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371B1 -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371B1
KR102659371B1 KR1020180152638A KR20180152638A KR102659371B1 KR 102659371 B1 KR102659371 B1 KR 102659371B1 KR 1020180152638 A KR1020180152638 A KR 1020180152638A KR 20180152638 A KR20180152638 A KR 20180152638A KR 102659371 B1 KR102659371 B1 KR 10265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n
light source
deodorizing devi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803A (ko
Inventor
김기현
김도엽
전지환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8015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3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 예에 개시된 탈취 장치는 일 측면 방향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브라켓;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팬;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기 위한 제2팬;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사이에서 탈취하는 광촉매필터부; 상기 광촉매필터부로 제1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브라켓 내에서 상기 브라켓의 일 측면 방향으로 제2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상기 제1자외선 광의 파장보다 짧은 파장을 발광하며,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브라켓의 바닥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상부보다 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DEODORIZING UNIT AND AIR PURIFIER}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용 살균 및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용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발광 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LED 칩으로 제공되거나 패키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칼라를 표시하는 점등 표시기, 문자 표시기 및 영상 표시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는 단파장의 경우, 살균 및 정화 등에 사용되며, 장파장의 경우 노광기 또는 경화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대기 오염, 미세먼지, 황사와 같은 공기를 정화하거나, 각종 오염된 공간이나 악취가 발생된 공간을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방식의 공기 정화 장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광학탈취필터와 자외선을 이용한 휴대용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는 광학탈취필터와 서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한 휴대용 탈취 및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는 제1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탈취하고 탈취된 공기를 제1면 방향 또는 다른 방향을 통해 배출하는 탈취 및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는 제1면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제1자외선 파장으로 탈취하고 제1면 방향으로 제2자외선 파장을 조사하는 살균하는 탈취 및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는 탈취 및 살균 장치를 갖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는 충전이 가능한 탈취 및 살균 장치를 갖는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는, 일 측면 방향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브라켓;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팬;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기 위한 제2팬;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사이에서 탈취하는 광촉매필터부; 상기 광촉매필터부로 제1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상기 브라켓 내에서 상기 브라켓의 일 측면 방향으로 제2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상기 제1자외선 광의 파장보다 짧은 파장을 발광하며,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브라켓의 바닥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상부보다 더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부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1팬 사이에 상기 제1팬을 보호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 상기 제1팬, 상기 제2팬 및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내에는 흡입 및 토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상기 흡입구에 대향되는 흡입 구멍 및 상기 토출구에 대향되는 토출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탈취장치는 하부에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브라켓 하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수납부에 전원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 사이에 중간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전원공급 모듈 및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통풍구는 상기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자외선 광은 UV-A 파장이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UV-C 파장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탈취장치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탈취 및 살균장치의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받침대를 갖는 휴대용 탈취 및 살균장치를 제공하여, 충전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편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신발과 같은 부재에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탈취 또는 공기정화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탈취 장치의 A-A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탈취 장치의 B-B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탈취 장치에서 제1 및 제2팬의 배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탈취 장치에서의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탈취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탈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탈취장치에서의 공기 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의 탈취부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1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 1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커버의 사시도의 예이다.
도 15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광원부의 예이다.
도 16은 도 7의 탈취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 17은 도 16의 탈취장치에서 흡입 및 배출 경로를 나타낸 측 단면의 예이다.
도 18 및 도 19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 20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 및 그 받침대의 예이다.
도 21은 도 20의 받침대의 사시도의 예이다.
도 22는 도 20의 탈취장치가 받침대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3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가 신발에 결합된 예이다.
도 2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5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탈취 장치의 A-A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탈취 장치의 B-B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탈취 장치에서 제1 및 제2팬의 배열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 및 도 3의 탈취 장치에서의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탈취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탈취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탈취장치에서의 공기 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100)는 탈취 유닛 또는 탈취기, 또는 살균 기능을 갖는 탈취 유닛 또는 탈취기일 수 있다. 상기 탈취장치(100)는 악취, 세균이나 진균, 곰팡이, 먼지가 부패한 냄새 등으로 오염된 공간이나 장소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살균 장치(100)는 운동화, 장화, 부츠, 가구 내에 휴대용으로 배치되어, 내부 공간의 공기를 탈취 및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탈취 장치(100)는 적용되는 부재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탈취장치(100)는 내부의 커버(150)를 갖는 브라켓(110)을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10)은 일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개방된 통풍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부(115)의 상부(113)는 상기 브라켓(110)의 상부로부터 오목한 곡면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풍부(115)의 삽입 또는 분리 시 탈취 공간을 갖는 부재에 걸리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의 후방은 일측면의 반대측 방향이며, 백 브라켓(101)이 상기 브라켓(1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 브라켓(101)은 내부에 배치된 커버(150) 즉, 살균 커버를 분리 또는 결합될 때 삽입될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풍부(115)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토출구(13)는 상기 브라켓(110)의 일 측면에 배치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내부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11)의 상부는 상기 토출구(13)의 하부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입구(11)의 수직한 거리(D2)는 흡입구(11)의 상단에서 상기 토출 유로(P2)의 최 상단의 수평한 직선과의 거리(D1)보다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유로(P2)의 최 상단과 흡입구 상단 사이의 거리 차이는 거리(D1)로서, 토출 방향을 토출 유로(P2)의 수평한 방향보다 낮게 토출시켜 줄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의 중심과 상기 토출구(13)의 중심 간의 거리는 상기 브라켓(110)의 일 측면에서 최대 길이의 1/2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토출구(13)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와 상기 토출구(13)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 및 상기 제2광원부(133)은 상기 브라켓(110)의 바닥부(119)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와 토출구(13)의 위치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와 토출되는 공기의 충돌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흡입구(11)와 토출구(13)를 브라켓(110)의 한 측면에 배치해 줌으로써, 협소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11) 및 토출구(13)를 같은 방향에 배치해 줌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순환시켜 줄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기 탈취장치(100)는 필터부(121), 제1팬(123), 제1광원부(131), 광촉매필터부(125), 제2팬(127), 및 제2광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1)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먼지로부터 제1팬(123)을 보호하기 위한 필터이며, 비교적 입자가 큰 먼지를 걸러주게 된다. 상기 필터부(121)는 항균필터, 프리필터 또는 보호필터로 기능할 수 있으며, 격자간이 큰 망 구조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21)는 흡입 경로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팬(123)은 상기 필터부(12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흡입유로(P1)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상기 흡입유로(P1)의 단부에는 상기 커버(150)의 제1가이드벽(153)가 배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벽(153)은 흡입유로(P1)를 토출유로(P2)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벽(153)은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며, 흡입되는 공기를 수직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110)의 재질은 금속 또는 비 금속 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15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이 상기 커버(150)의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31)는 제1 자외선 광을 발광하는 제1발광소자(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광소자(31)는 UV-A 파장에서 가장 큰 세기를 갖는 제1자외선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1광은 315nm 이상 예컨대, 315nm 내지 400nm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 세기를 갖는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31)는 제1발광소자(31)가 배치된 제1기판(33)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판(33)은 상기 커버(150)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150) 내부를 통해 제1발광소자(31)가 노출되거나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제1발광소자(31)는 LED 칩이거나 LED 칩을 갖는 패키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LED 칩은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3)은 하면 또는/및 상면에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33)은 수지 재질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금속 코어를 갖는 PCB(MCPCB, Metal Core PCB), 비연성 기판(nonflexibl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또는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부(125)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흡입유로(P1) 또는 토출유로(P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물질은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 산화텅스텐(WO3), 산화바나듐(V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을 갖는 필터는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벌집 형태, 또는 원 형상을 갖는 다공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은 상기 제1광원부(131)의 제1자외선 광이 조사되면, 상기 제1자외선 광과 반응하여 유해 가스, 각종 냄새 물질, 또는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부(125)는 상기 제1광원부(131)와 대면하거나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필터부(125)는 토출경로(P2)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광원부(131)는 상기 광촉매필터부(125)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광촉매필터부(125)는 수평한 유로에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수직한 유로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필터부(125)는 유로를 통해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를 탈취할 수 있도록 상기 유로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팬(127)은 광촉매필터부(125)를 거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상기 제2팬(127)은 송풍 팬 또는 토출 팬이며, 커버(15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제2팬(127)의 배출압력은 상기 제1팬(123)의 흡입압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팬(127)에 의해 탈취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출구(13)는 상기 제2팬(127)의 수직한 평면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제공되어, 보다 높은 압력으로 탈취된 공기를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13)의 위치가 흡입구(11) 보다 높고 다른 영역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팬(127)에 의해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팬(123)에 의해 재 흡입되는 양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3)에서의 유로 높이는 상기 제2팬(127)의 주변에서의 토출 유로(P2)의 높이보다 작게 배치되어 있어, 보다 높은 압력으로 탈취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2팬(127)의 토출 방향에는 오목한 제2가이드벽(155)이 제공되며, 상기 제2가이드벽(155)은 입사된 공기를 토출구(13) 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벽(155)에서 상기 토출구(13)의 상단과 상기 제2팬(127)의 주변에서의 토출 유로(P2)의 상단 사이를 연결한 가상의 직선은 수평한 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각도는 10도 이상 예컨대, 10도 내지 80도의 범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토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1)의 블레이드와 상기 토출구(13)의 블레이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다.
도 3,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제2광원부(133)는 제1팬(123)과 대향되는 공기의 흡입 방향 또는 상기 제2팬(127)과 대향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133)는 상기 토출구(13)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구(11)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133)는 상기 필터부(1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133)는 상기 커버(150)의 외측에 배치되고, 일측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133)는 제2발광소자(41), 제2기판(43) 및 반사체(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소자(41)는 제2자외선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상기 제1광보다 짧은 파장의 자외선일 수 있다. 상기 제2자외선 광은 UV-C 파장이거나, 200nm 내지 280nm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 세기를 가지는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소자(41)는 LED 칩이거나 LED 칩을 갖는 패키지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LED 칩은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3)은 하면 또는/및 상면에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3)은 수지 재질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금속 코어를 갖는 PCB(MCPCB, Metal Core PCB), 비연성 기판(nonflexibl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또는 세라믹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소자(41)는 복수로 배치된 경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어, 살균 장소의 전 영역까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광원부(133)로부터 발생된 제2자외선 광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어, 안전 스위치나 안정 모드의 센싱 후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133)의 전 방에는 탈취 모드가 진행된 후 동작되거나, 조사 방향의 인체 여부를 체크한 후 개폐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광원부(133)는 탈취 모드와 별도로 동작될 수 있는 안전 스위치나 안전 버튼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45)는 하부에 상기 제2발광소자(41)가 결합되는 개구부(45A)를 갖고, 상기 개구부(45A)의 둘레에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45)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합금, Cr, Fe, Ni, Cu, Al, A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체(45)는 상기 제2자외선 광의 지향각 분포와 광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2발광소자(41)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체(45)는 상기 제2기판(43)과 접촉되며, 열을 방열하게 된다. 상기 제2기판(43)은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기판(43)의 전면에 상기 제2발광소자(41) 및 반사체(4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43)의 후방에는 커넥터가 배치되거나 방열판(47)과 같은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체(45)는 상기 제2기판(43)과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수단은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49) 또는 접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브라켓(110)의 통풍부(115)는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통풍부(115)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3)를 포함하며, 협소한 공간이나 장소 또는 구조물로부터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통풍부(115)는 일 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면 높이가 점차 낮아질 수 있어, 협소한 공간이나 장소 또는 구조물에 배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커버(150) 내에는 유로 분리막(156)이 배치되며, 상기 유로 분리막(156)의 하부에는 필터부(121) 및 제1팬(123)이 배치될 수 있고, 상부에는 제2팬(127) 및 광촉매필터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분리막(156)은 상기 커버(150)의 후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유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유로 분리막(156)은 통풍구(10)의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게 배치되어, 토출 방향을 낮추어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브라켓(110)의 내부(181)에는 커버(150)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150)와 상기 브라켓(110) 사이의 영역에는 각종 회로 부품(185)이나, 전원공급모듈(18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모듈(183)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브라켓(110)의 소정 영역에는 전원 단자(91)가 노출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91)는 예컨대, 상기 브라켓(110)의 바닥부(119)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브라켓(110)의 소정 영역에는 표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상기 살균 유닛이나 내부에 배치된 모듈들의 각종 동작 상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기 표시부(190)는 상기 브라켓(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와의 접근성 및 정보 제공성이 편리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25)와 제1광원부(131)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제1광원부(131)는 커버(150)의 바닥 상에 배치되고 광촉매필터부(125)는 흡입 및 토출되는 유로(P0)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유로 분리막(156)과 커버(150)의 외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제1광원부(131)는 커버(15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촉매필터부(125)는 상기 흡입 유로와 토출 유로 사이의 경계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분리 방지막과 커버(150)의 외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25)의 설치 공간은 유로 상에 배치되므로, 설치 공간이 증가되지 않을 수 있으며, 흡입되어 토출 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탈취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1광원부(131)는 커버(150)의 외측 하부에 배치되며, 광촉매필터부(125)는 상기 유로 방지막(156)의 단부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시켜 줄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제1광원부(131)는 제2팬(127)의 구조물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팬(127)과 대향되는 영역에 배치된 광촉매필터부(125)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광원부(131)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부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 배치되므로, 제1광원부(131)의 방열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3은 흡입과 토출 방향이 반대로 배치한 구조이며, 커버(150) 상부에 제1팬(123), 하부에 제2팬(127)을 설치하며, 제1팬(123)의 후방에 광촉매필터부(125)를 배치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과 같은 구조에서는 필터부(121)를 생략하여 설명하였으며, 제2광원부(133)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3)가 배치된 통풍부(115)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커버(150)의 외 형상을 보면, 커버(150)는 제1커버(150A)와 제2커버(150B)의 형합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50A)에는 일측면 방향에 흡입구멍(11A) 및 토출구멍(13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멍(11A)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구멍이며, 제1커버(150A)의 하부에서 제2광원부(1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멍(13A)은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멍이며, 상기 제1커버(150A)의 상부에서 상기 제2광원부(13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멍(13A)과 상기 흡입구멍(11A)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 및 토출에 따른 유로 충돌을 줄여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 분리막(156)은 상기 흡입구멍(11A)과 토출구멍(13A)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도 4 및 도 5의 다른 예이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제2광원부(133)는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제2발광소자(4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흡입구(11)의 면적이 더 증가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더 넓은 면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2팬(127)에 의해 토출구(13)의 면적이 수평 방향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탈취 장치는 토출구(13)의 토출 방향에 부재가 오픈된 영역일 때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유로를 변경한 예이다. 도 18과 같이, 부재(201) 내에 배치된 탈취 공간(203)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필터부(51), 광촉매필터부(52)와 제1광원부(53) 및 토출팬인 제2팬(5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54)은 탈취공간(203)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로를 진행하는 공기에 대해 상기 광촉매필터부(52)가 흡입되는 공기에 대해 탈취하게 된다. 상기 부재(201)는 신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장치에서 유로를 변경한 예이다. 도 19과 같이, 탈취 공간의 후방에 필터부(61) 및 제1팬(123)을 배치하여, 후 방향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전 방향으로 토출하게 된다. 이후, 탈취 공간(203)의 외측에 배치된 제2팬(65)에 의해 상기 탈취 공간(203)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팬(65)의 전방이나 흡입 경로에 광촉매필터부(64)가 배치되어 있어, 제2팬(6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광원부(63)는 상기 광촉매필터부(64)에 대해 제1자외선 광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탈취커버의 후방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탈취 공간으로 토출하고, 상기 탈취 공간(203)의 공기는 광촉매필터부(64)를 거쳐 제2팬(65)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신발과 같은 부재(201)의 탈취 공간에 상기 탈취 장치를 결합하게 됨으로써, 흡입 및 토출에 따른 탈취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광원부를 추가로 배치하여, 내부 공간에 대해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100,100A)는 받침대(301)를 포함하거나 상기 받침대(30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탈취장치(100,100A)는 휴대용으로 받침대(301)에 거치되고 탈취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301)는 상부에 오목한 하나 또는 복수의 수납부(311,313)가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311,313)에는 상기 탈취장치(100,100A)의 하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11,313)에는 상기 탈취장치(100,100A)가 세워질 수 있는 깊이로 배치되고 바닥에 평탄할 수 있어, 탈취장치(100,100A)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11,313)에는 전원 단자(321,323)가 배치되어, 상기 탈취장치(100,1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11,313)의 바닥 형상은 상기 탈취 장치(100,100A)의 하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탈취 장치(100,100A)의 안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 장치(100,100A)의 하부에 전원 단자(도 6의 91)를 배치하여, 받침대(301)의 전원 단자(321,323)와의 연결이 편리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11,313)가 복수인 경우, 상기 수납부(313,313)들 사이에는 중간 벽(315)이 배치되어, 상기 탈취장치(100,100A)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탈취장치(100,100A)의 통풍부(115)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어, 통풍구(1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취장치(100,100A)를 배치할 때, 외관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탈취장치는 받침대에 복수로 제공해 줌으로써, 신발과 같이, 2개가 하나의 쌍인 부재나 장소에 효과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3과 같이, 탈취장치(100)는 신발과 같은 부재(20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탈취장치(100)의 통풍부(115)는 상기 부재(201)의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재 내부에 대한 탈취 및 살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탈취장치(100)의 상부에 표시부(190)를 통해 탈취 모드나 살균 모드의 동작이나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의 높이는 탈취 공간을 갖는 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높이로서, 예컨대 50mm 이상이거나, 50mm 내지 200m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의 상부는 상기 부재(201)의 상면에 노출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의 상부 길이는 100mm 이하 예컨대, 60mm 내지 100mm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10)의 하부 길이 또는 바닥 길이는 일 측면 방향으로 향하는 길이로서, 상기 상부 길이보다 클 수 있으며, 상부 길이의 250% 이하 또는 200% 이하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는 상기 부재에 따라 상기 높이 및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4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취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탈취 장치는 흡입부(411), 탈취부(412), 송풍부(413), 살균부(417), 배터리부(431), 전원단자(433), 제어부(420) 및 표시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11)는 탈취 및 살균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탈취부는 흡입된 공기를 탈취하게 되며, 송풍부(413)는 흡입된 공기를 송풍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411) 및 송풍부(413)는 하나의 팬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탈취부(412)는 상기에 개시된 제1광원부 및 광촉매필터부를 포함하며,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417)는 상기에 개시된 제2광원부(133)를 포함하여, 광 조사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부(431)는 전원공급모듈로서, 상기의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해 주게 되며, 전원단자(433)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상기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제어하며, 표시부(190)를 통해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표시부(190)는 탈취장치의 동작 상태, 모드 동작 시간 등의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동작 및 제어 상태를 표시해 주게 된다.
도 25는 발명의 탈취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미리 정해진 공간에 대해 살균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단계451). 이때 살균은 공간 내에 대해 정화나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살균 과정은 탈취 과정과 함께 진행되거나 별도로 진행될 수 있으나, 살균 후 탈취 과정을 진행할 경우, 각종 미생물을 제거한 후 탈취를 수행하여 탈취 효과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이후, 흡입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단계452), 탈취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탈취하게 된다(단계453). 그리고 송풍부를 통해 상기 탈취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단계454). 상기 탈취된 공기는 탈취 공간으로 보내지게 됨으로써, 탈취장치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 예 또는 변형 예들은 서로 조합되거나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갖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일 측면 방향에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브라켓;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팬;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기 위한 제2팬;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 사이에서 탈취하는 광촉매필터부;
    상기 광촉매필터부로 제1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브라켓 내에서 상기 브라켓의 일 측면 방향으로 제2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상기 제1자외선 광의 파장보다 짧은 파장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 및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브라켓의 바닥부 위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의 상부보다 더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토출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광원부의 전방에는 상기 제2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커버가 배치되는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와 수직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광원부와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탈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제1팬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팬을 보호하기 위한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 상기 제1팬, 상기 제2팬 및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갖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내에는 흡입 및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탈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흡입구에 대향되는 흡입 구멍 및 상기 토출구에 대향되는 토출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광원부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 하부에 결합되는 탈취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장치는 하부에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브라켓이 배치되는 탈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브라켓 하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수납부에 전원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 사이에 중간 벽을 포함하는 탈취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전원공급 모듈 및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표시부를 포함하는 탈취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갖는 통풍구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탈취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외선 광은 UV-A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2자외선 광은 UV-C 파장을 가지는 탈취장치.
KR1020180152638A 2018-11-30 2018-11-30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KR10265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38A KR102659371B1 (ko) 2018-11-30 2018-11-30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638A KR102659371B1 (ko) 2018-11-30 2018-11-30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03A KR20200065803A (ko) 2020-06-09
KR102659371B1 true KR102659371B1 (ko) 2024-04-22

Family

ID=7108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638A KR102659371B1 (ko) 2018-11-30 2018-11-30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56A1 (ko) * 2020-08-10 2022-02-17 애터미주식회사 신발 관리 장치
KR102186465B1 (ko) * 2020-10-05 2020-12-03 주식회사 라이벤츠 실내 공기살균용 이중 자외선 파장 살균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63115B1 (ko) * 2020-11-27 2021-06-1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흡착 및 산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79B1 (ko) * 2005-07-01 2006-06-07 무경엔지니어링(주) 공조기를 부가한 공기살균기
KR101920377B1 (ko) 2018-07-26 2018-11-20 추운호 신발 휴대용 살균 및 천연탈취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04B1 (ko) * 2012-03-12 2014-03-12 주식회사 이노베코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KR102166883B1 (ko) * 2014-09-26 2020-10-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39075A (ko) * 2014-09-30 2016-04-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롤 화장지 걸이 일체형 공기 정화기
KR20160098685A (ko) * 2015-02-10 2016-08-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다중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한 공간 살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살균 모듈
KR102636453B1 (ko) * 2016-06-15 2024-02-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탈취 모듈 및 탈취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
KR20180002308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79B1 (ko) * 2005-07-01 2006-06-07 무경엔지니어링(주) 공조기를 부가한 공기살균기
KR101920377B1 (ko) 2018-07-26 2018-11-20 추운호 신발 휴대용 살균 및 천연탈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803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371B1 (ko) 탈취 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JP7411729B2 (ja) 空気清浄機
KR10182623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WO2016089088A1 (en) Multifunctional photocatalytic module
EP3895741B1 (en) Light fixture having a fan and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ality
US20220404045A1 (en) Air cleaner
KR101994906B1 (ko) 블루투스 스피커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200044333A (ko) 정화 장치
KR20210027851A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KR101961730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자유 조립식 평판형 led 등기구
KR101767510B1 (ko) 조명 장치
KR20200099341A (ko) 탈취장치 및 공기정화 장치
KR20050066353A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JP5382622B2 (ja) 空気清浄機
EP3721912B1 (en) Deodorization device
CN211551328U (zh) 照明装置
TW201413169A (zh) 光觸媒照明燈具
KR101615257B1 (ko) 공기조화기
US20240042088A1 (en) Multi-Chambered Ultraviolet Air Sterilizer and Purifier
KR200189202Y1 (ko) 공기 살균기
EP4273462A1 (en) Air conditioner
CN216536212U (zh) 吸顶灯
KR102603940B1 (ko) 공기 정화 장치
US11160896B1 (en) Light blocking apparatus and air purifier
KR102567970B1 (ko) 공기정화 살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