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539B1 -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 Google Patents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539B1
KR102657539B1 KR1020220037142A KR20220037142A KR102657539B1 KR 102657539 B1 KR102657539 B1 KR 102657539B1 KR 1020220037142 A KR1020220037142 A KR 1020220037142A KR 20220037142 A KR20220037142 A KR 20220037142A KR 102657539 B1 KR102657539 B1 KR 102657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locking
magnet
lock b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39042A (en
Inventor
이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3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539B1/en
Publication of KR2023013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83Interlock systems
    • B60R2022/4891Interlock systems preventing use of the vehicle when the seatbelt is not fa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ck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은, 차량의 제어 유닛과 연동되는 버클 시스템으로서, 일방향으로 시트벨트의 텅이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레임 유닛; 자력을 통해 상기 텅을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상기 텅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ckle system linked to the control unit of a vehicle, and includes a frame unit provided to allow the tongue of a seat belt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in one direction; It includes a locking unit that secures or unfastens the tongue to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through magnetic force, wherein the locking unit maintains the tongue in a locked state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locks the tongue of the vehicle. It is provided so that the lock state can be released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Description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본 발명은 버클 락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을 통해 텅을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며, 버클의 체결 이후 에는 차량의 운행중에 임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마련된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ckle lock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buckle using a magnet that secures or unfastens the tongue to the inside of a frame unit through magnetic force and is designed to prevent arbitrary release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fter fastening the buckle. It's about the locking system.

최근에는 차량 소유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고 발생 빈도가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number of vehicle owners has rapidly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accide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사고 발생 시 시트벨트(Seatbelt)를 미착용한 탑승자의 경우, 시트벨트 착용 탑승자에 비해 사망률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시트벨트의 착용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Because the death rate for passengers who are not wearing seatbelts when an accident occurs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for passengers wearing seatbelts, the importance of wearing seatbelts is increasing.

그러나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에는, 주행시 실내공간에서 탑승자 활동의 자유로움에 따라 주행 중에 차량의 버클을 탑승자가 임의로 해제하여 사고발생시 탑승자가 더 큰 부상을 당할 위험성 및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elf-driving vehic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ccupants arbitrarily release the buckle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due to the freedom of occupants' activities in the interior space, increasing the risk of further injury and mortality to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력을 이용한 락킹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텅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된 마그넷를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buckle using a magnet is provided to keep the tongue in a locked state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a locking unit using magnetic force and to be unlocked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The challenge is to provide a locking syste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은, 차량의 제어 유닛과 연동되는 버클 시스템으로서, 일방향으로 시트벨트의 텅이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레임 유닛; 자력을 통해 상기 텅을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상기 텅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on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ckle system link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frame provided to allow the tongue of the seat belt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in one direction. unit; It includes a locking unit that secures or unfastens the tongue to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through magnetic force, wherein the locking unit maintains the tongue in a locked state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locks the tongue of the vehicle. It may be arranged so that the lock state can be released when the engine is turned off.

여기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프레임 유닛 내부에서 상기 텅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텅을 락킹위치에서 고정시키거나, 락킹해제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텅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록바; 및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자력을 일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위치에 고정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자력을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가 상기 락킹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king unit includes: a lock bar that moves toward the tongue inside the frame unit to fix the tongue in the locking position, or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tongue; And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one direction to fix the lock bar in the locking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the lock bar to the unlocked position. It may contain a magnet that allows it to move.

상기 록바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형성된 락킹홀에서 상기 텅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텅을 향해 이동하고, 소정 위치 상승하여 상기 락킹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lock bar may move toward the tongu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in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frame unit, and may ris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 to the locking position.

상기 마그넷은, 자력을 상기 텅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홀 일측에 위치한 락킹해제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상기 텅의 일측에 위치한 락킹가능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agnet generates magnetic forc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thereby moving the lock bar from an unlocked posi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hole to a lockable posi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tongue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It can be moved.

또한 상기 록바는, 상기 락킹가능위치에서 상기 텅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하부에 마련된 이젝터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락킹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ck bar may be raised and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by an ejecto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unit to press the tongue in the lockable posi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ngue is pulled out from the frame unit.

또한 상기 록바는,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마련된 버튼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락킹가능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ck bar may be pressed downward in the locking position by a button provided on the top of the frame unit to return to the lockable position.

이때 상기 마그넷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마그넷의 자력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락킹가능위치의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해제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 may return the lock bar in the lockable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by forming a magnetic force direction of the magne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상기 록바는, 상기 락킹홀을 통해 상기 마그넷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대향면;The lock bar includes an opposing surface that contacts or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through the locking hole;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텅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텅에 결합되는 걸림면; 및 상기 버튼에 대향하도록 상기 대향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융기면을 포함할 수 있다.a locking surface that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toward the tongue and is coupled to the tongue; And it may include a raised surface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opposing surface to face the button.

여기서 상기 걸림면은, 상기 대향면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engaging surface may have an upward or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based on the opposing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텅은, 일측이 상기 융기면과 상기 걸림면이 이루는 제1 단턱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걸림면과 상기 대향면이 이루는 제2 단턱에 접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side of the tongue may be in contact with a first step formed by the raised surface and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a second step formed by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opposing surface.

상술한 상기 제어 유닛은,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상기 텅의 잠금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상기 텅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탑승자의 휴대단말기로 경고알람을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described above monitors the locking state of the tongue in real time when the vehicle is confirmed to be running, and may transmit a warning alarm to the passenger's mobile terminal when the tongue is unlocked.

본 발명의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the magn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주행 중에 체결된 시트벨트를 탑승자가 임의로 해제할 수 없도록 마련됨으로써, 사고발생시 탑승자의 부상 위험성 및 사망률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By preventing the occupant from arbitrarily releasing the fastened seat belt while driving,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injury and death to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특히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주행 중 시트벨트 체결 해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it is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seat belt unfastening while driving, which can frequently occur in autonomous vehicl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이 제어 유닛 및 텅과 연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록바와 마그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락킹가능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락킹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주행중 락킹 유닛이 락킹 해제되지 않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시동이 OFF되어 락킹이 해제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summary set forth above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ct arrangement and means shown.
1 is a diagram illustrating how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is linked with a control unit and a tong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ocking unit in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ock bar and magnet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ckable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not unlocked while driving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he ignition is turned off and the locking is released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symbo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 accordingly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이 제어 유닛 및 텅과 연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록바와 마그넷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락킹가능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락킹 유닛의 락킹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주행중 락킹 유닛이 락킹 해제되지 않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에서 시동이 OFF되어 락킹이 해제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with a control unit and a tongue, and Figure 2 is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locking unit in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ock bar and magnet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and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kable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unit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locking while driving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he unit is not unlocked, and Figure 8 is a diagram to explain how the lock is released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in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240)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10) 은, 차량의 제어 유닛(E)과 연동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buckle locking system 10 using a magne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nked with the control unit (E) of the vehicle.

여기서 제어 유닛(E)은 차량의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일 수 있으며, Here, the control unit (E) may be the engin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을 포함하고, 변속기(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차체 자세 (ESC), 에어백, 타이어 공기압(TPM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n Electronic Contro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includes an Engine Control Unit and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vehicle body posture (ESC), airbag, and tire pressure (TPMS). ECU) may also be included.

또한 제어 유닛(E)은 CPU, 메모리 및 센서 컨트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각종 부가기능에 따라 메모리 용량도 커진다. 수동 변속 차량은 256KB~2MB, 자동 변속 차량은 평균 4~8MB의 용량을 가지고 있고, 지멘스사의 CPU로 8~16비트 2.2~8MHz의 처리속도를 지닐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E) may include a CPU, memory, and sensor controllers, and the memory capacity may increase depending on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f the vehicle. Manual transmission vehicles have an average capacity of 256KB~2MB,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s have an average capacity of 4~8MB, and the Siemens CPU can have a processing speed of 8~16 bits and 2.2~8MHz.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240)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10) 은 제어 유닛(E)을 통해 따라 프레임 유닛(100) 상에서 후술할 자력을 이용한 락킹 유닛(200)을 제어함으로써, 운행 중에는 시트벨트의 텅(T) 과 버클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buckle locking system 10 using the magne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locking unit 200 using magnetic for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frame unit 100 through the control unit (E), The tongue (T) of the seat belt and the buckle may be provided so that they cannot be released during 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어 유닛(E)은,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텅(T)의 잠금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고, 외력에 의해 텅(T)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탑승자의 휴대단말기 또는 인근 관공서로 경고알람을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onitors the locking state of the tongue (T) in real time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and when the tongue (T) is unlocked by an external force, the occupant's It may be arranged to send a warning alarm to a mobile terminal or nearby government offic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240)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10)은 크게 프레임 유닛(100), 락킹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uckle locking system 10 using a magne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frame unit 100 and a locking unit 200.

먼저 프레임 유닛(100)은 일방향으로 시트벨트의 텅(T) 이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frame unit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ongue (T) of the seat belt can be inserted and withdrawn in one direction.

여기서 프레임 유닛(100)은 일방향으로 시트벨트의 텅(T) 이 인입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인출되어 시트벨트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면 그 형상, 구조, 재질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ere, the shape, structure, material, etc. of the frame unit 100 may vary as long as the tongue (T) of the seat belt is retract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at belt can be unfastened by being withdraw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ch may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natural to say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다만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레임 유닛(10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 관통홀, 즉 다시 말해 후술할 락킹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if an example is given, the frame unit 100 may have an internal space and a through hole, that is, a locking hole 1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프레임 유닛(100)은 내측 하부에 후술할 락킹가능위치(L1)에서 텅(T)을 프레임 유닛(10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젝터(120)가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ame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jector 120 at the inner lower portion to press the tongue T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ulled out from the frame unit 100 at the lockable position L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프레임 유닛(100)은 내측 상부에는 탑승자가 가압하여 텅(T) 과 버클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는 버튼(140)이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rame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140 on the inner upper portion that can be pressed by the rider to release the fastening of the tongue (T) and the buckle.

따라서 락킹 유닛(200)은 후술할 락킹위치(L2)에서 프레임 유닛(100)의 상부에 마련된 버튼(140)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락킹가능위치(L1)로 복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cking unit 200 can be returned to the lockable position L1 by being pressed downward from the locking position L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button 140 provided on the top of the frame unit 100.

다음으로 락킹 유닛(200)은, 자력을 통해 상술한 텅(T)을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Next, the locking unit 200 can fix or unfasten the above-described tongue (T) to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100 through magnetic force.

구체적으로 락킹 유닛(200)은 상술한 제어 유닛(E)과 연동되며, 제어 유닛(E)에 의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텅(T)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탑승자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unit 200 is linked with the control unit (E) described above, keeps the tongue (T) in a locked state when the control unit (E) confirms that the vehicle is running, and locks the tongue (T) in a locked state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It can be arranged so that the lock state can be released by.

구체적으로 자력을 이용한 락킹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바(220), 마그넷(2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unit 200 using magnetic force may include a lock bar 220 and a magnet 240 as shown in FIG. 3 .

먼저 록바(220)는 프레임 유닛(100) 내부에서 텅(T)을 향해 이동하여 텅(T)을 락킹위치(L2)에서 고정시키거나, 락킹해제위치(L3)로 이동하여 텅(T) 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First, the lock bar 220 moves toward the tongue (T) inside the frame unit 100 and fixes the tongue (T) in the locking position (L2), or moves to the unlocking position (L3) and locks the tongue (T). It can be arranged to release the bond.

마그넷(240)은 상술한 제어 유닛(E)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제어 유닛(E)의 제어에 의해 자력을 일방향으로 형성시켜 록바(220)를 락킹위치(L2)에 고정할 수 있다.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E), the magnet 240 forms magnetic force in one dir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E), thereby fixing the lock bar 220 in the locking position (L2). .

또한 마그넷(240)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자력방향을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시켜 록바(220)가 락킹해제위치(L3)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탑승자는 시트벨트의 텅(T) 과 버클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gnet 240 forms the direction of magnetic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direction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allowing the lock bar 220 to move to the unlocked position (L3), so that the occupant can use the tongue (T) and buckle of the seat belt. It is possible to cancel the contract.

구체적으로 록바(220)는 프레임 유닛(100)에 형성된 관통홀, 즉 다시말해 락킹홀(110)에서 배치되어 있다가 마그넷(240)의 자력에 의해 텅(T)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텅(T)을 향해 이동하고, 소정 위치 상승하여 락킹위치(L2)로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 bar 220 is dispos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ame unit 100, that is, in the locking hole 110, and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T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40. It can move toward the tongue (T), ris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 to the locking position (L2).

여기서 록바(220)는 텅(T)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텅(T)을 향해 이동하고, 소정 위치 상승하여 락킹위치(L2)로 이동함으로써, 프레임 유닛(100)에 텅(T) 이 체결될 수만 있다면 그 구조, 형상,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Here, the lock bar 220 moves toward the tongue (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T), rises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L2), thereby attaching the tongue (T) to the frame unit 100. As long as this can be concluded, the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due to this.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록바(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대향면(221), 걸림면(222) 융기면(223)을 포함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as an example, the lock bar 220 may largely include an opposing surface 221, a stopping surface 222, and a raised surface 223, as shown in FIG. 4.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면(221)은 구체적으로 락킹홀(110)을 통해 마그넷(240)과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posing surface 221 may be provided to contact or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240 through the locking hole 110.

이때 대향면(221)의 길이는 락킹홀(110)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함으로써, 록바(220)와 락킹홀(110)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making the length of the opposing surface 221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cking hole 110, interference between the lock bar 220 and the locking hole 110 can be prevented.

이때 걸림면(222)은 상술한 대향면(221)을 기준으로 텅(T)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텅(T)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surface 222 may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tongue 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opposing surface 221 and be coupled to the tongue T.

다시 말해 록바(220)는 대향면(221)의 반대측에 걸림면(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면(222)은 텅(T) 의 인입, 인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면(222)이 텅(T) 의 인입, 인출 방향과 수평, 다시 말해 대향면(221)과 평행을 이룬다 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ock bar 220 may have a locking surface 22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posing surface 221, and the locking surface 222 may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based on the incoming and outgoing direction of the tongue T. It can be provided, and even if the engaging surface 222 is parallel to the incoming and outgoing direction of the tongue (T), that is, parallel to the opposing surface 221, it will a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걸림면(222)은 대향면(221)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explanation, as an example, the engaging surface 222 may be provided to have an upward or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based on the opposing surface 221.

융기면(223)은 상술한 대향면(2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버튼(140)에 대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The raised surface 223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ove-described opposing surface 221 and may protrude to face the button 140 described above.

다시 말해 융기면(223)은 대향면(221)의 상단측에 형성되어 버클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록바(22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aised surface 22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posing surface 221 and can serve to move the lock bar 220 downward by receiv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buckle.

뿐만 아니라 록바(22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턱(228), 제2 단턱(229)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step 228 and a second step 229 may be formed on the lock bar 220 as shown in the drawing.

따라서 텅(T)은, 일측이 융기면(223)과 걸림면(222)이 이루는 제1 단턱(228)에 접하고, 타측은 걸림면(222)과 대향면(221)이 이루는 제2 단턱(229)에 접함으로써 록바(220)에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one side of the tongue (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ep 228 formed by the raised surface 223 and the engaging surface 222,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ep formed by the engaging surface 222 and the opposing surface 221. It can be fixed to the lock bar 220 by contacting 229).

다시 말해 록바(220)의 제1 단턱(228)에 텅(T)의 일측이 접하고, 제2 단턱(229)에 텅(T)의 타측이 접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텅(T)을 프레임 유닛(100)에서 이탈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one side of the tongue (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ep 228 of the lock bar 220, and the other side of the tongue (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tep 229, thereby forming the tongue (T) into a frame unit ( 100) can be stably fixed without falling off.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마그넷(240)의 자력에 따른 록바(220)의 위치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 the position of the lock bar 220 according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면을 참조하면 마그넷(240)은, 자력을 텅(T)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락킹홀(110) 일측 락킹해제위치(L3)에 위치한 록바(220)를 프레임 유닛(100)에 인입된 텅(T)의 일측에 위치한 락킹가능위치(L1)로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magnet 240 generates magnetic force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T), thereby attaching the lock bar 220 located at the unlocking position (L3) on one side of the locking hole (110) to the frame unit. It can be moved to the lockable position (L1) located on one side of the tongue (T) inserted into (100).

이때 록바(220)는, 텅(T)을 프레임 유닛(10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프레임 유닛(100)의 하부에 마련된 이젝터(120)에 의해 상승되어 락킹가능위치(L1)에서 상술한 락킹위치(L2)로 이동함으로써 텅(T)이 버클에 체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k bar 220 is raised by the ejector 12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ame unit 100 to press the tongue T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ulled out from the frame unit 100, and is moved to the lockable position L1 as described above. The tongue (T) can be fastened to the buckle by moving to the locking position (L2).

여기서 탑승자가 락킹위치(L2)에서 프레임 유닛(100)의 상부에 마련된 버튼(140)을 하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버튼(140)에 의해 록바(220)는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락킹가능위치(L1)로 복귀할 수 있다.Here,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e button 14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unit 100 in the locking position (L2) downward, the lock bar 220 is pressed downward by the button 140 and moves to the lockable position (L1). ) can be returned to.

그러나 이때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140)을 눌러도 마그넷(240)의 제1 방향으로의 자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텅(T)이 버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However, if the vehicle is running at this time, even if the button 140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40 in the first direction is maintained, so the tongue T does not come off the buckle.

즉 다시 말해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라면, 탑승자가 아무리 텅(T)과 버클을 해제하려고 해도 자력에 의해 체결이 유지됨으로써, 운행 중 시트벨트 체결 해제로 인한 큰 부상의 위험성과 사망률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vehicle is running, no matter how much the passenger tries to release the tongue (T) and buckle, the fastening is maintained by magnetic force,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erious injury and mortality due to seat belt release during driving. do.

한편 마그넷(240)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제어 유닛(E)에 의해 마그넷(240)의 자력방향을 제1 방향에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ngine of the magnet 240 is turned off, the control unit (E) can cause the direction of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240 to b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따라서 마그넷(240)은 락킹가능위치(L1) 상태의 록바(220)를 락킹해제위치(L3)로 복귀시킴으로써, 운행이 종료되면 시트벨트의 텅(T) 과 버클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refore, the magnet 240 returns the lock bar 220 from the lockable position (L1) to the unlocked position (L3), so that the tongue (T) of the seat belt and the buckle can be released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It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은 주행 중에 체결된 시트벨트를 탑승자가 임의로 해제할 수 없도록 마련됨으로써, 사고발생시 탑승자의 부상 위험성 및 사망률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 차량인 경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주행 중 시트벨트 체결 해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occupant from arbitrarily releasing the fastened seat belt while driving,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injury and death to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event seat belt unfastening problems while driving, which can frequently occur in autonomous vehicl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T: 텅
E: 제어 유닛
100: 프레임 유닛
110: 락킹홀
120: 이젝터
140: 버튼
200: 락킹 유닛
L1: 락킹가능위치
L2: 락킹위치
L3: 락킹해제위치
220: 록바
221: 대향면
222: 걸림면
223: 융기면
228: 제1 단턱
229: 제2 단턱
240: 마그넷
10: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T: tongue
E: control unit
100: frame unit
110: Locking hole
120: ejector
140: Button
200: Locking unit
L1: Lockable position
L2: Locking position
L3: Unlocking position
220: Rock bar
221: Opposite side
222: Jamming surface
223: Raised surface
228: 1st step
229: Second step
240: Magnet

Claims (10)

차량의 제어 유닛과 연동되는 버클 시스템으로서,
일방향으로 시트벨트의 텅이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프레임 유닛; 및
자력을 통해 상기 텅을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상기 텅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며,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텅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텅을 향해 이동하여 락킹위치에서 상기 텅과 결합되거나, 락킹해제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텅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록바 및 상기 제어 유닛을 통해 차량의 주행이 확인되면 자력을 일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위치에 고정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자력을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가 상기 락킹해제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록바는,
상기 프레임 유닛에 형성된 락킹홀에서 상기 텅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텅을 향해 이동하고, 소정 위치 상승하여 상기 락킹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그넷은,
자력을 상기 텅의 인출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홀 일측에 위치한 락킹해제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에 인입된 상기 텅의 일측에 위치한 락킹가능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록바는,
상기 락킹가능위치에서 상기 텅을 상기 프레임 유닛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프레임 유닛의 하부에 마련된 이젝터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락킹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마련된 버튼에 의해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락킹가능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락킹홀을 통해 상기 마그넷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대향면, 상기 대향면에서 상기 텅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텅에 결합되는 걸림면 및 상기 버튼에 대향하도록 상기 대향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융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마그넷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마그넷의 자력방향을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시켜 상기 락킹가능위치의 상기 록바를 상기 락킹해제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A buckle system link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A frame unit provided to allow the tongue of the seat belt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in one direction; and
It includes a locking unit that secures or releases the tongue to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through magnetic force,
The locking unit is,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tongue is kept in a locked state, and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the tongue is unlocked, and moves toward the tongue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unit. A lock bar that is coupled to the tongue in the locking position or moves to the unlocked position to release the coupling with the tongue, and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confirmed through the control unit,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one direction to fix the lock bar in the locking position. And,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it includes a magnet that generates magnetic force in one direction and allows the lock bar to move to the unlocked position,
The lock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toward the tongu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in the locking hole formed in the frame unit, rises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oves to the locking position,
The magnet is,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tongue to move the lock bar from an unlocked posi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hole to a lockable posi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tongue inserted into the frame unit. And,
The lock bar is,
In the lockable position, the tongue is raised and moved to the locking position by an ejecto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unit to press the tongue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pulled out from the frame unit, and in the locking position, it is pressed by a button provided on the top of the frame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returns to the lockable position by being pressed downward, an opposing surface that contacts or is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through the locking hole, and a locking surface that protrudes from the opposing surface toward the tongue and is coupled to the tongue. and a raised surface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opposing surface to face the button,
The magnet is,
When the vehicle's engine is turned off, the direction of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return the lock bar in the lockable position to the unlocked position.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은,
상기 대향면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향 또는 하향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tching surfac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 upward or downward slope from one side to the other, based on the opposing surfac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바는,
상기 융기면과 상기 걸림면이 이루는 제1 단턱에 상기 텅의 일측이 접하고, 상기 걸림면과 상기 대향면이 이루는 제2 단턱에 상기 텅의 타측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을 이용한 버클 락킹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lock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tongue is in contact with a first step formed by the raised surface and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ngue is in contact with a second step formed by the engaging surface and the opposing surface,
Buckle locking system using a magnet.
KR1020220037142A 2022-03-25 2022-03-25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KR102657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42A KR102657539B1 (en) 2022-03-25 2022-03-25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42A KR102657539B1 (en) 2022-03-25 2022-03-25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42A KR20230139042A (en) 2023-10-05
KR102657539B1 true KR102657539B1 (en) 2024-04-16

Family

ID=8829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42A KR102657539B1 (en) 2022-03-25 2022-03-25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53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955Y1 (en) * 2004-07-30 2004-11-09 강연태 Latch for seat belt buckle of a vihicle
KR101030699B1 (en) * 2010-03-11 2011-04-26 (주)엠비아이 Auto safety belt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97B1 (en) * 1994-10-20 1998-04-08 전성원 Fastener for seat bel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955Y1 (en) * 2004-07-30 2004-11-09 강연태 Latch for seat belt buckle of a vihicle
KR101030699B1 (en) * 2010-03-11 2011-04-26 (주)엠비아이 Auto safety belt loc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42A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8879B2 (en) Latching inertial reel
CA1274971A (en) Low friction self-locking adjust tongue
US4832410A (en) Seat belt buckle assembly
US20060213040A1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s
CA2080987A1 (en) Inflatable seat belt apparatus
US7168742B2 (en) Seatbelt device
US6869105B2 (en) Four-point seat restraint
US20130125355A1 (en) Buckle for preventing inertial de-buckling
KR0175938B1 (en) Shoulder adjuster
KR102657539B1 (en) Buckle locking system using magnet
CN101119658B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US3897963A (en) Passive safety device for a vehicle
EP302859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US7146692B2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s
JP3844179B2 (en) Buckle and seat belt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CN112168509B (en) Restraint device for wheelchair occupant
US10709209B2 (en) Closure device
EP0750862B1 (en) Seat belt buckle
KR102225412B1 (en) Seat belt buckle
JP4565957B2 (en) Webbing insertion member
CN116685231A (en) Safety belt lock unit
KR200213499Y1 (en) Car seats with child seat belts
KR0157814B1 (e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KR0124893Y1 (en) Inertial locking buckle of safety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