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71B1 -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71B1
KR102661371B1 KR1020230116837A KR20230116837A KR102661371B1 KR 102661371 B1 KR102661371 B1 KR 102661371B1 KR 1020230116837 A KR1020230116837 A KR 1020230116837A KR 20230116837 A KR20230116837 A KR 20230116837A KR 102661371 B1 KR102661371 B1 KR 10266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l
user
eating
eating disorde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8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성지
노혜강
정화영
송성욱
Original Assignee
웰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트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ur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은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생성하는 단계와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methods and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devices for performing such methods. The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method may include the step of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generating an eating diary based on a user input, and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based on the eating diary.

Description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장치{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Digital treatment method for eating disorder and digital treatment device for eating disorder performing the method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본 발명은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섭식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methods and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devices for performing such method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method for treating a user's eating disorder using an application on a user device and an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device that performs the method.

섭식 장애는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음식 섭취에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섭식 장애는 체중에 대한 집착이 특징이며 신체적, 정신적 건강 훼손이 나타날 수 있다.An eating disorder is a disease that causes problems with food intake due to psychological problems. Eating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an obsession with weight and can lead to damage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섭식 장애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Eating disorders can be caused by a variety of causes.

생물학적 원인은 유전적,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식욕과 포만감에 관여하는 물질의 변화, 에너지 대사 과정의 변화 등으로 인한 것이다.Biological causes include genetics, changes in neurotransmitters, changes in substances involved in appetite and satiety, and changes in energy metabolism processes.

심리적 원인은 날씬함을 강조하는 사회적 압력, 여성의 사회적 역할로 인한 갈등, 의학 기술의 발달이나 개인적인 노력으로 얼마든지 몸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대중 매체에 의해 주입된 정보 등으로 인한 것이다.Psychological causes include social pressure that emphasizes thinness, conflict due to women's social roles,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ss media that one can change one's body through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or personal efforts.

감정적 원인은 낮은 자존감과 자신에 대한 불확실성.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는 방법의 부재 등으로 인한 것이다.Emotional causes include low self-esteem and uncertainty about oneself. This is due to the lack of ways to deal with negative emotions.

섭식 장애는 아래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Eating disorder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신경성 식욕 부진증은 살을 빼려는 지속적인 행동, 체중 감소, 음식과 체중과 연관된 부적절한 집착과 음식을 다루는 기이한 행동을 보인다.Anorexia nervosa is characterized by persistent attempts to lose weight, weight loss, inappropriate preoccupation with food and weight, and bizarre behavior in handling food.

신경성 대식증은 재발성 폭식이 나타나며 평소보다 빠르게 섭취하고 배고픔이 없음에도 과도한 양을 먹는 경우. 섭식 후에 본인에 대한 혐오감, 모멸감을 느끼는 것이다. Bulimia nervosa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binge eating, eating faster than usual, and eating excessive amounts even when there is no feeling of hunger. After eating, you feel disgust and contempt for yourself.

신경성 폭식증은 반복되는 폭식을 한 후에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구토를 유발하거나, 이뇨제 또는 하제를 사용, 지나친 운동과 같은 보상적 행동을 하는 정신장애이다.Bulimia nervosa is a mental disorder in which people engage in compensatory behaviors such as inducing vomiting, using diuretics or laxatives, or exercising excessively to prevent weight gain after repeated binge eating.

섭식 장애 유형들은 고정적이지 않으며, 실제로 상당수의 섭식 장애 환자가 거식증과 폭식증을 같이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간 흐름에 따라 초기에는 거식증이었던 환자가 폭식증으로 진단명이 바뀌는 경우도 30% 로 추산된다. 이처럼 섭식 장애 유형은 쉽게 전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질병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섭식 장애 행동을 치료하는 것이 아닌 이러한 섭식 장애를 촉발하는 근본적이니 원인에 접근이 가장 중요하다.Eating disorder types are not fixed, and in fact, many eating disorder patients often have both anorexia and bulimia. Additionally, it is estimated that 30% of patients who were initially anorexic have their diagnosis changed to bulimia over time. In this way, eating disorder types can be easily converted, and considering these disease characteristics, it is most important to approach the fundamental causes that trigger these eating disorders rather than treating specific eating disorder behaviors.

성인 섭식 장애는 신체적 정신적 공존 질환이 많아 고강도의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특히, 신경성 거식증 환자는 치료 과정에서 다른 섭식 장애로 변형될 가능성도 있고, 치료 개시단계에서 체중의 정상화, 동반 질환 관리도 병행이 필요하기 때문에 입원 치료 형태로 많이 치료한다.Adult eating disorders have many physical and mental co-morbidities, so they often require intensive medical services. In particular,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re often treated in the form of inpatient treatment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may transform into another eating disorder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d normalization of weight and management of concomitant diseases are also necessary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현재까지 섭식 장애를 다루는 처방 어플리케이션은 현존하고 있지 않고, 평상 생활 중에도 섭식 장애 관리를 위한 처방 디지털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9595호가 있다.
To date, there are no prescription applications that address eating disorders,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escription digital treatments to manage eating disorders in everyday life.
Prior art includes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0959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 상의 앱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작성하고,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통해 사용자의 섭식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igital treatment for writing a meal diary based on an app on the user device and treating the user's eating disorder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 상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불필요한 입력을 최소화한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adaptively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meal diary data, and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eating disorders that minimizes unnecessary input from the user based on data acquired on the user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digital therapeutic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 방법은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상기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a meal diary by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based on a user input, and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perform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based on the meal diary. It may include providing training.

한편, 상기 식사 일기는 식사 날짜, 식사 종류, 식사 시간, 같이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식사 메뉴 및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al dia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meal date, meal type, meal tim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al menu, and emotions after the meal.

또한, 상기 식사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황별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he type of meal may display context-specific text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the me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를 위한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for digital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is implemented to generate a meal diary based on user input and provid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based on the meal diary. You can.

한편, 상기 식사 일기는 식사 날짜, 식사 종류, 식사 시간, 같이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식사 메뉴 및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al dia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meal date, meal type, meal tim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al menu, and emotions after the meal.

또한, 상기 식사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황별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he type of meal may display context-specific text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the meal.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장치 상의 앱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작성하고,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통해 사용자의 섭식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therapeutic agent can be provided for writing a meal diary based on an app on the user's device and treating the user's eating disorder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적응적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이 제공되고, 사용자 장치 상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불필요한 입력을 최소화한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are adaptively provid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meal diary data, and eating disorder treatment is provided by minimizing the user's unnecessary input based on data acquired on the user device. Digital therapeutics may be provided 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치료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사 일기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사 일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치료 장치에서 사용자의 개선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meal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a meal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discloses a method for performing eating disorder training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mprovement in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changes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to encompass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치료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섭식 장애에 대한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기 위한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개시된다.1 discloses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for providing a digital treatment for a user's eating disorder.

도 1을 참조하면,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식사 일기부(100), 인지 행동 치료부(110),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meal diary 100, a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unit 110, an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120, and a processor 130.

식사 일기부(100)는 사용자의 식사 일기 작성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식사 일기는 특정 날짜에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침, 점심, 저녁, 간식 등과 같은 시간에 따라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가 식사 일기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식사 시간, 같이 먹은 사람, 식사 장소, 메뉴, 메뉴 사진 등에 대한 정보가 식사 일기에 포함될 수 있다.The meal diary 100 may be implemented to allow the user to write a meal diary. The meal diary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on a specific day. Information about food consumed at different times, such as breakfast, lunch, dinner, snacks, etc., can be included in the meal diary. Information about meal times entered by the user,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nu, menu photos, etc. may be included in the meal diary.

또한, 식사 일기부(100)는 식사시 사용자의 감정에 대한 식사시 감정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일기부(100)는 식사 전에 얼마나 배가 고팠는지, 식사 직후엔 배가 얼마나 불렀는지, 식사를 끝낼 때의 기분은 어땠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al diary 100 may additionally receive emotion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otions while eating. For example, the meal diary 10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how hungry you were before the meal, how full you were right after the meal, and how you felt at the end of the meal.

또한, 식사 일기부(100)는 식사와 관련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완료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체크를 수행하여 목표 완료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eal diary 100 can set a meal-related goal, check whether the goal has been completed, and record data on whether the goal has been completed.

인지 행동 치료부(110)는 사용자의 생각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각을 변화시키기 위한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인지 행동 치료부(110)는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감정을 느끼고 생각과 행동을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인지 행동 치료부(110)는 식사 일기부 및/또는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change the user's though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user's thoughts on emotions and behavior.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feelings and provide the user with specific reasons for the user's feelings so that the user can feel his or her feelings and change his or her thoughts and actions.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110 may perfor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otions through the meal diary and/or the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120.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120)는 사용자에게 섭식 장애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인지 행동 치료와 병행하여 사용자의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The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eating disorder and provide information for treating the user's eating disorder in parallel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프로세서(130)는 식사 일기부(100), 인지 행동 치료부(110),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be implemented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meal diary 100,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110, and the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12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사 일기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 meal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식사 일기부에서 식사 일기를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In Figure 2, a method of creating a meal diary in a meal diary is disclosed.

도 2를 참조하면, 식사 일기부는 식사 날짜, 식사 종류(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 식사 시간, 같이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식사 메뉴,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식사 일기를 작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meal diary receives information about meal date, meal type (breakfast, lunch, dinner, snack), meal tim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al menu, and emotions after meal. You can keep a meal diary.

식사 일기부에 우선 식사 날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고, 이후, 식사 종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First, information about the meal date may be entered into the meal diary, and then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meal may be entered.

이후, 식사 종류에 따른 식사 시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시간에 대한 정보는 식사 종류에 따라서 처음 설정되는 시간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 식사가 선택된 경우, 아침 식사에 맞는 시간(예를 들어, 오전 7시)가 초기 설정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저녁 식사가 선택된 경우, 저녁 식사에 맞는 시간(예를 들어, 오후 7시)가 초기 설정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간식의 경우, 사용자가 식사 종류에 대한 입력을 시도한 시간에 맞추어서 초기 설정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Afterwards, information about meal times according to meal types may be entered. The time at which information about meal time is first se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meal. For example, if breakfast is selected, the time appropriate for breakfast (e.g., 7 a.m.) may be set as the initial set time, and if dinner is selected, the time appropriate for dinner (e.g., 7 PM) can be set as the initial setting time. Additionally, in the case of snacks, the initial setting tim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attempts to input the type of meal.

식사 시간은 알림 설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식사를 할 것을 알리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식사 일기를 통해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 식사를 하는 시간에 대한 알람을 설정하여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할 수 있다.Meal times can also be used to remind users to eat through notification settings. Through the meal diary, users can set alarms for the times to eat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and eat at set tim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 식사별로 별도의 코멘트가 설정되어 사용자의 섭식 장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사용자의 식사 상태를 고려하여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 식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코멘트(예를 들어, 용기만한 재능은 없지 네가 자랑스러워, 폭풍같은 시간이었어. 그치만 다시 계속해보자, 노력하고 있는 걸 알아. 다음엔 더 잘 해보자 등)과 같은 상황별 사용자 동기 부여를 위한 코멘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 comments can be set for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to help with the user's eating disorder. Taking the user's eating status into account, the user interface allows users to enter information about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with comments tailored to the user's situation (e.g., There's no talent like courage, I'm proud of you, Stormy, etc.). It's time, but let's continue again, I know I'm trying, let's do better next time, etc.) You can display comments to motivate the user based on the situation.

식사 일기 상에 식사한 인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자, 가족, 친구, 직장 동료, 연인, 그 외 등과 같이 사용자와 같이 식사를 한 인원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people who ate may be entered in the meal diary.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with the user, such as alone, family, friends, coworkers, lovers, etc., may be entered.

식사 일기 상에 식사 장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 학교/직장, 음식점, 그 외와 같이 사용자가 식사를 한 장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식탁에서 식사를 했는지, 식탁 이외의 장소에서 식사를 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추가적으로 식사 일기 상에 입력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meal locations may be entered in the meal diary.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place where the user ate, such as home, school/work, restaurant, etc., may be entered. Additionally, information on whether the meal was eaten at the table or somewhere other than the table can be additionally entered into the meal diary.

또한, 사용자가 식사를 하지 않은 경우, 식사 일기 상에 식사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user does not eat a meal, the user can check that the user did not eat a meal in the meal diary.

또한, 식사 일기 상에 식사 메뉴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될 수 있다. 식사 메뉴에 대한 정보는 메뉴에 대한 텍스트 및 메뉴에 대한 사진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meal menus may be uploaded to the meal diary. Information about the meal menu can be entered through text about the menu and photos of the menu.

또한, 식사 일기 상에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는 식사 직전에 배가 고팠는지 여부, 식사 이후에 배가 부른지 여부, 식사 이후 감정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직전에 얼마나 배가 고픈지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배고픔의 정도가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이후에 배부름의 정도 슬라이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이후 감정의 정도도 슬라이드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식사 이후의 감정의 정도는 식사일기의 식사 종류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반영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a meal may be entered into the meal diary. Information about feelings after a meal can include information about whether you were hungry right before the meal, whether you were full after the meal, and your feelings after the meal. For example, just before a meal, the degree of hunger can be entered in a slide-by-slide manner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degree of fullness after a meal can be entered in a slide format. The level of emotion after a meal can also be entered in a slide format. The level of emotion after a meal can be reflected in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meal in the meal diary.

또한, 식사 일기 상에 식사 직후의 감정의 이유가 객관식 형태 또는 텍스트 형태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사 일기 상에 식사에 실수가 있었던 이유(폭식, 먹토, 씹뱉, 변비약, 음주, 바디체크 등)에 대해서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사 상의 감정은 식사 종류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상황별 텍스트(예를 들어, 용기만한 재능은 없지 네가 자랑스러워, 폭풍같은 시간이었어. 그치만 다시 계속해보자, 노력하고 있는 걸 알아. 다음엔 더 잘 해보자 등)를 변화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ason for the emotion immediately after the meal can be entered in the meal diary in multiple-choice or text form. Additionally, in the meal diary, you can select and enter the reason for the meal mistake (binge eating, eating and vomiting, spitting up, laxatives, drinking, body check, etc.). These meal sentiments can be expressed through contextual text on the user interface indicating the type of meal (e.g., There's no talent like courage. I'm proud of you. It was a whirlwind. But let's keep going. I know you're trying. Let's do better next time. etc.) can be changed.

또한, 식사 일기의 경우 정해진 횟수 이상의 식사를 하는 경우, 해당 식사에 대해서는 식사 종류 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별도의 추가 식사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meal diary, when a meal is consumed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additional meals may b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user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meal type.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사 일기를 통해 사용자가 식사와 관련된 목표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그동안 피해왔던 음식 섭취하기, 2) 다이어트 보조제 먹지 않기, 3) 운동 루틴을 스킵하기, 4) 가족과 식사하기, 5) 맛집 탐방, 6) 구토 참기 등 섭식 장애와 관련된 목표들을 식사 일기 상에 설정하고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식사 일기 상에서의 목표 관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t goals related to meals through a meal diary. For example, eating disorder-related goals such as 1) eating foods you have been avoiding, 2) not taking diet supplements, 3) skipping your exercise routine, 4) eating with family, 5) visiting a good restaurant, and 6) avoiding vomiting. Goals may be managed in the meal diary so that people can set and achieve their goals in the meal diary.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사 일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3 and 4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a meal di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서는 식사 일기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3 and 4 show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a meal diary.

도 3을 참조하면, 화면A(310)는 식사 일기를 위한 날짜와 해당 날짜에서의 식사 종류에 대한 화면이다. 사용자는 날짜와 설정된 식사 종류(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를 선택하여 특정 날짜에 특정 식사 종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화면A(310)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식사 일기 정보를 고려하여 식사 종류 밑에 상황별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노력하고 있는 걸 알아. 다음엔 더 잘해보자 등)가 추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screen A (310) is a screen for the date for the meal diary and the type of meal on that date. Users can enter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meal type on a specific date by selecting the date and set meal type (breakfast, lunch, dinner, snack). As shown in screen A (310), context-specific text information (e.g., I know you're trying. Let's do better next time, etc.) can be added under the meal type by considering the user's meal diary information.

화면B(320)는 특정 식사 종류(예를 들어, 아침식사)를 선택한 후 식사 시간, 함께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 또한 화면B(320) 상에는 식사를 걸렀을 경우, 식사를 걸렀음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구현될 수 있다.Screen B (320) is a screen for selecting a specific meal type (for example, breakfast) and then entering information about meal time, number of people eating together, meal location, etc. Additionally, in case of skipping a meal,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hat the meal was skipped may also be implemented on screen B (320).

도 4를 참조하면, 화면C(410) 및 화면D(420)는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화면C(410)는 식사 직전에 얼마나 배가 고픈지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배고픔 정도를 입력하고, 식사 이후에 배부름의 정도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Referring to FIG. 4, screen C 410 and screen D 420 may be screens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eating. Screen C (410) is a screen for entering the degree of hunger in a slide manner through a user interface regarding how hungry one is just before a meal, and for inputting the degree of fullness in a slide manner after a meal.

화면D(420)는 식사 끝날 때의 기분과 기분에 따른 이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Screen D (420) is a screen for entering information about the mood at the end of the meal and the reasons for the mood.

화면E(430)는 식사에서 있었던 실수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식사에서 있었던 실수(예를 들어, 폭식, 먹토, 씹뱉, 과도한 운동 등)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Screen E 430 may be a screen for entering mistakes made during a meal. Users can select and record mistakes they made while eating (e.g. binge eating, eating, chewing, spitting up, excessive exercise, etc.).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인지 행동 치료부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지 행동 치료 방법이 개시된다.In Figure 5,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ethod provided to the user by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partment is disclosed.

도 5를 참조하면, 인지 행동 치료부는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에 대한 정보 및 몸에서 느껴지는 감각의 이유가 되는 감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sensations felt in the body and information about emotions that are the reason for the sensations felt in the body.

인지 행동 치료부는 사용자가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복수의 원인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원인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인지시킬 수 있다.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provides multiple causes for the user to feel emotions, and can make the user recognize the emotions he or she feels by considering the multiple causes selected by the user.

인지 행동 치료부는 사용자가 감정을 좀더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감정을 해소하거나 감정이 사용자의 왜곡된 시각으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다.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uni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emotions more objectively, relieves the emotions, or makes the user aware that the emotions may be caused by the user's distorted perspective.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인지 행동 치료부는 사용자의 생각이 감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각을 변화시키기 위한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partment can analyze the impact of the user's thoughts on emotions and behavior and perfor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change the user's thoughts.

인지 행동 치료부는 식사 일기부,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식사 일기 정보, 섭식 장애 트레이닝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 행동 치료부는 사용자의 식사 일기 정보를 통해 느끼는 감정을 고려하여 감정의 원인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섭식 장애 트레이닝 과정에서 특정 기능(예를 들어, 지레 짐작 멈추기)을 통해 인지 행동 치료부의 인지 행동 치료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partment is linked with the meal diar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department and can perform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he user by considering the user's meal diary information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partment can consider the emotions felt through the user's meal diary information and provide a process to objectively recognize the cause and emotion of the emotion. Additionally, certain skills (e.g., lever guessing) can be implemented during eating disorder training to enabl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rocedures.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user interface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는 인지 행동 치료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In Figure 6, a user interface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disclosed.

도 6을 참조하면, 화면F(610)는 사용자가 몸에서 느끼는 감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 사용자는 감각을 느끼는 위치, 감각의 종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screen F 610 is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ations the user feels in the body. Users can select and input the location where they feel the sensation and the type of sensation.

화면G(620)는 감각과 관련된 감정에 대한 선택을 받기 위한 화면이고, 화면H(630)는 감정을 객관화하고, 감정에 대한 인지를 바로 잡기 위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Screen G (620) may be a screen for receiving selections about emotions related to senses, and screen H (630) may be a screen for objectifying emotions and providing explanations to correct recognition of emotions.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ating disorder trai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는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에서 사용자에게 섭식 장애와 관련된 트레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In Figure 7, a method for providing training related to an eating disorder to a user in an eating disorder training department is disclosed.

도 7을 참조하면, 섭식 장애 트레이닝부는 지레 짐작 멈추기(710), 섭식 장애 구급함(720)과 사용자를 위클리 트레이닝(730)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eating disorder training department may provide stopping lever guessing (710), an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720), and weekly training (730) for users.

지레 짐작 멈추기(710)는 인지 행동 치료부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대한 치료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Stopping lever guessing (710) can b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epartment to treat the user'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섭식 장애 구급함(720)은 섭식 장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이다. 섭식 장애 구급함(720) 상에서는 랜덤으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의사가 사용자에게 별도로 추천한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The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720 is an area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related to eating disorders. Recommended content may be provided randomly on the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720, and content separately recommended to the user by a doctor may be provided.

위클리 트레이닝(730)은 복수개의 세션으로 주별로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세션은 주별로 제공되되, 앞으로 제공될 컨텐츠는 잠금 표시를 해두고 미리 컨텐츠가 제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Weekly training 730 can be implemented to provide content for treating eating disorders on a weekly basis with a plurality of sessions. Sessions are provided weekly, but content to be provided in the future can be marked as locked to prevent content from being provided in advance.

화면I(750)는 지레 짐작 멈추기(710), 섭식 장애 구급함(720), 위클리 트레이닝(730)을 위한 화면이다.Screen I (750) is the screen for Stop Guessing the Lever (710), Eating Disorder First Aid (720), and Weekly Training (73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Figure 8 discloses a method for performing eating disorder training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서는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위해 사용자들을 그룹핑하고, 사용자 그룹별로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In Figure 8, a method for grouping users for eating disorder training and providing eating disorder training for each user group is disclosed.

도 8을 참조하면,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의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그룹핑하고, 사용자 그룹별로 사용자 장애 트레이닝을 서로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may group users based on the user's meal diary and provide different user disorder training for each user group.

식사 일기부에서 획득된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제1 사용자 그룹 및 제2 사용자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Users may be set to a first user group and a second user group based on meal diary data obtained from the meal diary.

(1)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810)(1) User Group (Meal Pattern) (810)

사용자의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사 패턴이 추출될 수 있고, 식사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81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 패턴은 식사 일기 데이터에 포함된 식사 횟수, 식사 메뉴 등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식사 횟수, 식사 메뉴가 유사할수록 유사한 식사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일 기준 식사 횟수에 대한 평균값이 하나의 제1 벡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식사 메뉴는 한식, 중식, 일식, 분식 등으로 카테고리가 구분되고, 유사한 카테고리, 유사한 재료, 유사한 조리법을 가진 음식일수록 가까울수록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벡터 좌표값이 설정되고,식사 간에 먹은 음식의 평균값이 하나의 제2 벡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 meal pattern may be extracted based on the user's meal diary data, and a user group (meal pattern) 81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pattern. For example, the meal patter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meals, meal menu, etc. included in the meal diary data. The more similar the number of meals and meal menus, the more similar meal patterns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user's daily number of meals may be set as one first vector value. The meal menu is 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Korean food, Chinese food, Japanese food, snack food, etc., and vector coordinate values are set so that foods with similar categories, similar ingredients, and similar recipes are placed closer,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food eaten between meals is set. It can be set to one second vector value.

제1 벡터값과 제2 벡터값은 하나의 식사 패턴과 관련된 제1 좌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벡터값과 제2 벡터값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되어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810)이 결정될 수 있다.The first vector value and the second vector value may be located on a first coordinate plane related to one meal pattern, and are clustered based on the first vector value and the second vector value to form a user group (meal pattern) 810. This can be decided.

(2)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의 설정(2) Setting of user group (emotions after meal) 820

사용자의 식사 일기 데이터 중 식사 후 감정이 벡터값으로 추출되어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이 결정될 수 있다. 식사 후 감정과 관련하여 식사 전 배고픔, 식사 후 배고픔, 식사 후 기분, 식사 후 실수 각각이 제3 벡터값, 제4 벡터값, 제5 벡터값 및 제6 벡터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식사시마다 생성된 {3 벡터값, 제4 벡터값, 제5 벡터값 및 제6 벡터값} 제2 좌표 평면 상에 표현될 수 있고, 사용자의 {3 벡터값, 제4 벡터값, 제5 벡터값 및 제6 벡터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좌표가 클러스터링되어 사용자 클러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user's meal diary data, emotions after a meal may be extracted as vector values to determine the user group (emotions after a meal) 820. In relation to emotions after a meal, hunger before a meal, hunger after a meal, mood after a meal, and mistake after a meal may each be set as a third vector value, a fourth vector value, a fifth vector value, and a sixth vector value. {3 vector values, 4th vector values, 5th vector values, and 6th vector values} generated each time the user eats may be expressed on the second coordinate plane, and the user's {3 vector values, 4th vector values, and 6th vector values A user cluster may be formed by clustering a plurality of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5th vector value and the 6th vector value.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를 고려하여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이 설정될 수 있다.A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82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user cluster similarity.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클러스터의 중심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가 사용자 클러스터1 및 사용자 클러스터2를 가지고, 사용자B가 사용자 클러스터3 및 사용자 클러스터4를 가지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A의 사용자 클러스터와 사용자B의 가까운 클러스터에 대한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User cluster similarity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at least one user cluster.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user A has user cluster 1 and user cluster 2, and user B has user cluster 3 and user cluster 4. In this case, a decision may be made regarding user A's user cluster and user B's nearby cluster.

예를 들어, {사용자A의 사용자 클러스터1, 사용자B의 사용자 클러스터3}이 상대적으로 가깝고, {사용자A의 사용자 클러스터2, 사용자B의 사용자 클러스터4}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우, 사용자 클러스터1의 클러스터 중심과 사용자 클러스터3의 클러스트 중심 간의 제1 거리와 사용자 클러스터2의 클러스터 중심과 사용자 클러스터4의 클러스트 중심 간의 제2 거리의 합을 기반으로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User Cluster 1 of User A, User Cluster 3 of User B} are relatively close, and {User Cluster 2 of User A, User Cluster 4 of User B} are relatively close, the cluster of User Cluster 1 The user cluster similarity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um of the first distance between the center and the cluster center of user cluster 3 and the second distance between the cluster center of user cluster 2 and the cluster center of user cluster 4.

즉, 비슷한 식사 후 감정을 가질수록 사용자 클러스터 간 가까운 거리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합적인 식사 후 감정을 가질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합적인 식사 후 감정을 동일하게 가질수록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loser the emotions after a meal are,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user clusters is, so the user cluster similarity can be set to be relatively high. Additionally, even in the case of having complex post-meal emotions, the user cluster similarity may be set relatively high as the user has the same complex post-meal emotions.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클러스터 유사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이 결정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의 제1 좌표축 상의 제1 벡터값, 제2 벡터값까지 고려하여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 내에서 추가적으로 식사 패턴까지 고려한 하위 사용자 그룹핑을 수행하여 더 작은 단위의 사용자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의 제1 좌표축 상의 제1 벡터값, 제2 벡터값까지 고려하여 그룹핑한 사용자 그룹은 최소 사용자 그룹(830)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820 is determined based on user cluster similarity, and more specifically, the first vector value and the second vector value on the first coordinate axis of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820. Taking this into account, a smaller user group may be determined by performing sub-user grouping withi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820 that additionally takes meal patterns into consideration. The user group grouped by considering the first and second vector values on the first coordinate axis of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may be expressed in terms of the minimum user group 8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을 기반으로 위클리 트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위클리 트레이닝은 유사한 섭식 장애 문제를 가지는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별로 해당 섭식 장애 문제와 대응되는 위클리 트레이닝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may provide weekly training based on user group (emotion after eating) 820. Weekly training may be provided as weekly train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eating disorder problem for each user group (emotion after eating) 820 having similar eating disorder problems.

또한,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최소 사용자 그룹(830)에 대하여 위클리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최소 사용자 그룹(830)은 유사한 식사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최소 사용자 그룹(830)의 식사 패턴을 고려하여 식사 이전, 식사 이후에 위클리 트레이닝을 제공하여 트레이닝의 목적에 따라 식사 이전, 식사 이후에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may determine when to provide weekly training to the minimum user group 830. The minimum user group 830 may have a similar meal pattern, and weekly training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a meal in consideration of the meal pattern of the minimum user group 830, so that the minimum user group 830 eats before and after a meal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training. Disability training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사 일기 상의 코멘트가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 및 최소 사용자 그룹(830)을 고려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사 일기 상에서 아침 식사, 점심 식사, 저녁 식사, 간식 식사별로 별도의 코멘트가 설정되어 사용자의 섭식 장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820) 및 최소 사용자 그룹(830)의 특성을 고려하여 식사 이후에 상황별 코멘트가 식사 일기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ents on the meal diary may be provided considering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820 and the minimum user group 830. As described above, separate comments are set for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in the meal diary, which can help with the user's eating disorder. Accordingly,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group (post-meal emotions) 820 and the minimum user group 830, contextual comments may be provided in the meal diary after the meal.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섭식 장애 치료 장치에서 사용자의 개선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Figure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mprovement in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는 사용자 식사 패턴과 사용자 클러스터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In Figure 9,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s eating disorder is improv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user's eating pattern and user cluster is disclosed.

도 9를 참조하면, 디폴트로 결정되는 사용자별 개선 식사 패턴(920)이 설정되고, 사용자 식사 패턴(910)이 개선 식사 패턴(920)으로 변화될수록 사용자의 섭식 장애가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선 식사 패턴(920)은 현재 사용자 식사 패턴(910) 및 사용자가 가지는 섭식 장애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식사 패턴(910)이 개선 식사 패턴(920)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의 정도가 수치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 improved meal pattern 920 for each user, which is determined as a default, is set,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eating disorder is improved as the user meal pattern 910 changes to the improved meal pattern 920. The improved meal pattern 920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rrent user meal pattern 910 and the eating disorder the user has. Considering the degree to which the user's eating pattern 910 approaches the improved eating pattern 920,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the user's eating disorder may be quantified and provided.

또한, 사용자 클러스터 변화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이 수치화되어 데이터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based on changes in the user cluster, the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can be quantified and judged as data.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980)가 정의되고,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사용자 클러스터(950)를 기준으로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중심이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960)의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이 수치화될 수 있다.A normal user cluster 980 is defined, and the center of the user cluster 950 is the center of the normal user cluster 960 based on the user cluster 950 created by periodicall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otions after eating.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is getting closer,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can be quantified.

또한, 섭식 장애에 대응되는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감소와 같은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소멸도 섭식 장애 개선을 수치화하여 판단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2개의 사용자 클러스터(950)가 존재하고 2개의 사용자 클러스터(950)가 복합적인 섭식 장애와 대응되었다가 2개의 사용자 클러스터(950)가 1개의 사용자 클러스터(950)로 감소될 경우, 사용자의 섭식 장애의 개선으로 판단하여 이를 수치화할 수 있다.In addition, disappearance of the user cluster 950, such as a decrease in the user cluster 950 corresponding to the eating disorder, can also be used to quantify and determine improvement in the eating disorder. For example, there are existing two user clusters 950, and the two user clusters 950 correspond to complex eating disorders, and then the two user clusters 950 can be reduced to one user cluster 950. In this case, it can be judged as an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and quantified.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넓이의 변화도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을 수치화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넓이는 현재 사용자의 섭식 장애로 인한 식사 후 감정의 심리적인 변동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클러스터(950)의 넓이가 작아질수록 사용자의 섭식 장애가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changes in the width of the user cluster 950 can also be used to quantify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user cluster 950 may mean the psychological fluctuation range of emotions after eating due to the current user's eating disorder. Accordingly,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s eating disorder improves as the area of the user cluster 950 becomes smaller.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can be convert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Claims (6)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제 제공 방법은,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가 상기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사 일기는 식사 날짜, 식사 종류, 식사 시간, 같이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식사 메뉴 및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황별 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인지 행동 치료는 사용자가 몸에서 느끼는 감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감각과 관련된 감정을 선택하고, 상기 감정을 객관화하고, 상기 감정에 대한 인지를 바로 잡기 위한 설명을 제공하여 수행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는 지레 짐작 멈추기, 섭식 장애 구급함, 위클리 트레이닝을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지레 짐작 멈추기는 상기 인지 행동 치료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섭식 장애 구급함은 섭식 장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은 복수개의 세션을 기반으로 주별로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How to provide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generating a meal diary based on user input; and
Including the step of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based on the eating diary,
The meal diary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meal date, meal type, meal tim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al menu, and feelings after the meal,
The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he type of meal displays contextual text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the meal,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performed by the user enter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ation felt in the body, selecting an emotion related to the sensation, objectifying the emotion, and providing an explanation to correct the perception of the emotion,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is carried out based on stopping guessing,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and weekly training,
The lever guessing stop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perform treatment for the user'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The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related to eating disorders,
The weekly training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content for treating eating disorders on a weekly basis based on a plurality of ses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식사 일기에 포함된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사용자 그룹별로 사용자 장애 트레이닝을 서로 다르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은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 및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은 상기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식사 패턴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은 상기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식사 후 감정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최소 사용자 그룹은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벡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은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기준으로 제공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의 제공 시점은 상기 최소 사용자 그룹의 식사 패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groups the user based on meal diary data included in the meal diary of the user and provides different user disorder training for each user group,
The user group includes a user group (meal pattern) and a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The user group (meal pattern)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pattern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diary data,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emotion after meal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diary data,
The minimum user group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vector value used to determine the user group (eating pattern) based o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The weekly training is provided based o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A method wherein the timing of providing the weekly train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pattern of the minimum user grou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별 개선 식사 패턴을 설정하고, 사용자 식사 패턴이 상기 개선 식사 패턴으로 변화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섭식 장애가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개선 식사 패턴은 현재 상기 사용자 식사 패턴 및 사용자가 가지는 섭식 장애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사 패턴이 상기 개선 식사 패턴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를 정의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사용자 클러스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클러스터의 중심이 상기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의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섭식 장애 개선을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sets an improved meal pattern for each user, and determines that the user's eating disorder improves as the user's meal pattern changes to the improved meal pattern,
The improved eating pattern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rrent user eating pattern and the user's eating disorder,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provides quantification of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by considering the degree to which the user's eating pattern approaches the improved eating pattern,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defines a normal user cluster, and the degree to which the center of the user cluster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normal user cluster based on the user cluster generated by periodicall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otions after eating.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quantification of improvement in the eating disorder of the user based on .
섭식 장애 디지털 치료를 위한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식사 일기를 생성하고,
상기 식사 일기를 기반으로 인지 행동 치료 및 섭식 장애 트레이닝을 제공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식사 일기는 식사 날짜, 식사 종류, 식사 시간, 같이 식사한 인원, 식사 장소, 식사 메뉴 및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황별 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인지 행동 치료는 사용자가 몸에서 느끼는 감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감각과 관련된 감정을 선택하고, 상기 감정을 객관화하고, 상기 감정에 대한 인지를 바로 잡기 위한 설명을 제공하여 수행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는 지레 짐작 멈추기, 섭식 장애 구급함, 위클리 트레이닝을 기반으로 수행되고,
상기 지레 짐작 멈추기는 상기 인지 행동 치료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생각, 감정, 행동에 대한 치료를 수행하고,
상기 섭식 장애 구급함은 섭식 장애와 관련된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은 복수개의 세션을 기반으로 주별로 섭식 장애 치료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식 장애 치료 장치.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for eating disorder digital treatment is,
Create a meal diary based on user input,
Implemented to provid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ating disorder training based on the food diary,
The meal diary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meal date, meal type, meal time, number of people who ate together, meal location, meal menu, and feelings after the meal,
The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the type of meal displays contextual text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emotions after the meal,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s performed by the user entering information about the sensation felt in the body, selecting an emotion related to the sensation, objectifying the emotion, and providing an explanation to correct the perception of the emotion,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is carried out based on stopping guessing,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and weekly training,
The lever guessing stop is linked with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perform treatment on the user's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The eating disorder first aid kit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related to eating disorders,
The weekly training is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content for treating eating disorders on a weekly basis based on a plurality of sess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식사 일기에 포함된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를 그룹핑하여 사용자 그룹별로 사용자 장애 트레이닝을 서로 다르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은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 및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은 상기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식사 패턴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은 상기 식사 일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된 식사 후 감정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최소 사용자 그룹은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벡터값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은 상기 사용자 그룹(식사 후 감정)을 기준으로 제공되고,
상기 위클리 트레이닝의 제공 시점은 상기 최소 사용자 그룹의 식사 패턴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식 장애 치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groups the user based on meal diary data included in the meal diary of the user and provides different user disorder training for each user group,
The user group includes a user group (meal pattern) and a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The user group (meal pattern) is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pattern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diary data,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is determined based on the emotion after meal determined based on the meal diary data,
The minimum user group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vector value used to determine the user group (eating pattern) based o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The weekly training is provided based on the user group (emotion after meal),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ing of providing the weekly training is determined based on the eating pattern of the minimum user grou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사용자별 개선 식사 패턴을 설정하고, 사용자 식사 패턴이 상기 개선 식사 패턴으로 변화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섭식 장애가 개선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개선 식사 패턴은 현재 상기 사용자 식사 패턴 및 사용자가 가지는 섭식 장애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상기 사용자 식사 패턴이 상기 개선 식사 패턴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섭식 장애 개선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섭식 장애 치료 장치는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를 정의하고, 주기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식사 후 감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생성된 사용자 클러스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클러스터의 중심이 상기 정상 사용자 클러스터의 중심으로 가까워지는 정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섭식 장애 개선을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섭식 장애 치료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sets an improved meal pattern for each user, and determines that the user's eating disorder improves as the user's meal pattern changes to the improved meal pattern,
The improved eating pattern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urrent user eating pattern and the user's eating disorder,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provides quantification of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user's eating disorder by considering the degree to which the user's eating pattern approaches the improved eating pattern,
The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defines a normal user cluster, and the degree to which the center of the user cluster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normal user cluster based on the user cluster generated by periodicall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otions after eating. An eating disorder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quantifies the improvement of the user's eating disorder based on .
KR1020230116837A 2022-11-16 2023-09-04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KR1026613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440 2022-11-16
KR20220153440 2022-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71B1 true KR102661371B1 (en) 2024-04-26

Family

ID=9088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837A KR102661371B1 (en) 2022-11-16 2023-09-04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7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95A (en) * 2018-07-19 2020-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rver and method for modeling emotion-dietary pattern using on-body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595A (en) * 2018-07-19 2020-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rver and method for modeling emotion-dietary pattern using on-body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sseini et al. Body image distortion
Maher et al. A physical activity and diet program delivered by artificially intelligent virtual health coach: proof-of-concept study
Arch et al. Enjoying food without caloric cost: The impact of brief mindfulness on laboratory eating outcomes
Morris et al. Mobile therapy: case study evaluations of a cell phone application for emotional self-awareness
Proulx Integrating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Goh et al. Short-term trajectories of use of a caloric-monitoring mobile phone app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a primary care setting
Wohlschläger et al. The perceived onset time of self-and other-generated actions
Ziaee et al. Effects of attention control training on drug abusers’ attentional bias and treatment outcome.
Håman et al. “If it’s not Iron it’s Iron f* cking biggest Ironman”: personal trainers’ views on health norms, orthorexia and deviant behaviours
Petersen et al. Interoception and symptom reporting: disentangling accuracy and bias
WO20151168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assessment
Jeppson et al. Binge and purge processes in bulimia nervosa: A qualitative investigation
US202003211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support network for vibrant constitutional guidance
JP2023547875A (en) Personalized cognitive intervention systems and methods
Garbus Eating disorders
Zheng et al. Experiences of daily weighing among successful weight loss individuals during a 12-month weight loss study
KR102661371B1 (en) Method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and apparatus for digital treatment for eating disorder
Suarez et al. Pilot study of the just right challenge feeding protocol for treatment of food selectivity in children
Cha et al. Finding critical features for predicting quality of life in tablet-based serious games for dementia
Jones How ritual might create religion: A neuropsychological exploration
Khalili-Mahan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iors’ appraisal of cognitive-training games and game-related stress is complex: a mixed-methods study
Williams Tourette syndrome
Steffen et al. Mindfulness and the middle way of stress reduction
JPWO201911669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Howard Feedforward: A Mobile Design Strategy that Supports Emotive Learning for Preventive Health Practices and Enduring Lifestyle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