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740B1 -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740B1
KR102657740B1 KR1020210033483A KR20210033483A KR102657740B1 KR 102657740 B1 KR102657740 B1 KR 102657740B1 KR 1020210033483 A KR1020210033483 A KR 1020210033483A KR 20210033483 A KR20210033483 A KR 20210033483A KR 102657740 B1 KR102657740 B1 KR 10265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de portion
upper side
carrier structure
food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836A (ko
Inventor
조문철
Original Assignee
조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철 filed Critical 조문철
Priority to KR102021003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74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03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 B65D71/0007Tray-like 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several articles, e.g. bottles, tins, jars without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 B65D5/46096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closure flaps, by closure flaps or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 a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28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 B65D71/3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characterised by the handles formed by finger-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조립되어 음식이 포장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층하여 운반할 수 있고, 음료 컵 등을 수용하는 보조 수용부재(4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활용성이 우수한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제1용기(100)가 안착되되 양단에 제1접힘부(11a, 11b)가 각각 형성된 바닥부(10); 상기 바닥부(10)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접힘부(11a, 11b)를 따라 상기 바닥부(10)의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려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한 제1수용공간(25)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용기(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관통부(21)가 형성된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 및 일단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 가능한 제1상측부(30a) 및 제2상측부(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CARRIER STRUCTURE FOR FOOD PACKAGING CONTAINERS}
본 발명은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신속하게 조립 가능하여 음식이 포장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 다수의 포장용기를 적층하여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인가구의 증가와 바쁜 현대인들의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간편식을 즐기는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야외나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간편하게 주문하여 섭취할 수 있는 배달 음식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달 음식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포장용기에 포장하여야 하고, 이러한 음식물 포장용기는 일반적으로 비닐봉지에 넣어 운반하게 된다.
특히 배달 음식은 메인 메뉴뿐만 아니라 국, 소스, 사이드 메뉴 등과 함께 구성될 수 있어 이를 수용하는 다양한 사이즈의 용기를 일반 상자에 넣어 운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편리하게 비닐봉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닐봉지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짧은 시간 내에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어 최근에는 비닐봉지의 퇴출이 요구되고 있으나, 최근 배달 음식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비닐봉지의 사용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샌드위치, 토스트, 햄버거, 케이크 등의 디저트와 커피 등의 음료의 포장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디저트 및 음료의 운반을 위해서는 하나의 비닐봉지에 넣어 포장해야 하므로 비닐봉지의 사용을 증가시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음식과 더불어 음료가 동시에 수용되어 친환경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포장체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 손으로 식품용기를 담을 수 있는 캐리어가 게시되었으나, 상대적으로 큰 부피로 이루어지므로 보관이 어렵거나 조립이 복잡하여 번거로운 한계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412호(2018.05.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용기를 적층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용기를 한손에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조립 작업 없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음식 용기뿐만 아니라 국이나 컵 용기 등을 수용 가능하도록 보조 수용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비닐 재료가 아닌 종이 등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제1용기가 안착되되 양단에 제1접힘부가 각각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접힘부를 따라 상기 바닥부의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려 상기 제1용기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이 일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관통부가 각각 형성된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및 일단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상측부 및 제2상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는, 상기 제1용기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여 상기 제1용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관통부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1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는, 상기 제1관통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을 향해 서로 대칭되도록 접히면서 상기 제1용기의 측면을 지지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공간은 복수의 제1용기가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는, 상기 제1관통부에서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적층된 복수의 제1용기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외측면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됨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관통부와, 복수의 제1용기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제2관통부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2고정돌출부가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상측부 및 상기 제2상측부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가 수용 가능한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상측부 및 상기 제2상측부에는,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제2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제2용기의 임의 이탈을 제한하는 고정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상기 제1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가 수용되도록 일단 및 타단에 제2용기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각각 형성되고, 제1용기의 상측에 적층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수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수용부재는, 상기 수용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 내에 삽입된 상기 제2용기의 외측면을 눌러 지지하여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수용부재에는, 음식 또는 음료 섭취에 필요한 보조도구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보조도구의 중단이 고정되도록 한 쌍의 통과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상측부 및 상기 제2상측부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용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2용기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제3고정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상기 제2용기가 수용되도록 수용홀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3고정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는 연장돌출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의하면, 보관 시에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로 보관 가능하면서 사용 시에는 번거로운 조립 과정 없이 한 쌍의 손잡이부를 대면하여 간단하게 결합 가능하므로 신속한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비닐이 아닌 재활용 가능한 종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용기를 적층 가능하고, 음료 컵, 국그릇 등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보조 수용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수의 용기를 한손에 운반 가능하여 사용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공간에 수용된 용기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을 통해 용기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운반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제1용기 및 제2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조 수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조 수용부재가 상기 제1용기에 안착된 상태롤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2수용공간 내에 제2용기가 고정됨을 도시한 사용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음식 포장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도이다.
[실시예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제1용기 및 제2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조 수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조 수용부재가 상기 제1용기에 안착된 상태롤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는, 별도의 조립 과장이 필요없어 간단하고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고 음식이 포장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한손으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으면서 비닐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음료 컵, 국 그릇 등을 수용 가능한 보조 수용부재(4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음식과 더불어 국, 음료, 소스 등을 동시에 운반 가능한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1)는 기본적으로 바닥부(10), 제1측면부(20a), 제2측면부(20b), 제1상측부(30a), 제2상측부(3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10)는, 상부에 제1용기(100)가 안착되되 양단에 제1접힘부(11a, 11b)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용기(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바닥부(10)는 상기 제1용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용기(10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는, 일단이 상기 바닥부(10)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접힘부(11a, 11b)를 따라 상기 바닥부(10)의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려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한 제1수용공간(25)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10)의 일단으로 제1접힘부(11a)를 따라 상기 바닥부(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제1측면부(20a)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의 타단으로 제1접힘부(11b)를 따라 상기 바닥부(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접혀 상기 제1측면부(20a)와 대칭되도록 제2측면부(20b)가 연장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는, 상기 제1용기(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관통부(21)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에는 제1관통부(2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25)을 향해 서로 대칭되도록 접히면서 상기 제1용기(100)의 측면을 지지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26)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26)는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서 제1절개선(27)을 따라 각각 분할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26)가 상기 제1수용공간(25)의 내측을 향해 접히면서 상기 관통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을 잡아주며 지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부(26)는 각 제1관통부(21)의 좌측,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각 지지부(26)는 상기 제1용기(100)의 상단 테두리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걸리면서 제1용기(100)의 무게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1관통부(21)의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연장형성된 지지부(26)는 상기 제1수용공간(25)의 내측을 향해 접히면서 상기 제1용기(100) 외측면의 양 측면에 접하여 면접촉하되 접히기 전의 상태로 펼쳐지려는 힘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상기 제1용기(100)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부(26)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26)는 각 측면부(210a, 20b)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25)을 향해 접히면서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에 대한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운반 중에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용기(100)의 외주면에는 세로방향의 돌기가 병렬로 다수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26)에 접하면서 더욱 견고하게 걸리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는, 상기 제1용기(100)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여 상기 제1용기(10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관통부(21)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1고정돌출부(2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용기(100)의 상측 양단은 상기 제1측면부(20a)의 제1고정돌출부(22)와 상기 제2측면부(20b)의 제1고정돌출부(22)에 각각 걸리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제1수용공간(26)에서 상기 제1용기(100)의 상부에 또 다른 제1용기(100)가 적층 가능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용공간(25)은 복수의 제1용기(100)가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용기(100)가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는, 상기 제1관통부(21)에서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적층된 복수의 제1용기(100)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100)의 외측면 상단이 일부 삽입되어 지지됨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용기(1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관통부(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는, 복수의 제1용기(100)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제2관통부(23)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2고정돌출부(24)가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의 타단에는, 제2접힘부(28a, 28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부(21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의 타단에는 각 제1접힘부(28a, 28b)를 따라 상기 제1측면부(21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접힘 가능한 제1상측부(30a) 및 제2상측부(30b)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일단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파지 가능한 구성은 손잡이부(34)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 대해 각각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1용기(100)의 상부에 상기 제1용가(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의 적층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가능한 구성으로서 손잡이부(34)가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례로서 상기 손잡이부(34)는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제3절개선(35)를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이 상호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제1상측부(30a)의 손잡이부(34)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손잡이부(34)가 대면하여 상기 제3절개선(35)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접어 올려지며 손으로 파지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상측부(30a)의 타단과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을 상호 대면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3절개선(35)을 따라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의 손잡이부(34)가 절개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접어 올려짐에 따라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에는 사용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손잡이부에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는 각 손잡이부(34)에 의해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면서 상호 대면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상측부(30a) 및 제2상측부(30b)는 타단에서 손으로 파지 가능한 구성으로서, 손잡이부가 사용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의 형태 뿐만 아니라 손잡이끈 또는 PVC 밸트형 손잡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손잡이부는 제1상측부(30a)와 제2상측부(30b)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상측부(30a)의 타단의 상측면에 제2상측부(30b) 타단의 하측면에 놓여지면서 겹쳐지는 형태로 대면할 수 있다. 이때 제1상측부(30a)에는 손잡이끈 또는 PVC 밸트형 손잡이로 구성된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제2상측부(30b)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삽입되어 통과 가능한 통공이 형성되어 제1상측부(30a)의 손잡이부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통공을 통과하여 제1상측부(30a)의 상측에 제2상측부(30b)가 놓여진 상태로 손잡이부에 의해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가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상측부(30a)와 제2상측부(30b)의 타단이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대면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상측부에 구비된 손잡이부재가 다른 하나의 상측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과하면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제2용기(200)의 외측면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제2용기(200)의 임의 이탈과 흔들림을 방지하는 고정홀(32)이 각각 형성하는 제2절개선(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32)은, 상기 제2용기(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용기(200)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상기 제2용기(200)의 상측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홀(32)에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제3고정돌출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 내측면에는 상기 제1수용공간(25)과 상기 제2수용공간(36) 내에 수용된 음식물의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손잡이부(34)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부(34)를 보강할 수 있도록 제1보강부재(5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 가능한 판 형상의 보조 수용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용부재(4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구비할 수 있어 캐리어 구조체(1)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보조 수용부재(40)를 이용하여 캐리어 구조체(1)에 형성된 제1수용공간(25)의 외측으로 추가 용기가 수용 가능하여 활용도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보조 수용부재(40)는, 제1용기(100)의 상부에 적층되되 양단이 상기 제1수용공간(2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되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25)의 외측으로 한 쌍의 수용홀(4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수용홀(41)은 상기 제2용기(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용기(2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용기(200)로서 음료 컵, 국그릇, 소스통 등이 적용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는 음식과 더불어 음료의 수용도 가능하게 이루어지나, 상기 제2용기(200)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1용기(100)가 한 쌍으로 적층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수용부재(40)가 어느 하나 이상의 제1용기(100)의 상측에 각각 적층 가능하다.
즉, 상기 보조 수용부재(40)는 어느 하나의 제1용기(100)의 상측에만 적층될 수도 있고, 복수의 제1용기(100)의 상측에 각각 적층 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수용부재(40)는, 상기 한 쌍의 수용홀(4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2용기(200)의 외측면을 눌러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출부(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출부(42)는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수용홀(41)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용기(20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1용기(100)의 둘레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돌출부(42)가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상기 보조 수용부재(40)가 적층되는 위치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돌출부(42)가 상기 제1용기(100)의 양단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보조 수용부재(40)가 안착되는 위치를 편리하게 가이드하면서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에는, 음식 또는 음료 섭취에 필요한 보조도구(30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중단이 고정되도록 한 쌍의 통과공(4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도구(300)는 음식 또는 음료 섭취를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숟가락, 젓가락, 빨대, 나이프, 포크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의 상측에는 한 쌍의 제1용기(100), 제2용기(2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부(20a)와 상기 제2측면부(20b)가 제1접힘부(11a, 11b)를 따라 각각 접어 올려짐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제1용기(100)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2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이 상호 대응되어 결합하면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서 경사를 이루며 제2용기(200)가 수용 가능한 제2수용공간(3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용기(100)는 상측부가 제1고정돌출부(22) 및 제2고정돌출부(24)에 각각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돌출부(22) 및 상기 제2고정돌출부(24)는 하측의 제1용기(100)와 상측의 제1용기(100)의 뚜껑부를 눌러 지지할 수 있고, 특히 각 제1용기(100) 뚜껑부의 돌출된 구성에 걸리면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용기(200)의 상측부는 양단이 고정홀(32)에 각각 걸리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구조체(1)의 양단에는 절개에 의해 형성된 부분에 대해 용기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장력 보강을 위한 제2보강부재(7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보강부재(70)는, 제1상측부(30a), 제1측면부(20a), 바닥부(10), 제2측면부(20b), 제2상측부(30b)의 내측면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일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이끈, 종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캐리어 구조체의 장력보조를 위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보강부재(70)를 통해 장력을 보강함으로써, 각 수용공간에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의 하중으로 인해 절개선이 형성된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용기(100)와 더불어 추가적인 용기를 더 수용 가능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제1용기(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용기(100) 또는 복수의 제1용기(100)의 상측에 각각 보조 수용부재(40)가 놓여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 이상의 제1용기(100)의 상측에 보조 수용부재(40)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홀(41)에 수용된 제2용기(200)와 더불어 또 다른 상기 제2용기(200)가 더 적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의 상측에는 제1용기(100) 또는 제2용기(200)가 놓여질 수도 있고, 보조 수용부재(30)의 상측에 적층된 제1용기(100) 또는 제2용기(200)의 하중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의 각 수용홀(41)에 컵, 국그릇, 소스통 등의 제2용기(20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타단을 손잡이부(34)에 의해 상호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34)의 결합으로 개구부를 통과하면서 음식이 수용된 다수의 용기를 한손으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용기(200)가 음료컵인 경우에는 음식과 더불어 음료를 흔들림없이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은, 다수의 용기를 수용 가능하여 한손으로 편리하게 들어 운반할 수 있으면서 특히 보조 수용부재(40)를 이용하여 더 많은 용기를 수용할 수 있고 각 용기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흔들림 없이 운반할 수 있는 캐리어 구조체(1)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을 포함하면서 제2수용공간(36) 내에서 제2용기(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1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2수용공간 내에 제2용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됨을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제2수용공간(36)에서 제2용기(200)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서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용기(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상기 제2용기(20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제3고정돌출부(33)를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는 상기 제2수용공간(36) 내에 상기 제2용기(200)가 수용되도록 삽입홀(6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고정홀(32)에 삽입되어 상기 제3고정돌출부(3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2용기(200)의 임의 이탈을 제한하는 연장돌출부(62)가 형성된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용기(200)는 상기 고정부재(60)의 삽입홀(61)에 수용되되 상기 고정부재(60)의 연장돌출부(62)가 상기 제1상측부(30a)와 상기 제2상측부(30b)의 고정홀(32)에 각각 삽입되어 끼워짐에 의해 고정되므로 운반 중에도 흔들림없이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60)의 수용홀(61)은 제2용기(20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돌출부(62)는 상기 고정홀(3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돌출부(62)가 고정부재(6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돌출부(62)가 고정부재(60)의 양단에 각각 두 개씩 형성되어 두 쌍으로 구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제2용기(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도면과 더불어 고정부재(6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고정홀(32)에는 제3고정돌출부(33)가 고정부재(60)의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고정돌출부(33)가 고정부재(60)의 상측을 눌러 지지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60)가 상기 고정홀(32)에서 빠져 이탈하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홀(32)에는 상기 고정부재(60)와 더불어 젓가락, 수저, 빨대, 나이프, 포크 등 음식 또는 음료 섭취에 필요한 보조도구(300)가 함께 끼워질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울러, 상기 연장돌출부(62)의 상측에는 보조도구(300)가 더 놓여질 수 있고, 상기 보조도구(300)는 고정공에 삽입되어 일단 및 타단이 상기 고정공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중단이 고정공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고정돌출부(33)는 상기 연장돌출부(62)에 놓여진 상기 보조도구(300)를 상측에서 눌러 지지하여 상기 보조도구(300)가 상기 고정홀(32)에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더불어, 실시예 2에서 추가적으로 또 다른 제2용기를 더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제1용기(100)와 상기 제2용기(200)의 사이와 한 쌍의 제1용기(100)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보조 수용부재(40)가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은,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구성을 포함하면서 제1수용공간에 단일의 제1용기(100)가 수용되는 변형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를 도시한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에 음식 포장용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은 제1수용공간(25)에는 단일의 제1용기(100)가 수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수용공간(36)에는 상기 제1용기(100)의 상측에 제2용기(200)가 안착 되도록 구성되어 용기가 총 2개의 층으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용기(100)의 상측에는 보조 수용부재(40)가 더 놓여져 제2용기(200)를 추가로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2수용공간(36) 내에서 상기 제2용기(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용기(200)가 상기 고정부재(60)의 삽입홀(6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60)의 연장돌출부(62)가 상기 고정홀(32)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용되는 제1용기(100)의 개수에 맞게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제1수용공간(25)이 복수의 제1용기(100)가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 3과 같이 단일의 제1용기(100)가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캐리어 구조체 10 : 바닥부
11a, 11b : 제1접힘부 20a : 제1측면부
20b : 제2측면부 21: 제1관통부
22 : 제1고정돌출부 23 : 제2관통부
24 : 제2고정돌출부 25 : 제1수용공간
26 : 지지부 27 : 제1절개선
28a, 28b : 제2접힘부 30a : 제1상측부
30b : 제2상측부 31 : 제2절개선
32 : 고정홀 33 : 제3고정돌출부
34 : 손잡이부 35 : 제3절개선
36 : 제2수용공간 40 : 보조 수용부재
41 : 수용홀 42 : 지지돌출부
43 : 통과공 50 : 제1보강부재
60 : 고정부재 61 : 삽입홀
62 : 연장돌출부 70 : 제2보강부재
100 : 제1용기 200 : 제2용기
300 : 보조도구

Claims (8)

  1. 상부에 제1용기(100)가 안착되되 양단에 제1접힘부(11a, 11b)가 각각 형성된 바닥부(10);
    상기 바닥부(10)의 양단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접힘부(11a, 11b)를 따라 상기 바닥부(10)의 수직방향으로 접어 올려 상기 제1용기(100)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25)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이 일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제1관통부(21)가 각각 형성된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 및
    일단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제2측면부(20b)에서 각각 연장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상측부(30a) 및 제2상측부(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는, 상기 제1용기(100)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여 상기 제1용기(10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관통부(21)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1고정돌출부(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내부에 상기 제1용기(10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36)을 형성하되 상기 제2용기(200)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32)과, 상기 고정홀(32)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 제3고정돌출부(3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36) 내에 상기 제2용기(200)가 수용되도록 삽입홀(6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고정홀(32)에 삽입되어 상기 제3고정돌출부(33)에 의해 지지되는 연장돌출부(62)가 형성된 고정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는,
    상기 제1관통부(2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수용공간(25)을 향해 서로 대칭되도록 접히면서 상기 제1용기(100)의 측면을 지지 가능한 한 쌍의 지지부(26)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25)은 복수의 제1용기(100)가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측면부(20a) 및 상기 제2측면부(20b)에는,
    상기 제1관통부(21)에서 상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적층된 복수의 제1용기(100)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외측면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됨을 통해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관통부(23)와,
    복수의 제1용기(100) 중 상측에 위치한 용기의 테두리 상측을 눌러 지지하도록 상기 제2관통부(23)를 향해 연장형성된 제2고정돌출부(24)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는, 타단이 상호 대면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 가능한 제2수용공간(36)을 형성하고,
    상기 제1상측부(30a) 및 상기 제2상측부(30b)에는, 상기 제2수용공간(36)에 수용된 제2용기(20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용기(200)의 외측면 상부가 삽입되어 지지 되도록 하여 상기 제2용기(200)의 임의 이탈을 제한하는 고정홀(3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25)의 외측으로 상기 제1용기(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제2용기(200)가 수용되도록 일단 및 타단에 수용홀(61)이 각각 형성되고, 중단이 제1용기(100)의 상측에 적층 가능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보조 수용부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부재(40)는,
    상기 수용홀(61)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61) 내에 삽입된 상기 제2용기(200)의 외측면을 눌러 지지하여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출부(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용부재(40)에는,
    음식 또는 음료 섭취에 필요한 보조도구(300)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보조도구(300)의 중단이 고정되도록 한 쌍의 통과공(4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8. 삭제
KR1020210033483A 2021-03-15 2021-03-15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KR102657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83A KR102657740B1 (ko) 2021-03-15 2021-03-15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83A KR102657740B1 (ko) 2021-03-15 2021-03-15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36A KR20220128836A (ko) 2022-09-22
KR102657740B1 true KR102657740B1 (ko) 2024-04-17

Family

ID=8344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83A KR102657740B1 (ko) 2021-03-15 2021-03-15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7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8992B1 (en) * 2000-09-06 2001-10-09 Chung-Piao Tsao Foldable food-and-beverage carrying device
KR20180001412U (ko) 2016-11-03 2018-05-11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36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459A (en) Multicompartment tray
US6446828B1 (en) Serving plate with beverage holder
JP2004501837A (ja) 飲食物キャリヤ
US7232055B1 (en) Folding serving tray
KR102657740B1 (ko)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KR200471304Y1 (ko) 음식물 포장 캐리어
KR102657739B1 (ko) 음식 포장용기의 캐리어 구조체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2192339B1 (ko) 손잡이 형성 구조를 갖는 포장용 종이 박스
WO2020179718A1 (ja) 多段式包装容器
US8689977B2 (en) Product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ackaging items having complementary components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120074511A (ko) 용기
KR20220082719A (ko) 상하가 분리되는 햄버거세트 딜리버리 포장상자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US9718592B1 (en) Collapsible reusable carrier
KR20140002930U (ko) 운반이 편리한 컵캐리어
KR102140023B1 (ko) 술과 안주 포장 팩
KR20200046504A (ko) 술과 안주 포장 팩
WO2007002501A2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
JP2022104254A (ja) 食品容器ホルダー
KR101552574B1 (ko) 적층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40039444A (ko) 용기 포장상자
KR20220036700A (ko) 컵홀더에 탈착되는 포켓
KR200476318Y1 (ko) 컵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