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001B1 -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001B1
KR102657001B1 KR1020210046297A KR20210046297A KR102657001B1 KR 102657001 B1 KR102657001 B1 KR 102657001B1 KR 1020210046297 A KR1020210046297 A KR 1020210046297A KR 20210046297 A KR20210046297 A KR 20210046297A KR 102657001 B1 KR102657001 B1 KR 10265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erating body
guide member
virtual reality
typ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152A (ko
Inventor
손영범
윤요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큐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큐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큐빗
Priority to KR102021004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8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motion or position input signals, e.g. signals representing the rotation of an input controller or a player's arm motions sensed by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콘텐츠를 보다 사실적으로 즐기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의 일부가 안착되는 상부면과,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조작본체 및 상기 조작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본체의 무게 중심의 변화 및 회전을 측정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BOARD TYPE CONTROLLER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 PROGRAM}
본 발명은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드형 컨트롤러의 변화되는 무게 중심 및 회전량을 기초로 VR 콘텐츠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가상현실이라는 용어는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등의 용어로 혼용되기도 한다.
가상현실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도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응용분야는 교육, 원격조작, 게임, 헬스케어,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이다.
종래에는 가상 체험을 위해 헤드셋 장치(예를 들어, HMD (Head Mount Display))에만 의존하여 VR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사실적인 체험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3867호는 운동기구와 연동하여 보다 사실적인 VR 환경을 제공하지만,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또한 부피가 큰 운동기에 연동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3867호(등록일 2018.11.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드형 컨트롤러에 탑승한 상태에서 변화되는 무게 중심 및 회전량을 기초로 VR 콘텐츠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현실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는 신체의 일부가 안착되는 상부면과,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조작본체 및 상기 조작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본체의 무게 중심의 변화 및 회전을 측정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측정값을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에 접촉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발바닥 형상의 족부용 가이드 부재, 완만한 반구 형상의 복부용 가이드 부재,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둔부용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의 측정값을 기초로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퓨팅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팅모듈은 상기 상부면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은 일측에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일측에서부터 타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모듈은, 상기 상부면에 안착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모듈은 상기 하중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드형 컨트롤러에 탑승한 상태에서 변화되는 무게 중심 및 회전량로 기초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VR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적인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정면.
도 5는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후면도.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보드형 컨트롤러에 내장된 조작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드형 컨트롤러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본체(100)의 무게 중심 및 회전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컨트롤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상 현실 응용 프로그램은 VR 게임, VR 헬스케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VR 게임으로는 서핑, 스노우 보드, 봅슬레이, 썰매, 스켈레톤과 같은 스포츠 종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VR 헬스케어는 몸의 중심을 잡음으로써 근육의 밸런스를 잡기 위한 근력 강화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본체(100)에 탑승하여 가상의 세계에서 상기에서 나열한 종목들의 사실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에서처럼, 조작본체(100)에 기립한 상태로 탑승하여 서핑, 스노우 보드 및 밸런스 운동을 즐길 수 있으며, 도 2에서처럼 조작본체(100)에 엎드린 상태로 탑승하여 스켈레톤의 운동을 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본체(100)는 헤드셋 장치(예를 들어, HMD (Head Mount Display))와 연동되고, 사용자는 헤드셋 장치를 착용하여 보다 사실적인 가상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보드형 컨트롤러를 예시한 후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드형 컨트롤러는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으로 이루어진 조작본체(100) 및 조작모듈(도 7의 130)를 포함한다.
조작본체(100)는 보드형 컨트롤러의 외형을 형성한다.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가 안착되는 면이고, 하부면(120)은 지면과 접촉하는 면이다. 사용자가 상부면(110)에 안착되면, 하부면(12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다.
상부면(110)은 사용자의 용이한 안착을 위해 하부면(120)을 향해 완만한 경사를 갖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면(110)에는 사용자의 안착 방식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 부재(미도시)들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족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 복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 둔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는 상기에서 나열한 가이드 부재들 중 어느 하나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장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부재가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장착되는 방식인 경우에는 미리 장착된 가이드 부재를 탈거한 뒤 다른 가이드 부재로 교체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가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장착되는 방식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사부재(미도시)를 통해 가이드 부재가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벨크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족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발바닥 형상으로 형성된다. 족부용 가이드 부재는 서핑, 스노우 보드 등의 VR 게임 또는 밸런스를 잡기 위한 VR 헬스케어와 같이 서있는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때 사용된다.
복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는 사용자의 복부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오목한 형태 즉, 완만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부용 가이드 부재는 스켈레톤과 같이 엎드린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때 사용된다.
둔부용 가이드 부재(미도시)는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둔부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둔부용 가이드 부재는 봅슬레이 및 썰매와 같이 앉은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때 사용된다.
도 3에서처럼,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은 일측에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111)이 형성된다. 예컨대, 오목한 형태의 홈(111)은 조작본체(100)의 전면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오목한 형태의 홈(111)은 사용자가 조작본체(100)를 이동시킬 때 파지를 돕거나, 또한, 조작본체(100) 전방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조작본체(100)는 서핑, 스노우 보드, 봅슬레이, 썰매, 스켈레톤과 같은 게임(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데 실제의 서핑, 스노우 보드, 봅슬레이, 썰매, 스켈레톤은 전방을 회전 시키면서 방향을 회전한다. 그러나 실제와 다르게 조작본체(100)는 제자리에서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전방의 무게가 무거우면 회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오목한 형태의 홈(111)은 조작본체(100) 전방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도울 수 있다.
도 5에서처럼,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은 홈(111)이 형성된 일측(112)에서부터 타측(113)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본체(100)를 이용하여 즐기는 AR 게임들 중 스노우 보드, 봅슬레이, 썰매, 스켈레톤은 높은 곳에서 경사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행하는데 조작본체(100)는 상부면(110)의 경사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실제 경사진 곳의 위치한 느낌을 주어 게임을 보다 현실적인 게임 환경을 제공한다.
조작본체(100)의 하부면(120)은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하부면(120)의 일부는 지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작본체(100)의 하부면(120)은 사용자가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에 따라 무게 중심이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본체(100)의 하부면(120)은 조작본체(100)의 길이 방향 즉,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도록 길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본체(100)는 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본체(100)의 하부면(120)은 미리 설정된 지점에 무게 중심이 형성되도록 원뿔 형상 또는 반구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조작본체(100)의 하부면(120)은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상기에서 설명한 형태보다 많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의 곡률은 수평과 유사한 정도로 평평하고, 외측에서만 곡률이 경사지도록(라운드 형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보드형 컨트롤러에 내장된 조작모듈(1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보드형 컨트롤러는 조작모듈(130)을 포함한다.
조작모듈(130)은 조작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조작본체(100)의 무게 중심 변화 및 회전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조작모듈(130)은 센서모듈(131), 컴퓨팅모듈(132) 및 통신모듈(133)을 포함한다.
센서모듈(131)은 3축의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로 구성되며 조작본체(100)의 운동 방향 변화에 대한 3축 방향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각각 감지한다. 예컨대, 조작본체(100)가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 롤(Roll), 피치(Pitch)이며, 롤과 피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서가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이다.
컴퓨팅모듈(132)은 센서모듈(131)의 측정값을 기초로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퓨팅모듈(132)은 센서모듈(131)의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값 및 각속도값으로부터 중력 성분이 제거된 선형 가속도값(Linear acceleration)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가상 현실 응용 프로그램이 스노우 보드를 통해 서핑하는 VR 게임일 때, 센서모듈(131)은 사용자에 의해 변화된 조작본체(100)의 무게 중심 및 회전을 측정하고, 컴퓨팅모듈(132)은 변화된 조작본체(100)의 무게 중심 및 회전에 대응하여 가상 세계에서의 스노우 보드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컴퓨팅모듈(132)은 조작본체(100)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면 기울기 값에 따라 스노우 보드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조작본체(10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스노우 보드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는 조작본체(100)와 운동 방향과 동일하게 조작되는 가상 세계의 서핑보드를 통해 실제 서핑을 즐기는 듯한 사실적인 체험을 할 수 있다.
컴퓨팅모듈(132)은 앞서 설명한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족부용 가이드 부재가 장착되면 서핑 또는 스노우 보드 모드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복부용 가이드 부재가 장착되면 스켈레톤 모드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통신모듈(133)은 컴퓨팅모듈(132)에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예컨대,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이 게임인 경우, 통신모듈(133)은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박스 또는 VR 헤드셋 장치(예를 들어, HMD (Head Mount Display))에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SN(Wireless Sensor Network), WLAN (Wireless LAN or Wifi) 및 UWB(Ultra Wideban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과 같은 장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계열의 BLE 비콘(beacon) 프로토콜 지원으로 브로드캐스팅 방식의 정보 전송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2G, 3G, 4G, 5G와 같은 이동 통신 프로토콜이나,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컴퓨팅모듈(132)은 조작본체(100)에 내장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컴퓨팅모듈(132)은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이 게임인 경우, 컴퓨팅모듈(132)은 게임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콘솔박스 또는 VR 헤드셋 장치(예를 들어, HMD (Head Mount Display))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또한 서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모듈(130)은 무게측정모듈(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측정모듈(143)은 조작본체(100)의 상부면(110)에 안착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하중을 감지한다.
컴퓨팅모듈(132)은 무게측정모듈(143)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하중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보정한다.
예컨대,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이 스노우보드 게임인 경우, 조작본체(100)의 기울기에 따라 가상 세계의 스노우보드의 가속도가 달리질 수 있다. 즉, 조작본체(100)의 기울기가 높을수록 가상 세계의 스노우보드 코스의 경사도가 높아 스노우보드의 가속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스노우보드의 가속도는 경사도 외에 사용자의 무게 영향도 받는다. 예컨대, 동일한 경사도에서 사용자의 무게가 많으면 무게가 적은 경우보다 더욱 높은 가속도가 적용된다.
컴퓨팅모듈(132)은 이와 같이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보정된 가속도가 적용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보다 사실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조작본체
110: 상부면
111: 홈
120: 하부면
130: 조작모듈
131: 센서모듈
132: 컴퓨팅모듈
133: 통신모듈
132: 무게측정모듈

Claims (5)

  1. 신체의 일부가 안착되는 상부면과, 적어도 일부가 볼록한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는 조작본체;
    상기 조작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 본체의 무게 중심의 변화 및 회전을 측정하는 센서모듈과, 상기 상부면에 안착된 사용자로부터 발생된 하중을 감지하는 무게측정모듈과, 상기 센서모듈 및 무게측정모듈의 측정값을 기초로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컴퓨팅모듈과, 상기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작모듈; 및
    접촉하는 신체의 부위에 따라 상기 상부면에 교체 가능하도록 탈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발바닥 형상의 족부용 가이드 부재, 완만한 반구 형상의 복부용 가이드 부재, 두 개의 오목부가 형성된 둔부용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컴퓨팅모듈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드의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되,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측정된 조작본체의 기울기에 따라 가속도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가속도를 보정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은 일측에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일측에서부터 타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5. 삭제
KR1020210046297A 2021-04-09 2021-04-09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KR10265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97A KR102657001B1 (ko) 2021-04-09 2021-04-09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97A KR102657001B1 (ko) 2021-04-09 2021-04-09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52A KR20220140152A (ko) 2022-10-18
KR102657001B1 true KR102657001B1 (ko) 2024-04-26

Family

ID=8380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97A KR102657001B1 (ko) 2021-04-09 2021-04-09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0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303A (ja) * 2014-09-16 2017-11-24 3 ディー ラダー 足操作コントローラ、それを含む装置及び家具並びにその操作方法
WO2019165501A1 (en) * 2018-02-28 2019-09-06 Visospace Holdings Pty Ltd Virtual locomo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624A (ko) * 2015-01-06 2016-07-14 송인설 가상현실 응용프로그램용 가상체험 컨트롤러 장치
KR101923867B1 (ko) 2018-09-19 2018-11-29 김종범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4303A (ja) * 2014-09-16 2017-11-24 3 ディー ラダー 足操作コントローラ、それを含む装置及び家具並びにその操作方法
WO2019165501A1 (en) * 2018-02-28 2019-09-06 Visospace Holdings Pty Ltd Virtual locomo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152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68B1 (ko) 조밀한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US9239616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mo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6543769B1 (en) Snowboard apparatus
EP3714954B1 (en) Motion control seat input device
US20090227426A1 (en) Activity board
US20130130798A1 (en) Video game controller
US11065507B2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US7635325B2 (en) Interactive training device
US20040259688A1 (en) Virtual reality complete interactive system
JP2001516482A (ja) 仮想環境内の化身の多次元運動を制御する殻構造演台
JP2006167094A (ja) 複合運動機器
US11083967B1 (en) Virtual reality haptic system and apparatus
US11614796B1 (en) Virtual reality haptic system and apparatus
KR20160021020A (ko) 밸런스보드와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1948660B1 (ko)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보드 장치
US20200097069A1 (en) Virtual Reality Input Device
KR102657001B1 (ko) 가상현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보드형 컨트롤러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70159A1 (en) Virtual reality training device
WO2009112817A2 (en) Interactive exercising system
WO2019165501A1 (en) Virtual locomotion device
US10345896B2 (en) Alignment sensor system and alignment sensor system method for a movement instrument
KR101662635B1 (ko) 센서가 장착된 스케이트보드 및 이를 이용한 구름보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64291B1 (ko)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US20120149469A1 (en) Game control and exercis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