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757B1 -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 Google Patents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757B1
KR102660757B1 KR1020230147468A KR20230147468A KR102660757B1 KR 102660757 B1 KR102660757 B1 KR 102660757B1 KR 1020230147468 A KR1020230147468 A KR 1020230147468A KR 20230147468 A KR20230147468 A KR 20230147468A KR 102660757 B1 KR102660757 B1 KR 102660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wire
inlet hole
sealing
wir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7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재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14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7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6Operat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9/00Locks giving indication of authorised or unauthorised unlocking
    • E05B39/02Locks giving indication of authorised or unauthorised unlocking with destructible seal closures or paper clo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기능을 강화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봉인 훼손 여부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봉인 여부를 확인하느라 컨테이너 도어에 수시로 접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컨테이너 도어 접근에 따른 사고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입홀을 구비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어 컨테이너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봉인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봉인 와이어는 전류 흐름이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인입홀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면서 회로를 형성시켜주는 연결단자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은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봉인이 해제되거나 단선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an enhanced management fun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al is damaged in real time remotely, enabling rapid response to seal damage, as well as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ly accessing the container door to check whether the seal is sealed. This is to minimize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access to the container do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body having an inlet hole; and a sealing wire that is sealed with one end fixed to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to restrain the container door from opening; wherein the sealing wire is configured to flow current. It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device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aling wir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hole and connect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to form a circuit. It allows current to flow through a sealed wire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built into the main bod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detect in real time when the seal of the sealed wire is released or disconnected and current stops flowing.

Description

관리 기능을 강화한 컨테이너 봉인장치{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본 발명은 컨테이너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인 훼손 여부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봉인 여부를 확인하느라 컨테이너 도어에 수시로 접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컨테이너 도어 접근에 따른 사고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sealing device.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al is damaged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so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seal damage, and there is no need to frequently access the container door to check whether the seal is sealed. This relates to a container sealing device that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door access.

일반적으로 컨테이너(Container)는 화물을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으로 화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차량, 선박, 비행기 등을 이용하여 운송하게 된다.In general, containers are a means of transporting carg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When moving cargo, cargo is loaded into a container and then transported using vehicles, ships, airplanes, etc.

이처럼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운송수단에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기 전엔 항구나 창고 등에 장기간 방치되고, 운송중에도 대형 운송수단 내에서 장기간 방치 및 이용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의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In this way, when transporting cargo using containers, the containers are left unattended in ports or warehouses for a long period of time before being loaded onto the transport vehicle, and are also left unattended and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large transport vehicles during transport, so accidents involving theft of cargo loaded in containers are frequent. It happens.

따라서, 자물쇠나 와이어와 같은 봉인장치(10)를 사용하여 컨테이너의 양측 도어(12a,12b)에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바(13)를 동시에 구속하거나, 컨테이너 도어(12a,12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바(13)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잠금구(14)를 체결함으로써 수직바(13)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었다. Therefore,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13 installed on both doors 12a and 12b of the container are simultaneously restrained using a sealing device 10 such as a lock or wire, or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tainer doors 12a and 12b. By fastening the locking device 14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ar 13, the vertical bar 13 could be restrained from rotating.

하지만, 이같은 종래기술은 봉인의 훼손 여부를 판별하거나 봉인의 이상유무를 실시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prior art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quickly respond to seal damage because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seal was damaged or to determine whether the seal was abnormal in real time.

또한, 컨테이너 도어에 접근하여 봉인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피 하였는데, 이 때문에 트레일러 샷시에 올라타는 과정에서 낙상 등의 사고위험, 차량의 후진으로 인한 사고위험이 높았다.In addition, it was inevitable to access the container door and check whether it was sealed from time to time, and because of this, the risk of accidents such as falling while riding on the trailer chassis and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vehicle reversing were high.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4133호(2015.01.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84133 (2015.01.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봉인 훼손 여부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봉인 여부를 확인하느라 컨테이너 도어에 수시로 접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컨테이너 도어 접근에 따른 사고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봉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eal is damaged in real time from a remote lo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the seal damage, as well as check whether the seal is broken. The goal is to provide a container sealing device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ly accessing the container door to check and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access to the container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는, 컨테이너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로서, 인입홀을 구비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어 컨테이너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봉인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봉인 와이어는 전류 흐름이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인입홀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면서 회로를 형성시켜주는 연결단자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은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봉인이 해제되거나 단선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sealing device that restrains the door of a container from opening, and includes a device main body having an inlet hole; and a sealing wire that is sealed with one end fixed to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to restrain the container door from opening; wherein the sealing wire is configured to flow current. It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device main body is further form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aling wir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hole and connect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to form a circuit.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device is that it allows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ealed wir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built into the main body, and detects in real time when the seal of the sealed wire is released or disconnected and current stops flowing. .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외부에 발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PS receiver tha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and operates when the sealing wire current stops flowing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에도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외부에 발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GPS rece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even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drops below a certain level,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and provides it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고유의 봉인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칩을 더 포함하며, 상기 RFID 칩은 상기 봉인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고 있다가 상기 봉인 와이어의 단선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봉인번호 정보가 소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n RFID chip built into the device body and providing unique sealing number information, wherein the RFID chip operates by receiving current through the sealing wire and then prevents the current from flowing due to a disconnection of the sealing wire. Thi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lost.

또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끼워져 인입되도록 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인입될 때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역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체크 기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ith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arts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A pair of check gears may be further installed to restrai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while allowing forward rotation whil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but not allowing reverse rotation.

또한,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은 상기 장치 본체를 완전히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끼워져 인입되는 제1인입홀과,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인입홀로 형성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제1인입홀에 인입될 때 상기 제2인입홀까지 관통하여 반대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한 가이드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is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device main body, including a first inlet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and a second inlet hol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t is formed as an inlet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has a guide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penetrates to the second inlet hole and protrudes outward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it can be pull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an additional bar being installed.

또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인근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및 장치 본체의 인입홀 입구보다 큰 폭을 갖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인입홀에 과도하게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opper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and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body is install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near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from excessively entering the inlet hol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locking.

또한, 상기 스토퍼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 입구 주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may be made of a magnet and may be attached by magnetic force around the inlet hole entrance of the device main body.

또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인근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고무 소재의 방수용 스커트가 더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었을 때 상기 방수용 스커트가 상기 인입홀의 입구를 덮으면서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proof skirt made of rubber whos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wire is further installed near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sea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When the waterproof skirt covers the entrance of the inlet ho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moisture from penetrating.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는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한 구성에 의해 전류 흐름이 중단된 경우 봉인이 훼손되거나 절단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것은 물론 봉인 여부를 확인하느라 컨테이너 도어에 수시로 접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컨테이너 도어 접근에 따른 사고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ealing wire, so that when the current flow is interrupted, the seal can be considered damaged or cut, and thu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seal damage as well as to seal the seal. This eliminates the hassle of frequently accessing the container door to check whether the container door is in use, and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due to access to the container door.

또한, 본 발명은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GPS 수신기가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외부에 발신하도록 구성되어 봉인이 해제된 컨테이너 봉인장치를 쉽고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when current stops flowing in the sealing wire, the GPS receiver operates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outside,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find an unsealed container sealing device.

또한, 고유의 봉인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칩이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봉인번호 정보가 소실되도록 구성되어 봉인번호를 위조/제작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FID chip that provides unique seal number informa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lost when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seal wire, effectively suppressing the problem of counterfeiting/manufacturing seal number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터이너 봉인장치의 구성도
Figure 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Container sealing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실시예><Examp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터이너 봉인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and 4 are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And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100)는 장치 본체(110), 봉인 와이어(120), 가이드바(130), RFID 칩(140), GPS 수신기(150), 배터리(160), 체크 기어(170), 스토퍼(180) 및 방수용 스커트(18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As shown, the container seal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ice body 110, a sealing wire 120, a guide bar 130, an RFID chip 140, a GPS receiver 150, and a battery. It includes (160), check gear (170), stopper (180), and waterproof skirt (180) as main components.

본 발명은 이들 주요 구성요소들에 의해 봉인 훼손 여부를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봉인 훼손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며, 봉인 여부를 확인하느라 컨테이너 도어에 수시로 접근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컨테이너 도어 접근에 따른 사고위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quick response to seal damage by remotely detecting whether the seal is damaged in real time using these major components, and eliminates the hassle of frequently accessing the container door to check whether the seal is sealed. It is designed to minimize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door access.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봉인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ainer sea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장치 본체(110)는 봉인 와이어(120)의 일단부를 고정하며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를 인입한 상태로 봉인시키기 위한 인입홀(111)을 구비한다. 상기 인입홀(111)은 장치 본체(110)를 완전히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끼워져 인입되는 제1인입홀(111a)과,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바(130)만을 관통시키기 위한 제2인입홀(111b)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 본체(110)에는 봉인 와이어(120)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RFID 칩(140), GPS 수신기(150), 배터리(160), 체크 기어(170)가 설치된다. The device body 110 fixes one end of the sealing wire 120 and has an entry hole 111 for sealing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while being inserted. The inlet hole 111 is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device main body 110, and includes a first inlet hole 111a into which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inserted, and a sealing wire 120. It is formed with a narrower width than the other end portion 120a and is formed as a second inlet hole 111b for penetrating only the guide bar 130. In the device body 110, not only the sealing wire 120 but also an RFID chip 140, a GPS receiver 150, a battery 160, and a check gear 170 are installed therein.

상기 봉인 와이어(120)는 장치 본체(110)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120a)는 자유단으로 있다가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된다. 이같은 봉인 와이어(120)는 컨테이너 양측 도어에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바를 동시에 구속하거나, 컨테이너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직바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잠금구를 꿰어 체결함으로써 수직바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The sealing wire 120 is sealed with one end fixed to the device body 110 and the other end 120a being left free and then inserted into the entry hole 111 of the device body 110. This sealing wire 120 restrains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door at the same time, or fastens the vertical bars from rotating by threading a locking tool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a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tainer door.

주목할 점은 상기 봉인 와이어(120)가 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형성하면서 봉인이 해제되거나 절단되면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봉인 와이어(120)는 전류 흐름이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장치 본체(110)에는 봉인 와이어(120)의 일단부로부터 인입홀(111)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봉인 와이어(120)의 일단부와 타단부(120a)를 연결하면서 회로를 형성시켜주는 연결단자(112)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봉인 시 회로를 형성하는 봉인 와이어(120)는 장치 본체(110)에 내장된 배터리(16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면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와 연결단자(112)가 접촉하여 회로를 구성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며, 누군가가 봉인 와이어(120)의 봉인을 해제하거나 절단하면 전류의 흐름이 중단되면서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봉인 와이어(120)에 전류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를 전도성 소재인 구리로 만들 수도 있으며, 스틸 와이어에 구리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혼합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강도 측면에서는 후자가 유리하다. What is noteworthy is that the sealing wire 120 forms a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llowing immediate confirmation when the seal is released or cut. For this purpose, the sealing wire 12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allowing current to flow, and the device body 11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aling wire 120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hole 111, so that one end of the sealing wire 120 is provided. A connection terminal 112 is further formed to form a circuit by connecting the end and the other end 120a. In this way, the sealing wire 120, which forms a circuit when sealed,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160 built into the device body 11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sea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try hole 111 of the device body 110,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Current flows as the terminal 112 touches and forms a circuit, and when someone unseals or cuts the sealing wire 120, the flow of current stops and this can be detected. Here, in order to enable current flow in the sealing wire 120, the entire sealing wire 120 may be made of copper, a conductive material, or it may be made in a form in which steel wire and copper wire are mix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erms of strength, the latter is advantageous.

상기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는 피복재에 의해 피복되지 않고 노출되며 다른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 중 제1인입홀(111a)에 끼워져 인입되도록 한다.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 중 제1인입홀(111a)에 끼워진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는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마련된 체크 기어(170)에 의해 인출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봉인된다. 상기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제1인입홀(111a)에 완전히 인입되어 봉인된 상태가 되면 봉인 와이어(12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인입홀(111a)에서 살짝 돌출된 형태로 노출되어 있는 연결단자(112)와 접촉하여 전류 흐름이 이루어지는 회로를 형성한다.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with a coating material and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ith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arts,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of the inlet holes 111 of the device main body 110.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111a) and allowed to be drawn i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111a of the inlet hole 111 of the devic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check gear 170 that rotates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It is bound and sealed to prevent it from being withdrawn. Whe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111a and is in a sealed state, i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aling wire 120 and slightly protrudes from the first inlet hole 111a. It contacts the exposed connection terminal 112 to form a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상기 가이드바(130)는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에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바(130)는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에 설치되되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제1인입홀(111a)에 인입되기 시작할 때 제2인입홀(111b)까지 이미 관통하여 반대편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고 설치된다. 이처럼 가이드부(1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게 되면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제1인입홀(111a)에 인입될 때 제2인입홀(111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가이드바(130)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당기면서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제1인입홀(111a)에 완전히 인입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게 된다. The guide bar 130 serves to help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entry hole 111 of the device main body 110. For this purpose, the guide bar 130 is installed o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and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111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When it starts, it is installed with a sufficient length to already penetrate the second inlet hole (111b) and protrude outward on the other side. When the guide part 13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is way, whe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111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it penetrates the second inlet hole 111b. While the operator pulls the guide bar 130 protruding outward by hand,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entrance hole 111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Being able to help

상기 RFID 칩(140)은 장치 본체(110)에 내장되어 고유의 봉인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RFID 칩(140)은 봉인 와이어(120)를 통해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고 있다가 봉인 와이어의 단선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봉인번호 정보가 소실되도록 구성된다. 전류 흐름이 중단되었을 때 봉인번호 정보가 소실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RAM과 같이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봉인번호 정보를 저장하다가 전류 흐름이 중단되는 동시에 봉인번호 정보도 소실되도록 하거나, 도 5의 구성도에 도시된 제어기가 중간에 관여하여 강제로 봉인번호 정보를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봉인번호를 위조/제작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The RFID chip 140 is built into the device body 110 and serves to provide unique seal number information. The RFID chip 140 operates by receiving current through the sealing wire 120, and is configured to lose the sealing number information when the current stops flowing due to a break in the sealing wire. In order for the seal number information to be lost when the current flow is stopped,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stored using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and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lost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flow is stopped, or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lost at the same time as the current flow is stopped. The controller may intervene and force the seal number information to be dele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problem of counterfeiting/manufacturing seal numbers.

상기 GPS 수신기(15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며 평소에는 배터리(160) 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작동하지 않고 있다가 배터리(160)의 전압이 일정 이하로 저하되거나 봉인 와이어(120)의 단선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용 외부 단말기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GPS 수신기(150)의 동작은 도 5에 도시된 제어기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GPS 수신기(150)가 위치정보를 외부에 제공하기 위해서 GPS 수신기(150) 자체에 발신기능까지 구비하거나 미도시된 별도의 통신모듈을 장치 본체(110)에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GPS 수신기(150)가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에 발신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되면 관리자가 봉인 와이어(120)의 단선과 동시에 해당 컨테이너 봉인장치의 위치를 신속히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배터리(160) 교체가 필요한 상태가 되어도 신속히 확인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GPS receiver 150 is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110 and is not normally operated to reduce battery 160 consumption, but the voltage of the battery 160 drops below a certain level or the sealing wire 120 is disconnected. When current stops flowing, it operates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external terminals for management.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150 can be performed through control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5. In order for the GPS receiver 150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GPS receiver 150 itself may be equipped with a transmission function, or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device main body 110. In this way, when the GPS receiver 150 can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the manager can quickly check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sealing device and take a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disconnection of the sealing wire 120, and the battery (160) Even if replacement is required, it allows you to quickly check and take action.

상기 배터리(160)는 장치 본체(110)에 내장되어 봉인 와이어(120), RFID 칩(140) 및 GPS 수신기(150)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The battery 160 is built into the device body 110 and serves to provide power to the sealing wire 120, the RFID chip 140, and the GPS receiver 150.

상기 체크 기어(170)는 장치 본체(110) 내부에서 제1인입홀(111a)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이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제1인입홀(111a)에 인입될 때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입을 허용하지만 역방향 회전에 의한 인출은 허용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 중 제1인입홀(111a)에 한번 인입되면 고유의 봉인번호 정보가 RFID 칩(140)에 입력되지 않는 한 상기 체크 기어(170)를 통한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를 계속 구속하여 봉인할 수 있게 된다. The check gear 170 is a pair of sealing wires 120 that face each other across the first inlet hole 111a inside the device body 110, and the other end 120a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111a. When the sealing wire 12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120a, it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allow insertion, but is installed so as to not allow withdrawal by rot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As a result, once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trance hole 111a of the entrance holes 111 of the device body 110, the unique sealing number information is not input to the RFID chip 140. Unless reverse rotation is allowed through the check gear 170,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can be continuously restrained and sealed.

상기 스토퍼(180)는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 인근 일측 외주면에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 및 인입홀(111)보다 큰 폭을 갖고 설치된다. 이로써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에 과도하게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e stopper 180 is install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near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and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and the inlet hole 111. As a result,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can be blocked from being excessively inserted into the entry hole 111 of the device main body 110.

상기 방수용 스커트(180)는 상기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 인근에서 상기 봉인 와이어(120)의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스커트(180)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 4와 같이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가 장치 본체(110)의 인입홀(111)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었을 때 방수용 스커트(180)가 인입홀(111)의 입구를 덮으면서 밀착된 상태가 되어 외부에서 인입홀(111)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방수용 스커트(180)를 구비하게 되면 인입홀(111)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서 인입홀(111) 내부에서 노출된 상태에 있는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 연결단자(112)와 체크 기어(170)가 수분으로 인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봉인 와이어(120)의 타단부(120a)와 연결단자(112)의 경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르도록 구비된 것으로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waterproof skirt 18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kirt 180 whos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wire 120 near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is sea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ntry hole 111 of the device main body 110, the waterproof skirt 180 opens the entrance of the entry hole 111. As it is covered and in a close contact stat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let hole 111 from the outside. When the waterproof skirt 180 is provid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block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let hole 111, so that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which is exposed inside the inlet hole 111, is connected. The terminal 112 and the check gear 170 can be protected from corrosion due to mois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ther end 120a of the sealing wire 12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12, it is important to protect them from corrosion since they ar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are provided to allow current to flow.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claims below.

110: 장치 본체 120: 봉인 와이어
130: 가이드바 140: RFID 칩
150: GPS 수신기 160: 배터리
170: 체크 기어 180: 스토퍼
190: 방수용 스커트 100: 컨테이너 봉인장치
110: device body 120: sealing wire
130: Guide bar 140: RFID chip
150: GPS receiver 160: Battery
170: check gear 180: stopper
190: Waterproof skirt 100: Container sealing device

Claims (9)

컨테이너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로서,
인입홀을 구비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어 컨테이너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봉인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봉인 와이어는 전류 흐름이 가능한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로부터 인입홀 내주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면서 회로를 형성시켜주는 연결단자가 더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은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봉인이 해제되거나 단선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는 다른 부위에 비해 직경이 큰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끼워져 인입되도록 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인입될 때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역방향 회전은 허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를 구속하는 한 쌍의 체크 기어가 더 설치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은 상기 장치 본체를 완전히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끼워져 인입되는 제1인입홀과,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제2인입홀로 형성되며,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제1인입홀에 인입될 때 상기 제2인입홀까지 관통하여 반대편 외측으로 돌출되어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한 가이드바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 container sealing device that restrains the container door from opening,
A device body with an inlet hole; And a sealing wire that is sealed with one end fixed to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to restrain the container door from opening;
The sealing wire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allows current flow, and the device main body has a connection terminal that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aling wir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try hole and connect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to form a circuit. is further formed to allow current to flow in the sealed wir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built into the device body, and to detect in real time when the seal of the sealed wire is released or disconnected and current stops flowing,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formed as a cylindrical body with a larger diameter than other parts and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Whe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the A pair of check gears are further installed to restrict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while allowing forward rotation whil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but not allowing reverse rotation,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body is formed to completely penetrate the device main body, and includes a first inlet hole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and a second inlet hol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and whe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a guide bar is further provided that penetrates to the second inlet hole and protrudes outward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it can be pulled. A container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 동시에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외부에 발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tainer sea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PS receiver that is installed in the device body and operates at the same time to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in the sealing wire to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에도 작동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 후 외부에 발신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container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PS receiver operates even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drops below a certain level,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and provides it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내장되어 고유의 봉인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RFID 칩을 더 포함하며,
상기 RFID 칩은 상기 봉인 와이어를 통해 전류를 제공받아 동작하고 있다가 상기 봉인 와이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봉인번호 정보가 소실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n RFID chip built into the device body and providing unique seal number information,
The RFID chip operates by receiving current through the sealing wire, and when the current stops flowing through the sealing wire, the seal number information is lo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인근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및 장치 본체의 인입홀 입구보다 큰 폭을 갖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인입홀에 과도하게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opper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and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is installed on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near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to block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from excessively entering the inlet hole. A container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 입구 주변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In clause 7,
A container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made of a magnet and is attached by magnetic force around the inlet hole entrance of the devic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 인근에는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고무 소재의 방수용 스커트가 더 설치되어 상기 봉인 와이어의 타단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인입홀에 인입된 상태로 봉인되었을 때 상기 방수용 스커트가 상기 인입홀의 입구를 덮으면서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봉인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waterproof skirt made of rubber whose width becomes wider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aling wire is further installed near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sealing wire is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sealed. A container sea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waterproof skirt covers the entrance of the inlet hole and blocks moisture from penetrating.
KR1020230147468A 2023-10-31 2023-10-31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KR102660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7468A KR102660757B1 (en) 2023-10-31 2023-10-31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7468A KR102660757B1 (en) 2023-10-31 2023-10-31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757B1 true KR102660757B1 (en) 2024-04-26

Family

ID=908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7468A KR102660757B1 (en) 2023-10-31 2023-10-31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757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1365A1 (en) * 2004-03-30 2005-10-20 Tester Theodore R Electronic security seal
US20080066502A1 (en) * 2006-09-19 2008-03-20 Sheehan Thomas R Portable lock wirelessly connectable to security system
KR20110102622A (en) * 2010-03-11 2011-09-19 배문준 Sealing device of a container
KR101484133B1 (en) 2013-09-11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Do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65241A (en)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Smart Electronic Seal De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the Same
CN109083519A (en) * 2018-09-03 2018-12-25 泸州云丞聚智能科技有限公司 High efficient antifreeze fingerprint-based padlock device
CN209509722U (en) * 2018-10-23 2019-10-18 福州正城铅封有限公司 A kind of interior structure automation device of steel wire seal
KR20200043382A (en) * 2017-07-14 2020-04-27 카뷰, 인코포레이티드 Locking device with track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1365A1 (en) * 2004-03-30 2005-10-20 Tester Theodore R Electronic security seal
US20080066502A1 (en) * 2006-09-19 2008-03-20 Sheehan Thomas R Portable lock wirelessly connectable to security system
KR20110102622A (en) * 2010-03-11 2011-09-19 배문준 Sealing device of a container
KR101484133B1 (en) 2013-09-11 2015-01-2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Sealing Device for Container Do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65241A (en) * 2016-12-07 2018-06-1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Smart Electronic Seal De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the Same
KR20200043382A (en) * 2017-07-14 2020-04-27 카뷰, 인코포레이티드 Locking device with tracking function
CN109083519A (en) * 2018-09-03 2018-12-25 泸州云丞聚智能科技有限公司 High efficient antifreeze fingerprint-based padlock device
CN209509722U (en) * 2018-10-23 2019-10-18 福州正城铅封有限公司 A kind of interior structure automation device of steel wire s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5782B2 (en) Secure sealing device and method
US20040055345A1 (en) Door lock system for trailers and cargo containers
US6285278B1 (en) Electronic system for monitoring a fifth wheel hitch
US20100194579A1 (en) Container security device, container 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anagement method
DE69735803T2 (en) CONTROL DEVICE FOR STARTING A MOTOR VEHICLE
JP2005537569A (en) High performance container monitoring device
US4768361A (en) Spare tire locking device
CA2439614A1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2660757B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with enhanced management functions
TWM625116U (en) Vehicle equipment seal device
CN101425192A (en) Electronic sealing method and electronic sealing lock
CN109624824B (en) Tank vehicle
KR101044442B1 (en) Container security system based on switch sensor
CN104806086B (en) Security intelligence lock
TWM603557U (en) Vehicle equipment seal
KR101648828B1 (en) Electrical seal system for container door
US5209456A (en) Tank valve
DE102019209585B3 (en) Vehicle battery for a motor vehicle
EP4197940A1 (en) Material vehicle, traction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directional traveling of material vehicle
US20220195766A1 (en) Container locking system
CN201334814Y (en) Electronic seal lock
KR102042699B1 (en) Multi functional safety guard step
TWI763533B (en) Vehicle equipment seal and electronic fence system
DE4416345C2 (en) Anti-theft system and device
KR101484143B1 (en) Seal apparatus of a container door using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