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771B1 -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771B1
KR102656771B1 KR1020210168516A KR20210168516A KR102656771B1 KR 102656771 B1 KR102656771 B1 KR 102656771B1 KR 1020210168516 A KR1020210168516 A KR 1020210168516A KR 20210168516 A KR20210168516 A KR 20210168516A KR 102656771 B1 KR102656771 B1 KR 10265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pindle
webbing
module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0930A (en
Inventor
김택춘
문찬기
홍현기
유병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16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771B1/en
Publication of KR2023008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9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7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022/46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clutching means between actuator and belt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상기 웨빙을 감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t relates to a pre-tensioning module and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it is applied, a drive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wind or unwind seat belt webb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bing') on a spindle, and the drive motor depending on whether the webbing is wound or not.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selectively transmits or block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spindle,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and transmits or blocks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cluding a clutch unit and a transmission gear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unit to the spindl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so that the webbing can be wound or withdrawn, and the drive motor Clutch on and off functions can be provided to block the rotational force.

Description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Pre-tens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it is applied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정상 주행시 시트벨트 웨빙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retrac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tensioning module that smoothly pulls out the seat belt webbing during normal driving of the vehicle and reduces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just before a collision occurs, and to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It's about.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좌석에 시트벨트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Generally, vehicles are equipped with seat belt safety devices on seats to ensure the safety of occupants.

상기 시트벨트 안전 장치는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함)을 스풀에 권취하거나 인출 가능하게 작동하는 리트랙터와 웨빙의 일단부에 고정된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이루어진다.The seat belt safety device includes a retractor that operates to wind or withdraw a strip-shaped seat belt webb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bing') that secures the occupant onto a spool, and a tongue fixed to one end of the webbing that is detachable. It consists of a buckle that is inserted.

상기 리트랙터는 차량의 사고 등으로 인한 급정차 또는 급가속시,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가 주행 관성 등으로 인해 전방으로 튕겨 나가거나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리트랙터는 시트벨트 착용시 정상 상태에서는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나,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웨빙의 인출 가속도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검출되면 더 이상의 웨빙의 인출을 억제하는 장치 및 웨빙의 느슨함이나 처짐, 즉 슬랙(slack)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장치와 프리 텐셔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ractor prevents an occupant wearing a seat belt from being thrown forward or leaving the seat due to driving inertia, etc. during a sudden stop or sudden acceleration due to a vehicle accident, etc. These retractors allow the webbing to be pulled out in normal conditions when the seat belt is worn, but when a change in the webbing withdrawal acceleration or vehicle inclination is detected due to a vehicle collision, it is a device that suppresses further webbing withdrawal and causes the webbing to become loose or loose. It may include emergency tensioning devices and pre-tensioning devices that reduce deflection, or slack.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시트벨트 웨빙의 권출 및 권입 동작을 제어하는 리트랙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disclose a retractor technology that controls the unwinding and retracting operations of seat belt webbing.

한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 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치 보다 큰 가속도가 작용하거나 차량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시트벨트의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웨빙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가속도나 기울기를 검출하는 차량 센서가 적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acceleration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seat belt retracto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as in the event of a car collision, or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changes, the seat belt locking device is activated to prevent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Vehicle sensors that detect acceleration or tilt are applied.

상기 차량 센서에 사용되는 관성체로서 볼을 사용한 것이나 자립 관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As an inertial body used in the above vehicle sensor, it is known to use a ball or a self-supporting inertial body.

예를 들어, 차량 센서는 웨빙의 정상적인 감속도보다 높은 감속도 또는 기울기가 차량에 적용되는 위험 상황에서 움직이는 관성체와, 관성체에 의해 이동되어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와 상호 작용하는 센서 레버를 포함한다.For example, in a hazardous situation where a deceleration or tilt higher than the normal deceleration rate of the webbing is applied to the vehicle, a vehicle sensor may detect a moving inertial body and a control disk that is moved by the inertial body and rotates with the spool of the seat belt retractor. It includes a sensor lever that interacts with external teeth.

이러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차체, 예컨대 차량의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마운팅 자세는 센터 필러, 시트의 등받이, 후방 필러 등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항상 수평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며, 수평 상태로부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Such a seat belt retractor may be mounted on a vehicle body, such as a center pillar of a vehicle, a seat backrest, a rear pillar, etc. Accordingly, the mounting posture of the seat belt retractor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enter pillar, seat backrest, rear pillar, etc. That is, the seat belt retractor is not always mounted in a horizontal state, and may be mounted tilted at a certain angle from the horizontal stat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in the front-back direction.

특히,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되는 경우, 등받이의 회전에 따라 기울기가 변화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seat belt retractor is installed on the backrest of the seat, the inclination changes as the backrest rotate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자세가 일정 범위 이상 변경되면 적정하게 가속도와 기울기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However, if the posture of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hanges beyond a certain range, acceleration and tilt cannot be properly detected.

예를 들면, 차량 센서를 갖는 리트랙터가 수평 상태로부터 일정 범위 이상 기울어진 자세를 갖는 경우, 제어 디스크 및 차량 센서에 마련된 센서 레버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워져서 센서 레버가 민감하게 동작함에 따라, 적절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For example, when a retractor with a vehicle sensor has a posture that is inclined more than a certain range from the horizontal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rol disk and the sensor lever provided on the vehicle sensor becomes too close and the sensor lever operates sensitively, resulting in proper locking. The action cannot be performed.

또한, 차량 센서를 갖는 리트랙터가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되고, 시트의 등받이가 차량의 전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차량 센서의 센서 레버는 제어 디스크의 외부 치형부에 걸려 스풀의 회전을 구속한다.Additionally, when the retractor with the vehicle sensor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and the back of the seat is tilt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the sensor lever of the vehicle sensor is caught on the outer tooth of the control disk and restrains the rotation of the spool.

이로 인해,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 스풀의 회전이 구속됨에 따라 시트벨트 착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if the passenger wants to wear a seat belt, it may be impossible to wear the seat belt because the rotation of the spool is restric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3에 차량 센서의 고정 구조를 개선한 차량 센서를 갖는 시트벨트 리트랙터 구성을 개시하여 특허 출원해서 등록받은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a seat belt retractor configuration with a vehicle sensor with an improved fixation structure of the vehicle sensor in Patent Document 3 below, and has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patent.

미국 특허번호 6,499,554호 (2002년 12월 31일 등록)U.S. Patent No. 6,499,554 (registered on December 31, 2002) 미국 특허번호 6,443,382호 (2002년 9월 3일 등록)U.S. Patent No. 6,443,382 (registered on September 3, 2002)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66844호 (2017년 8월 9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66844 (announced on August 9, 2017)

한편, 최근에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차량에 적용되는 시트 및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시트는 등받이의 두께를 얇게 설계해서 슬림화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self-driving car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minimize the volume of seats and seat belt retractors applied to vehicles. In particular, the seat is becoming slimmer by designing the backrest to be thinner.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의 회전축이 등받이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웨빙이 스핀들에 감긴 양에 따라 전체 부피가 증가하며, 등받이에 대응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을 감소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In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rotation axis of the spindle around which the webbing is wound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of the backrest, so the overall volume increas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webbing wound around the spindle, and the seat belt retractor corresponding to the backrest There was a limit to reducing the width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되는 프리 텐셔너는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해서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s the pre-tensioner applied to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by assembling multiple parts to provid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r blocking rotational forc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overall size is unnecessarily increas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탑승자를 고정해서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 이전에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on a seat belt retractor that secures and safely protects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car collision, and includes a pre-tensioning module that reduces slack by wrapping the webbing before the car crashes.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두께를 줄여서 슬림하게 제조되는 시트에 적용될 수 있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tensioning module that can be applied to a slim seat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ckrest and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은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웨빙을 감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wind or unwind seat belt webb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bing') on a spindle and whether or not the webbing is wound.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selectively transmits or block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It includes a clutch unit for transmitting or blocking and a transmission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unit to the spindle,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so that the webbing can be wound or withdrawn, and the drive motor It is characterized by a clutch on and off function that blocks rotational forc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상기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및 차량의 충돌 발생 직전에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시트의 등받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등받이의 두께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a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pindle module including a spindle on which the webbing is wound, and a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immediately before a collision of the vehicle occurs. and a pre-tensioning module that reduces the spindle, wherein the spindle is dispos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on the backrest of the seat along the front-to-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ckres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의하면,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it is applied, the clutch on and off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pre-tensioning module to the spindle. The effect that there is is obtained.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oviding a clutch function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is obtained using the clutch portion dispose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 텐셔너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pplicable even if the radial size of the pre-tensioner module is small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샤트프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이용해서 트래블 기어를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linearly reciprocate the travel gear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is obtained using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shaf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리 텐셔닝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a pre-tension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at belt retractor shown in Figure 1 installed on the seat of a car;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tensioning module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ure 3;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tensioning modu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tensioning module and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it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a pre-tension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의 (a)에는 시트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의 (b)에는 시트의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a pre-tensioning module is a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at belt retractor shown in Figure 1 installed on the seat of a car. Figure 2(a) shows a front view of the sheet, and Figure 2(b) shows a rear view of the sheet.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트를 기준으로 스티어링 휠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facing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vehicle seat is referred to as 'forward (F)',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 (B)'. And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L)', 'right (R)', 'upward (U)' and 'downward (D)' are based on the front (F) and back (B) above. It is defined as indicating each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약칭함)(21)이 감기는 스핀들 모듈(20), 차량의 기울기 및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30), 차량 충돌 발생시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40) 및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 웨빙(21)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프리 텐셔닝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atbelt retractor 10 to which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as seatbelt webbing (hereinafter abbreviated as 'webbing') 21 wound. A spindle module 20, a sensor module 30 that detects changes in the tilt of the vehicle and the pulling acceleration of the webbing 21, an emergency tensioning module 40 that reduces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21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the vehicle It may include a pre-tensioning module 50 that smoothly withdraws the webbing 21 during normal driving and reduces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21 just before a collision occurs.

본 실시 예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에 적용되는 각 부품을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각 부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된다. In this embodiment, each part applied to the seat belt retractor 10 is manufactured by modularizing each functional block and selectively combining each modularized part.

예를 들어, 시트벨트 리트랙터(10)는 스핀들 모듈(20)과 센서 모듈(30),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 및 추가 기능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조립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at belt retractor 10 can be assembled by selectively combining the spindle module 20, the sensor module 30, the emergency tensioning module 40, the pre-tensioning module 50, and the additional function module. You can.

스핀들 모듈(20)과 센서모듈(30)은 시트벨트 리트랙터(10)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듈로 제조되어 조립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The spindle module 20 and the sensor module 30 are basic modules that make up the seat belt retractor 10. As shown in FIG. 2, they can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as individual modules, or integrated into one module. It may be possible.

센서 모듈(30)은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3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cceleration of the webbing 21 or a tilt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vehicle.

스핀들 모듈(20)에는 외면에 웨빙(21)이 감기는 스핀들(22)이 마련된다.The spindle module 20 is provided with a spindle 22 on which webbing 21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스핀들 모듈(20)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웨빙(21)의 인출 가속도 변화 또는 차량의 기울기 변화가 발생하면, 웨빙(21)을 감도록 동작할 수 있다.The spindle module 20 may operate to wind the webbing 21 when a change in the pull-out acceleration of the webbing 21 or a change in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occurs due to a vehicle collision.

이러한 스핀들 모듈(20)은 유아용 시트(child seat)를 고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서 웨빙을 인입만 시키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This spindle module 20 may further provide a function of only retracting webbing in a certain section to secure a child seat.

이하에서는 웨빙(21)이 인출되는 방향을 상방(U)으로 설정하고, 스핀들(22)이 장착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F,B)으로 설정한다.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21 is drawn out is set to upward (U),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indle 22 is mounted is se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 B).

본 실시 예에서는 슬림화된 시트에 장착하기 위해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의 두께, 즉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한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be mounted on a slimmed down seat, the thickness of the seat belt retractor 10, that is, the front-to-back width, is minimized.

스핀들 모듈(20)의 상부에는 비상 텐셔닝 모듈(40)과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결합된다. An emergency tensioning module 40 and a pre-tensioning module 50 ar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indle module 20.

각 모듈은 스핀들 모듈(20)을 중심으로 스핀들 모듈(20)의 측면, 즉 좌측이나 우측, 또는 스핀들 모듈(20)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된다. Each module is arranged around the spindle module 20 on the side of the spindle module 20, that is, on the left or right side, or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pindle module 20.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모듈(20)의 상부에 센서모듈(30)과 비상 텐셔닝 모듈(40), 프리 텐셔닝 모듈(5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a sensor module 30, an emergency tensioning module 40, and a pre-tensioning module 5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spindle module 20, respectively. .

이와 같이 조합된 각 모듈은 각 모듈에 마련된 축이 스핀들(22)이 설치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고, 기어 등의 동력전달유닛을 통해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Each module combined in this way is installed side by side so that the axis provided in each module face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indle 22 is installed,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or receive power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unit such as a gear. .

비상 텐셔닝 모듈(40)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한 감지 신호에 의해 화약이 내장된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이용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아준다. 따라서 비상 텐셔닝 유닛(40)은 차량 충돌시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emergency tensioning module 40 uses the pressure of the gas generated by operating an inflator (not shown) containing gunpowder by a detection signal that detects a vehicle collision to wind the webbing 21 around the spindle 22. give. Therefore, the emergency tensioning unit 40 can reduce the slack of the webbing 21 by winding the webbing 21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injuries to passengers.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차량에 적용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충돌이 예측되는 경우,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구동해서 웨빙(21)을 스핀들(22)에 감아준다. 즉,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정상적인 주행 상황일 때, 사고의 발생 없이도 차량의 더 강한 가속 또는 감속이 발생할 때까지, 착용된 웨빙(2)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며 웨빙(21)이 느슨해질 가능성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 직전에 웨빙(21)을 감아서 웨빙(21)의 슬랙을 감소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a collision of a vehicle is predicted through a sensor applied to the vehicle, the pre-tensioning module 50 drives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o wind the webbing 21 around the spindle 22. That is, the pre-tensioning module 50 keeps the worn webbing 2 taut until a stronger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of the vehicle occurs even without an accident under normal driving conditions and prevents the webbing 21 from becoming loose. In order to prevent this possibilit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lack of the webbing 21 by wrapping the webbing 21 just before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injuries to passengers.

한편, 스핀들 모듈(20)의 전후 측에는 각각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23) 기능을 하는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이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first and second brackets 27 and 28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unction as the housing 23 may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pindle module 20, respectively.

즉, 제1 브래킷(27)은 스핀들 모듈(20)의 전측에 배치되고, 제2 브래킷(28)은 스핀들 모듈(20)의 후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브래킷(27)과 제2 브래킷(28)의 양측에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하단에는 등받이(12)에 설치되는 설치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racket 27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pindle module 20, and the second bracket 28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pindle module 20. Additionally, coupling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racket 27 and the second bracket 28, and installation members installed on the backrest 12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7 and 28. It can be provided.

이와 함께,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일측, 도 8에서 보았을 때 좌측 하단에는 웨빙(21)이 인출되는 인출공간(251)이 마련될 수 있다. 인출공간(251)에는 스핀들(22)과 동일하게 전후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29)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ull-out space 251 into which the webbing 21 is pulled ou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7 and 28, at the bottom left as seen in FIG. 8. A guide member 29 may be installed in the pull-out space 251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same way as the spindle 22.

가이드 부재(29)는 웨빙(21)을 상방으로 인출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29)는 웨빙(21)이 스핀들(22)에 원활하게 감기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이 각각 제1 및 제2 브래킷(27,28)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롤러로 마련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29 functions to guide the webbing 21 to be drawn upward. This guide member 29 is a roller whose front and rear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7 and 28, respectively, so that the webbing 21 can be smoothly wound or pulled out from the spindle 22. It can be prepared by.

그래서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전체의 전후 방향 폭은 제1 및 제2 브래킷(27,28)의 전후 방향 폭으로 한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entire seat belt retractor 10 may be limited to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27 and 28.

도 2에서, 시트(11)의 등받이(12)에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3)이 마련될 수 있다. In FIG. 2, a mounting space 13 in which the seat belt retractor 10 is mounted may be provided on the backrest 12 of the seat 11.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스핀들 모듈(20)에서 등받이(12)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웨빙을 가이드하는 웨빙 가이드(14)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ounting space 13 is provided inside the backrest 12, and a webbing guide 1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space 13 to guide the webbing pulled out from the spindle module 20 to the outside of the backrest 12. It can be.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후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The mounting space 1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upper part of the backrest 12.

한편, 도 2에서 장착공간(13)은 등받이(12)의 상단부 중앙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받이(12)의 상단에서 일정 간격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거나, 등방이(12)의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 2, the mounting space 13 is shown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1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12.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deviating from the center of the isopod 12 to the left or right.

이러한 장착공간(13)의 일측에는 웨빙(21)이 웨빙 가이드(14)를 향해 배치되는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On one side of this mounting space 13, a space in which the webbing 21 is disposed toward the webbing guide 14 may be in communication.

웨빙 가이드(14)는 등받이(12)의 알측 상단, 예컨대 운전석 시트(11)에 적용되는 경우, 등받이(12)의 좌측면 상부와 상면 우측부의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When applied to the top of the backrest 12, for example, the driver's seat 11, the webbing guide 14 may be provided to partially cover the upper left side and the upper right edge of the upper side of the backrest 12.

여기서, 웨빙(21)은 양단이 스핀들(22)에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감긴 상태에서 장착공간(13)과 배치공간(15)을 통해 등받이(12) 외부로 인출되고, 웨빙 가이드(14)에 의해 양단이 대략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webbing 21 is pulled out of the backrest 12 through the mounting space 13 and the arrangement space 15 with both ends wound around the spindle 22 fac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webbing guide 14. The withdrawal direction can be changed so that both ends face approximately left and right directions.

즉, 웨빙(21)은 스핀들(22)과 웨빙 가이드(14) 사이, 즉 배치공간(15) 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된 양단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인출 방향이 변경된다. That is,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webbing 21 is changed so that both ends dispos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spindle 22 and the webbing guide 14, that is, within the arrangement space 15, face left and right.

이와 함께, 웨빙(21)은 웨빙 가이드(14)의 위치에 따라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thdrawal angle of the webbing 21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webbing guide 14.

예를 들어, 웨빙(21)은 운전석 시트(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성인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의 일측, 도 10에서 보았을 때 좌측 상단이나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웨빙(21)의 일단부는 스핀들(22)의 외면에 감기고, 웨빙(21)의 타단부는 시트벨트 리트랙터(10) 외부로 인출된 후, 등받이(12)에 설치된 웨빙 가이드(14)를 향해 상방으로 인출된다.For example, when the passenger on the driver's seat 11 is an adult, the webbing 2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ckrest 12, as shown in FIG. 10, toward the upper left or upward when viewed from FIG. 10. do. That is, one end of the webbing 21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indle 22, and the other end of the webbing 21 is pulled out of the seat belt retractor 10 and then moved to the webbing guide 14 installed on the backrest 12. is drawn upward toward .

한편, 시트(11)에 탑승한 탑승자가 성인에 비해 체격이 작은 여성이나 청소년, 또는 유아인 경우, 등받이(12)의 좌측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인출되도록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passenger on the seat 11 is a woman, teenager, or infant whose physique is smaller than that of an adult, the withdrawal angl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seat 11 is pulled out from a position moved downward from the upper left side of the backrest 12.

예를 들어, 탑승자가 등받이를 후방으로 회전시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웨빙이 탑승자의 목이나 어깨 부위에 걸려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assenger adjusts the angle of the backrest by rotating the backrest rearward, the webbing may get caught on the passenger's neck or shoulder area, causing discomfort.

또한, 탑승자의 체격 조건, 즉 성인, 청소년, 유아가 탑승하는 경우, 또는 유아용 시트를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탑승자의 체형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웨빙(21)의 인출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ithdrawal angle of the webbing 21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occupant or the purpose of use, such as when an adult, teenager, or infant is riding, or when a child seat is installed.

그래서, 웨빙 가이드(14)에는 등받이(12)의 상면에서 좌측면 상부까지 미리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조절부재(도면 미도시)가 설치되고, 웨빙(21)은 상기 조절부재의 위치에 따라 가이드 부재(29)를 회전축으로 해서 회전하여 인출 각도가 조절된다.Therefore, an adjusting memb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webbing guide 14 to be movable in a preset rang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rest 12 to the upper left side, and the webbing 21 is guid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adjusting member. The withdrawal angle is adjusted by rotating the member 29 as a rotation axi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브래킷의 일측을 통해 스핀들에 감긴 웨빙을 인출하고, 등받이의 장착공간 내부에서 웨빙의 인출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bing wound around the spindle can be pulled out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the pulling angle of the webbing can be freely adjusted within the mounting space of the backrest.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 조건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웨빙의 인출 방향과 각도를 조절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afety by adjusting the withdrawal direction and angle of the webbing according to the occupant's physical condition or purpose of use.

이때, 웨빙(21)은 스핀들 모듈(20)의 외부로 인출시에는 양단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배치공간(15) 및 웨빙 가이드(14)를 통해 인출시에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해서 양단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인출된다.At this time, the webbing 21 is arranged so that both ends face forward and backward when pulled out of the spindle module 20,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when pulled out through the arrangement space 15 and the webbing guide 14 so that both ends It is pulled out in a state where it is arranged to fac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의 배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시 전후 방향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front-to-back width when mounted on the backrest of a seat 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pindle around which the webbing is wound.

그리고 본 발명은 스핀들 모듈의 두께와 함께 웨빙의 폭을 감소시켜 최소화함으로써, 스핀들 모듈 및 그가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렉터가 시트에 장착되는 폭을 최소화해서 슬림하게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width of the webbing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pindle module, thereby minimizing the width at which the spindle module and the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it is applied are mounted on the sea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slim.

또한, 본 발명은 스핀들 모듈에서 인출되는 웨빙의 인출 방향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webbing pulled out from the spindle modul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the pre-tensioning module is appli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ly modified seat belt retractors. It may be changed to make it possible.

다음,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리 텐셔닝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tensioning module shown in Figure 3, and Figure 5 is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ure 3.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21)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51) 및 웨빙(21)의 권취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스핀들(22)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52)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pre-tensioning module 50 includes a drive motor 51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wind or unwind the webbing 21, and a drive motor (51) depending on whether the webbing 21 is wound. 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52 that selectively transmits or block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in 51) to the spindle 22.

구동모터(51)와 동력전달유닛(52)은 각각 별도의 케이싱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e motor 51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 may each be installed inside separate casings.

구동모터(51)는 차량에 마련된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drive motor 51 can rotate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정상 주행시 웨빙(21)을 원활하게 인출시키기 위해 구동모터(51)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충돌 발생 직전에는 웨빙(21)을 감도록 구동모터(5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rotate the drive motor 51 in one direction to smoothly pull out the webbing 21 when the vehicle is running normally, and drives the webbing 21 to be wound just before a collision occurs.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to rotate the motor 51 in the opposite direction.

구동모터(51)는 스핀들(22)의 상부에 스핀들(22)이 배치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스핀들(22)과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e motor 51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spindle 2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indle 22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spindle 22, that is,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스핀들과 직교하도록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함에 따라, 구동모터의 용량을 증대하기 위해 구동모터의 직경이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전후 방향 폭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drive motor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pindle, so that even if the diameter or length of the drive motor increases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drive motor, the effect on the front-to-back width of the seat belt retractor can be removed.

구동모터(51)의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511)는 구동모터(51)의 좌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51 and the drive gear 511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may be disposed at the left end of the drive motor 51.

동력전달유닛(52)은 웨빙(21)을 감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에 전달하며, 프리 텐셔닝 모듈(50)의 미작동시에는 웨빙(21)이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51)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51 to the spindle 22 so that the webbing 21 can be wound or withdrawn, and when the pre-tensioning module 50 is not in operation, the webbing 21 is It functions as a clutch on and off to block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51 so that it can be pulled out smoothly.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력전달유닛(52)은 스핀들(22)의 상부에 스핀들(22)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구동모터(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53) 및 클러치부(53)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전달기어(54)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 is a clutch unit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22 on the upper part of the spindle 22 and transmitting or blocking the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51. (53) and a transmission gear 54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unit 53 to the spindle 22.

클러치부(53)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하우징(61), 하우징(61) 내부에 배치되는 헤드(62), 헤드(6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트래블 기어(63) 및 트래블 기어(63)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utch unit 5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open and includes a housing 61 that rotates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51, a head 62 disposed inside the housing 61, and the head 62. It may include a travel gear 63 that reciprocates linearly through a rotational motion, and a head 64 that engages the travel gear 63 and receives rotational force.

이와 함께, 동력전달유닛(52)은 구동기어(511)와 맞물리고 회전력을 하우징(61)에 전달하는 제1 연결기어(55) 및 헤드(64)의 후단에 설치되는 헤드기어(641)와 맞물리는 제2 연결기어(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 includes a first connection gear 55 that engages the drive gear 511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housing 61, and a head gear 641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64.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ng gear 56 that engages.

하우징(61)의 내부에는 헤드(62)와 트래블 기어(63) 및 헤드(64)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된 하우징(61)의 전면에는 커버(65)가 결합될 수 있다. A space in which the head 62,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are installed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61, and a cover 65 can be coupled to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61.

커버(65)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이용해서 하우징(61)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The cover 6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61 using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이를 위해, 하우징(61)의 전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into which one or mor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coupled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61.

하우징(61)의 외주면에는 제1 연결기어(5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복수의 이가 형성된 하우징 기어(6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래서 하우징(61)은 제1 연결기어(55)를 통해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A housing gear 611 having a plurality of teeth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61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connection gear 55. Therefore, the housing 61 can rotat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51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gear 55.

그리고 하우징(61)의 내주면에는 하우징(61)의 회전력을 트래블 기어(63)로 전달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할 트래블 기어(63)의 복수의 걸림돌부(633)가 걸리는 복수의 리브(6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n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61, a plurality of ribs 612 are provided on whic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633 of the travel gear 63,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engaged so as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using 61 to the travel gear 63. may be formed to protrude.

복수의 리브(612)는 각각 하우징(61)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612 may be formed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61, that is, in the front-back direction.

헤드(62)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61)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즉, 헤드(62)의 전단은 커버(65)에 결합되며, 샤프트(62)의 후단에는 헤드(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head 6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61 by penetrating the interio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head 62 may be coupled to the cover 65, and the head 6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haft 62.

이러한 샤프트(62)의 외주면에는 트래블 기어(63)와 나사 결합되도록, 복수의 나사산(621)이 형성되고, 복수의 나사산(621) 후측에는 헤드(63)의 전방 이동을 방지해서 헤드(63)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턱(622)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crew threads 621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62 to be screwed together with the travel gear 63, and a plurality of screw threads 621 are formed on the rear side to prevent forward movement of the head 63 to prevent the head 63 from moving forward. A step 622 that fixes the position may be formed.

트래블 기어(63)는 내부에 샤프트(62)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래블 기어(63)의 내주면에는 샤프트(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산(621)에 대응되는 복수의 나사산(63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트래블 기어(6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 내부에서 샤프트(6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한다.The travel gear 6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so that the shaft 62 can be coupled thereto,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vel gear 63 has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62. A plurality of threads 631 corresponding to 621 may be formed.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travel gear 63 reciprocat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62 inside the housing 61.

이러한 트래블 기어(63)는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헤드(64)와 맞물려서 하우징(61)의 회전력을 헤드(64)로 전달하고, 헤드(64)와 분리되어 헤드(64)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This travel gear 63 engages with the head 64 by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using 61 to the head 64, and is separated from the head 64 to block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head 64. It performs the function of

이를 위해, 트래블 기어(63)의 후단과 헤드(64)의 전단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이가 형성된 제1 연결부(632)와 제2 연결부(642)가 마련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 first connection portion 632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642 each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vel gear 63 and the front end of the head 64.

트래블 기어(63)의 외주면에는 하우징(6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612)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부(6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633 that engage the plurality of ribs 61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61 may b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vel gear 63.

헤드(64)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헤드(64)의 후단에는 트래블 기어(63)과 맞물인 상태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제2 연결기어(56)를 통해 전달기어(54)로 전달하도록, 헤드기어(641)가 장착되는 축이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head 6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open, an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64 is a transmission gear 54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while engaged with the travel gear 63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 the axis on which the headgear 641 is mounte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여기서,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의 내부 공간에는 트래블 기어(63)과 헤드(6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6)가 설치될 수 있다. Here, an elastic member 66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탄성부재(66)는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가 결합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6)의 전단은 트래블 기어(63)의 나사산(631)에 지지되고, 탄성부재(66)의 후단은 헤드(64)의 전단벽에 지지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66 may b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inside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by combining them.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66 may be supported on the thread 631 of the travel gear 63, and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66 may be supported on the front end wall of the head 64.

이러한 탄성부재(66)는 평상시에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가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This elastic member 66 can use elastic force in normal times to prevent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from moving or moving backward and forward, respectively.

그리고 탄성부재(66)는 트래블 기어(63)의 후방 이동시 길이가 짧아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다시 하우징(61) 및 샤프트(62)의 회전에 의한 트래블 기어(63)의 전방 이동시 탄성력을 제공해서 트래블 기어(63)를 초기 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66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s length becomes shorter when the travel gear 63 moves backward, and provides elastic force when the travel gear 63 moves forward by rotation of the housing 61 and the shaft 62, thereby reducing the travel. Gear 63 can be moved forward toward its initial position.

제1 연결기어(55)는 구동기어(511)와 맞물리는 제1 기어(551) 및 제1 기어(551)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하우징(6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기어(611)와 맞물리는 제2 기어(5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gear 55 is a first gear 551 engaged with the drive gear 511 and a housing gear 611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551 an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61. It may include a second gear 552 engaged with.

여기서, 구동기어(511)와 제1 기어(551)는 회전력을 직각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웜과 웜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gear 511 and the first gear 551 may be provided with a worm and a worm gea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n a right angle direction.

제2 연결기어(56)는 외주면에 헤드기어(641)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561) 및 외주면에 전달기어(54)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2 기어부(5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includes a first gear portion 561 having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the head gear 64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second gea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5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t may include (562).

전달기어(54)는 제2 연결기어(56)의 제2 기어부(562) 및 스핀들(2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도면 미도시)와 각각 맞물려서 클러치부(53)를 통해 전달받는 회전력을 스핀들(22)에 전달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gear 54 is meshed with the second gear unit 562 of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and the driven gear (not shown) installed on the spindle 22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clutch unit 53.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pindle 22.

이러한 전달기어(54)는 하나 또는 서로 연속적으로 맞물리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This transmission gear 54 may be composed of one gear or a plurality of gears continuously mesh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clutch function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pre-tensioning module to the spindle.

즉, 본 발명은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utch function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using a clutch unit dispose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 텐셔너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f the radial size of the pre-tensioner module is small.

또한, 본 발명은 샤트프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이용해서 트래블 기어를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iprocate the travel gear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by using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shaft.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리 텐셔닝 모듈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operating method of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작업자는 클러치부(53)의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를 샤트프(62)의 전후측에 각각 결합해서 하우징(61) 내부에 삽입하고, 하우징(61)의 개구된 전면에 커버(65)를 결합한다. 이때,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 사이에는 탄성부재(66)가 배치된다.First, the operator couples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of the clutch unit 53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aft 62, respectively, inserts them into the housing 61, and inserts them into the open front of the housing 61. Attach the cover (65) to. At this time, an elastic member 66 is disposed between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이와 같이 조립된 클러치부(53)는 하우징(61)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우징 기어(611)와 제1 연결기어(55)가 맞물리고, 헤드(64)의 후단에 장착된 헤드기어(641)가 제2 연결기어(56)에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In the clutch unit 53 assembled in this way, the housing gear 61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61 and the first connection gear 55 are engaged, and the head gear 641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head 64 is It is mounted so as to engage with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이어서, 작업자는 구동모터(51)와 전달기어(54)를 각각 제1 연결기어(55)와 제2 연결기어(56)에 맞물리도록 조립한다. Next, the worker assembles the drive motor 51 and the transmission gear 54 so that they mesh with the first connection gear 55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respectively.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프리 텐셔닝 모듈(50)은 구동모터(51)의 회전 방향을 따라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클러치 온(on) 기능 및 회전력이 스핀들(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off) 기능을 수행한다. The pre-tensioning module 50 assembled through this process has a clutch-on function and a rotational force that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51 to the spindle 22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51. It performs a clutch off function to block transmission to the spindle 22.

예를 들어, 도 6은 프리 텐셔닝 모듈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or exampl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tensioning module.

도 5 및 도 6에서, 구동모터(51)가 일측으로 회전해서 동력전달유닛(52)에 마련된 클러치부(53)의 하우징(61)이 도 6에 도시된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하면, 샤프트(62)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 트래블 기어(63)는 후방으로 이동해서 헤드(64)와 맞물린다.5 and 6, when the drive motor 51 rotates to one side and the housing 61 of the clutch unit 53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2 rotates clockwise (CW) shown in FIG. 6, The travel gear 63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62 moves rearward and engages with the head 64.

이와 같이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가 맞물린 상태에서, 하우징(61)이 지속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우징(61) 및 샤프트(62)의 회전력은 헤드(64)의 헤드기어(641)와 제2 연결기어(56)를 통해 전달기어(5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With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engaged in this way, if the housing 61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using 61 and the shaft 62 is applied to the head gear of the head 64 ( The transmission gear 54 is rotated clockwise through 641) and the second connection gear 5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러치부(53)는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22)로 전달하는 클러치 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clutch unit 53 can provide a clutch-on function that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51 to the spindle 22.

한편, 구동모터(51)가 반대측으로 회전해서 하우징(61)이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하면, 트래블 기어(63)는 전방으로 이동해서 헤드(64)와 분리된다. Meanwhile, when the drive motor 51 rotates to the opposite side and the housing 61 rotates counterclockwise (CCW), the travel gear 63 moves forward and is separated from the head 64.

이와 같이 트래블 기어(63)와 헤드(64)가 분리되면, 하우징(61)이 지속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하우징(61) 및 샤프트(62)의 회전력은 전달기어(54)로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된다.When the travel gear 63 and the head 64 are separated in this way, even if the housing 61 continues to rotate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ousing 61 and the shaft 62 is not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gear 54. blocke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러치부(53)는 구동모터(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스핀들(22)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클러치 오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process, the clutch unit 53 can provide a clutch-off function that block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5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pindle 22.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clutch on and off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pre-tensioning module to the spindle.

즉, 본 발명은 스핀들과 동일 방향을 따라 배치된 클러치부를 이용해서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들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utch function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using a clutch unit disposed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 텐셔너 모듈의 반경 방향 크기가 작아도 적용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f the radial size of the pre-tensioner module is small.

또한, 본 발명은 샤트프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이용해서 트래블 기어를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iprocate the travel gear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by using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shaf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f cours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스핀들 모듈과 센서 모듈, 비상 텐셔닝 모듈과 프리 텐셔닝 모듈을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듈들 이외에도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 모듈을 더 선택적으로 조합해서 제조할 수도 있다.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at belt retractor was described as being manufact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 spindle module, a sensor module, an emergency tensioning module, and a pre-tensioning modu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modules. Modules can also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m more selectively.

그리고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스핀들의 배치 방향과 웨빙의 인출 방향이 직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핀들이 설치되는 주변 조건 등에 따라 스핀들의 배치 방향과 웨빙의 인출방향이 직각이 아닌 방향, 예컨대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pindle placement direction and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e spindle placement direction and the webbing pull-out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conditions where the spindle is installed. It may also be changed to form a direction other than a right angle, such as an acute or obtuse angle.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하였으나,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the pre-tensioning module is appli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It may be possible.

본 발명은 프리 텐셔닝 모듈에 마련된 구동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스핀들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도록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구현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re-tensioning module that implements a clutch on and off function to transmit or block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provided in the pre-tensioning module to the spindle and to the seat belt retractor technology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10: 시트벨트 리트랙터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14: 웨빙 가이드
15: 배치공간
20: 스핀들 모듈
21: 웨빙 22: 스핀들
23: 하우징 24: 가이드부
25: 가이드 프레임 251: 인출공간
26: 연결부재 27,28: 제1, 제2 브래킷
29: 가이드 부재
30: 센서 모듈
40: 비상 텐셔닝 모듈
50: 프리 텐셔닝 모듈
51: 구동 모터 511: 구동기어
52: 동력전달유닛 53: 클러치부
54: 전달기어
55: 제1 연결기어 551,552: 제1, 제2 기어
56: 제2 연결기어 561,562: 제1, 제2 기어부
61: 하우징 611: 하우징 기어
612: 리브
62: 샤프트 621: 나사산
622: 단턱
63: 트래블 기어 631: 나사산
632: 제1 연결부 633: 걸림돌부
64: 헤드 641: 헤드기어
642: 제2 연결부
65: 커버 66: 탄성부재
10: Seat belt retractor
11: Seat 12: Backrest
13: Mounting space 14: Webbing guide
15: Layout space
20: Spindle module
21: webbing 22: spindle
23: housing 24: guide part
25: Guide frame 251: Draw-out space
26: connecting member 27, 28: first and second brackets
29: Guide member
30: sensor module
40: Emergency tensioning module
50: Pretensioning module
51: drive motor 511: drive gear
52: Power transmission unit 53: Clutch unit
54: Transmission gear
55: 1st connection gear 551,552: 1st, 2nd gear
56: second connection gear 561,562: first and second gear units
61: housing 611: housing gear
612: rib
62: shaft 621: thread
622: Danteok
63: travel gear 631: thread
632: first connection portion 633: engaging protrusion
64: Head 641: Headgear
642: second connection
65: Cover 66: Elastic member

Claims (8)

스핀들에 시트벨트 웨빙(이하 '웨빙'이라 합니다)을 감거나 풀도록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웨빙의 권취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에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차량의 시트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스핀들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로 전달하는 전달기어,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맞물리고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부에 전달하는 제1 연결기어 및
상기 클러치부에 마련된 헤드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헤드기어와 상기 전달기어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연결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웨빙을 감거나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 온, 오프 기능을 하며,
상기 클러치부는 일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트래블 기어 및
상기 트래블 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블 기어는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하여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헤드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상기 헤드와 분리되어 회전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A drive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to wind or unwind the seat belt webb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bbing') on the spindle,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selectively transmits or blocks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depending on whether the webbing is wound,
The spindle is installed on the seat of the vehicle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pindle and includes a clutch unit that transmits or blocks rota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otor;
A transmission gear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unit to the spindle,
A first connection gear that engages with a drive gear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clutch unit, and
Including a head gear installed on one end of the head provided in the clutch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gear that engages each of the transmission gears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to the spindle so that the webbing can be wound or withdrawn, and has a clutch on and off function to block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he clutch un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and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A shaf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travel gear that perform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haft, and
It includes a head that engages with the travel gear and transmits rotational force,
The travel gear is screwed to the outside of the shaft and reciprocates linearly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coupled to the hea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r is separated from the head to block transmission of rotational force. A pre-tension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기어는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onnecting gear includes a first gear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and
A pre-tensioning module comprising a second gear installed on the same axis as the first gear and meshing with a housing gear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기어는 외주면에 상기 헤드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1 기어부 및
외주면에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가 형성되는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cond connection gear includes a first gear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 plurality of teeth engaging with the head gear, and
A pre-tensioning module comprising a second gear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 plurality of teeth engaged with the transmission gear.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상기 트래블 기어의 일단과 상기 헤드의 일단에는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복수의 이가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트래블 기어와 헤드 사이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트래블 기어와 헤드가 각각 서로 이격된 초기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트래블 기어와 헤드의 분리시 상기 트래블 기어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ach having a plurality of teeth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ravel gear and one end of the head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elastic force is installed between the travel gear and the head,
The elastic member fixes the travel gear and the head at an initial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travel gear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travel gear and the head are separate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트래블 기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리브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A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 pre-tension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that engage the plurality of rib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ravel gear.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웨빙이 감기는 스핀들을 포함하는 스핀들 모듈 및
차량의 충돌 발생 직전에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감소시키는 프리 텐셔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시트의 등받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등받이의 두께 방향에 대응되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In the seat belt retractor to which the pre-tensioning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6 is applied,
A spindle module including a spindle around which the webbing is wound, and
It includes a pre-tensioning module that reduces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just before a vehicle collision occurs,
A seat belt retractor with a pre-tensioning module, wherein the spindle is arrang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on the backrest of the seat along the front-to-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ckrest.
제7항에 있어서,
차량의 기울기 및 웨빙의 인출 가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차량 충돌 발생시 상기 웨빙을 감아 슬랙을 줄여주는 비상 텐셔닝 모듈,
상기 스핀들 모듈 및 프리 텐셔닝 모듈을 각각 기능 블록별로 모듈화해서 제조하고,
각 모듈은 상기 스핀들 모듈에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In clause 7,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changes in vehicle inclination and webbing acceleration
An emergency tensioning module that reduces slack by winding the webbing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spindle module and pre-tensioning module are manufactured by modularizing each functional block,
A seat belt retractor with a pretensioning module, wherein each module is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spindle module.
KR1020210168516A 2021-11-30 2021-11-30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102656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16A KR102656771B1 (en) 2021-11-30 2021-11-30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516A KR102656771B1 (en) 2021-11-30 2021-11-30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30A KR20230080930A (en) 2023-06-07
KR102656771B1 true KR102656771B1 (en) 2024-04-15

Family

ID=8676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516A KR102656771B1 (en) 2021-11-30 2021-11-30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77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010A1 (en) * 2009-11-11 2011-05-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Seatbelt re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48B1 (en) * 2003-12-17 2005-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Grade sensor for vehicles and safety belt's tension adjusting system using the same
TW200540044A (en) * 2004-04-08 2005-12-16 Tokai Rika Co Ltd Webbing retractor
KR20150002057A (en) * 2013-06-28 2015-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riving Apparatus for Seat Belt
KR101766844B1 (en) 2016-06-10 2017-08-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Safety belt retractor having vehicle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010A1 (en) * 2009-11-11 2011-05-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Seatbelt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930A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0970B1 (en)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ultrasonic motor
WO2005097560A1 (en) Webbing take-up device
JP4702832B2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device using the same
KR102496242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1165994B1 (en)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KR102656771B1 (en)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102664598B1 (en)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102617421B1 (en) Seat belt retractor
KR20230140812A (en) Pre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101264107B1 (en) Retractor and seat belt therewith
JP2009040323A (en) Seat belt device
KR102524018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2662369B1 (en) Seat belt apparatus
KR102673182B1 (en) Seatbelt retractor with webbing guide
JP2024506471A (en) seat belt retractor
KR102664593B1 (en) Emergency 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102673190B1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20220106663A (en) Seat belt retractor
KR102664601B1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20230081597A (en) Emergency tentioning module and seat belt retractor with the same
KR20240010898A (en) Seat belt retractor
KR20230081611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emergency tentioning module
KR102673187B1 (en) Seatbelt retractor
KR20240010896A (en) Seat belt retractor
CN116888020A (en) Seat belt re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