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155B1 -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155B1
KR102659155B1 KR1020180147116A KR20180147116A KR102659155B1 KR 102659155 B1 KR102659155 B1 KR 102659155B1 KR 1020180147116 A KR1020180147116 A KR 1020180147116A KR 20180147116 A KR20180147116 A KR 20180147116A KR 102659155 B1 KR102659155 B1 KR 10265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mg
electromyography
data
electromy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609A (ko
Inventor
이형국
심종헌
최정수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1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Abstract

본 발명은 근전도(electromyogram ; EMG)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무선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여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System for monitoring electromyogram and mathod for measuring electromyogram using it}
본 발명은 근전도(electromyogram ; EMG)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었던 기존의 근전도 측정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측정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종래,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피실험자와 연구자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함으로 인해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각각의 NFC 태그를 통해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고 수집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전도 측정장치는 전기자극 센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근력의 활성도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근전도 측정장치는, 크게 나누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근전도 센서와, 근전도 센서로부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근전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은, 측정대상이 되는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근전도 센서를 각각 부착하고, 각각의 근전도 센서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수집기에서 각각의 근전도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먼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2448호에 따르면, 전도성 섬유로 편성(knitting)된 전도성 영역과 비전도성 섬유로 편성된 비전도성 영역으로 구성된 밴드를 포함하고, 전도성 영역과 비전도성 영역은 밴드에서 동일한 레이어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장시간 사용 시에도 피부 트러블 또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며,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측정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2657호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근전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계측부; 계측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절의 움직임 정보 또는 근육의 활성도 정보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관절의 움직임 정보 또는 근육의 활성도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관절의 움직임 정보뿐만 아니라 근육의 활성도 정보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사람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위치 및 근전도 신호 측정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여러 가지 기술내용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근전도 측정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근전도 센서와 데이터 수집기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근전도의 측정시 전선으로 인한 제약이 많은 불편함이 있고, 측정부위가 많아질수록 부착해야 하는 근전도 센서의 개수도 증가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유선연결로 인한 불편함이 더욱 가중되는 데 더하여, 근전도 측정중에 피측정자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전선이 빠지게 되면 측정결과가 부정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최근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으로 측정이 가능한 근전도 즉정장치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무선 측정장치들은 대부분 고가임으로 인해 원활한 사용에 제약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근전도 측정방법은, 피실험자와 연구자의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측정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로 인해,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도 있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선으로 근전도 측정이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여 기존에 비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근전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근전도 측정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2448호 (2018.09.17.)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2657호 (2016.12.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었던 기존의 근전도 측정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측정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종래,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피실험자와 연구자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함으로 인해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각각의 NFC 태그를 통해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고 수집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근전도 측정부; 및 상기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검출된 각각의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대한 근전도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근전도 측정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근전도 측정부는, 상기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근전도 센서;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 처리부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근전도 측정부의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모듈;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측정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모듈;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근전도 측정부의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처리과정을 통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측정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정보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근전도 측정 및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시에,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근전도나 운동에 대한 분석 및 통계자료를 작성하여 표시하거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부착되는 복수의 NFC 태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NFC 태그를 통하여 자동으로 운동기구를 식별하고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자별, 운동별, 운동기구별, 근육활성별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운동 및 근전도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전도 측정방법에 있어서,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휴대한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입장하면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설치된 NFC 태그를 통해 사용자가 입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근전도 측정을 하고자 하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면 해당 기구에 대한 사용법 및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설명이 상기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표시되는 단계;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근전도 데이터가 측정 및 수집되고 측정결과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운동 종료시 다시 해당 운동기구의 NFC 태그에 접촉하면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부착된 NFC 태그에 다시 접촉하면 사용자가 퇴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에 기재된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운동기구를 변경해가면서 근전도 측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NFC 태그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의 사용자별, 운동기구별, 운동별, 근육활성별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운동, 근전도 및 근육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측정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진단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각각의 NFC 태그를 통해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고 수집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종래,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피실험자와 연구자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함으로 인해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진단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근전도 측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었던 기존의 근전도 측정장치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측정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종래,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피실험자와 연구자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함으로 인해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측정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각각의 NFC 태그를 통해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고 수집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복수의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근전도 측정부(11) 및 근전도 측정부(11)로부터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여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 등의 처리를 행하여 신체 각 부위에 대한 근전도 측정결과를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근전도 측정부(11)는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데이터 처리부(12)는 각각의 근전도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근전도 측정부(11) 및 데이터 처리부(12)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과 같이,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근전도 센서와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단말기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측정 및 사용에 제약이 많은 불편함이 있었던 기존의 근전도 측정장치들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의 근전도 측정부(11)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의 근전도 측정부(11)는,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는 복수의 근전도 센서(21)와, 각각의 근전도 센서(21)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예를 들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처리부(12)나 그 밖의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2) 및 각각의 근전도 센서와 통신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의 데이터 처리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데이터 처리부(12)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근전도 측정부(11)의 각각의 근전도 센서(21)로부터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1)과, 근전도 측정부(11)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 등의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모듈(32)과, 데이터 처리모듈(32)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측정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모듈(33) 및 각각의 모듈 및 데이터 처리부(12)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용의 하드웨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데이터 처리부(12)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 측정부(11)의 각각의 근전도 센서(21)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 등의 미리 정해진 일련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측정결과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별도의 하드웨어를 구성할 필요 없이 보다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2)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성됨으로써, 근전도 측정 및 데이터 수집이 무선으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근전도 데이터 수집이나 운동시 실시간으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어느 부위의 근전도가 높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근전도 측정 및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를 통해 근전도나 운동에 대한 각종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별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처리, 필터 처리 및 이미징 처리 등을 통해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각 근육의 활성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과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종래기술의 내용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당업자가 종래기술의 문헌 등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근전도 측정 및 데이터 수집이 무선으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근전도 데이터 수집이나 운동시 실시간으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하여 어느 부위의 근전도가 높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데 더하여, 측정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운동 및 근전도에 대한 각종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이용하면, 예를 들면, NFC 태그와 같은 무선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운동기구와 연관된 근전도 실험 등을 진행시 자동으로 운동기구를 식별하고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별, 운동별, 운동기구별 등과 같이,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근전도 측정 데이터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운동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이 이루어지는 근전도 측정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은,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휴대한 사용자가 피트니스 센터에 입장하면 NFC 태그를 통해 해당 사용자가 입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근전도 측정을 하고자 하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면 해당 기구에 대한 사용법 및 운동방법 등의 설명이 단말기에 표시되고, 운동을 시작하면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해당 운동시에 대한 근전도 데이터가 측정 및 수집되고 사용자에게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와, 운동 종료시 다시 해당 운동기구의 NFC 태그에 접촉하면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와, 피트니스 센터의 출구에 부착된 NFC 태그에 접촉하면 사용자가 퇴장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는 운동을 하면서 실시간으로 근육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는 것만으로 근전도 데이터가 용이하게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를 변경해가면서 상기한 측정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다양한 운동 및 운동기구에 대한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NFC 태그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각각의 사용자별, 운동기구별, 운동별 등과 같이, 근전도 측정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운동과 근전도 및 근육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전도 센서와 무선통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 피트니스 센터의 각각의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여 근전도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경우에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근전도 센서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통하여 측정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도 측정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근전도 센서와 측정장치가 유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무선측정이 가능한 측정장치의 경우는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진단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전도의 측정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더하여, 예를 들면,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각각의 NFC 태그를 통해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근전도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하고 수집 가능하여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근육 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종래,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시 피실험자와 연구자 2인이 1조가 되어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록함으로 인해 근전도 데이터의 측정 및 수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근전도 진단장치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11. 근전도 측정부
12. 데이터 처리부 21. 근전도 센서
22. 통신모듈 23. 제어모듈
31. 통신모듈 32. 데이터 처리모듈
33. 표시모듈 34. 제어모듈

Claims (8)

  1.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되어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근전도 센서와,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근전도 신호를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 및 상기 통신모듈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근전도 측정부;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근전도 측정부의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과, 상기 근전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근전도 신호에 대하여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모듈과,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측정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모듈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근전도 측정부의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처리, 필터처리, 이미징처리 및 데이터가공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피실험자의 신체 각 부위에 대한 근전도 측정 및 측정결과를 그래픽 인터페이스(GUI)에 기반한 시각적인 형태로 표시하는 동시에,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근전도나 운동에 대한 분석 및 통계자료를 작성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포함하는 정보통신 단말기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부; 및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부착되는 복수의 NFC 태그를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은,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상기 NFC 태그를 각각 설치하여 두고,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설치된 NFC 태그를 통해 사용자의 입장을 자동으로 인식하며, 상기 사용자가 근전도 측정을 하고자 하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면 자동으로 운동기구를 식별하여 해당 기구에 대한 사용법 및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설명이 표시되고, 운동을 시작하면 사용자의 신체 각 부위에 부착된 각각의 근전도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근전도 데이터가 측정 및 수집되어 측정결과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며, 운동 종료시 다시 해당 운동기구의 NFC 태그에 접촉하면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부착된 NFC 태그에 다시 접촉하면 사용자가 퇴장한 것으로 인식하며, 운동기구를 변경해가면서 근전도 측정을 반복 수행하고, 각각의 상기 NFC 태그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의 상기 근전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의 사용자별, 운동기구별, 운동별, 근육활성별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운동, 근전도 및 근육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NFC 태그를 통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자동으로 운동기구를 식별하고 각각의 운동기구별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피실험자에 대하여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근전도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 가능한 동시에,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자별, 운동별, 운동기구별, 근육활성별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별 및 운동별로 운동 및 근전도와 근육 활성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근전도 측정방법에 있어서,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 및 각각의 운동기구에 NFC 태그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휴대한 사용자가 상기 피트니스 센터에 입장하면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설치된 NFC 태그를 통해 사용자가 입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근전도 측정을 하고자 하는 운동기구에 부착된 NFC 태그를 접촉하면 해당 기구에 대한 사용법 및 운동방법을 포함하는 설명이 상기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표시되는 단계;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근전도 데이터가 측정 및 수집되고 측정결과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단계;
    운동 종료시 다시 해당 운동기구의 NFC 태그에 접촉하면 운동을 종료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구에 부착된 NFC 태그에 다시 접촉하면 사용자가 퇴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근전도 측정방법은,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측정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운동기구를 변경해가면서 근전도 측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NFC 태그를 통해 인식된 정보에 근거하여, 측정된 근전도 데이터를 각각의 사용자별, 운동기구별, 운동별, 근육활성별을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에 의해 운동, 근전도 및 근육활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전도 측정방법.
KR1020180147116A 2018-11-26 2018-11-26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KR102659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6A KR102659155B1 (ko) 2018-11-26 2018-11-26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16A KR102659155B1 (ko) 2018-11-26 2018-11-26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09A KR20200061609A (ko) 2020-06-03
KR102659155B1 true KR102659155B1 (ko) 2024-04-19

Family

ID=7108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16A KR102659155B1 (ko) 2018-11-26 2018-11-26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1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09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6874B2 (en) Real-time stress determination of an individual
CN106175747B (zh) 利用导程的差动电压产生导程心电图信号的方法与系统
CN110013249B (zh) 一种便携式可调式的头戴癫痫监测仪
KR101307250B1 (ko) 피검자의 트래머데이터 측정장치
CN103654727A (zh) 一种中医脉象检测系统
CN103793607A (zh) 基于电视系统的家庭健康监测与诊疗系统
JP2017520358A (ja) 生理学的信号検出および解析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23520573A (ja) Eegの記録および分析
CN106901745A (zh) 患者步态分析诊断系统
CN107007270A (zh) 一种便携式终端
KR20160107390A (ko) 심전도 신호 측정장치
US20020091331A1 (en) Electrocardiograph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device
CN106264522A (zh) 一种基于生物电阻抗分析法的无创血糖检测方法及其装置
KR102659155B1 (ko) 근전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방법
KR20170051699A (ko) 건식전극을 이용한 뇌파측정장치
CN103705231B (zh) 动态心电信号捕获方法
KR101338352B1 (ko) 생체신호 화면 표시 방법
CN207870884U (zh) 整合式生理信号采集系统
CN105852847A (zh) 一种心脏及生命体征监护分析系统
CN104287702A (zh) 一种基于手环的女性孕期特征监测系统及方法
CN204133466U (zh) 一种远程无线人体经络信息采集系统
KR20150026083A (ko) 뇌파 영상 분석 장치
CN209437243U (zh) 头戴式脑波仪
CN207055483U (zh) 一种无约束式睡眠状态感知装置
CN204351830U (zh) 慢性病早期电生理检测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