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11B1 -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11B1
KR102659411B1 KR1020230076537A KR20230076537A KR102659411B1 KR 102659411 B1 KR102659411 B1 KR 102659411B1 KR 1020230076537 A KR1020230076537 A KR 1020230076537A KR 20230076537 A KR20230076537 A KR 20230076537A KR 102659411 B1 KR102659411 B1 KR 102659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orous structure
thermal shock
ultrafin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보성
홍성무
강보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7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0Expanding the moulding material between endless belts or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미세 크기의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크기의 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기재와, 나노채널과,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발포제가 혼합되어 제조된 폴리머필름으로 된다. 상기 나노채널은 상기 기재에 함유된 발포제가 열 충격파에 의해 발포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기공은 상기 기재에 상기 열 충격 및 열전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폴리머 기재의 녹는점보다 20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반응하는 화학발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두께가 1 내지 100u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머필름으로 된 기재에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이 모두 형성되므로 액체나 큰 입자의 통과는 차단시키지만 기체나 이온의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이차전지 분리막이나 멸균필름 등에 적용시 이온이나 가스의 투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Nanoporous structur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the same}
본 발명은 초미세 크기의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크기의 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초미세 기공과 그 사이의 나노미터 이하의 균열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체를 말하며, 이 구조를 통해 가스, 이온 등의 통과는 허용될 수 있지만 물이나 미세입자 등은 차단된다. 그래서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이온교환 기능이 필요한 이차전지 분리막, 멸균필름, 특수용도의 포장재, 기능성필름 등에 적용이 된다.
이때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액체나 입자는 선택적으로 액체를 차단하면서, 이온이나 가스 등을 통과시키는 성능이 높을수록 뛰어난 품질을 가진다.
등록특허 제10-1593644호(등록일자 1016년 02월 03일) 등록특허 제10-1706313호(등록일자 2017년 02월 07일)
종래의 건식 연신 및 습식 식각 제조공정에 의한 나노 마이크로 구조체의 고 투과성 필름은 기계적 물성치의 한계로 소재 적용에 있어서 그 선택의 폭이 넓지 못하다. 하지만 본 공정을 활용한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를 형성한 필름의 경우 열충격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재의 물성치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열충격파는 아주 짧은 시간동안에 200도 이상의 높은 열 방사 구간에 필름을 노출 시킴으로써, 폴리머 필름 모재의 열전달 변화를 최소화 하면서 오로지 발포제만을 순간적으로 발포하여 이때 생성된 가스 팽창과 방출에 의해서 나노 크기의 기공을 확장하는 공정을 통해 기존의 점진적 가열에 의한 발포공정과의 차별성이 있다. 또한 그 동안의 선행 특허에서 언급한 레이저 방사에 의한 발포공정은, 알려진 바와 같이, 단일 파장의 레이저 조사에 의한 광학적 발포이므로 본 특허와는 차별된다. 열충격파에 의한 급격한 확장은 기공생성과 더불어 주변에 가스 팽창과 방출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나노급 균열을 유발하는데 이는 본공정의 투과성을 높이는 나노채널 구조체로서 그 역할을 한다. 본 공정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 다공성 구조는 액체나 큰 입자를 차단하면서 이온이나 가스 등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폴리머 필름의 기반이 된다.
이러한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기반 필름의 경우 이온 교환 성능에 의한 이차전지 분리막, 소독가스투과 및 외부 오염물의 차단이 필요한 멸균필름, 보관시 가스배출이 필요한 발효식품 포장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살균 가스 기체 통기성, 이온교환성능이 높은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기재와, 나노채널과, 마이크로 기공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는 발포제가 혼합되어 제조된 폴리머필름으로 된다. 상기 나노채널은 상기 기재에 함유된 발포제가 열 충격파에 의해 발포되면서 형성된다. 상기 마이크로 기공은 상기 기재에 상기 열 충격 및 열전달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폴리머 기재의 녹는점보다 20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반응하는 화학발포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두께가 1 내지 100u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고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발포제가 혼합된 폴리머필름으로된 기재를 금속 재질의 가열 롤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상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초점을 맞추어 열충격파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열충격파와 상기 가열 롤에 전도된 열충격에 의해 상기 기재의 내부에 나노채널과,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파가 상기 기재에 조사될 때 상기 가열 롤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파가 상기 기재에 조사될 때 상기 기재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나노채널과 상기 미이크로 기공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머필름의 가스 통기성이 100,000 cc/m2·day·at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머필름으로 된 기재에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이 모두 형성되므로 액체나 큰 입자의 통과는 차단시키지만 기체나 이온의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이차전지 분리막이나 멸균필름 등에 적용시 이온이나 가스의 투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제조방법으로 만들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는 화학 발포제(11)가 분산되어 제조된 폴리머필름으로 된 기재(10)에 나노채널(13)과 마이크로 기공(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발포제(11)가 분산된 두께 1 ~ 100um의 폴리머필름의 기재(10)를 금속 재질의 가열 롤(30)의 상부에 배치한다.
여기서 발포제(11)의 통기성은 100,000cc/m2·day·atm 이상이며, 폴리머 기재의 녹는점보다 높은 물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기재(10)는 PE보다 녹는점이 높은 폴리머를 주요 대상으로 하며, 주로 PE, PP, PET, PES, PBS 등의 폴리머이다.
가열 롤(30)이 있는 위치에서 기재(10)의 상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초점을 맞추어 기재(10)로 열충격파(20)를 조사한다.
그러면 열충격파(20)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된 부위에서 발포제(11)가 발포되면서 나노채널(13)이 형성된다.
이때 열충격파(20)가 기재(10)에 조사되면 열충격파(20)의 에너지는 발포제(11)를 발포시키는 한편 금속 재질로된 가열 롤(30)에 흡수된다. 그래서 가열 롤(30)에 높은 온도로 가열된 열 영향부(3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폴리머필름으로 된 기재(10)의 온도가 상승하여 기재(1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이하의 기공(15)이 형성된다.
열충격파(20)가 조사된 상태에서 기재(1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진행시키면 기재(10)에 마이크로 기공(15)과 나노채널(13)이 함께 형성된 마이크로-나노 복합 구조로 된 기재(10)를 만들 수 있다.
이때 가열 롤(30)이 고정되어 있으면 열 영향부(31)가 고정되므로 열충격파(20)에 의하여 열 영향부(31)가 과도하게 가열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충격파(20)를을 노출시킬 때 가열 롤(30)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래서 열 영향부(31)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의하면 기재(10)의 내부에 마이크로 기공(15)과 나노채널(13)이 함께 형성된 복합구조가 만들어지므로 가스나 이온의 투과성을 높일 수 있다.
10 : 기재 11 : 발포제
13 : 나노채널 15 : 마이크로 기공
20 : 열충격파 30 : 가열 롤
31 : 열 영향부

Claims (7)

  1. 발포제가 혼합된 폴리머필름으로 된 기재를 금속 재질의 회전가능한 가열 롤의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재의 상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초점을 맞추어 열충격파를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열충격파가 상기 기재에 조사될 때 상기 가열 롤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충격파와 상기 가열 롤에 형성된 열영향부에 의해 상기 기재의 내부에 나노채널과, 마이크로 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파가 상기 기재에 조사될 때 상기 기재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나노채널과 상기 마이크로 기공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상기 폴리머필름의 가스 통기성이 100,000 cc/m2·day·at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76537A 2023-06-15 2023-06-15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9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537A KR102659411B1 (ko) 2023-06-15 2023-06-15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537A KR102659411B1 (ko) 2023-06-15 2023-06-15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411B1 true KR102659411B1 (ko) 2024-04-19

Family

ID=908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537A KR102659411B1 (ko) 2023-06-15 2023-06-15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4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118A (ko) * 2014-05-08 2015-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6380A (ko) * 2014-08-05 2016-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118A (ko) * 2014-05-08 2015-1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93644B1 (ko) 2014-05-08 2016-02-1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6380A (ko) * 2014-08-05 2016-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06313B1 (ko) 2014-08-05 2017-02-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6070B (zh) 微穿孔聚合物薄膜及其製造方法與用途
US3909582A (en) Method of forming a line of weakness in a multilayer laminate
Wang et al. Femtosecond laser-induced modification of surface wettability of PMMA for fluid separation in microchannels
EP2767330A2 (en) Composite including PTFE Membrane
JP2007023183A (ja) 多孔質膜、多孔質膜の製造方法、固体高分子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
Park et al. Experimental study on micro-porous patterning using UV pulse laser hybrid process with chemical foaming agent
Prakash et al. Profile and depth prediction in single-pass and two-pass CO2 laser microchanneling processes
KR102659411B1 (ko) 나노채널 및 마이크로 기공으로 이루어진 초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2531A (ko) 도핑된 탄화불소의 레이저 에블레이션 및 그의 응용
Wu et al. Laser-drilled micro-hole arrays on polyurethane synthetic leather for improvement of water vapor permeability
EP2767331A1 (en) PTFE membrane
Sato et al. Femtosecond laser-induced periodic nanostructure creation on PET surface for controlling of cell spreading
Vidya et al. CO 2 laser micromachin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a review
KR101706313B1 (ko) 미세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593644B1 (ko) 미세 다공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Molokanova et al. The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on the geometry of pores resulting from etching of poly (ethylene naphthalate) films irradiated by high-energy ions
Rattanakawin et al. Development and optimization of uv-induced chemical foaming process
WO2018177607A1 (en) A method for forming a body comprising at least one through-going passage
JP2006124697A (ja) 発泡体の製造方法
Li et al. Patterned perforation of polyester films by excimer laser ablation
KR100378022B1 (ko) 두께방향으로기공크기차이를갖는미세기공막의제조
Li et al. Parallel fabrication of high-aspect-ratio all-silicon grooves using femtosecond laser irradiation and wet etching
Chen et al. Fabrication of porous structures on microchannel surfaces by laser micromilling for enhanced microchannel heat sinks
Nguyen et al. Design of macroporous photo-cationically cured resorcinol-based epoxy resins coupled to a solid template technique
Aksu et al. Laser-etch patterning of metal oxide coated carbon nanotube 3D archite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