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284B1 -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284B1
KR102657284B1 KR1020220014658A KR20220014658A KR102657284B1 KR 102657284 B1 KR102657284 B1 KR 102657284B1 KR 1020220014658 A KR1020220014658 A KR 1020220014658A KR 20220014658 A KR20220014658 A KR 20220014658A KR 102657284 B1 KR102657284 B1 KR 10265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ell
cover
cell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8287A (en
Inventor
김승모
Original Assignee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렉스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284B1/en
Publication of KR2023011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2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3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with pressure control, e.g. with 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8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in combination with inflatable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하는 복수의 에어포켓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을 구비하여, 에어 셀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부; 에어 셀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그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에어 셀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하는 에어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의 높이가 상기 에어 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프레임 내부에 상부 커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프레임부에 상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공정 단계 및 제조 시간을 감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cel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that have a hollow inside and expands by air inflow or contracts by air outflow, and a frame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to maintain the air cell inside the frame. frame par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tress having an upper cover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an air cell, a lower cover that supports the frame portion and the air cell on the upper surfa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frame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ir cell, thereby maintaining the upper cover inside the frame, thereby reducing the process steps and manufacturing time for fixing the upper cover to the frame.

Description

에어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Air mattr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매트리스 내부를 공기로 채운 에어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사용 시에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에어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ttress filled with air inside the mattr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ir mattress that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damage during use.

일반적으로 침구용 매트리스는 내부에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스프링 매트리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 매트리스는 일부분에 가해진 충격이 주변에 전달되어 진동이 생기게 되고, 코일 스프링의 탄성은 제조시 일괄적으로 설정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쿠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없으며, 장기간 사용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pring mattresses with coil springs inside are widely used as bedding mattresses. However, the shock applied to a part of a spring mattress is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area, causing vibration, and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is set uniformly during manufacturing, so the user cannot arbitrarily adjust the strength of the cushion, and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deteriorates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스프링 매트리스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매트리스의 내부를 공기로 채운 에어 매트리스가 사용된다.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of spring mattresses, an air mattress in which the interior of the mattress is filled with air is used,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0707호 (2020.07.07.)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130707 (2020.07.07.)

일반적으로 에어 매트리스에서는, 공기를 주입하여 내부에 형성된 공기압을 통해 적절한 쿠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 매트리스는, 도 1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에어포켓 형태로 이루어진 에어 셀(1), 내부 공간에 에어 셀(1) 및 하부 모듈을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하부 모듈 아세이(3) 및 하부 모듈 및 에어 셀(1)을 그 상부에서 커버하여 보호하는 상부 모듈 폼(2)으로 구성된다. Generally, in an air mattress, air is injected to create an appropriate cushion through the air pressure formed inside. As shown in Figure 12a, this air mattress includes an air cell (1)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a lower module assy (3) for accommodating and maintaining the air cell (1) and the lower module in an internal space, and It consists of an upper module foam (2)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lower module and air cell (1) from the top.

상기한 에어 매트리스에서는, 단차를 고려하여 도 12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모듈 폼(2)의 면적이 상부 모듈 폼(2)의 하방에 위치하는 하부 모듈 아세이(3)의 상면의 면적과 동일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모듈 폼(2)은 하부 모듈 아세이(3)의 측면을 구성하는 폼의 상면에 놓여지는 형태로 위치한다. In the above-described air mattress, as shown in FIG. 12A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difference, the area of the upper module foam 2 is equal to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ies 3 located below the upper module foam 2. They are manufactured to be identical. And,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upper module foam 2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forming the sid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3.

이러한 에어 매트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정의 형상을 갖는 하부 모듈 아세이(3) 및 에어 셀(1)을 제작한 후, 하부 모듈 아세이(3)의 내부 수용 공간에 하부 모듈 및 에어 셀(1)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그 후 하부 모듈 아세이(3)의 길이 방향 양 단부의 측벽과 그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벽의 상면에 모두 핫 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부 모듈 폼(2)을 하부 모듈 아세이(3)의 상면에 덮어 접착시킨다. 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n air mattress, first, the lower module assembly (3) and air cell (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re manufactured, and then the lower module and air cell (1) are install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3). Let it settle down. Then, after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to both the side walls of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extending between them, the upper module foam (2) is attached to the lower module assembly (3). Cover and adhere to the upper surface.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에어 매트리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복수개의 측벽면 상에 모두 접착제를 도포하여야 하므로 접착제 도포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또한, 상부 모듈 폼(2)을 하부 모듈 아세이(3)의 상면에 덮는 과정에서 위치가 어긋나 버리면, 그 상태에서 상부 모듈 폼(2)과 하부 모듈 아세이(3)가 서로 접착해 버려 그 위치 수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order to manufacture an air mattress using this method, adhesive must first be appli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side walls, so it takes a long time to apply the adhesive. In addition, if the upper module form (2) is misaligned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3), the upper module form (2) and lower module assembly (3) are glued together and the position cannot be corrected. This becomes impossible.

또한 하부 모듈 아세이(3)의 내부에 장착된 하부 모듈, 예컨대, 에어 셀(1) 내부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에어펌프 및 공급 라인 등에 이상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한 경우, 또는 에어 셀(1)에 파손이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리나 교체를 요하는 부분에 접근하기 위하여 하부 모듈 아세이(3)에 접착된 상부 모듈 폼(2)을 떼어 내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하부 모듈 아세이(3)나 상부 모듈 폼(2)의 경우 PU폼 또는 스폰지폼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모듈 아세이(3)에 접착된 상부 모듈 폼(2)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하부 모듈 아세이(3)에 접착된 상부 모듈 폼(2)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떼어 내는 과정 자체도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f repair is required due to a problem with the lower module mounted inside the lower module assembly (3), such as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inside the air cell (1), the air pump, and the supply line, or the air cell ( If 1) is damaged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upper module foam (2) attached to the lower module assembly (3) must be removed to access the part requiring repair or replacement. However, since the lower module assembly (3) or upper module foam (2) is generally made of PU foam or sponge foam material,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upper module foam (2) attached to the lower module assembly (3), Damage to the upper module foam (2) attached to the lower module assembly (3) is inevitable, and the removal process itself requires a lot of force and is not easy to work with.

또한,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에어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술한 문제점 이외에 도 11a 및 도 11b에서 도시된 문제점을 지견하였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셀(1)의 상부에는 상부 모듈 폼(2)이 놓여지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상태에서 장시간의 에어 매트리스의 내구성 시험을 수행하거나 또는 장시간의 사용 하게 되면,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모듈 폼(2)의 하면에 균열(b)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에어 매트리스의 사용 시에, 에어 매트리스의 상부 모듈 폼(2)의 하면과 에어 셀(1)의 상면 사이에 잦은 마찰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로 인한 손상이 누적되어 균열(b)이 발생한다는 점을 밝혀 내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ors discovered the problems shown in FIGS. 11A and 11B in addition to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ir mattress. As shown in Figure 11a, the upper module foam (2) is placed on the top of the air cell (1).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when a durability test of an air mattress wa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was used in this state for a long period of time, a crack (b) occur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dule foam (2), as shown in Figure 11b.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e,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when using an air mattress, frequent friction occur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dule foam (2) of the air mattres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1), and damage due to this friction occurs. It was found that cracks (b) occur due to accumul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사용 시에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ir mattress that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damage during us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하는 복수의 에어포켓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을 구비하여, 에어 셀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부; 에어 셀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그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에어 셀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하고, 프레임부의 높이가 에어 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프레임 내부에 상부 커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n air cell formed with a hollow interior and a plurality of air pockets that expand by air inflow or contract by air outflow; A frame portion having a frame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intaining the air cell inside the frame; An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A lower cover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air cell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height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ir cell, so that the upper cover is maintained inside the frame.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부의 수용 공간 내부에 상부 커버를 내려 놓는 동작만으로 프레임부의 프레임에 의해 상부 커버를 위치 결정하고 그 위치에 상부 커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위해 프레임부를 접합시킬 필요가 없어,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조 공정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upper cover by the frame of the frame and maintain the upper cover in that position simply by placing the upper cover inside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to join the frame portion to position and fix the upper cover, thereby shortening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nufacturing time compared to the prior art.

바람직하게는, 에어 셀의 길이 방향 일 단부와 프레임부의 일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헤드 블럭 폼을 구비하고, 에어 셀의 길이 방향 타 단부와 프레임부의 타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풋 블럭 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하중이 중점적으로 작용하고 복잡한 제어가 필요한 위치에는 에어 셀을 구비하되, 그 이외의 영역에 대해서는 폼에 의해 사용자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에어 매트리스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풋 블럭 폼과 헤드 블럭 폼 사이에서 에어 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Preferably, a head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one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one side wall of the frame section, and a head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frame section. The space can be equipped with a foot block form that can support the user's leg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ir cells are provided in locations where the user's load is concentrated and complex control is required, but the user is supported by foam in other areas, thereby maintaining the effect of an air mattress. Costs can be reduc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air cell between the foot block form and the head block form.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의 하면은, 헤드 블럭 폼 또는 풋 블럭 폼 중 어느 하나의 상면과 접착제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상부 커버를 보다 강고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커버의 길이 방향 일 단부만을 접착제로 고정하기 때문에, 프레임부 내부의 모듈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상부 커버를 젖힌 상태에서 프레임부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can b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either the head block form or the foot block form using an adhesive.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fix the upper cover more firmly. In addition, since only on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cover is fixed with adhesive, when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module inside the frame is required, the inside of the frame can be easily accessed with the upper cover flipped. Therefore, maintenance becomes easy.

바람직하게는, 에어 셀과 상기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 라인을 더 구비하고, 풋 블럭 폼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폼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폼 사이의 공간에는,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에어포켓으로의 공기 공급 및 공기 배출을 제어하여, 에어포켓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부 내부에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프레임부의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비 및 에어펌프 등이 결합된 제어부를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멀리 있는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에어 매트리스의 작동 시에 사용자의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저감할 수 있다. Preferably, a supply line is further provided connecting the air cell and a pump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cell, and the foot block foam is made of two fo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2 The space between the foams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and discharge of air from the supply line to the air pocket, thereby adjusting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where the control unit can be located inside the frame unit,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unit. In addition, by placing the control unit, which combines electronic equipment and an air pump, at a location far from the user's head, the user's foreign body sensation or discomfort can be reduced when the air mattress is operated.

바람직하게는, 제어부의 상면에는 제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부 덮개 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제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경질로 구성된 제어부로 인해 에어 매트리스의 쿠션감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Preferably, a control cover foam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to protect the control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from impacts a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unit, and also,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air mattr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relatively hard control uni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에어 셀과 맞닿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부직포 소재의 커버층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에어 셀 상단 폼과 에어 셀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상부 커버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 매트리스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 커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Preferably, a cover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may be attached to at lea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hat contacts the air cell. According to the cover layer made of the non-woven material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on the upper cover due to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upper foam of the air cell and the air cell of the upper cover can be reduced. Therefore, even when the air mattress is used for a long time, cracks in the upper cover can be prevented.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는 복수의 폼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복수의 폼 중 최상층의 폼은 그 하부의 폼에 대해서 별체(別體)로 이루어지는 교체형 탑퍼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쿠션감이 저하되거나 오염이 발생한 교체형 탑퍼 폼을 주기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일정한 쿠션감 및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upper cove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oams, and the uppermost foam among the plurality of foams may be composed of a replaceable topper foam that is separate from the foam below i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ser can maintain a constant cushioning feeling and cleanliness by periodically replacing the replaceable topper foam where the cushioning feeling deteriorates or becomes contaminated.

바람직하게는, 에어 매트리스의 전면을 덮는 시트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커버를 통해 에어 매트리스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a sheet cover covering the front of the air mattres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is case, contamination inside the air mattress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seat cov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은,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하는 복수의 에어포켓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을 준비하는 단계; 내부에 포켓 형태의 상방이 개방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모듈 아세이를 준비하는 단계; 수용 공간의 내부에 에어 셀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에어 셀의 상방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 커버를 수용 공간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n air cel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that expand by air inflow or contract by air outflow; Preparing a lower module assembly having an open upper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pocket therein; Seating the air cell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bove the air cell, inserting an upper cover to cover the receiving space into the receiving space.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를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는, 에어 셀을 둘러싼 하부 모듈 아세이의 상면 중 일부에 접착제를 1자 형태로 도포하는 단계; 수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 커버를, 도포된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부 모듈 아세이와 접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tep of inserting the upper cover into the receiving space includes applying adhesive in a single shape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surrounding the air cell; It may include bonding an upper cover for covering the receiving space to the lower module assembly using the applied adhesiv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부 커버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위해 프레임부를 접합시킬 필요가 없거나, 상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개소를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저감할 수 있어, 제조 공정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no need to join the frame portion for positioning and fixing the upper cover, or the adhesive points for fixing the upper cover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by shortening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nufacturing time.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에어 셀의 하면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의 높이를 에어 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고, 프레임 내부에 상부 커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개소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대비하여 제조 공정 수 및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ir mattres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frame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ell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ir cell, and the upper cover is fixed by maintaining the upper cover inside the fr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adhesion points required to do so.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의하면, 에어 셀과 맞닿는 상부 커버의 하면에, 상부 커버와는 이형 재질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을 구비함으로써, 장시간 사용 후에도 상부 커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한편, 이와 관련된 소비자의 클레임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as a release material from the upper cover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n contact with the air cell, so that cracks occur in the upper cover even after long-term use.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occurrence of consumer claims rela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있어서 에어 셀 지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적용된 에어 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밸브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측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상부 커버를 제외한 에어 매트리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시트커버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11a는 초기 사용 상태에서의 종래의 에어 매트리스의 내부 구조를 촬영한 사진.
도 11b는, 장시간 사용 후 종래의 에어 매트리스의 상부 모듈 폼에 발생한 균열을 촬영한 사진.
도 12a는 종래의 에어 매트리스의 측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확대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ell support structure in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ell applied to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valve connection structure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5a.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mattress excluding the top cover from the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photograph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seat cover portion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a is a photograph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air mattress in its initial state of use.
Figure 11b is a photograph of a crack occurring in the upper module foam of a conventional air mattress after long-term use.
Figure 1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ir mattress.
Figure 12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12a.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implementation will become clear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and the positions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may be changed, an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and the length, area, thicknes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있어서 에어 셀 지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cell support structure in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는, 복수의 에어포켓(110)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100), 프레임 형상을 구비하여, 에어 셀(100)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부(300), 에어 셀(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200), 프레임부(300) 및 에어 셀(100)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400)를 구비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cell 10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and a frame shape, and has an air cell 100 inside. It is provided with a frame part 300 that holds, an upper cover 200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100, and a lower cover 400 that supports the frame part 300 and the air cell 100.

하부 커버(400)는 에어 매트리스의 가장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프레임부(300) 및 에어 셀(100)을 그 상면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 커버(400)는 사각 판형상의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커버(400)는, 발포 러버(rubber)와 같은 천연 소재의 스펀지나 발포 우레탄(urethane)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의 스펀지로 제조될 수 있다. The lower cover 400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mattress,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frame portion 300 and the air cell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its upper surface. The lower cover 400 may be made of square plate-shaped foam. The lower cover 400 may be made of a sponge made of natural material such as foamed rubber or a spong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foamed urethane.

하부 커버(40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0)가 안착되는 위치에 제어부(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어부 하단 폼(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에어 매트리스 하방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제어부(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제어부(10)와 하부 커버(40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하부 커버(400)가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하단 폼(410)의 근방에는 제어부(10)의 고정을 위한 플레이트와 벨크로가 삽입되는 통기 구멍을 복수개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0)를 보다 강고하게 하부 커버(400) 상에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0)의 상방에도 제어부(10)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어부 덮개 폼(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에버 매트리스 상방에서의 충격으로부터 제어부(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제어부(10)와 상부 커버(20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성부 커버(200)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경질로 구성된 제어부(10)로 인해 에어 매트리스의 쿠션감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 control unit lower foam 410 that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00 at a position where the control unit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ontrol unit 10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from below the air mattress, and the lower cover 400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0 and the lower cover 400. can do.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into which a plate and Velcro for fixing the control unit 10 are inserted may be formed near the lower foam 410 of the control unit.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0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on the lower cover 400. Additionally, a control unit cover form 550 may be provided above the control unit 1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control unit 10 can be protected from impact from above the Ever Mattress, and damage to the sex cover 200 due to friction between the control unit 10 and the upper cover 200 is prevented. can do. In addition, the relatively hard control unit 10 can prevent the cushioning of the air mattress from deteriorating.

하부 커버(4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레임부(30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부(300)는 바(bar) 형태의 4개의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커버(400)의 형성에 따라 프레임부(300)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커버(400)의 평면 형상이 5각형인 경우 프레임부(300)도 5개의 폼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300)는 사용자의 발 부분에 대응되는 하부 커버(400)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풋 가드 폼(310),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는 하부 커버(400)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헤드 가드 폼(330) 및 풋 가드 폼(310)과 헤드 가드 폼(330) 사이에서 연장하는 사이드 가드 폼(320, 34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부(300)는 내부에 에어 셀(10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에어 매트리스의 외관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부(300)는 하부 커버(400)와 마찬가지로,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의 스펀지로 제조되는 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부(300)는 핫 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부 커버(400)에 접착될 수 있다. A frame portion 300 is mounte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cover 400. In this embodiment, the frame portion 300 may be formed of four bar-shaped foam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rame portion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formation of the lower cover 400. For example, if the planar shape of the lower cover 400 is pentagonal, the frame portion 300 can also be formed of five foam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the frame unit 300 includes a foot guard form 310 that is seated on the edge of the lower cover 400 corresponding to the user's feet, and a lower cov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d. It consists of a head guard form 330 seated on the edge of 400 and side guard forms 320 and 340 extending between the foot guard form 310 and the head guard form 330. The frame portion 300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air cells 100 therei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air mattress. Like the lower cover 400, the frame portion 300 may be made of sponge of natural or synthetic material, and the frame portion 300 is bonded to the lower cover 400 using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It can be.

바람직하게는, 하부 커버(400)의 상면 및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에는, 헤드 블럭 폼(540), 풋 블럭 폼(530) 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a head block form 540 and a foot block form 5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400 and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part 300.

바람직하게는 헤드 블럭 폼(540)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방향의 폼 형상을 가진다. 헤드 블럭 폼(540)은 프레임부(300)의 헤드 가드 폼(330)의 내측 벽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소정의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헤드 블럭 폼(540)은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의 스펀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ead block foam 540 has a longitudinal foam shape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The head block form 540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d guard form 330 of the frame unit 300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user's head.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 predetermined cushioning feeling, the head block foam 540 may be made of a sponge made of natural material or synthetic material.

헤드 블럭 폼(540)과 마찬가지로, 풋 블럭 폼(530)도 에어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방향의 폼 형상을 가진다. 풋 블럭 폼(530)은 프레임부(300)의 풋 가드 폼(310)의 내측 벽면과 맞닿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헤드 가드 폼(540)과 마찬가지로,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의 스펀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풋 블럭 폼(530)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격된 풋 블럭 폼(530) 사이의 공간에 제어부(10)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비 및 에어펌프 등이 결합된 제어부(10)를 사용자의 머리 부분과 멀리 있는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에어 매트리스의 작동 시에 사용자의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제어부 덮개 폼(550)은 서로 이격된 풋 블럭 폼(530) 사이에서 연장되고, 그 상면이 풋 블럭 폼(5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ke the head block foam 540, the foot block foam 530 also has a longitudinal foam shape extending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The foot block form 530 is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oot guard form 310 of the frame unit 300 and functions to support the user's feet. Therefore, like the head guard foam 540, it may be made of a sponge of natural material or synthetic material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More preferably, the foot block form 530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 can b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oot block forms 53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sabil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unit 300 can be increased by securing a space where the control unit 10 can be located. In addition, by placing the control unit 10, which combines electronic equipment and an air pump, at a position far from the user's head, the user's foreign body sensation or discomfort can be reduced when the air mattress is operated. In addition, when adopting the above structure, the control unit cover form 550 extends between the spaced apart foot block forms 530, and its upper surface is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block form 530. do.

헤드 블럭 폼(540)과 풋 블럭 폼(530) 사이의 공간에는 에어 셀(100)을 그 상면에서 지지하는 에어 셀 하단 폼(520)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 셀 하단 폼(520)은 에어 셀(100)과 동일한 면적을 갖고 에어 셀(100)을 보호할 수 있는 소정 두께의 판형상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An air cell bottom form 520 that supports the air cell 100 at its upper surface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head block form 540 and the foot block form 530.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has the same area as the air cell 100 and may be composed of a plate-shaped foam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can protect the air cell 100.

또한, 에어 셀 하단 폼(52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하고 에어 셀 하단 폼(520)의 두께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는 오목부(5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어부(10)와 외부의 입력 장치 또는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5)이나, 에어 셀(100)과 에어펌프(11)를 연결하기 위한 공급 라인(12)이 오목부(521) 내에 수납되어, 오목부(521)를 따라 에어 매트리스의 외부 또는 제어부(10)와 에어펌프(11)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목부(521)의 기단은 제어부(10) 제어부(10)와 일체로 구비된 에어펌프(11)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오목부(521)의 선단은 헤드 블럭 폼(5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블럭 폼(540)에는 오목부(521) 또는 중간 폼(510) 사이의 간극과 연통하는 케이블 유지 홀(541)이 형성되고 및 헤드 가드 폼(330)에는, 케이블 유지 홀(541) 과 연통하고, 케이블(15)의 출입 및 보관을 위한 홀부(331)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15)은 오목부(521), 케이블 유지 홀(541) 및 홀부(331)를 가로질러 에어 매트리스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521 that extends long along its length and is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Therefore, the cable 15 for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0 and an external input device or power source, or the supply line 12 for connecting the air cell 100 and the air pump 11, is located within the concave portion 521. It can be stored and extended along the concave portion 521 to the outside of the air mattress or to the control unit 10 and the air pump 11. To this end, the proximal end of the concave portion 521 may extend to the air pump 11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trol portion 10, and the tip of the concave portion 521 may extend to the head block form 540. It can b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cable holding hole 541 is formed in the head block form 540 and communicates with the gap between the concave portion 521 or the intermediate form 510 and the head guard form 330. It communicates with the cable holding hole 541, and a hole portion 331 for entering and storing the cable 15 is formed penetrating therethrough. Accordingly, the cable 15 extending from the control unit 10 may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air mattress across the concave portion 521, the cable holding hole 541, and the hole portion 331.

그리고, 핫 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에어셀 하단 폼(520)의 상면과 에어 셀(100)의 하면을 서로 접착함으로써, 에어 셀(100)은 에어 셀 하단 폼(520)의 상면에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 셀(100)을 에어 셀 하단 폼(520)에 고정시키는 경우, 종래와 같이, 에어 셀(100) 및 에어 셀 하단 폼(520)에 암수 형태의 이동 규제 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 및 이동 규제 부재를 삽입 통과시켜 고정시키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공정수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에어 매트리스에서는 에어 셀(100)은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에어 셀(100)을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에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에어 셀(100)의 위치가 안정되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접착부(52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위치에 편차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에어 셀(100)의 고정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nd, by bon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lower foam 5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ell 100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the air cell 100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lower foam 520. . When the air cell 100 is fixed to the air cell lower form 520 in this way, as in the prior art, a male and female movement regulation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air cell 100 and the air cell lower form 520. The process of machining a hole and inserting and fixing a movement regulating member become unnecessary. Therefore, the number of processes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Additionally, in the air mattress described above, the air cells 100 have a structure that is se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air cell 100 can be stably determined simply by seating the air cell 10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 deviation occurs in the position of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adhesive portion 522. Even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xed position of the air cell 100 from being distorted.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셀 하단 폼(520)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나란이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1 에어 셀 하단 폼(520a) 및 제2 에어셀 하단 폼(5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 매트리스의 경우, 폭방향 좌우 영역에서의 압력을 분리제어 하기 용이하도록 에어 셀(100)이 에어 매트리스의 폭방향으로 분리된 2개의 에어 셀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에어 셀을 제1 에어 셀 하단 폼(520a) 및 제2 에어셀 하단 폼(520b) 상에 각각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복수 개의 에어 셀 중 어느 하나의 에어 셀이 파손되는 경우 해당 에어 셀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15)이나 공급 라인(12)의 단선 등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할 때에, 일부의 에어 셀만을 분리하여 해당 개소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바,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air cell bottom foams 520a and second air cell bottom foams 520b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n the case of an air mattress, the air cells 100 may be composed of two air cells separ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to facilitate separate control of pressure in the left and right area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case, each air cell can be adhered to the first air cell bottom form 520a and the second air cell bottom form 520b,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air cells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place only the relevant air cell. In addition, when a break in the cable 15 or the supply line 12 occurs and repair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only some of the air cells and access the relevant location, making maintenance easier.

그리고, 이 경우, 오목부(521)는 각각의 폼(520a, 520b) 마다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폼(520a, 520b)에 접착된 에어 셀(100)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공급 라인(12)이, 각각의 폼(520a, 520b)에 형성된 오목부(521)에 수납되어 해당 오목부(521)를 따라 제어부(10)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또는 1개의 오목부에서는 공급 라인(12)이 수납되도록 하고, 다른 오목부에는 제어부(1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15)이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급 라인(12)과 케이블(15)의 수납 공간을 서로 분리함으로써 유지 보수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nd, 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 521 may be provided in each form (520a, 520b).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ach supply line 12 extending from the air cell 100 bonded to each form 520a and 520b is received in the concave portion 521 formed in each form 520a and 520b.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along the corresponding concave portion 521. Alternatively, the supply line 12 can be accommodated in one recess, and the cable 15 extending from the control unit 10 can be accommodated in the other recess. Through this, the storage space for the supply line 12 and the cable 15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making maintenance easier.

바람직하게는, 에어 셀 하단 폼(520)과 하부 커버(400) 사이에는 별도의 중간 폼(5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쿠션감을 보강할 수 있으며, 케이블(15)이나 공급 라인(12)를 유지하고 에어 셀(100)을 유지하는 에어 셀 하단 폼(520)이 하부 커버(400)와의 마찰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폼(5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폭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극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폼(510)을 이루는 폼 사이에는 에어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케이블(15)을 오목부(521)에 수용하는 대신 중간 폼(510)을 이루는 폼 사이의 간극에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Preferably, a separate intermediate foam 5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cell lower foam 520 and the lower cover 400. Through this, the cushioning feeling can be strengthened, and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which maintains the cable 15 or the supply line 12 and the air cell 100, is not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lower cover 400.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termediate foam 510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foam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ranged with a certain gap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case, a gap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s formed between the foams forming the intermediate foam 510. Therefore, in this case, instead of accommodating the cable 15 in the concave portion 521, it is also possible to accommodate it in the gap between the foams forming the intermediate foam 510.

에어 셀(100)의 상부에는 에어 매트리스의 상면을 형성하고, 에어 셀(100)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 커버(200)가 구비된다. An upper cover 2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air cell 100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mattress and to protect the air cell 10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상부 커버(200)는 에어 셀 상단 폼(210) 및 에어 셀 상단 폼(210)의 상면에 유지되는 교체형 탑퍼 폼(230)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1 and 2, the top cover 200 is made by stacking an air cell top foam 210 and a replaceable topper foam 230 hel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top foam 210.

에어 셀 상단 폼(210)은 평판형의 폼 형상으로 구성되어 에어 셀(100)의 그 상방에서 덮어 에어 셀(10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ir cell top foam 210 is composed of a flat foam shape and functions to protect the air cell 100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air cell 100.

에어 셀 상단 폼(210)의 하면에는 에어 셀(100)과 에어 셀 상단 폼(21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에어 셀(100)이나 에어 셀 상단 폼(21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에어 셀 상단 폼(210)과는 이형 소재의 부직포 소재로 된 커버층(220)이 구비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ell top foam 210 can prevent damage to the air cell 100 or the air cell top foam 210 due to friction between the air cell 100 and the air cell top foam 210. To this end, a cover layer 220 made of a non-woven material of a different type is provided with the air cell top foam 210.

이러한 커버층(220)은, 핫 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에어 셀 상단 폼(210)의 하면에 도포하여 커버층(220)의 상면과 에어 셀 상단 폼(210)의 하면을 접착시킴으로써 에어 셀 상단 폼(2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시트커버와 마찬가지로 에어 셀 상단 폼(210) 전체를 감싸는 커버의 형태로 커버층(2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셀 상단 폼(210)과 에어 셀(100) 사이에 부직포 재질의 커버층이 존재하기만 한다면 그 부착 형태의 제한은 없다. This cover layer 220 is made by applying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ell upper foam 210 to bo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layer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ell upper foam 210. It can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210). Also, like a seat cover, the cover lay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ver that surrounds the entire air cell top foam 210.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attachment type as long as there is a cover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between the air cell top foam 210 and the air cell 100.

상기한 부직포 소재의 커버층(220)에 의하면, 상부 커버(200)의 에어 셀 상단 폼(210)과 에어 셀(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상부 커버(200)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의 자체 내구성 시험 결과에 의하면, 에어 매트리스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부 커버(200)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ccording to the cover layer 220 made of the non-woven material described above, the impact on the upper cover 200 due to friction occurring between the air cell top foam 210 and the air cell 100 of the upper cover 200 can be reduced. You can.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ventor's own durability test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cracks did not occur in the upper cover 200 even when the air mattress was used for a long time.

교체형 탑퍼 폼(230)은 사용자에 의해 교체가 용이하도록 에어 셀 상단 폼(210)과는 별체로 구성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 셀 상단 폼(210) 상에 놓여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쿠션감이 저하되거나 오염이 발생한 교체형 탑퍼 폼(230)을 주기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일정한 쿠션감 및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replaceable topper form 230 is composed separately from the air cell top form 210 to facilitate replacement by the user, does not use adhesive, and is configured to be placed on the air cell top form 210. You can. Accordingly, the user can maintain a constant cushioning feeling and cleanliness by periodically replacing the replaceable topper foam 230 where the cushioning feeling has deteriorated or is contaminated.

도 9 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매트리스는 도 1에서도 도시된 에어 셀(100)의 지지 구조를 전체로서 덮는 시트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수지 재질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커버는, 상부 시트커버(610) 및 하부 시트커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시트커버(610)는 에어 매트리스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제조된다. 하부 시트커버(620)는 에어 매트리의 하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 형태 및 그 판 형태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띠 형태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부 시트커버(610)와 하부 시트커버(620)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제1 지퍼부(630)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시트커버(620)의 측면을 구성하는 띠 형태의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지퍼부(640)가 구비된다. 제2 지퍼부(640)는 시트커버(600)를 장착하였을 때에 프레임부(300)에 형성된 홀부(331)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지퍼부(640)를 소정 높이 까지 열었을 때에 그 개방 공간을 통해, 홀부(331)로부터 케이블(15)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에어 매트리스의 미사용 시에는 케이블(15)을 프레임부(300)의 홀부(331)의 내부 공간에 수납시킨 후 제2 지퍼부(640)를 끝까지 닫음으로써, 케이블(15)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프레임부(300) 내부에 케이블(15)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심미감 및 미적 일체감을 줄 수 있으며, 에어 매트리스의 이동 시에는 케이블(15)을 프레임부(300) 내부에 수납한 후 제 2 지퍼부(640)를 닫은 상태로 이동시켜, 케이블(15)이 바닥면과 부‹H치거나 마찰되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nd the like, the air mattress may include a sheet cover that entirely cover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air cell 100 also shown in FIG. 1. The seat cover may preferably be made of natur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9, the seat cover may include an upper seat cover 610 and a lower seat cover 620. The upper sheet cover 61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certain area so that it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mattress. The lower seat cover 620 is manufactured in a shape including a plate shape with a certain area and a band shape extending along the edge of the plate shape so as to cover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the air mattress. The upper seat cover 610 and the lower seat cover 620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zipper portion 630 extending along the edge. And, as shown in FIG. 9, a second zipper portion 6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strip-shaped portion constituting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eat cover 620. The second zipper portion 640 is positioned to exten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hole portion 331 formed in the frame portion 300 when the seat cover 600 is mounted. Therefore, when the second zipper portion 640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t becomes possible to pull out the cable 15 from the hole portion 331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pace. In addition, when the air mattress is not in use, the cable 15 is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le 331 of the frame part 300 and the second zipper part 640 is closed all the way, so that the cable 15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and stably maintain the cable 15 inside the frame portion 3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sense of aesthetics and aesthetic unity, and when moving the air mattress, the cable 15 is stored inside the frame part 300 and then moved with the second zipper part 640 closed, so that the cable 15 is moved in a closed state. (15) can prevent damage from hitting or rubbing against the floor surfac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적용된 에어 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ell applied to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셀(100)은, 복수의 에어포켓(110) 및 하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포켓(110)의 각각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한다. 에어포켓(110)에 충전된 공기의 압력으로 사용자가 에어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에 사용자의 하중을 받아 지지한다. 에어포켓(110)에 공기가 공급되면 에어포켓(110)은 팽창한다. 인접한 에어포켓(110)이 팽창되어 서로 접촉하면, 각 에어포켓(110)이 형성해야할 압력 형성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각 에어포켓(11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복수의 에어포켓(110)은 서로 인접한 에어포켓(11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그리고 인접한 에어포켓(110)은 에어포켓(1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통해 서로 공기 연통될 수 있다. 연결 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에어포켓(110)을 일군으로 구성하고, 에어 셀(100)을 복수의 군으로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군으로 공급되는 공기 유량을 별도로 제어함으로써, 각 군에서의 에어포켓(110)의 공기 압력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 셀(100)에 있어서, 특정한 영역(예컨대 사용자의 상체에 상당하는 영역)의 공기 압력을 이를 제외한 다른 영역에서의 공기 압력보다 높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 용도에 따라 에어 셀(100) 상의 복수의 영역의 압력을 독립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air cell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and a lower plate 120. Each of the air pockets 110 has a hollow interior formed therein and expands due to air inflow or contracts due to air outflow. The pressure of the air filled in the air pocket 110 receives and supports the user's load when the user lies down on the air mattress. When air is supplied to the air pocket 110, the air pocket 110 expands. When adjacent air pockets 110 expand an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ormation of pressure to be formed by each air pocket 110 is inhibited. Therefore, the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adjacent air pockets 110 so that each air pocket 110 does not contact each other. And adjacent air pockets 110 may be in air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air pockets 110. When the air pocket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are configured as a group and the air cells 10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groups, the air flow rate supplied to each group is separately controlled, so that the air pockets in each group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air pressure of 110. Accordingly, in the air cell 1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air pressure in a specific area (for exampl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upper body) to be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in other areas excluding this area. Therefore, the pressure of a plurality of areas on the air cell 10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하판(120)은 복수의 에어포켓(110)의 하측에서 결합되어 에어포켓(110)의 중공을 차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판(1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형상일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0)에는 에어포켓(110)으로의 공기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노즐(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판(120) 상에서 에어포켓(110)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복수의 행 및 열을 형성하여 하나의 에어 셀(100)을 구성하게 된다. The lower plate 120 is coupl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to shield the hollow portion of the air pocket 110. As shown in FIG. 4, the lower plate 120 may have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area. As shown in FIG. 5, a nozzle 130 may be formed on the lower plate 120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to the air pocket 110. Preferably, on the lower plate 120, a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are arranged in each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o form one air cell 10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밸브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valve connection structure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에어 매트리스는 에어 셀(1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로서, 제어부(10), 에어펌프(11), 노즐(130), 공급 라인(12-1~12-4), 압력 센서(13), 밸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air mattress is a structure for supplying air into the air cell 100, and includes a control unit 10, an air pump 11, a nozzle 130, and supply lines 12-1 to 12-4. ), pressure sensor 13, and valve 14.

제어부(13)는 하부 커버(400) 상에 위치하고, 밸브(14)와 압력 센서(13) 및 에어펌프(11)와 연결되어, 압력 센서(13)에서 측정된 에어포켓(110)의 압력에 따라 밸브(14)의 온오프 및 에어펌프(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는 에어포켓(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된 예에서는, 제어부(13)는 제1 구역 내지 제4 구역의 각각에 위치하는 복수의 에어포켓(11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is located on the lower cover 400 and is connected to the valve 14, the pressure sensor 13, and the air pump 11, and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of the air pocket 110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3. Accordingly, the on/off of the valve 14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1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13 can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110.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3 may adjust the pressure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110 locat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zones.

노즐(130)은 에어포켓(110)으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주입구 일 수 있다. 노즐(130)은 에어포켓(110)으로 공기 공급 또는 배출을 위해 하판(1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14)은 제1 구역 내지 제4 구역의 각 구역별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노즐(14)이 각 구역별로 형성됨에 따라, 에어 셀(100)의 각 구역별로 에어포켓(110) 내부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nozzle 130 may be an injection port that supplies and discharges air into the air pocket 110. The nozzl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130 to supply or discharge air to the air pocket 110. In addition, one or more nozzles 14 may be formed in each zone of the first to fourth zones. As the nozzle 14 is formed for each zone,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110 can be controlled for each zone of the air cell 100.

공급 라인(12)은 밸브(14)와 노즐(130) 사이를 연결하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라인을 형성한다. 공급 라인(12)의 일단은 노즐(13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밸브(14)에 연결된다. 공급 라인(15)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공급 라인(12)은, 에어 셀(100)의 각 구역별 노즐(130) 및 밸브(14)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공급 라인(12-1)은 제1 구역에 구비된 노즐(130)과 이에 대응하는 제1 밸브(14-1) 사이를 연결한다. 공급 라인(12)을 통해서 에어포켓(110) 내부로의 공기 공급 및 에어포켓(110)으로부터 공기 배출이 이루어진다. The supply line 12 connects the valve 14 and the nozzle 130 and forms a line through which air can pass. One end of the supply line 12 is connected to the nozzle 13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valve 14. A plurality of supply lines 15 may be provided, and each supply line 12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130 and valve 14 for each zone of the air cell 100. For example, the first supply line 12-1 connects the nozzle 130 provided in the first zone and the corresponding first valve 14-1. Air is supplied into the air pocket 110 and air is discharged from the air pocket 110 through the supply line 12.

밸브(14)는 에어펌프(11)로부터 에어포켓(110)으로의 공기 공급량 및 에어포켓(110)으로부터의 공기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14)는 제어부(10)로부터 제어 듀티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밸브(14)는 에어 셀(100)의 각 구역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구역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급 라인(12-1~12-4)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밸브(14)은 독립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에어 셀(100)의 각 구역별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독립제어할 수 있다. The valve 14 can control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pump 11 to the air pocket 110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ocket 110. Preferably, the valve 14 may be a solenoid valve that operates by receiving control duty from the control unit 10. The valve 14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zones in the air cell 100 and connected to each supply line (12-1 to 12-4) connected to each zone. By independently opening or closing the plurality of valves 14,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each zone of the air cell 10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압력 센서(13)는 에어포켓(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13)도 밸브(14)와 마찬가지로, 에어 셀(100)의 각 구역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각 구역과 연결되는 각각의 공급 라인(12-1~12-4)과 연결될 수 있다. 압력 센서(13)의 측정 결과를 통해 각 구역별 현재의 에어포켓(110)의 압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 제어부(10)는 밸브(14)를 제어함으로써 각 구역별 압력이 목표 압력값을 만족하도록 제어한다. The pressure sensor 13 can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110. Like the valve 14, the pressure sensor 13 may be provided as many as the number of zones in the air cell 100 and connected to each supply line 12-1 to 12-4 connected to each zone. The pressure of the current air pocket 110 in each zone is det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pressure sensor 13, and the control unit 10 controls the valve 14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so that the pressure in each zone is set to the target pressure. Control to satisfy the value.

에어펌프(11)는 공급 라인(12-1~12-4)을 통해 에어 셀(100)로의 공기를 공급한다. 바람작하게는 에어펌프(11)는 제어부(10)와 동일한 아세이 내부에 장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펌프(11)는 공지의 펌프 장치를 사용하여도 된다. 에어펌프(11)는 제어부(10)와 통신연결되어,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의해 On/Off 동작된다. The air pump 11 supplies air to the air cell 100 through supply lines 12-1 to 12-4. Preferably, the air pump 11 may be mounted inside the same assembly as the control unit 10 and be integrated with it. The air pump 11 may use a known pump device. The air pump 1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0 and is turned on/off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부 커버(200)를 프레임부(300)에 고정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in the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upper cover 200 to the frame portion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7.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상부 커버를 제외한 에어 매트리스의 사시도이다. Figure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ure 5a,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The perspective view shown i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mattress excluding the top cover.

도 5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00)를 상방에서 내려보았을 때의 상부 커버(200)의 면적은, 프레임부(300)를 상방에서 내려보았을 때의 프레임부(300)의 풋 가드 폼(310), 헤드 가드 폼(330) 및 사이드 가드 폼(320)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부 커버(200)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5A and 7, the area of the upper cover 200 when the upper cover 200 is viewed from above is the area of the frame portion 300 when the frame portion 300 is viewed from above. The upper cover 200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area formed by the inner edges of the foot guard form 310, the head guard form 330, and the side guard form 320.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매트리스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300)의 상면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에어 셀(100)의 높이 방향 위치보다 높도록, 프레임부(300)가 형성된다. And, as shown in FIG. 5A, the frame portion 300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direction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00 is higher than the height direction position of the air cell 100 when the air mattress is viewed from the side. do.

따라서, 상부 커버(200)를 에어 셀(100)의 상방에 안착시키는 경우, 상부 커버(200)는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 내에 안착되어, 상부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프레임부(300)의 풋 블럭 폼(310), 헤드 가드 폼(330) 및 사이드 가드 폼(320)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Accordingly, when the upper cover 200 is seated above the air cell 100, the upper cover 200 is seated with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nd the edge of the upper cover 200 is aligned with the frame portion 300. )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oot block form 310, head guard form 330, and side guard form 320.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200)를 에어 셀(100)의 상면에 안착시켰을 때에 상부 커버(200)와 상면과 프레임부(300)의 상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5 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매트리스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프레임부(300)의 상면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상부 커버(200)의 상면의 높이 방향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upper cover 2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100, a step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upper cover 200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s shown in Figures 5A and 5A. As shown in FIG. 5B, when the air mattress is viewed from the side, the height direction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300 is set to match the height direction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0.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상부 커버(200)를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에 안착시키는 작업만으로, 프레임부(300)에 의해 상부 커버(200)의 위치가 정위치에 결정될 수 있고, 프레임부(300)에 의해 상부 커버(200)가 해당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상부 커버(200)를 프레임부(300)에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종래예와 비교하여 에어 매트리스 제조를 위한 공정수나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upper cover 200 can be determined in the correct position by the frame portion 300 simply by seating the upper cover 200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nd the frame portion 300 can be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By 300, the upper cover 20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for separate fixing to maintain the separate upper cover 200 on the frame portion 300.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ample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number of processes or manufacturing time for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can be reduced.

또한, 프레임부(300) 내부에 위치하는 제어부(10), 에어펌프(11)나 공급 라인(12) 등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에어 셀(100)에 손상이 발생하여 교체를 요하는 경우에도, 시트커버(600)를 벗긴 후에 상부 커버(200)의 일단을 파지하여 프레임부(300)로부터 분리해 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손상 부위나 교체 부위에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에어 매트리스의 유지 보수 작업이 간소해지고 유지 보수를 위한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control unit 10, air pump 11, or supply line 12 located inside the frame unit 300, or if the air cell 100 is damaged and replacement is required, After removing the seat cover 600,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damaged or replacement part by simply grasping one end of the upper cover 200 and separating it from the frame part 300. 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air mattr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for maintenanc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300)에 상부 커버(200)가 보다 강고하게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접착부(a)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예와 비교하여 접착 위치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forming an adhesive portion (a) to more firmly maintain the upper cover 200 on the frame portion 300, as shown in FIG. 7,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example. By comparis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adhesion positions.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프레임부(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헤드 가드 폼(540)의 상면에,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1자 형태의 접착부(a)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00)는 프레임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되고 있는바, 헤드 가드 폼(540)의 상방 1개소에 접착부(a)를 형성하고 상부 커버(200)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의 하면과 헤드 가드 폼(540)의 상면을 서로 접착시키는 것 만으로도 상부 커버(200)를 보다 강고하게 프레임부(300)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a single-shaped adhesive portion (a)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s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guard form 540 mounted inside the frame portion 30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over 200 is maintained in its position by the frame formed by the frame portion 300, and an adhesive portion (a) is formed at one location above the head guard form 540 and the upper cover 200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maintain the upper cover 200 on the frame portion 300 simply by adhering the lower surface of one longitudinal end of the cover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guard form 540 to each other.

또한, 이 경우에, 헤드 가드 폼(540)의 상면과 접착된 부분을 제외한 상부 커버(200)의 다른 부분은, 프레임부(300)나 프레임부(300)에 유지되는 다른 모듈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Additionally, in this case, other parts of the upper cover 200 except for the part glu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guard form 540 are not fixed to the frame portion 300 or other modules held on the frame portion 300. It is configured to be freely detachable.

프레임부(300)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10), 에어펌프(11) 및 공급 라인(12) 등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에어 셀(100)의 교체가 필요하게 되면, 접착부(a)에 의해 접착되지 않은 상부 커버(200)의 다른 단부를 손으로 파지하여 들어 올리는 동작 만으로 프레임부(300)의 내부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접착부(a)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200)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손쉽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f a problem occurs in the control unit 10, air pump 11, and supply line 12 mounted inside the frame unit 300, or if the air cell 100 needs to be replaced, it is not adhered by the adhesive portion (a).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inside of the frame portion 300 simply by grasping and lif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ver 200 by hand. Therefore, even when the upper cover 200 is fixed using the adhesive portion (a),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이러한 경우에도 접착부(a)는 1개소에 불과하므로, 복수 개소에 접착부가 형성될 필요가 있는 종래예와 비교하여 가공 단계 및 제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is case, since the adhesive portion (a) is only at one location, processing steps and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xample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needs to be formed at multiple locations.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Figure 9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셀(100)을 준비한다(S10). 바람직하게는 에어 셀(100)은 진공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필름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필름을 가열하여 인장시킨 후, 진공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을 원하는 형상으로 진공 성형하고, 성형된 필름을 절단하는 후처리를 통해 에어 셀(100)을 제조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9, an air cell 100 is prepared (S10). Preferably, the air cell 10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vacuum forming process. For example, the air cell 100 can be manufactured by heating and stretching the film provided from the film providing device, vacuum forming the film into a desired shape using a vacuum forming device, and cutting the formed film through post-processing. there is.

다음으로 하부 모듈 아세이를 준비한다(S20). 여기서 하부 모듈 아세이는 상부 커버(200)와 에어 셀(100)을 제외한 프레임부(300), 하부 커버(400) 및 프레임부(300)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Next, prepare the lower module assembly (S20). Here, the lower module assembly is a general term for modules mounted inside the frame portion 300, lower cover 400, and frame portion 300 excluding the upper cover 200 and the air cell 100.

하부 모듈 아세이를 제조할 때에는 먼저 바닥 폼(400)의 상면 가장 자리에 핫 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풋 가드 폼(310), 헤드 가드 폼(330), 사이드 가드 폼(320, 340)을 접착시킨다. 다음으로 풋 블럭 폼(340), 헤드 블럭 폼(540) 및 제어부 하단 폼(410)을, 도 2에 예시된 하부 커버(400) 상의 위치에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킨다. 그리고, 제어부 하단 폼(410) 상에 제어부(10)를 위치시키고, 제어부(10)의 상단에 제어부 덮개 폼(550)을 덮는다. 그리고, 풋 블럭 폼(340)과 헤드 블럭 폼(540) 사이에 중간 폼(510)과 에어 셀 하단 폼(520)을 순차로 적층한다. When manufacturing the lower module assembly, first apply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to the upper edge of the floor form (400), and then attach the foot guard form (310), head guard form (330), and side guard form (320, 340). Adhere. Next, the foot block form 340, the head block form 540, and the control unit bottom form 410 are each attached to positions on the lower cover 400 illustrated in FIG. 2 using adhesive. Then, the control unit 10 is placed on the bottom foam 410 of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ver foam 550 is covered on the top of the control unit 10. Then, the middle foam 510 and the air cell bottom foam 520 are sequentially stacked between the foot block form 340 and the head block form 540.

하부 모듈 아세이가 준비되면, 하부 모듈 아세이의 수용 공간 내부에 에어 셀(100)을 안착시킨다(S30).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하부 모듈 아세이의 수용 공간은 양 측의 사이드 가드 폼(320, 340)의 내측면 및 풋 블럭 폼(340)과 헤드 블럭 폼(540)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에어 셀(100) 안착시키기 전에 먼저 에어 셀 하단 폼(520)의 상면에 복수개의 개소 핫 멜트 등의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에어 셀(100)에 형성된 노즐(130)과 제어부(10)에 구비된 밸브(14) 사이를 공급 라인(12)에 의해 연결한 후 에어 셀(100)을 상방으로부터 프레임부(300) 내부로 하강시켜, 에어 셀 하단 폼(520)의 상면과 에어 셀(100)의 하면을 접착시킨다. When the lower module assembly is prepared, the air cell 100 is seat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S30).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2,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guard forms 320 and 340 on both sides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oot block form 340 and the head block form 540. It is space. Before seating the air cell 100, an adhesive such as hot melt is first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lower foam 520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n, after connecting the nozzle 130 formed in the air cell 100 and the valve 14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 by the supply line 12, the air cell 100 is connected to the frame unit 300 from above. It is lowered in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lower foam 5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ell 100 are adhered.

에어 셀(100)을 안착시킨 후에는, 레임부(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헤드 가드 폼(54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접착부(a)를 1자 형태의 접착부(a)를 형성한다(S40).After seating the air cell 100,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guard form 540 mounted inside the frame portion 300 to form an adhesive portion (a)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A ruler-shaped adhesive portion (a) is formed (S40).

접착부(a)를 형성한 후에는 프레임부(300)의 수용 공간 내에 상부 커버(200)를 삽입하고, 접착부(a)를 이용하여 상부 커버(200)의 하면과 헤드 가드 폼(540)의 상면을 서로 접합시킨다(S50). 이 때, 접착부(a)에 의해 고정되는 영역이 외의 상부 커버(200)의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접착시키지 않고 다른 구성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상태에서 에어 매트리스의 전면을 시트커버로 덮어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를 완료한다. After forming the adhesive portion (a), the upper cover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guard form 540 are connected using the adhesive portion (a). Join them together (S50). At this time, other areas of the upper cover 200 other than the area fixed by the adhesive portion (a) are not adhered and remain separated from other components. Preferably, in this state, the manufacturing of the air mattress is completed by covering the front of the air mattress with a sheet cover.

또한, 프레임부(300)에 의해 상부 커버(20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바, 접착부(a)를 형성하는 단계 S40을 생략하고, 프레임부(300)의 내부 공간에 상부 커버(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시트커버(600)로 덮어 에어 매트리스를 제조하여도 된다.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upper cover 200 can be maintained by the frame portion 300, so step S40 of forming the adhesive portion (a) is omitted, and the upper cover 200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portion 300. An air mattress may be manufactured by covering the seat cover 600 with the insert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but also by equivalents to the claims.

1: 에어 셀 2: 상부 모듈 폼
3: 하부 모듈 아세이 10: 제어부
11: 에어펌프 12: 공급 라인
13: 압력 센서 14: 밸브
100: 에어 셀 110: 에어포켓
120: 하판 200: 상부 커버
210: 에어 셀 상단 폼 220: 커버층
230: 교체형 탑퍼 폼 300: 프레임부
310: 풋 가드 폼 320,340: 사이드 가드 폼
330: 헤드 가드 폼 400: 하부 커버
410: 제어부 바닥 폼 510: 중간 폼
520: 에어 셀 하단 폼 521: 오목부
530: 풋 블럭 폼 540: 헤드 블럭 폼
541: 케이블 유지 홀 550: 제어부 덮게 폼
600: 시트커버
1: Air Cell 2: Upper Module Foam
3: Lower module assembly 10: Control section
11: air pump 12: supply line
13: pressure sensor 14: valve
100: air cell 110: air pocket
120: lower plate 200: upper cover
210: Air cell top foam 220: Cover layer
230: Replaceable topper form 300: Frame part
310: Foot guard form 320,340: Side guard form
330: Head guard form 400: Lower cover
410: Control unit bottom form 510: Middle form
520: Air cell bottom form 521: Concave portion
530: Foot block form 540: Head block form
541: Cable holding hole 550: Control unit covering form
600: Seat cover

Claims (10)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하는 복수의 에어포켓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 셀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에어 셀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 커버;
그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에어 셀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높이가 상기 에어 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상기 상부 커버가 유지되고,
상기 에어 셀의 길이 방향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헤드 블럭 폼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셀의 길이 방향 타 단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풋 블럭 폼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풋 블럭 폼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폼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에어포켓으로의 공기 공급 및 공기 배출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포켓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은, 상기 헤드 블럭 폼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
An air cell composed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that are hollow inside and expand by air inflow or contract by air outflow;
a frame portion having a frame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intaining the air cell inside the frame;
an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cell;
A lower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frame portion and the air cell,
The height of the frame por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ir cell, so that the upper cover is maintained inside the frame,
A head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one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one side wall of the frame portion,
A foot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legs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upply line connecting the air cell and a pump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cell,
The foot block foam is made of two fo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foams, a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air supply and air discharge from the supply line to the air pocket, thereby adjusting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An air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s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block form with an adhesi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어부 덮개 폼을 더 구비하는, 에어 매트리스.
In claim 1,
An air mattres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cover foa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to protect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에어 셀과 맞닿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커버층이 부착되어 있는, 에어 매트리스.
In claim 1,
An air mattress, wherein a cover layer made of non-woven fabric is attached to at lea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that is in contact with the air ce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복수의 폼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폼 중 최상층의 폼은 그 하부의 폼에 대해서 별체(別體)로 이루어지는 교체형 탑퍼 폼으로 구성되는, 에어 매트리스.
In claim 1,
The upper cove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oams,
An air mattress, wherein the uppermost layer of the plurality of foams is composed of a replaceable topper foam that is separate from the lower fo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리스의 전면을 덮는 시트커버를 더 구비하는, 에어 매트리스.
In claim 1,
An air mattress further comprising a sheet cover covering the front of the air mattress.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하거나 공기 유출에 의해 수축하는 복수의 에어포켓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셀을 준비하는 단계;
내부에 포켓 형태의 상방이 개방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하부 모듈 아세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 상기 에어 셀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에어 셀의 상방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 커버를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모듈 아세이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 셀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유지하는 프레임부;
그 상면에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에어 셀을 지지하는 하부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셀의 길이 방향 일 단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일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헤드 블럭 폼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셀의 길이 방향 타 단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타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풋 블럭 폼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 셀과 상기 에어 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 라인을 더 구비하고,
상기 풋 블럭 폼은, 에어 매트리스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폼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상기 에어포켓으로의 공기 공급 및 공기 배출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포켓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모듈 아세이를 접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부 커버의 하면을, 상기 하부 모듈 아세이의 상기 헤드 블럭 폼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매트리스의 제조 방법.
Preparing an air cel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ir pockets that expand by air inflow or contract by air outflow;
Preparing a lower module assembly having an open upper receiving space in the form of a pocket therein;
Seating the air cell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bove the air cell, inserting an upper cover to cover the receiving space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lower module assembly is,
a frame portion having a frame shape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intaining the air cell inside the frame;
A lower cov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frame portion and the air cell,
A head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head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one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one side wall of the frame portion,
A foot block form capable of supporting the user's legs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air cell and the other side wall of the frame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upply line connecting the air cell and a pump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cell,
The foot block foam is made of two foa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mattress,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forms, a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air supply and air discharge from the supply line to the air pocket, and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air pocket,
In the step of adhering the upper cover and the lower module assemb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 mattr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block form of the lower module assembly with an adhesiv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삭제delete
KR1020220014658A 2022-02-04 2022-02-04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7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58A KR102657284B1 (en) 2022-02-04 2022-02-04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658A KR102657284B1 (en) 2022-02-04 2022-02-04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87A KR20230118287A (en) 2023-08-11
KR102657284B1 true KR102657284B1 (en) 2024-04-15

Family

ID=8756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658A KR102657284B1 (en) 2022-02-04 2022-02-04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2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305A (en) * 1995-11-30 2000-02-08 スリープ オプ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attress structure
KR101654157B1 (en) * 2015-08-31 2016-09-05 이수진 Air circulation heating mat with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or air circulation
KR102131406B1 (en) * 2019-10-11 2020-07-08 주식회사 보국전자 Smart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805A (en) * 2016-12-17 2018-06-27 편준범 2 Pockets Mattress
KR102013370B1 (en) * 2017-09-11 2019-08-22 주식회사 아이오베드 Air cell module and air mattress including the same
US11202515B2 (en) * 2017-12-12 2021-12-21 Dreamwell, Ltd. Active comfort controlled bedding systems
KR102130707B1 (en) 2018-09-28 2020-07-07 주식회사 아이오베드 Mattress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1305A (en) * 1995-11-30 2000-02-08 スリープ オプション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attress structure
KR101654157B1 (en) * 2015-08-31 2016-09-05 이수진 Air circulation heating mat with three-dimensional structures for air circulation
KR102131406B1 (en) * 2019-10-11 2020-07-08 주식회사 보국전자 Smart pillow for prevention of sn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287A (en)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882B2 (en) Air pocket module and air mattress including same
US7444702B2 (en) Pillow top for a cushion
CA2731481C (en) Multi-layered support structure
KR102657284B1 (en) Air mattres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11111B2 (en) Ventilated mattresses
KR101717716B1 (en) Cushion for preventing bedsore
KR20180049867A (en) Available mattress cushions local regulation
KR102657283B1 (en) Air mattress
KR101203751B1 (en) A mat fixing device for air pocket low unit and air cushion
WO2014105047A1 (en) Foam block mattress assemblies
KR102356586B1 (en) Mattress with differentiated rigidity
US9066599B1 (en) Mattress restoration assembly and method of use
EP0757899B1 (en) Mattress with adjustment of the firmness
JP5057289B2 (en) cushion
JP5158423B2 (en) cushion
KR200453445Y1 (en) Shock absorbing air seat
JP5622035B2 (en) Air cell cushion
KR20230100988A (en) Mattress assembly and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