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03B1 -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03B1
KR102658703B1 KR1020230012256A KR20230012256A KR102658703B1 KR 102658703 B1 KR102658703 B1 KR 102658703B1 KR 1020230012256 A KR1020230012256 A KR 1020230012256A KR 20230012256 A KR20230012256 A KR 20230012256A KR 102658703 B1 KR102658703 B1 KR 10265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ember
coding
member model
teaching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한
Original Assignee
김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한 filed Critical 김진한
Priority to KR102023001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은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편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교육을 받는 청소년 등과 같은 수강생들은 획일화된 코딩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DESIGN DRAWINGS GENERATION SYSTEMS FOR TEACHING AIDS FOR CODING EDUCATION}
본 발명은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이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은 정보통신기술(ICT)이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은 코딩(coding)을 기반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들의 코딩 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는 2017년 중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했으며, 2019년에는 초등 고학년 코딩 교육을 의무화하였다.
현재 청소년 코딩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가르칠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학교에서 코딩 교육이 의무화되면서 사교육 시장에서는 코딩 교육 과정이 우후죽순 생성되었다. 그런데 전문적인 코딩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코딩 교육은 너무 비싸고, 가격이 싼 코딩 교육은 전문성이 너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문제로는 코딩 교육이 획일화된다는 점이다. 코딩 교육의 핵심은 창의성에 있다. 그런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코딩 교육은 제한적 창의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 100명의 강사가 있더라도 동일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결국 제공되는 코딩 교육은 대동소이 할 뿐이다. 특히, 코딩 교육 강사의 전문성이 낮을 경우에는 창의성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코딩은 최종 결과물로 가는 방법이 다양한데, 전문성이 낮은 코딩 교육 강사는 하나의 정해진 방법만 가르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이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편하게 설계할 수 있는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은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간편하게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은, 교구의 뼈대와 외형을 이루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 및 교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조립부재 모델이 저장된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 상기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로부터 상기 골격 조립부재 모델 및 회로 조립부재 모델을 불러와 설계하려는 교구의 형태에 맞춰 편집하는 조립부재 모델 편집모듈; 설계하려는 교구의 형태에 맞춰 편집하는 조립부재 모델 중 서로 맞닿아 있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에 결합부를 생성하는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 및 결합부가 생성된 조립부재 모델을 설계도로 출력하는 설계도 출력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이 생성하는 결합부는 요철(凸凹)이며, 서로 인접하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은 요철(凸凹)에 의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 모델은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지도록 결합부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골격 조립부재 모델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는, 교구의 뼈대와 외형을 이루는 골격 조립부재; 및 교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조립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맞닿는 상기 골격 조립부재는 요철(凸凹)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되,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결합 부분에는 서로 맞닿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요철을 서로 끼워준 후에 고정홀에 핀을 꽂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은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편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딩 교육을 받는 청소년 등과 같은 수강생들은 획일화된 코딩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코딩 교육용 교구를 구성하는 조립부재들은 서로 요철(凸凹)에 의해 결합되며, 특히 서로 다른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코딩 교육용 교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지므로 마치 직소퍼즐(jigsaw puzzle)처럼 서로 대응하는 요철(凸凹)을 가지고 있는 조립부재만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코딩 교육용 교구는 수강생이 설명서 없이도 교구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통해 획일화된 종래의 코딩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코딩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려는 코딩 교육용 교구 중 하나의 예시로서,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작하기 위한 코딩 교육용 교구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모듈"이나 "노드"는 CPU, AP 등과 같은 연산 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이동, 저장, 변환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모듈"이나 "노드"는 서버,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강사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스피커를 설계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블루투스 스피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10)은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 예컨대 대학생들이나 대학원생들이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간편하게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10)은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 조립부재 모델 편집모듈(2),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 및 설계도 출력모듈(4)을 포함한다.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에는 원, 부채꼴 및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와 기판, 배선, 스피커, 모터, 통신유닛 및 램프 등의 회로 조립부재 모델이 저장되어 있다. 즉,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은 코딩 교육용 교구를 제작하기 위한 각각의 요소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에는 골격 조립부재의 재질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골격 조립부재의 재질로는 MDF, 조립부재, 3D 프린트용 고분자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에는 회로 조립부재 모델의 제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스피커라면 소비전력, 출력, 모델명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조립부재 편집모듈(2)은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1)에 저장되어 있는 조립부재 모델을 불러와 편집한다. 조립부재 편집모듈(2)은 조립부재 모델의 공간상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회전시킨다. 또한, 조립부재 편집모듈(2)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모양을 변경한다는 것은 원을 타원으로 만들거나, 부채꼴의 중심각의 내각 변경하거나, 다각형의 각 변의 길이의 비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조립부재 편집모듈(2)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을 굴곡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입체형 골격 조립부재 모델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처럼 골격 조립부재 모델을 굴곡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해당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재질은 3D 프린트용 고분자로 고정된다. 골격 조립부재 모델과 달리 회로 조립부재 모델은 크기와 모양의 변경이 불가능하며, 강사가 자신의 원하는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동일한 종류의 다른 회로 조립부재 모델을 선택하여 변경하여야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사는 조립부재 편집모듈(2)을 이용하여 제1골격 조립부재 모델(10a ~ 10f)과 스피커(S) 및 기판(20)을 불러오고,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자신이 개발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의 형태에 맞춰 배치하게 된다.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이 서로 맞닿아 있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에 결합부를 생성한다. 제조하려는 코딩 교육용 교구를 구성하는 조립부재들은 서로 요철(凸凹)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즉, 수강생은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지 않고 조립부재를 서로 끼워줌으로써 코딩 교육용 교구를 조립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6골격 조립부재 모델(10a ~ 10f)과 스피커(S) 및 기판(20)가 개발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스피커의 형태에 맞춰 배치되어 있으며,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이 제1 내지 제6골격 조립부재 모델(10a ~ 10f)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요철(C1-G1, C2-H2 등)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여 결합된 상태로 변환하게 된다.
특히,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은 제1 내지 제6골격 조립부재 모델(10a ~ 10f)은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 모델은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지도록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다는 것이다. 예컨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골격 조립부재 모델(10a)와 제2골격 조립부재 모델(10b)의 결합부인 제1요철(C1-G1)과 제1골격 조립부재 모델(10a)와 제3골격 조립부재 모델(10c)의 결합부인 제2요철(C2-G2)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이 된다. 그러므로 스피커(S)가 위치한 곳을 정면이라고 할 때 제2골격 조립부재 모델(10b)은 제1골격 조립부재 모델(10a)의 우측에 결합되고, 제3골격 조립부재 모델(10c)은 제1골격 조립부재 모델(10a)의 상부측에 결합될 수밖에 없다. 즉,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코딩 교육용 교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지므로 마치 직소퍼즐(jigsaw puzzle)처럼 서로 대응하는 요철(凸凹)을 가지고 있는 조립부재만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결국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설계된 코딩 교육용 교구는 수강생이 설명서 없이도 교구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수강생의 공간지각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결합부에 그 결합부를 고정하기 위한 핀이 끼워지는 고정홀(H)이 형성된다. 고정홀(H)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다만 복수의 고정홀(H)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3)이 결합부와 고정홀을 생성하게 되면, 설계도 출력모델은 결합부를 반영하여 코딩 교육용 교구의 설계도를 출력하게 된다. 설계도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재질의 종류에 따라 묶어서 출력되며, MDF 또는 종이 재질의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경우 여백이 최소가 되도록 골격 조립부재 모델을 배치하여 설계도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면 코딩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강사들은 각각 자신들의 자체 컨텐츠에 필요한 코딩 교육용 교구를 쉽고 편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딩 교육을 받는 청소년 등과 같은 수강생들은 획일화된 코딩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창의적인 코딩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려는 코딩 교육용 교구 중 하나의 예시로서,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작하기 위한 코딩 교육용 교구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코딩 교육용 교구(100)는 교구의 뼈대와 외형을 이루는 골격 조립부재(10a ~ 10f)와 교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조립부재(S 등)을 포함하며,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10a ~ 10f)는 요철(凸凹)의 끼움결합(C1-G1, C2-H2)(다른 요철에 경우 부호 생략)에 의해 결합된다. 특히,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에 의해 결합되며, 여기서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골격 조립부재 (10a)와 제2골격 조립부재(10b)의 결합부인 제1요철(C1-G1)과 제1골격 조립부재 (10a)와 제3골격 조립부재(10c)의 결합부인 제2요철(C2-G2)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이 된다. 코딩 교육용 교구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을 가지므로 마치 직소퍼즐(jigsaw puzzle)처럼 서로 대응하는 요철(凸凹)을 가지고 있는 조립부재만이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딩 교육용 교구는 수강생이 설명서 없이도 교구를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수강생의 공간지각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결합 부분에는 핀(P)이 끼워지는 고정홀(H)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의 서로 맞닿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고정홀(H)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요철을 서로 끼워준 후에 고정홀(H)에 핀(P)을 꽂아주면 코딩 교육용 교구가 완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코딩 교육용 교구를 설계하기 위한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으로서,
    교구의 뼈대와 외형을 이루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 및 교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조립부재 모델이 저장된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
    상기 조립부재 모델 저장모듈로부터 상기 골격 조립부재 모델 및 회로 조립부재 모델을 불러와 설계하려는 교구의 형태에 맞춰 편집하는 조립부재 모델 편집모듈;
    설계하려는 교구의 형태에 맞춰 편집하는 조립부재 모델 중 서로 맞닿아 있는 골격 조립부재 모델에 결합부를 생성하는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 및
    결합부가 생성된 조립부재 모델을 설계도로 출력하는 설계도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이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 모델이라면 각각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凹凸)을 가지도록 하면서, 인접한 골격 조립부재 모델 간에만 서로의 요철(凹凸)구조가 맞물려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자동으로 형성하는 것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인,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조립부재 모델 결합부 생성모듈은 골격 조립부재 모델의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골격 조립부재 모델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을 생성하는,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6. 교구의 뼈대와 외형을 이루는 골격 조립부재; 및
    교구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 조립부재;를 포함하며,
    서로 맞닿는 상기 골격 조립부재는 요철(凸凹)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조립부재는 서로 다른 골격 조립부재 모델이라면 각각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凹凸)을 가지도록 하면서, 인접한 골격 조립부재 모델 간에만 서로의 요철(凹凸)구조가 맞물려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항의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에 의해 제작된 것인,
    코딩 교육용 교구.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의 요철(凸凹)이라는 것은 요철의 모양,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인,
    코딩 교육용 교구.
  8. 제6항에 있어서,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결합 부분에는 서로 맞닿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고, 서로 맞닿는 골격 조립부재의 요철을 서로 끼워준 후에 고정홀에 핀을 꽂아 고정하는,
    코딩 교육용 교구.
KR1020230012256A 2023-01-31 2023-01-31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KR10265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256A KR102658703B1 (ko) 2023-01-31 2023-01-31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256A KR102658703B1 (ko) 2023-01-31 2023-01-31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03B1 true KR102658703B1 (ko) 2024-04-18

Family

ID=9084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256A KR102658703B1 (ko) 2023-01-31 2023-01-31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893A (ko) * 2009-10-02 2012-07-26 레고 에이/에스 실시간 렌더링을 위한 연결 의존적 기하학적 형상 최적화
KR20120136897A (ko) * 2011-06-10 2012-12-20 (주)로보티즈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봇 조립 장치
KR20210066367A (ko) * 2019-11-28 2021-06-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컬 컴퓨팅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코딩 교육 교재 및 이를 활용한 코딩 교육 방법
JP7122584B1 (ja) * 2022-02-17 2022-08-22 株式会社G-ant ブロックオブジェクトの設計図を出力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893A (ko) * 2009-10-02 2012-07-26 레고 에이/에스 실시간 렌더링을 위한 연결 의존적 기하학적 형상 최적화
KR20120136897A (ko) * 2011-06-10 2012-12-20 (주)로보티즈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로봇 조립 장치
KR20210066367A (ko) * 2019-11-28 2021-06-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지컬 컴퓨팅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코딩 교육 교재 및 이를 활용한 코딩 교육 방법
JP7122584B1 (ja) * 2022-02-17 2022-08-22 株式会社G-ant ブロックオブジェクトの設計図を出力す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xman Digital architecture as a challenge for design pedagogy: theory, knowledge, models and medium
Boy From STEM to STEAM: toward a human-centred education, creativity & learning thinking
Sendler The internet of things: Industrie 4.0 unleashed
Chandramouli et al. A fun-learning approach to programming: An adaptive Virtual Reality (VR) platform to teach programming to engineering students
Sharma et al. Innovative training framework for additive manufacturing ecosystem to accelerate adoption of three-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ies
Walter-Herrmann et al. Notes on fablabs
Fasoli et al. Engaged by design: The role of emerging collaborative infrastructures for social development. Roma makers as a case study
Chun A study on the impact of 3D prin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n education and learning process
KR102658703B1 (ko) 코딩 교육용 교구 설계도 생성 시스템
Lee et al. Mathematics, art and 3D-printing in STEAM education
Burnard et al. Introduction: The imperative of diverse musical creativities in academia and industry
Marsh et al. Making the moomins: A Finnish/English adventure
Boy From STEM to STEAM
Albion If this is the second coming of coding will there be rapture or rejection?
Riel et al. Fundamental Concepts of 3D Turtle Geometry
Wargo et al. Making futures, composing worlds: Examining young children’s making as speculative design
Diefes-Dux et al. Mathematical modeling at the intersec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art, and engineering education
Christenson Beginning design technology
Farrelly Education for a sustainabl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erschin et al. Integrated parametric design and production planning: a luminaire design case study
Curtis Practical applications of postmodern theory for promoting learner autonomy in a foundation studies program
Scott Computer-mediated art education: extending the paradigm of computer art
KR102383898B1 (ko) 교육용 실습 모듈
YADAV CHAPTER ONE ARCHITECTURAL DESIGN PEDAGOGY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 OVERVIEW
Hui et al. Digital Integration: Synthesizing Poetic Possibilities and Pragmatic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