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886B1 -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 Google Patents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886B1
KR102656886B1 KR1020230193605A KR20230193605A KR102656886B1 KR 102656886 B1 KR102656886 B1 KR 102656886B1 KR 1020230193605 A KR1020230193605 A KR 1020230193605A KR 20230193605 A KR20230193605 A KR 20230193605A KR 102656886 B1 KR102656886 B1 KR 10265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d
lever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3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사관
Original Assignee
김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관 filed Critical 김사관
Priority to KR102023019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8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8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olding wings, e.g.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 방식이나 폴딩 방식 또는 슬림 폴딩 방식으로 사용되는 글라스도어의 하부측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실내측 또는 실내와 실외 양측으로 돌출된 조작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해당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잠금로드가 문틀프레임측으로 출몰되도록 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로드의 상단측과 해당 잠금로드의 로드하우징 바닥면 사이에 지지스프링을 개재시키고, 상기 잠금로드의 상측부에는 푸싱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세팅블록이 삽입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한편, 해당 세팅블록이 조작레버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측으로 노출되는 세팅블록상에 쐐기형 걸림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로드하우징에는 조작레버의 레버홀과 걸림돌출부의 걸림구멍을 상,하로 각각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조작레버를 잠금로드와 함께 하강시켜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잠금조작을 수행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밀어 넣음에 따라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즉시 잠금로드가 조작레버와 함께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게 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operating lever protruding to the indoor side or both indoor and outdoor sides from the lower door frame of the glass door used in the opening, folding, or slim folding metho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It relates to a locking device in which a locking rod inserted into the door protrudes toward the door frame, and more specifically, a support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housing of the locking rod, and the top of the locking rod is provided. On the side, a storage space is formed into which the setting block is inserted with a pushing spring interposed, and the setting block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and a wedge-shape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tting block exposed to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In the rod housing, the lever hole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locking hole of the locking protrusion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so that the operating lever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he 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way, and as the operating lever is pushed in in this state, the locking rod is raised to the first open position along with the operating lever as soon a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It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that allows the user to very easily lock and unlock the door by holding the door handle in a standing position and using only the tip of the toe.

Figure R1020230193605
Figure R1020230193605

Description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본 발명은 여닫이 방식이나 폴딩 방식 또는 슬림 폴딩 방식으로 사용되는 글라스도어의 하부측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실내측 또는 실내와 실외 양측으로 돌출된 조작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해당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잠금로드가 문틀프레임측으로 출몰되도록 함으로서, 글라스도어의 개방작동을 임의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operating lever protruding to the indoor side or both indoor and outdoor sides from the lower door frame of the glass door used in the opening, folding, or slim folding metho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by controlling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It relates to a locking device that allows the opening operation of a glass door to be arbitrarily blocked by allowing the locking rod inserted into the door to protrude toward the door frame.

일반적으로 출입용 도어는 크게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과 폴딩 방식으로 대별되는 바, 이중에서 폴딩도어의 경우는 개방시의 공간활용도가 높은 장점으로 인하여 일반 주택이나 상가 또는 사무실 등지에서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에 들어서는 판유리를 이용하여 제작된 글라스도어의 좌,우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프레임을 제거하여 유리 부분이 차지하는 범위를 최대한으로 확보토록 한 글라스 폴딩도어 역시 널리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entrance doors are largely divided into swinging, sliding, and folding types. Among them, folding doors are increasingly used in general houses, shopping malls, and offices due to their advantage in high space utilization when open. Recently, glass folding doors that a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glass doors made of plate glass are removed to maximize the area occupied by the glass, and are also becoming widely available.

상기 글라스 폴딩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문짝을 제공하는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문틀프레임(2)을 따라 모두 닫아 놓더라도 시야를 가리는 부분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그 미관 역시 뛰어나기 때문에 실외의 조망기능과 인테리어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도 2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문틀프레임(2)을 따라 접어들이는 개방조작을 통하여 실내의 환기나 통로공간의 확보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glass folding door does not block the view at all even if each glass door (3) providing individual door leaves is closed along the door frame (2), and its aesthetics are also excellent. Because it opens,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outdoor view function and interior function, and as further shown in Figure 2, each glass door (3) is folded along the door frame (2) to open it. It also becomes possible to secure indoor ventilation and passage space.

상기와 같이 폴딩도어(1)를 제공하는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문틀프레임(2)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펼쳐내거나 접어들이는 닫힘조작과 개방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소 1개 이상(도면상 2개)의 글라스도어(3)에 손잡이(3a)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글라스도어(3)의 상,하부측 도어프레임(4)은 경첩(4a)으로 각각 연결되는 한편, 각각의 경첩(4a)이 상,하부측 문틀프레임(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미도시)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1) or more ( Handles 3a are connected to the two glass doors 3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s 4 of the adjacent glass doors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hinges 4a. , each hinge 4a is connected to a guide roller (not shown)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s 2.

또한, 상기 손잡이(3a)가 제공된 글라스도어(3)와 인접한 또 다른 글라스도어(3)의 하부측 도어프레임(4)에는 폴딩도어(1)의 개방조작을 임의로(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잠금장치(10)가 설치되어 있고, 폴딩도어(1)의 개방조작에 따라 각각의 글라스도어(3)가 완전히 접혀지는 시점에 잠금장치(10) 부분이 인접한 도어프레임(4) 부분과 충돌하지 않도록 고무 재질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완충용 스토퍼(10a)가 잠금장치(10)와 함께 도어프레임(4)상에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door frame (4) of another glass door (3) adjacent to the glass door (3) provided with the handle (3a) is provided so as to arbitrarily (selectively) block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olding door (1). A locking device (10) is installed, and when each glass door (3) is completely folded according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olding door (1), the locking device (10) does not collide with the adjacent door frame (4). A buffering stopper (10a) made of rubber or the like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4)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10)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damaged.

상기와 같이 글라스도어로서의 폴딩도어(1)에 설치되는 종래의 잠금장치(10)는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도어(3)의 하부측 도어프레임(4)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하우징(6)과, 상기 로드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프레임(2)의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로드(5)와, 폴딩도어(1)의 실내측 위치에서 상기 도어프레임(4)과 로드하우징(6)을 거쳐 잠금로드(5)와 연결 설치되는 조작레버(7)와, 상기 조작레버(7)에 의한 잠금로드(5)의 출몰 상태를 선택적으로 세팅하는 세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10 installed on the folding door 1 as a glass door is connected to the low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as shown in (a) and (b) of FIG. 3. ) A rod housing (6) inserted into the inside, a lock rod (5) installed to be retractable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 while inserted into the rod housing (6), and a folding door ( An operating lever (7) connected to the locking rod (5) through the door frame (4) and the rod housing (6) at the indoor position of 1), and a locking rod (5) by the operating lever (7) It consists of a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the appearance state of .

상기 세팅수단은 잠금로드(5)의 일측면(도면상 실외측) 상단부에 코일스프링(9)을 개재시킨 상태로 로드하우징(6)의 내측면과 밀착 설치되는 세팅볼(8)과, 상기 세팅볼(8)의 지지를 위하여 로드하우징(6)의 내측면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세팅홈(구면수납홈)(8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프레임(4)과 로드하우징(6)에는 조작레버(7)가 잠금로드(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레버홀(4b)(6a)이 수직 방향으로 대응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문틀프레임(2)에는 잠금로드(5)의 하측부가 삽입되는 로드홀(2a)이 형성되어 있다.The setting means includes a setting ball (8)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housing (6) with a coil spring (9) interpos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utdoor side in the drawing) of the locking rod (5); It consists of a pair of setting grooves (spherical storage grooves) 8a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d housing 6 to support the setting ball 8, and the door frame In (4) and the rod housing (6), lever holes (4b) (6a)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operation lever (7)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There is a rod hole (2a) formed in the door frame (2) in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rod (5) is inserted.

따라서,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7)가 잠금로드(5)와 함께 레버홀(4b)(6a)의 상단측 위치에 놓인 경우, 다시 말해서 상기 잠금로드(5)가 문틀프레임(2)의 로드홀(2a) 내부로 삽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슬라이드식으로 접어 폴딩도어(1)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눌러 내림에 따라 문틀프레임(2)의 로드홀(2a) 내부로 잠금로드(5)가 삽입될 경우에는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접어 폴딩도어(1)를 개방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3, when the operating lever 7 is plac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lever hole 4b and 6a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in other words, the locking rod 5 is If it is not inserted into the rod hole (2a) of the door frame (2), each glass door (3) can be slidably folded to open the folding door (1), and in this state, the folding door (1) can be opened. As in (b), when the control lever (7) is press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the locking rod (5) is inserted into the rod hole (2a) of the door frame (2). By folding each glass door (3), the folding door (1) cannot be opened.

상기와 같은 폴딩도어(1)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시 조작레버(7)에 의한 잠금로드(5)의 세팅위치에 맞추어 로드하우징(6)에 제공된 세팅홈(8a)의 내부로 세팅볼(8)이 위치하게 되는 한편, 해당 세팅볼(8)이 정해진 위치에서 코일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팅홈(8a)의 내측으로 밀착됨에 따라, 조작레버(7) 및 잠금로드(5)가 폴딩도어(1)의 잠금 또는 그 해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며, 코일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팅볼(8)이 세팅홈(8a)의 내부로 들어가는 시점에 발생하는 클릭음을 이용하여 정확한 세팅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When locking and unlocking the folding door (1) as described above, a setting ball ( 8) is positioned, while the corresponding setting ball (8)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setting groove (8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9) at the designated position, so that the operating lever (7) and the locking rod (5) The folding door (1) does not deviate from its locked or unlocked position, and uses the click sound that occurs when the setting ball (8) enters the inside of the setting groove (8a)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9). This allows you to know whether the setting is correct.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1)용 잠금장치(10)에 따르면, 도 3의 (가)에 도시된 잠금해제 상태에서 도 3의 (나)에 도시된 잠금상태로의 세팅조작은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발끝을 이용하여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눌러 내리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도 3의 (나)에 도시된 잠금상태를 도 3의 (가)에 도시된 잠금해제 상태로 다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매우 불편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10 for the folding door 1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operation from the unlocked state shown in (a) of FIG. 3 to the locked state shown in (b) of FIG. 3 is This can be done relatively simply by having the user press down the control lever (7)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using the tip of his toes in a standing position. However, the locking state shown in (b) of FIG. 3 can be changed to that of FI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r had to assume a very uncomfortable posture in order to restore the unlocked state shown in (a).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폴딩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무릎을 굽혀 앉은 자세 또는 허리를 과도하게 숙인 자세에서 한 손으로는 글라스도어(3)에 설치된 손잡이(3a)를 잡아 당기는 한편, 다른 한 손으로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당겨 올리는 방식의 불편하고 번거러운 자세와 조작이 요구된다는 것이며, 5개 이상의 글라스도어(3)가 2개 이상의 잠금장치(10)와 함께 설치된 경우에는 폴딩도어(1)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는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이 야기된다는 것이다.To be more specific, when wanting to unlock the folding door (1), the user must sit with his knees bent or his back excessively bent and use the handle (3a) installed on the glass door (3) with one hand. ), while pulling up the operating lever (7) with the locking rod (5) with the other hand, which requires an inconvenient and cumbersome posture and operation, and five or more glass doors (3) are required to be operated with two or more glass doors (3). When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10, significant inconvenience is caused in unlocking the folding door 1.

또한, 폴딩도어(1)의 잠금조작을 위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발끝으로 조작레버(7)를 눌러 내린 다음, 그 해제 조작을 위하여 사용자가 맨손으로 조작레버(7)를 당겨 올릴 경우, 신발의 바닥면에 들러붙어 있던 각종 오물이 조작레버(7)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에 묻어 나오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장갑을 끼거나 휴지를 쥔 상태로 조작레버(7)를 잡는 등의 불필요한 조치가 요구됨은 물론이고, 맨손으로 조작레버(7)를 만질 경우 그때마다 손을 씻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불편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lock the folding door (1), the user pushes down the operation lever (7) with his toes while wearing shoes, and then pulls up the operation lever (7) with his bare hands to unlock it. An unhygienic problem occurred where various dirt stuck to the bottom of the shoe got on the user's fingers through the operation lever (7). As a result, the user had to use the operation lever (7) while wearing gloves or holding a tissue. ), as well as requiring unnecessary measures such as holding the control lever (7) with bare hands, there was a problem of further aggravating the inconvenience to users because they had to wash their hands each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목적으로 해당 잠금장치(10)를 글라스도어(3)의 상부측 도어프레임(4)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상부측 문틀프레임(2)으로 밀어 올리는 방식의 잠금조작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코일스프링(9)과 세팅볼(8)만을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지지토록 한 불안정한 구조로 말미암아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에도 잠금로드(5)가 조작레버(7)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쉽게 내려와 의도치 않은 잠금 해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의 키높이를 넘어서는 중,대형의 글라스도어(3)에는 그 실질적인 설치와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avoid the above problems, with the locking device (10)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the operating lever (7) is connected with the locking rod (5).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by pushing up with the upper door frame (2), but due to the unstable structure that supports the locking state using only one coil spring (9) and setting ball (8), it is difficult to prevent damage from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that unintentional unlocking occurred as the locking rod (5) easily moved downward along with the operating lever (7) even with a small impact, and in medium and large glass doors (3) that exceed the height of the user, the actual There were problems with installation and use.

이와 더불어, 종래의 잠금장치(10)는 각각의 글라스도어(3)가 완전히 접혀지는 시점에 조작레버(7) 부분이 인접한 도어프레임(4)과 충돌하지 않도록 완충용 스토퍼(10a)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함으로서, 글라스도어(3)의 제작 및 폴딩도어(1)의 설치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완전히 접어들이는 시점에 조작레버(7)와 스토퍼(10a)가 글라스도어(3)의 사이마다 위치되어 폴딩도어(1)의 완전한 개방작동에 간섭을 초래함으로서,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폴딩도어(1)의 개방공간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하는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10, a buffering stopper 10a must be installed to prevent the operation lever 7 from colliding with the adjacent door frame 4 when each glass door 3 is completely folded. This has become a factor in increasing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glass door (3) and installing the folding door (1), and at the time of completely folding each glass door (3), the operating lever (7) and stopper (10a) is located between the glass doors (3) and causes interference in the complete opening operation of the folding door (1), thereby making each glass door (3) as close as possible to widen the open space of the folding door (1). There were also undesirable problems in terms of securing it.

참조사항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359747호(공고일자: 2022년 02월 14일)에 기재된 폴딩도어의 경우는, 판유리의 좌,우측과 상,하측에 걸쳐 도어프레임이 모두 적용된 글라스도어를 베이스로 하여, 좌측이나 우측의 수직형 도어프레임 중앙측에 핸들을 설치하고, 해당 도어프레임의 내측에는 핸들축에 결합되는 작동기어와, 상기 작동기어의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각각의 랙기어로부터 상,하부측 문틀프레임으로 연장되는 링크대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링크대 단부측에 상,하부측 문틀프레임으로 출몰되는 잠금봉을 설치한 핸들식 잠금장치가 적용되고 있다.As a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folding door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359747 (announcement date: February 14, 2022), the glass door has a door frame applied to the left, right, top, and bottom sides of the plate glass. As a base, a handl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a vertical door frame on the left or right side, an operating gear coupled to the handle axis on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a rack gear arrang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operating gear, and A link bar extending from each of the rack gears to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 is inserted and installed, and a handle-typ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end of each link bar with a locking rod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 It is being applied.

상기와 같은 핸들식 잠금장치는 핸들을 회전시키지 않을 경우 각각의 링크대 단부측에 고정된 잠금봉이 상,하부측 문틀프레임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폴딩도어가 잠금상태로 세팅 및 유지되고, 핸들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킬(젖힐) 경우에는 핸들축과 연결된 작동기어가 좌,우측 랙기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각각의 랙기어와 연결된 링크대를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당겨 들임에 따라, 각각의 링크대 단부측에 고정된 잠금봉이 상,하부측 문틀프레임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폴딩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handle-type locking device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is not rotated, the folding door is set and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as the locking rod fixed to the end of each link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s, and the handle is held on one side. When rotating (tilting) in one direction, the operating gear connected to the handle axis moves the left and right rack gear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pulling the link bar connected to each rack gear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The locking rod fixed to the end of each link bar comes out of the upper and lower door frames, making it possible to open the folding door.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의 핸들식 잠금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판유리의 상,하부측에만 도어프레임(4)이 설치된 글라스도어(3)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1)에는 그 적용 자체가 불가능하였고, 판유리의 좌,우측에 얇은 도어프레임이 적용된 슬림 폴딩 도어의 경우에도 그 적용이 매우 어렵게 되며, 1개 또는 2개의 글라스도어(3)를 여닫이 형태로 설치한 방식에 있어서도 도어용 손잡이 자체를 핸들식 잠금장치와 연결시키는 것은 그 기능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비합리적이기 때문에 거의 적용되지 않고 있다.However, the handle-type locking device of the above type is applied to the glass door (3) in which the door frame (4) is installed on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late glas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nd the folding door (1) using the same. This itself was impossible, and even in the case of a slim folding door with thin door frames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glass, its application is very difficult, and even in the method of installing one or two glass doors (3) in a hinged form, it is difficult to apply it for the door. Connecting the handle itself with a handle-type locking device is rarely applied because it is unreasonable when considering both functional and economic aspects.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35974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35974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글라스도어의 하부측 도어프레임으로부터 실내측 또는 실내나 실외 양측으로 돌출된 조작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해당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된 잠금로드가 문틀프레임측으로 출몰되는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잠금로드의 상단측과 로드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지지스프링을 개재시키고, 상기 잠금로드의 상측부에는 푸싱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세팅블록이 삽입되는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한편, 해당 세팅블록이 조작레버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측으로 노출되는 세팅블록상에 쐐기형 걸림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로드하우징에는 조작레버의 레버홀과 걸림돌출부의 걸림구멍을 상,하로 각각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조작레버를 잠금로드와 함께 하강시켜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폴딩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하고,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를 밀어 넣음에 따라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즉시 잠금로드가 조작레버와 함께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게 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에서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moving the operation lever protruding from the door frame on the lower side of the glass door to the indoor side or both indoors and outdoor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corresponding door frame is moved.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a locking rod inserted inside protrudes toward the door frame, wherein a support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and the bottom of the rod housing, and a pushing spr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A storage space into which the setting block is inserted is formed with the setting block interposed, and the setting block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A wedge-shaped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tting block exposed to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rod In the housing, the lever hole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catching hole of the locking protrusion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so that the operating lever is lowered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he l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n this state, as the operating lever is pushed in, the locking rod is raised to the first open posi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ng lever as soon a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he main technical task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that allows the user to very easily lock and unlock the door by holding the door handle in a standing position and using only the tip of the to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글라스도어의 하부측 도어프레임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하우징과, 상기 로드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로드와, 상기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을 거쳐 잠금로드와 연결 설치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의한 잠금로드의 출몰 상태를 선택적으로 세팅하는 세팅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에는 조작레버가 잠금로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레버홀이 수직 방향으로 대응 형성된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팅수단은 잠금로드의 상단측과 로드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잠금로드의 상측부에 제공된 수납공간상에 푸싱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되는 세팅블록과, 상기 수납공간의 개구된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세팅블록의 전방면 하측부에 쐐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가 푸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레버홀 하측의 로드하우징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레버는 실내측 위치 또는 실내와 실외 양측 위치에서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의 레버홀을 거쳐 세팅블록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를 잠금로드와 함께 레버홀을 따라 문틀프레임측으로 하강시키는 잠금조작에 의하여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 삽입되어 폴딩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내측 조작레버를 밀어 넣거나 실외측 조작레버를 당겨 내는 개방조작에 의하여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한편,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로드가 조작레버와 함께 레버홀을 따라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로드에 의한 폴딩도어의 잠금상태를 실외측에서 열쇠로 록킹하는 록킹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록킹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을 거쳐 실외측으로 노출되는 키뭉치와, 상기 키뭉치로부터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열쇠와 함께 축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폴딩도어의 잠금상태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수단은 로드하우징과 근접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서 작동축과 함께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레버와, 상기 키레버의 축회전 조작에 따라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 사이로 출몰되는 차단레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레버의 선단측에 잠금위치로 하강된 조작레버가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rod housing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on the lower side of the glass door, and an installation that can emerg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door fram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od housing. It includes a locking rod,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locking rod through the door frame and the rod housing, and a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the appearance/disappearance state of the locking rod by the operating lever, and the door frame and A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in which a lever hol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the rod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operating lever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wherein the setting means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and the rod housing. a suppor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rod, a setting block inserted and installed with a pushing spring interposed on the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 rod,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It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in a wedge shape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setting block, and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rod housing portion below the lever hol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The operat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setting block through the lever hole of the door frame and rod housing at the indoor position or both indoor and outdoor positions, and is used for the locking operation of lowering the operating lever along the lock rod to the door frame side along the lever hole.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folding door, an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opened by pushing the indoor operating lever or pulling the outdoor operating lever.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housing, the locking rod is raised along the lever hole along with the operating lever to the first opening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and th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lock the folding door by the locking rod. It further includes a locking device that locks the locking state with a key from the outdoor side, wherein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key bundle exposed to the outdoor side through the door frame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key, and the key bundle It includes an operating shaft that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talled to rotate with a key, and a locking means that locks the locked state of the folding door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storage case inserted into the door frame at a position close to the load housing, a key lever installed to rotate along the operating axis inside the storage case, and a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key lever. Accordingly, it includes a blocking lever that protrudes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road housing,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cking end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locking lever to block the operating lever lowered to the locked position from being raised to the open posi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측 조작레버를 잠금로드와 함께 발끝으로 눌러 내림에 따라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글라스도어의 잠금조작을 수행하고,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발끝으로 조작레버를 가볍게 툭 쳐서 밀어 넣음에 따라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즉시 잠금로드가 조작레버와 함께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게 하는 방식으로 글라스도어의 잠금해제 조작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글라스도어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glass door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as the indoor operation lever is pushed down with the locking rod with the tip of the foot. In the locked state, by lightly tapping and pushing the operating lever with your toe, the locking rod is raised to the first opening position along with the operating lever as soon as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hereby opening the glass door. By perform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it provide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very easily perform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glass door using only the tip of his or her toes in a standing position.

이를 통하여, 글라스도어의 잠금해제 조작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혀 앉거나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는 등의 불편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폴딩도어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손잡이만을 잡은 상태에서 발끝으로 잠금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폴딩도어를 완전히 접어 놓을 시에도 조작레버가 푸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팅블록과 함께 일정폭만큼 부드럽게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처럼 스토퍼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프레임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조작레버가 용이하게 흡수(완충)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글라스도어를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폴딩도어의 개방공간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is, when unlocking the glass door, the user does not have to take an uncomfortable posture such as bending the knees or bending the waist excessively, and even in the case of a folding door, the user can stand up and hold only the handle and touch the handle with his or her toes. The unlock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even when the folding door is completely folded, the operating lever is smoothly pushed in with the setting block by a certain width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so a stopper is add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Even when not installed, the operating lever can easily absorb (buffer) the shock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hitting the door frame, and at the same time, each glass door is adhered as closely as possible, securing a wider open space for the folding door. provides.

특히,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글라스도어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의 바닥면에 들러붙어 있던 각종 오물이 조작레버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에 묻어 나오는 등의 비위생적인 상황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상기 조작레버를 실외측에도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해당 조작레버를 발끝이나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는 잠금조작과 더불어, 해당 조작레버를 손가락으로 당겨 내는 방식의 잠금해제 조작도 가능토록 함으로서, 글라스도어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조작레버가 세팅블록과 함께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에 걸리는 잠금 위치를 바닥면과 최대한 근접시켜 글라스도어의 잠금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세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since the user can lock and unlock the glass door using only the tip of his toes in a standing position, various dirt stuck to the bottom of the shoe is deposited on the user's fingers through the operation lever.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unhygienic situations such as spills, a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operation lever on the outdoor side, in addition to the locking operation by pushing down the operation lever with the toe or finger, the operation lever can be pulled down with the finger. By enabl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glass door, and the operation lever, together with the setting block,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on the bottom. This provides the effect of setting the locking state of the glass door more stably by as close to as possible.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장치를 록킹장치와 함께 설치한 경우에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글라스도어를 잠금상태로 일차 세팅한 다음, 실외측으로 노출된 키뭉치로 열쇠를 삽입시켜 키뭉치의 작동축을 키레버와 함께 축회전시킴에 따라 차단레버 선단측의 걸림단부가 조작레버의 상측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잠금상태의 록킹조작도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레버를 누르거나 당기는 잠금해제 조작에도 불구하고 조작레버가 잠금로드와 함께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시켜 글라스도어의 사용에 따른 보안기능 역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together with a locking device, the glass door is initially set to the locked state using the indoor or outdoor operation lever, and then the key is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exposed to the outdoor side to lock the key bundle. By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together with the key lever, the locking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locking lever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ng lever,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in the locked state can be performed easily and accurately.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and accurately by pressing or pulling the operating lever. This provides a very useful effect, such as ensuring sufficient security functions for the use of the glass door by reliably blocking the operation lever from being raised to the open position along with the lock rod despite the release operation.

도 1은 폴딩도어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폴딩도어가 접혀지는 방식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3의 (가) 및 (나)는 종래의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가 도어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와 그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가 도어프레임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측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발췌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발췌 일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요부 발췌 측단면도.
도 9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록킹장치의 작동방식을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단면도.
Figure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door.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how the folding door of Figure 1 is folded.
Figures 3 (a) and (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is installed on a door frame and its operation method.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main portion of Figure 4.
Figure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5.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6.
Figures 8 (a) and (b)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 and (b) are front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used with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도어(3)용 잠금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폴딩도어(1) 뿐만 아니라, 판유리의 좌,우측에 얇은 도어프레임이 적용된 슬림 폴딩 도어로부터 1개 또는 2개의 글라스도어(3)를 여닫이 형태로 설치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미닫이 방식의 도어를 제외한 어떠한 종류의 글라스도어(3)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임을 서두에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ocking device 10 for a glass doo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lding shape shown in FIGS. 1 and 2. In addition to the door (1), any type of door other than a sliding door, ranging from a slim folding door with a thin door frame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glass to cases where one or two glass doors (3) are installed in a hinged form. We make it clear at the outset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the glass door (3).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도어(3)용 잠금장치(10)에 있어서도 도 4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도어(3)의 하부측 도어프레임(4)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하우징(6)과, 상기 로드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프레임(2)의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로드(5)와, 상기 도어프레임(4)으로부터 로드하우징(6)을 거쳐 잠금로드(5)와 연결 설치되는 조작레버(7)와, 상기 조작레버(7)에 의한 잠금로드(5)의 출몰 상태를 선택적으로 세팅하는 세팅수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locking device 10 for the glass door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7, a rod housing ( 6), and a locking rod (5) installed to be retractable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2) while inserted into the rod housing (6), and a rod housing (6) from the door frame (4) It basically includes an operating lever (7) connected to the locking rod (5) and a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the appearance/disappearance state of the locking rod (5) by the operating lever (7).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도어프레임(4)의 실내와 실외 양측에 걸쳐 조작레버(7)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조작레버(7)가 관통되는 도어프레임(4)의 실내측 표면과 실외측 표면상에는 조작레버(7)의 작동을 지지하는 보강판(11)이 조립볼트(11a)에 의하여 추가로 덧대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7)가 잠금로드(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소정 길이의 수직형 레버홀(4b)(6a)(11b)은 도 5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하우징(6)의 전,후방면과 이에 대응되는 도어프레임(4)의 표면 및 보강판(11)에 걸쳐 대응 형성되어 있다.Based on FIGS. 4 and 5, operating levers 7 are provided on bo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of the door frame 4, and the door frame 4 through which each operating lever 7 penetrates. A reinforcing plate 11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lever 7 is installed on the indoor surface and the outdoor surface of the operation lever 7 by additionally adding an assembly bolt 11a, and the operation lever 7 is connected to a locking rod ( As shown in FIGS. 5 to 7, vertical lever holes (4b), (6a) (11b)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ogether with 5) of the load housing (6).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door frame 4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1.

또한, 상기 보강판(11)의 좌,우 양측에는 조립볼트(11a)의 체결을 위한 볼트홀(11c)이 형성되어 있고, 실외측 보강판(11)은 이후에 설명되어질 록킹장치(20)용 키뭉치(22)를 홀더링(23)과 함께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실내측 보강판(11)보다 길게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하우징(6)의 전,후방면에도 조립볼트(11a)의 체결을 위한 한 쌍의 조립돌출부(6b)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조립돌출부(6b) 중에서 택일한 하나의 조립돌출부(6b)가 록킹장치(20)용 차단레버(28)의 가이드축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7)는 막대형 레버축의 일측단에 누름조작이나 당김조작을 위한 노브(Knob: 손잡이)식 레버헤드(7a)가 제공되어 있고, 그 타측단에 잠금로드(5) 부분과의 볼트식 체결단부(7b)가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bolt holes 11c for fastening assembly bolts 11a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inforcement plate 11, and the outdoor reinforcement plate 11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manufactured longer than the interior reinforcement plate (11) so that the key assembly (22)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together with the holder ring (23), and the assembly bolt (11a)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rod housing (6). A pair of assembly protrusions (6b) are provided for fastening, and one assembly protrusion (6b) selected from among the assembly protrusions (6b) provides the guide shaft function of the blocking lever (28) for the locking device (20). The operating lever 7 is provided with a knob-type lever head 7a for pressing or pulling operation at one end of the rod-shaped lever shaft, and a locking rod 5 at the other end. ) A bolted fastening end (7b) with the part is provided.

상기와 같이 실내측과 실외측에 걸쳐 잠금장치(10)용 조작레버(7)를 모두 설치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조작레버(7)를 실내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록킹장치(10)용 키뭉치(22)의 경우에도 실외측이 아닌 실내측에 제공되거나 실내와 실외 양측 모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판(11)은 도어프레임(4)의 외관 및 조작레버(7)의 지지력 향상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부가적인 수단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보강판(11)을 생략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립볼트(11a)와 키뭉치(22)는 도어프레임(4)상에 직접 설치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lever 7 for the lock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on both the indoor and outdoor sides. However, in some cases, the operation lever 7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indoor side, and the lock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only on the indoor side. In the case of the key bundle 22 for the device 10, it can be provided on the indoor side instead of the outdoor side, or on both indoor and outdoor sides,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1 is us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door frame 4 and the operating lever. As an additional mean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of (7), the reinforcing plate (11) may be omitted if necessary, in which case the assembly bolt (11a) and key assembly (22) are attached to the door frame (4). ) will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조작레버(7)에 의한 잠금로드(5)의 출몰 상태를 선택적으로 세팅하는 세팅수단은 도 5 내지 도 7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로드(5)의 상단측과 로드하우징(6)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스프링(14)과, 상기 잠금로드(5)의 상측부에 제공된 수납공간(17)상에 푸싱스프링(18)을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되는 세팅블록(15)과, 상기 수납공간(17)의 개구된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세팅블록(15)의 전방면 하측부에 쐐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출부(16)와, 상기 걸림돌출부(16)가 푸싱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레버홀(6a)의 하측에 제공되는 걸림구멍(13)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것이다.A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actical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the appearance/disappearance state of the lock rod (5) by the operation lever (7) is, as shown in FIGS. 5 to 7, the lock rod (5) A state in which a support spring (14)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od housing (6)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housing (6), and a pushing spring (18) is interposed on the storage space (17)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5). A setting block 15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7, a locking protrusion 16 formed in a wedge shape on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setting block 15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17, and ,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hole 13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ever hole 6a so that it is lock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도면상 상기 지지스프링(14)은 코일스프링으로 하여 잠금로드(5)의 몸통을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잠금로드(5)의 상단측에는 지지스프링(14)의 단부측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판 형태의 누름판(5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로드(5)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로드하우징(6)의 상단면에는 하우징커버(12)가 조립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커버(12)의 장착을 위하여 로드하우징(6)의 상단면 모서리측에는 조립구멍(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커버(12)의 바닥면 모서리측에는 로드하우징(6)의 조립구멍(12a)과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조립부(미도시)가 제공될 것이다.In the drawing, the support spring 14 is installed as a coil spring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body of the locking rod 5 from the outside, and the end side of the support spring 14 is elastically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rod 5. A pressing plate (5a) in the form of a disk that is in close contact is formed integrally, and a housing cover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housing (6) to prevent the locking rod (5)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14). ) is assembled and installed, and an assembly hole (12a)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rod housing (6) for mounting the housing cover (12), and the rod housing is formed on the bottom edge of the housing cover (12). A fitting assembly part (not shown) that is assembled by fitting into the assembly hole 12a of (6) will be provided.

이와 더불어, 상기 세팅블록(15)의 경우는 좌,우측 중앙부에 날개 형태의 가이드부(15b)가 돌출 형성된 사각 블록 형태가 되고, 상기 푸싱스프링(18)의 경우도 코일스프링으로 하여 잠금로드(5) 상측의 수납공간(17) 내부로 세팅블록(15)과 함께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17)은 푸싱스프링(18)의 지지를 위한 후방측 부분과 세팅블록(15)의 수납을 위한 좌,우측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방측 입구 부분과 상단측 부분이 개구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공간(17)의 좌,우 내측에는 세팅블록(15)의 가이드부(15b)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tting block 15 has a square block shape with wing-shaped guide parts 15b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central parts, and the pushing spring 18 is also a coil spring and has a locking rod ( 5)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together with the setting block 15 into the upper storage space 17, and the storage space 17 includes a rear portion for supporting the pushing spring 18 and storage of the setting block 15. Except for the left and right parts, the front entrance part and the upper part are formed to have an open shape, and the guide part 15b of the setting block 15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of the storage space 17. ) is each formed with a guide groove (17a) into which it is inserted.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7)는 실내측 위치 또는 실내와 실외 양측 위치에서 보강판(11)과 도어프레임(4) 및 로드하우징(6)의 레버홀(4b)(6a)(11b)을 거쳐 세팅블록(15)과 연결 설치될 것이고, 상기 세팅블록(15)의 전방면 또는 전,후방면 상단측에 조작레버(7)의 체결단부(7b)가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체결공(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7)를 실내와 실외 양측 위치에 모두 설치할 경우에 한하여 잠금로드(5)의 후방면 상단측 부분에도 수납공간(17)의 내부로 실외측 조작레버(7)를 삽입시켜 해당 조작레버(7)를 세팅블록(15)과 연결시키기 위한 관통구멍(5b)이 형성될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ing lever 7 passes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11, the door frame 4, and the lever holes 4b, 6a, and 11b of the load housing 6 at the indoor position or both indoor and outdoor positions. A fastening hole (15a) to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setting block (15), and to which the fastening end (7b) of the operating lever (7) is screw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o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tting block (15). is formed, and only in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lever (7) is installed both indoors and outdoors, the outdoor operation lever (7) is installed at the upper rear surface of the lock rod (5) into the storage space (17). By inserting, a through hole (5b) will be formed to connect the operation lever (7) to the setting block (15).

그리고, 상기 푸싱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돌출부(16)가 형성된 세팅블록(15)의 전방면이 로드하우징(6)의 전방 내측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한편, 수납공간(17)의 내측 후방으로 세팅블록(15)이 밀려날 수 있는 여유공간(도 8 참조)이 제공될 것이고, 상기 걸림돌출부(16)는 세팅블록(15)의 전방면 하단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면 부분과, 해당 경사면의 상단측에서 세팅블록(15)의 전방면과 단지게 연결되는 평면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돌출부(16)의 평면부가 걸리는 걸림구멍(13)은 로드홀(6a)의 하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로드하우징(6)의 전방면에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tting block 15 o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formed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front inner surface of the load housing 6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while the storage space 17 A clearance space (see FIG. 8) through which the setting block 15 can be pushed to the inner rear will be provid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16 ha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face of the setting block 15, It is formed of a flat portion that is just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tting block (15)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atching hole (13) into which the flat por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16) catches corresponds to the lower side of the rod hole (6a). It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rod housing (6) at the position.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로드홀(6b)과 걸림구멍(13)이 형성된 로드하우징(6)의 전방면 중앙측이 절개부(19a)에 의하여 로드하우징(6)의 나머지 몸체 부분과 별도로 분리된 세팅부(19)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14)은 해당 절개부(19a)를 거쳐 세팅부(19)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로드하우징(6)의 내측면과 밀착된 세팅블록(15)을 조작레버(7)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에 걸리는 조작이 지지스프링(14)에 의하여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 것이다.Based on the attached FIGS. 6 and 7, the front center side of the rod housing 6 where the rod hole 6b and the locking hole 13 are formed is cut into the rod housing 6 by a cutout portion 19a. It forms a setting part 19 that is separate from the rest of the body, and the support spring 14 is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tting part 19 through the corresponding cut part 19a, which is the load housing. The setting block (15),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6), is smoothly mo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ith the operating lever (7),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16) of the setting block (15) is connected to the load housing (6). This i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hole (13)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support spring (14).

상기와 같이 로드홀(6a)과 걸림구멍(13)이 형성된 세팅부(19)를 로드하우징(6)과 별도로 분리시키지 않고 로드하우징(6)의 전방면상에 로드홀(6a)과 걸림구멍(13)만을 형성시킨 다음, 조작레버(7)를 잠금위치까지 내림에 따라 하부로 압축된 지지스프링(14) 부분에 의하여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에 걸리는 조작이 간섭을 받지 않도록 걸림돌출부(16)의 위치나 형태 및 지지스프링(14)의 치수 등을 조정시키는 방식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세팅부(19)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로드하우징(6)의 후방측에 제공되는 로드홀(6a)은 단순한 절개부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portion 19 in which the rod hole 6a and the locking hole 13 are formed is not separated from the rod housing 6, but the rod hole 6a and the locking hole ( After forming only 13), the locking protrusion 16 of the setting block 15 is caught by the load housing 6 by the support spring 14 compressed downward as the operation lever 7 is lowered to the locking pos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locking protrusion 16 and the size of the support spring 1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anipulation of the hole 13, and the The rod hole 6a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rod housing 6 from the viewing 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imple cutou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10)를 이용하여 글라스도어(3)를 잠금상태로 세팅하는 과정은 도 8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4)과 보강판(11) 및 로드하우징(6)에 제공된 레버홀(4b)(6a)(11b)의 상단측 위치에 조작레버(7)가 위치한 잠금해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끝을 이용하여 조작레버(7)를 하부 방향으로 내려 누름에 따라, 도 8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로드(5)가 지지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조작레버(7)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내려오다가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푸싱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The process of setting the glass door (3) to a locked state using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ludes the door frame (4) and the reinforcement plate ( 11) and in the unlocked state where the operation lever (7) is locat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lever hole (4b) (6a) (11b) provided in the load housing (6), the user uses the tip of his toe to lower the operation lever (7). As you press down in the direction, as shown in (b) of FIG. 8, the locking rod (5) compresses the support spring (14) and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control lever (7) and moves to the setting block (15). ) of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3 of the rod housing 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내려 누름에 따라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에 제공된 경사면이 걸림구멍(13)의 상측부와 접촉된 상태로 밀려 내려오는 한편, 이 과정에서 세팅블록(15)이 푸싱스프링(16)을 압축하면서 수납공간(17)의 후방측(도 8 기준 좌측)으로 밀려 들어갔다가 걸림돌출부(16)의 상단측 평면부가 걸림구멍(13)으로 진입되는 즉시 푸싱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하여 세팅블록(15)이 다시 전방측(도 8 기준 우측)으로 돌출되면서 걸림돌출부(16)의 상단측 평면부가 걸림구멍(13)의 내측 상부면에 걸림 고정되는 방식으로 글라스도어(3)의 잠금조작이 수행된다는 것이다.To be more specific, as the operation lever (7) is press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locking protrusion (16) of the setting block (15) moves to the top of the locking hole (13). While being pushed down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side, in this process, the setting block 15 compresses the pushing spring 16 and is pushed into the rear side (left side in FIG. 8) of the storage space 17, and then the locking protrusion 16 As soon as the upper flat part of ) enters the locking hole 13, the setting block 15 protrudes again to the front side (right side in FIG. 8)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and the upper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16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glass door (3)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flat part is fasten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hole (13).

상기와 같이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푸싱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으로 견고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스프링(14)이 잠금로드(5)를 상부 방향(개방 위치)으로 밀어낼 수 없는 조건하에서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며,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실내측 조작레버(7)를 발끝으로 툭 쳐서 밀어 넣거나, 실외측 조작레버(7)를 외부로 당겨 내게 되면, 세팅블록(15)이 푸싱스프링(18)을 압축하면서 수납공간(17)의 후방측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지지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로드(5)가 조작레버(7)와 함께 최초의 개방위치로 즉시 상승됨에 따라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cking protrusion 16 of the setting block 15 is firmly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3 of the rod housing 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the support spring 14 is locked. The locking state of the glass door (3) is stably maintain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od (5) cannot be pushed upward (open position), and in this locked state, the indoor operation lever (7) can be pushed by tapping it with the toe. When the setting block (15) is inserted or the outdoor operation lever (7) is pulled outward, the setting block (15) is pushed into the rear side of the storage space (17) while compressing the pushing spring (18), which causes the setting block (15) to be pushed in. At the same time that the locking protrusion (16)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3) of the rod housing (6), the locking rod (5) is immediately moved to the first open posi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ng lever (7)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upport spring (14). As it rises, the lock state of the glass door (3) is releas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를 글라스도어(3)에 설치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외출을 하거나 가게의 영업을 마치고 퇴근을 하는 등의 상황에 맞추어 제 3자가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를 임의대로 해제시키지 못하도록 열쇠(21)를 이용한 록킹장치(2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록킹장치(20)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보다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10)와 연계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보다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라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installing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lass door 3, a third party can lock the glass door 3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such as when the user goes out for a long time or returns home from work after closing the store.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install a locking device (20) using a key (21) to prevent the locking state from being arbitrarily released. Rather than installing the locking device (20) separately,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nked installation method can be seen as more reasonable and economical.

이를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열쇠(21)를 이용한 록킹장치(20)가 본 발명의 잠금장치(10)와 함께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것을 최적 실시예로 하였는 바, 상기 록킹장치(20)는 열쇠(21)를 이용하여 록킹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4) 및 보강판(11)을 거쳐 실외측으로 노출되는 키뭉치(22)와, 상기 키뭉치(22)로부터 도어프레임(4)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열쇠(21)와 함께 축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27)과, 상기 작동축(27)의 축회전에 따라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in Figures 4 to 6, the locking device 20 using a key 21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4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timal embodiment, and the locking device ( 20) is a key bundle 22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frame 4 and the reinforcement plate 11 so that the loc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key 21, and the door frame from the key bundle 22 The operating shaft (27) is installed to rotate with the key (21) while protruding to the inside of (4)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glass door (3) is locked according to the axis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27). It consists of a locking means for locking.

상기 록킹수단은 로드하우징(6)과 근접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4)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수납케이스(24)와, 상기 수납케이스(24)의 내부에서 작동축(27)과 함께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레버(25)와, 상기 키레버(25)의 축회전 조작에 따라 도어프레임(4)과 로드하우징(6) 사이로 출몰되는 차단레버(2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레버(28)의 선단측에 잠금위치로 하강된 조작레버(7)가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단부(28c)가 제공되어 있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storage case (24) inserted into the door frame (4) at a position close to the rod housing (6), and a shaft rotating with an operating shaft (27) inside the storage case (24). It is composed of a key lever (25) that can be installed and a blocking lever (28) that appears between the door frame (4) and the load housing (6)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of the key lever (25), and the blocking lever A locking end 28c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28) to block the operation lever 7 lowered to the locked position from being raised to the open position.

도면상 상기 수납케이스(24)는 실외측 방향에 해당하는 도어프레임(4)의 내측면과 맞대어지는 후방 벽체 부분을 베이스로 하여, 그 하단측에 상기 키레버(25)가 놓여지는 바닥판 부분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그 일측에 잠금장치(10)의 로드하우징(6)과 맞대어지는 측판 부분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판의 외측에 로드하우징(6)과의 조립을 위한 끼움조립부(24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해당 끼움조립부(24a)와 대응되는 위치의 로드하우징(6) 벽체상에 미도시된 수납케이스(24)용 조립구멍이 제공될 것이다.In the drawing, the storage case 24 is based on the rear wall por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door frame 4 corresponding to the outdoor direction,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where the key lever 25 is placed on the lower side. While this connection is installed, a side plate part that butts against the rod housing 6 of the locking device 10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one side, and a fitting assembly for assembly with the rod housing 6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 24a) is formed to protrude, and an assembly hole for the storage case 24 (not shown) will be provided on the wall of the rod housing 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assembly portion 24a.

그리고, 상기 키레버(25)는 파이프 형태의 레버축(25a) 상단에 막대판 형태의 록킹레버(25b)가 일체로 연결 설치된 것이고, 상기 레버축(25a)의 길이 방향에 걸쳐 키뭉치(22)의 작동축(27)이 삽입되는 축조립공(27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단레버(28)의 후단부측에는 키레버(25)의 축회전 조작을 이용하여 차단레버(28)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록킹레버(25b)와 연계되는 레버프레임(28a)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레버프레임(28a)은 키레버(25) 상단측의 록킹레버(25b)가 삽입되도록 차단레버(28)의 후단측 상부면으로부터 개략 "┌" 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key lever 25 has a locking lever 25b in the form of a bar plat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top of the pipe-shaped lever shaft 25a, and a key bundle 2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shaft 25a. ) is formed through a shaft assembly hole (27a) into which the operating shaft (27) is inserted, and the blocking lever (28) is horizontally position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blocking lever (28) using the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key lever (25). A lever frame (28a) is provided connected to the locking lever (25b) so that i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and the lever frame (28a) is a blocking lever so that the locking lever (25b) on the upper side of the key lever (25) is inserted.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upper surface of (28) in a roughly “┌” shape.

상기와 같이 키레버(25)의 축회전 조작에 따라 차단레버(28)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그 선단측의 걸림단부(28c)가 로드홀(6a)측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것이 잠금장치(10)의 실질적인 록킹조작으로 구현되는 것이며, 해당 록킹조작을 보다 더 정확하게 수행할 있도록 로드하우징(6)의 일측(도 6 기준 좌측) 전방면에 형성된 조립돌출부(6b)를 차단레버(28)의 가이드축으로 활용하는 한편, 상기 로드하우징(6)과 함께 차단레버(28)를 추가로 지지하는 가이드커버(26)가 수납케이스(24)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lever 28 is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key lever 25 so that the locking end 28c on the distal end appears toward the rod hole 6a. The locking device 10 ) is implemented as a practical locking operation, and in order to perform the locking operation more accurately, the assembly protrusion 6b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one side (left side in FIG. 6) of the rod housing 6 is guided by the blocking lever 28. A guide cover 26 that is used as an axis and additionally supports the blocking lever 28 together with the load housing 6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case 24.

상기와 같이 로드하우징(6) 전방면의 조립돌출부(6b)가 차단레버(28)의 가이드축이 될 수 있도록 차단레버(28)의 중앙부에는 조립돌출부(6b)가 삽입되는 가이드공(28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커버(26)의 일측(도 6 기준 우측) 단부에도 조립돌출부(6b)의 삽입구멍(26b)이 형성되는 한편, 그 중앙측에는 키레버(25)의 레버축(25a) 단부가 삽입되는 축지지공(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커버(26)의 타측단에 수납케이스(24)와의 조립을 위한 한 쌍의 연결로드(29)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연결로드(29) 후단부측과 이에 대응되는 수납케이스(24)의 후방 벽체상에 끼움조립부(29a)와 조립구멍(2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 guide hole (28b) into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6b) is inserted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blocking lever (28) so that the assembly protrusion (6b)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ad housing (6) can become the guide axis of the blocking lever (28). is formed, and an insertion hole 26b of the assembly protrusion 6b is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cover 26 (right side in FIG. 6), while the lever shaft 25a of the key lever 25 is formed on the center side thereof. ) A shaft support hole 26a into which the end is inserted is formed, and a pair of connecting rods 29 for assembly with the storage case 24 are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guide cover 26, and each of the A fitting assembly portion 29a and an assembly hole 24b are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connecting rod 29 and the corresponding rear wall of the storage case 24, respectively.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록킹장치(20)를 이용하여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를 록킹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도 9의 (가)에 도시된 언록킹(Unlocking) 상태에서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내려 누름에 따라 글라스도어(3)를 잠금상태로 일차 세팅한 다음, 도어프레임(4)을 거쳐 실외측으로 노출된 키뭉치(22)의 키홀로 열쇠(21)를 삽입하여 키뭉치(22)의 작동축(27)을 키레버(25)와 함께 축회전시킴으로서, 도 9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레버(25)의 록킹레버(25b)가 차단레버(28)를 측방향으로 밀어내면서 그 선단측의 걸림단부(28c)가 조작레버(7)의 레버축 상부면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To briefly explain the process of locking the glass door 3 using the locking device 20 configured as above, in the unlocked state shown in (a) of FIG. 9, the operation lever By pressing (7) down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the glass door (3) is initially set to the locked state, and then the key ( 21) is inserted to rotate the operating shaft 27 of the key assembly 22 together with the key lever 25, as shown in (b) of FIG. 9, the locking lever 25b of the key lever 25 ) is performed by pushing the blocking lever 28 in the side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end 28c on the distal end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shaft of the operating lever 7.

상기와 같이 차단레버(28) 선단측의 걸림단부(28c)가 조작레버(7)의 레버축 상부면에 놓이게 되면, 실내측 조작레버(7)를 밀어 넣거나 실외측 조작레버(7)를 당겨 내는 잠금해제 조작에도 불구하고 조작레버(7)가 잠금로드(5)와 함께 개방위치로 상승되지 아니하며, 열쇠를 가진 특정한 사람만이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반대의 순서로 하여 잠금장치(10)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에만 글라스도어(3)를 개방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킹장치(20)의 세부적인 구성 역시 도면에 도시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end 28c on the front end of the blocking lever 28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axis of the operating lever 7, the indoor operating lever 7 is pushed in or the outdoor operating lever 7 is pulled. Despite the unlocking operation, the operating lever (7) does not rise to the open position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and only a specific person with a key can lock the locking device (10) in the reverse order to that previously described. The glass door 3 can be opened only when the state is released, and if this function can be achieve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shown in the drawing. We would like to clarify that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측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발끝으로 눌러 내림에 따라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에 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글라스도어(3)의 잠금조작을 수행하고,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발끝으로 조작레버(7)를 가볍게 툭 쳐서 밀어 넣음에 따라 세팅블록(15)의 걸림돌출부(16)가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으로부터 이탈되는 즉시 잠금로드(5)가 조작레버(7)와 함께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게 하는 방식으로 글라스도어(3)의 잠금해제 조작을 수행토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글라스도어(3)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as the indoor operating lever (7) is pressed down with the locking rod (5) with the toe, the locking protrusion (16) of the setting block (15) is attached to the rod housing (6). The locking operation of the glass door (3)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it is caught in the locking hole (13), and in this locked state,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15) is pushed in by lightly tapping the control lever (7) with the tip of the toe. As soon as (16)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13) of the rod housing (6), the glass door (3) is unlocked in such a way that the locking rod (5) is raised to the first open position together with the operating lever (7). By performing the operation, the user can very easily perform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s of the glass door 3 using only the tip of his toes in a standing position.

이를 통하여, 글라스도어(3)의 잠금해제 조작시 사용자가 무릎을 굽혀 앉거나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는 등의 불편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폴딩도어(1)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손잡이(3a)만을 잡은 상태에서 발끝으로 잠금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폴딩도어(1)를 완전히 접어 놓을 시에도 조작레버(7)가 푸싱스프링(18)의 탄성력에 의하여 세팅블록(15)과 함께 일정폭만큼 부드럽게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처럼 스토퍼(10a)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어프레임(4)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조작레버(7)가 용이하게 흡수(완충)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글라스도어(3)를 최대한으로 밀착시켜 폴딩도어(1)의 개방공간을 보다 더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operating the unlocking of the glass door (3), the user does not have to take an uncomfortable posture such as bending the knees or bending the waist excessively, and in the case of the folding door (1), the user can also be used in a standing position. The unlock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 the tip of the toe while holding only the handle (3a), and even when the folding door (1) is completely folded, the operation lever (7) moves into the setting block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18). Since it is gently pushed along with (15) by a certain width, the control lever (7) easily absorbs the shock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hitting the door frame (4) even if the stopper (10a) is not additionally install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r open space of the folding door (1) by attaching each glass door (3) as closely as possible.

특히, 사용자가 일어선 자세로 발끝 부분만을 이용하여 글라스도어(3)의 잠금 및 그 해제 조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신발의 바닥면에 들러붙어 있던 각종 오물이 조작레버(7)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부위에 묻어 나오는 등의 비위생적인 상황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조작레버(7)를 실외측에도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해당 조작레버(7)를 발끝이나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는 잠금조작과 더불어, 해당 조작레버(7)를 손가락으로 당겨 내는 방식의 잠금해제 조작도 가능토록 함으로서, 글라스도어(3)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조작레버(7)가 세팅블록(15)과 함께 로드하우징(6)의 걸림구멍(13)에 걸리는 잠금 위치를 바닥면과 최대한 근접시켜 글라스도어(3)의 잠금상태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user can perform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glass door (3) using only the tip of the toe in a standing position, various dirt stuck to the bottom of the shoe is removed through the operation lever (7). This can prevent unhygienic situations such as stains on the user's fingers, a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operation lever (7) on the outdoor side, in addition to the locking operation by pressing down the operation lever (7) with the toe or finger, , by enabling the unlocking operation by pulling out the corresponding operating lever (7) with a finger,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glass door (3)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operating lever (7) is connected to the setting block ( 15),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hole 13 of the rod housing 6 is as close to the floor as possible, so that the locking state of the glass door 3 can be set more stably.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장치(10)를 록킹장치(20)와 함께 설치한 경우에는 실내측 또는 실외측 조작레버(7)를 이용하여 글라스도어(3)를 잠금상태로 일차 세팅한 다음, 실외측으로 노출된 키뭉치(22)로 열쇠(21)를 삽입시켜 키뭉치(22)의 작동축(27)을 키레버(25)와 함께 축회전시킴에 따라 차단레버(28) 선단측의 걸림단부(28c)가 조작레버(7)의 상측에 놓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잠금상태의 록킹조작도 손쉽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레버(7)를 누르거나 당기는 잠금해제 조작에도 불구하고 조작레버(7)가 잠금로드(5)와 함께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시켜 글라스도어(3)의 사용에 따른 보안기능 역시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ocking device 10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20, the glass door 3 is initially set to the locked state using the indoor or outdoor operation lever 7, and then is moved to the outdoor side. By inserting the key 21 into the exposed key cluster 22 and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27 of the key cluster 22 together with the key lever 25, the locking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locking lever 28 ( By placing 28c) on the upper side of the operation lever (7), the locking operation in the locked state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despite the unlocking operation of pressing or pulling the operation lever (7), the operation lever (7) is The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glass door (3) can also be sufficiently secured by reliably blocking it from rising to the open position along with the locking rod (5).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10)가 록킹장치(20)와 함께 글라스도어(3)의 하부측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것을 대표적인 일례로 하였으나, 앞선 종래기술의 내용에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를 록킹장치(20)와 함께 글라스도어(3)의 상부측 도어프레임(4)에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 경우 본 발명의 잠금장치(10)가 록킹장치(20)와 함께 상부측 도어프레임(4)에 설치되는 상태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이를 180도 각도로 뒤집어 놓은 형태가 될 것이다.Lastly, in the description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low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20 as a representative example, but the previous conventional As mentioned in the technical content, it is to be noted that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20. In this case,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4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20 will be turned over at an angle of 180 degrees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ures 8 and 9. will b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10)가 록킹장치(20)와 함께 글라스도어(3)의 상부측 도어프레임(4)에 설치된 경우, 조작레버(7)를 잠금로드(5)와 함께 상부로 밀어 올리는 조작에 의하여 글라스도어(3)가 잠금상태로 세팅될 것이고, 그 해제 조작은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실내측 조작레버(7)를 도어프레임(4)측으로 누르거나, 실외측 조작레버(7)를 외부로 당겨 내는 조작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며, 록킹장치(20)를 이용한 잠금상태의 록킹조작은 상기 차단레버(28)의 걸림단부(28c)가 조작레버(7)의 하부측에 놓이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door frame (4) of the glass door (3) together with the locking device (20), the operating lever (7) is moved to the upper part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5). The glass door (3) will be set to the locked state by pushing it up, and the unlocking operation can be done by pressing the indoor operating lever (7) toward the door frame (4) using the palm or finger, or pressing the outdoor operating lever (7) toward the door frame (4). (7) will be performed by pulling it outward, and the locking operation in the locked state using the locking device (20) will be performed so that the locking end (28c) of the blocking lever (28)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ng lever (7). This will be done in the same way as previously described except for placement.

1 : 폴딩도어 2 : 문틀프레임 2a : 로드홀
3 : 글라스도어 3a : 손잡이 4 : 도어프레임
4a : 경첩 4b,6a,11b : 레버홀 5 : 잠금로드
5a : 누름판 5b : 관통구멍 6 : 로드하우징
6b : 조립돌출부 7 : 조작레버 7a : 레버헤드
7b : 체결단부 8 : 세팅볼 8a : 세팅홈
9 : 코일스프링 10 : 잠금장치 10a : 스토퍼
11 : 보강판 11a : 조립볼트 11c : 볼트홀
12 : 하우징커버 12a,24b : 조립구멍 13 : 걸림구멍
14 : 지지스프링 15 : 세팅블록 15a : 체결공
15b : 가이드부 16 : 걸림돌출부 17 : 수납공간
17a : 가이드홈 18 : 푸싱스프링 18a : 수납홈
19 : 세팅부 19a : 절개부 20 : 록킹장치
21 : 열쇠 22 : 키뭉치 23 : 홀더링
24 : 수납케이스 24a,29a : 끼움조립부 25 : 키레버
25a : 레버축 25b : 록킹레버 26 : 가이드커버
26a : 축지지공 26b : 삽입구멍 27 : 작동축
27a : 축조립공 28 : 차단레버 28a : 레버프레임
28b : 가이드공 28c : 걸림단부 29 : 연결로드
1: Folding door 2: Door frame 2a: Road hole
3: Glass door 3a: Handle 4: Door frame
4a: Hinge 4b, 6a, 11b: Lever hole 5: Lock rod
5a: Pressing plate 5b: Through hole 6: Rod housing
6b: Assembly protrusion 7: Control lever 7a: Lever head
7b: Fastening end 8: Setting ball 8a: Setting groove
9: Coil spring 10: Locking device 10a: Stopper
11: Reinforcement plate 11a: Assembly bolt 11c: Bolt hole
12: Housing cover 12a, 24b: Assembly hole 13: Locking hole
14: support spring 15: setting block 15a: fastening hole
15b: Guide portion 16: Locking protrusion 17: Storage space
17a: Guide groove 18: Pushing spring 18a: Storage groove
19: Setting part 19a: Cut part 20: Locking device
21: key 22: key bunch 23: holder ring
24: storage case 24a, 29a: fitting assembly 25: key lever
25a: Lever shaft 25b: Locking lever 26: Guide cover
26a: shaft support hole 26b: insertion hole 27: operating shaft
27a: Shaft assembler 28: Blocking lever 28a: Lever frame
28b: Guide hole 28c: Locking end 29: Connecting rod

Claims (2)

글라스도어의 하부측 도어프레임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로드하우징과, 상기 로드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문틀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로드와, 상기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을 거쳐 잠금로드와 연결 설치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의한 잠금로드의 출몰 상태를 선택적으로 세팅하는 세팅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프레임 및 로드하우징에는 조작레버가 잠금로드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레버홀이 각각 수직 방향으로 대응 형성된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팅수단은 잠금로드의 상단측과 로드하우징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스프링과, 상기 잠금로드의 상측부에 제공된 수납공간상에 푸싱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삽입 설치되는 세팅블록과, 상기 수납공간의 개구된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세팅블록의 전방면 하측부로부터 쐐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출부와, 상기 걸림돌출부가 푸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레버홀 하측의 로드하우징 부분에 형성되는 걸림구멍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레버는 실내측 위치 또는 실내와 실외 양측 위치에서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의 레버홀을 거쳐 세팅블록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를 잠금로드와 함께 레버홀을 따라 문틀프레임측으로 하강시키는 잠금조작에 의하여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 삽입되어 폴딩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실내측 조작레버를 밀거나 실외측 조작레버를 당기는 개방조작에 의하여 세팅블록의 걸림돌출부가 로드하우징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한편,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로드가 조작레버와 함께 레버홀을 따라 최초의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
A rod housing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on the lower side of the glass door, a locking rod that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toward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while inserted into the rod housing, and a lock via the door frame and the rod housing. It includes an operating lever connected to the rod and a setting means for selectively setting the appearance/disappearance state of the locking rod by the operating lever, wherein the door frame and the rod housing have an operating lever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gether with the locking rod. In the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each lever hole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moved,
The setting means includes a support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lock ro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od housing, a setting block inserted and installed with a pushing spring interpos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ck rod,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in a wedge shape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setting block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entrance of the storage space, and a rod housing por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lever hole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locked and fix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ushing spring. It includes a locking hole formed in, and the operat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setting block through the lever hole of the door frame and the load housing at the indoor position or both indoor and outdoor positions,
By the locking operation of lowering the operating lever along the lever hole toward the door frame along with the locking rod,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folding door, and the indoor operating lever is By the opening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outdoor operation lever,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setting block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of the rod housing, while the locking rod is moved along the lever hole along with the operation lev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upport spring to the initial opening position. A locking device for a glass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ai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잠금로드에 의한 폴딩도어의 잠금상태를 실외측에서 열쇠로 록킹하는 록킹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록킹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을 거쳐 실외측으로 노출되는 키뭉치와, 상기 키뭉치로부터 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열쇠와 함께 축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축회전에 따라 폴딩도어의 잠금상태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수단은 로드하우징과 근접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서 작동축과 함께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키레버와, 상기 키레버의 축회전 조작에 따라 도어프레임과 로드하우징 사이로 출몰되는 차단레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레버의 선단측에 잠금위치로 하강된 조작레버가 개방위치로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는 걸림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도어용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locking device that locks the folding door by the locking rod with a key from the outdoor side, and the locking device performs a locking operation using a key. a key cluster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oor frame, an operating shaft installed to rotate along with the key while protruding from the key cluster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ccording to the axis rotation of the operating shaft. It includes a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folding door,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storage case inserted into the door frame at a position close to the rod housing, a key lever installed to rotate along an operating axis inside the storage case, and a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key lever. Accordingly, it includes a blocking lever that protrudes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road housing, and a locking end is provided on the front end of the blocking lever to block the operating lever lowered to the locked position from being raised to the open position. Lock for glass door.
KR1020230193605A 2023-12-27 2023-12-27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KR102656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3605A KR102656886B1 (en) 2023-12-27 2023-12-27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3605A KR102656886B1 (en) 2023-12-27 2023-12-27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886B1 true KR102656886B1 (en) 2024-04-11

Family

ID=9066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3605A KR102656886B1 (en) 2023-12-27 2023-12-27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8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47B1 (en) 2021-08-09 2022-02-14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olding door locking apparatus
US20230036826A1 (en) * 2021-07-30 2023-02-02 Airbus Americas, Inc. Mechanical time delay security latche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36826A1 (en) * 2021-07-30 2023-02-02 Airbus Americas, Inc. Mechanical time delay security latches and methods
KR102359747B1 (en) 2021-08-09 2022-02-14 대신알루텍 주식회사 Folding door loc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4400B (en) A kind of automobile interior decoration operation bench
KR101671408B1 (en) Door lock equipped with pull-push handle
CN104334811B (en) For operating anti-rope handle and the thread escutcheon of lock
JP2011516225A (en) drawer
KR102656886B1 (en) Fastening device for glass door
KR200409479Y1 (en) An auto locking device for button style windows
GB2238576A (en) Domestic dishwasher
KR20110026835A (en) Locking device of roller type for insect net and insect net assembly of roller type comprising the same
JP3994826B2 (en) Storage
KR100840141B1 (en) Sliding Door Unlock
WO2003018943A1 (en) Locking mechanism
DE202020001181U1 (en) Doors with protection against viruses and bacteria
KR102511831B1 (en) Locking device of mosquito net for gate
KR101388198B1 (en) insert type knob
KR200456759Y1 (en) Locking device of a fireproof filing cabinet
KR102483217B1 (en) Door fixing device
KR101020614B1 (en) The system which locks the safety-bar and the door simultaneously of tempered glass safety door
KR100709147B1 (en) Assistance handle for locking device of sliding window
JP4416711B2 (en) Joinery
KR102226822B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 and door
JPH057390Y2 (en)
JP2018016968A (en) Movement regulation device and fitting
KR102076160B1 (en) Lockless handle assembly with manual locking and unlocking
KR102533109B1 (en) Roller support bracket for cabinet
EP2279315B1 (en) Knob device for opening by pressure action doo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