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480B1 -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480B1
KR102657480B1 KR1020230172017A KR20230172017A KR102657480B1 KR 102657480 B1 KR102657480 B1 KR 102657480B1 KR 1020230172017 A KR1020230172017 A KR 1020230172017A KR 20230172017 A KR20230172017 A KR 20230172017A KR 102657480 B1 KR102657480 B1 KR 10265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whiteboard
user
pen
information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하 filed Critical (주)아하
Priority to KR102023017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으로써, 상기 전자칠판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의 접근(access)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상기 사용자가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INTERACTIVE PLAT PANEL DISPLAY WITH PROGRESS INFORMATION FOR DIGITAL TEXTBOOKS}
본 개시는 사용자가 수업 또는 회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진도 파악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칠판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불러와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디지털 교재는 전통적인 종이 교과서 대신에 디지털 형식으로 제공되는 교육 자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전자책, 웹 기반 자료,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교재는 전자 기기나 컴퓨터를 통해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종종 상호 작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교재는 학습자들에게 편의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학습 경로를 더욱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교재와 함께, 전자 칠판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때, 전자칠판은 공중이 사용하여, 사용자 마다 맞춤형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세팅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라왔다. 예를 들어, 학교일 경우, 선생님의 입장에서 반마다 어느정도 진도가 나갔는지 관리하기가 어려워 학생들에게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선생님마다 개별적으로, 선생님이 사용한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솔루션을 포함하는 전자칠판이 대중들에게 필요로 하다.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신원이 확인된 신원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전자칠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전자칠판은, 가장 최근에 상기 사용자가 진행한 디지털 교재의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와 관련된 기 저장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칠판은, 키카드 인식부를 포함하고, 개인의 키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전자칠판은, 시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전자칠판이 위치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칠판이 위치한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통신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으로써, 상기 전자칠판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의 접근(access)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상기 사용자가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자칠판은, 키카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키카드 인식부를 사용하여 개인의 키카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자칠판은, 시각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 센서를 사용하여 개인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전자칠판이 포함된 장소와 사용자의 신원을 기초로 상기 전자칠판이 포함된 장소에서 상기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전자칠판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사용자마다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차별화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전자칠판이 강의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강사, 선생님, 교수 등)가 전자칠판에 신원을 인식시키는 것 만으로, 디지털 교재를 포함하는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전자칠판이 위치한 위치 정보(예컨대, 1번째 강의실)를 기초로 상기 해당위치에서 마지막으로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칠판의 구성요소를 표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전자칠판에 대한 첫번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전자칠판에 대한 두번째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개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개시를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개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과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회의 및 프레젠테이션은 종종 칠판이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해왔다. 그러나 전자칠판의 도입은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을 현대적으로 대체하거나 보완하여 더 효과적인 학습 및 협업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전자칠판의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디지털 화면 표시: 외부의 기기와 연결되어 디지털 화면에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손쉽게 컴퓨터에서 가져온 이미지, 도표, 문서 등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터치 기능: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전자칠판용 펜을 사용하여 화면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도구 및 기능: 전자칠판에는 색상 변경, 굵기 조절, 지우개 기능 등을 통해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과 글씨를 작성할 수 있다. 저장 및 공유 기능: 전자칠판으로 작성한 내용은 종종 저장이 가능하며, 저장된 내용은 나중에 검토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이는 교육이나 회의에서 중요한 내용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디지털 교재는 전통적인 종이 교과서 대신에 디지털 형식으로 제공되는 교육 자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전자책, 웹 기반 자료,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교재는 전자 기기나 컴퓨터를 통해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종종 상호 작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학습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교재는 학습자들에게 편의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학습 경로를 더욱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자칠판의 구성요소를 표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칠판(1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칠판(100)은 전자칠판(1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고, 개시된 구성들 중 일부만이 전자칠판(1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칠판(100)은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네트워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버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은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50)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RADSL(Rate Adaptive DSL), MDSL(Multi Rate DSL), VDSL(Very High Speed DSL), UADSL(Universal Asymmetric DSL), HDSL(High Bit Rate DSL) 및 근거리 통신망(LAN) 등과 같은 다양한 유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제시되는 네트워크부(150)는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부(15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다른 네트워크들 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칠판(100)은 스크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170)는 상기 전자칠판(100)의 하우징에서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상기 전자칠판(100)의 프로세서(110)에 의해 이미지, 동영상, 앱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전자칠판(100)의 스크린부(170)는,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이 포함되는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의 사용자(190)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의 결합체로, 구현 방법에 따라 감압식(Resistive), 정전용량식(Capacitive), 초음파(SAW) 방식, 적외선(IR)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칠판(100)과 관련된 개략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전자칠판(100)은 프로세서(110); 네트워크부(150); 메모리(130); 및 스크린부(17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전자칠판(100)은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사용자(190)의 신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신원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상기 사용자(190)가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가 상기 사용자(190)의 신원을 식별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1. ID와 비밀번호를 사용 : 프로세서(110)가 터치를 지원하는 스크린부(170) 또는 입력장치를 기초로 ID 와 비밀번호를 회원명단과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 2. 지문인식 : 프로세서(110)가 지문 인식부(미도시)를 사용하여 읽어드린 지문을 기초로 기존의 회원명단의 지문과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 3. 키카드(220) : 프로세서(110)가 키카드 인식부(200)를 기초로 키카드(220)(NFC로 대체가능)를 읽어드려 키카드(220)의 정보와 회원명단의 정보를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 4. 얼굴인식 : 프로세서(110)가 시각 센서(180)를 사용하여 읽어드린 얼굴 정보를 기초로 기존의 회원명단의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항목 3과 관련하여, 전자칠판은(100)은 키카드 인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카드 인식부는, 사용자가 자신의 키카드를 인식부에 가져다 놓거나 스캔하면, 프로세서(110)가 키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와서 해당 사용자(180)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항목 4와 관련하여, 전자칠판(100)은 시각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각 센서(180)는, 광센서, 적외선 센서, 카메라 센서, 레이다 센서, 라이다 센서, 초음파 센서, 열센서, 이미지 센서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칠판(100)은, 상기 시각 센서(180)에 촬상되는 사용자(190)의 얼굴과 같은 특징을 분류하여 사용자(190)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시각 센서(180)을 활용한 얼굴 인식은 주로 컴퓨터 비전과 딥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기술과 알고리즘이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비전은 얼굴을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탐지하고 추출하는 데 사용되며, 특징 추출 알고리즘은 얼굴의 주요 특징을 활용하여 얼굴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은 Eigenfaces, Fisherfaces, LBPH 등 전통적인 방법과 최신의 딥 러닝을 활용한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가장 최근에 상기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2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강의실이 고정되지 않은 선생님(사용자(190))이 학급마다 진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관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상기 진도 정보(210)는 사용자(190)가 마지막으로 실행한 에플리케이션, 사용자(190)가 마지막으로 읽은 디지털 교재와 상기 디지털 교재의 페이지, 현재 수업이 진행되는 장소, 등을 사용자(190)에게 제공하여, 지난 수업과 비교하여 수업과정을 누락하거나, 중복하여 수업하는 등의 인적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전자칠판(100)에 대한 첫번째 예시도이다.
이때 앞서 언급한 항목 3는 도 2의 첫번째 예시도와 관련된 것으로, 전자칠판(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자칠판(100)에 장착된 키카드 인식부(200)와 키카드(220)를 통해 확인된 신원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190)가 가장 최근에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210)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전자칠판(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90)가 수업이 종료하였다고 판단될 때, 수업 진도 DB(data base)로부터 특정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수행한 작업과 커리큘럼이 무엇인지 수업 계획표와 수업이 이루어진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하여 마지막 수업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90)가 본인의 신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키를 카드키 리더에 인식시켰을 때, 프로세서(110)는 기 저장된 마지막 수업정보를 출력하거나, 더 나아가, 전자칠판(100)의 고유한 ID로 필터링된 상기 사용자(190)의 마지막 수업정보를 출력하여, 특정 장소(예컨대, 학급, 강의실, 회의실)에서 상기 사용자(190)가 어떤 수업을 진행하였는지에 대한 진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칠판(100)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이 식별된 시점을 수업이 시작한 시점인 T1으로 결정하고, 상기 T1 이후 상기 전자칠판이 절전모드 또는 시스템 종료된 시점을 수업이 종료된 시점인 T2 결정하고, 상기 T1 시점 내지 T2 시점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전자칠판에 출력되는 화면을 캡처하여, 복수개의 시각데이터를 생성하고, 동일한 사용자의 신원이 식별될 경우, 상기 T1 시점 내지 T2 시점의 어플리케이션 사용기록, 및 상기 복수개의 시각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도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공간에서 상기 사용자가 직전에 수업했던 내용의 히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다. 효과적인 측면에서, 사용자가 진도에 관한 정보를 따로 기록하지 않더라도, 연속적인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직전에 수업했던 내용의 캡처 시각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사용기록을 제공함으로써, 연속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전자칠판(100)에 대한 두번째 예시도이다.
이때 앞서 언급한 항목 4는 도 3의 두번째 예시도와 관련된 것으로, 전자칠판(100)의 프로세서(110)는 전자칠판(100)에 장착된 시각 센서(180)를 기초로 사용자(190)의 얼굴을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확인된 신원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190)가 가장 최근에 진행한 수업과정의 진도 정보(2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가 상기 사용자(190)의 얼굴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규격에 맞게 보정하고, 이를 신경망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를 분류하는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시각 센서(180)에 인식시키고, 상기 전자칠판(100)이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기초로 사용자가 최근 수업에서 디지털 교재의 진도를 어디까지 나갔는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전에 수업이 시작한 시점과 수업을 종료한 시점 사이에 어떠한 동작을 수행했는지 기록된 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은 사용자가 이전에 수업이 시작한 시점과 수업이 종료한 시점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캡처된 화면을 상기 로그 정보와 함께 결합되어 스토리 보드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전의 수업에서 어떠한 수업을 얼마나 진행했는지 상기 생성된 스토리 보드를 통해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상기 디지털 교재의 진도가 어디까지 나갔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190)가 가장 최근에 진행한 수업과정에 대한 진도 정보(210)뿐만 아니라, 강의 장소마다 상이한 전자칠판(100)이 배치되어 사용자(190)가 강의실 마다 각각의 전자칠판(100)을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일 실시예로, 각각의 전자칠판(100)은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전자칠판(100)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190)의 신원정보와 기 저장된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매칭된 수업과정에 대한 진도 정보(210)를 사용자(19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 실시예로, 상기 전자칠판(100)은 신원확인을 NFC로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190)의 개인용 단말기와 전자칠판(100)이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단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만약 수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가정하여, 사용자(190)의 개인용 단말기가 강의실을 이탈하여 멀어질 경우, 상기 전자칠판(100)은 이를 절전모드 진입 조건으로써 절전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조건으로 기 저장된 수업 시작 시간 및 수업 종료시간, 전자칠판(100)용 펜 수납여부등이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효과적인 측면에서 언급한 일 실시예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190)가 수업종료마다 전자칠판(100)을 번거롭게 절전모드에 돌입시키거나, 전자칠판(100)을 사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예방하여, 전자칠판(100)의 수명을 연장하고, 전력소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190)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190)가 개인의 전자칠판(100)용 팬을 소지하고 다니며 다양한 전자칠판(100)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펜에는 RFID 칩과 같은 사용자(190)의 신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칩이 이식된 펜을 전자칠판(100)의 카드키 리더기에 인식시키고 프로세서(110)가 사용자(190)의 신원을 확인하거나, RFID 칩이 이식된 펜을 전자칠판(100)의 펜 트래이에 배치하여 프로세서(110)가 RFID 칩에 포함된 사용자의 신원과 관련정보를 읽어드려 사용자(190)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가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개시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개시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개시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자칠판 11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50 : 네트워크부
170 : 스크린부 180 : 시각 센서
190 : 사용자 200 : 키카드 인식부
210 : 진도 정보 220 : 키카드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통신부; 메모리;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전자칠판으로서,
    상기 전자칠판은 펜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펜트레이로 하여금 사용자의 펜에 포함된 RFID 칩을 읽어 상기 사용자의 신원을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펜에 포함된 RFID 칩과 관련된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기 저장된 정보의 접근(access)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기 저장된 정보는, 상기 펜에 포함된 RFID 칩과 관련된 사용자가 상기 전자칠판을 사용하여 수업을 시작한 시점(T1)과 수업을 종료한 시점(T2) 사이에 상기 전자칠판이 소정의 간격으로 캡쳐한 화면과 상기 T1 내지 T2 사이의 로그 정보가 결합된 스토리 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칠판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단거리 통신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단거리 통신이 종료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펜이 상기 펜트레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자칠판은 절전모드에 진입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단거리 통신이 연결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펜이 상기 펜트레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전자칠판은 절전모드에 진입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172017A 2023-12-01 2023-12-01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KR10265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2017A KR102657480B1 (ko) 2023-12-01 2023-12-01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2017A KR102657480B1 (ko) 2023-12-01 2023-12-01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480B1 true KR102657480B1 (ko) 2024-04-15

Family

ID=9071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2017A KR102657480B1 (ko) 2023-12-01 2023-12-01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75A (ko) * 2014-11-0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4145A (ko) *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회의록 작성 기능을 구비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675A (ko) * 2014-11-05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칠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4145A (ko) * 2015-01-30 2016-08-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회의록 작성 기능을 구비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2997B (zh) 用于操作电子书中的用户注释的系统和方法
US20170330469A1 (en) Curriculum assessment
CN106781784A (zh) 一种智能批改系统
US20160117301A1 (en) Annot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Beach et al. Understanding and creating digital texts: An activity-based approach
Fisteus et al. Grading multiple choice exams with low-cost and portable computer-vision techniques
CN113950822A (zh) 实体活动表面的虚拟化
US20120045746A1 (en) Electronic class system
US20220208016A1 (en) Live lecture augmentation with an augmented reality overlay
KR20130021684A (ko) 답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41736A (ja) 学習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正誤判定サーバおよびその制御方法、学習システム、学習端末制御プログラム、正誤判定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50294582A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KR102657480B1 (ko)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를 갖는 전자칠판
CN112396897A (zh) 一种教学系统
CN110852073A (zh) 一种为用户定制学习内容的语言学习系统及学习方法
Crawford The ICT teacher's handbook: Teaching, learning and managing ICT in the secondary school
CN111079489B (zh) 一种内容识别方法及电子设备
CN112799612A (zh) 一种打印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94410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grading of handwritten sheets
Iskandar et al. Web-based STMIK AKBA Student Attendance Information System by Making QR Codes an Auxiliary Medium
CN109947404A (zh) 一种基于多媒体网络教学产品下的小学生练字系统
Patil et al. Student attendance system and authentication using face recognition
Vinay et al. Smart Attendance System Using Biometric and GPS
Barany Mathematical research in context
Rowtula et al. Scaling handwritten student assessments with a document image workflow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