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613B1 -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613B1
KR102656613B1 KR1020200063890A KR20200063890A KR102656613B1 KR 102656613 B1 KR102656613 B1 KR 102656613B1 KR 1020200063890 A KR1020200063890 A KR 1020200063890A KR 20200063890 A KR20200063890 A KR 20200063890A KR 102656613 B1 KR102656613 B1 KR 102656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flexible electronic
audio data
angle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9629A (ko
Inventor
카니쉬크 나그팔
아시쉬 초프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892,73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46870B2/en
Publication of KR2020013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라 오디오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배열을 적절히 조절하기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스피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고, 및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에 따라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data at a flexi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peakers}
본 개시는 오디오 신호 처리 및 이에 따른 스피커의 적정 위치 구현 및 플렉시블 전자 장치 형상 변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에서 스피커의 성능이 향상되었다고는 하나 모바일 장치 자체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오디오 컨텐츠를 충분히 높은 성능의 스피커로 재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모바일 장치 내 스피커 성능의 제한으로,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트의 사운드 크기는 원하는 레벨보다 낮고 더 높은 사운드 크기 레벨에서는 사운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라우드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컨텐트가 라우드스피커의 구성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트가 스테레오 컨텐트인 경우 모노 라우드스피커는 적절한 출력 - 음악 효과 - 을 발생시킬 수 없다. 오디오 컨텐트가 모노 컨텐트인 경우 듀얼 라우드스피커에서는 원하는 음량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컨텐트의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서 적절한 라우드스피커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 내에서 오디오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배열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따른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 내에서 오디오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배열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구비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에 따라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라 오디오 컨텐트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 장치 내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배열을 적절히 조절하기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는, 복수의 스피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고, 및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에 따라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스피커가 구비된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는, 오디오 컨텐트의 성격과 종류에 따라 플렉시블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배열을 모바일 장치의 플렉시빌리티에 기초하여 조정함으로써 오디오 컨텐트에 적절한 스피커 사운드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는 오디오 파일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b는 오디오 파일에서 모노 오디오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과 관련된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의 상대적 기여도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 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주파수 대역 분포를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채널별 주파수 대역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d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디스플레이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이루기 위한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간섭 혹은 중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벤딩(bending)과 폴딩(folding)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기능은 모바일 장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와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모델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인 경우,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에서는 스피커의 위치나 배열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디오 컨텐트에 맞도록 개별적 스피커 구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서 스피커 구성이 오디오 컨텐트에 특화된 구성을 가지기는 무척 어렵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가 스테레오 스피커라고 하더라도 오디오 컨텐트가 모노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컨텐트이면 적절한 사운드 출력을 내기 어렵다. 역으로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가 모노 스피커이면 그 모노 스피커는 영화 음악이나 오케스트라에 의해 녹음된 음악과 같이 스테레오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컨텐트를 제대로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전자 장치에 복수의 스피커가 구현되어 있더라도 오디오 컨텐트에 따라 스피커 위치에 따라 사운드 출력이 달라지므로 전자 장치는 오디오 컨텐트에 적절한 동적 사운드를 출력하기 어렵다.
또한, 복수의 스피커가 서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지 않으면 스테레오 스피커 구성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간섭이 발생한다. 역으로 복수의 스피커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특정 오디오 컨텐트에 적합하지 않은 사운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예를 들어 출력이 제한된 모바일 장치의 스피커로 풍부한 음량을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별도의 외부 스피커를 구비하여 모바일 장치에 저장된 오디오 컨텐트를 재상하곤 한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사운드와 같은 풍부한 사운드 효과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해진 구성으로 복수의 스피커를 배열해야 한다. 이러한 서라운드 효과는 모바일 전자 장치에서는 구현하기 불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블럭도이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소셜 로봇, 스마트 와치, 셀룰러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오디오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사물 인터넷 장치(IoT), 랩탑 컴퓨터, 팜탑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복수의 스피커(130), 마이크로폰(140), 통신부(160) 및 디스플레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벤딩함에 의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면을 가진다. 본 개시 전반에 걸쳐서 벤딩(bending)은 폴딩(folding)과 동일 혹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 제어기(150), 복수의 스피커(130), 마이크로폰(140), 통신부(160) 및 디스플레이(170)에 연결되어 메모리(11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고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스피커(130) 및 마이크로폰(140)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0)은 접히는 복수의 면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저장한다. 메모리(110)는 비휘발성 저장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저장메모리의 예로 자기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EPROM(Electrical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일실시예에서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non-transitory)'이라는 용어는 저장 매체가 반송파 또는 전파된 신호로 구현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또는 캐시(cache)에 변경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내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과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스피커(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기 위한 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는 복수의 미디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컨텐트는, 예를 들어 오디오 컨텐트, 오디오가 포함된 비디오 컨텐트일 수 있지만 사운드를 포함하는 컨텐트는 모두 포함한다. 미디어 컨텐트 혹은 오디오 컨텐트는 본 개시에서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되는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한다.
도 2a는 오디오 파일에서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오디오 파일이 스테레오 MP3 이거나 WAV 파일이면 오디오 파일은 두 개의 오디오 채널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채널 정보 각각은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 정보일 수 있다.
도 2b는 오디오 파일에서 모노 오디오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모노 오디오 파일은 스테레오 오디오 파일과 달리 오직 하나의 오디오 채널 정보 만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가 오디오 데이터(오디오 파일)를 분석하여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채널 수에 기초하여 해당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인지 모노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파일 분석 결과에 따라 오디오 파일(오디오 데이터)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오디오 파일이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면 오디오는 스테레오이므로 프로세서(120)는 스피커 정렬(arrange) 데이터에서 모노/스트레오 플래그를 셋팅(1)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스피커 정렬 데이터를 참조하여 스피커 배열이나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스피커 정렬(arrange) 데이터는 본 개시의 표 1에 따른 미디어 유형에 해당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또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에 기초하여 3차원(3D) 그래프를 플로팅(plotting)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70)로 하여금 오디오 데이터의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에 기초하여 플로팅된 3차원 그래프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차원 그래프의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y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z축은 오디오 데이터의 진폭을 나타낸다.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푸리에(fourier)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에서 서로 상이한 주파수 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분석, 특히 서로 상이한 주파수 성분들을 분리함으로써, 프로세서(120)는 오디오가 데이터가 포함하는 복수의 미디어 유형을 결정하고 각 복수의 미디어 유형을 라벨링(labelling)한다.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미디어 유형은 정상 모노 신호, 고품질 모노 신호, 분리된 베이스(bass) 및 스피치(speech), 분리되지 않은 베이스 및 스피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미디어 유형들인 정상 모노 신호는 라우드(loud) 모노 사운드, 고품질 모노 사운드는 360도 사운드, 분리된 베이스 및 스피치는 서라운드 사운드, 및 분리된 베이스 및 스피치는 스테레오 사운드로 라벨링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또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각 주파수 성분 혹은 오디오 채널을 베이스, 음악 효과, 스피치 및 클리어와 같은 다양한 오디오 카테고리로 분리한다. 스피치는 음악이 아닌 사람의 스피치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이고 클리어는 음악이나 스피치가 없는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피커(130)에 대한 스피커 구성을 결정한다. 다양한 스피커 구성을 위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벤딩되는 각각의 면에 스피커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벤딩으로 구부러지는 면이 3개 이상이면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 총 3개의 스피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벤딩으로 구부러지는 면이 3개 이상일 때 2개의 좌우면에만 스피커를 구비하여도 된다.
만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이 적어도 두 개의 면끼리 완전히 접히는 구성이 아니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플레이트(plate)가 연속적으로 휘어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피커는 적절한 간격으로 휘어지는 면을 따라 구비된다.
스피커 구성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 사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한번의 벤딩에 따라 0도를 이루는 두개의 면이 완전히 접혀서 두 개의 면이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고 가정하자. 한 개의 접히는 면인 제 1 면과 또 다른 면인 제 2 면은 각각 0도에서 180도까지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인 제 1 스피커, 제 2 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인 제 2 스피커가 구비된다.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에 따라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에 이루어져야 할 각도를 결정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벤딩 라인(접히는 라인)을 따라 사람이 벤딩하는 것이 아닌 자동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를 청취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 재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오디오 데이터 재생 이벤트는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을 재생하라는 플레이 터치 버튼 푸쉬에 의해 트리거링 될 수 있다. 오디어 데이터의 분석 결과 제 1 면과 제 2 면 간 사이각으로서 60도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가장 최적의 각도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하자.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각도인 60도에 기초하여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가 60도가 되도록 자동 벤딩을 진행한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제어기(150)에 속한 벤딩용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과 제 2 면 간 각도를 60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벤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벤딩을 위한 제어기(150)는 벤딩을 위해 벤딩용 모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자성체,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과 제 2 면 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벤딩을 위한 자동 장치가 없는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각도 및 이에 따른 스피커 구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물리적 벤딩 형상을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 및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스피커 배열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가 벤딩되어 이루어져야 할 형상을 결정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된 각도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어 데이터의 분석 결과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가장 최적의 각도로 제 1 면과 제 2 면 간 사이각이 60도로 결정되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70)나 음성을 통하여 결정된 각도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각도에 따라 벤딩되어 이루어져야 할 형상 자체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17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결정된 각도는 디스플레이(170) 상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 1 면과 제 2 면을 조절할 때 디스플레이(170) 상에서 조절되는 각도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 면과 제 2 면이 벤딩되어 각도가 변화할 때 변하는 각도를 실시간으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 디스플레이(17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결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것을 100%로 하여 현재 이루는 각(0%)으로부터 결정된 각도에 도달하는 정도를 순차적으로 %로 표시할 수도 있다. 반대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현재 두면 간의 각을 100%로 하고 결정된 각도를 0%로 하여 제 1 면과 제 2 면이 벤딩될 때 % 값 변화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제 1 면과 제 2 면을 조정할 때 제 1 면과 제 2 면이 이루는 각도가 용이하게 결정된 각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각도를 타겟 각도로 디스플레이(170) 상에 표시하고 현재 제 1 면과 제 2 면이 이루는 각도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제 1 면과 제 2 면이 이루는 각이 결정된 각도에 도달했을 때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통지는 디스플레이(170) 상에 제 1 면과 제 2 면이 이루는 각도를 표시하거나 사운드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진동 출력을 통해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과 관련된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302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되고자 하는 미디어 컨텐트(오디오 데이터)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오디오 채널이 분석된다.
단계 304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별 분석을 수행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들은 분석에 의해 베이스, 음향 효과, 스피치 및 클리어와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할된다.
단계 306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고 주파수 성분 중 기여도가 높은 주파수 성분을 식별 및 분리한다.
단계 308에서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성분의 식별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20)의 형상이 가져야 하는 각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피커(130)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20)의 형상을 결정한다.
단계 310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형상 및/또는 각도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에 이르도록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각도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에게 형상을 안내한다. 프로세서(120)는, 안내된 형상에 따라 사용자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바꾸어 갈 때 결정된 형상에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가 근접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수단으로 알람 혹은 진동 출력을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170) 상에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12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어 데이터에 대한 중첩, 간섭 혹은 소음 기여도를 측정 및 분석한다. 프로세서(120)는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정보를 통해 현재 출력되는 오디오의 중첩 정도, 간섭 정도 혹은 소음을 분석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분석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재분석에 기초하여 형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각각의 면들이 이루어야 할 각도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만일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수신한 오디오 정보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면들이 이루어야 할 각도가 재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제어기(150)를 통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면들이 이루어야 할 형상대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재구성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402에서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이용가능한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미디어 컨텐츠(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준비가 이루어진다.
단계 404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하고 채널 분석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채널 분석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406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채널이 모노인지 스테레오인지를 결정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채널이 모노 채널인 경우 단계 412로 진행하고 오디오 채널이 스테레오 채널인 경우 단계 408로 진행한다.
단계 408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채널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한다. 단계 410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주파수 성분을 분리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베이스 및 스피치 성분을 분리한다.
단계 412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리된 베이스 및 스피치 성분을 고려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에 대한 스피커 구성을 결정한다. 프로세서(120)는 스피커에 대한 구성 결정에 기초하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 대한 형상을 결정한다.
단계 414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복수의 스피커 구성 및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 형상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의 각도를 수치로 보여줄 수도 있다.
단계 416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결정된 복수의 스피커 구성 및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에 동의하는지를 질의한다. 사용자가 만족하면 단계 418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20으로 진행한다.
단계 418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스피커 구성을 안내한다. 단계 420에서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커스텀 구성에 기초하여 스피커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422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임의의 오디오 신호 중첩 혹은 오디오 신호 노이즈를 검출하기 위해 복수의 스피커(130)의 현재 구성으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으로 획득하여 이를 분석한다.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으로 획득하는 것은 각각의 복수의 스피커(130)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140)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스피커(130) 갯수 만큼 대응되는 마이크로폰(140)을 구비할 수 있다.
단계 424에서 프로세서(120)는 분석 결과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간섭, 중첩 이나 노이즈가 발견되면, 이러한 오디오 신호 중첩이나 노이즈를 감쇠시키기 위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 새로운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오디오 신호 중첩이 많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벤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좌측 면의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우측 면에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간의 중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벤딩되는 각도를 조절한다는 것은 벤딩되는 두면이 이루는 각도 사이를 작게 한다는 의미이고 극단적으로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20)를 거의 폴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20)가 이루는 두 면 간의 각도를 20도 이내가 되도록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면들을 접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20)에서 두 면 간의 각도가 거의 0도에 이를 경우 오디오 신호 간의 중첩이나 간섭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벤딩되는 면을 가진다.
단계 501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한다. 일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고하 하는 이벤트(예를 들어, 음악 재생 버튼 푸쉬 혹은 비디오 재생 개시 명령 입력)를 발생시킨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 채널 오디오 데이터인지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결정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 시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를 결정한다.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은 베이스 대역, 음악 효과 대역, 스피치 대역 및 클리어 대역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포함될 것이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유형(type)을 결정한다. 본 개시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유형이라는 용어는 미디어 유형이라는 용어와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구비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한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면들이 이루는 벤딩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로 결정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 중 좌면과 우면 간의 각도는 50도 내지 180도 사이로 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도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각도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 각 각도를 조정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가 포함하는 적어도 두 면이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면이 곡선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들이 상기 결정된 각도를 이루는 경우 사용자에게 관련 통지가 제공될 수 있다.
결정된 각도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들 간 상기 결정된 각도를 이룬 이미지를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ㅇ있다.
단계 507에서 프로세서(120)는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오디오 출력이 종료되거나 오디오 출력 도중 오디오 데이터와 다른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따른 오디오가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제 2 오디오 데이터로 변경되는 이벤트는 트리거링 이벤트가 된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트리거링 이벤트에 기초해서 제 2 오디오 데이터에 적합하도록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다시 재조정하고 상기 다시 재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면들을 자동으로 벤딩할 수 있다.
도 6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의 상대적 기여도를 결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단계 602에서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604에서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오디오 채널의 주파수 분포를 결정한다.
단계 606에서 프로세서(120)는 오디오 데이터 각각의 주파수 성분의 기여도를 결정한다.
이렇게 오디오 데이터 각각의 주파수 성분의 기여도가 결정되면 프로세서(12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최적의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을지 판단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x축은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고 y축은 사운드의 진폭(dB)을 나타낸다. 도 7a에서 알 수 있듯이 60Hz~500Hz 주파수 범위의 저주파수 대역은 베이스(bass)로 분류되고, 500Hz~2kHz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대역은 음악 효과로 분류되고, 2kHz~4kHz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대역은 스피치로 분류되고, 4kHz~20kHz 주파수 범위의 주파수 대역은 클리어(clear)로 분류된다. 이러한 주파수 분포에 기초해서, 오디오 데이터에서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개별 주파수 대역의 전체 기여도가 결정된다.
도 7b 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주파수 대역 분포를 나타내는 3차원 그래프이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가 2 채널을 가진다는 것은 오디오 데이터가 스테레오 오디오임을 의미한다.
도 7b의 3차원 그래프는 진폭에 대한 오디오 신호(주파수 성분)의 3차원 스펙트로그램(spectrogram)을 보여준다. 도 7b의 3차원 그래프에 따르면 가장 진폭이 큰 부분이 음악 효과(MUSIC FX)이므로 본 오디오 데이터는 음악 파일일 것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2 채널 오디오 데이터에서 채널별 주파수 대역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c는 도 7b의 3차원 그래프를 채널별로 분리해서 2차원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c 의 (a)는 전체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낸다. 전체 오디오 데이터는 2채널로 나누어지므로 도 7c의 (b)의 좌 채널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분포와 (c)의 우 채널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분포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도 7c에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오디오 신호 주파수 분포를 살펴보면, 해당 오디오 데이터는 음악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 음악 파일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좌 채널 오디오 신호는 클리어(clear) 부분이 우 채널 오디오 신호보다 진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우 채널 오디오 신호는 저음(bass) 신호의 진폭이 좌 채널 오디오 신호의 저음 신호의 진폭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이 사용된다. 특히, 주파수 푸리에 변환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가 큰 경우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분리한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가 크다는 것은 해당 주파수 대역이 오디오 데이터의 특성 - 스피치인지, 저음인지, 음악 효과인지 등 - 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다는 의미이다.
표 1은 일실시예에 따라 미디어 유형에 따라 결정된 스피커 구성 및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보여준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 1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는 도 10과 같은 두개 벤딩 라인과 3개의 벤딩 면 및 3개의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이거나 도 10과 같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센터 면(840)과 센터 스피커(804)가 생략된 경우일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유형 좌우 채널 컨텐트 스피커 구성 미디어 유형 전자 장치 형상
모노 채널 오디오 좌우 채널 내용이 동일 모든 스피커 사용
혹은 센터 스피커만 사용
라우드 모노 스피커 출력 벤딩 없음
(기본 구성으로 180도 벤딩)
360도 사운드 출력 0도 벤딩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좌우 채널 내용이 상이 모든 스피커 사용 서라운드 출력 60도 벤딩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
60도~180도 벤딩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유형은 모노 채널 오디오와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로 분류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유형이 모노 채널 오디오인 경우 좌우 스피커 채널의 내용은 동일하고 동일한 컨텐트를 출력하면 된다.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유형이 모노 채널 오디오일 때 플렉시블 전자 장치가 도 10과 같은 두개의 벤딩 라인과 3개의 벤딩 면 및 3개의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에는, 전력 저감을 위해서 혹은 센터 스피커 출력이 충분할 경우 센터 스피커만 출력을 낼 수 있다.
모노 채널 오디오 중에서도 미디어 유형이 라우드 모노 스피커 출력으로 결정되는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는 벤딩없는 기본 구성으로 스피커 출력을 한다. 미디어 유형이 360도 사운드 출력인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는 0도 벤딩 상태로 사운드를 출력한다. 이 때 0도 벤딩 상태는 벤딩되는 두면이 완전히 접혀서 폴딩된 상태를 의미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 유형이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인 경우 좌우 스피커 각각으로 출력되는 좌우 채널 컨텐트가 달라진다. 이 때 미디어 유형이 서라운드 출력인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 각도는 60도 벤딩이 적합하다. 미디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 이 때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 각도는 60도 내지 180도 사이가 적합하다.
표 1에서 미디어 유형은 주파수 분석 및 기여도 분석에 따라 베이스(bass), 음악 효과, 스피치, 클리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3개의 스피커를 구비한다. 3개의 스피커는 위치에 따라 각각 좌측 스피커(802), 센터 스피커(804), 우측 스피커(806)이다.
그리고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좌측 스피커(802)와 센터 스피커(804) 사이에서 접히는 좌측 벤딩 라인(811)이 형성되고, 센터 스피커(804)와 우측 스피커(806) 스피커 사이에서 접히는 우측 벤딩 라인(813)이 형성된다.
앞선 표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디어 유형이 라우드 모노 스피커 출력이 이루어져야 할 사운드라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접힘없이 3개의 스피커는 크고 선명한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 모두 동일하게 사용된다. 혹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전력저감을 위해서 혹은 센터 스피커(804)가 충분히 출력이 큰 경우나 큰 사운드를 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모드 전환 - 센터 스피커 사용 전용 모드 - 을 통해 센터 스피커(804) 만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b에서 좌측 벤딩 라인(811)을 기준으로 접히는 면은 좌면(820)과 센터면(840)이다. 마찬가지로, 우측 벤딩 라인(813)을 기준으로 접히는 면은 센터면(840)과 우면(860)이다. 도 8a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좌면(820), 센터면(840), 우면(86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802, 804, 806)가 구비된다.
일실시예에서, 도 8b는 미디어 유형이 360도 사운드 출력이 요구되는 경우로 결정되었을 때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보여준다. 좌면(820)과 우면(860)은 서로 완전히 폴딩되어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센터면(840)과 좌면(820), 그리고 센터면(840)과 우면(860)은 각각 직각을 이룬다. 미디어 유형이 360도 사운드 출력이므로 도 8b와 같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이 최적의 형상이라 할 수 있다. 각각의 스피커(802, 804, 806)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서로 간섭이 없으며 사용자는 360도 사운드 경험을 할 수 있다.
도 8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a나 도 8b와 달리 도 8c에 따르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의 벤딩 라인(8112)은 한 개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하나의 벤딩 라인(8112) 양측에 좌면(8120)과 우면(8160)을 구비한다.
앞선 표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디어 유형이 라우드 모노 스피커 출력이라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접힘없이 2개의 스피커(8102, 8106) 모두가 크고 선명한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동일하게 사용된다.
도 8d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d에 따르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벤딩 라인(8112)에 기초해서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즉,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의 좌면(8120)과 우면(8160)은 완전히 마주보며 0도 각을 형성한다.
일실시예에서, 도 8d는 표 1에 따른 미디어 유형이 360도 사운드 출력으로 결정되었을 때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의 형상을 보여준다.
일실시예에서, 3개의 스피커가 구비된 도 8b의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와는 달리 도 8d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두 개의 스피커만이 구비되므로 센터로의 사운드 출력이 없다. 따라서, 도 8b의 경우와 달리 도 8d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좌면(8120)과 우면(8160)이 0도 내지 30 미만의 각도를 이루어도 360도 사운드 출력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표 1에서 오디오 데이터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이고 미디어 유형은 서라운드 출력이다.
일실시예에서, 서라운드 출력 미디어 유형에 부합하기 위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센터면(840)의 수직과 좌면(820)이 이루는 각도는 60도이다. 즉, 좌면(820)은 센터면과 30도 각도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우면(860)은 센터면(840)과 30도 각도를 형성한다.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및 스피치 성분은 센터 스피커(840)에 의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오디오 데이터의 미디어 유형이 서라운드 출력이라고 하더라도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좌면(82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는 60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적의 서라운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좌면(82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는 재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센터 스피커(804)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좌면(82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는 60도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표 1에 따른 미디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 도 9a에서의 경우에 비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좌면(82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는 60도보다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 표 1에 따른 미디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 센터 스피커(804)를 사용하지 않고 좌측 스피커(802)와 우측 스피커(806)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c는 앞선 도 8c와 같이 하나의 벤딩 라인을 가지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에서 매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9c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는 센터 스피커와 센터면이 없다. 오디오 데이터의 미디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200)의 좌면(8120)과 우면(8160) 각각이 벤딩 라인의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는 대략 60도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개략도이다.
지금까지 플렉시블 전자 장치는 벤딩(폴딩)되는 면이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접히는 구조였다면 도 10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300)는 접히는 벤딩 라인이 없이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도 10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300)는 좌측 스피커(1002)와 우측 스피커(1006)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일실시예에 따라서는 센터에 센터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플렉시블 전자 장치(300)는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미디어 유형이 스테레오 사운드 출력인 경우 플렉시블 전자 장치(300)의 좌측 스피커(1002)와 우측 스피커(1006)는 굽어진 상태에서 좌측 스피커(1002)의 접선과 우측 스피커(1006)의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140도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디스플레이에 보여주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20)가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여 좌면(820), 센터면(840)과 우면(860)이 이루어야 할 각도가 결정되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가 갖추어야 할 형상이 결정된다.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는 결정된 형상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형상으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벤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제어기(15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결정된 형상이 되도록 좌면(820), 센터면(840)과 우면(860)을 벤딩할 수 있다. 벤딩은 좌면(820)과 센터면(840)간 힌지에 구비된 모터, 센터면(840)과 우면(860)간 힌지에 구비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혹은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 200, 300)에 압전소자나 자성 소자를 통해 좌면(820), 센터면(840)과 우면(860)을 자동으로 벤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를 벤딩할 경우 원하는 형상이 이루어지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사운드, 진동 혹은 시각적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오디오의 미디어 유형이 서라운드 출력일 경우 디스플레이(17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가 갖추어야 할 형상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원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형상을 이루기 위한 각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좌면(820)과 우면(860) 각각에 좌-디스플레이(8020) 및 우-디스플레이(8060)를 구비한다.
일실시에에서, 좌-디스플레이(8020)는 좌면(820)과 센터면(840)이 이루어야 할 타겟 각도와 실시간으로 변하는 현재 각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좌면(820)을 어느 정도 벤딩해야 할지 각도값을 확인하면서 접을 수 있도록 돕는다. 마찬가지로 우-디스플레이(8060)는 우면(860)과 센터면(840)이 이루어야 할 타겟 각도와 실시간으로 변하는 현재 각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우면(860)을 어느 정도 벤딩해야 할지 각도값을 확인하면서 접을 수 있도록 돕는다.
물론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좌측 타겟 각도와 현재 각도, 우측 타겟 각도와 현재 각도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접히는 안쪽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13a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간섭 혹은 중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좌면(8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1310)와 우면(86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1320)간에 간섭 혹은 중첩이 이루어지는 영역(1330)이 나타난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 간섭 혹은 중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좌면(820)과 우면(860) 간 각도(Angle)를 더 작게 해 주어야 한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이크로폰이 구비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를 보여준다.
도 13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좌면(820), 센터면(840), 우면(860) 각각에 좌측 마이크로폰(1302), 센터 마이크로폰(1304), 우측 마이크로폰(1306)이 구비된다.
현재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에 의해 그 형상이 결정되어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스피커들(802, 804, 806)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 결과 오디오 출력의 중첩, 간섭 혹은 배경 소음 때문에 사용자는 좋은 청취 품질을 누릴 수 없다.
이 때 프로세서(120)는 각 마이크로폰(1302, 1304, 1306)을 통해 이러한 오디오 출력의 중첩, 간섭 혹은 배경 소음(background noise)을 검출하고 프로세서(120)는 검출된 오디오 출력의 중첩, 간섭 혹은 배경 소음을 피드백 정보로서 획득한다.
배경 소음은 현재 오디오 출력 신호와 겹치는 걸 원하지 않는 신호이다. 앞서 기술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피드백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 분석에 반영한다. 프로세서(120)는 피드백 정보와 오디오 데이터를 병합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재 좌면(820), 센터면(840), 우면(860)이 이루는 각도를 재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좌측 스피커(802)와 센터 스피커(804), 우측 스피커(806)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출력(오디오 신호)가 중첩되거나 간섭되는 경우 이를 피하기 위해 프로세서(120)는 좌면(82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20)는 우면(860)과 센터면(840)의 수직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변경된 각도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어기(150)로 하여금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3c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간섭 혹은 중첩을 제거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c를 참조하면, 도 13b에 따른 과정에 의해 변경된 각도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의 형상을 변경하였다. 변경된 각도에 의해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각각(1340, 1350, 1360)은 간섭이나 중첩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플렉시블 전자 장치(1402), 제 2 플렉시블 전자 장치(1404), 제 3 플렉시블 전자 장치(1406) 및 제 4 플렉시블 전자 장치(1408)는 앞선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와 같이 3개의 스피커를 구비하고 크고 선명한 사운드 조합을 출력하기 위해 특정 배열(arrangement)을 형성한다. 복수의 플렉시블 전자 장치가 도 14에 따른 배열을 따른 경우 거의 완벽한 서라운드 사운드 출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1500)는 하나의 벤딩 라인(1511)을 가지고 좌면(1520)과 우면(1560)이 접히는 구조이다.
도 15에 따른 플렉시블 전자 장치(1500)는 센터 스피커를 가지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와 유사한 오디오 출력 효과를 내기 위해 벤딩 라인(1511) 근처에 센터 스피커 역할을 할 수 있는 두 개의 스피커(1503, 1504)를 구비하고 좌면에 좌측 스피커(1502)와 우측 스피커(1506)를 구비한다. 두 개의 스피커(1503, 1504)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500)의 좌면(1520)과 우면(1560)이 접히는 각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센터 스피커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좌면(1520)과 우면(1560) 간의 각도가 매우 작을 경우(예를 들어 15도 이하)에는 두 개의 스피커(1503, 1504)는 센터 스피커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겠지만, 좌면(1520)과 우면(1560) 간의 각도가 매우 작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100)에서의 센터 스피커 역할을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따른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에서 실행되고 하드웨어 장치의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200, 300, 1500; 플렉시블 전자 장치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30; 복수의 스피커
140; 마이크로폰
150; 제어기
160; 통신부
170; 디스플레이
802; 좌측 스피커
804; 센터 스피커
806; 우측 스피커
811; 좌측 벤딩 라인
813; 우측 벤딩 라인
820, 1520; 좌면
840; 센터면
860, 1560; 우면
8020; 좌-디스플레이
8060; 우-디스플레이
1302, 1502; 좌측 마이크로폰
1304; 센터 마이크로폰
1306, 1506; 우측 마이크로폰
1503, 1504; 스피커
1511; 벤딩 라인

Claims (20)

  1.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상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가 구비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에 따라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채널을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모노 채널 오디오 데이터인지 스테레오 채널 오디오 데이터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은 베이스 대역, 음악 효과 대역, 스피치 대역 및 클리어 대역 중 적어도 두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들 간 상기 결정된 각도를 이룬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 출력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복수의 스피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되, 오디오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상기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기여도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각도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 간 각도를 조정하고, 및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의 벤딩되는 면이 상기 결정된 각도에 따라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전자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벤딩 라인을 가지고 상기 2개의 벤딩 라인에 따라 적어도 3개의 벤딩 면을 가지고 상기 3개의 벤딩 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플렉시블 전자 장치.
KR1020200063890A 2019-06-04 2020-05-27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5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92,734 US11146870B2 (en) 2019-06-04 2020-06-04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data in flexi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speak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1941022216 2019-06-04
IN201941022216 2019-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629A KR20200139629A (ko) 2020-12-14
KR102656613B1 true KR102656613B1 (ko) 2024-04-12

Family

ID=7377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90A KR102656613B1 (ko) 2019-06-04 2020-05-27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653A1 (ko) * 2022-08-23 2024-02-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9636A1 (en) * 2016-03-21 2017-09-21 Lenovo (Beijing) Limited Electronic devi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008B1 (ko) * 2014-04-30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9636A1 (en) * 2016-03-21 2017-09-21 Lenovo (Beijing) Limited Electronic devic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629A (ko) 202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4231B (zh) 免提波束方向图配置
Radmanesh et al. Generation of isolated wideband sound fields using a combined two-stage lasso-ls algorithm
JP6121481B2 (ja) マルチマイクロフォンを用いた3次元サウンド獲得及び再生
US9277322B2 (en) System for optimizing the perceived sound quality in virtual sound zones
JP5705980B2 (ja) 空間における、音響イメージのエンハンスされた生成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EP2716075B1 (en) An audio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11354088B2 (en) Media-compensated pass-through and mode-switching
EP3364638B1 (en) Recording method, recording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US11611840B2 (en) Three-dimensional audio systems
US20140198941A1 (en) Acoustical signal generator using two transducers and a reflector with a non-flat contour
US11146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data in flexi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speakers
WO2016042410A1 (en) Techniques for acoustic reverberance contro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656613B1 (ko)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전자 장치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87496B2 (en) Controlling audio processing
US20170195779A9 (en) Psycho-acoustic noise suppression
JP2020014079A (ja) 音響システム
US20220232340A1 (en) Indication of responsibility for audio playback
US20230359430A1 (en) Media-compensated pass-through and mode-switching
US20230143473A1 (en) Splitting a Voice Signal into Multiple Point Sources
EP2599330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creation of an acoustic image in space
US20220360899A1 (en) Dynamics processing across devices with differing playback cap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