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pproximately horizontally, crosses the bottom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or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is bent or connected upward so that the inlet or outlet is direct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membrane. It can be.

또한, 상기 송풍라인(2200) 및 배풍라인(2300)과 일체 또는 별도의 구성 결로수의 배출을 위한 인출라인(240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라인(2400)은 유입측이 외막부(1100)의 내부와 내막부(1200)의 외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배출측은 집수부(2500) 측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인출라인(2400)은 막 내부 공간에서 결로가 발생하면 수집된 물을 바로 또는 수집하여 집수부(2500)로 배출하도록 기능하는데, 수분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인출라인(2400)의 작동은 배풍라인(2300)의 작동과 연동될 수 있을 것인데, 이에 대한 작동의 실시예는 후술한다. In addition, an outlet line 2400 for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r separate from the blowing line 2200 and the blowing line 2300. The inlet side of the outlet line 24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insid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outsid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discharge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portion 2500. When condensation occurs in the space inside the membrane, the draw-out line 2400 functions to immediately or collect the collected water and discharge it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2500. In order to remove moisture, the operation of the draw-out line 2400 is performed through the exhaust line. It may be linked to the operation of 2300, and examples of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외막부(1100)의 테두리는 지반에 대해 어느 정도 실링성을 가지고 고정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테두리를 잡아줄 수 있도록 소정의 콘크리트 내지는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초부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edg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can be fixed to the ground to some degree and has sealing properties. For this purpose, a foundation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may be provided to hold the edge.

또한, 외막부(1100) 테두리의 안정적인 유지와 어느 정도의 완충 거리를 고려하여 외막부(1100)의 일부와 지반을 함께 덮는 형태로서 샌드부(3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샌드부(3200)는 노출된 구조물들을 덮으며 낙상시의 완충 기능을 수행하므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적인 이점도 있다. 상기 샌드부(3200)의 형성을 위하여 지중에 함몰된 부위에 전체적인 구조가 설치되고 그 상면을 덮는 형태로서 모래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샌드부(3200)의 외곽에는 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마감부(3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3300)는 벽체 형태 내지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블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stable maintenance of the edg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a certain buffering distance, a sand portion 3200 may be further provided in a form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ground. The sand portion 3200 covers exposed structures and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in the event of a fall,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providing aesthetic benefits. In order to form the sand part 3200, the overall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sunken area and sand can be plac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The outer part of the sand part 3200 is provided to prevent sand loss. A predetermined finishing portion 3300 may be provided. The finishing portion 3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all or a block forming an edg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풍 또는 배풍 및 결로수의 인출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for blowing or exhausting air and withdrawing condensation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와 같이 외막부(1100)의 내부에서 내막부(1200)가 지지하는데, 상기 유로는 내막부(1200)와 외막부(1100)의 구조물의 팽창을 위한 송풍 과정과, 보관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배풍 과정과, 결로수의 배수를 위한 인출 과정에서 선택되거나 연동되어 작용할 수 있다.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supported insid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flow path is used for the blowing process for expansion of the structures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for storage. Alternatively, it may be selected or act in conjunction with the exhaust air process for maintenance and the withdrawal process for draining condensation water.

도 4의 좌측 도면은 내막부(1200) 내부에 송풍을 위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송풍라인(2200)으로부터 분기되거나 외막송풍라인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내막송풍라인(2210)은 내막부(1200)의 저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내막주입부(2211)는 주입구가 내막부(1200) 내부로 연통된다. 상기 내막주입부(2211)의 위치는 선택적이나 대략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내막부(1200) 유닛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left drawing of FIG. 4 shows a structure for blowing air insid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The inner film blowing line 2210, which branches off from the blowing line 2200 or is configured independently from the outer film blowing line, may be disposed across the bottom of the inner film portion 1200, and has an inner film injection portion 2211 extending upward from this. The injection por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The location of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ortion 2211 is optional, but it is preferable that it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unit, which has an approximately circular cross-section.

상기 내막주입부(2211)는 지중에서 내막송풍라인(221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측을 지향하도록 지반을 관통할 수 있는데, 주입구 이외의 지반과의 연결부위는 공기의 누설방지를 위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에, 막 내부공간 바닥면에는 공기의 누설 방지를 위한 방수필름(3030)이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필름(3030)은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기밀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수분이 지반으로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The inner film injection part 2211 can branch from the inner film blowing line 2210 in the ground and penetrate the ground to point upward, but the connection parts with the ground other than the injection port require treatment to prevent air leakage. Accordingly, a waterproof film 3030 may be formed entire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membrane to prevent air leakage. This waterproof film 3030 provides airtightness to the lower side to prevent air leakag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moisture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ground.

상기 방수필름(3030)의 내막주입부(2211)가 형성되는 부위에는 개구인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입구측 지반과 내막주입부(2211) 사이에 실링성을 고려하여 고정 및 실링부(2213)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 및 실링부(2213)는 하나 이상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압축공기가 지반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고 공지의 다양한 배관 연결 및 실링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실시예는 생략한다. An open injection port is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inner film injection part 2211 of the waterproof film 3030 is formed, and a fixing and sealing part 2213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sealing between the ground on the injection port side and the inner film injection part 2211. ) is placed. The fixing and sealing portion 2213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or more rings and can function to prevent compressed air from leaking to the ground. Since various known piping connection and seal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specific embodiments are omitted.

상기 내막주입부(2211)의 측면으로는 방수필름(3030)과 고정 및 실링부(2213)가 올바르게 자리잡도록 하기 위하여 중량체부(3010)가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부(3010)는 시공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모래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art 2211, weight parts 3010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to ensure that the waterproof film 3030 and the fixing and sealing part 2213 are positioned correctly. The heavy body portion 30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and bag considering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상기 내막주입부(2211) 이외의 부위에는 방수필름(3030)과 지반의 사이에 완충재부(302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완충재부(3020)는 내막부(1200) 및/또는 외막부(1100)가 배치되는 막 하부 공간 전반에 걸친 바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기의 누설이나 사고가 발생하여 내막부(1200) 및/또는 외막부(1100)가 전체적으로 기능을 갑자기 상실하더라도 상기 완충재부(3020)가 추락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In areas other than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ortion 2211, a cushioning material portion 302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waterproof film 3030 and the ground. The cushioning material portion 302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floor throughout the lower membrane space wher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or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re disposed. However, if air leakage or an accident occurs,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or even i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suddenly loses its function as a whole, the cushioning material portion 3020 can function to prevent injury due to a fall.

상기된 내막주입부(2211), 방수필름(3030), 중량체부(3010) 및 완충재부(3020)의 배치와 관련하여서는 외막부(1100)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Regarding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art 2211, the waterproof film 3030, the weight part 3010, and the cushioning material part 3020,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outer membrane part 1100,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내막부(1200)는 외막부(1100)의 내부에서 소정의 지지구조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구조체의 전체적인 형성 과정에서 압축공기의 주입시 외막부(1100)보다 내막부(1200)에 먼저 압축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바람직한 주입의 순서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내막주입부(2211)가 바닥면에서 바로 주입구를 통해 내막부(1200) 공간 저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경우를 일차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 다만, 막 내부 전체에서 공기가 다 빠진 상태를 고려하면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가 전체적으로 바닥에 깔린 형태로 배치될 것이며 내막부(1200)의 중심측에서 폭방향으로 공기의 유입이 시작되어 서서히 융기를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공기의 유입과정을 고려하면 폭방향으로 공기가 퍼지면서 서서히 전체적인 형상을 융기시키는 방식으로 구조물 형성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중에 대한 부하가 높다. 이는 에어펌프부(2100)의 에너지가 많이 소요됨을 의미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can function as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insid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When injecting compressed air during the overall formation process of the structure, it would be preferable to inject the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befor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The preferred order of inj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A case where the endomembrane injection unit 2211 discharges air from the bottom directly through the injection port to the bottom of the space of the endomembrane unit 1200 can be primarily considered. However, considering the state in which all the air is exhausted from the entire inside of the membran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will be arranged in a form where the entire membrane is laid on the floor, and air will flow in from the center sid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n the width direction. This will begin and slowly begin to rise. Considering this air inflow process, the structure is formed in a way that the air sprea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gradually raises the overall shape, so it takes a long time and the load is high. This means that the air pump unit 2100 consumes a lot of energy.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이를 보완할 수 있게 내막주입부(2211)가 내막부(1200)의 내부 공간의 상측으로 토출을 시작하도록 주입구는 공간 상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말단주입부(2212)를 더 구성한다.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lement this, the distal injection unit 2212 is further configured so that the injection port can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ace so that the endometrial injection unit 2211 starts discharging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endometrial unit 1200. do.

상기 말단주입부(2212)는 내막주입부(2211)로 압축공기가 전송되면 내막부(120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서 이를 배출한다. 이때,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말단주입부(2212)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의 형상을 유지할 것이고, 내막부(1200) 유닛을 지탱하는 지지구조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말단주입부(2212)가 금속제 파이프와 같이 경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보관이나 유지 보수과정에 일부분에 힘을 가해 파손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압축공기가 전송되었을 때에만 세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When compressed air is transmitted to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art 2211, the distal injection part 2212 discharges it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part 1200. At this time, due to air pressure, the distal injection portion 2212 will maintain its overall pillar-shaped shape and function as a support structure supporting the inner membrane 1200 unit. If the end injection part 2212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 metal pip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a part by applying force during storage or maintenance, so it is flexible so that it can have an erect shape only when compressed air is transmitte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branch to be made of a material.

상기의 구조에 따라 내막송풍라인(2210)으로 압축공기가 전송되면, 말단주입부(2212)가 압력에 의하여 융기되면서 기둥 형상을 가지면서 내막부(1200)를 중심측에서 들어올리고, 내막부(1200) 내부 공간 상측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로 인하여 내막부(1200)가 충진되면서 입체적인 형상 형상(예를 들어, 반구형)을 갖추면서 외막부(1100)를 들어올린다. 상기 외막부(1100)의 송풍은 내막부(1200)에 어느 정도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송풍의 제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When compressed air is transmitted to the inner membrane blowing line 2210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end injection portion 2212 is raised by pressure and has a pillar shape, lifting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from the center side,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2212) is 1200)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filled with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is lifted while forming a three-dimensional shape (for example, hemispheric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wing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is performed with a certain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Control of such blowing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4의 우측 도면은 인출라인과 결로수의 배출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Meanwhile, the drawing on the right side of FIG. 4 shows the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the discharge line and condensation water.

상기 인출라인(2400)의 유입측은 막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인출라인(2400)의 유입측이 내막부(1200)의 외부와 외막부(1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주요한 실시예로 설명하나, 내막부(1200) 내부 공간에서 수분의 배출을 위하여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출라인(2400)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개구와 이어지는 인출부(2401)로 이어진다. 상기 인출부(2401)의 말단측은 결로수의 수집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쐐기형 경사면을 가지는 수집공간(24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공간(2402)의 상면으로는 방수필름(3030)이 구성되고, 측면에 중량체부(3010)가 배치되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상기 내막주입부(2211)의 구성을 준용한다. The inlet side of the outlet line 2400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membran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embodiment explains that the inlet side of the outflow line 2400 is disposed outsid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insid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However, moisture is lost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This does not exclude deployment for discharge. The lead-out line 2400 extends upward and leads to the lead-out portion 2401 connected to the opening. The distal side of the outlet portion 2401 may be configured as a collection space 2402 having a predetermined wedge-shaped inclined surface to enable collection of condensation water. A waterproof film 30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ection space 2402, and a weight portion 3010 is disposed on the side. In this regard,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ortion 2211 is applied.

추가적으로, 상기 인출라인(2400)의 유입측이 배치되는 막 내부의 바닥면은 압축공기의 유입측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되어 결로수의 바람직하지 않은 위치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membrane where the inlet side of the outlet line 2400 is disposed is dispos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let side of the compressed air to prevent condensation water from flowing out to undesirable loca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막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Figure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membrane fixation structure in the bouncing dome of the double membr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막 구조는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며 외막부(1100)의 볼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중심측의 높이가 가장 높은 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볼록한 부분을 중심으로 복수의 외막부(1100)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외막부(1100)의 가장자리 측은 경사진 형태를 가지고 지반과 접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막의 가장자리와 지반과의 결합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membrane structure is overall convex upward and has a dome shape with the highest height at the center based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so a plurality of outer membrane portions 1100 are formed around the convex portion. The units can be deployed as above. The edge sid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has an inclined shape and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edge of the membrane and the ground is presented.

한편, 상기 외막부(1100)의 내측 바닥면에는 방수필름(3030)이 배치되어 실링성을 제공하게 됨은 상기와 같다. 상기 방수필름(3030)의 하측으로는 완충재부(3020)가 전반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된 중량체부(3010)는 막의 가장자리와 지반과의 연결부위 측에도 배치되어 방수필름(3030)의 외곽을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waterproof film 3030 is dispos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to provide sealing properties. A cushioning material portion 3020 may be disposed overall on the lower side of the waterproofing film 3030, and the above-described weight portion 301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ge of the membrane and the ground to form an outer layer of the waterproofing film 3030. I can support it.

상기 내막부(1200)의 가장자리는 지반에 고정된 기초부(3100)에 브라켓부(14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1440)는 하측으로 기초부(3100)와 앵커(3110)로 체결되고, 상측 및 측방으로 막의 테두리와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한 팽창력과 하중에 의한 요동을 지지한다. The edg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may be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1440 on the base portion 3100 fixed to the ground. The bracket portion 1440 is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3100 and the anchor 3110 at the bottom, and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membrane at the top and sides to support the expansion force caused by compressed air and the shaking caused by the load.

소정의 천막과 지반의 고정과 관련하여 종래기술에서 소정의 PP 로프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천막의 테두리에 연결와이어를 지그재그 형태로 엮고 이를 엣지로프와 연결하는 방식이 흔하게 적용되는 수법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연결와이어의 피치에 따라 어느 정도 장력을 균등하게 배분하여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엣지로프와 일일이 엮어주는 과정이 필요하여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유지보수에 있어 해체와 재결합을 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웠다. 또한, 장기간 사용에 따라 PP 로프의 부식 문제도 다수 보고되어 있다. In relation to fixing a tent to the ground, it is known in the prior art to connect using a PP rope. 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a commonly applied method is to weave connection wires in a zigzag shape around the edge of the tent and connect them to edge ropes. The prior ar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tribute tension evenly to a certain extent and support it depending on the pitch of the connecting wire, but it requires a process of individually weaving edge ropes, which not only deteriorates constructability but also requires disassembly and reassembly, especially during maintenance. The process was very cumbersome. Additionally, many corrosion problems with PP rope have been reported due to long-term use.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막과 엣지로프(1430) 사이에 연결와이어를 개재하지 않고 엣지로프(1430)와 막을 바로 연결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고정부(1420)는 상기 엣지로프(1430)를 감싸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고정부(1420)의 내벽과 엣지로프(1430)의 외면 사이에 상기 막의 말단이 개재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directly connecting the edge rope 1430 and the membrane without interposing a connecting wir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edge rope 1430. The fixing part 1420 has a predetermined space surrounding the edge rope 1430 and is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nd of the membrane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part 14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rope 1430.

이에 대한 자세한 실시예는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Detailed embodiments of this will be discussed with reference to FIG. 6.

상기 내막부(1200)의 테두리 부분에는 엣지로프(1430)가 배치되되 내막부(1200)가 엣지로프(1430)의 외면을 감싼다. 고정부(1420)는 하측으로 브라켓부(1440)와 연결되는 바디(1421)를 가지고, 상기 바디(1421) 상측으로 슬릿 형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는 전후 내지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데 내부 공간보다 더 작은 좌우 폭을 가진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엣지로프(1430)를 내막부(1200)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감싸면서 상측(다소 좌측)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내막부(1200)와 엣지로프(1430)는 삽입공간(1422)에 전후 내지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즉, 엣지로프(1430)의 반경이 삽입공간(1422)의 내부에 걸림될 수 있는 폭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감싸는 내막부(1200) 또한 삽입공간(14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릿 형태의 개구로 내막부(1200)만이 인출되는 것이다. An edge rope 1430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rope 1430. The fixing part 1420 has a body 1421 connected to the bracket part 1440 on the lower side, and a slit-shaped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1421. The opening extends in the front-to-back or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left-right width that is smaller than the internal space.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surrounds the edge rope 1430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slightly to the left),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edge rope 143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1422) is inserted in the front-to-back or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because the radius of the edge rope 1430 has a width that can be caught inside the insertion space 1422,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surrounding it is also fixed to the insertion space 1422 and is exposed through a slit-shaped opening. Only the shogunate (1200) is withdrawn.

상기와 같이 고정부(1420)에 고정되는 내막부(1200)의 단부는 두 겹의 형태로 볼팅 방식으로 좌우방향 결합되거나, 접착되거나, 재봉되는 등 공지의 방식으로 말단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막부(1200)와 엣지로프(1430)의 결합 방식은 외막부(110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420 may be treated in a known manner, such as being jo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bolting in a two-ply form, glued, or sewn. . The method of combining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edge rope 1430 can be applied to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s well,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러한 배치방식에 의하여 내막부(1200)에 일부 손상이 있거나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브라켓부(1440)로부터 고정부(1420)를 분리하고 엣지로프(14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고정부(142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내막부(1200)와 고정부(1420)가 분리되며, 이렇게 분리가 이루어지면 내막부(1200)와 엣지로프(1430)도 자연스럽게 전후로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1420)와 브라켓부(14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엣지로프(1430)만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하면 막과 고정부(142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I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partially damaged or needs to be replaced entirely due to this arrangement method, separate the fixing portion 1420 from the bracket portion 1440 and attach the fixing portion to the front or rear of the edge rope 1430. When 1420 is slid and move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fixing portion 1420 are naturally separated. When this separation is achieve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edge rope 1430 can also be naturally separated back and forth. Additionally, with the fixing part 1420 and the bracket part 1440 connected, the membrane and the fixing part 1420 may be separated by sliding and withdrawing only the edge rope 143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때 종래에 연결와이어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시공과정이 단순하며, 경제적이고, 유지보수에 걸리는 노력도 비약적으로 저감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with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process is simple and economical, and the effort required for maintenance can be dramatical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connecting wires.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PP로프의 부식 문제도 본 발명과 같은 방식을 적용한 경우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osion problem of conventionally used PP ropes did not appear when the same method as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엣지로프와 고정부 및 브라켓이 적용된 내막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to which the edge rope, fixing portion, and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내막부(1200)의 가장자리는 엣지로프(1430)를 감싸면서 고정부(1420)의 내벽에 측방(원주방향)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edges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re mutually fastened by wrapping the edge rope 1430 and inserting it laterally (circumferentially) into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portion 1420.

기초부(3100)에 대해 앵커(3110)를 통하여 설치되는 브라켓부(1440)가 미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1420)들은 각각의 브라켓부(144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결부재(참조번호 미표시)가 개재되어 있다. Bracket units 1440 installed on the base unit 3100 via anchors 3110 are arranged in advance, and the fixing units 1420 are connected to each bracket unit 1440. For this purpose, a connecting member (reference number not shown) whose length is adjustable is provided.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고정부(1420)와 엣지로프(1430)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고정부(1420)와 내막부(1200)가 상호 체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됨 없이 끼움방식에 의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시공이 단순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엣지로프(143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의 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음은 상기와 같다.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the fixing part 1420 and the edge rope 1430 do not contact directly, and the fixing part 1420 and the inner membrane part 1200 are connected by a fitting method without being connected by mutual fastening members, so construction is easy. simple. As mentioned above, because the edge rope 143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is structure, it can be free from the problem of corrosion.

또한, 손상이 발생한 부위에서 측방으로 고정부(1420)를 빼내면 족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됨에 유의한다. Also, note that maintainability is dramatically improved because it is sufficient to remove the fixing part 1420 laterally from the damaged area.

도 8은 본 발명의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서 컨트롤러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ure 8 is a block diagram to explain an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in the double-layer structure bouncing dome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트롤러(4000)는 상기와 같이 관리시설에 구비될 수도 있고, 소정의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원격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troller 4000 may be installed in a management facility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configured remotely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이러한 컨트롤러(4000)는 전체적인 송풍라인(2200), 배풍라인(2300) 또는 인출라인(2400)을 포함하는 유로(2000)를 제어하며, 상기 유로의 제어란 송풍 또는 배풍 등을 위하여 압력의 형성, 배관의 개폐, 방향의 절환 등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배관의 연결과 삼방밸브 또는 개폐밸브 등 유로제어수단에 대하여서는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controller 4000 controls the flow path 2000 including the overall blowing line 2200, exhaust line 2300, or outlet line 2400, and controlling the flow path means forming pressure for blowing or exhausting air, etc. This refers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pipes, change of direction, etc. For this purpose, known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to the piping connection and flow control means such as a three-way valve or open/close valve.

당해 실시예에서는 내막과 외막을 분리하여 송풍 및 배풍이 가능하며, 내막과 외막의 사이의 공간에서 결로수를 인출할 수 있도록 라인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전체적인 라인의 결합은 유로(2000)를 구성하며, 도시사항에서는 내막송풍라인(2210)과 내막배풍라인이 하나의 라인을 이루고, 외막송풍라인과 외막배풍라인 및 인출라인(2400)이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져 선택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lowing and exhausting air are possible by separating the inner and outer films, and the line is configured to withdraw condensation water from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films. The combination of the entire lines connected as above constitutes the flow path 2000, and in the illustration, the inner film blowing line 2210 and the inner film exhaust line form one line, and the outer film blowing line, outer film exhaust line, and take-out line 2400 It consists of one line and can perform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selection.

상기 컨트롤러(4000)는 내막송풍라인(2210)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내막주입부(4110)와, 내막배풍라인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내막배출부(4220)와, 외막송풍라인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외막주입부(4120)와, 외막배출라인으로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외막배출부(4210)와, 인출라인(2400)을 통하여 결로수를 수집 및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수제어부(4230)와, 전체적인 유로의 방향 절환 및 개폐를 관리하는 유로관리부(4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4000 includes an inner film injection unit 4110 that injects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film blowing line 2210, an inner film discharge part 4220 that discharges the internal air into the inner film blowing line, and compression by the outer film blowing line. An outer film injection part 4120 that injects air, an outer film discharge part 4210 that discharges internal air through the outer film discharge line, and a discharge water control part 4230 that collects and discharges condensation water through the draw line 2400. ) and a flow path management unit (4300) that manages the direction switching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rall flow path.

또한, 관리자가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링부(4400)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4400)는 각 배관 및 공간의 압력상태에 대한 센싱값과, 에어펌프부(2100)의 작동 및 시간과, 온도나 습도 등에 대한 센싱값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으로 알릴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모니터링부(440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을 통하여 원격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monitoring unit 4400 that allows the manager to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and the monitoring unit 4400 monitors the sensing values for the pressure status of each pipe and space,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 pump unit 2100, and It functions to receive sensing values for time,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inform the user through a display or sound. This monitoring unit 4400 can visualize the information through a predetermined display and perform a remote transmission function through a user terminal.

또한, 외부의 중앙관리서버 또는 사용자단말 또는 감지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50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4500)는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 규약 및 장비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dditionally, 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500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central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or sensing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4500 may apply know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equipment.

하기에서는 상기 컨트롤러(4000)의 구성에 의하여 각 공정별로 작동의 제어를 설명한다. In the following, operation control for each process will be explained bas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4000.

a) 주입공정a) Injection process

막 전체의 내부에 공기가 대략적으로 빠져있는 상태에서 내막부(1200)와 외막부(1100)는 지반에 납작하게 배치되어 있다.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re placed flat on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air is approximately missing inside the entire membrane.

내막주입부(4110)에서 내막송풍라인(2210)을 통하여 내막부로 압축공기의 전송이 개시되며, 말단주입부(2212)가 송풍압에 의하여 융기되어 기둥 형상을 이루며, 내막부(1200)가 대략 중심측에서 솟아 올라가게 된다. 내막부(1200)가 어느 정도 상승하기까지는 말단주입부(2212)의 출구측이 내막부(1200)의 저면에 덮여있기 때문에 내부의 압력이 유지될 것이며 어느 정도 융기가 완료되면 내막부(1200)의 내부 공간 상측에서 배출이 지속되어 내막부(1200)가 부풀기 시작한다. Transmission of compressed air from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unit 4110 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through the inner membrane blowing line 2210 begins, and the distal injection portion 2212 is raised by the blowing pressure to form a pillar shape,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approximately It rises from the center. Until the endomembrane part 1200 rises to a certain extent, the outlet side of the distal injection part 2212 is covered with the bottom of the endomembrane part 1200, so the internal pressure will be maintained, and when the rise is completed to a certain extent, the endomembrane part 1200 As discharge continu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begins to swell.

상기와 같이 내막부(1200)가 어느 정도 부풀어 올라 외막부(1100)가 내막부(1200)의 형상대로 융기된 상태에서 외막주입부(4120)에서 외막송풍라인을 통하여 외막부 내부로 송풍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부푼 형상을 만든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swells to a certain extent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is raised in the shap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outer membrane injection unit 4120 blows air into the outer membrane through the outer membrane blowing line. Creates an overall puffy shape.

모니터링부(4400)에서 원하는 압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송풍라인을 폐쇄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하거나, 송풍압을 지속하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monitoring unit 4400 determines that the desired pressure has been reached, the overall shape may be maintained by closing the blowing line to seal the internal space or continuing the blowing pressure.

b) 배풍공정b) Exhaust air process

구조를 해제하기 위한 배풍공정의 경우 상기의 주입공정과 역순으로 진행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내부의 지지구조를 먼저 해제하는 것이 배풍의 효율이 높다. In the case of the blowing process to release the structure, it can be considered to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injection process above, but the blowing efficiency is higher if the internal support structure is released first.

따라서, 내막배출부(4220)에서 음압을 내막배풍라인으로 제공하여 내막의 공기를 빼낸 다음, 내막부(1200)의 압력이 해제된 것으로 감지되면 외막배출부(4210)에서 음압을 외막배풍라인으로 제공하여 외막 내부에서 완전히 공기를 제거한다. Therefore, the inner membrane discharge unit 4220 provides negative pressure to the inner membrane exhaust line to remove air from the inner membrane, and then, when the pressure in the inner membrane unit 1200 is detected to be released, the outer membrane discharge unit 4210 provides negative pressure to the outer membrane exhaust line. Provides complete removal of air from inside the outer membrane.

c) 결로수 배출공정c) Condensation water discharge process

내부의 인출라인(2400)을 통하여 결로수를 배출하는 공정은 배출수제어부(4230)가 제어한다. 인출라인(2400)의 유입부는 상기와 같이 외막부(1100)의 내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집공간(2402)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인출라인(2400)으로 유입되어 자연히 흐르는 방식으로 집수부(2500)에 저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rocess of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through the internal discharge line 2400 is controlled by the discharge water control unit 4230. The inflow portion of the draw-out line 2400 may be formed in the collection space 2402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water collection portion 2500 flows naturally into the draw-out line 2400. ) may be stored in .

다만, 결로수의 완전한 인출과 공기나 주변에 맺혀 있는 상태의 수분까지 고려하면 소정의 음압을 인출라인(2400)으로 제공하여 강제배출하는 방식으로 결로수를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owever, considering complete withdrawal of condensation water and moisture condensed in the air or surroundings, it would be desirable to withdraw condensation water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to the discharge line 2400 to force discharge.

이때, 상기 인출라인(2400)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풍공정을 적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내막부(1200)의 구조가 먼저 무너져 바닥을 덮는 상태가 되므로 결로수의 배출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At this time, it may be considered to apply the exhaust air process with the draw line 2400 open, but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inner membrane 1200 collapses first and covers the floor, which may cause problems in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There are concerns.

따라서, 결로수의 배출공정은 내막부(1200) 및 말단주입부(2212)의 지지형태를 유지하도록 내부 압력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외막부(1100) 내부의 압력만을 제거하여 내막부(1200)와 외막부(1100) 사이의 공간의 유체가 완전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process of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removes only the pressure inside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while maintaining the internal pressure to maintain the support shap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distal injection portion 2212, thereby forming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the distal injection portion 2212.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flui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portions 1100 to be completely removed.

이에, 외막배출부(4210)가 기능하거나 인출라인(2400)으로 에어펌프부(2100)가 음압 또는 진공압을 적용하여 내부의 수분을 함유한 공기 및 수집공간(2402)에 모인 결로수를 인출라인(2400)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인출라인(2400)은 집수부(250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outer membrane discharge unit 4210 functions or the air pump unit 2100 applies negative pressure or vacuum pressure to the draw line 2400 to draw out the air containing moisture inside and the condensation 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on space 2402. It is discharged to line 2400. At this time, the outgoing line 24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on unit 2500.

이상과 같이 외막부(1100)에 먼저 음압을 적용하여 내부 유체가 완전 소진된 경우 내막부(1200)는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막부(1100)가 이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에 내막부(1200)의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결로수의 배출 및 배풍이 완료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negative pressure is first applied to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ternal fluid is completely exhauste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maintains its shape and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is arranged to surround it. Discharging and exhausting the condensed water can be completed by discharging the air at 1200.

추가로 내막부(1200) 내부에 결로수의 배출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막부(1100)와 내막부(1200) 사이의 공간의 인출이 완료된 이후 내막부(1200) 내부의 유체를 인출하는 방식으로 배출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Additionally, if an inlet for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is formed insid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the fluid inside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completed after the extrac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is completed. Discharge may be carried out by withdrawing .

이상과 같이 배풍과 결로수의 배출은 내막부(1200)의 형상을 해제한 상태에서 외막부(1100)의 공기를 제거할 것인지, 내막부(1200)를 유지하고 외막부(1100)의 공기를 제거할 것인지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배풍의 효율을 향상하며 시간과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식으로 배풍을 수행할 것인지, 내부의 수분과 습기를 제거하는 데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의 목적에 따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air and condensation water are discharged whether to remove the air from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while releasing the shape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or to maintain the inner membrane portion 1200 and remove the air from the outer membrane portion 1100. You can choose depending on whether you want to remove it or not. This may depend on the purpose of whether to perform exhaust ventilation in a way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exhaust ventilation and saves time and energy, or to prioritize removing internal moisture and humidity.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에 따라,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바운싱 돔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우수하며 내구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bouncing dome of the double-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bouncing dome can be installed in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one, so constructability is excellent and durability is excellent. and maintainability will be improved.

또한, 종래기술에서 나타나는 엣지로프의 마모나 부식의 문제를 해결하여 내막 또는 외막에 의하여 엣지로프 부위를 보호하기 때문에 구조적 내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이는 운동이나 놀이의 안전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In addition, by solving the problem of wear and corrosion of the edge rope that appears in the prior art and protecting the edge rope area by the inner or outer membrane, structural durability is dramatically improved, which leads to improved safety of exercise or play.

또한, 이중막 구조에서 내부의 압력 충진과 유지를 위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이 높고, 과도한 하중이나 충격이 편중된 부위에 발생하더라도 형태가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인 놀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for filling and maintaining internal pressure in the double membrane structure,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is high, and it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table play without collapsing its shape even if excessive load or impact occurs in a concentrated area.

또한, 외막부와 내막부 사이의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수의 발생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막과 지반과의 연결구조가 단순하며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성과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durability is high because it can efficiently respond to condensation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outer membrane and the inner membrane, and the overall constructability is maintained becaus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embrane and the ground is simple and reliable.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is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examples and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claims described later.

1100...외막부 1200...내막부
1420...고정부 1430...엣지로프
1440...브라켓부 2000...유로
2100...에어펌프부 2200...송풍라인
2210...내막송풍라인 2211...내막주입부
2212...말단주입부 2213...고정 및 실링부
2300...배풍라인 2400...인출라인
2401...인출부 2402...수집공간
2500...집수부 3010...중량체부
3020...완충재부 3030...방수필름
3100...기초부 3110...앵커
3200...샌드부 3300...마감부
4000...컨트롤러 4110...내막주입부
4120...외막주입부 4210...외막배출부
4220...내막배출부 4230...배출수제어부
4300...유로관리부 4400...모니터링부
4500...통신부
1100...Outer membrane 1200...Inner membrane
1420...fixing part 1430...edge rope
1440...Bracket part 2000...Euro
2100... air pump unit 2200... blowing line
2210... inner film blowing line 2211... inner film injection part
2212...end injection part 2213...fixing and sealing part
2300... exhaust line 2400... draw-out line
2401... withdrawal unit 2402... collection space
2500...Catchment area 3010...Weight body section
3020...buffering material 3030...waterproof film
3100...base 3110...anchor
3200...Sand part 3300...Finish part
4000...Controller 4110...Endometrial injection unit
4120...Outer membrane injection section 4210...Outer membrane discharge section
4220... inner film discharge unit 4230... discharge water control unit
4300...Euro Management Department 4400...Monitoring Department
4500...Department of Communications

Claims (6)

기초부에 테두리가 고정 설치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막부;
상기 외막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내막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의 가장자리를 고정부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지반에 설치되는 기초부;
상기 외막부 및 내막부에 공기의 압력을 제공하는 에어펌프부;
상기 에어펌프부의 압력을 외막부에 전송하는 외막송풍라인 및 외막배풍라인;
상기 에어펌프부의 압력을 내막부에 전송하는 내막송풍라인 및 내막배풍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엣지로프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삽입공간을 구비하여, 내막부 또는 외막부의 가장자리가 삽입공간의 내부에서 엣지로프의 외면을 감싸면서 개구 및 외부로 이어지고, 삽입공간에 내막부 또는 외막부가 엣지로프와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내막부 또는 외막부만이 개구로 인출되어 지반에 고정되며, 엣지로프에 대해 고정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부가 분리되면 엣지로프와 외막부 또는 내막부도 전후로 분리가능한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n outer membrane portion in which a border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ase to form a space therein;
an inner membrane portion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a foundation installed in the ground to connect the edges of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through a fixing portion;
an air pump unit that provides air pressure to the outer membrane portion and the inner membrane portion;
an outer membrane blowing line and an outer membrane exhaust line that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air pump unit to the outer membrane portion;
Including an inner membrane blowing line and an inner membrane exhaust line that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air pump unit to the inner membrane portion,
The fixing part,
I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where the edge rope can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edge of the inner membrane or outer membrane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rope inside the insertion space and forms an opening and an outer surface. With the inner or outer membrane part fixed in the insertion space together with the edge rope, only the inner or outer part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and fixed to the ground, and is fixed by sliding the fixing part forward or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edge rop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that allows the edge rope and the outer or inner membrane to be separated front and rear when the two parts are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부 내부의 결로수를 배출하는 인출라인;
상기 에어펌프부에 의한 공기의 압력 전송과 결로수의 배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charge line discharging condensation water inside the outer membran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air pressure transmission by the air pump unit and discharge of condensation wa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송풍라인은,
내막부의 저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지반에 상측으로 이어지는 내막주입부와 상기 내막주입부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유연성을 가지는 말단주입부로 연결되되,
상기 말단주입부는,
내막송풍라인으로 압축공기가 전송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기둥 형태를 이루어 내막부를 들어올리면서 내막부의 내부 공간 상측에서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ner membrane blowing line is,
It is disposed across the bottom of the inner membrane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n inner membrane injection portion that extends upward to the ground and an end injection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portion and has flexibility,
The terminal injection part,
When compressed air is sent to the inner membrane blowing line, the pressure of the air lifts the inner membrane in the form of a pillar and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from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rane, giving it a three-dimensional shap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 membrane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내막송풍라인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내막주입부와, 내막배풍라인으로 내막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내막배출부와, 외막송풍라인으로 외막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외막주입부와, 외막배출라인으로 외막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외막배출부와, 인출라인을 통하여 결로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수제어부와, 전체적인 유로의 방향 절환 및 개폐를 관리하는 유로관리부와, 내막부 및 외막부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ler is,
An inner film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inner film blowing line, an inner film discharge part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inner film through the inner film blowing line, an outer film injection par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outer film through the outer film blowing line, and an outer film. An outer film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air from the outer membrane through the discharge line, a discharge water control unit that discharges condensation water through the discharge line, a flow path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direction change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rall flow path, and the operation of the inner and outer membrane parts.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that includes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ond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주입공정에서 내막주입부가 작동하여 내막부가 부풀어 올라 입체적인 형상으로 융기되어 외막부가 내막부의 형상을 따라 융기된 이후, 외막주입부가 압축공기를 외막부로 전송시켜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ler is,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the inner membrane injection unit operates, causing the inner membrane to swell and rise into a three-dimensional shape, causing the outer membrane to rise along the shape of the inner membrane, and then the outer membrane injection unit transmits compressed air to the outer membrane to form the overall shape.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layer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결로수 배출공정에서 내막부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막배출부가 작동하여 외막부와 내막부 사이의 유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배출수제어부가 결로수를 집수부로 수집하도록 하는 이중막 구조의 바운싱 돔.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ler is,
In the condensation water discharge process, the outer membrane discharge unit operates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of the inner membrane unit to remove the fluid between the outer membrane unit and the inner membrane unit, and the discharge water control unit collects the condensation water into the water collection unit. A bouncing dome with a double membrane structure. .
KR1020210146794A 2021-10-29 2021-10-29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KR1026614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94A KR102661492B1 (en) 2021-10-29 2021-10-29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94A KR102661492B1 (en) 2021-10-29 2021-10-29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88A KR20230061988A (en) 2023-05-09
KR102661492B1 true KR102661492B1 (en) 2024-04-26

Family

ID=8640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794A KR102661492B1 (en) 2021-10-29 2021-10-29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49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99Y1 (en) * 1999-10-11 2000-04-15 이종훈 Amusement construction
JP2013172117A (en) * 2012-02-23 2013-09-02 Izumi-Cosmo Co Ltd Structure for fixing solar battery
KR101899081B1 (en) * 2018-01-05 2018-09-14 이경미 Air jumping dom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857A (en) * 1997-11-14 1999-05-25 Toyo Tire & Rubber Co Ltd Playing tool provided with domed air cha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699Y1 (en) * 1999-10-11 2000-04-15 이종훈 Amusement construction
JP2013172117A (en) * 2012-02-23 2013-09-02 Izumi-Cosmo Co Ltd Structure for fixing solar battery
KR101899081B1 (en) * 2018-01-05 2018-09-14 이경미 Air jumping dom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88A (en)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870A (en) Portable dike having air inflatable reinforcement
US3513491A (en) Athlete's landing pit with foam-block cushion units
US7462142B1 (en) Inflatable mat having internal bungee cords
US20040045227A1 (en) Building with foam cored ribs and method
US6551215B1 (en) Climbing structure
US20130086744A1 (en) Fall mat with topper pad
US6322454B1 (en) Inflatable recreational device
KR102661492B1 (en) Bouncing dome with double membrane structure
WO2009093038A1 (en) Inflatable flood barrier
US5027613A (en) Floating ice rink
US4452017A (en) Air inflated bubble roof
CN213609781U (en) Inflatable accessory for an amusement facility, and inflatable park
JP3817236B2 (en) Playground equipment
KR20090005431A (en) A air mat combined use air ball pool
KR200451272Y1 (en) Structure comprising grass capable moving installation
CN107715458A (en) A kind of inflatable skateboard surfing recreation facility
KR100579090B1 (en) Security play system used air dome
KR101044072B1 (en) Multipurpose playing apparatus
RU2255192C2 (en) Inflatable frame structure
KR200178699Y1 (en) Amusement construction
EP3610100A1 (en) Modular pool
CN210728648U (en) Inflatable trampoline bridge for water sports
CN210975758U (en) Artificial wave making system with double-side suspension cable type protection device
NL2021098B1 (en) Recreational jumping system, inflatable wall-shaped drop stitch member, support structure, trampoline frame, and set of parts
US2761181A (en) Gymnasium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