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56B1 -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56B1
KR102656956B1 KR1020240012099A KR20240012099A KR102656956B1 KR 102656956 B1 KR102656956 B1 KR 102656956B1 KR 1020240012099 A KR1020240012099 A KR 1020240012099A KR 20240012099 A KR20240012099 A KR 20240012099A KR 102656956 B1 KR102656956 B1 KR 10265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witch
switches
idf
bas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민
박지윤
Original Assignee
국제텔레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텔레시스(주) filed Critical 국제텔레시스(주)
Priority to KR102024001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76Aspects of the degree of configuration auto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기본정보등록부가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관리서버의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별 통신수구를 분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구축부가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불가능하면 망구축부가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을 등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하는 단계 및 망구축부가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nifying integrated distribution network system line number and building an automatic network}
본 발명은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합배선반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케이블 종류, 설치 장비 정보를 수집하여 본정보로 저장하고, 저장한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배선반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일원화된 선번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합배선반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해서는 시스템 및 장비(전용 컨트롤러, 네트워크 스위치, F.D.F, 패치판넬 등) 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전용 컨트롤러의 포트 상태, 네트워크 정보, 장비 별 Uplink 구조, 통신수구 연결 정보, 연결 회선의 종류, 연결 방식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작업자에 따라 선번 부여 방식이 상이하여 일관된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장비 별로 연결되는 포트 구조를 하나씩 등록함으로써 구축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성된 후에 통합배선반에 대한 선번관리 자동화, 토폴로지 구축, 경로 추적기능 등이 제공되며, 증축 또는 유지보수 작업으로 인한 네트워크 구조 변경 시, 동일한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통합배선반은 운영관리의 편의성과 신속한 장애대처를 위하여 IoT 센싱 기술과 전용장치의 데이터를 별도로 수집하여 자동화된 선번관리를 제공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초기 DB 구축 작업에 있어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구축비용이 매우 높게 측정되고 있다. 더불어 전문 인력 외에는 시스템 구축이 불가하다. 따라서 건축물의 통신케이블과 통합배선반 구성 장비 및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여 통합배선만 망을 구축하고, 토폴로지 맵을 자동 생성하여 장비 별 회선 연결구조 및 선번관리 자동화 기술이 필요하다.
선행특허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2441035호(통합 배선 관리 시스템)가 있으나, 전화 및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설치한 통합 배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회선과 내부 회선이 연결되는 MDF 부와, 상기 MDF 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건물내의 각 구역으로 분배하는 TPS 부와, 상기 TPS 부에서 분배된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획득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합배선반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케이블 종류, 설치 장비 정보를 수집하여 기본정보를 등록하고,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배선반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일원화된 선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기본정보등록부가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관리서버의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별 통신수구를 분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구축부가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불가능하면 망구축부가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을 등록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는 단계와, 망구축부가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하는 단계 및 망구축부가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기본정보등록부 및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고,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별 통신수구를 분석하여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고,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불가능하면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을 등록하고,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고,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하고,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고,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집선 수위치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IDF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맞춰 자동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일원화된 선번 내용을 저장하는 망구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배선반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케이블 종류, 설치 장비 정보를 수집하여 기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통합배선반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일원화된 선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본정보등록부(110)가 기본정보를 등록한다(S101). 상기 기본정보란, 기본정보등록부(110)의 모든 구성에서 수집, 등록, 배정하는 모든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전용 컨트롤러의 포트 상태, 네트워크 정보, 장비별Uplink 구조, 통신수구 연결 정보, 연결 회선의 종류,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합배선반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자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망구축부(120)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고(S103),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 별 통신수구를 분석한다(S105). 망구축부(120)가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고(S107),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한다(S109). 망구축부(120)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S111), 망 별 스위치를 배정하고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113).
망구축부(120)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S115),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한다(S117). 망구축부(120)가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 등록한다(S119). 망구축부가(120)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거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 등록을 완료하면,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고(S121),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한다(S123).
망구축부(120)가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고(S125),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한다(S127). 망구축부(120)가 IDF의 F.D.F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S129), 망 별 스위치를 배정하고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S131). 망구축부(120)가 IDF의 F.D.F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거나, 망 별 스위치를 배정하고 VLAN 설정 여부를 확인이 완료되면, IDF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한다(S133). 망구축부(120)가 산출 결과에 맞춰 자동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S135), 일원화된 선번 내용을 저장한다(S137).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본정보등록부(110)가 네트워크 장비(200)로부터 건축물에 포설된 케이블 정보를 수집한다(S201). 기본정보등록부(110)는 건축물의 층 간 별로 초설된 케이블(구내간선)과 층 내에 포설된 케이블(수평배선) 종류를 수집할 수 있다. 기본정보등록부(110)가 네트워크 장비(200)로부터 각 층의 IDF 별 F.D.F의 코어 수, 구내간선 회선 용량, 통신망, 통신수구 수량,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부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S203).
기본정보등록부(110)가 통신수구 수량에 맞게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델 별 수량 산출 및 설치 모델을 배정한다(S205). 기본정보등록부(110)가 각 IDF로 포설된 MDF의 총 집선 코어 수와 IDF의 망 별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UPLINK 수량을 계산하여 각 네트워크 스위치 별 실 접속 코어 수 산출한다(S207). 기본정보등록부(110)가 각 네트워크 스위치에 집선되는 회선 수를 분석하여 포트를 배정하고 선번을 등록한다(S209).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10)은 관리서버(100), 네트워크 장비(200), 관리자단말기(300)로 구성된다.
관리서버(100)는 기본정보등록부(110), 망구축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기본정보등록부(110)는 기본정보를 등록하고 저장부(130)에 기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정보수집모듈(111), 장비등록모듈(113)로 구성된다. 기본정보등록부(110)의 모든 구성에서 수집, 등록, 배정하는 모든 정보는 기본정보로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은 네트워크 장비(200)로부터 건축물에 포설된 케이블 정보(종류)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111)은 건축물의 층 간 별로 초설된 케이블(구내간선)과 층 내에 포설된 케이블(수평배선) 종류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수집모듈(111)은 아래 [표 1]과 [표 2]와 같이 케이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표 1]은 구내간선 케이블 정보를 의미하고, [표 2]는 수평배선 케이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분 택 1
F/O 1. Single Mode
2. Multi Mode
UTP 1. Category 5e
2. Category 6
3. Category 6A
구분 택 1
F/O 1. Single Mode
UTP 1. Category 5e
2. Category 6
3. Category 6A
또한 정보수집모듈(111)은 네트워크 장비(200)로부터 각 층의 IDF 별 F.D.F의 코어 수, 구내간선 회선 용량, 통신망, 통신수구 수량,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부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IDF는 중간단자함을 의미하는 Intermediate Distribution Frame의 약자로, 각 층이나 구획된 장소에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기기와 MDF를 연결시켜주는 단자함을 의미한다. MDF는 주 배선반 또는 국선단자함을 의미하는 Main Distribution Frame의 약자로, 외부회선과 내부회선이 연결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111)은 건축물의 층간 구내간선 케이블에 맞춰 IDF 별 F.D.F의 코어 수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111)은 IDF에서 수평배선으로 이어진 아울렛 수구 수 및 망 구조에 맞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집모듈(111)은 각 IDF로 포설된 MDF의 총 집선 코어 수와 IDF의 망 별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UPLINK 수량을 계산하여 각 네트워크 스위치 별 실 접속 코어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장비등록모듈(113)은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이 산출한 통신수구 수량에 맞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델 별 수량을 기반으로 설치 모델을 배정할 수 있다. 장비등록모듈(113)은 세부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장비 모델 및 IP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등록모듈(113)은 아래 [표 3]과 같이 통신수구 수 및 망 구조(종류)에 맞게 네트워크 스위치 설치 모델을 배정하고, IP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구분 구내간선 통신망 통신수구 NETWORK
SWITCH
IP
IDF-1 12Core 일반망 24 KJ3528XE 192.168.0.30
행정망 21 KJ3528XE 192.168.10.50
IP전화망 24 KJ3528XP 192.168.32.1
AP망 12 KJ3528XP 192.168.50.20
IDF-2 12Core 일반망 24 KJ3528XE 192.168.0.31
행정망 22 KJ3528XE 192.168.10.51
IP전화망 24 KJ3528XP 192.168.32.2
AP망 3 KJ3528XP 192.168.50.21
IDF-3 12Core 일반망 22 KJ3528XE 192.168.0.32
행정망 11 KJ3528XE 192.168.10.52
IP전화망 22 KJ3528XP 192.168.32.3
AP망 8 KJ3528XP 192.168.50.22
IDF-4 8Core 일반망 15 KJ3528XE 192.168.0.33
행정망 20 KJ3528XE 192.168.10.53
IDF-5 8Core 일반망 13 KJ3528XE 192.168.0.34
행정망 18 선택안함 선택안함
또한 장비등록모듈(113)은 상기 정보수집모듈(111)이 산출한 네트워크 스위치 별로, 각 네트워크 스위치에 집선되는 회선 수를 분석하여 포트를 배정하고 선번을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비등록모듈(113)은 아래 [표 4]와 같이 네트워크 스위치 별로 총 집선 코어 수와 실 접속 코어 수를 기반으로 포트를 배정하고 선번을 등록할 수 있다.
통신망 총 집선 실 접속 BACKBONE SWITCH IP
일반망 52Core 20Core KJ3528FO 192.168.0.100
행정망 10Core KJ3528FO 192.168.10.100
IP전화망 12Core 선택안함 입력
AP망 6Core 선택안함 입력
망구축부(120)는 분석모듈(121), 산출모듈(123), 연결모듈(125)로 구성된다.
상기 분석모듈(121)은 상기 기본정보등록부(110)가 등록한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고,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 별 통신수구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121)은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고, 분석모듈(121)이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분석모듈(121)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거나, 산출모듈(123)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 산출을 완료하면,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모듈(121)은 IDF의 F.D.F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모듈(123)은 상기 분석모듈(121)이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모듈(123)은 상기 분석모듈(121)이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할 수 없으면,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모듈(123)은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이 완료되면,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모듈(123)은 상기 분석모듈(121)이 IDF의 F.D.F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가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모듈(123)은 상기 분석모듈(121)이 IDF의 F.D.F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IDF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모듈(125)은 상기 산출모듈(123)이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면 망 별 스위치를 배정하고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125)은 상기 산출모듈(123)이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면,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cascade)로 연결 회선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125)은 연결모듈(125)이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 등록을 완료하거나, 분석모듈(121)이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할 수 있다. 연결모듈(125)은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되면,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PATCH PANEL)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모듈(125)은 IDF 스위치 망 별 산출 값과 층 별 통신수구 수에 맞춰 망 별로 선번(연결 회선)을 순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연결모듈(125)은 상기 산출모듈(123)이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면 망 별 스위치를 배정하고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모듈(125)은 산출 결과에 맞춰 자동 네트워크 망을 구축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상기 망구축부(120)에서 등록, 저장, 연결, 구축한 일원화된 선번 내용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00)의 전체 구성에서 발생하는 모든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100)의 모든 구성과 네트워크 장비(200) 및 관리자 단말기(300)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수단은 CDMA 기반(또는 HSDPA 기반)의 이동 통신망, 및/또는 IEEE 802.16x 기반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 및/또는 IEEE 802.11x 기반의 무선랜 통신망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150)는 관리서버(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200)는 모니터 대상 장소(건축물)에서 통신 랙에 설치된 네트워크 스위치, 접속자재 등의 장비를 의미하며, 관리서버(100)로 네트워크 장비(200)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릴레이단자를 통해서 관리서버(100)의 기본정보등록부(110)에 연결되어 전원 연결 상태 데이터를 기본정보등록부(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로서, 관리서버(100)에 직접 연결되어 관리서버(100)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의해 다양한 항목으로 구성되는 기본정보등록부(110) 데이터, 네트워크 장비(200)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
100; 관리서버 110; 기본정보등록부
111; 정보수집모듈 113; 장비등록모듈
120; 망구축부 121; 분석모듈
123; 산출모듈 125; 연결모듈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200; 네트워크 장비 3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5)

  1.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기본정보등록부가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관리서버의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별 통신수구를 분석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구축부가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불가능하면 망구축부가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을 등록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하는 단계; 및
    망구축부가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망구축부가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집선 수위치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구축부가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IDF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는 단계;
    망구축부가 산출 결과에 맞춰 자동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는 단계; 및
    망구축부가 일원화된 선번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의 기본정보등록부가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기본정보등록부가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각 층의 IDF 별 F.D.F의 코어 수, 구내간선 회선 용량, 통신망, 통신수구 수량,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부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본정보등록부가 통신수구 수량에 맞게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델 별 수량 산출 및 설치 모델을 배정하는 단계;
    기본정보등록부가 각 IDF로 포설된 MDF의 총 집선 코어 수와 IDF의 망 별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UPLINK 수량을 계산하여 각 네트워크 스위치 별 실 접속 코어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기본정보등록부가 각 네트워크 스위치에 집선되는 회선 수를 분석하여 포트를 배정하고 선번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4.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기본정보등록부; 및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설치장소의 간선 케이블 종류를 분석하고,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각 층 별 코어 수 및 층별 통신수구를 분석하여 통신수구에 맞춘 스위치 모델 별 물량을 산출하고,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통신수구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망 별로 통신수구 수를 합산하여 망 별 스위치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산출한 스위치의 물량으로 층 별 F.D.F 수용이 불가능하면 F.D.F의 코어 수의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최대 연결 스위치 수량을 초과하는 추가 스위치는 캐스케이드로 연결 회선을 등록하고, IDF 별 F.D.F 코어 수에 맞춰 스위치의 UPLINK 연결하고, IDF 스위치 별 패치판넬을 연결하고, IDF의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고, 집선 스위치 별 망 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집선 수위치 별로 망 분리가 가능하면 집선 포트를 합산하여 스위치 수량을 산출하고, 망 별 스위치 배정 및 VLAN 설정 여부를 확인하고, IDF F.D.F에 집선되는 포트를 합산하여 MDF 스위치 연결 포트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맞춰 자동 네트워크 망을 구축하고, 일원화된 선번 내용을 저장하는 망구축부를 포함하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정보등록부는,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각 층의 IDF 별 F.D.F의 코어 수, 구내간선 회선 용량, 통신망, 통신수구 수량, IP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세부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수구 수량에 맞게 네트워크 스위치의 모델 별 수량 산출 및 설치 모델을 배정하고, 각 IDF로 포설된 MDF의 총 집선 코어 수와 IDF의 망 별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UPLINK 수량을 계산하여 각 네트워크 스위치 별 실 접속 코어 수를 산출하고, 각 네트워크 스위치에 집선되는 회선 수를 분석하여 포트를 배정하고 선번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시스템.
KR1020240012099A 2024-01-26 2024-01-26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KR10265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2099A KR102656956B1 (ko) 2024-01-26 2024-01-26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2099A KR102656956B1 (ko) 2024-01-26 2024-01-26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956B1 true KR102656956B1 (ko) 2024-04-12

Family

ID=9067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2099A KR102656956B1 (ko) 2024-01-26 2024-01-26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9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08B1 (ko) * 2016-05-17 2017-02-08 국제텔레시스(주) 통합배선반 망 정보수집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1990607B1 (ko) * 2019-01-22 2019-09-30 (주)인포스텍 능동형 패치판넬을 이용한 자동선번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시스템
KR102425747B1 (ko) * 2022-01-11 2022-07-27 안세환 교환기가 개선된 통합 배선 관리 시스템
KR102464404B1 (ko) * 2022-06-17 2022-11-04 박해은 네트워크 망 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선 관리 시스템
KR20230146247A (ko) * 2022-04-12 2023-10-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908B1 (ko) * 2016-05-17 2017-02-08 국제텔레시스(주) 통합배선반 망 정보수집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101990607B1 (ko) * 2019-01-22 2019-09-30 (주)인포스텍 능동형 패치판넬을 이용한 자동선번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시스템
KR102425747B1 (ko) * 2022-01-11 2022-07-27 안세환 교환기가 개선된 통합 배선 관리 시스템
KR20230146247A (ko) * 2022-04-12 2023-10-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KR102464404B1 (ko) * 2022-06-17 2022-11-04 박해은 네트워크 망 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2697B (zh) 一种网络接入设备升级系统和网络接入设备升级方法
US81650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managed port circuitry to map connections among structured cabling apparatus and network devices
CN107809367A (zh) 一种sdn网络的设备上线方法及sdn控制器、网络设备
CN105376101B (zh) 一种实物设备接入虚拟网络的方法及系统
CN105610996B (zh) 一种应用于交换机的dhcp冲突检测方法
CN107094091B (zh) 一种智能变电站站控层网络配置校验方法和系统
CN109714206A (zh) 电力监控系统网络拓扑图生成方法、总线式网络拓扑图
CN106487568B (zh) 基于网管系统的拓扑机架图展示方法、装置及网管系统
CN106302864A (zh) 一种有序ip设置系统
CN109412955A (zh) Ipran网络设备间链接关系确定方法及装置
KR102656956B1 (ko) 통합배선반 선번 일원화 및 자동 망 구축 방법 및 시스템
EP2637357B1 (en) Validating reachability of nodes of a network of an industrial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CN103200067A (zh) 用以隔离数据的动态虚拟lan
CN103152756A (zh) 一种wlan ac的自动化配置方法
CN109327343B (zh) 用于openstack云环境的自动化巡检方法及系统
CN107769964B (zh) 专线核查方法及系统
US76467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ation of network topology
CN108650134A (zh) 网络故障定位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743804A (zh) 一种机房可视化监管系统
CN103986692B (zh) 基于无线接入点的数据转发方法及系统
KR102165532B1 (ko) 통합배선반 선번관리 자동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적 구현방법
CN113472578B (zh) 网络设备物理位置的分配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CN105743675A (zh) 信息采集方法及装置
CN213817812U (zh) 一种基于Router OS搭建的测试服务系统
CN107635024A (zh) 一种自动识别服务器ip的自动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