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430B1 -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 Google Patents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430B1
KR102661430B1 KR1020210184500A KR20210184500A KR102661430B1 KR 102661430 B1 KR102661430 B1 KR 102661430B1 KR 1020210184500 A KR1020210184500 A KR 1020210184500A KR 20210184500 A KR20210184500 A KR 20210184500A KR 102661430 B1 KR102661430 B1 KR 10266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box
expansion unit
folding
usability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5232A (en
Inventor
강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마
Priority to KR102021018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430B1/en
Publication of KR2023009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4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e.g. baskets or carriers made up of interconnected spaced bands, rod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to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 등의 여가활동이나 가정 혹은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폴딩박스의 확장사용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박스의 양측 손잡이공을 이용하여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확장유닛을 구비하되, 상기의 확장유닛은 일측에 상기 손잡이공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공을 통해 돌출되는 끼움부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키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의 확장유닛이 폴딩박스의 측부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폴딩박스의 측부에 휴대용 가스통을 위한 가스거치대를 형성하여 폴딩박스가 자체가 버너스탠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폴딩박스의 측부에 도구거치대를 형성하여 폴딩박스의 상판을 이용한 조리대로의 사용시 각종 주방도구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역시 확장유닛의 형태에 따라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 사이에 추가의 보조상판이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보조상판에 버너를 안치시켜 양측 폴딩박스의 상판 사이에 버너거치대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폴딩박스의 활용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폴딩박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보조테이블이나 확장테이블 또는 버너스탠드 및 키친테이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unit for a folding box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at home, or at industrial sites. More specifically, it is an expansion unit that can be combined and installed using handle holes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box. Provided, the expansion unit has a fitting part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on one side, and a separately provided fixing key is formed on the fitting part protruding through the handle hole, so that the expansion unit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folding box. As it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firmly assembled,
A gas holder for a portable gas cylind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so that the folding box itself can function as a burner stand, or a tool holde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so that the top of the folding box can be used as a kitchen table for various purposes. Kitchen utensils can be easily mounted, an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xpansion unit, an additional auxiliary top can be formed between spaced apart folding boxes, or a burner can be placed on the auxiliary top, so that a burner holder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tops of both folding boxes. By forming it, the usability of the folding box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folding box can be used as an existing auxiliary table, extension table, burner stand, kitchen table, etc.

Description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본 발명은 캠핑 등의 여가활동이나 가정 혹은 산업 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폴딩박스의 확장사용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딩박스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공을 이용하여 결합 설치되는 다양한 확장유닛을 통해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의 사이에 보조상판이 형성되게 하거나 버너거치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폴딩박스의 측부에 가스거치대 혹은 도구거치대 등을 결합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폴딩박스의 사용성 확장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device for a folding box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at home, or at industrial site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various expansion units that are combined and installed using handle holes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Through this, an auxiliary top plate or a burner holder can be formed between the folding box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f necessary, a folding box that allows a gas holder or tool holder to be formed by combining them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It is about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일반적으로 폴딩박스라 함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 접이식 상자를 일컫는 것으로, 바닥판의 가장자리 상측으로부터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 하단이 각기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이 수평 상태로 접혀져 보관 및 운반되거나,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을 바닥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In general, a folding box refers to a folding box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The front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bottom of both side plates are hing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ront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side plates on both sides can be folded horizontally for storage and transport, or the front plate, back plate, and both side plates can be erect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plate and deployed to form a box that can store various items. There is.

이와 같은 폴딩박스는 캠핑 등의 야외 여가활동을 하는 경우에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최소의 점유 공간을 갖도록 접어 보관 및 휴대하다가 필요시 빠르고 간편하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가정이나 다양한 상업 및 공업 분야에서 다양한 물품의 보관이나 운반의 목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Folding boxes like this are commonly used in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The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stored and carried by folding them to occupy a minimum space during normal use, and then deployed quickly and easily when needed, allowing them to be used at home or for various commercial purposes. and industrial fields ar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or transporting various goods.

특히, 상기와 같은 폴딩박스는 근자에 들어 공개특허 제10-2012-0050129호와 같이 장측판, 단측판, 밑판 및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되; 내용물로의 손쉬운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시건수단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시건수단은 상기 단측판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측판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측판의 측단 또는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잠금구가 설치되며, 상기 단측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잠금구의 선단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이 상기 장측판의 내면 또는 상기 밑판의 상면에 마련되도록 구성된 접이식 포장상자가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접혀진 상태에서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바 있다.In particular, the folding box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long side plate, a short side plate, a bottom plate, and an upper frame as in recent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0129; It is made to include a fastening means to prevent easy access to the contents, and the fastening means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hort side plate from rotat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hort side plate to prevent easy access to the contents. A locking hole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end or bottom edge of the side plate, and a fitting hole into which the tip of the locking hol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hort side plate can be inserte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ng side plat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foldable packaging box designed to do this has been developed and has been improve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volume in the folded state.

이어, 등록특허 제10-1831840호의 경우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밑판의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를 갖는 밑판 프레임, 제1측판 및 상기 제1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1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지지대 체결부재를 갖는 제1하부 외곽프레임부, 그리고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가 구비된 제1측면 외곽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 그리고 제2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2상부 외곽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지지대 체결부재를 갖는 제2 하부 외곽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이 구비된 제2측면 외곽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접이식 상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Next, in the case of Registered Patent No. 10-1831840, a bottom plate, a left supporter and a right supporter each standing upright at the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bottom plat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ide frame fastening parts at the upper edge,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plate A bottom plate frame having a front support and a rear support that are each upright at the corners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frame fastening portions at the upper corners, a first side plate, and a first upper outer frame provid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side plate. a first lower outer fram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fastening members that protrude downward and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fastening portion, and a first side outer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protrusions. a left side frame and a right side frame each, and a second side plate and a second upper outer frame portion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second side plate, respectively,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frame fasteners,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each having a second lower outer fram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fastening members and a second side outer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protrusion coupling holes for receiving and coupling the frame fastening protrusions. A foldable box has been developed and registered.

또한, 등록특허 제10-1996188호의 경우 하나 이상의 바닥 접이수단에 의해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전면에 연결되는 전면부; 상기 바닥부의 후면에 연결되는 후면부; 상기 바닥부의 좌측면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좌측 접이수단에 의해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옆면부; 및 상기 바닥부의 우측면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우측 접이수단에 의해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옆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옆면부 및 우측 옆면부에는 좌측 접이수단 및 우측 접이수단의 아래영역에 연질의 옆면 유연부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좌측 옆면부 및 우측 옆면부가 내측으로 접힐 때, 동시에 상기 바닥부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이식 상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996188, a bottom portion provided to be folded inward by one or more bottom folding means; a fro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portion; a rear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ottom portion; a left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provided to be folded inward by one or more left folding means; and a right side portion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portion and provided to be folded inward by one or more right folding means, wherein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include areas below the left folding means and the right folding means. A foldable box has been developed and registered in which soft side flexible portions are provided so that when the left side portion and the right side portion are folded inward, the bottom portion can be folded inward at the same time.

또한, 공개특허 제10-2020-0133542호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룰 때 양 측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4개의 프레임; 적어도 2개의 상기 프레임 외측면에 설치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의 단부와 중첩되는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 가능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서 이탈하면, 인접한 상기 프레임과 고정되지 않은 상기 프레임이 회동 가능한 접이식 상자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square-shaped bottom plate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33542; Four frames rotatably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floor plate, the two ends of which overlap each other when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te; At least two fixing part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to fix the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a fastening part into which the fixing part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an end of the frame that overlaps an end of the frame where the fixing part is installed, and , a foldable box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adjacent frame and the non-fixed frame can rotate when the fixing part slides and moves away from the fastening part.

이어, 등록특허 제10-2080325호의 경우와 같이 사각형 형상의 바닥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뒷벽, 우벽, 좌벽 및 앞벽을 포함하는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뒷벽, 상기 우벽, 상기 좌벽 및 상기 앞벽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도록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태의 접이식 상자를 접는 방법은, 상기 앞벽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이 오픈되는 앞벽 개방 단계; 상기 우벽과 상기 좌벽이 임의의 순서에 따라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와 평행하게 폴딩되는 우벽 폴딩 단계 및 좌벽 폴딩 단계; 상기 뒷벽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뒷벽 폴딩 단계; 및 외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상기 앞벽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폴딩되는 앞벽 폴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뒷벽 폴딩 단계와 상기 앞벽 폴딩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폴딩 가능한 접이식 상자의 작동 방법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Next, as in the case of Registered Patent No. 10-2080325, in the operating method of a folding box including a back wall, a right wall, a left wall, and a front wall rotatably installed at each corner of a square-shaped bottom plate, the back wall and the right wall , a method of folding a folding box in which the left wall and the front wall are fixed by a fixing part to be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te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herein, the front wall is rotated outward to open the internal space. open phase; A right wall folding step and a left wall folding step in which the right wall and the left wall are rotated inward in a random order and folded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A rear wall folding step in which the rear wall is rotated inward and folded into the interior space; and a front wall folding step in which the front wall, which has been rotated outward, is rotated inward and folded into the interior space, wherein the back wall folding step and the front wall folding step are capable of being folded in any order. and has been registered.

이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폴딩박스는 전개 조립된 상태의 박스 상부에 별도 구비의 상판을 안치시켜 상기 폴딩박스가 본래의 수납 목적 이외에도 상판에 의한 테이블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판에 의해 폴딩박스의 개방된 상부를 은폐시킬 수도 있도록 하며, 상판에 의해 폴딩박스의 상부에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Folding boxes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these have a separate top plate placed on top of the box in the deployed and assembled state so that the folding box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table using the top plate in addition to its original storage purpose, or the folding box can be used as a table using the top plate. The open top of the box can be concealed, and various items can be placed on top of the folding box using the top plate.

그러나, 기존의 폴딩박스는 본래의 사용 목적인 수납의 용도에 더하여 개방된 폴딩박스의 상단에 단순히 상판을 올려놓아 폴딩박스의 크기에 해당하는 테이블로만 사용되는 것에 그치고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storage, the existing folding box has a problem in that it is only used as a tabl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olding box by simply placing a top on the open folding box.

즉, 상기와 같은 폴딩박스는 캠핑시 물품의 운반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운반된 물품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폴딩박스는 사실상 필요성을 상실하게 되므로 주변에 방치되거나 접혀 보관되기 때문에 폴딩박스의 활용도가 지극히 제한적인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bove-mentioned folding box is mainly used to transport goods when camping. When the arrangement of the transported goods is completed, the folding box virtually loses its need and is left lying around or folded and stored, so the usability of the folding box is low. is extremely limited.

또한, 캠핑 등의 실외 여가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한 바와 같은 폴딩박스는 물론 테이블과 도마 또는 버너와 가스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별도의 테이블 및 조리대와 버너스탠드를 구입 및 휴대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들에 의해 고도의 비용이 지출되는 것은 물론 각기 수납공간을 크게 차지하므로 이동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며, 각각의 휴대품은 고유의 사용 목적이 실현되면 재사용시까지 그대로 방치되므로 다기능의 사용성을 전혀 갖지 못하므로 지극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outdo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folding boxes as described above are mainly used, as well as tables, cutting boards, burners, and gas, and accordingly, separate tables, counters, and burner stands must be purchased and carried. Not only does this cost a lot of money, but it also takes up a lot of storage space, making it very cumbersome to move, and each carry-on has no multi-functional usability as it is left untouched until reused once its unique purpose of use is realized. Therefore, it contains the problem of being extremely inefficient.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2-0050129 (2012.05.1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2-0050129 (published May 18, 2012)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31840 (2018.02.19.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1840 (registered on February 19, 2018) 대한민국등록특허 10-1996188 (2019.07.02. 등록)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996188 (registered on 2019.07.02.)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20-0133542 (2020.11.30.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20-0133542 (published on November 30, 2020)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80325 (2020.02.1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10-2080325 (registered on February 17, 2020)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폴딩박스의 양측 손잡이공을 이용하여 결합 설치될 수 있도록 한 확장유닛을 구비하되, 상기의 확장유닛은 일측에 상기 손잡이공으로 삽입되게 한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공을 통해 돌출되는 끼움부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키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의 확장유닛이 폴딩박스의 측부에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n expansion unit that can be coupled and installed using handle holes on both sides of a folding box, wherein the expansion unit forms a fitting portion on one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In addition, a separately provided fixing key is formed on the fitting part protruding through the handle hole so that the expansion unit can be firmly assembl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상기의 확장유닛의 형태를 달리하여 폴딩박스에 결합되는 가스거치대 혹은 각종의 도구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게 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폴딩박스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상판 또는 버너안치대로 사용되게 할 수 있는 것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확장유닛에 결합되는 연결대를 통해 상기의 확장유닛이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By varying the form of the above expansion unit, it can be used as a gas holder or various tool holders attached to a folding box, or as an auxiliary top or burner holder located between adjacent folding box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ability expansion unit for a folding box that has the feature of allowing the expansion unit to be spaced upward and downward through a connection bar coupled to the expansion unit, if necessar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딩박스의 측부에 형성된 손잡이공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확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의 확장유닛은 평판 형태로 된 유닛몸체와 고정키로 구성되되, 상기 유닛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폴딩박스의 손잡이공으로 삽입되어 폴딩박스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키는 하단에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되게 한 결속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딩박스의 측부에 유닛몸체와 고정키에 의해 장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unit mounted using a handle hole formed on the side of a folding box, wherein the expansion unit consists of a unit body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fixing key, A fitting par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nit body tha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of the folding box and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folding box, a vertically penetrating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fitting part, and the fixing key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at the bottom. The binding pin is formed to protrude and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by the unit body and a fixing key.

본 발명의 확장사용구는 형태에 따라, 폴딩박스의 측부에 휴대용 가스통을 위한 가스거치대를 형성하여 폴딩박스가 자체가 버너스탠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폴딩박스의 측부에 도구거치대를 형성하여 폴딩박스의 상판을 이용한 조리대로의 사용시 각종 주방도구를 쉽게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며, 역시 확장유닛의 형태에 따라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 사이에 추가의 보조상판이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보조상판에 버너를 안치시켜 양측 폴딩박스의 상판 사이에 버너거치대가 형성되게 하여, 상기 폴딩박스의 활용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폴딩박스를 이용하여 기존의 보조테이블이나 확장테이블 또는 버너스탠드 및 키친테이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Depending on the form, the expansion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as holder for a portable gas cylinder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so that the folding box itself can function as a burner stand, or forms a tool holder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to enable folding. When using the top of the box as a kitchen counter, various kitchen tools can be easily moun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xpansion unit, an additional auxiliary top can be formed between spaced apart folding boxes, or a burner can be placed on the auxiliary top. By forming a burner stand between the tops of both folding boxes, the usability of the folding box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folding box can be used as an existing auxiliary table, extension table, burner stand, kitchen table, etc.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이 장착된 폴딩박스의 전체 상부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이 장착된 폴딩박스의 전체 하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 및 폴딩박스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 및 폴딩박스의 전체 분리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장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장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장착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장착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장착 예시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다른 장착 예시도
도 16은 도 13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또 다른 장착 예시도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the entire top of a folding box equipped with a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entire lower part of a folding box equipped with a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nd fol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ully separated front view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nd fol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mounting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5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11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13
Figure 15 is another example of mounting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13.
Figure 16 is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Figure 13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ere is.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Next,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이 장착된 폴딩박스의 전체 상부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이 장착된 폴딩박스의 전체 하부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 및 폴딩박스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 및 폴딩박스의 전체 분리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ntire upper part of a folding box equipped with a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entire lower part of a folding box equipped with a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ully separated front view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nd the fold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성 확장유닛은 기존의 캠핑용 혹은 각종 수납용 폴딩박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폴딩박스(10)의 측부에 필수적으로 형성된 손잡이공(11)(11')을 이용하게 된다.As shown,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mounted on an existing folding box for camping or various storage purposes, and the handle hole 11 (11') is essentially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10. will be used.

이때, 상기의 확장유닛(100)은 평판 형태로 된 유닛몸체(110)와 고정키(12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닛몸체(110)의 측부에는 상기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으로 삽입되어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 끼움부(111)(1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11)(111')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112)(1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키(120)는 하단에 상기 체결공(112)(112')으로 삽입되게 한 결속핀(121)(1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xpansion unit 100 is composed of a unit body 11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fixing key 120, and the handle hole 11 of the folding box 1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unit body 110. ) (11')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ortion (111) (111') to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folding box (10), and the fitting portion (111) (111') is formed with a vertically penetrating fastening hole (112). ) (112') is formed, and the fixing key 120 has binding pins 121 (121') protruding at the bottom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112 (112').

따라서, 상기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으로 유닛몸체(110)의 끼움부(111)(111')를 삽입한 후, 손잡이공(11)(11')을 관통하여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11)(111') 내 체결공(112)(112')으로 상기 고정키(120)의 결속핀(121)(121')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유닛몸체(110)의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fter inserting the fitting part 111 (111') of the unit body 110 into the handle hole 11 (11') of the folding box 10, it penetrates the handle hole 11 (11'). By inserting the binding pins 121 and 121' of the fixing key 120 into the fastening holes 112 and 112' of the fitting parts 111 and 111' protruding inside the folding box 10. The unit body 110 is coupled and fixed.

이때, 상기 고정키(120)는 유닛몸체(110)와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키(120)의 일면은 상기 폴딩박스(10)의 내면에 최대한 밀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 고정키(120)의 횡방향 폭에 비하여 결속핀(121)(121')의 횡방향 폭이 좁게 형성함에 따라 유닛몸체(110)의 체결공(112)(112')으로 결속핀(121)(121')을 삽입하면 상기 결속핀(121)(121')이 체결공(112)(112')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키(120)의 하단이 유닛몸체(110)와 맞닿게 되므로 상기 고정키(120)는 유닛몸체(110) 상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it would be desirable to configure the fixed key 120 so that one side of the fixed key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ing box 10 as much as possible while it is fastened to the unit body 110, and the fixed key ( A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binding pins 121 (121') is narrower than the horizontal width of the binding pins (121) (121'), the binding pins (121) (121')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112) (112') of the unit body (110). ) is inserted, the bottom of the fixing key 1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nit body 110 while the binding pins 121 and 121' are fu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112 and 112'. (120) will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coupled state on the unit body 110.

이에, 본 발명의 확장유닛(100)은 유닛몸체(110)를 폴딩박스(10)의 일측 혹은 양측에 고정키(120)를 사용하여 빠르고 쉽게 장착 가능한 것이고, 상기 유닛몸체(110)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다양하게 가변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또는 사용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확장유닛(100)에 의해 폴딩박스(10)의 사용성을 가일층 확장 및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Accordingly,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moun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olding box 10 using the fixing key 120, and the shape or shape of the unit body 110 By designing the size, etc. to be variable, it can be utilized or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usability of the folding box 10 will be able to be further expanded and improved by this expansion unit 100.

특히, 전기한 유닛몸체(110)와 끼움부(111)(111')의 상호 경계부에 해당하는 평면상 외측 방향의 단턱에는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 측부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2)(12')가 삽입되게 한 계지홈(113)(113')을 더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공(11)(11')에 대한 끼움부(111)(111')의 결합 및 상기 보강리브(12)(12')에 대한 계지홈(113)(113')의 상호 결합에 의해 확장유닛(100)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particular, a step in the outward direction on the plan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boundary between the unit body 110 and the fitting portion 111 (11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handle hole (11) (11') of the folding box (10). As the reinforcing ribs (12) (12') are further formed by forming locking grooves (113) (113') into which the reinforcing ribs (12) (12') are inserted,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for the handle holes (11) (11') are further formed. ') and the mutual coupling of the locking grooves 113 and 113'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ribs 12 and 12', thereby increasing the binding force of the expansion unit 100.

즉, 상기 유닛몸체(110)의 끼움부(111)(111')는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과 대응하는 두께와 폭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부(111)(111')를 손잡이공(11)(11')에 삽입하면 상기 유닛몸체(110)는 상호 결합에 의해 흔들림이 최소화될 것이나, 상호 결합 및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유닛몸체(110)의 끼움부(111)(111') 양측에 계지홈(113)(113')을 삽입 방향으로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끼움부(111)(111')를 손잡이공(11)(11')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공(11)(11')의 양측에 형성된 폴딩박스(10)의 보강리브(12)(12')가 상기 계지홈(113)(113')으로 끼워지면서 상호 더욱 견고한 조립력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므로 상기 폴딩박스(10)에 대한 확장유닛(100)의 흔들림이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tting portions 111 and 111' of the unit body 110 are designed to have a thickness and width corresponding to the handle holes 11 and 11' of the folding box 10, and the fitting portion ( If 111) (111')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11) (11'), the unit body 110 will minimize shaking due to mutual coupling, but in order to increase mutual coupling and fixing force, the unit body 110 By further forming locking grooves 113 (113')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in the insertion direction,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are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s (11) (11'). When inserted, the reinforcing ribs (12) (12') of the folding box (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holes (11) (11')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13) (113'), resulting in a more robust assembly. Since the force can be obtain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king or gap of the expansion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folding box 10.

이와 같은 확장유닛(100)은 전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을 통해 상기 폴딩박스(10)의 사용성 및 편리성과 가능성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유닛몸체(110)의 끼움부(111)를 도 5의 도시와 같이 유닛몸체(110)의 일측에만 형성하고, 상기 유닛몸체(110)의 중앙에는 안치홈(114) 및 필요한 경우 관통공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기 안치홈(114) 상에 안치되는 가스용기(20)에 의해 상기의 유닛몸체(110)가 폴딩박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스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n expansion unit 100 can further expand the usability, convenience, and possibilities of the folding box 10 through various shapes an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part of the unit body 110 as described above ( 111)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unit body 110 as shown in FIG. 5, and a seating groove 114 and, if necessary, a through hole are additional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nit body 110, so that the seating groove 114 ) The unit body 110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 gas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box 10 by the gas container 20 placed on it.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폴딩박스(10)의 일측 손잡이공(11)(11')으로 상기 유닛몸체(110)의 끼움부(111)를 삽입한 후,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11)에 형성된 체결공(112)으로 전기한 고정키(120)를 하향 삽입하여 상호 조립하면 상기의 유닛몸체(110)가 폴딩박스(10)에 빠르고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after inserting the fitting portion 111 of the unit body 110 into the handle hole 11 (11') on one side of the folding box 10,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olding box 10. When mutually assembled by inserting the fixing key 120 downward into the fastening hole 112 formed in the protruding fitting portion 111, the unit body 110 can be quickly, easily, and firmly fixed to the folding box 10.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일측 편향의 끼움부(111)를 갖는 유닛몸체(110)는 폴딩박스(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유닛몸체(110)에 형성된 안치홈(114)으로 이소부탄 가스와 같은 가스용기(20)를 올려놓아 가스를 이용하는 버너를 폴딩박스(10)의 상판에 올려놓고 이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가스용기(20)는 유닛몸체(110)의 안치홈(114)에 안정적으로 계지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안전성을 겸하게 될 것이다.In this way, the unit body 110 having a one-side biased fitting portion 11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box 10 and holds a gas container such as isobutane gas through the seating groove 114 formed in the unit body 110. 20), the burner using gas can be placed on the top of the folding box 10 and used easily, and the gas container 20 is stably fastened to the mounting groove 114 of the unit body 110. Since it will maintain its current state, it will provide not only convenience in use but also safety.

이어, 본 발명의 확장유닛(10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유닛몸체(1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의 끼움부(111)(111')가 유닛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되게 구성하고, 이들 양측의 끼움부(111)(111')에는 각기 고정키(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양측에 끼움부(111)(111')가 형성된 유닛몸체(11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양측 끼움부(111)(111')가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으로 각기 삽입 체결되도록 한 후,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11)(111') 내 체결공(112)(112')으로 상기 고정키(120)의 결속핀(121)(121')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유닛몸체(1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Next,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unit body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and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are connected to the unit body 110. ) is configured to b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fixing keys 120 can be coupled to the fitting parts 111 and 111' on both sides, respectively, and the fitting parts 111 and 1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as described above. The formed unit body 110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handle holes 11 and 11' of the folding box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 by inserting the binding pins 121 and 121' of the fixing key 120 into the fastening holes 112 and 112' in the fitting portions 111 and 111' protruding inside the folding box 10. The unit body 110 can be fixed.

이와 같이 조립된 사각 평편 형태로 된 유닛몸체(10)는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10)(10')를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폴딩박스(10)(10')의 사이에 상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의 유닛몸체(10)에 의해 상기 폴딩박스(10)(10')의 상판이 연장되는 형태의 기다란 테이블을 완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폴딩박스(10)(1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이들 폴딩박스(10)(10') 사이에 상판이 형성된 테이블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와 같은 상판 형태의 유닛몸체(10)를 이용하여 조리대 혹은 도마 등 다양한 형태로의 사용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The unit body 10 in the form of a square flat assembled in this way connects the spaced apart folding boxes 10 and 10' and serves to form a top plate between the folding boxes 10 and 10'. By doing this, it may be possible to complete a long table in the form of the top of the folding box (10) (10') being extended by the unit body (10), and the folding box (10) (10') can be opened. In this state, it can be used as a table with a top plate formed between the folding boxes 10 and 10', and the unit body 10 in the form of a top plate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kitchen table or cutting board.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확장유닛(100)에 있어 전기한 유닛몸체(110)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사각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의 끼움부(111)(111')가 유닛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되게 하고, 상기 유닛몸체(110)의 중앙에는 버너안치공(115)을 구성하여, 양측 끼움부(111)(111')가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으로 각기 삽입되게 한 후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11)(111')의 체결공(112)(112')에 고정키(120)의 결속핀(121)(121')을 삽입하여 상호 체결함에 따라 상기 유닛몸체(110)를 버너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ody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as shown in FIG. 9, and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are attached to the unit body 110. It is formed on both sides, and a burner hole 11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nit body 110, and the handle holes 11 of the folding box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fter each insertion into (11'), the binding pin 121 of the fixing key 12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2 (112') of the fitting portion 111 (111') protruding inside the folding box 10. )(121')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nit body 110 can be used as a burner holder.

이에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유닛몸체(100)의 버너안치공(115)에 캠핑용 소형의 가스버너(30)를 안치시켜 상기의 유닛몸체(110)가 서로 이격된 폴딩박스(10)(10') 사이에 형성된 버너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고, 양측에 위치하는 폴딩박스(10)(10')에 수납된 다양한 도구 및 용기 혹은 식재료 등을 빠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가스버너(30)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음식 등을 양측 폴딩박스(10)(10') 상의 상판에 올려놓고 빠르고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a small gas burner 30 for camping is placed in the burner hole 115 of the unit body 100, and the unit bodie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olding box 10 ( It can be used as a burner stand formed between 10'), and various tools, containers, or food ingredients stored in the folding box 10 (10') located on both sides can be used quickly and easily, as well as the gas burner ( Food prepared using 30) can be placed on the top of the folding box 10 (10') on both sides and consumed quick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의 확장유닛(1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유닛몸체(1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의 끼움부(111)(111')는 유닛몸체(110)의 일측에만 형성되고, 상기 유닛몸체(110)에는 수직의 관통슬롯(115)을 길게 형성하여, 상기 관통슬롯(116)에 다양한 주방도구를 삽입 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unit body 1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and the fitting portions 111 and 111' are connected to the unit. It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body 110, and a long vertical through slot 115 is formed in the unit body 110, so that various kitchen tools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through slot 116. .

즉, 전기한 유닛몸체(110)의 일측 끼움부(111)(111')를 폴딩박스(10)에 형성된 일측의 손잡이공(11)(11')으로 삽입하여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끼움부(111)(111')의 체결공(112)(112')으로 고정키(120)의 결속핀(121)(121')을 삽입시켜 폴딩박스(10)에 대한 확장유닛(100)의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이 폴딩박스(10)의 일측에 조립된 확장유닛(100)의 관통슬롯(115)을 이용하여 국자 혹은 가위나 집게 등의 다양한 도구를 끼워 거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상기의 유닛몸체(100)는 도 12의 도시와 같이 폴딩박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도구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어 이들 각종 도구를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sert the one side fitting part 111 (111') of the above-described unit body 110 into the handle hole 11 (11') on one side formed in the folding box 10 to the inside of the folding box 10. By inserting the binding pins 121 and 121' of the fixing key 120 into the fastening holes 112 and 112' of the protruding fitting parts 111 and 111', the expansion unit for the folding box 10 ( 100) can be mounted, and various tools such as a ladle, scissors, or tongs can be inserted and mounted using the through slot 115 of the expansion unit 100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box 10. As a result, the unit body 100 can be used as a tool holder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box 10, as shown in FIG. 12, so that various tools can be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확장유닛(100)의 기능성 및 사용 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해 도 13의 도시와 같이 확장유닛(100)의 측부에 결합되는 별도 구비의 연결대(130)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연결대(130)는 전기한 확장유닛(100)과 결합되는 동시에 별도 구비의 부가유닛(140)이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of use of the expansion unit 100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ly provided connecting stand 130 is provided that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expansion unit 100 as shown in FIG. 13.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stand 13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expansion unit 100 described above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ly provided additional unit 140 is coupled together.

이때, 전기한 바와 같은 유닛몸체(110)의 측부에는 끼움홈(117)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130)의 상부 일측에는 맞물림홈(131)을 형성하여 도 14 및 도 15의 도시와 같이 이들 끼움홈(117)과 맞물림홈(131)의 결합에 의해 유닛몸체(110)와 연결대(13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At this time, a fitting groove 1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nit body 110 as described above, and an engaging groove 131 is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stand 130, and these are fitted as shown in FIGS. 14 and 15. It is configured to fix the unit body 110 and the connecting rod 130 by combining the groove 117 and the engaging groove 131.

또한, 상기 연결대(130)에 의해 확장유닛(100)과 부가유닛(140)이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을 이용하여 폴딩박스(10)의 측부에 상,하 2단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전기한 연결대(130)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하부 양측으로 걸림턱(132)(13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130)의 걸림턱(132)(132') 상측에는 상기 연결대(130)가 상협하광의 형태로 경사지게 하는 경사부(133)를 형성하며, 상기 부가유닛(140)에는 상기 연결대(130)의 상측이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진입구(141)를 형성하며, 상기 진입구(141)의 내부 양측에는 연결대(130)의 상측으로부터 부가유닛(14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연결대(130)의 양측단이 삽입 계지되게 한 체결홈(142)(14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additional unit 140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olding box 10 using the handle holes 11 and 11' of the folding box 10 by the connection bar 130.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two stages. As shown in FIG. 16,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rod 130 has locking protrusions 132 and 13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and the locking protrusion 132 of the connecting rod 130 ) (132'), on the upper side, an inclined portion 133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rod 130 is inclined in the form of an upper and lower beam, and the additional unit 140 has an entrance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30 is inserted inward. It forms (141), and on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entry hole 141, there are fastening grooves 142 for inserting and lock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130 during the process of lowering the additional unit 140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rod 130. It is composed by forming (142').

따라서, 상기 연결대(130)에 결합된 부가유닛(140)이 확장유닛(100) 하단의 다양한 보조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가스거치대로 활용되는 확장유닛(100)의 하단에 상기 연결대(130)를 이용하여 또 다른 가스거치대의 역할을 하는 부가유닛(140)을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보조상판 혹은 테이블의 용도로 활용되는 확장유닛(100)의 하단에 보조트레이 혹은 가스거치대로 활용되는 부가유닛(140)을 장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버너거치대 또는 도구거치대로 사용되는 확장유닛(100)의 하단에 가스거치대 혹은 보조트레이의 역할을 하도록 부가유닛(140)을 연결대(130)를 통해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additional unit 140 coupled to the connecting stand 130 can be used as a variety of auxiliary holders at the bottom of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connecting stand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expansion unit 100, which is used as an existing gas holder. (130) can be used to mount an additional unit (140) that acts as another gas holder, or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ray or gas holder at the bottom of the expansion unit (100), which is used as an auxiliary top or table. The additional unit 140 can be installed and used, and the additional unit 140 can be assembl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130 to serve as a gas holder or auxiliary tray at the bottom of the expansion unit 100, which is used as a burner holder or tool holder. It is possible.

이처럼 본 발명의 확장유닛(100)은 단순히 수납함 또는 간이 테이블로만 활용되던 폴딩박스(10)의 활용도를 크게 높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폴딩박스(10)를 이용하여 확장형 테이블 또는 가스거치대, 버너거치대, 도구거치대 및 상,하 2단의 거치대가 단일 또는 복합 형태로 장착된 폴딩박스(10)로 활용하여 사용 편리성과 함께 실제 야외 및 실외 여가 생활에서의 높은 만족도와 유용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efficiency by greatl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folding box 10, which was simply used as a storage box or simple table, and at the same time uses the folding box 10 to provide an expandable table, gas holder, burner holder, By using the folding box (10) equipped with a tool holder and two upper and lower holders in a single or combined form, it is possible to realize high satisfaction and usefulness in actual outdoor and outdoor leisure life along with convenience of use.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10' : 폴딩박스 11,11' : 손잡이공
20 : 가스용기
30 : 가스버너
100 : 확장유닛
110 : 유닛몸체 111,111' : 끼움부
112,112' : 체결공 113,113' : 계지홈
114 : 안치홈 115 : 버너안치공
116 : 관통슬롯 117 : 끼움홈
120 : 고정키 121,121' : 결속핀
130 : 연결대 131 : 맞물림홈
132,132' : 걸림턱 133 : 경사부
140 : 부가유닛 141 : 진입구
142,142' : 체결홈
10,10': Folding box 11,11': Handle hole
20: gas container
30: Gas burner
100: expansion unit
110: Unit body 111,111': Fitting part
112,112': Fastening hole 113,113': Locking groove
114: placement groove 115: burner placement hole
116: Through slot 117: Fitting groove
120: Fixed key 121,121': Binding pin
130: connecting rod 131: engaging groove
132,132': Stopper 133: Inclined part
140: Additional unit 141: Entrance
142,142': Fastening groove

Claims (9)

폴딩박스(10)의 측부에 형성된 손잡이공(11)(11')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확장유닛(100)을 구비하고, 상기의 확장유닛(100)은 평판 형태로 된 유닛몸체(110)와 고정키(120)로 구성되되, 상기 유닛몸체(110)의 측부에는 상기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으로 삽입되어 폴딩박스(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 끼움부(111)(1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111)(111')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112)(11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키(120)는 하단에 상기 체결공(112)(112')으로 삽입되게 한 결속핀(121)(12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폴딩박스(10)의 측부에 유닛몸체(110)와 고정키(120)에 의해 장착되도록 구성한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110)와 끼움부(111)(111')의 상호 경계부에는 폴딩박스(10)의 손잡이공(11)(11') 측부에 형성되는 보강리브(12)(12')가 삽입되게 한 계지홈(113)(113')을 더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공(11)(11')에 대한 끼움부(111)(111')의 결합 및 상기 보강리브(12)(12')에 대한 계지홈(113)(113')의 상호 결합에 의해 확장유닛(100)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It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unit 100 that is mounted using a handle hole 11 (11') form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10, and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unit body 110 in the form of a plate and It consists of a fixing key 120, and on the side of the unit body 110, a fit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hole 11 (11') of the folding box 10 and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folding box 10. (111) (111') is formed, and vertically penetrating fastening holes (112) (112') are formed in the fitting portions (111) (111'), and the fixing key 1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astening hole. Binding pins 121 and 121', which are inserted into (112) (112'), are formed to protrude and ar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olding box (10) by the unit body 110 and the fixing key 120. In the usability expansion unit for the folding box,
Reinforcement ribs 12 and 12' formed on the sides of the handle holes 11 and 11' of the folding box 10 are inserted into the mutual boundary between the unit body 110 and the fitting parts 111 and 111'. By further forming a locking groove (113) (113'), the coupling of the fitting portion (111) (111') to the handle hole (11) (11') and the reinforcing rib (12) (12') A usability expansion unit for a folding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binding force of the expansion unit 100 is increased by mutual coupling of the locking grooves 113 and 1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84500A 2021-12-22 2021-12-22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KR102661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00A KR102661430B1 (en) 2021-12-22 2021-12-22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500A KR102661430B1 (en) 2021-12-22 2021-12-22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232A KR20230095232A (en) 2023-06-29
KR102661430B1 true KR102661430B1 (en) 2024-04-29

Family

ID=8694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500A KR102661430B1 (en) 2021-12-22 2021-12-22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430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0129A (en)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에프엔씨 Foldable enveloping box having rocking means
WO2017086503A1 (en) 2015-11-17 2017-05-26 인팩글로벌(주) Folding box
KR102018129B1 (en) * 2017-07-26 2019-10-14 고영호 Plate assembling device of desk and chair and desk and chair using plate assembling device
KR101996188B1 (en) 2018-11-22 2019-07-08 송재호 Folding box
KR20200133542A (en) 2019-05-20 2020-11-30 (주)케이엠피 Box of folding type
KR102080325B1 (en) 2019-07-26 2020-02-21 (주)케이엠피 Processing method of folding type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232A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2098A (en) Preassembled foldable printer stand
US20110115350A1 (en) Folding tv cabinet
US6039419A (en) Foldable ready-to-use entertainment stand
US10065304B2 (en) Case
US4974526A (en) Portable self-storing folding table
US8033405B2 (en) Closet organizer
US3955864A (en) Molded foldable cabinet
US20070210083A1 (en) Foldable basket
KR101996504B1 (en) Multipurpose storage box
US20090145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4400043A (en) Collapsible storage cabinet
US3543890A (en) Camper kitchen
US3923356A (en) Portable work or display table
KR102661430B1 (en) Usability extension unit for folding box
US2411620A (en) Collapsible bar or the like
US20120007484A1 (en) Folding TV table
US3565242A (en) Garment-shipping carton
KR101358789B1 (en) Folding type carry box
US6877605B2 (en) Side mount device for multiple foldable furniture packaging and displaying
KR101541468B1 (en) The returnable box Pallet
KR101572778B1 (en) A folding box
KR102268567B1 (en) Scalable pallet
KR102377648B1 (en) Folding box for storage with individual expansion structures on both sides
WO2007110111A1 (en) Foldable cabinet
CN104872991A (en) Folding table with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