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548B1 -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548B1
KR102657548B1 KR1020227043778A KR20227043778A KR102657548B1 KR 102657548 B1 KR102657548 B1 KR 102657548B1 KR 1020227043778 A KR1020227043778 A KR 1020227043778A KR 20227043778 A KR20227043778 A KR 20227043778A KR 102657548 B1 KR102657548 B1 KR 102657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coding unit
block
prediction mode
curr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613A (ko
Inventor
최나래
박민우
박민수
정승수
최기호
최웅일
템즈아니쉬
표인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7011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319A/ko
Publication of KR2023000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alteration of picture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과 보간 필터에 따라,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본 개시는 비디오의 부호화 방법 및 복호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를 효율적으로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화질의 비디오는 부호화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허용되는 대역폭은 한정되어 있어, 비디오 데이터 전송시 적용되는 데이터 레이트가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화질의 열화를 최소화하면서 압축률을 증가시킨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이 필요하다.
비디오 데이터는 픽셀들 간의 공간적 중복성 및 시간적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다. 인접한 픽셀들 간에 공통된 특징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인접한 픽셀들 간의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픽셀들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로 부호화 정보가 전송된다.
데이터 단위에 포함된 픽셀들의 픽셀 값은 직접 전송되지 않고, 픽셀 값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 전송된다. 픽셀 값을 원본 값과 유사하게 예측하는 예측 방법이 데이터 단위마다 결정되며, 예측 방법에 대한 부호화 정보가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된다. 또한 예측 값이 원본 값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므로,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에 대한 레지듀얼 데이터가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된다.
예측이 정확해질수록 예측 방법을 특정하는데 필요한 부호화 정보가 증가되지만, 레지듀얼 데이터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부호화 정보와 레지듀얼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예측 방법이 결정된다. 특히, 픽처에서 분할된 데이터 단위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데, 데이터 단위의 크기가 클수록 예측의 정확도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은 대신, 부호화 정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픽처의 특성에 맞게 블록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예측 방법에는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이 있다. 인트라 예측은 블록의 주변 픽셀들로부터 블록의 픽셀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인터 예측은 블록이 포함된 픽처가 참조하는 다른 픽처의 픽셀을 참조하여 픽셀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에 의하여 공간적 중복성이 제거되고, 인터 예측에 의하여 시간적 중복성이 제거된다.
예측 방법의 수가 증가할수록 예측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부호화 정보의 양은 증가한다. 따라서 블록에 적용되는 부호화 정보 역시 다른 블록으로부터 예측하여 부호화 정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인간의 시각이 인지하지 못하는 한도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손실이 허용되는 바, 레지듀얼 데이터를 변환 및 양자화 과정에 따라 손실 압축(lossy compression)하여 레지듀얼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부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개시된다. 더불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과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상기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블록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이 수행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고,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을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이 수행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상기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획득하고, 상기 예측 블록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은,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로 결정되고,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을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따라,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따른 예측 블록들의 예측 정확도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포함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되고,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이 수행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정확도는,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을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고,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비디오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이 수행되는 프로세서가 포함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에 따라,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따른 예측 블록들의 예측 정확도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고,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포함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포함하고,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비디오 복호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기록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샤프 필터 세트 및 평활화 필터 세트 등을 비롯한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들 중에서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적합한 보간 필터 세트가 선택된다. 인트라 예측에 적합한 보간 필터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인트라 예측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예측 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인트라 예측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도 16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7 및 18에서 인트라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설명된다.
도 19a 및 19b에서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일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20은 비정사각형의 블록의 MPM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현재 블록에 인접한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2 및 23은 보간 필터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4은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8는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개시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과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상기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블록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은 현재 부호화 또는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중 하나를 의미한다. 만약,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측 단위, 변환 단위 등 기타 종류의 블록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는 "현재 부호화 블록", "현재 예측 블록", "현재 변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위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위 블록"은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샘플"은, 영상의 샘플링 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로서 프로세싱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의 영상에서 픽셀값, 변환 영역 상의 변환 계수들이 샘플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부(110), 비트스트림 생성부(120)를 포함한다.
부호화부(110)는 먼저 하나의 픽처(Picture)를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혹은 하나 이상의 타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부(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픽처 또는 픽처에 포함된 슬라이스 또는 타일을 복수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다. 최대 부호화 단위는 크기 32x32, 64x64, 128x128, 256x256 등의 데이터 단위로, 가로 및 세로 크기가 2의 자승인 정사각형의 데이터 단위일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최대 부호화 단위 크기 정보를 비트스트림 생성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트스트림 생성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 크기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최대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부호화 단위를 결정한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에 의하여 부호화 단위의 분할이 효율적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분할 정보는 플래그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와 높이가 절반인 4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가 절반인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높이가 절반인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 또는 높이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세 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너비가 높이의 4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너비가 높이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너비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와 한 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2개의 높이가 너비의 4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높이가 너비의 2배인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는 높이를 1:2:1로 분할함으로써 2개의 직사각형의 부호화 단위와 한 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2개 이상의 분할 방법이 사용가능한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사용가능한 분할 방법 중 부호화 단위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에 대한 정보가 픽처마다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픽처마다 특정한 분할 방법들만이 사용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영상 부호화 장치(100)가 하나의 분할 방법만을 사용할 경우, 부호화 단위에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결정되지 않는다.
특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는 특정한 분할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단위 크기가 256x265일 경우, 부호화 단위는 너비와 높이가 절반인 4개의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정보가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낼 때,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부호화 단위가 속한 픽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할 방법이 하나인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분할 방법이 부호화 단위 주변의 부호화 정보에 적응적으로 결정될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현재 픽처의 영상 데이터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다. 그리고 최대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계층적으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위 부호화 단위의 분할 형태에 따라 하위 부호화 단위의 형태와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 단위의 분할을 제한하는 부호화 단위의 최소 크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였을 때의 부호화 효율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았을 때의 부호화 효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부호화부(110)는 비교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부호화 단위의 분할이 더 효율적이라고 결정된 경우, 부호화부(110)는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한다. 만약 비교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결정된 경우,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는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는 인접한 다른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에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는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에 의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은 예측 단위 주변의 참조 샘플들을 이용하여 예측 단위의 샘플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인터 예측은 현재 픽처가 참조하는 참조 픽처로부터 참조 샘플을 획득하여 예측 단위의 샘플들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부호화부(110)는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복수의 인트라 예측 방법을 예측 단위에 적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인트라 예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에는 DC 모드, 플래너(Planar) 모드, 수직 모드 및 수평 모드와 같은 방향성(directional) 모드 등이 포함된다.
인트라 예측은 부호화 단위 주변의 복원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는 경우 예측 단위마다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복원 샘플이 참조 샘플로 사용될 경우, 부호화 단위 내부의 참조 샘플의 복원이 예측보다 우선되어야 하므로, 변환 단위의 변환 순서에 예측 단위의 예측 순서가 종속될 수 있다. 따라서 부호화 단위 내부의 복원 샘플이 참조 샘플로 사용될 경우, 예측 단위에 대하여 예측 단위에 대응되는 변환 단위들에 대한 인트라 예측 방법만이 결정되고, 실질적인 인트라 예측은 변환 단위마다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최적의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결정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인터 예측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결정부(120)는 인터 예측을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웃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움직임 벡터 후보를 결정하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공간적, 시간적으로 이웃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참조 픽처 후보를 결정하고, 그 중 가장 효율적인 참조 픽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참조 픽처는 현재 픽처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참조 픽처 리스트들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예측의 정확성을 위하여 복수의 움직임 벡터 후보 중 가장 효율적인 움직임 벡터를 예측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고, 예측 움직임 벡터를 보정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은 부호화 단위 내부의 예측 단위별마다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스킵 모드에 따라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획득하여 부호화 단위를 복원할 수 있다. 스킵 모드에 의하면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외하고 잔차 신호를 포함한 모든 부호화 정보가 생략된다. 잔차 신호가 생략되므로 예측의 정확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스킵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측 단위에 대한 예측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파티션 모드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에는 2Nx2N, Nx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만이 적용되는 반면, 인터 예측에는 2Nx2N, 2NxN, Nx2N, NxN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 예측의 스킵 모드에는 2Nx2N 크기의 예측 단위에 대한 파티션 모드만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각 예측 방법에 대하여 허용되는 파티션 모드는 부호화 효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를 기준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픽셀들에 대한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 값인 레지듀얼 데이터를 소정의 과정을 거쳐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 및 DCT/DST 변환을 통해 손실 압축을 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 없이 무손실 압축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부호화부(110)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인터 예측 방법 중 현재 부호화 단위에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부호화부(110)는 예측 결과에 따른 부호화 효율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방법을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부호화부(110)는 변환 결과에 따른 부호화 효율에 따라 변환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가장 효율적인 부호화 단위의 예측 방법 및 변환 방법 결정 방식에 따라 최종적으로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이 결정된다. 부호화부(110)는 최종적으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를 확정한다.
부호화부(110)는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효율성, 예측 방법들의 예측 효율성 등을 라그랑지 곱(Lagrangian Multiplier) 기반의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부호화부(110)는 결정된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부(110)는 분할이 완료된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예측 단위의 결정을 위한 파티션 모드 정보 및 변환 단위의 결정을 위한 변환 단위 분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10)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2개 이상인 경우, 분할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를 분할 정보와 함께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부(110)는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에 사용된 예측 방법 및 변환 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생성부(12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계층 구조에 따라 부호화부(110)가 생성한 정보들을 비트스트림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결정 방식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에 기초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 및 복호화부(17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복호화 동작을 위한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 각종 분할 정보 등 각종 용어의 정의는, 도 1a 및 영상 부호화 장치(100)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목적이 영상 데이터의 복원인 바,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사용된 다양한 부호화 방법들이 영상 복호화 장치(150)에 적용될 수 있다.
수신부(160)는 부호화된 비디오에 대한 비트스트림을 수신하여 파싱한다. 복호화부(17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여 복호화부(170)에 제공한다. 복호화부(170)는 현재 픽처에 대한 헤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 또는 픽처 파라미터 세트로부터 현재 픽처의 부호화 단위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부(170)는 파싱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최대 부호화 단위별로 트리 구조에 따른 부호화 단위들에 대한 분할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분할정보는 복호화부(170)로 출력된다. 복호화부(170)는 최대 부호화 단위를 추출된 분할정보에 따라 분할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의 트리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복호화부(170)가 추출한 분할정보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 의하여,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결정된 트리 구조에 대한 분할정보다. 따라서,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소 부호화 오차를 발생시키는 부호화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복호화부(170)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와 같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호화부(170)는 예측 단위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파티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70)는 변환 단위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트리 구조에 대한 변환 분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부(170)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예측 단위들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인 예측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70)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변환 단위들에 대하여 가장 효율적인 변환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호화부(170)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비트스트림 생성부(120)에서 비트스트림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한다.
복호화부(170)는 분할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부호화 단위를 가장 효율적인 트리구조를 가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70)는 파티션 모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예측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복호화부(170)는 변환 분할 정보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변환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복호화부(170)는 예측 단위를 예측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복호화부(170)는 변환 단위를 변환 방법에 대한 정보에 따라 픽셀의 원본 값과 예측 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레지듀얼 데이터를 역양자화 및 역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복호화부(170)는 예측 단위의 예측 결과와 변환 단위의 변환 결과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픽셀들을 복원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이용하는 블록 형태 정보가 어떤 블록 형태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수직으로 분할할지, 수평으로 분할할지,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200)의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복호화부(18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2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210a)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210b, 210c, 21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두개의 부호화 단위(210b)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두개의 부호화 단위(210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20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네개의 부호화 단위(210d)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분할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분할 형태 정보가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형태들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소정의 방법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310 또는 360)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320a, 320b, 330a, 330b, 330c, 370a, 370b, 380a, 380b, 380c)를 결정할 수 있다.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분할 형태 정보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분할 형태 정보가 두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두개의 부호화 단위(320a, 320b, 또는 370a, 37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는 경우,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긴 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의 긴 변을 분할하는 방향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형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를 3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의 크기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330b 또는 380b)의 크기는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들과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어 결정될 수 있는 부호화 단위는 복수의 종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하여 생성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300 또는 350)가 분할되어 생성된 3개의 부호화 단위(330a, 330b, 330c, 380a, 380b, 380c)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330b, 380b)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330b, 380b)에 대하여는 다른 부호화 단위(330a, 330c, 380a, 380c)와 달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만 분할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4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41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제3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간의 분할 전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면 제2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면 제3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및 제3 부호화 단위의 관계는 상술한 특징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여 결정된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적어도 하나의 제3 부호화 단위(420a, 420b, 420c, 420d 등)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410)를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부호화 단위(41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400)가 분할된 방식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400)가 제1 부호화 단위(40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410)로 분할된 경우, 제2 부호화 단위(410) 역시 제2 부호화 단위(41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420a, 420b, 420c, 420d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420a, 420b, 420c, 420d 등) 각각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 중 소정의 제3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20c)에 대하여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 가능한 횟수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41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420b, 420c, 420d)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20c)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 형태로 분할(예를 들면 4개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410)가 분할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로만 분할(예를 들면 n회만 분할, n>0)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420c)에 대한 상기 제한은 단순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420c)가 다른 부호화 단위(420b, 420d)와 다르게 복호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 이용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부호화 단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그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 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고,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에 포함되는 부호화단위(520a, 520b, 520c)들의 너비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너비 또는 높이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좌표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픽처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좌표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a, ya)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b, yb)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c, yc)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좌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30b)의 좌표인 (xb, yb)를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좌측 상단의 샘플(530a, 530b, 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픽처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나아가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b, dyb)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c, dyc)좌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샘플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샘플의 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술적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로 분할할 수 있고,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들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중 크기가 다른 부호화 단위(520b)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a, ya)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b, yb) 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c, yc)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a, ya), (xb, yb), (xc, yc)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의 너비를 xb-xa로 결정할 수 있고 높이를 yb-ya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너비를 xc-xb로 결정할 수 있고 높이를 yc-yb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하단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와 상단 부호화 단위(52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부호화 단위(520a) 및 하단 부호화 단위(52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52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단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하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좌측 상단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샘플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5에서 상술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예를 들면,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일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가운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샘플에 저장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로 분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4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형태 정보 및 상기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로 분할된 경우 상기 샘플(540)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520b)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520a, 520b, 520c)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500) 내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블록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위치의 샘플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들 중,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이 포함된 부호화 단위(520b)를 결정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540)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샘플(540)이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520b)를 복호화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제한을 두기 위해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520b)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의 샘플들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현재 부호화 단위(5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가 정사각형인지 또는 비-정사각형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대한 정보 및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 상에 위치하는 샘플을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을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에 인접하는 샘플 중 하나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4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호화되는 순서를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30a, 63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50a, 650b, 650c, 650d)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수평 방향(610c)으로 처리되도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30a, 630b)의 처리 순서를 수직 방향(630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650a, 650b, 650c, 650d)를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된 후 다음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 또는 z 스캔 순서(z scan order)(650e)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을 분할하는 방법은 제1 부호화 단위(600)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10a, 610b, 630a, 630b, 650a, 650b, 650c, 650d)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6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610a, 610b) 각각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로 분할할 수 있고,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는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분할되기 직전의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가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처리되는 순서를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결정되었으므로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는 수직 방향(620c)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 및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b)가 처리되는 순서는 수평 방향(610c)에 해당하므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6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620a, 620b)가 수직 방향(620c)으로 처리된 후에 우측 부호화 단위(610b)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부호화 단위들이 각각 분할 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700)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좌측 부호화 단위(710a)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부호화 단위(710b)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3 부호화 단위들(720a, 720b, 720c, 720d, 720e)이 소정의 순서로 처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700),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또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가 분할되는 형태 중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중 우측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7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z-스캔 순서(z-scan order)(730))가 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가 홀수개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가 상기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700)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 720c, 720d, 720e)의 경계에 따라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710a)의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는 조건을 만족하지만,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를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들의 경계가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의 너비 또는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3 부호화 단위(720c, 720d, 720e)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측 제2 부호화 단위(710b)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분할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는 4개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면, 블록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정사각형임을 나타내고 분할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800)를 복수개의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을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820a, 820b, 820c)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 820a, 820b, 820c)의 경계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81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8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8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30 또는 850)를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제1 부호화 단위(9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신부(160)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로 분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는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20a, 920b) 각각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9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912a, 912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914a, 914b)가 결정된 경우, 좌측 제2 부호화 단위(9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910b)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됨으로써 제3 부호화 단위(912a, 912b, 914a, 914b)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30a, 930b, 930c, 930d)로 분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며 이는 영상 복호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33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920a 또는 920b)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922a, 922b, 924a, 924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하나(예를 들면 상단 제2 부호화 단위(920a))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상술한 이유에 따라 다른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하단 부호화 단위(920b))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92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할 형태 정보에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에는 정사각형 형태의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하지 못한다.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재귀적인 방법을 통해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등) 각각이 소정의 순서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분할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4a, 101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 모두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16a, 1016b, 1016c, 1016d)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를 결정할 수 있고,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020b)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4a, 102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 및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020b) 모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 1024a, 1024b)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분할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110a, 1110b, 1120a, 1120b, 1130a, 1130b, 1130c, 113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만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는 각각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의 분할 과정은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순서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처리에 대한 특징은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되는 형태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를 수직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c, 1116d)를 수직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11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를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26c, 1126d)를 수평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12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c, 1126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가 각각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120a, 1120b)는 서로 다른 형태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후에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 1126a, 1126b, 1126c, 1126d)에 따르면 결국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된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서로 다른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은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보다 2n (n>0) 배로 분할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n만큼 심도가 증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도가 증가된 부호화 단위를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0: SQUARE′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제3 부호화 단위(120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크기를 2Nx2N이라고 한다면,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를 1/2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02)는 NxN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1202)의 너비 및 높이를 1/2크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1204)는 N/2xN/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부호화 단위(120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1/2배에 해당한다.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20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0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3 부호화 단위(120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1: NS_VER′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2: NS_HOR′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212 또는 1222),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1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2, 1212, 1222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21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또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2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20)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2, 1212, 1222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22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또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2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02)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02)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를 결정하거나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하거나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 또는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214)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4, 1214, 12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2 부호화 단위(1212)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04) 또는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1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2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00, 1202, 1204)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10)를 결정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가 부호화 단위의 가장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200, 1202 또는 1204)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200, 1202 또는 1204)의 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1/2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212 또는 1214)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10 또는 12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3 부호화 단위(1214 또는 122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 1306a, 1306b, 1306c, 130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한 변의 길이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긴 변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1300)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심도는 D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로 분할한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306a, 1306b, 1306c, 1306d)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 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22a, 1322b, 1324a, 1324b, 132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 1314a, 1314b, 1316a, 1316b, 1316c, 131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2a, 1312b)의 한 변의 길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이므로,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02a, 1302b, 1304a, 1304b)의 심도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심도 D보다 한 심도 하위의 심도인 D+1이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50)가 분할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c)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c)의 긴 변의 길이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314b)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하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2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PID)를 결정함에 있어서,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b, 1314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순서에 따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즉 인덱스의 값의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이러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의 불연속성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의 값에 기초하여 특정 분할 형태로 분할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1312a, 1312b)를 결정하거나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인덱스(P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ID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좌측 상단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에 대한 분할 형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3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3개의 부호화 단위(1314a, 1314b, 1314c) 각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인덱스들 중 가운데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화 단위(1314b)를, 제1 부호화 단위(131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310)가 분할되어 생성된 부호화 단위(13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314a, 13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3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균일하게 인덱스가 증가하다가 증가폭이 달라지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정보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 부호화 단위)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PID)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덱스, 결정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 또는 위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인덱스, 부호화 단위의 위치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이 시작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처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처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기준 데이터 단위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데이터 단위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는 MxN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2의 승수로 표현되는 정수일 수 있다. 즉, 기준 데이터 단위는 정사각형 또는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후에 정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를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각각의 기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 단위의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quad-tree)구조를 이용한 분할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현재 픽처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기준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sequence), 픽처(picture), 슬라이스(slice), 슬라이스 세그먼트(slice segment), 타일(tile), 타일 그룹(tile group), 최대부호화단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수신부(160)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10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고,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4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11의 현재 부호화 단위(1100 또는 115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는 일부 데이터 단위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최대부호화단위 등) 중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슬라이스 이하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최대부호화 단위 등 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만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데이터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대신 상기 인덱스만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미리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덱스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인덱스 획득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단위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분할하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번 분할한 크기일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 번 분할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처(1500)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픽처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이란, 영상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는 특정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순서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마다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Z 스캔(Z-scan), N 스캔(N-scan), 우상향 대각 스캔(up-right diagonal scan), 수평적 스캔(horizontal scan), 수직적 스캔(vertical scan) 등 다양한 순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결정될 수 있는 순서는 상기 스캔 순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의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의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영상,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등의 데이터 단위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수신부(160)는 상기 여러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픽처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정수배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픽처(1500)에 포함되는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의 가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 가로크기의 4배, 세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의 세로크기의 4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픽처(15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은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 또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특정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60)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시퀀스, 픽처,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프로세싱 블록 등의 데이터 단위로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의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를 나타내므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정수개의 프로세싱 블록을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 단위 마다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16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상기 프로세싱 블록(1502, 15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따라 픽처(15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1504, 1514)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싱 블록마다 획득되는 경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502, 15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150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504)가 래스터 스캔(raster scan)순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50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프로세싱 블록(15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514)가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51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 15에서는 영상을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고,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는 방법이 설명되었다. 도 16 내지 도 28에서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복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는 프로세서(1610) 및 메모리(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10)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610)는 메모리(162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620)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2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610)가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17 및 18에서 인트라 예측 방법을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설명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35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67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Planar 모드 및 DC 모드와 같이 방향성을 갖지 않는 비방향성(non-angular) 인트라 예측 모드와, 방향성을 갖는 방향성(Angular)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방향성 모드에는 planar 모드 및 DC 모드 이외에 plane 모드 및 bi-linear 모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는 45도와 -135도 방향을 기준으로, -135도~-180도 및 45도~180도 범위에서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2 사분면(quadrant) 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0~180도 범위의 예측 방향의 각도는 +로 표현되며, 제 3, 4 사분면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180~0도 범위의 예측 방향의 각도는 -로 표현될 수 있다. 제 3, 4 사분면상의 방향을 가리키는 소정 각도 -a(a는 양의 실수)는 (360-a)deg와 동일한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135도의 방향은 225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며, -180도의 방향은 180도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 가리키는 예측 방향은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되는 현재 픽셀을 기준으로 인트라 예측에 이용되는 주변 픽셀의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숫자들은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는 predModeIntra로 지칭될 수 있다.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인 플라나(Planar) 모드에 대해서는 predModeIntra가 0으로 설정되고, DC 모드에 대해서는 predModeIntra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45도와 -135도 사이를 33개로 분할한 33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33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135도 방향부터 시계방향(clockwise)으로 2~34까지의 predModeIntra의 값을 순차적으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2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135도 방향의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10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180도 (180도) 방향의 수평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26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90도 방향의 수직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34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45도 방향의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45도와 -135도 방향을 기준으로, -135도~-180도 및 45도~180도 사이를 65개로 분할한 65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65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135도 방향부터 시계방향(clockwise)으로 2~66까지의 predModeIntra의 값을 순차적으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가 2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135도 방향의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18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180도 (180도) 방향의 수평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50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90도 방향의 수직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66인 인트라 예측 모드는 45도 방향의 대각선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리킬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갖는 preModeIntra의 값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45도 방향부터 시계방향(clockwise)으로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는 33개나 65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으며,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갖는 predModeIntra의 값은 45도 방향부터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되는 predModeIntra의 값 역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임의의 A deg (A는 실수)부터 B deg (B는 실수) 범위 내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소정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7 내지 도 18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정사각형 형태를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변환 단위들과 같은 데이터 단위는 정사각형 형태뿐만이 아니라 비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4:2:2 포맷에 따르면 루마 블록이 정사각형 형태를 갖더라도 대응되는 크로마(chroma) 성분의 블록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에 이용되는 데이터 단위는 종래 매크로블록과 같이 고정된 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크로마 블록에 적용하는 경우,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형태가 다를 때, 루마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방향과 크로마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크로마 블록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형태가 다른 경우, 루마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방향을 크로마 블록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의 경우, 루마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와 크로마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값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4:2:2 포맷에 따르면, 루마 블록이 정사각형 형태더라도, 크로마 블록이 비정사각형 형태이므로, 루마 블록의 예측 방향과 크로마 블록의 예측 방향이 동일하게 결정되는 경우에도,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값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마 블록과 크로마 블록에 따라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의 개수가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마 블록에 도 18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크로마 블록에 대하여 도 17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루마 블록에 도 17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크로마 블록에 대하여 도 18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이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가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되는 현재 블록의 크기에 비례 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할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 및 개수가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크기에 비례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크기별로 그룹핑하고, 보다 큰 블록 그룹일수록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현재 블록의 크기가 8x8 크기 이하인 경우 가장 작은 a (a는 양의 정수)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되고, 16x16 및 32x32 블록에는 b(b는 양의 정수, b>a)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되고, 64x64 이상의 블록들에는 c(c는 양의 정수, c>b)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되는 현재 블록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할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 및 개수가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현재 블록의 크기에 비례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크기별로 그룹핑하고, 보다 큰 블록 그룹일수록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현재 블록의 크기가 8x8 크기 이하인 경우 가장 큰 c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되고, 16x16 및 32x32 블록에는 b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되고, 64x64 이상의 블록들에는 a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크기의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는 픽처 단위, CTU (Coding Tree Unit) 단위 또는 CU(Coding Unit) 단위로 획득된 인트라 예측 모드 개수 플래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형태, 또는 현재 블록의 높이 및 너비에 따라서 현재 블록에 적용될 인트라 예측 모드의 방향 및 개수가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이 정사각형 형태인 경우 전술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이용되고, 현재 블록이 비정사각형 형태인 경우 높이 방향 및 너비 방향 중 하나의 방향을 보다 세밀하게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9a 및 19b에서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일 실시 예가 설명된다.
도 19a를 참조하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0)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은, 블록(1900) 중심으로부터 좌상측 꼭지점을 가리키는 방향의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1910), 블록(1900) 중심으로부터 우상측 꼭지점을 가리키는 방향의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1920), 블록 중심으로부터 좌하측 꼭지점을 가리키는 방향의 제 3 인트라 예측 방향(19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0)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은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1910)과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1920) 사이의 수직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과,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1910)과 제 3 인트라 예측 방향(1930) 사이의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0)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 중 일부가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2)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0)에서 적용될 수 있는 제4 인트라 예측 방향(1922), 제 3 인트라 예측 방향(1930) 및 제4 인트라 예측 방향(1922)과 제 3 인트라 예측 방향(1930) 사이의 인트라 예측 방향들은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2)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5 인트라 예측 방향(1932) 및 제 3 인트라 예측 방향(1930)과 제5 인트라 예측 방향(1932) 사이의 인트라 예측 방향들(1940)은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2)의 아래 면을 가리키므로,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2)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0)에서 적용되지 않는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1920) 및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1920)과 제4 인트라 예측 방향(1922) 사이의 인트라 예측 방향들(1950)은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1902)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너비와 높이에 기초하여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 및 수직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에 대해서, 긴 길이의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가 짧은 길이의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보다 더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1902)은 너비가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상측면을 가리키는 수직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이 좌측면을 가리키는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보다 많도록 설정된다.
반대로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에 대해서, 보다 긴 길이의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가 짧은 길이의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반대로, 도 19에서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가 수직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의 개수보다 많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180도 방향의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 및 90도 방향의 수직 인트라 예측 방향이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많이 결정되므로, 180도 방향의 수평 방향이나 90도 방향의 수직 방향을 보다 촘촘하게 가리키도록 인트라 예측 방향들이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중심으로부터 먼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 간의 각도가 블록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가까운 변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들 간의 각도보다 더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9b에 따르면, 블록(1902)의 중심과 좌측면의 거리가 블록(1902)의 중심과 상측면의 거리보다 크다. 따라서, 블록(1902)의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 간의 각도가 블록(1902)의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 간의 각도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파트 인트라 예측 방향들에 2개의 추가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60)이 추가될 수 있다. 2개의 추가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60)은 제1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70), 제2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72), 제3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7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9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블록(1902)의 인트라 예측 방향들에 2개의 추가 수평 인트라 예측 방향(1960)이 추가되는 대신, 도시된 수직 인트라 예측 방향들 중 2개의 수직 인트라 예측 방향이 블록(1902)의 인트라 예측 방향들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이하,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MPM(Most Probable Mode)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상기 결정된 MPM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MPM 리스트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현재 블록의 좌측 인접 블록의 예측 모드 및 현재 블록의 상측 인접 블록의 예측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현재 블록이 비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때, MPM 리스트에 포함된 MPM의 우선순위는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상기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현재 블록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좌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선택된 소정 개수의 인트라 예측 방향 대신에, 상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 이외의 우상측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현재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우상측 방향을 기준으로 선택된 소정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 대신에, 상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 이외의 좌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 대신에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은,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대체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이 가리키는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현재 블록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부가하여 수평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현재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부가하여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에 따라,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9a 및 19b는 블록(1902)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1:2이며, 블록(1902)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블록(1900)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로부터 불필요한 인트라 예측 방향을 제거하고 필요한 인트라 예측 방향을 추가함으로써 결정된다. 블록의 높이와 너비가 1:4, 1:8, 1:16, 2:1, 4:1, 8:1, 16:1인 경우에도, 도 19a 및 19b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2^n:1 및 1:2^n (n은 자연수)인 경우, 도 19a 및 19b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2^n:m 및 m:2^n (n은 자연수, m은 1이 아닌 홀수)인 경우에도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설정될 경우, 부호화 복잡도(complexity)가 상승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의 케이스에는, 유사한 높이와 너비의 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3:4, 4:3, 7:8 또는 8:7일 때, 상기 블록에는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1:1일 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록과 너비의 비가 3:8 또는 5:8일 때, 상기 블록에는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1:2 일 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과 너비의 비가 8:3 또는 8:5일 때, 상기 블록에는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2:1 일 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크기 차이가 큰 경우, 특정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크기 차이가 8배 이상일 경우, 현재 블록에는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4:1 또는 1:4 일 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크기 차이가 16배 이상일 경우, 현재 블록에는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가 8:1 또는 1:8 일 때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함으로써,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획득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예측 블록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이상 설명된 프로세서(1610)에 의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도 17 내지 19b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관한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프로세서(1610)가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이용되는 MPM 리스트가 자세히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C 모드, 플래너(planar) 모드의 2개의 비방향성 모드, 33개 또는 65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를 포함하여 총 35개 또는 67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표현하기 위한 정보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블록들로 분할하여 처리할 때, 현재 블록과 그 주변 블록은 비슷한 영상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인트라 예측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역시 같거나 유사할 가능성이 크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인접한 블록들 사이의 유사한 특성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일 가능성이 큰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 리스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하,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 리스트는 MPM(Most Probable Mode) 리스트로 지칭될 수 있다.
만약,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리스트 중 하나인 경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데 필요한 비트량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가 67개인 경우, 67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를 시그널링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7비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5개 또는 6개의 MPM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MPM 리스트 중 하나로 결정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라도 5개 또는 6개의 MPM 리스트를 제외하고 6비트만을 이용하여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따라서, MPM 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픽처를 구성하는 블록들 중 인트라 예측된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데 필요한 전체 비트량이 절감될 수 있다.
MPM 리스트는 현재 블록보다 이전에 처리된 좌측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mode A),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mode B)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좌측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하측 꼭지점에 위치한 좌하측 픽셀의 왼쪽에 위치한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일 수 있다.
이하, MPM 리스트 결정 방법의 일 실시 예에서, 도 18과 같이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Planar, DC) 및 65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하는 총 67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이용되며, planar 모드의 predmodeIntra는 0, DC 모드의 predModeIntra는 1,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에는 시계 방향으로 2~66까지의 predModeIntra가 설정된 것으로 가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H)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predModeIntra는 18, 수직 방향(V)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의 predModeIntra는 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MPM 리스트에는 6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이용가능성(availability)이 체크된다. 만약, 현재 블록과 다른 타일(tile) 또는 슬라이스(slice)에 포함된 주변 블록 또는, 인터 예측된 주변 블록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not available)으로 판단되며, 이용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로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가 0인 플라나(planar) 모드로 설정된다. 주변 블록이 현재 블록과 동일한 타일 또는 슬라이스에 포함되며, 인트라 예측된 경우에는, 주변 블록이 갖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그대로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설정된다.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두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 즉 플라나 모드 또는 DC 모드인 경우, MPM 리스트는 {플라나, DC, H, V, V+4, V-4 }로 구성되거나, {플라나, DC, H, V, H+4, H-4 }로 구성될 수 있다. H는 수평 인트라 예측 모드, V는 수직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서,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DC 인트라 예측 모드 (predModeIntra=1)이며, 상측 주변 블록은 planar 모드 (predModeInta=0)인 경우, MPM 리스트는 {0, 1, 50, 18, 46, 54} 또는 {0, 1, 50, 18, 14, 22}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는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 다른 하나는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들(A, B) 중 더 큰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가 maxAB로 설정된다. 즉,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A,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B라고 하면, maxAB=Max(A, B)이다. 이 경우, MPM 리스트는 {플라나, maxAB, DC, maxAB-1, maxAB+1, maxAB-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60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60)를 가지며, 상측 주변 블록은 DC 모드 (predModeInta=1)인 경우, maxAB=Max(60, 1)=60이 되며, MPM 리스트는 {0, 60, 1, 59, 61, 58}이다.
만약,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두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이며,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아닌 경우,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의 방향성 차이에 기초하여 MPM 리스트가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A)와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B)의 차이값의 크기가 소정 범위 이내, 예를 들어 2 내지 62 이내라면, MPM 리스트는 {플라나, A, B, DC, maxAB-1, maxAB+1}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좌측 주변 블록(2020)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60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가지며, 상측 주변 블록은 50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갖는 경우,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A)와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B)의 차이값의 크기는 2~60에 포함되므로, MPM 리스트는 {0, 60, 50, 1, 59, 61}이다.
만약,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A)와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B)의 차이값의 크기가 2보다 작거나 62보다 큰 경우라면, MPM 리스트는 {플라나, A, B, DC, maxAB-2, maxAB+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3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가지며, 상측 주변 블록은 4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갖는 경우, MPM 리스트는 {0, 3, 4, 1, 2, 6}이다.
만약,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이 모두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이며,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MPM 리스트는 {플라나, A, A-1, A+1, DC 모드, A-2} 또는 {플라나, B, B-1, B+1, DC 모드, B-2}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60의 인트라 예측 모드 인덱스(predModeIntra)를 갖는 경우, MPM 리스트는 {0, 60, 59, 61, 1, 58}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로서 현재 블록과 인접한 주변 샘플뿐만이 아니라 현재 블록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떨어진 주변 샘플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다중 참조 라인 확장(multi-refence line extension), 인트라 예측되는 블록을 서브 파티션들로 분할하는 인트라 서브 파티셔닝, 인터 예측 및 인트라 예측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예측 방식 등 다양한 tool이 현재 블록의 부호화/복호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현재 블록의 부호화 과정에 이용된 tool에 따라서 MPM 리스트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의 부호화 과정에서 다중 참조 라인 확장이 이용된 경우, MPM 리스트로부터 플라나 모드 및 DC 모드는 제외되고, 인트라 서브 파티셔닝이 이용된 경우에는 DC 모드가 MPM 리스트로부터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다중 확장 라인 참조나 인트라 서브 파티셔닝이 이용되지 않은 블록에 대해서는 MPM 리스트에 플라나 모드 및 DC 모드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MPM 리스트 구성시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특정 tool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MPM 리스트 생성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특정 tool 에 편향된(biased) 인트라 예측 모드가 선택될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PM 리스트는 인트라 예측된 현재 블록의 부호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든 인트라 예측된 현재 블록에 대해서 MPM 리스트가 이용되거나 MPM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블록의 부호화 정보가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만, MPM 리스트가 이용되거나 MPM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 블록과 관련된 부호화 정보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별도 플래그 정보없이 MPM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만약 인트라 예측 블록과 관련된 부호화 정보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해당 인트라 예측 블록에 대해서 MPM 리스트의 생성 여부와 관련된 별도의 플래그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MPM 리스트가 생성되기 전에,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특정 인트라 예측 모드(예를 들어 비방향성 모드)인지 여부를 먼저 판단된 다음,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특정 인트라 예측 모드가 아닌 경우, MPM 리스트가 생성되고 MPM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MPM 인덱스(MPM idx)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MPM 리스트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들로부터 현재 블록에 이용되는 부호화 툴(tool)의 적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MPM 리스트는 현재 블록과 관련된 부호화 정보와 상관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부호화 정보는 현재 블록에 적용된 소정의 부호화 툴(tool)의 적용 여부,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이용되는 참조 샘플 정보 및 현재 블록이 서브 파티션들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서브 파티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블록의 MPM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가 설명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측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블록(2000)의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이 위부터 아래로 순서대로 스캔될 수 있다. 만약 샘플(2002)에 위치한 블록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출할 수 있는 경우, 샘플(2002)에 위치한 블록으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좌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샘플(2002)에 위치한 블록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샘플(2204)에 위치한 블록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추출될 수 있는지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샘플(2204)에 위치한 블록에도 인트라 예측 모드가 추출될 수 없는 경우, 샘플(2206)에 위치한 블록 및 샘플(2208)에 위치한 블록에 대하여 순서대로 인트라 예측 모드의 추출 가부가 판단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이 아래부터 위로 순서대로 스캔될 수 있다. 또는 도 20과 다르게 스캔되는 샘플들의 수가 3개 이하이거나, 5개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측 주변 블록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블록(2000)의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이 좌측부터 우측으로 순서대로 스캔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가 추출가능한 블록이 발견될 때까지,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의 스캔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이 우측부터 좌측으로 순서대로 스캔될 수 있다. 또한 도 20과 다르게 스캔되는 샘플들의 수가 2개 이하이거나, 4개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0에서는 블록(2000)의 너비가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MPM 결정에 필요한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의 개수가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의 개수보다 많다. 반대로 도 20과 다르게,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클 경우, MPM 결정에 필요한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의 개수가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의 개수보다 많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블록의 높이와 너비에 관계 없이, MPM 결정에 필요한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의 개수가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의 개수가 동일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정사각형의 블록에 있어서, 높이와 너비 중 큰 변으로부터 2개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2000)은 높이가 너비보다 크기 때문에,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로부터 2개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로부터 추출된 2개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MPM 리스트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로부터 2개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로부터 추출된 2개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MPM 리스트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정사각형의 블록에 있어서, 높이와 너비 중 큰 변으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작은 변으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하여 MPM 리스트에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2000)은 높이가 너비보다 크기 때문에, 좌측에 위치한 샘플들(2002, 2004, 2006, 2008)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측에 위치한 샘플들(2010, 2012, 2014)로부터 추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하여 MPM 리스트에서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으로부터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된 MPM 인덱스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블록의 MPM 인덱스에 따라 현재 블록의 MPM 리스트에서 MPM의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2000)에 인접한 복수의 인접 블록들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MPM 인덱스들이 2번 MPM을 나타낼 경우, 블록(2000)의 MPM 리스트의 2번 MPM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MPM 리스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기술적 특징이 설명된다.
프로세서(161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한다.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현재 블록의 상위 블록에 대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은 변환 블록이고, 상위 블록은 현재 블록을 포함하는 부호화 블록일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파싱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접 샘플들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참조 샘플들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보간 필터에 따라,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참조 샘플을 필터링함으로써, 인접한 참조 샘플들 간의 연속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클 때,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크기가 작은 경우, 참조 샘플 필터링의 부호화 효율 향상이 크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작을 때,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하지 않음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고, 부호화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샘플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에 따라, 상기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샘플은 평활화 필터에 따라 필터링된다. 그러므로 평활화 필터에 따른 참조 샘플의 필터링에 따라 참조 샘플의 연속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보간 필터 세트가 참조 샘플의 연속성을 저하시키는 샤프 필터로 구성된 경우, 참조 샘플의 필터링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로세서(1610)는 선택된 보간 필터 세트가 샤프 필터 세트인 경우,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610)는 선택된 보간 필터 세트가 평활화 필터인 경우에도,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보간 필터 세트에 의하여, 참조 샘플이 평활화되기 때문에, 미리 참조 샘플을 평활화 필터에 따라 필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들 중에서 특정 보간 필터 세트가 선택된 경우, 참조 샘플이 필터링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참조 샘플의 필터링 여부를 나타내는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래너 모드, 좌상측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 우상측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좌하측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가 참조 샘플의 필터링을 나타내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0도와 45도 사이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대응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가 참조 샘플의 필터링을 나타내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90도와 -135도 사이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대응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가 참조 샘플의 필터링을 나타내도록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언급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아닌 다른 인트라 예측 모드인 경우,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가 참조 샘플의 필터링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에 따라, 참조 샘플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필터링된 참조 샘플 또는 필터링되지 않은 참조 샘플에 따라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이 결정된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보간 필터 세트를 나타내는 보간 필터 세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간 필터 세트 정보는 픽처 단위, 슬라이스 단위, 슬라이스 세그먼트 단위, 타일 단위, CTU 단위 또는 CU 단위마다 획득될 수 있다. 루마 블록에 대한 보간 필터 세트 정보는 크로마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는 크로마 블록에 대한 보간 필터 세트 정보가 루마 블록에 대한 보간 필터 세트 정보와 별도로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보간 필터 세트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필터링 플래그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필터링이 수행된 경우, 평활화 기능이 없는 보간 필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평활화 기능이 있는 보간 필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좌상측 대각선 방향에 대응되고, 참조 샘플 필터링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평활화 기능이 있는 보간 필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작을 경우, 하나의 보간 필터 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클 경우,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들 중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값을 소정의 정수로 나눔으로써 결정된 나머지 값(remainder)에 따라, 상기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정수가 2일 때,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값의 나머지는 0 또는 1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인트라 예측 모드가 34일 때,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는 나머지 값 0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 세트로 결정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 모드가 35일 때,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는 나머지 값 1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 세트로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작을 경우,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이 작을 경우, 인접한 인트라 예측 모드 간의 예측 결과가 유사하므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함으로써, 보간 필터 세트 정보의 부호화가 생략된다. 보간 필터 세트 정보의 부호화가 생략됨으로써, 부호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클 경우, 프로세서(1610)는 보간 필터 세트 정보에 따라, 현재 블록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보간 필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에 대하여 동일한 보간 필터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610)는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 각각에 대하여 다른 보간 필터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 중에서, 현재 샘플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샤프(sharp) 필터 세트 및 평활화(smoothing) 필터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 필터 세트는 인접 샘플들 간의 연속성을 약화시키고, 인접 샘플들 간의 샘플 값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평활화 필터 세트는 인접 샘플들 간의 연속성을 강화시키고, 인접 샘플들 간의 샘플 값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2개 이상의 샤프 필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2개 이상의 평활화 필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1개 이상의 샤프 필터 세트 및 1개 이상의 평활화 필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평활화 기능 또는 샤프 기능이 없는 일반 보간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는 일반 보간 필터와 1개 이상의 샤프 필터 세트 또는 일반 보간 필터와 1개 이상의 평활화 필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2개 이상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2개 이상의 보간 필터 세트 중에서,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과 현재 샘플과의 거리에 따라, 현재 샘플들 각각에 대하여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샘플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참조 샘플과 가까운 거리의 현재 샘플에는 약한 필터링 강도의 보간 필터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반대로, 참조 샘플과 먼 거리의 현재 샘플에는 강한 필터링 강도의 보간 필터 세트를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한 4개의 보간 필터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에 바로 인접한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1 픽셀 거리만큼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3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2 픽셀 거리에서 3 픽셀 거리만큼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4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4 픽셀 거리 이상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서, 제1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에 바로 인접한 현재 샘플 및 참조 샘플과 1 픽셀 거리만큼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2 픽셀 거리에서 3 픽셀 거리만큼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3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4 픽셀 거리에서 7 픽셀 거리만큼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제4 보간 필터 세트는 참조 샘플과 8 픽셀 거리 이상 떨어진 현재 샘플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가 적용되는 참조 샘플과 현재 샘플 간의 픽셀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4x4일 때, 제1 실시 예에 따라 4개의 보간 필터 세트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가 8x8일 때, 제2 실시 예에 따라 4개의 보간 필터 세트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한다.
참조 위치는 정수 위치와 분수 위치로 구성된다. 프로세서(1610)는 정수 위치에 따라 보간 필터에 적용되는 참조 샘플들을 결정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610)는 분수 위치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로부터 보간 필터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과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610)는 분수 위치에 따라 결정된 보간 필터의 필터 계수와 정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참조 샘플들의 샘플 값에 따라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10)는 상기 결정된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한다.
도 21은 현재 블록에 인접한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되었듯이, 프로세서(1610)는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 및 현재 샘플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에 따라,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참조 샘플들이 필터링된다고 결정된 때, 참조 샘플들은 아래와 같이 필터링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평활화 필터가 참조 샘플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평활화 필터의 탭 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20에서 평활화 필터의 탭 수는 3일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샘플의 필터링을 위하여 필터링의 대상이 되는 참조 샘플과 함께 필터링의 대상이 되는 참조 샘플에 인접한 2개의 참조 샘플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2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참조 샘플(2110)의 필터링을 위하여, 참조 샘플들(2110, 2112, 2114)이 사용된다. 그리고 현재 블록(2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참조 샘플(2120)의 필터링을 위하여, 참조 샘플들(2120, 2122, 2124)이 사용된다. 현재 블록(2100)의 좌상측 꼭지점에 위치하는 참조 샘플(2130)의 필터링을 위하여, 참조 샘플들(2130, 2132, 2134)이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0에서 평활화 필터의 필터 계수는 [1/4,2/4,1/4]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링된 참조 샘플(2110)의 샘플 값은 참조 샘플(2110)의 샘플 값에 2/4를 곱한 값, 참조 샘플(2112)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 및 참조 샘플(2114)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을 더한 값과 같다. 마찬가지로, 필터링된 참조 샘플(2120)의 샘플 값은 참조 샘플(2120)의 샘플 값에 2/4를 곱한 값, 참조 샘플(2122)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 및 참조 샘플(2124)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을 더한 값과 같다. 또한 필터링된 참조 샘플(2130)의 샘플 값은 참조 샘플(2130)의 샘플 값에 2/4를 곱한 값, 참조 샘플(2132)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 및 참조 샘플(2134)의 샘플 값에 1/4를 곱한 값을 더한 값과 같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참조 샘플들 중 가장 끝에 위치한 참조 샘플(2140)과 참조 샘플(2150)은 필터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필터링된 참조 샘플들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값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2 및 23은 보간 필터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 값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2 에 따르면, 현재 샘플(2210)의 예측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4탭 보간 필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현재 샘플(2210)의 위치로부터 인트라 예측 방향에 위치한 참조 위치 주변의 4개의 참조 샘플에 따라 현재 샘플(2210)의 예측 값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현재 샘플(2210)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는 참조 샘플(2222) 및 참조 샘플(2224)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현재 샘플(2210)의 예측 값은 참조 샘플들(2220, 2222, 2224, 2226)에 보간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된다. 현재 블록(2200)의 모든 샘플들은 현재 샘플(2210)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결정된다.
도 23에 따르면, 현재 샘플의 위치로부터 인트라 예측 방향에 위치한 참조 위치(2230)가 도시된다. 참조 위치(2230)의 정수 위치는 참조 샘플(2222)의 위치에 해당된다. 그리고 참조 위치(2230)의 분수 위치는 참조 위치(2230)와 참조 샘플(2222)의 위치의 차에 해당된다. 도 23에 따르면, 참조 위치(2230)의 분수 위치는7/16이다. 그러므로 보간 필터 세트에서 7/16의 분수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가 현재 샘플(2210)의 예측 값을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간 필터 세트는 현재 샘플(2210)과 참조 샘플들(2220, 2222, 2224, 2226) 간의 수직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보간 필터 세트는 현재 블록(2200)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10)는 현재 샘플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에 따라, 상기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샘플은 평활화 필터에 따라 필터링된다. 그러므로 평활화 필터에 따른 참조 샘플의 필터링에 따라 참조 샘플의 연속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보간 필터 세트가 참조 샘플의 연속성을 저하시키는 샤프 필터로 구성된 경우, 참조 샘플의 필터링이 불필요하다. 그러므로 프로세서(1610)는 선택된 보간 필터 세트가 샤프 필터 세트인 경우,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610)는 선택된 보간 필터 세트가 평활화 필터인 경우에도, 참조 샘플을 필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보간 필터 세트에 의하여, 참조 샘플이 평활화되기 때문에, 미리 참조 샘플을 평활화 필터에 따라 필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들 중에서 특정 보간 필터 세트가 선택된 경우, 참조 샘플이 필터링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필터링된 참조 샘플 또는 필터링되지 않은 참조 샘플에 따라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이 결정된다.
상기 언급된 프로세서(1610)의 기술적 특징은 도1b의 복호화부(17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4은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4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접 샘플들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되는 참조 샘플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은 참조 샘플 보간 필터에 따라,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410에서, 필터링된 참조 샘플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클 때, 참조 샘플들이 필터링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단계 2420에서 결정된 보간 필터 세트에 따라, 상기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를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참조 샘플들의 필터링 여부에 따라 단계 2420에서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41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획득된다.
단계 2420에서,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를 나타내는 보간 필터 세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간 필터 세트 정보에 따라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블록의 크기가 소정의 블록 크기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 중에서,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 값을 소정의 정수로 나눔으로써 결정된 나머지 값에 따라,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 후보 중에서,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2개 이상의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보간 필터 세트 중에서,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과 현재 샘플과의 거리에 따라, 현재 샘플들 각각에 대하여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된다. 그리고 단계 2440에서, 상기 결정된 현재 샘플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가 결정된다.
단계 2430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가 결정된다.
단계 2440에서,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가 결정된다.
단계 2450에서,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과 보간 필터에 따라,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된다.
단계 2460에서,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이 복원된다.
도 16의 프로세서(1610)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도 24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5는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단계 251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다.
단계 252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된다.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일 때,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대응되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이 결정된다.
단계 254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에 따라 현재 블록을 인트라 예측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이 획득된다.
단계 2550에서, 예측 블록에 따라 현재 블록이 복원된다.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가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나타내는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가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좌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선택된 소정 개수의 인트라 예측 방향 대신에,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 이외의 우상측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이 포함된다. 또한 현재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 중 우상측 방향을 기준으로 선택된 소정 개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 대신에,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 이외의 좌하측 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인트라 예측 방향들이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2530에서,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인트라 예측 방향 대신에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은,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포함된 대체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이 가리키는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2530에서, 제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은, 현재 블록의 너비가 높이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수평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을 더 포함하며, 현재 블록의 높이가 너비보다 큰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제 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부가하여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방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에 대응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없을 경우,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의 비와 차이가 적은 높이와 너비의 비에 대응되는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이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인트라 예측 방향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인트라 예측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 2530에서, 현재 블록의 좌측 인접 블록의 예측 모드 및 현재 블록의 상측 인접 블록의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MPM리스트가 결정되고, 상기 MPM리스트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이 비정사각형 형태를 가질 때, MPM 리스트에 포함된 MPM의 우선순위는 상기 현재 블록의 높이와 너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의 프로세서(1610)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도 25의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6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법에 따라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는 프로세서(2610) 및 메모리(2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61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610)는 메모리(262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2620)는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62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26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현재 블록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이 설명된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정확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10)는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보간 필터 세트에서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을 보간 필터에 따라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610)는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따라,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에 대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계산함으로써, 현재 블록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이 설명된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현재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따른 예측 블록들의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610)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포함된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복호화 장치(1600)에 대하여 설명된 비디오 복호화의 기술적 특징은 비디오 부호화 장치(2600)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610)의 기능은 도1A의 부호화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은 인트라 예측에 있어서 사용되는 보간 필터를 현재 블록에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단계 2710에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된다.
단계 2710은 단계 2712 내지 단계 2720을 포함한다. 단계 2712 내지 단계 2720에 따라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가 결정된다.
단계 2712에서,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에 사용되는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2714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이 참조하는 참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2716에서, 보간 필터 세트에서 상기 참조 위치에 대응되는 보간 필터를 결정하는 단계;
단계 2718에서, 현재 블록의 참조 샘플들을 상기 보간 필터에 따라 보간함으로써, 현재 샘플의 예측 값이 결정된다.
단계 2720에서, 현재 샘플의 예측 값에 따라,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른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가 결정된다.
단계 2712 내지 단계 2720에 따라 모든 인트라 예측 모드 각각에 대하여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계산함으로써, 현재 블록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된다.
그리고 단계 273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출력된다.
도 26의 프로세서(2610)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도 27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8는 현재 블록의 형태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를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 중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결정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단계 2810에서, 현재 블록의 너비 및 높이에 따라, 현재 블록에 적용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된다.
단계 2820에서,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에 따른 예측 블록들의 예측 정확도에 따라,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된다.
단계 2830에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포함된 비트스트림이 출력된다.
단계 2810에서,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한 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제1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되고,
현재 블록이 너비 및 높이가 동일하지 않은 비정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에 따라 설정된 복수 개의 인트라 예측 방향을 포함하는 제 2 인트라 예측 방향 후보들이 결정된다.
도 26의 프로세서(2610)에 의하여 구현되는 기술적 특징은 도 28의 비디오 부호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28를 참조하여 전술된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부호화 기법에 따라,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공간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부호화되며,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에 기초한 비디오 복호화 기법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복호화가 수행되면서 공간 영역의 영상 데이터가 복원되어, 픽처 및 픽처 시퀀스인 비디오가 복원될 수 있다. 복원된 비디오는 재생 장치에 의해 재생되거나,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한 최상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외에 본 개시에 대체, 변형 및 수정이 적용된 발명들은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대체, 변형 및 수정된 발명을 포함하도록 해석한다. 그러므로 이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Claims (3)

  1.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변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위한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라나 모드 및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이면,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필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보간 필터 세트 및 제2 보간 필터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들 중에서,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보간 필터 세트의 복수의 보간 필터 계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예측 샘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1 값을 가지면, 상기 제1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2 값을 가지면, 상기 제2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상위 부호화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블록들 중 하나이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분할되지 않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2. 현재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변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위한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라나 모드 및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이면,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필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보간 필터 세트 및 제2 보간 필터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들 중에서,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보간 필터 세트의 복수의 보간 필터 계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예측 샘플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1 값을 가지면, 상기 제1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2 값을 가지면, 상기 제2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상위 부호화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블록들 중 하나이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분할되지 않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3. 비트스트림을 기록한 비-일시적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비트스트림은,
    현재 변환 블록을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변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위한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결정하고;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플라나 모드 및 대각선 방향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이면,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필터링하고;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크기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필터 관련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보간 필터 세트 및 제2 보간 필터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보간 필터 세트들 중에서, 보간 필터 세트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간 필터 세트의 복수의 보간 필터 계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참조 샘플들을 보간함으로써, 상기 현재 변환 블록의 예측 샘플들을 획득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1 값을 가지면, 상기 제1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필터 관련 정보가 제2 값을 가지면, 상기 제2 보간 필터 세트가 결정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상위 부호화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블록들 중 하나이고,
    상기 현재 부호화 블록은 분할되지 않는, 비-일시적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7043778A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7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1739A KR20240051319A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83163P 2018-06-11 2018-06-11
US62/683,163 2018-06-11
US201862699363P 2018-07-17 2018-07-17
US62/699,363 2018-07-17
PCT/KR2019/006989 WO2019240458A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7028110A KR102479494B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10A Division KR102479494B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739A Division KR20240051319A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613A KR20230003613A (ko) 2023-01-06
KR102657548B1 true KR102657548B1 (ko) 2024-04-15

Family

ID=688434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739A KR20240051319A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27043778A KR102657548B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07028110A KR102479494B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739A KR20240051319A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110A KR102479494B1 (ko) 2018-06-11 2019-06-11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722673B2 (ko)
EP (1) EP3806460A4 (ko)
KR (3) KR20240051319A (ko)
IL (1) IL279326A (ko)
WO (1) WO2019240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0964A3 (en) * 2019-06-21 2024-03-13 VID SCALE, Inc. Precision refinement for motion compensation with optical flow
WO2021043138A1 (en) * 2019-09-02 2021-03-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encoder, a decoder and corresponding methods of filter modification on general intra prediction process
US11553208B2 (en) * 2019-11-27 2023-01-10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using a subset of available intra prediction modes for multiple reference lines
CN113992635B (zh) * 2021-10-20 2022-09-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多媒体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3769A1 (en) * 2015-06-18 2016-12-22 Qualcomm Incorporated Intra prediction and intra mode 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561A (ko) * 2010-04-09 2011-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인 필터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10045046B2 (en) * 2010-12-10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upport for interpolating values of sub-pixels for video coding
US9264725B2 (en) * 2011-06-24 2016-02-16 Google Inc. Selection of phase offsets for interpolation filters for motion compensation
KR101611409B1 (ko) 2011-09-28 2016-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3048033A1 (ko) 2011-09-28 2013-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711098B2 (ja) 2011-11-07 2015-04-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US9264905B2 (en) 2013-02-21 2016-02-16 Digi International Inc. Establishing secure connection betwe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wireless hub using security credentials obtained from remote security credential server
CN109792519B (zh) 2016-08-08 2023-06-23 Lg电子株式会社 基于帧内预测模式的图像处理方法及其装置
KR20190052097A (ko) * 2016-09-30 2019-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39324A (ko) 2016-10-10 2018-04-18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정방형 또는 직방형 블록의 화면 내 예측모드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CN116156165A (zh) 2017-10-31 2023-05-23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及其装置
CN117834857A (zh) 2018-04-24 2024-04-05 三星电子株式会社 视频编码方法和装置以及视频解码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73769A1 (en) * 2015-06-18 2016-12-22 Qualcomm Incorporated Intra prediction and intra mode 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494B1 (ko) 2022-12-20
US20230388510A1 (en) 2023-11-30
US20230308655A1 (en) 2023-09-28
US20210266557A1 (en) 2021-08-26
IL279326A (en) 2021-01-31
EP3806460A4 (en) 2022-04-20
US20230328251A1 (en) 2023-10-12
KR20240051319A (ko) 2024-04-19
US11722673B2 (en) 2023-08-08
EP3806460A1 (en) 2021-04-14
WO2019240458A1 (ko) 2019-12-19
KR20200123836A (ko) 2020-10-30
KR20230003613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8111B2 (ja) 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復号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661807B1 (ko) 부호화 순서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JP7274022B2 (ja) 符号化順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該復号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657548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551361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2812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44294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04776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85371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136411A (ko) 부호화 순서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20605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P3913915A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20210021938A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8361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