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939B1 - 벽체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홀딩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8939B1 KR102658939B1 KR1020230084733A KR20230084733A KR102658939B1 KR 102658939 B1 KR102658939 B1 KR 102658939B1 KR 1020230084733 A KR1020230084733 A KR 1020230084733A KR 20230084733 A KR20230084733 A KR 20230084733A KR 102658939 B1 KR102658939 B1 KR 1026589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fixing element
- holding device
- section
- deploy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벽체 홀딩 장치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및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을 포함하는, 드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개요소, 및 상기 사이드 면에 연결되고, 쐐기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벽체를 드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전개요소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하 실시 예들은 벽체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시공 현장에서는 외장재의 설치를 위해 또는 각종 시설물(예: 케이블 채널, 공조 덕트, 상하수도 배관 등)의 통과를 위해 벽체를 타공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벽체의 전면과 후면이 동시에 타공될 수 있도록, 사전에 벽체의 전면과 후면은 앵커를 이용해 서로 고정된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공보 제10-2415742호는 강화 소재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고정앵커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벽체의 드릴링과 벽체의 홀딩을 모두 수행하는 벽체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벽체의 드릴링과 벽체의 홀딩을 모두 수행하여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폐기물 낙하 위험을 줄여 작업 안전성을 높인 벽체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제 1 벽 및 제 2벽을 함께 홀딩할 수 있는 벽체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제 1 벽 및 제 2 벽의 드릴링 및 홀딩을 함께하여 작업 횟수를 최소화하는 벽체 홀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및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을 포함하는, 드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개요소, 및 상기 사이드 면에 연결되고, 쐐기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벽체를 드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전개요소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요소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개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개요소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는 상기 드릴과 상기 전자석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 1 벽 및 상기 제 1 벽과 이격된 제 2 벽을 홀딩하는 벽체 홀딩 장치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제 1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축 및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을 포함하는, 드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제 1 고정요소,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보다 상기 제 2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상기 제 1 벽 및 제 2 벽을 드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 또는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일 영역과 접하는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일 영역과 접하는 제 2 전개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전개요소는 전진하여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전진하여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면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와 상기 제 2 고정요소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에 대해서 선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와 상기 제 2 고정요소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고무, 특히 NBR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과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개 가능하고, 상기 제 2 상태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전개요소와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각각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전개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개요소와 상기 제 2 전개요소의 구동을 동기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는 벽체의 드릴링과 벽체의 홀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는 벽체의 드릴링과 벽체의 홀딩을 모두 수행하여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폐기물 낙하 위험을 줄여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는 제 1 벽 및 제 2벽을 함께 홀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는 제 1 벽 및 제 2 벽의 드릴링 및 홀딩을 함께하여 작업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확대한 모습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 홀딩 장치(1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확대한 모습이다.
건설 현장을 비롯한 산업 현장에서, 현장 작업 인력이 고소작업용 이동체에서 벽체를 타공하고 탈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은 어렵고 위험한 작업으로 분류된다. 벽체는 제 1 벽(W1) 및 제 1 벽(W1)과 이격된 제 2 벽(W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을 동시에 타공하는 것이 작업 횟수 감소, 작업 시간 감소, 및 타공 정확도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을 동시에 타공하는 경우 원치 않게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의 일부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타공 작업을 방해할 수 있고, 낙하하는 폐기물이나 부산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을 타공하기 이전에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을 홀딩함으로써, 타공 도중에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의 일부가 원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벽체 홀딩 장치(10)는 벽체를 드릴링하고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벽체 홀딩 장치(10)는 제 1 벽(W1) 및 제 1 벽(W1)과 이격된 제 2 벽(W2)을 함께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벽체 홀딩 장치(10)는 하우징(100), 드릴(200), 전개요소(300), 고정요소(400), 전달요소(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개요소(300)는 제 1 전개요소(310) 및 제 2 전개요소(3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개요소(310)와 제 2 전개요소(320)는 그 구조와 기능이 동일/유사할 수 있다. 고정요소(400)는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고정요소(410)와 제 2 고정요소(420)는 그 구조와 기능이 동일/유사할 수 있다. 전달요소(500)는 제 1 전달요소(501) 및 제 2 전달요소(5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달요소(501)와 제 2 전달요소(502)는 그 구조와 기능이 동일/유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제 1 면(101), 제 1 면(101)에 반대되는 제 2 면(102), 및 상기 제 1 면(101)과 상기 제 2 면(102)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드릴(200)의 적어도 일부, 전개요소(300), 및 고정요소(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릴(200)은 축(201) 및 드릴 선단(20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릴(200)은 벽체를 드릴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아가 제 1 벽(W1) 및 제 2 벽(W2)을 드릴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축(201)은 하우징(100)에 수용되어 제 1 방향(예: 도 1의 +/-X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벽체를 드릴링하는 방향은 제 1 방향과 일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축(201)은 제 1 면(101)을 관통할 수 있고, 축(201)의 단부에는 드릴 선단(202)이 연결될 수 있다. 드릴 선단(202)의 직경은 축(201)의 단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드릴 선단(202)은 회전함으로써 벽체를 드릴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릴 선단(202)은 보링 비트 또는 홀쏘 비트일 수 있다. 드릴 선단(202)은 제 1 면(101)으로부터 하우징(100)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드릴(200)은 축(201) 및 드릴 선단(202)을 회전시키는 구동요소(20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요소(203)는 축(201)과 함께 드릴 선단(202)을 회전하여 벽체를 드릴링할 수 있다. 드릴(200)이 벽체를 드릴링할 때 생성되는 폐기물이나 부산물은 제 1 면(101)에 가로막혀 하우징(100) 내부로 침입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전개요소(310)는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개요소(310)는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은 각각, 축(2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통홀을 가진 실린더일 수 있다. 제 1 섹션(311)의 직경은 제 2 섹션(31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전개요소(310)는 제 1 고정요소(410)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제 1 전개요소(310)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개요소(320)는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개요소(320)는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은 각각, 축(20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관통홀을 가진 실린더일 수 있다. 제 1 섹션(321)의 직경은 제 2 섹션(32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개요소(320)는 제 2 고정요소(420)의 일 영역과 접할 수 있다. 제 2 전개요소(320)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전개요소(310) 및 제 2 전개요소(320)는 제 1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제 1 전개요소(310)에서,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간접적 연결이란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또 다른 섹션을 통한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개요소(320)에서도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은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요소(400)는 사이드 면(103)에 연결될 수 있고,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1 고정요소(410)보다 제 2 면(10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요소(400)는 쐐기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요소(400)는 쐐기 모양의 단면으로 인해 경사진 관통홀을 가지는 도넛 모양일 수 있다. 제 1 전개요소(310)가 전진하여 제 1 고정요소(4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될 수 있다. 제 2 전개요소(320)가 전진하여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4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방향에 수직하면서 제 1 고정요소(410)와 제 2 고정요소(420)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 1 축(예: 도 1에서, 제 1 축(C1))에 대해서 선대칭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개요소(310)와 제 2 전개요소(320)를 제 1 축(C1)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어 벽체 홀딩 장치(10)의 제 1 방향의 길이를 감소시켜 공간활용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요소(40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전개요소(300)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예: 도 1에서, +/-Z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요소(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고정요소(400)의 제 2 방향으로 전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요소(500)는 전개요소(300)와 고정요소(400) 사이에 배치되어 전개요소(300)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고정요소(400)에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달요소(501)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전달요소(502)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축(C1)에 대해서 선대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전달요소(501)는 제 1 섹션(311) 및/또는 제 2 섹션(312)에 부착되어 제 1 전달요소(501)와 제 1 섹션(311) 및/또는 제 2 섹션(312) 사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전달요소(501)의 형상은 제 1 전개요소(310)와 제 1 고정요소(41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달요소(501)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관통홀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달요소(502)는 제 1 섹션(321) 및/또는 제 2 섹션(322)에 부착되어 제 2 전달요소(502)와 제 1 섹션(321) 및/또는 제 2 섹션(322) 사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전달요소(502)의 형상은 제 2 전개요소(320)와 제 2 고정요소(42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전달요소(502)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관통홀을 가지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10)는 드릴(200)과 전개요소(30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10)는 제 1 전개요소(310) 및 제 2 전개요소(32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700)는 제 1 전개요소(310)와 제 2 전개요소(320)의 구동을 동기화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전개요소(310)는 제 1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및/또는 축(201)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은 제 1 섹션(311)이 제 2 섹션(312)을 향하는 방향(예: 도 2에서, +X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 1 섹션(311)의 전개로 제 2 섹션(312)은 축(20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의 전개 및 제 1 섹션(311)과 연결된 제 2 섹션(31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 1 전개요소(310)가 전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개요소(320)는 제 1 방향으로 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00) 및/또는 축(201)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은 제 1 섹션(321)이 제 2 섹션(322)을 향하는 방향(예: 도 2에서, -X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 1 섹션(321)의 전개로 제 2 섹션(322)은 축(20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의 전개 및 제 1 섹션(321)과 연결된 제 2 섹션(32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 2 전개요소(320)가 전진될 수 있다.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제 1 전개요소(310)는 제 1 방향으로 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은 제 2 섹션(312)이 제 1 섹션(311)을 향하는 방향(예: 도 2에서, -X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 1 섹션(311)과 제 2 섹션(312)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 1 섹션(311)의 전개 및 제 1 섹션(311)과 연결된 제 2 섹션(31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 1 전개요소(310)가 후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개요소(320)는 제 1 방향으로 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은 제 2 섹션(322)이 제 1 섹션(321)을 향하는 방향(예: 도 2에서, +X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 1 섹션(321)과 제 2 섹션(322)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제 1 섹션(321)의 전개 및 제 1 섹션(321)과 연결된 제 2 섹션(32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 2 전개요소(320)가 후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고정요소(400)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고정요소(4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힘을 받아 팽창될 수 있고,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힘을 받아 팽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은 제 1 방향에 대해 경사진 제 1 사이드(421),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벽체에 인접한 제 2 사이드(422), 및 제 2 사이드(422)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3 사이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사이드(423)는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제 2 고정요소(420)를 하우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420)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힘을 전달받아 변형되었다가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요소(410)도 유사하게 제 1 사이드, 제 1 방향에 평행하고 벽체에 인접한 제 2 사이드, 및 제 2 사이드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3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사이드는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제 1 고정요소(410)를 하우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410)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고정요소(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S1)와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S2) 사이에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상태(S1)에서 제 1 사이드(421)는 제 2 전달요소(502)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상태(S1)에서 제 2 전개요소(320)는 후진된 상태이다. 제 2 고정요소(420)가 탄성체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는, 탄성체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제 2 상태(S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요소(4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S1)와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S2) 사이에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상태(S1)에서 제 1 사이드는 제 1 전달요소(501)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상태(S1)에서 제 1 전개요소(310)는 후진된 상태이다. 제 1 고정요소(410)가 탄성체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는, 탄성체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제 2 상태(S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상태(S2)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상태(S2)에서,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1 전달요소(501) 및 제 2 전달요소(502)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제 1 전달요소(501) 및 제 2 전달요소(502)는 제 2 섹션(312) 및 제 2 섹션(322)에 각각 부착되어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상태(S2)에서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2 섹션(312) 및 제 2 섹션(322)와 각각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전달요소(500)와 무관하게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가 제 2 섹션(312) 및 제 2 섹션(322)과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였듯, 제 1 섹션(311)이 전개되면 제 2 섹션(312)이 슬라이딩되어 제 1 전개요소(310)가 전진될 수 있고, 제 1 섹션(321)이 전개되면 제 2 섹션(322)이 슬라이딩되어 제 2 전개요소(320)가 전진될 수 있다. 제 1 전달요소(501) 및 제 2 전달요소(502)는 각각의 제 1 전개요소(310) 및 제 2 전개요소(320)와 함께 전진될 수 있다. 제 1 전달요소(501) 및 제 2 전달요소(502)는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에 각각 접촉되고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는 상기 전달된 힘에 의해 제 2 방향으로 전개되어, 제 1 고정요소(410) 적어도 일 영역 및 제 2 고정요소(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각각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410)는 제 1 고정요소(4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하여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팽창하여 사이드 면(103)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 고정요소(410) 및 제 2 고정요소(420)는 각각 제 2 상태(S2)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요소(410) 적어도 일 영역 및 제 2 고정요소(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각각 벽체의 적어도 일부를 압박하여 벽체를 홀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고정요소(42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 2 사이드(42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태(S2)에서, 제 2 사이드(422)의 적어도 일부는 호 모양(예: 도 4의 제 2 사이드(42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고정요소(420)가 탄성체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는, 제 2 상태(S2)에서 탄성체가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2 사이드(422)의 적어도 일부는 호 모양(예: 도 4의 제 2 사이드(422))으로 변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요소(410)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 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상태(S2)에서, 제 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호 모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고정요소(410)가 탄성체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서는, 제 2 상태(S2)에서 탄성체가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 2 사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호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반면에,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3 사이드(423)가 하우징(100)에 연결되어 제 2 고정요소(42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1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420)가 제 1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도록 하면, 제 2 전달요소(502)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제 2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에 집중되어 효율적일 수 있고, 제 2 고정요소(420)가 제 1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아 벽체 홀딩 장치(10)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 2 고정요소(420)의 단면은 제 3 사이드(423)에 반대되고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4 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사이드는 하우징(100)과 연결되어 고정요소(400)를 하우징(100)에 고정할 수 있다. 제 3 사이드(423) 및 제 4 사이드가 하우징(100)과 연결된 경우, 제 3 사이드(423)만 하우징(100)에 연결한 경우보다 제 2 고정요소(420)가 제 1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리한 효과는 제 1 고정요소(410)에서도 유사한 메커니즘으로 마찬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제 1 전달요소(501) 없이, 제 2 섹션(312)이 직접 제 1 고정요소(410)와 접촉될 수 있다. 제 1 전개요소(310)가 전진되면 제 2 섹션(312)이 제 1 고정요소(410)에 힘을 전달하여 제 1 고정요소(410)를 제 2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전달요소(502) 없이, 제 2 섹션(322)이 직접 제 2 고정요소(420)와 접촉될 수 있다. 제 2 전개요소(320)가 전진되면 제 2 섹션(322)이 제 2 고정요소(420)에 힘을 전달하여 제 2 고정요소(420)를 제 2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10)가 제 1 고정요소(410)와 제 2 고정요소(42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 1 고정요소(410)는 제 1 벽(W1)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제 1 벽(W1)의 적어도 일부를 압박하여 홀딩할 수 있고, 제 2 고정요소(420)는 제 2 벽(W2)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여 제 2 벽(W2)의 적어도 일부를 압박하여 홀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벽(W1)과 제 2 벽(W2)를 함께 홀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벽체 홀딩 장치(10)는 제 3 고정요소, 제 3 전개요소, 및 제 3 전달요소를 더 포함하여 제 1 벽, 제 2 벽, 및 제 3 벽을 함께 홀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던 벽체 홀딩 장치(10)는 벽체의 드릴링과 벽체의 홀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작업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폐기물 낙하 위험을 줄여 작업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벽체 홀딩 장치(10)는 제 1 벽(W1) 및 제 2벽을 함께 홀딩할 수 있어 작업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 벽체 홀딩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및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을 포함하는, 드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개요소; 및
상기 사이드 면에 연결되고, 쐐기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벽체를 드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개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전개요소의 전후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된,
벽체 홀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경사진,
벽체 홀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개 가능한,
벽체 홀딩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제 2 상태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요소는 전자석으로 구성된,
벽체 홀딩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과 상기 전자석에 동력을 제공하는 전원;
을 더 포함하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1 벽 및 상기 제 1 벽과 이격된 제 2 벽을 홀딩하는, 벽체 홀딩 장치에 있어서,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반대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어 제 1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는 축 및 상기 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바깥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을 포함하는, 드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제 1 고정요소;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보다 상기 제 2 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고정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드릴은, 상기 제 1 벽 및 제 2 벽을 드릴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 또는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는 제 2 방향으로 전개 가능하도록 구성된,
벽체 홀딩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일 영역과 접하는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일 영역과 접하는 제 2 전개요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벽체 홀딩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개요소는 전진하여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전진하여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팽창시키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하면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와 상기 제 2 고정요소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에 대해서 선대칭인,
벽체 홀딩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와 상기 제 2 고정요소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과 상기 제 2 고정요소의 적어도 일 영역은,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은 제 1 상태 및 상기 사이드 면 바깥으로 돌출된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개 가능하고,
상기 제 2 상태에서 벽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벽체 홀딩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개요소와 상기 제 2 전개요소는 각각 전자석으로 구성된,
벽체 홀딩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개요소 및 상기 제 2 전개요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개요소와 상기 제 2 전개요소의 구동을 동기화하여 제어하는,
벽체 홀딩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733A KR102658939B1 (ko) | 2023-06-30 | 2023-06-30 | 벽체 홀딩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4733A KR102658939B1 (ko) | 2023-06-30 | 2023-06-30 | 벽체 홀딩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58939B1 true KR102658939B1 (ko) | 2024-04-19 |
Family
ID=9088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4733A KR102658939B1 (ko) | 2023-06-30 | 2023-06-30 | 벽체 홀딩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893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3904A (ko) * | 2003-10-27 | 2006-10-04 | 아틀라스 코프코 마이 게엠베하 | 탄성 팽창 외피를 구비한 앵커 장치 |
KR20080038276A (ko) * | 2005-05-27 | 2008-05-06 |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 토양 또는 암반 물질내에 홀을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2023
- 2023-06-30 KR KR1020230084733A patent/KR1026589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3904A (ko) * | 2003-10-27 | 2006-10-04 | 아틀라스 코프코 마이 게엠베하 | 탄성 팽창 외피를 구비한 앵커 장치 |
KR20080038276A (ko) * | 2005-05-27 | 2008-05-06 | "알바크" 투넬아우스바우 게젤샤프트 엠베하 | 토양 또는 암반 물질내에 홀을 드릴링, 특히 충격식 드릴링또는 회전 충격식 드릴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O20055707L (no) | Ekspansjonsinnretning for a utvide et ror | |
CA2087424C (en) | Rock bolt system and method of bolting | |
ES2130788T3 (es) | Metodo de crear una tuberia de revestimiento en un agujero perforado. | |
CA2280338A1 (en) | Ram device | |
AR064291A2 (es) | Proceso para completar un pozo subterraneo | |
KR102658939B1 (ko) | 벽체 홀딩 장치 | |
KR100298373B1 (ko) | 단열판고정용고정요소와그고정방법및고정장치 | |
DE60235410D1 (de) | Schutzhülse für gewindeverbindungen für eine ausdehnbare liner-aufhängvorrichtung | |
ES2133161T3 (es) | Procedimiento para remachado ciego, remache ciego con seccion de expansion y dispositivo para realizar el procedimiento. | |
JPS6021249B2 (ja) | 拡開アンカ | |
SE7713438L (sv) | Tapp med expanderhylsa och expanderkropp | |
ES2055942T3 (es) | Broca para la realizacion de los taladros de perforacion cilindricos. | |
ES2025750T3 (es) | Taco expansible para su anclaje dentro de los taladros de perforacion con destalonamiento. | |
DE59803200D1 (de) | Tunnelbohrmaschine | |
RU2735594C2 (ru) | Скважинное клин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 |
SE8903859D0 (sv) | Bohrmaschine zum bohren von grossbohrloechern in gestein, insbesondere zum einsatz unter tage | |
KR102328749B1 (ko) | 확공용 굴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굴착 방법 | |
WO2018038289A1 (ko) | 수압을 이용하여 암반절개를 위한 실린더형 패커 | |
ES2066947T3 (es) |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on de los taladros de perforacion con destalonamiento. | |
EP1749144B1 (en) | Rock bolting method and rock bolt | |
BR9610300A (pt) | Método para transferência de enrgia de impacto de uma unidade de martelamento, ferramenta de perfuração e broca de rocha | |
SE9700590L (sv) | Bultförband | |
CA2444776A1 (en) | Drilling system with expandable sleeve | |
JP2011196548A (ja) | 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並びに打込み力発生装置 | |
SE9500621L (sv) | Bidirectional drilling and blasting method and charge hole drilling used theref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