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03B1 -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 Google Patents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03B1
KR102657003B1 KR1020217024185A KR20217024185A KR102657003B1 KR 102657003 B1 KR102657003 B1 KR 102657003B1 KR 1020217024185 A KR1020217024185 A KR 1020217024185A KR 20217024185 A KR20217024185 A KR 20217024185A KR 102657003 B1 KR102657003 B1 KR 10265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per
guide
guide member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4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3258A (en
Inventor
다카유키 나가키
도모하루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4712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44976A1/en
Publication of KR20210113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0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Abstract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切分) 공구를 제공한다. 와이어 그리퍼는,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으로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가이드 부재는, 선재 수용 공간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선재를 선재 수용 공간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다.A wire gripper that facilitates mounting of the wire gripper to a wire rod and a wire cutting tool are provided. The wire gripper is connected to a first member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a second member having a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bout a first axis, and , a sw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about the second axis, and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ire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The guide member has a closing portion that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and a guide portion that guides the wire toward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Description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본 발명은,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切分)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gripper and a wire cutting tool.

가공 전선 등의 선재를 파지하는 와이어 그리퍼가 알려져 있다.A wire gripper that grips a wire such as an overhead wire is known.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선 절분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절분 공구에서는, 한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가선에 걸린 후,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밀어올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의 빠짐 방지구의 링부에 원격 조작봉의 훅이 걸린 상태에서,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밀어올려진다.As a related technology,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hin line cutting tool. In the overhead wire cutting too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fter one wire gripper is caught on the overhead wire, the other wire gripper is pushed up using a remote control rod. More specifically, the other wire gripper is pushed up using the remote operation rod in a state where the hook of the remote operation rod is caught on the ring portion of the drop prevention device of the other wire gripper.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선 절분 공구에서는,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를 밀어올림에 있어서,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의 빠짐 방지구의 링부에 결합한 원격 조작봉과, 다른 쪽의 와이어 그리퍼가 장착되는 가선이 서로 교차하게 된다.In the overhead wire cutting too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when pushing up the other wire gripper, the remote control rod coupled to the ring portion of the pull-out prevention device of the other wire gripper and the overhead wire on which the other wire gripper is mounted intersect each other. do.

일본국 특허공개 2011-6700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67007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gripper that facilitates mounting of the wire gripper to a wire rod, and a wire cutting tool.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gripper and a wire cutting tool shown below.

(1)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1) a first member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상기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a second member having a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a rock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bout a first axis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about a second axis;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에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ire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를 구비하고,Equipped with

상기 가이드 부재는,The guide member is,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와,a closing portion that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portion of the wire receiving space;

상기 선재를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부A guide unit that guides the wire toward the wire receiving space

를 갖는having

와이어 그리퍼.wire gripper.

(2) 상기 가이드 부재는,(2) The guide member is,

상기 폐쇄부를 갖는 제1 판부와,A first plate portion having the closure portion,

상기 가이드부를 갖는 제2 판부Second plate portion having the guide portion

를 갖고,With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는, 굴곡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re connected via a bent portion.

상기 (1)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1) above.

(3)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선재에 의해 압압(押壓)되면, 상기 폐쇄부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3) When the guide portion is pressed by the wire, the closing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1) or (2) above.

(4) 상기 폐쇄부의 위치는,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4)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is change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position that prevents the wire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The closing portion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5) 상기 폐쇄부 중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면하는 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5) A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facing the wire receiving space.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above.

(6)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6) The guide portion has a guide surface that guides the wire by contacting the wire,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인The guide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above.

(7)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슬릿 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7)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slit or through hol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or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2 가이드 부재를 갖는The guide member ha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with a gap relative to the first guide member.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bove.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8) 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above,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a stretchable rod member connected to the wire gripper;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A second wire gripper connected to the rod member

를 구비하는equipped with

선재 절분 공구.Wire cutting tool.

본 발명에 의해,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한 와이어 그리퍼, 및, 선재 절분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gripper that facilitates mounting of the wire gripper to a wire rod and a wire cutting tool can be provided.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2는, 가이드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부재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선재 지지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portion.
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lever member.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gripper in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member.
Fig. 8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uide member.
Fig. 9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guide member.
Fig. 10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1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3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ire cutting tool in the third embodiment.
Figure 15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wire support tool.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 및, 선재 절분 공구(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부여된 부재에 대해,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the wire gripper 1 and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symbols. Additionally, repeated descriptions of members assigned the same or similar codes may be omitted.

(방향의 정의)(Definition of direction)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의 연장 방향, 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의 선재 수용 공간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와이어 그리퍼가 레버 부재(레버 부재(4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의 연장 방향이며, 레버 부재가 견인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의 제1 방향측이, 「후방」이라 불리고, 와이어 그리퍼의 제2 방향측이, 「전방」이라 불리는 경우가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gripped by the wire gripper, or in other word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of the wire gripper,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wire gripper is provided with a lever member (lever member 40),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material gripped by the wire gripper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member is pulled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is defined as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s defined as the second direction.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direction side of the wire gripper may be called “rear”, and the second direction side of the wire gripper may be called “front”.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의 우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1의 좌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좌측의 도면(개략 측면도)에 있어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로크 부재(50) 등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가이드부(GA)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레버 부재(4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1 to 4, 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On the right side of FIG. 1, a schematic front view is depicted, and on the left side of FIG. 1, a schematic side view is depic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 (schematic side view) on the left side of FIG. 1, description of the lock member 50, etc. is omitted to avoid complicating the drawing.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guide portion GA.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lever member 40.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A in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제1 결합부(30)를 구비한다.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ember 11, a second member 12, a swing member 20,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30.

제1 부재(11)는, 선재(W)(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W)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11a)을 갖는다. 제1 접촉면(11a)의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상측을 향해 파인 곡선 형상이다. 제1 부재(11)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member 11 has a first contact surface 11a that contacts the wire W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W).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is, for example, a curved shape inclined upward. The first member 11 may be comprised of one part or may be comprised of an assembly of multiple parts.

제2 부재(12)는, 선재(W)(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W)의 하측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12a)을 갖는다. 제2 접촉면(12a)의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하측을 향해 파인 곡선 형상이다. 제2 부재(12)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econd member 12 has a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at contacts the wire W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ide of the wire W).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is, for example, a downward curved shape. The second member 12 may be comprised of one part or may be comprised of an assembly of multiple parts.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이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는, 선재(W)를 파지한다. 또한,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의해 파지되는 선재(W)는, 예를 들면, 전선(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설 전선)이다.Wh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contact the wire W,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grip the wire W. In addition, the wire W held by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is, for example, an electric wire (more specifically, a temporary electric wire).

요동 부재(20)는, 제1 부재(11)에 대해, 제1 축(AX1)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제1 부재(1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핀 부재(P1)를 구비하고, 당해 제1 핀 부재(P1)가 제1 축(AX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The sw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11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first axis AX1. More specifically, the wire gripper 1A is provided with a first pin member P1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wing member 20 and the first member 11, and the first pin member P1 is It is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AX1).

또, 요동 부재(20)는, 제2 부재(12)에 대해, 제2 축(AX2)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제2 부재(1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핀 부재(P2)를 구비하고, 당해 제2 핀 부재(P2)가 제2 축(AX2)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sw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12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second axis AX2. More specifically, the wire gripper 1A is provided with a second pin member P2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wing member 20 and the second member 12, and the second pin member P2 is It is arranged along the second axis (AX2).

요동 부재(20)가, 제1 축(AX1) 둘레를 회동하면, 요동 부재(20)에 연결된 제2 부재(12)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여,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다. 또, 제2 접촉면(12a)이 선재(W)에 접촉하면, 제2 부재(12)는, 제2 축(AX2) 둘레를, 요동 부재(20)에 대해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접촉면(12a)이 제1 접촉면(11a)에 대해 평행이 되고,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에 접촉하는 선재(W)에 균형 있게 파지력이 작용한다. 또한, 요동 부재(2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요동 부재(20)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또, 요동 부재(20)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고, 당해 삼각형의 각 꼭짓점 부분에, 상술한 제1 축(AX1), 상술한 제2 축(AX2), 및, 후술하는 제3 축(AX3)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단, 요동 부재(2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rocking member 20 rotates around the first axis AX1, the second member 12 connected to the rocking member 20 moves relative to the first member 11, thereby form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The distance between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changes. Additionally, when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contacts the wire W, the second member 12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AX2 with respect to the swing member 20. In this way,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becomes parallel to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gripping force is applied in a balanced manner to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Additionally, the rocking member 20 may be comprised of one part or may be comprised of an assembly of multiple part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rocking member 20 is a plate-shaped member. In addition, the rocking member 20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each vertex of the triangle includes the above-described first axis AX1, the above-described second axis AX2, and the later-described second axis AX2. The third axis AX3 is arranged respectively. However,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rocking member 20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1.

제1 결합부(30)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관통 구멍부(30h)이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is a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a wire gripper lifting tool (in other words, a remote operation tool for lifting the wire gripper 1A upwar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a through hole portion 30h.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촉면(11a)이 제2 접촉면(12a)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의 자세가 유지된 상태(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More specifically, the posture of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is maintained such that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is located above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in other words, the wire gripper 1A ) is lifted by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에 선재(W)가 삽입될 때까지의 공정(바꾸어 말하면,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교차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중 제1 결합부(30)와 결합하는 부분이, 항상, 선재(W)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선재(W)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간섭하지 않고,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wire receiving space (S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until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wire W,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does not intersect the wire W. 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the portion of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that engages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always located below the wire W. It is located. Therefore, the wire W and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do not interfere, and the work of attach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can be performed smoothly.

계속해서, 제1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A)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s that can be employed in the wire gripper 1A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1 부재(11))(First member 11)

제1 부재(11)는,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측 부분(111)과,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하측 부분(112)과, 제1 접촉면(11a)의 높이와 제2 접촉면(12a)의 높이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113)을 갖고 있어도 된다.The first member 11 has an upper portion 111 located above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and an upper portion 111 locat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It may have a lower part 112 and an intermediate part 113 located at a height between the height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 중 하측 부분(112)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선재(W)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간섭하지 않고,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first member 11 . For this reason,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the work of mount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is performed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wire W and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It can be done smoothly.

또,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의 하측 부분(112))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제1 결합부(30)와 제1 부재(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촉면(11a))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가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요동 운동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예를 들면, 제1 결합부(30)가, 요동 부재(20)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부재(11)가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제1 결합부가 요동 부재(20)와 함께, 제1 부재(11)에 대해 요동한다. 당해 요동에 의해,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installed on the first member 11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112 of the first member 11), the wire gripper 1A is connected to the wire gripper 1A. In the process of mounting to (W),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and the first member 11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does not change.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member 11 contacts the wire W,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does not oscill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11. Therefore, the task of mount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can be performed smoothly.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swinging member 20, the first member 11 contacts the wire W, so that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swinging member 20. 20), it swings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11.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may be hindered by the shaking.

(레버 부재(40))(Lever member (40))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에 대해, 제3 축(AX3)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와이어 그리퍼(1A)는,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3 핀 부재(P3)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제3 핀 부재(P3)는, 제3 축(AX3)을 따라 배치된다.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member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swing member 20 about the third axis AX3. Additionally, the wire gripper 1A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pin member P3 that rotatably connects the swing member 20 and the lever member 40. The third pin member P3 is arranged along the third axis AX3.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0)가 제1 방향(DR1)으로 끌어당겨지면, 레버 부재(40)에 접속된 요동 부재(20)는, 제1 축(AX1) 둘레를 요동한다. 당해 요동 부재(2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제2 부재(12)의 제2 접촉면(12a)이 제1 부재의 제1 접촉면(11a)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선재(W)가, 제1 부재(11) 및 제2 부재(12)에 의해 파지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요동 부재(20)에 연결된 제1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자유단부이다. 당해 자유단부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에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의 관통 구멍(40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봉 부재(70)에 대해 제2 단부(40b)를 연결하는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1 , when the lever member 40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the swing member 20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40 swings around the first axis AX1. As the rocking member 20 swings,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of the second member 12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of the first member, and as a result, the wire (W ) is held by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second end 40b of the lever member 40 (an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connected to the swing member 20) is a free end. The free end is connected to, for example, a stretchable rod member 7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1, two or more through holes 40h may be formed in the second end 40b of the lever member 4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switch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end portion 40b is connected to the rod member 70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이드부(GA))(Guide section (GA))

와이어 그리퍼(1A)(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1))는,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wire gripper 1A (more specifically, the first member 11) may have a guide portion GA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40.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제1 부재(11)의 후방측 부분(제1 방향(DR1)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제1 접촉면(11a)의 후단(또는 제2 접촉면(12a)의 후단)보다 하방으로 또한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guide portion GA is installed at the rear portion (portion on the first direction DR1 side) of the first member 1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guide portion GA extends so as to protrude downward and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or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GA)는, 레버 부재(4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Gw)을 구비한다. 가이드 벽(Gw)은, 예를 들면, 레버 부재(40)의 중간 부분(43)(도 1을 참조)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구멍(Gh)을 규정하는 벽이다. 가이드부(GA)는, 레버 부재(40)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레버 부재(40)가 횡 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과잉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억제하고, 그 결과, 레버 부재(40)와 요동 부재(20) 사이의 연결 부분에 과잉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 the guide portion GA is provided with a guide wall Gw that guides the lever member 40 . The guide wall Gw is, for example, a wall that defines a through hole Gh through which the middle portion 43 (see FIG. 1) of the lever member 40 is inserted. The guide portion GA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lever member 40, thereby suppressing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lever member 40 in the lateral direction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in FIG. 1), and as a result, the lever member 40 Excessive load is suppressed from being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40) and the swing member (20).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결합부(30)는, 가이드부(GA) 중, 레버 부재(40)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하단부(바꾸어 말하면, 제1 부재(11)의 하단부(112b))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GA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4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in other words, the lower portion 112b of the first member 11) located below the lever member 40 among the guide portion GA. It is placed in

제1 결합부(30)가,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 제2 접촉면(12a), 및, 요동 부재(20)로부터 충분히 멀어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시야가, 제1 결합부(30)에 결합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guide portion GA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40,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has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ufficiently far away from the rocking member 20. For this reason, the field of view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task of attaching the wire gripper 1A to the wire W is prevented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레버 부재(40)의 결합부(42))(Coupling portion 42 of lever member 40)

레버 부재(40)는, 가이드부(GA)(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112b))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는, 레버 부재(40)의 하면(40s)에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는, 레버 부재(40)의 하면(40s)에 형성된 오목부(40d)이다.The lever member 40 may have an engaging portion 42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guide portion GA (more specifically, the lower end portion 112b).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 the engaging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40s of the lever member 40. Moreover,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engaging part 42 is a concave part 40d formed in the lower surface 40s of the lever member 40.

레버 부재(40)가, 가이드부(G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구비하는 경우, 레버 부재(40)와 가이드부(GA) 사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lever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42 tha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GA,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lever member 40 and the guide portion GA.

와이어 그리퍼(1A)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릴 때에, 레버 부재(4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 요동 부재(20)가 요동한다. 그 결과, 제1 부재(11)의 제1 접촉면(11a)과 제2 부재(12)의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변화한다.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에 의해 규정되는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wire gripper 1A is lifted by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when the lever member 40 moves relative to the first member 11, the swing member 20 swings.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of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of the second member 12 changes.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changes,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defined by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your work will be hindered.

이에 대해, 레버 부재(40)가, 가이드부(GA)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42)를 구비하는 경우, 와이어 그리퍼(1A)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들어올릴 때에, 레버 부재(40)가 제1 부재(11)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간격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에 의해 규정되는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lever member 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42 that can b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GA, when the wire gripper 1A is lifted by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the lever member 40 does not move relative to the first member 11.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so that the wire is stored in the wire receiving space SP defined by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task of inserting (W) can be performed smoothly.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42)와, 가이드부(GA)(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단부(112b)) 사이의 결합은, 레버 부재(40)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레버 부재(40)에 작용하는 중력에 저항해서, 레버 부재(40)를 들어올리면, 결합부(42)와 가이드부(GA)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42 and the guide portion GA (more specifically, the lower portion 112b) is maintained by gravity acting on the lever member 40. . In other words, by lifting the lever member 40 against the gravitational force acting on the lever member 40,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42 and the guide portion GA.

(제1 결합부(30)의 배치)(Arrangemen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의 후방측 부분(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 부재(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GA))에 배치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0)가, 제1 부재(11)의 전방측 부분(11f)(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DR2)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30)가, 제1 접촉면(11a)의 전단(또는 제2 접촉면(12a)의 전단)보다 하방으로 또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 그리퍼(1A)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시야가, 제1 결합부(30)에 결합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의해 방해되는 것이 억제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1 (more 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GA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lever member 40). It is done. Generally, as shown in FIG. 4,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at the front portion 11f (more specifically, the end portion on the second direction DR2 side) of the first member 11. It can be done. In addi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arranged to protrude downward and forward beyo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or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wire gripper 1A The field of view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work of mounting the wire W is prevented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제1 결합부(30)의 형상 또는 구조)(Shape or structur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관통 구멍부(30h)이다. 또, 관통 구멍부(30h)의 중심축(AX)은, 제1 축(AX1)과 평행하다. 대체적으로, 관통 구멍부(30h)의 중심축(AX)은, 제1 방향(DR1)과 평행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부(30)가 관통 구멍부(30h)인 경우, 당해 구멍부의 내경은, 예를 들면, 13mm 이상 45mm 이하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r FIG. 4 ,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a through hole portion 30h. Additionally, the central axis AX of the through hole portion 30h is parallel to the first axis AX1. In general, the central axis AX of the through hole portion 30h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In addition,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a through hole portion 30h,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portion is, for example, 13 mm or more and 45 mm or less.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와는 별체인 제1 결합 부재(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1 결합부(30)는, 제1 부재(1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부재(11)에 구멍 형성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제1 결합부(30)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결합 부재(3)는, 돌출부(32)(예를 들면, 어깨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돌출부(32)는, 관통 구멍(30h)의 중심축(AX)보다 상방(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30h)의 상단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어떤 종류의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예를 들면, SHOTGUN STICK(HASTINGS사 제조), SHOTGUN STICK(AB CHANCE사 제조))가 제1 결합부(30)와 결합한 상태에서, 당해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의 일부분이 돌출부(32)에 접촉하면, 제1 결합 부재(3)(및 와이어 그리퍼(1A))가,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대해 요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1 결합 부재(3)에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재(W)를 향해 와이어 그리퍼(1A)를 어프로치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돌출부(32)는, 관통 구멍(30h)의 중심축(AX)을 지나는 연직면(P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돌출부(32)는, 제1 돌출부(32a)와, 제2 돌출부(32b)를 포함하며, 제1 돌출부(32a)의 돌출 방향은, 제2 돌출부(32b)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r FIG. 4 ,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comprised of a first engaging member 3 that is separate from the first member 11. In general,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member 11. In other words,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may be formed by subjecting the first member 11 to hole forming processing or the like. Additionally, the first engaging member 3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32 (for example, a shoulder por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protrusion 32 is disposed above the central axis AX of the through hole 30h (more specifically, above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30h). In a state where some kind of wire gripper lifting tool (e.g., SHOTGUN STICK (manufactured by HASTINGS), SHOTGUN STICK (manufactured by AB CHANCE))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When a portion contacts the protrusion 32, the first engaging member 3 (and the wire gripper 1A) is suppressed from rocking relative to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Accordingly, when the protrusion 32 is formed on the first engaging member 3, the task of approaching the wire gripper 1A toward the wire W becomes easy.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protruding portion 32 protrud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rtical surface Pa passing through the central axis AX of the through hole 30h. Additionally, the protrusion 32 includes a first protrusion 32a and a second protrusion 32b, and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32a is opposite to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32b. .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 부재(3)에는, 제1 결합부(30)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부(30h)에 추가하여, 제2 관통 구멍부(31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관통 구멍부(31h)는, 제1 결합 부재(3)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구멍부이다. 또한,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은,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과 상이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이,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과 상이한 형상이므로, 작업자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결합시켜야 할 구멍부가 어느 구멍부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관통 구멍부(30h)의 구멍 형상이 원 형상이며, 제2 관통 구멍부(31h)의 구멍 형상이 비원형 형상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r FIG. 4 , a second through-hole portion 31h is formed in the first engaging member 3 in addition to the through-hole portion 30h functioning as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there is. The second through-hole portion 31h is a hole portion that contributes to reducing the weight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3.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shape of the second through-hole portion 31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rough-hole portion 30h. Since the hole shape of the second through-hole portion 31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rough-hole portion 30h,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which hole portion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should be engaged with. there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or FIG. 4 , the hole shape of the through-hole portion 30h is circular, and the hole shape of the second through-hole portion 31h is non-circular.

(로크 부재(50))(Lock member (50))

와이어 그리퍼(1A)는, 로크 부재(5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로크 부재(5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서 선재(W)가 파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 바꾸어 말하면,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를 규정하는 부재이다.The wire gripper 1A may be provided with a lock member 50. The lock member 50 is a member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hel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in other words,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 12a) It is a member that defines the distance between.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은, 제1 부재(11)에 장착되며,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도시는 생략)은, 요동 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부재(50)는, 제1 부재(11)에 장착되는 제1 부분(51), 및, 요동 부재(20)에 장착되는 제2 부분에 추가하여, 조작부(50a)(예를 들면, 조작환(環))와,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과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나사봉(50b)을 구비한다. 또한,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한쪽에는, 나사봉(50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다른 쪽에는, 나사봉(50b)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꾸어 말하면, 나사봉(50b)을 삽입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50a)(예를 들면, 조작환)를,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봉(50b)이 회전한다. 나사봉(50b)이 회전하면,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 또는 제2 부분의 한쪽이 나사봉(5b)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점에서, 로크 부재(50)의 제1 부분(51)과 로크 부재(50)의 제2 부분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요동 부재(20)가 요동한다. 요동 부재(20)가 요동함으로써,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작아져, 선재(W)가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서 파지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first part 51 of the lock member 50 is mounted on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part (not shown) of the lock member 50 is a rocking member ( 20). In addition to the first part 51 mounted on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part mounted on the rocking member 20, the lock member 50 includes an operation portion 50a (e.g. , an operating ring, and a threaded rod 50b for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part 51 of the lock member 50 and the second part of the lock member 50. Additionally, a screw for screwing onto the threaded rod 50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rt 51 or the second part of the lock member 50. 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art 51 or the second part of the lock member 50, a screw for screwing onto the screw rod 50b is not formed, in other words, the screw rod 50b can be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is formed. Then, the screw rod 50b rotates by rotating the operating portion 50a (eg, operating wheel) using a remote operating tool. When the threaded rod 50b rotates, one of the first portion 51 or the second portion of the lock member 50 is screwed to the threaded rod 5b, so that the first portion of the lock member 50 The gap between 51 and the second part of the lock member 50 becomes smaller, and the rocking member 20 swings. As the swing member 20 swing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decreases, and the wire W is gripp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do.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에, 선재(W)가 배치된 상태에서, 로크 부재(50)를 조작함으로써,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에 의한 선재(W)의 파지 상태가 유지된다. 또, 로크 부재(5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요동 부재(20)가 요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A)가 의도치 않게, 선재(W)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By manipulating the lock member 50 with the wire W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gripping state of the wire (W) is maintained. Additionally, the lock member 50 restricts the rocking member 20 from rock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increases. For this reason, the wire gripper 1A is prevented from unintentionally falling off from the wire W.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5의 우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고, 도 5의 좌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좌측의 도면(개략 측면도)에 있어서,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서, 로크 부재(50) 등의 기재가 생략되어 있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가이드 부재(6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부재(60)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가이드 부재(60)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2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의 상측에는 개략 평면도가 기재되고, 도 10 내지 도 12의 하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5 to 13,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schematic two-sid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On the right side of Figure 5, a schematic front view is depicted, and on the left side of Figure 5, a schematic side view is depicted. In addition, in the drawing (schematic side view) on the left side of FIG. 5, description of the lock member 50, etc. is omitted to avoid complicating the drawing.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7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guide member 60. FIG. 8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member 60. FIG. 9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member 60. 10 to 12 are schematic two-sided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A schematic plan view is depicted on the upper side of FIGS. 10 to 12 , and a schematic side view is depicted on the lower side of FIGS. 10 to 12 . Fig. 13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선재(W)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한다.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guide member 60 that guides the wire W 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do.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 사항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고 해도,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 완료 사항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poi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ated explanation of matters already explain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Therefore, even if it is not explicitly explained in the second embodim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atters already explained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dopted in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한다. 와이어 그리퍼(1B)는, 레버 부재(4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member 11, a second member 12, a swing member 20, and a guide member 60. The wire gripper 1B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member 40.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요동 부재(20), 및, 레버 부재(40)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제1 부재(11), 제2 부재(12), 요동 부재(20), 및, 레버 부재(40)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irst member 11, the second member 12, the swing member 20, and the lever member 40 have been explain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member 11, the second member 40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member 12, the swing member 20, and the lever member 40 are omitted.

가이드 부재(60)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선재(W)를 안내하는 부재이며, 폐쇄부(61)와, 가이드부(62)를 구비한다.The guide member 60 is a member that guides the wire W 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and includes a closure portion 61 and a guide portion 62. ) is provided.

폐쇄부(61)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부분이다. 폐쇄부(61)는,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The closing portion 61 is a portion that closes at least part of the side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The closing portion 61 prevents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SP.

가이드부(62)는, 당해 가이드부(62)를 압압하는 선재(W)를 선재 수용 공간(SP)을 향해 안내하는 부분이다.The guide portion 62 is a portion that guides the wire W pressing the guide portion 62 toward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와이어 그리퍼(1B)가, 폐쇄부(61)와 가이드부(62)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접촉면(11a)과 제2 접촉면(12a)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선재(W)가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선재(W)에 와이어 그리퍼(1B)를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When the wire gripper 1B is provided with the closing portion 61 and the guide portion 62, the wire rod W is placed in the wire receiving space SP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The work of inserting becomes easier, and the wire W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SP. As a result, the task of mounting the wire gripper 1B to the wire W becomes easy.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B)에 있어서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s that can be employed in the wire gripper 1B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가이드 부재(60)의 전체 형상)(Overall shape of guide member 60)

도 6,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는, 폐쇄부(61)를 갖는 제1 판부(PL1)와, 가이드부(62)를 갖는 제2 판부(PL2)를 갖는다. 또, 제1 판부(PL1)와 제2 판부(PL2)는, 굴곡부(BN)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판부(PL1)와 제2 판부(PL2)와 굴곡부(BN)는, 1개의 판재를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6 and 7 , the guide member 60 has a first plate portion PL1 having a closure portion 61 and a second plate portion PL2 having a guide portion 62 . Additionally, the first plate portion PL1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PL2 are connected via the bent portion BN. The first plate portion PL1, the second plate portion PL2, and the bent portion BN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plate material.

도 6,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와 폐쇄부(61)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부재(60)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단, 가이드부(62)와 폐쇄부(61)가 별체로, 가이드부(62)가 폐쇄부(61)에 장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6 and 7, the guide portion 62 and the closure portion 61 are constituted by one component formed integrally.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guide member 60 is reduced. However, the guide portion 62 and the closure portion 61 may be separated, and the guide portion 62 may be mounted on the closure portion 61.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0)에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외부로부터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슬릿(SL) 및/또는 관통 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60)가 슬릿(SL) 또는 관통 구멍(H)을 구비하는 경우,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60)가,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를 구비하고, 당해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가, 간극(G)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간극(G)을 개재하여,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guide member 60 is provided with a slit SL and/or a through hole H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 may be formed. When the guide member 60 is provided with a slit SL or a through hole H,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wire W is appropriately arranged inside the wire receiving space SP. . Generally, as shown in FIG. 9, the guide member 60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60-1 and a second guide member 60-2, and the first guide member 60-1 ) and the second guide member 60-2 may be arranged with a gap G between them. In this case,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 wire W is appropriately arranged inside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through the gap G.

(폐쇄부(61))(Closed portion (61))

도 10 및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부(62)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면, 폐쇄부(61)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은, 가이드부(62)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은, 가이드 부재(60)가 선재(W)에 의해 압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0 and 11 , when the guide portion 62 of the guide member 60 is pressed by the wire W, the closing portion 6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It is structured to do so. In addition, FIG. 10 shows a state before the guide portion 62 is pressed by the wire W, and FIG. 11 shows a state where the guide member 60 is pressed by the wire W.

상기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62)에 접촉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 내로 원활하게 안내된다(도 11의 화살표 A를 참조).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62 is smoothly guided into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see arrow A in FIG. 11).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에 있다. 폐쇄부(6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와 선재 수용 공간(SP)의 외부 사이의 개구(OP)의 폭(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부(61)의 하단과 제2 부재(12) 사이의 최소 거리)은, 선재(W)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선재(W)는, 당해 개구(OP)를 가로질러,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들어갈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 the closing portion 61 is i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W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When the closing portion 61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width of the opening OP between the inside of the wire receiving space SP and the outside of the wire receiving space SP (more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opening OP (more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closing portion 61)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member 1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W. Accordingly, the wire W can cross the opening OP and enter the wire receiving space SP.

한편,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에 있다. 폐쇄부(6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술한 개구(OP)의 폭은, 선재(W)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선재(W)가, 개구(OP)를 가로질러, 선재 수용 공간(SP)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the closing portion 61 is in the second position to prevent the wire W from escaping from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When the closed portion 61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width of the opening OP described abov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W. Accordingly, the wire W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from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across the opening OP toward the outside.

도 11 및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의 위치는,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도 11을 참조)와,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도 12를 참조)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선재(W)를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함과 더불어, 또한,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61 is a first position (see FIG. 11) that allows the wire W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and the wire W ) is position changeable between the second positions (see FIG. 12) that prevent the wire from deviat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SP). Therefore, not only is it easy to insert the wire W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but also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is prevented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SP. .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관점에서, 폐쇄부(61)는, 제1 위치(도 11을 참조)로부터 제2 위치(도 12를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from escaping from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the closing portion 61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see FIG. 11) to the secon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toward (see Fig. 12).

도 11,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는, 와이어 그리퍼(1B)가, 탄성 가압 부재(68)를 구비하고, 폐쇄부(61)가, 당해 탄성 가압 부재(68)에 의해, 제1 위치(도 11을 참조)로부터 제2 위치(도 12를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가압 부재(68)의 일단부가, 제1 부재(11)에 장착된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에 의해 지지되고, 탄성 가압 부재(68)의 타단부가,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와 제1 부재(11)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 부재(60)(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가 탄성 가압 부재(68)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폐쇄부(61)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In the example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wire gripper 1B is provided with an elastic urging member 68, and the closing portion 61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by the elastic urging member 68 (FIG. 11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from (see ) to the second position (see FIG. 12 ).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elastic pressing member 68 is supported by a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mounted on the first member 11,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ressing member 68 is a guide member ( It is arranged to contact the proximal end of 60). And, the guide member 60 (more specifically, the proximal end of the guide member 60) disposed between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and the first member 11 is pressed by the elastic pressing member 68. , the closing portion 61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또한, 폐쇄부(61)의 위치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원활하게 위치 변경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가이드 부재(60)는,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축부(69a)에 대해 수직인 자세와,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축부(69a)에 대해 경사진 자세(수직인 자세를 제외한다) 사이에서, 자세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함으로써, 폐쇄부(61)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도 11을 참조). 당해 경사에 의해, 개구(OP)의 폭이 확대된다. 또,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함으로써, 폐쇄부(61)는, 연직 방향에 평행이 될 수 있다(도 12를 참조). 폐쇄부(61)가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면, 개구(OP)의 폭이 축소된다.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enabling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61 to be smoothly chang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guid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shaft portion 69a of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ture can be changed between a posture perpendicular to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and a postu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69a of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excluding the vertical posture). Because the guide member 60 can change its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69a, the closure portion 61 can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as it faces downward (see Fig. 11). Due to the inclination, the width of the opening OP is expanded. In addition, since the guide member 60 can change its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69a, the closed portion 61 can be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see Fig. 12). When the closure portion 61 become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width of the opening OP is reduced.

또한, 가이드 부재(60)가 축부(69a)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가이드 부재(60)에 형성된 삽입 구멍(60h)(도 7 등을 참조)의 내경은, 당해 삽입 구멍(60h)에 삽입된 축부(69a)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는,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머리부(69b)와 제1 부재(11) 사이에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69)의 머리부(69b)와 제1 부재(11) 사이의 간격이,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의 두께보다 크므로, 가이드 부재(60)의 기단부는, 축부(69a)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the guide member 60 to change its posture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69a, the inner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60h (see FIG. 7, etc.) formed in the guide member 60 is the insertion hole 60h.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portion 69a inserted into.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guide member 60 is loosely sandwiched between the head 69b of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and the first member 11. Since the gap between the head portion 69b of the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 and the first member 11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60, the proximal end portion of the guide member 60 is the shaft portion 69a. ) can be inclined for.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68)의 수가 2개인데, 당해 탄성 가압 부재(68)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number of elastic pressing members 68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closing portion 61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two, and the number of elastic pressing members 68 is: There may be one or three or more.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60)와, 폐쇄부(61)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68)가 별체이다. 대체적으로, 가이드 부재(60) 자체가,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60)가, 판스프링인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60) 자체가, 폐쇄부(61)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guide member 60 and the elastic pressing member 68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closing portion 61 are separate entities. In general, the guide member 60 itself may elastically press the closing portion 61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guide member 60 is a leaf spring, the guide member 60 itself elastically presses the closing portion 61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폐쇄부(61) 중 선재 수용 공간(SP)에 면하는 면에는, 볼록부(610)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폐쇄부(61)에 볼록부(61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볼록부(610)에 접촉한 선재(W)는, 선재 수용 공간(SP)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선재(W)는, 가이드부(62)에 추가하여, 볼록부(610)에 의해서도 안내되게 되어,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의 중심을 향해 안내되기 쉬워진다.As shown in FIG. 13, a convex portion 61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61 facing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When the convex portion 610 is formed in the closed portion 61,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610 is gu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In this case, the wire W is guided by the convex portion 610 in addition to the guide portion 62, so that the wire W is easily guided toward the center of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가이드부(62))(Guide part (62))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는, 폐쇄부(61)에 이어지는 기단부(62a)와, 선단부(62b)를 갖는다. 가이드부(62)의 연장 방향, 바꾸어 말하면, 기단부(62a)로부터 선단부(62b)를 향하는 방향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guide portion 62 has a proximal end portion 62a connected to the closure portion 61 and a distal end portion 62b.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62, in other words, the direction from the base end portion 62a toward the distal end portion 62b, is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가이드부(62)는, 선재(W)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62s)을 구비한다. 또, 가이드면(62s)은, 제1 축(AX1)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쇄부(61)가 제1 위치(도 6을 참조)에 있을 때, 가이드면(62s)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선재 수용 공간(SP)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선재(W)가 가이드면(62s)에 접촉하면, 선재(W)는, 선재 수용 공간(SP)을 향해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면(62s)은, 평면형상의 경사면이어도 되고, 곡면형상의 경사면이어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 the guide portion 62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62s that guides the wire W by contacting the wire W. Additionally, the guide surface 62s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AX1. More specifically, when the closing portion 61 is in the first position (see FIG. 6), the guide surface 62s is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For this reason, when the wire W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62s, the wire W is guided toward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Additionally, the guide surface 62s may be a flat inclined surface or a curved inclined surface.

도 5에 기재된 예에서는, 와이어 그리퍼(1B)는, 가이드 부재(60)에 추가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된 제1 결합부(30)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와이어 그리퍼(1B)는, 제1 결합부(3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 the wire gripper 1B includes, in addition to the guide member 60,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n general, the wire gripper 1B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15는, 선재 지지구(90)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a wire cutting tool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4 is a schematic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FIG. 15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wire support 90.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와,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를 구비한다.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wire gripper 1, a second wire gripper 2, and a stretchable rod member 70.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와이어 그리퍼(1)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가 채용되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가 채용되어도 된다.As the wire gripper 1 of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employed, and the wire gripper 1B in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used. may be employed.

와이어 그리퍼(1)는,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는 기구이다.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wire gripper 1 is a mechanism that grips the first portion of the wire W.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wire gripper 1 has been complet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repeated description of the wire gripper 1 will be omitted.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제2 와이어 그리퍼(2)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A)가 채용되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와이어 그리퍼(1B)가 채용되어도 되고, 그 외의 와이어 그리퍼가 채용되어도 된다.As the second wire gripper 2 of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ire gripper 1A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employed, and the wire gripper in the second embodiment ( 1B) may be adopted, or other wire grippers may be adopted.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상술한 선재(W) 중 제 1 부분과는 상이한 제2 부분을 파지하는 기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를 구비한다. 제2 와이어 그리퍼(2)는, 제2 결합부(80), 및/또는, 가이드 부재(6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second wire gripper 2 is a mechanism that grips a second part of the wire W described abov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ar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 the second wire gripper 2 includes a first member 11, a second member 12, a swing member 20, and a lever member 40. The second wire gripper 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ngaging portion 80 and/or a guide member 60.

제1 부재(11)와, 제2 부재(12)와, 요동 부재(20)와, 레버 부재(40), 가이드 부재(60)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 완료했기 때문에, 이들 구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ember 11, the second member 12, the swing member 20, the lever member 40, and the guide member 60 have been explained in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s of these configurations are omitted.

제2 결합부(80)는,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바꾸어 말하면, 제2 와이어 그리퍼(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원격 조작 공구)의 선단부에 결합 가능한 부분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결합부(80)는, 관통 구멍부(80h)이다. 제2 결합부(80)는, 제1 결합부(30)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2 결합부(80)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결합부(30)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결합 부재(3)」, 「제1 결합부(30)」, 「관통 구멍부(30h)」, 「제2 관통 구멍부(31h)」를, 각각, 「제2 결합 부재(8)」, 「제2 결합부(80)」, 「관통 구멍부(80h)」, 「제2 관통 구멍부(81h)」로 대체하면, 제2 결합부(80)에 대한 설명이 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80 is a portion that can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a wire gripper lifting tool (in other words, a remote operation tool for lifting the second wire gripper 2 upwar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0 is a through hole portion 80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Accordingly, repeated descrip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0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n the first embodiment, “first engaging member 3”, “first engaging portion 30”, and “through hole portion 30h” , “Second through hole portion 31h”, respectively, “Second engaging member 8”, “Second engaging portion 80”, “Through hole portion 80h”, and “Second through hole portion. If replaced with “(81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80 is explained.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 연결되어 있다. 또,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제2 와이어 그리퍼(2)(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레버 부재(40)의 제2 단부(40b))에 연결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stretchable rod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wire gripper 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nd 40b of the lever member 40 of the wire gripper 1). . Additionally, the stretchable rod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gripper 2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nd 40b of the lever member 40 of the second wire gripper 2).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가, 와이어 그리퍼(1)에 연결되고, 봉 부재(70)의 제2 단부(70b)가, 제2 와이어 그리퍼(2)에 연결되어 있다.The stretchable rod member 70 is a member for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first end 70a of the rod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end 70b of the rod member 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gripper 2. ) is connected to.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고, 또한,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의 제2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봉 부재(70)를 봉 부재의 길이 방향축(L1)을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시키면,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다. 그 결과, 선재(W) 중,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이완된다.In a state where the wire gripper 1 grips the first part of the wire W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grips the second part of the wire W, the rod member 70 is held as a rod member. When contracted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1,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is reduced.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wire W located betwee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is relaxed.

봉 부재(70)는, 외측 부재(71)와, 내측 부재(72)와, 조작부(73)를 포함한다. 조작부(73)는, 내측 부재(72)의 외측 부재(71)에 대한 상대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부분이다. 조작부(73)는, 봉 부재(70)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4 축(AX4)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조작부(73)는, 원격 조작 부재의 원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730)를 구비한다.The rod member 70 includes an outer member 71, an inner member 72, and an operating portion 73. The operation unit 73 is a part for manipulat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inner member 72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71. The operating unit 73 is connected to the rod member 70 and is rotatable around the fourth axis AX4. The manipulation unit 73 has a coupling portion 730 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remote manipulation member is coupled.

원격 조작 부재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A) 조작부(73)에는, 조작부와 함께 제4 축(AX4) 둘레를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가 설치되고, (B) 외측 부재(71)에는, 제1 베벨기어와 하중 전달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베벨기어가 배치되고, (C) 제2 베벨기어는, 외측 나사가 외주에 배치된 나사봉과 함께,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고, (D) 내측 부재(72)가, 당해 나사봉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원격 조작 부재에 의해, 조작부(73)를 제4 축(AX4) 둘레로 회전시키면, 제1 베벨기어가 제4 축(AX4) 둘레를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가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제2 베벨기어가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한다. 나사봉이 길이 방향축(L1) 둘레를 회전하면, 나사봉에 나사 결합하는 내측 부재(72)가, 외측 부재(71)로 끌려들어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봉 부재(70)가 수축한다.An example of a mechanism for contracting the stretchable rod member 70 using a remote operation memb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 a first bevel gear that rotates around the fourth axis AX4 together with the operat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operating portion 73, and (B) a first bevel gear and a load transmission are installed in the outer member 71. A second bevel gear that can be connected is disposed, (C) the second bevel gear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L1 of the rod member 70, together with a threaded rod with an outer screw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 D) It is assumed that the inner member 72 is screwed to the threaded rod.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 unit 73 is rotated around the fourth axis AX4 by the remote control member, the first bevel gear rotates around the fourth axis AX4, and the second bevel gear rotates around the rod member 70. )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L1). When the second bevel gear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L1), the threaded rod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L1). When the threaded rod rotate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L1, the inner member 72 screwed to the threaded rod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drawn into the outer member 71. In this way, the rod member 70 contracts.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상술한 메커니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echanism for contracting the rod member 70 is not limited to the mechanism described above.

봉 부재(70)를 수축시킴으로써,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에 위치하는 선재(W)(선재(W)의 일부분)가 이완된 후, 선재의 절단 작업, 및, 선재를 가르는 작업이 실행된다. 첫째로, 선재(W)의 이완 부분이 임의의 절단 공구에 의해 절단된다. 그 결과, 선재(W)에,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가 형성된다. 다음에,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가 갈린다(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가른다). 이상의 공정(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의 제1 부분을 파지하고,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의 제2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봉 부재(70)를 수축시키는 공정, 봉 부재(70)의 수축에 의해 형성된 선재(W)의 이완 부분을 절단 공구에 의해 절단하는 공정, 및, 절단에 의해 형성된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공정)에 의해, 선재의 절분 작업이 완료된다.By contracting the rod member 70, the wire W (part of the wire W) located betwee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is relaxed, and then the wire rod is cut, and The work of dividing the pre-existence is carried out. First, the loose portion of the wire W is cut by an arbitrary cutting tool. As a result, a first cut end and a second cut end are formed in the wire W. Next, the first cut end and the second cut end are cut (for example, cut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he above process (more specifically, the rod member ( A process of shrinking 70), a process of cutting the relaxed portion of the wire W formed by contraction of the rod member 70 with a cutting tool, and dividing the first cut end and the second cut end formed by cutting. process), the cutting work of the wire rod is completed.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관점에서, 선재 절분 공구(100)는, 적어도 1개의 선재 지지구(9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ly performing the work of dividing the first cutting end and the second cutting end, the wire cutting tool 1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wire support tool 90.

선재 지지구(90)는, 와이어 그리퍼(1)와 제2 와이어 그리퍼(2)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선재(W)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 있어서, 선재 절분 공구(100)는, 제1 선재 지지구(90a)와 제2 선재 지지구(90b)를 포함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 및 제2 선재 지지구(90b)는, 봉 부재(70)에 장착되어 있다.The wire support member 90 is a member that supports the wire W in the area betwee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 the wire cutting tool 100 includes a first wire support tool 90a and a second wire support tool 90b.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 the first wire support tool 90a and the second wire support tool 90b are mounted on the rod member 70.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는, 선재(W)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CP)을 갖는다.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선재 지지구(90a)가 갖는 수용 공간(CP)의 수는 2개인데, 제1 선재 지지구(90a)가 갖는 수용 공간(CP)의 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선재 지지구(90a)는, 틀 부재(91)와, 틀 부재(9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92)를 갖는다. 개폐 부재(92)는, 조작부(93)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작부(93)를 조작함으로써, 개폐 부재(92)를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개폐 부재(92)가 열림 상태일 때, 작업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W)를, 제1 선재 지지구(90a)의 수용 공간(CP)에 삽입할 수 있다. 또, 개폐 부재(92)가 열림 상태일 때, 작업자는,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W)를, 제1 선재 지지구(90a)의 수용 공간(CP)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 , the first wire support member 90a has an accommodation space CP for accommodating the wire W.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 the number of accommodation spaces CP of the first wire support 90a is two, but the number of accommodation spaces CP of the first wire support 90a is one or There may be three or more. The first wire support member 90a has a frame member 91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frame member 9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93, and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93,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can be switch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is in the open state, the operator can insert the wire W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CP of the first wire support tool 90a using a remote operation tool. Additionall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is in the open state, the operator can take out the wire W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CP of the first wire support tool 90a using a remote operation tool.

선재의 제1 절단 단부와 제2 절단 단부를 가르는 것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수용 공간(CP) 내에 제1 절단 단부에 이어지는 선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선재 지지구(90a)를, 봉 부재(70)의 길이 방향축(L1) 둘레로 회전시키면 된다. 대체적으로, 제1 수용 공간(CP1) 내에 배치된 선재를,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제2 수용 공간(CP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르는 작업이 실행되어도 된다.In dividing the first cut end and the second cut end of the wire, for example, with the wire connected to the first cut end arranged in the receiving space CP, the first wire support member 90a is used as a rod. Simply rotate the member 70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L1). In general, the cutt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wire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CP1 to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CP2 using a remote operation tool.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선재 지지구(90b)는, 틀 부재(94)와, 틀 부재(94)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95)를 갖는다. 틀 부재(94)는, 상술한 틀 부재(91)와 동일한 구성이며, 개폐 부재(95)는, 상술한 개폐 부재(92)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틀 부재(94)와, 개폐 부재(95)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 the second wire support member 90b has a frame member 94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95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frame member 94. The frame member 94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rame member 91 described abov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2 described above. Accordingly,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frame member 94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95 are omitted.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는,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봉 부재(70)의 제2 단부(70b)는,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레버 부재(40)와 요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부(30)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키고, 제2 결합부(80)를,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및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 절분 공구(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first end 70a of the rod member 70 is non-rockingly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40 of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end 70b of the rod member 70 ) is non-rockingly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40 of the second wire gripper 2. In this cas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coupled to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0 coupled to the second wire gripper lifting tool,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0 are coupled to the second wire gripper lifting tool. 2 The wire cutting tool 100 can be lifted using a wire gripper lifting tool.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결합부(30)가, 와이어 그리퍼(1)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결합부(80)가, 제2 와이어 그리퍼(2)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 및 제2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간섭하는 일 없이, 와이어 그리퍼(1) 및 제2 와이어 그리퍼(2)를 용이하게 선재(W)에 장착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4,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of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80 is ,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of the second wire gripper 2. For this reason,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ire W without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and the second wire gripper lifting tool interfering with the wire W. You can.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와이어 그리퍼(1)에 가이드 부재(60)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60)의 가이드부(62)에 접촉한 선재(W)는, 가이드부(62)에 의해, 선재 수용 공간(SP)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선재(W)를 선재 수용 공간(SP)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 가이드 부재(60)의 폐쇄부(61)가, 선재 수용 공간(SP) 내에 삽입된 선재(W)가, 선재 수용 공간(SP)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1)를 선재(W)에 장착하는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guide member 60 may be mounted on the wire gripper 1 of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The wire W in contact with the guide portion 62 of the guide member 60 is guided to the wire accommodation space SP by the guide portion 62. In this case, it is easy to insert the wire W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Additionally, the closing portion 61 of the guide member 60 prevents the wire W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SP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SP. Therefore, the task of attaching the wire gripper 1 to the wire W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대체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재 절분 공구(100)의 제2 와이어 그리퍼(2)에 가이드 부재(60)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a guide member 6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wire gripper 2 of the wire cutting tool 100 in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1) 및 제2 와이어 그리퍼(2) 중 한쪽이, 봉 부재(70)에 대해, 요동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ne of the wire gripper 1 and the second wire gripper 2 may be connected to the rod member 70 so as to be able to swing around the swing axis.

예를 들면, 와이어 그리퍼(1)의 레버 부재(40)가 봉 부재(70)의 제1 단부(70a)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1 결합부(30)를,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를 이용하여, 선재 절분 공구(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제1 결합부(30)는, 와이어 그리퍼(1)의 제1 접촉면(11a) 및 제2 접촉면(12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 들어올림 공구가 선재(W)와 간섭하는 일 없이, 와이어 그리퍼(1)를 용이하게 선재(W)에 장착할 수 있다. 와이어 그리퍼(1)가 선재(W)에 장착된 후,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원격 조작 공구를 이용하여 들어올려진다. 당해 들어올림 동작에 의해, 봉 부재(70)는, 와이어 그리퍼(1)에 대해 요동축 둘레로 회동하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후, 제2 와이어 그리퍼(2)가 선재(W)에 장착된다.For example, assume the case where the lever member 40 of the wire gripper 1 is swingab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70a of the rod member 70. In this case, the wire cutting tool 100 can be lifted using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30 is coupled to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rface 11a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12a of the wire gripper 1. For this reason, the wire gripper 1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ire W without the wire gripper lifting tool interfering with the wire W. After the wire gripper 1 is mounted on the wire W, the second wire gripper 2 is lifted using a remote operation tool. By the lifting operation, the rod member 70 is lifted upward while rotating around the swing axis with respect to the wire gripper 1. After that, the second wire gripper 2 is mounted on the wire W.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는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each embodiment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or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combine arbitrary components used in each embodiment with other embodiments, and it is also possible to omit arbitrary components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이용하면, 선재에 와이어 그리퍼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선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업자, 및, 와이어 그리퍼 또는 선재 절분 공구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게 있어서 유용하다.By using the wire gripper or wire cut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wire gripper to the wire. Therefore, it is useful for operators who attach a wire gripper or a wire cutting tool to a wire rod, and for manufacturers who manufacture a wire gripper or a wire cutting tool.

1, 1A, 1B: 와이어 그리퍼 2: 제2 와이어 그리퍼
3: 제1 결합 부재 8: 제2 결합 부재
11: 제1 부재 11a: 제1 접촉면
11f: 전방측 부분 12: 제2 부재
12a: 제2 접촉면 20: 요동 부재
30: 제1 결합부 30h: 관통 구멍부
31h: 제2 관통 구멍부 32: 돌출부
32a: 제1 돌출부 32b: 제2 돌출부
40: 레버 부재 40b: 제2 단부
40d: 오목부 40h: 관통 구멍
40s: 하면 42: 결합부
43: 중간 부분 50: 로크 부재
50a: 조작부 50b: 나사봉
51: 제1 부분 60: 가이드 부재
60-1: 제1 가이드 부재 60-2: 제2 가이드 부재
60h: 삽입 구멍 61: 폐쇄부
62: 가이드부 62a: 기단부
62b: 선단부 62s: 가이드면
68: 탄성 가압 부재 69: 가이드 부재 지지 부재
69a: 축부 69b: 머리부
70: 봉 부재 70a: 제1 단부
70b: 제2 단부 71: 외측 부재
72: 내측 부재 73: 조작부
80: 제2 결합부 80h: 관통 구멍부
81h: 제2 관통 구멍부 90: 선재 지지구
90a: 제1 선재 지지구 90b: 제2 선재 지지구
91: 틀 부재 92: 개폐 부재
93: 조작부 94: 틀 부재
95: 개폐 부재 100: 선재 절분 공구
111: 상측 부분 112: 하측 부분
112b: 하단부 113: 중간 부분
610: 볼록부 730: 결합부
AX1: 제1 축 AX2: 제2 축
AX3: 제3 축 AX4: 제4 축
BN: 굴곡부 CP, CP1, CP2: 수용 공간
G: 간극 GA: 가이드부
Gh: 관통 구멍 Gw: 가이드 벽
H: 관통 구멍 L1: 길이 방향축
OP: 개구 P1: 제1 핀 부재
P2: 제2 핀 부재 P3: 제3 핀 부재
PL1: 제1 판부 PL2: 제2 판부
SL: 슬릿 SP: 선재 수용 공간
W: 선재
1, 1A, 1B: wire gripper 2: second wire gripper
3: first coupling member 8: second coupling member
11: first member 11a: first contact surface
11f: anterior portion 12: second member
12a: second contact surface 20: rocking member
30: first coupling portion 30h: through hole portion
31h: second through hole 32: protrusion
32a: first protrusion 32b: second protrusion
40: lever member 40b: second end
40d: recess 40h: through hole
40s: lower surface 42: coupling part
43: middle portion 50: lock member
50a: Control panel 50b: Threaded rod
51: first part 60: guide member
60-1: first guide member 60-2: second guide member
60h: Insertion hole 61: Closed portion
62: guide portion 62a: base portion
62b: tip 62s: guide surface
68: elastic pressing member 69: guide member support member
69a: axial portion 69b: head portion
70: rod member 70a: first end
70b: second end 71: outer member
72: inner member 73: operating unit
80: second coupling portion 80h: through hole portion
81h: Second through hole portion 90: Wire support member
90a: first wire support district 90b: second wire support district
91: frame member 92: opening and closing member
93: Control panel 94: Frame member
95: Opening and closing member 100: Wire cutting tool
111: upper part 112: lower part
112b: lower part 113: middle part
610: convex portion 730: coupling portion
AX1: 1st axis AX2: 2nd axis
AX3: 3rd axis AX4: 4th axis
BN: bend CP, CP1, CP2: receiving space
G: Gap GA: Guide part
Gh: Through hole Gw: Guide wall
H: Through hole L1: Longitudinal axis
OP: opening P1: first pin member
P2: Second pin member P3: Third pin member
PL1: First Chamber PL2: Second Chamber
SL: Slit SP: Wire receiving space
W: Seonjae

Claims (15)

선재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갖는 제1 부재와,
상기 선재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을 갖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해, 제1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제2 부재에 대해, 제2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요동 부재와,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사이의 선재 수용 공간에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선재를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을 향해 안내하는 가이드부
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A first member having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a second member having a second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wire,
a rock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about a first axis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about a second axi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wire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Equipped with
The guide member is,
a closing portion that closes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portion of the wire receiving space;
A guide unit that guides the wire toward the wire receiving space
Having,
wire grip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폐쇄부를 갖는 제1 판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갖는 제2 판부
를 갖고,
상기 제1 판부와 상기 제2 판부는, 굴곡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1,
The guide member is,
A first plate portion having the closure portion,
Second plate portion having the guide portion
With
A wire gripper wherein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re connected via a bent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선재에 의해 압압(押壓)되면, 상기 폐쇄부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1,
When the guide portion is pressed by the wire, the closing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선재에 의해 압압되면, 상기 폐쇄부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2,
When the guide portion is pressed by the wire, the closing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위치는,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1,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is change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position that prevents the wire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The wire gripper, wherein the closing portion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위치는,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2,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is change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position that prevents the wire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The wire gripper, wherein the closing portion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위치는,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3,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is change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position that prevents the wire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The wire gripper, wherein the closing portion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의 위치는,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선재가 상기 선재 수용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4,
The position of the closing portion is change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that allows the wire to be inserted into the wire receiving space and a second position that prevents the wire from escaping from the wire receiving space,
The wire gripper, wherein the closing portion is elastically pr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 중 상기 선재 수용 공간에 면하는 면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wire gripper wherein a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losed portion facing the wire receiving spac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인, 와이어 그리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guide portion has a guide surface that guides the wire by contacting the wire,
The guide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선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선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인,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9,
The guide portion has a guide surface that guides the wire by contacting the wire,
The guide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내부를 시인(視認) 가능하게 하는 슬릿 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2 가이드 부재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slit or through hol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or
The wire gripper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with a gap relative to the first guide memb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슬릿 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2 가이드 부재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9,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slit or through hol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or
A wire gripper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with a gap relative to the first guide memb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외부로부터 상기 선재 수용 공간의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슬릿 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가이드 부재는, 제1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제2 가이드 부재를 갖는, 와이어 그리퍼.
In claim 10,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slit or a through hole that allows the in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to be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wire accommodating space, or
A wire gripper wherein the guide member includ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disposed with a gap relative to the first guide memb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 그리퍼와,
상기 와이어 그리퍼에 연결된 신축 가능한 봉 부재와,
상기 봉 부재에 연결된 제2 와이어 그리퍼
를 구비하는,
선재 절분(切分) 공구.
The wire gripp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stretchable rod member connected to the wire gripper;
A second wire gripper connected to the rod member
Equipped with,
Wire cutting tool.
KR1020217024185A 2019-01-12 2019-12-03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KR1026570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03918 2019-01-12
JP2019003918 2019-01-12
PCT/JP2019/047129 WO2020144976A1 (en) 2019-01-12 2019-12-03 Grabber and wire cutt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258A KR20210113258A (en) 2021-09-15
KR102657003B1 true KR102657003B1 (en) 2024-04-15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256A (en)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Live-line cutter
KR200459458Y1 (en) 2009-06-30 2012-03-27 한국전력공사 Jumper cable attaching clam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8256A (en) 2008-10-02 2010-04-1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Live-line cutter
KR200459458Y1 (en) 2009-06-30 2012-03-27 한국전력공사 Jumper cable attaching clam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885B2 (en) Compliant underactuated grasper
US9327412B2 (en) Compliant underactuated grasper
JP5013550B2 (en) Industrial robot cable adjuster
EP2917002B1 (en) Compliant underactuated grasper
US20150076850A1 (en) Compliant underactuated grasper
CN102951249A (en) Chain guide assembly with deflectable contact member
CN104274122A (en) Vacuum cleaner suction tube
KR102657003B1 (en)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US11280126B2 (en) Door closer arrangement
JP7100393B2 (en)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JP7100394B2 (en)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JP6951210B2 (en) Door edge protector device
WO2020121681A1 (en) Wire gripper and method for using wire gripper
JP5880772B1 (en) Retaining ring mounting tool, shaft manufacturing method
JP7117032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attaching swing member to first member of wire gripper and work tool
WO2021111597A1 (en) Wire gripper and wire cutting tool
RU2799497C2 (en) Wire clamp and tool for cutting and splitting the wire
JP4870229B2 (en) Binding tool
JP2017170012A (en) Cutting tool
JP4822950B2 (en) Control cable terminal support device
JP6136756B2 (en) Game machine
KR20210105924A (en) tool
JP2016193483A (en) Ring moun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