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11B1 -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11B1
KR102656911B1 KR1020160123288A KR20160123288A KR102656911B1 KR 102656911 B1 KR102656911 B1 KR 102656911B1 KR 1020160123288 A KR1020160123288 A KR 1020160123288A KR 20160123288 A KR20160123288 A KR 20160123288A KR 102656911 B1 KR102656911 B1 KR 102656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widget
user
wearabl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834A (ko
Inventor
김태정
김현학
우홍욱
박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911B1/ko
Priority to US16/335,943 priority patent/US11341529B2/en
Priority to PCT/KR2017/009858 priority patent/WO2018056617A1/ko
Publication of KR2018003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웨어러블 장치에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Wear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본 개시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개시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다양한 아이콘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메일, 카메라, 연락처 등) 또는 웹 브라우저(예를 들어, 인터넷 등)를 통하지 않고 특정한 콘텐트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예를 들어, 날씨, 달력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위젯(widget) 기능을 가진 아이콘(이하“위젯”)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위젯을 터치 시, 위젯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위젯에 연결된 어플리케이션이 런칭된다.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에서 사용자에게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보다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는 위젯이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위젯이 한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위젯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확인하고 원하는 위젯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폰에서는 위젯을 통한 사용자 인터렉션이 자유롭다.
반면,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에서는 하나의 위젯이 전체 화면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위젯을 하나의 화면에 지원하는 것이 제한적이며 사용자 인터렉션 또한 제한적이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다른 위젯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 워치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된 위젯에 한하여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스와프(swipe), 플릭(flick) 등)을 통해 다른 위젯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소형 디스플레이를 가진 웨어러블 장치에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위젯 제공 기술이 필요로 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위젯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화면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자의 상황(예를 들어, 활동 유형)에 적합한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이용하고자 하는 위젯을 변경하기 위해 복수의 위젯에 대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예: 터치, 스와프, 플릭, 베젤 조작 등) 과정 없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상태(상황)에 적합한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젯 제공자인 서비스 발행자(service publisher)는 개발한 위젯을 사용자에게 광고 등을 통해 노출하지 않고, 사용자가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되는 위젯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위젯 제공 시스템을 통해 자연스럽게 사용자에게 위젯 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위젯을 웨어러블 장치에 설치하지 않고 서버로부터 위젯 UI 데이터만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받기 때문에, 웨어러블 장치의 메모리 사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상세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위젯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시퀀스도,
도 6a 및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위젯'은 웨어러블 장치에서 동적 구성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렉션이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일 수 있다. '위젯'은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역할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위젯'을 선택하면,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가 '위젯'을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서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위젯'은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이메일, 카메라, 연락처 등) 또는 웹 브라우저(예를 들어, 인터넷 등)를 거치지 않고 웨어러블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을 통해 특정한 콘텐트에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특정한 콘텐트 및/또는 브라우저 정보(예를 들어, 날씨, 날씨, 헬스 케어, 뉴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콘텐트'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쿠폰이나 티켓 등과 같이 어떤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에 포함된 다양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직접 판단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 정보(예를 들어, 활동 유형)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가속도 센서 및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 및 속도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고, GPS 모듈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관한 데이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은 웨어러블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콘텍스트(context) 데이터 서버인 데이터 중재 서버(210)와 서비스 발행 (Service Publisher) 서버인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220)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일 수 있다. 서버(200)가 외부 서버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와 다양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서버(200)는 클라우드 기반의 외부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10)은 발행/구독(Publish/Subscribe) 시스템의 구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행/구독 시스템(10)은 위젯 서비스를 발행(publish)하는 서비스 공급자(Service Provider)(220), 서비스 공급자(220)와 서비스의 주제(subject) 또는 토픽(topic)에 따른(by way of) 데이터 교환을 하는 데이터 구독자(subscriber)인 웨어러블 장치(100), 및 웨어러블 장치(100)가 구독할 데이터를 서비스 공급자(220)가 제공한 서비스로부터 매칭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하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를 포함할 수 있다.본 개시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구독자(subscriber)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소형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스마트 워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스마트 글래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200)는 발행/구독(publish/subscribe) 시스템에서 서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수신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중 사용자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공급자(220)는 복수 개의 공급자(pubish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공급자는 구독자들(subscribers)인 웨어러블 장치(100)가 구독할 서비스(예를 들어, 날씨, 헬스 케어, 뉴스 등)에 대응하는 콘텐트 데이터(content data)(예를 들어, 위젯 콘텐트)를 제작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220)는 제작한 위젯 콘텐트(widget contents)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유형(topic)별로 등록하여 발행(publish)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context)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황은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활동 유형에 따른 운전 중인 상황, 쇼핑몰에 진입한 상황, 달리기 중인 상황 등 다양한 상황일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요청 받은 사용자가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예를 들어, 주제에 따른 위젯 목록 등)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의 저장부(repository)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공급자(220)가 발행한 위젯 콘텐트들을 웨어러블 장치(100)들로부터 수신한 상황 별 정보(contextual information)을 바탕으로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부(repository)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추후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황에 맞는 위젯 콘텐트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의 구체적인 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상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센서(100-1), 통신부(100-2), 디스플레이(100-3), 메모리(100-4), 스피커(100-5), 입력부(100-6), 인터페이스부(100-7) 및 프로세서(100-8)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 요소들은 일 실시 예일 뿐,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센서(100-1)는 웨어러블 장치(100)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웨어러블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 또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는 기온, 압력, 습도, 소음 등에 관한 정보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100-1)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열 감지 센서 등),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00-2)는 웨어러블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외부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 간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센서(100-1)에서 감지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 및 웨어러블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0-2)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 중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0-2)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은 웨어러블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3)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 (예를 들어, 구독 가능한 주제별 위젯 리스트 등) 및 위젯 콘텐트 UI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3)는 사용자가 선택한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위젯 콘텐트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3)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00-3)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8)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프로세서(100-8)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00-8)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00-4)는 롬(ROM),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00-5)는 각종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0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프로세서(100-8)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00-6)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100-2), 메모리(100-4), 프로세서(100-8)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00-6)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00-8)로 제공할 수 있다.
입력부(100-6)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입력부(100-6)를 통해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예를 들어, 구독 가능한 유형별 위젯 리스트 등) 및 디스플레이(100-3)에 제공된 위젯(예를 들어, 위젯 콘텐트 UI)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위젯에 대한 추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00-7)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 기기는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이어폰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0-8)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예를 들어, 구독 가능한 유형별 위젯 리스트 등)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통신부(100-2)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위젯 콘텐트 UI)를 제공받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화면에 제공되는 위젯은 사용자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위젯 콘텐트를 포함하는 UI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상황(context)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이 우선적으로 화면에 제공되도록 사용자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하나의 위젯을 선택한 후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위젯을 화면에 스크롤 순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위젯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한 경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외부 서버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어플리케이션 페이지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00-2)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8)는,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 위젯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200)가 외부 서버인 데이터 중재 서버(210) 및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위젯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초기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서비스 공급자(220)는 구독자가 구독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contents)를 제작하여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서비스는 날씨, 헬스 케어, 네비게이션 맵, 지하철 노선도, 쇼핑 쿠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20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인 다양한 콘텐트를 사용자의 상황별(contextual)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콘텐트를 주제별(topic)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 콘텐트, "경제"와 관련된 서비스 콘텐트, "뉴스"와 관련된 서비스 콘텐트 등 주제별(topic)로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콘텐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조깅하는 상황과 관련된 헬스 케어 서비스 콘텐트, 마라톤하는 상황과 관련된 헬스 케어 서비스 콘텐트, 극장 및 쇼핑몰 등과 같은 장소와 관련된 서비스 콘텐트 등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상황 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상황별로 서비스 콘텐트를 구분하여 데이터 중재 서버(210)의 저장부(repository)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S33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인 "위젯 뷰어(Widget Viewer)"를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젯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지 않고, 서버로부터 위젯에 대응되는 UI 콘텐트를 제공받아 위젯 페이지를 화면에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사용자 명령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사용자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게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구독하고자 하는 위젯들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예를 들어, 위젯 토픽 또는 주제 등)을 요청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구독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목록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유형별(topic)로 구분되어 저장된 위젯 리스트 정보로서 “weather”, “healthcare”, “map”, “stock”, “air ticket” 등 다양할 수 있다.
S35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topic)을 선택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달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구독하고자 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될 수 있다.
S36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대한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 기반 정보로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라 위젯을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 시스템의 시퀀스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1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내장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기압 센서를 통해 감지된 주변 환경의 고도 정도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전송 주기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조건은 사용자의 맥박수가 정상치 이상으로 갑자기 증가하는 경우일 수 있다. 상술한 예는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42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황(예를 들어, 활동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걷고 있는 상황인지, 달리고 있는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내장된 센서로부터 감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예를 들어, 걷는 상황 또는 달리는 상황 등)을 직접 판단하여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판단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 중인 상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수신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고도 정보일 경우, 위도 및 경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GPS 정보와 함께 고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산, 빌딩, 등의 어떤 상황에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로부터 얻은 사용자의 상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특정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더욱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가 산(mountain)의 어느 고도인 경우, 등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목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조깅 중"인 경우, 조깅 관련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43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서비스 공급자(22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는 서비스 공급자(220)가 제작한 서비스(예를 들어, 헬스 케어, 뉴스, 경제, 날씨 등)와 관련된 위젯 콘텐트일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서비스 공급자(22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가 요청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45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저장부에 기저장된 UI 레이아웃 프레임에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제공받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로서 위젯 페이지 UI를 생성할 수 있다.
S46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정보(위젯 페이지 UI)를 바탕으로 도 3의 S350 단계에서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 3의 S330단계에서 설치된 인스턴트 위젯인 "Widget Viewer"의 화면을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된 어플리케이션 UI 정보로 업데이트하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인스턴트 위젯 화면을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서 생성된 위젯 페이지 UI 콘텐트가 포함된 화면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S48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에 도 3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목록 중에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고, 데이터 중재 서버(210)가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한 사용자의 상황 정보는 "조깅 중"인 것일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조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 정보(데이터)를 요청하여 조깅 관련 어플리케이션(위젯)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생성된 조깅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기저장된 위젯 페이지의 UI 레이아웃에 조깅 관련 콘텐트를 업데이트한 UI 콘텐트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업데이트된 조깅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U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조깅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UI 콘텐트가 포함된 위젯(예를 들어, 위젯 페이지)을 제공받아 "Widget Viewer"의 화면에 조깅 관련 UI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위젯을 선택하였으나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UI 콘텐트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콘텐트를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어플리케이션 관련 콘텐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자(220)로부터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의 콘텐트를 바탕으로 선택된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UI 콘텐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위젯을 선택한 경우, 위젯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데이터 중재 서버(210)에서 생성한 조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명령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젯을 선택한 경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제공받은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가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위젯과 관련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비스 공급자(220)에게 직접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거나,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ndroidTM의 플레이 스토어)에서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된 리스트를 제공받은 경우,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이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특정 상황(context)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이 우선적으로 화면에 제공되도록 사용자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특정 상황일 때 화면에 제공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면에서 위젯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상황과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웨어러블 장치(100)가 감지한 특정 상황에서 자동으로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시간 대(예를 들어, 오후 2시-3시)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주식 정보)에 대응되는 위젯이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특정 시간 대에 등산 중인 경우,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등산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으나, 데이터 중재 서버(210)가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주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주식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위젯이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와 서버에서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5를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여 관련 정보를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사용자 상황 정보에 대응되는 위젯 콘텐트의 UI 정보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가 인스턴트 위젯인 "Widget Viewer"를 설치하여 실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구독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중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구독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데이터베이스에 웨어러블 장치(100)의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내장된 센서들 및 GPS 모듈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센싱)할 수 있다.
S54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센싱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S550 단계에서, 외부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활동 유형 및 웨어러블 장치(100)의 주변 환경 상황등의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S560 단계에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 유형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이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UI 콘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S520 단계에서 저장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 정보 및 S550 단계에서 분석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어플리케이션(예: 위젯)의 UI 콘텐트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S57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 정보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젯을 웨어러블 장치(100)에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지 않고 서버(200)로부터 위젯의 UI 데이터를 제공받아 위젯 정보를 S510단계에서 실행한 "Widget Viewer"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 및 서버(200)의 상세한 동작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도 6a 및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실행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인 "Widget Viewer"(610)를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Widget Viewer"(610)는 복수의 위젯을 서버(200)로부터 각각 다운로드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 설치하지 않고,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따른 위젯에 대응되는 UI 콘텐트를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Widget Viewer"(610)를 실행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는 "Widget Viewer"의 UI 프레임(62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UI프레임(62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한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다양한 위젯 UI 레이아웃을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센서를 통하여 다양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구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유형(topic)에 대한 정보 목록(630)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유형(topic)은 "weather", "news", "health"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토픽(예를 들어, "weather")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토픽(예를 들어, weather)은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전송한 유형(topic) 정보인 "weather"와 사용자 상태 정보를 분석한 사용자 상황 정보를 매칭하여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서버에 저장된 UI 레이아웃에 "weather"와 관련된 콘텐트 데이터를 반영(overlay)하여 위젯 페이지(예: 위젯 UI 콘텐트)를 생성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위젯 페이지(660)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 및 서버의 동작을 UI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위젯 인스턴트 어플리케이션인 "Widget Viewer"(610)를 실행할 수 있다. "Widget Viewer"(610)가 실행되면, "Widget Viewer"(610)에 대응되는 UI 레이아웃인 "Widget Viewer UI Frame"(620)이 웨어러블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도 6a에서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유형(topic) 및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다양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서버(200)의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할 수 있다.
S640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 정보(예를 들어, 활동 유형 등)를 분석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topic) 중 분석된 상황 정보 결과에 맞는 위젯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분석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콘텐트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S660), 서비스 공급자(220)에게 분석된 상황 정보와 관련된 콘텐트 데이터를 요청(S670)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자(220)는 구독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 데이터를 발행하여(S680),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요청 받은 콘텐트 데이터를 데이터 중재 서버(210)에 전송(S675)할 수 있다.
S690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인스턴트 위젯에 대응되는 UI 레이아웃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고, 기 저장된 레이아웃 페이지 내에 서비스 공급자(22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트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위젯 페이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S695 단계에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업데이트된 위젯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위젯 페이지(680)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weather"이고, 사용자가 감지한 사용자 상태 정보는 GPS를 통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GPS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상황 정보인 사용자의 위치(Gangnam-gu)에 대응되는 날씨와 관련된 콘텐트를 서비스 제공자(22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중재 서버(210)는 서비스 제공자(220)로부터 제공받은 Gangnam-gu의 날씨와 관련된 콘텐트를 기저장된 페이지 레이아웃에 반영하여 "Widget Viewer"의 UI 콘텐트를 업데이트한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데이터 중재 서버(210)로부터 강남구의 날씨와 관련된 UI 콘텐트를 포함하는 위젯 페이지를 제공 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날씨와 관련된 위젯을 웨어러블 장치(100)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서버(20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된 상황 정보에 따른 위젯 페이지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서 복수의 위젯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구독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에 따른 복수 개의 위젯 페이지(601, 602, 603, 604, 605, 606)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복수 개의 구독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여 서버(200)로부터 대응되는 위젯 페이지(601, 602, 603)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복수 개의 위젯(601, 602, 603) 중 하나의 위젯을 선택한 후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각각에 대응하는 위젯 페이지(601, 602, 603)를 화면에 스크롤 순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젯 제공 방법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설치되어 실행 중인 인스턴트 위젯 어플리케이션인 하나의 "Widget Viewer"의 화면에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위젯에 대응되는 UI 콘텐트를 스크롤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는, 각각의 위젯(601, 602, 603)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후 실행하고, 백그라운드에 실행 중인 위젯 화면을 스크롤하여 스크린에 제공하지 않으므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메모리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젯에 대응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00)는 인스턴트 위젯 어플리케이션인 "Widget Viewer"(610)를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날씨 위젯(680)을 선택할 수 있다(S710). 이때, 사용자 명령은 화면을 터치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610-1, 680-1)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된 위젯에 연결된 웹 페이지가 없는 경우(S720), 웨어러블 장치(100)는 서버(200)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S725),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웹 어플리케이션(S730)을 실행하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680-2).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ndroidTM의 플레이 스토어)에서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에서 위젯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그러나, 상술할 예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들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쇼핑몰, 극장, 지하철 역 등과 달리 일반적인 장소에 위치에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움직임이 크지 않은 자세로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GPS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BLE, Bluetooth low energy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다른 센서들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실내에 위치한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서버에서 제공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공항 정보에 관한 위젯, 주식 정보에 관한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위젯 중 하나인 주식 정보에 관한 위젯을 선택하여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체 화면에 위젯과 대응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장소(예를 들어, 집의 거실 등)등의 특정 상황(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 등)에서 특정 위젯(예를 들어, 주식 위젯 등)이 자동으로 제공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위젯은 웨어러블 장치(100)에 설치되어 실행 중인 "Widget Viewer" 화면에 사용자의 스크롤 명령, 사용자 제스처 명령 등의 명령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면서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외에서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달리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맥박 센서 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이동 속도, 주변의 온도, 사용자의 체온, 사용자의 심박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만보기, 달리기, 날씨 관련 위젯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위젯 중 하나를 선택하여 위젯과 대응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위젯 중 사용자가 기설정한 위젯과 매칭되는 위젯(예를 들어, 헬스 데이터)과 관련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전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실내외의 특정 장소에서 이동하면서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하철 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하여 극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가 지하철 역에 위치한 경우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서버는 웨어러블 장치(100)에 지도 어플리케이션인 지하철 노선도를 위젯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하철 역에서 이동하여 극장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극장 안으로 진입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NFC 또는 BLE 등을 통해 획득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 등을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극장 내에서 이용 가능한 쿠폰 데이터, 극장의 실내 지도 데이터, 영화 티켓 정보 등과 관련된 위젯을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되는 위젯은 자동으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 변화가 연속적으로 발생할 때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걷고 있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Walker(1000-1)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걷다가 달리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Runner(1000-2)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달리다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는 Navigation(1000-3)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장치(100)에 내장된 다양한 센서 및 통신 모듈을 바탕으로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위젯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위젯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위젯은 사용자가 초기 단계에서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으로 미리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와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이 외부 서버가 발행한 어플리케이션과 매칭된 경우, 서비스 제공자인 외부 서버는 광고 등의 정보로 위젯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지 않더라도 서비스 제공자가 발행한 서비스와 관련된 콘텐트(예: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홍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S111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을 선택하고, 선택한 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weather”, “stock””, “health”, “map”, “coupon”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주제 또는 토픽(topic)일 수 있다.
S112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는 두 가지 이상의 센서들을 조합하여 복합적인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및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S113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 시 외부 서버에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장치(100)는 감지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분석하지 않고 감지된 정보만을 외부 서버에 전송한다. 외부 서버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활동 유형 및 사용자의 주변 상황 등의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S114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의 사용자 정보 등을 바탕으로 외부 서버에서 발행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상황 별로 구분하여 저장소(repository)에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웨어러블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상태 정보를 판단하여 획득한 사용자의 상황(context)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 유형)와 저장소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황 정보를 매칭하여 매칭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S115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에 의해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된 사용자의 상황 정보가 조깅 중인 경우,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유형은 “health care”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은 “runner”일 수 있다. “health care” 및 “runner”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unner”에 대응되는 위젯은 “runne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 전체에 표시될 수 있다. “runner”에 대응되는 데이터는 사용자가 조깅 중일 때 웨어러블 장치(100)의 화면에 나타나는 사용자의 맥박, 칼로리, 달린 거리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unner” 화면을 선택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runner”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또는, “runner”의 화면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100)에서 “runner”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00)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예시적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에서부터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시스템
100: 웨어러블 장치
200: 외부 서버
210: 데이터 중재 서버
220: 서비스 제공자

Claims (18)

  1.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 서버; 및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센서;
    통신부;
    메모리; 및
    위젯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서버으로부터 요청될 어플리케이션 토픽을 선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저장하며,
    상기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활용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위젯 페이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상기 위젯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저장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위젯 페이지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인 것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하나의 위젯을 선택한 후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위젯을 상기 화면에 상기 스크롤 순서에 따라 제공하는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젯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한 경우, 상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시스템.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어플리케이션 페이지를 상기 화면에 제공하는 시스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상황(context)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우선적으로 상기 화면에 제공하는 시스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9. 웨어러블 장치의 위젯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젯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서버으로부터 요청될 어플리케이션 토픽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센서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활용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토픽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위젯 페이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상기 위젯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 저장된 레이아웃을 가지는 위젯 페이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에 기 저장된 UI 레이아웃 페이지 내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콘텐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 데이터인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하나의 위젯을 선택한 후 스크롤하는 사용자 명령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위젯을 상기 화면에 상기 스크롤 순서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을 사용자 명령에 의해 선택한 경우, 상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젯에 연결된 웹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에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웹 어플리케이션 UI를 상기 화면에 제공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상황(context)에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위젯을 우선적으로 상기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하는 방법.
  17. 삭제
  18. 삭제
KR1020160123288A 2016-09-26 2016-09-26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KR102656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88A KR102656911B1 (ko) 2016-09-26 2016-09-26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US16/335,943 US11341529B2 (en) 2016-09-26 2017-09-08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thereof
PCT/KR2017/009858 WO2018056617A1 (ko) 2016-09-26 2017-09-08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288A KR102656911B1 (ko) 2016-09-26 2016-09-26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834A KR20180033834A (ko) 2018-04-04
KR102656911B1 true KR102656911B1 (ko) 2024-04-16

Family

ID=6169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288A KR102656911B1 (ko) 2016-09-26 2016-09-26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1529B2 (ko)
KR (1) KR102656911B1 (ko)
WO (1) WO20180566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3788A1 (zh) * 2018-03-27 2019-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场景推荐应用的方法及装置
USD877189S1 (en) 2018-06-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10101502A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활동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US11503440B2 (en) * 2020-04-16 2022-11-15 Avaya Management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nterprise services to wearable and mobile devices
US11582419B2 (en) 2020-04-16 2023-02-14 Avaya Management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all content to devices using a distributed communication controller
KR20240010809A (ko) * 2022-07-18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기반하여 날씨 정보 업데이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7912A1 (en) * 2014-05-27 2015-12-03 Sony Corporation Activity tracking based recommendat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4871B2 (en) 2007-07-18 2015-02-10 Apple Inc. User-centric widgets and dashboards
US9747141B2 (en) 2008-03-2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1961741B1 (ko) 2009-06-15 2019-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젯 생성 및 통신 방법
US20110307354A1 (en) * 2010-06-09 2011-12-15 Bilgehan Erma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applications to mobile users
KR20120057256A (ko) 2010-11-26 2012-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87253A (ko) * 2010-12-17 2012-08-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US9595068B2 (en) * 2011-05-13 2017-03-14 Dell Products L.P. Social marketplace affiliate administration
US20130159234A1 (en) * 2011-12-19 2013-06-20 Bo Xing Context activity tracking for recommending activities through mobile electronic terminals
US9195721B2 (en) * 2012-06-04 2015-11-24 Apple Inc. Mobile device with localized app recommendations
US20140007010A1 (en) * 2012-06-29 2014-01-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sory data associated with a user
US9607313B2 (en) * 2012-08-13 2017-03-28 Blackberry Limited Targeted content streaming banners
US10956956B2 (en) 2012-08-17 2021-03-23 Ebay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commendations based on wearable sensors
US9158560B2 (en) * 2012-10-26 2015-10-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ynamic application arranger
KR101572928B1 (ko) 2012-11-29 2015-12-01 주식회사 애드라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에서 가시적으로 변화하는 위젯에 대응하여 상이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KR102111769B1 (ko) * 2013-02-08 202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추천 패널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추천 아이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WO2014138689A2 (en) * 2013-03-08 2014-09-12 Ness Computing, Llc Context-based queryless presentation of recommendations
KR102069322B1 (ko) * 2013-06-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046828A1 (en) * 2013-08-08 2015-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ualizing sensor, service and device data with mobile devices
GB201316196D0 (en) * 2013-09-11 2013-10-23 Piksel Inc Triggering an action in a computer device
KR20150111834A (ko) 2014-03-26 201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8482A (ko)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의 연동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60063569A1 (en) 2014-09-02 2016-03-03 Ebay Inc. Offers based on personal metrics
KR20160061154A (ko) * 2014-11-21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6394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KR20160101497A (ko) * 2015-02-17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10097973B2 (en) * 2015-05-27 2018-10-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10365811B2 (en) * 2015-09-15 2019-07-3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Home screen for wearable devices
US11429883B2 (en) * 2015-11-13 2022-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computer experience from activity prediction
US10901591B2 (en) * 2015-12-15 2021-01-26 Amazon Technologie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customization for automating complex opera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7912A1 (en) * 2014-05-27 2015-12-03 Sony Corporation Activity tracking based recomme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617A1 (ko) 2018-03-29
KR20180033834A (ko) 2018-04-04
US11341529B2 (en) 2022-05-24
US20190311401A1 (en)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911B1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위젯 제공 방법
KR102471174B1 (ko) 테마 적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RU26361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анели рекомендаций,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сервер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екомендуемого пункта
KR20170096408A (ko)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31792B2 (en) Sensor information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34635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roviding an object management user interface
CN107111492A (zh) 跨诸设备缩放数字个人助理代理
US10824236B2 (en) Electronic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ed through electronic device
US10613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via application
US103539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page using the same
KR2017005920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컨텐츠 출력 방법
KR20170119934A (ko) 제스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JP6543774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のプロパティに基づく情報のランク付け
KR102280545B1 (ko)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3065A (ko) 추천 객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73930A (ko) 웹푸시를 이용한 푸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50713A (ko) 오디오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71739B1 (ko) 전자 장치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5608095B (zh) 多媒体播放方法、装置及移动终端
Rodrigues et al. New trends on ubiquitous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s
KR10244954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KR102321361B1 (ko)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635434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1075975B2 (en) Personalization framework
KR2016011221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