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461B1 -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461B1
KR102656461B1 KR1020190032011A KR20190032011A KR102656461B1 KR 102656461 B1 KR102656461 B1 KR 102656461B1 KR 1020190032011 A KR1020190032011 A KR 1020190032011A KR 20190032011 A KR20190032011 A KR 20190032011A KR 102656461 B1 KR102656461 B1 KR 10265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device
screen
various embodiments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087A (ko
Inventor
이석재
김종진
신종환
조준희
박정민
허창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461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09 priority patent/WO2020190001A1/ko
Publication of KR2020011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087A/ko
Priority to US17/476,588 priority patent/US119893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1Multimod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enabling the user to issue commands by simultaneous use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nature, e.g. voice plus gesture on digitiz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확인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는 상기 제1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CHARACTERISTIC OF OBJECT BASED ON MOVEMENT OF U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평면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실린더형(cylindrical) 디스플레이 또는 다양한 다각 기둥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다양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도 점점 고도화 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발화를 수신하여, 수신된 발화에 따른 특정한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태스크는 수신된 발화에 대응하는 특정한 화면의 디스플레이 또는 특정한 음성의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를 수신하여 특정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경우, 전자 장치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정보가 작게 보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크기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전자 장치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또는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등 곡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특정한 화면을 출력할 경우에, 곡률을 가지는 곡면 특성상 화면을 통해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곡면 디스플레이를 바라볼 경우 화면(특히 화면의 가장 자리 부근)에 디스플레이 된 정보(또는 콘텐트)는 화면의 곡률로 인하여 휘어진(즉, 왜곡된) 모습으로 보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확인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는 상기 제1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는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들의 크기 또는 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곡면 형상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서 곡면 왜곡 보정이 수행된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평면 상에서 객체를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여 발휘되는 다양한 효과들은 상술한 효과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곡면 왜곡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곡면 왜곡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곡면 왜곡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이 동작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로부터 식별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로부터 식별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로부터 식별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대하여 위치하는 거리가 변경될 경우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발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은,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1)), 지능형 서버(2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2) 또는 서버(1708)), 개인화 정보 서버(300) 또는 제안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저장된 앱(app)(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예: 알람 앱, 메시지 앱, 사진(갤러리) 앱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전자 장치(100) 내부에 저장된 지능형 앱(또는, 음성 인식 앱)을 통해 다른 앱을 실행하고 동작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상기 지능형 앱을 통해 상기 다른 앱의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음성 입력, 원격 입력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또는, 전자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상기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action)(또는,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룰은 상기 앱의 상기 동작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앱에서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패스 룰(path rule)" 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태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들의 시퀀스를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룰은 상태들의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스크는, 예를 들어, 지능형 앱이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동작(action)일 수 있다. 상기 태스크는 일정을 생성하거나, 원하는 상대방에게 사진을 전송하거나,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예: 전자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갖음으로써, 상기 태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룰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t)(AI)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룰 베이스 시스템(rule-based system) 일 수도 있고, 신경망 베이스 시스템(neural network-based system)(예: 피드포워드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FNN)),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RNN))) 일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것의 조합 또는 이와 다른 인공지능 시스템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룰은 미리 정의된 패스 룰들의 집합에서 선택될 수 있거나,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시스템은 미리 정의 된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패스 룰을 선택하거나, 동적(또는, 실시간)으로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패스 룰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한 전자 장치(100)의 상태에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의 일부 결과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예를 들어, 마지막 순서의 동작을 실행한 결과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예: 컨텍스트 정보, 앱 실행 등)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은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안 서버(400)는 단말 내에 기능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소개 또는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안 서버(400)는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전자 장치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안 서버(400)로부터 상기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입력 모듈(110)(예: 도 17의 입력 장치(1750)), 디스플레이(120)(예: 도 17의 표시 장치(1760)), 스피커(130)(예: 도 17의 음향 출력 장치(1755)), 메모리(140)(예: 도 17의 메모리(1730)) 또는 프로세서(150)(예: 도 17의 프로세서(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거나 하우징 상에(on the housing)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은 상기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통해 외부 서버(예: 지능형 서버(200))와 데이터(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모듈(110)은 연결된 외부 장치(예: 키보드, 헤드셋)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12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전자 장치(100)(또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위치한 하드웨어 키(또는, 물리적 키)(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 모듈(110)은 발화 입력 시스템(speech input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발화 입력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일부분(예: 제1 부분)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하우징의 일부분(예: 제2 부분)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13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13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130)는 하우징의 일부분(예: 제3 부분)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복수의 앱(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application program)(141, 143)(예: 도 17의 프로그램(1740))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앱(141, 143)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program)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을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은, 예를 들어,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 발화)을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은 로그(log)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복수의 앱(141, 143)을 저장하고, 복수의 앱(141, 143)은 로드(load) 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141,143)은 실행 매니저 모듈(147)에 의해 로드 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앱(141, 143)은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앱(141,143)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을 통해 복수의 동작들(예: 상태 들의 시퀀스)(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에 의해 활성화되고, 복수의 동작들(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되었을 때, 동작(141b, 143b)의 실행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행 상태 화면은, 예를 들어, 동작(141b, 143b)이 완료된 상태의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실행 상태 화면은, 다른 예를 들어, 동작(141b, 143b)의 실행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예: 동작(141b, 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의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은 패스 룰에 따라 동작(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은 실행 매니저 모듈(147)에 의해 활성화되고,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부터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 요청을 전달 받고, 상기 실행 요청에 따라 동작(141b, 143b)을 함으로써, 앱(141, 143)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는 상기 동작(141b, 143b)의 수행이 완료되면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141, 143)에서 복수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동작(141b, 143b)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실행 서비스 모듈(141a, 143a)은 하나의 동작(예: 제1 앱(141)의 동작 1, 제2 앱(143)의 동작 1)의 실행이 완료되면 다음 동작(예: 제1 앱(141)의 동작 2, 제2 앱(143)의 동작 2)을 오픈하고 완료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동작을 오픈한다는 것은, 임의의 동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키거나, 임의의 동작의 실행을 준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동작이 오픈되지 않으면, 해당 동작은 실행될 수 없다. 실행 매니저 모듈(147)은 상기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다음 동작(예: 제1 앱(141)의 동작 2, 제2 앱(143)의 동작 2)에 대한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앱(141, 143)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의 앱(141, 143)은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앱(141)의 마지막 동작(예: 제1 앱(141)의 동작 3)의 실행이 완료되어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실행 매니저 모듈(147)은 제2 앱(143)의 첫번째 동작(예: 제2 앱(143)의 동작 1)의 실행 요청을 실행 서비스(143a)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앱(141, 143)에서 복수의 동작(141b, 143b)이 실행된 경우,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141b, 143b) 각각의 실행에 따른 결과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실행된 복수의 동작(141b, 143b)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결과 화면 중 일부만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와 연동된 지능형 앱(예: 음성 인식 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145)와 연동된 앱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45)와 연동된 앱은 입력 모듈(110)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입력(예: 하드웨어 키를 통한 입력, 터치 스크린을 통한 입력, 특정 음성 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이 프로세서(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의 기능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의 기능에 대해 프로세서(150)의 동작으로 설명하겠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10)을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스피커(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를 제어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 실행 매니저 모듈(147) 또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상기 생성된 명령에 따라 메모리(140)에 저장된 앱(141, 143)을 실행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 고, 상기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입력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고, 지능형 서버(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45)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전처리하기 위하여, 적응 반향 제거(adaptive echo canceller)(AEC) 모듈, 노이즈 억제(noise suppression)(NS) 모듈, 종점 검출(end-point detection)(EPD) 모듈 또는 자동 이득 제어(automatic gain control)(AGC)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응 반향 제거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에코(echo)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이즈 억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배경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종점 검출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사용자 음성의 종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종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존재하는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득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기 적합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성능을 위하여 상기 전처리 구성을 전부 실행시킬 수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0)는 저전력으로 동작하기 위해 상기 전처리 구성 중 일부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45)는 사용자의 호출을 인식하기 위해 메모리(140)에 저장된 웨이크업(wake up) 인식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상기 웨이크업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웨이크업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이크업 인식 모듈은 저전력 프로세서(예: 오디오 코덱에 포함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하드웨어 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시킬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45)가 실행된 경우, 지능형 에이전트(145)와 연동된 지능형 앱(예: 음성 인식 앱)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45)는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앱에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앱(141, 143)에서 상기 웨이크업 명령과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제한된 사용자 (음성) 입력(예: 카메라 앱이 실행 중일 때 촬영 동작을 실행시키는 "찰칵"과 같은 발화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상기 지능형 서버(200)를 보조하여 상기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100)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145)의 음성 인식 모듈은 앱 프로세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에이전트(145)의 음성 인식 모듈(웨이크업 모듈의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HMM(hidden markov model) 알고리즘,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알고리즘 또는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고,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상기 패스 룰을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패스 룰에 따른 실행 결과 로그(log)를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실행 결과 로그는 페르소나 모듈(persona manager)(149b)의 사용자의 선호(preference) 정보에 누적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45)로부터 패스 룰을 전달받아 앱(141, 143)을 실행시키고, 앱(141, 143)이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앱(141, 143)으로 동작(141b, 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예: 패스 룰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앱(141, 143)로부터 동작(141b, 143b)의 완료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45)와 앱(141, 143)의 사이에서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 정보(예: 패스 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실행할 앱(141, 143)을 바인딩(binding)하고,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의 명령 정보(예: 패스 룰 정보)를 앱(141, 1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141b, 143b)을 순차적으로 앱(141, 143)으로 전달하여,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을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앱(141, 143)의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앱(141, 143)으로부터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가, 예를 들어, 정지된 상태(partial landing)인 경우(예: 동작(141b, 143b)에 필요한 파라미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상기 정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45)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상기 전달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예: 파라미터 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동작(141b, 143b)의 실행 상태가, 다른 예를 들어, 동작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를 통해 상기 실행되고 있는 앱(141, 143) 및 앱(141, 143)의 실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45)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발화를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 정보를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전달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47)은 상기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141b, 143b)의 파라미터를 새로운 파라미터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앱(141, 14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에 따라 복수의 앱(141, 143)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147)은 하나의 앱에서 다른 앱으로 패스 룰에 포함된 파라미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실행하여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가 일부 동작(141a)을 실행할 일부 앱(141)을 특정하였지만, 나머지 동작(143b)을 실행할 다른 앱(143)을 특정하지 않은 경우, 일부 동작(141a)를 실행할 동일한 앱(141)(예: 갤러리 앱)이 실행되고 나머지 동작(143b)를 실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앱(143)(예: 메시지 앱, 텔레그램 앱)이 각각 실행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패스 룰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예를 들어,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의 동일한 동작(141b, 143b)(예: 연속된 동일한 동작(141b, 143b))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기 동일한 동작까지 실행한 경우,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에 각각 포함된 서로 다른 앱(141, 143)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서비스 모듈(149)은 컨텍스트 모듈(149a), 페르소나 모듈(149b) 또는 제안 모듈(149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컨텍스트 모듈(149a)을 실행하여 앱(141, 143)으로부터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컨텍스트 모듈(149a)을 실행하여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텍스트 정보를 통해 앱(141, 143)의 현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페르소나 모듈(149b)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페르소나 모듈(149b)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의 사용 정보 및 수행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전자 장치(100)의 사용 정보 및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50)는 제안 모듈(149c)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예측하고, 상기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제안 모듈(149c)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예: 시간, 장소, 상황, 앱)에 따라 사용자에게 명령을 추천해줄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1))는, 마이크(301)(예: 도 2의 입력 모듈(110) 또는 도 17의 입력 장치(1750)), 카메라(303)(예: 도 17의 카메라 모듈(1780)), 디스플레이(120)(예: 도 17의 표시 장치(1760)) 또는 스피커(130)(예: 도 17의 음향 출력 장치(17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301)는, 전자 장치(100)의 일부분(예: 상측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301)의 개수는 하나 또는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마이크들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301)는, 외부로부터 각종 음원에서 발생하는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301)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음성(예: 사용자 발화)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이크(301)는, 예를 들어, 단일 지향성 마이크, 초 지향성 마이크 또는 양 지향성 마이크 등의 지향성 마이크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현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음원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가 마이크(301)에 의하여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의 이득 및/또는 지연 정보를 이용하여, 음원의 입력 방향 및/또는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303)는, 전자 장치(100)의 일부분(예: 측면부)을 통해 노출(또는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303)의 개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 개의 카메라들은, 전자 장치의 측면부 상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303)는,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303)는,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50))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303)는, 복수 개의 렌즈들을 통하여, 수평 및/또는 상하 360도를 전방향 촬영하여 구면 사진 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예: 360도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예: 360도 촬영 카메라)는, 전자 장치의 상측부에 배치(안착)되어 전방향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130)는, 전자 장치의 일부분(예: 측면부 또는 상측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13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서 생성된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피커(130)는 복수 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 전자 장치(100)의 일부분(예: 측면부)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 전체 또는 일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객체(예: 305a, 305b 또는 305c)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객체(예: 305a, 305b 및 305c)는, 최고 기온, 최저 기온 및 날씨를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각각의 객체(예: 305a, 305b 및 305c)에 대하여는, 후술할 본 개시의 다른 도면들을 통하여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309)가 전자 장치(100)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후술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곡면 왜곡 보정이 수행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곡면 왜곡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는,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40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이미지(예: 제1 화면(401))를 일반적인 평면 디스플레이에서와 동일하게 출력할 경우에는, 복수의 제1 일부 화면들은, 서로 같은 크기의 복수의 원주각들(θm, m= 1, 2, ... , n)을 가지고, 서로 같은 호의 길이(lm, m= 1, 2, ... , n)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하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하는 제1 화면(401)을 바라볼 경우, 상기 제1 화면(401)을 평면에 투영된 제2 화면(403a)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403a)은, 디스플레이(120)의 지정된 곡률로 인하여 왜곡된 화면으로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일부 화면들은 각각 서로 다른 길이들(즉, 가로 길이)(dm, m= 1, 2, ... , n)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화면(401a)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디스플레이 된 객체들(예: l1 또는 ln에 디스플레이 된 객체들)에 대하여는, 제2 화면(403a) 상에서 상대적으로 가로 폭이 좁게(예: d1 또는 dn 부분으로 투영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곡면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는,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40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4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정된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하나의 객체들 중 상대적으로 외측에 디스플레이 된 객체들 일수록 곡면 왜곡이 크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복수의 하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화면에 대하여 곡면 왜곡 보정을 수행(전처리)한 후, 제1 화면(401)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401) 중 상대적으로 외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들(예: l'1 또는 l'n 길이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객체들)에 대하여 원주각(예: θ'1 또는 θ'n)을 갖도록 곡면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곡면 왜곡 보정된 객체들을 포함하는 보정된 이미지가 사용자 시점에 대응하는 평면에 투영된 경우, 호의 길이들(l' 1 내지 l'n) 각각에 대응하는 투영된 길이(즉, 가로 길이)(예: d'm, m= 1, 2, ... , n)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화면(401)이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되더라도, 사용자는 제1 화면(401)을 바라보면 평면에 투영된 제2 화면(403b)로 인식하게 되므로, 곡면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도 4b에서, 전자 장치(100)가 상대적으로 외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들(예: l'1 또는 l'n 길이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 객체들)에 대하여 곡면 왜곡 보정을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자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들에 대하여는 곡면 왜곡 보정을 많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객체들에 대하여는 곡면 왜곡 보정을 적게 수행함으로써, 제1 화면(301a)에 디스플레이 된 모든 객체들에 대하여 곡면 왜곡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309)가 도 3의 전자 장치(100)를 좌측 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예: 305a, 305b 및 305c)은, 사용자(309)에게 도 4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도 4c에서는, 복수의 객체들 중 제2 객체(305b)는 좌측 방향에서는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예: 305a, 305c) 각각은, 전자 장치(100)에 의해 곡면 왜곡 보정이 수행된 객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예: 305a, 305c) 중 제1 객체(305a)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제1 객체(305a)의 외측(좌측)에 디스플레이 된 부분(예: "1")은 내측(우측)에 디스플레이 된 부분(예: "6")보다 상대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더 많이 길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제1 객체(305a)의 내측(우측)에 디스플레이 된 부분(예: "6")은 외측(좌측)에 디스플레이 된 부분(예: "1")보다 상대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더 적게 길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사용자(309)가 도 4c의 전자 장치(100)의 우측 방향에서 디스플레이(120)를 바라볼 경우, 사용자는 도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예: 도 3의 복수의 객체들(305a, 305b, 305c))을 가로 방향의 곡면 왜곡이 발생하지 않은 제2 화면(예: 도 4b의 제2 화면(403b))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2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2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230), 대화 매니저(dialogue manager)(DM) 모듈(240),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or)(NLG) 모듈(250) 또는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TTS)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 회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 자연어 이해 모듈(220), 패스 플래너 모듈(230), 대화 매니저 모듈(240), 자연어 생성 모듈(250) 및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6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데이터(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의 자연어 이해 모듈(220) 또는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발화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음향(acoustic) 모델 및 언어(language)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델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어 모델은 단위 음소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발화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atabase)(ASR DB)(21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또는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법적 분석은 사용자 입력을 문법적 단위(예: 단어, 구, 형태소 등)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가 어떤 문법적인 요소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의미적 분석은 의미(semantic) 매칭, 룰(rule) 매칭, 포뮬러(formula) 매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이 어느 도메인(domain), 의도(intent) 또는 상기 의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도메인(domain), 의도(intend) 및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로 나누어진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도메인(예: 알람)은 복수의 의도(예: 알람 설정, 알람 해제 등)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의도는 복수의 파라미터(예: 시간, 반복 횟수, 알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룰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필수 요소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규칙은 자연어 이해 데이터베이스(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database)(NLU DB)(22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형태소, 구 등의 언어적 특징(예: 문법적 요소)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추출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단어의 의미를 도메인 및 의도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각각의 도메인 및 의도에 사용자 입력에서 추출된 단어가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 지를 계산하여 사용자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의도를 파악하는데 기초가 된 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언어적 특징이 저장된 자연어 이해 데이터베이스(22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개인화 언어 모델(personal language model)(PLM)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개인화된 정보(예: 연락처 리스트, 음악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개인화 언어 모델은,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뿐만 아니라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도 자연어 이해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개인화 언어 모델을 참고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앱에서 수행될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결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 의해 생성된 패스 룰은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state))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패스 플래너 모듈(230)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상기 수신된 패스 룰 셋에 매핑하여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 및 상기 동작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전자 장치(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사용자 입력의 의도에 따라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배열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를 통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path rule database)(PR DB)(23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데이터베이스(231)의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생성된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최적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의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요청으로 패스 룰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하나의 패스 룰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스 룰을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예를 들어, 사용자 발화에 기초하여 일부 동작만이 특정된 경우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복수의 패스 룰 중 적어도 하나의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하는 패스 룰 셋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셋의 복수의 패스 룰은 패스 플래너 모듈(230)에 연결된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지능형 에이전트(145)로부터 수신된 전자 장치(100)의 정보(예: OS 정보, 앱 정보)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을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된 테이블은, 예를 들어, 도메인 또는 도메인의 버전 별로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패스 룰 셋에서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전자 장치(100) 에 대응되는 패스 룰 셋에 매칭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선택하여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사용자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실행될 앱 및 상기 앱에서 실행될 동작을 결정하여 하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서 생성된 패스 룰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패스 룰은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된 패스 룰 셋에 추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된 테이블에는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스 룰 또는 복수의 패스 룰 셋은 각 패스 룰을 수행하는 장치의 종류, 버전, 타입, 또는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 의해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파라미터의 정보가 충분하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서 파악된 파라미터가 태스크를 제공하는데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사용자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컨텐츠 제공(content provider)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에서 파악된 의도 및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제공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결과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생성 모듈(NLG)(250)은 지정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자연어 발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추가 입력에 대한 정보,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의 완료를 안내하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안내하는 정보(예: 사용자 입력에 대한 피드백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전자 장치(100)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 되거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60)로 송신되어 음성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60)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60)은 자연어 생성 모듈(25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하여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상기 음성 형태의 정보를 스피커(13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 패스 플래너 모듈(2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 패스 플래너 모듈(230) 및 대화 매니저 모듈(240)은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응답(예: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응답은 전자 장치(100)로 송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플래너 모듈(path planner module)이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앱의 기능을 어느 하나 동작(예: 상태 A 내지 상태 F)으로 구분하여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어느 하나의 동작(예: 상태)으로 구분된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포함하는 패스 룰 셋을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의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는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패스 룰 셋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 셋은 복수의 동작(예: 상태들의 시퀀스)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복수의 동작 각각에 입력되는 파라미터에 따라 실행되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패스 룰은 온톨로지(ontology) 또는 그래프 모델(graph model) 형태로 구성되어 패스 룰 데이터베이스(231)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패스 룰(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에 최적의 패스 룰(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완벽히 매칭되는 패스 룰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 복수의 룰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선택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예: A-B1)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을 선택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전자 장치(100)의 추가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 룰을 전자 장치(100)에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전자 장치(100)에서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따라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하여 전자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C3를 선택하는 입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의도 및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파라미터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은 상기 송신된 의도 또는 상기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 룰(예: A-B1-C1, A-B1-C2, A-B1-C3-D-F, A-B1-C3-D-E-F) 중 하나의 패스 룰(예: A-B1-C3-D-F)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패스 룰에 의해 앱(141, 143)의 동작을 완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정보가 부족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부분적으로 대응되는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지능형 에이전트(145)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하여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상기 부분적으로 대응된 패스 룰을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를 통해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제1 앱(141)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실행 매니저 모듈(147)을 통해 제1 앱(141)을 실행하면서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지능형 에이전트(145)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상기 부족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추가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입력을 지능형 서버(2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추가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의 의도 및 파라미터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된 패스 룰을 생성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45)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통해 실행 매니저 모듈(147)로 상기 패스 룰을 송신하여 제2 앱(143)을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된 경우,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 사용자 정보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의 정보를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 송신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일부 동작이 누락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일부 정보가 누락된 사용자 입력이 지능형 서버(200)에 수신되더라도, 누락된 정보를 요청하여 추가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패스 룰을 결정할 수 있다.
하기에 첨부된 표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가 요청한 태스크와 관련한 패스 룰의 예시적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Path rule ID State Parameter
Gallery_101 pictureView(25) NULL
searchView(26) NULL
searchViewResult(27) Location,time
SearchEmptySelectedView(28) NULL
SearchSelectedView(29) ContentType,selectall
CrossShare(30) anaphora
표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발화(예: "사진 공유해줘")에 따라 지능형 서버(도 1의 지능형 서버(200))에서 생성 또는 선택되는 패스 룰은 적어도 하나의 상태(state)(25, 26, 27, 28, 29 또는 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예: 단말의 어느 한 동작 상태)는 사진 어플리케이션 실행(PicturesView)(25), 사진 검색 기능 실행(SearchView)(26), 검색 결과 표시 화면 출력(SearchViewResult)(27), 사진이 미(non)선택된 검색 결과 표시 화면 출력(SearchEmptySelectedView)(28), 적어도 하나의 사진이 선택된 검색 결과 표시 화면 출력(SearchSelectedView)(29) 또는 공유 어플리케이션 선택 화면 출력(CrossShare)(30)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패스 룰의 파라미터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state)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진이 선택된 검색 결과 표시 화면 출력(29) 상태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태(25, 26, 27, 28, 29)들의 시퀀스를 포함한 패스 룰의 수행 결과 사용자가 요청한 태스크(예: "사진 공유해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1))가, 사용자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700)이다.
도 7에서 지능형 서버(20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동작들 중 일부는,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지능형 서버(200)에 의하여 수행되는 동작들 전체가 전자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정보를 다른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단독으로 도 7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나타내는 동작(예: 720 및 760)을 제외한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나머지 흐름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710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발화는, 예를 들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한 기능(또는 태스크)을 실행(또는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발화는,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예: 도 2의 지능형 에이전트(145))를 실행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발화(예: "하이, 빅스비(bixby)")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720에서,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 발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발화에 대한 정보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730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발화의 크기(세기)(즉, 신호 이득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검출된 사용자 발화의 크기(세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거리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740에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깝거나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는 3개 이상의 다양한 크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750에서, 제1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동작 정보는, 자연어 이해 모듈(예: 도 5의 NLU 모듈(220))을 이용하여 수신된 사용자 발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패스 룰(예: 도 5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패스 룰은,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동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760에서,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동작 730에서 결정된 복수의 객체들 각각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770에서, 결정된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객체들을 결정된 크기(예: 제1 크기 또는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술한 동작 730 또는 동작 7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2의 프로세서(150))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동작 710 내지 770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가, 사용자 발화로부터 식별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1))는, 마이크(301), 카메라(303), 디스플레이(120), 스피커(130) 또는 통신 회로(미도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301)을 통하여, 사용자(309)로부터 사용자 발화(803)(예: "현재 날씨 알려줘")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 발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예: 도 7의 제1 동작 정보) 및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동작 정보는, 사용자의 발화(803)(예: "현재 날씨 알려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예: 날씨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될 동작(예: 날씨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 날씨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예: d1)에 기반하여 결정된,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1 동작 정보(예: 도 7의 제1 동작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예: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예: 날씨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한 태스크(예: 현재 날씨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거리(예: 도 8a의 d1)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깝거나 같은 경우, 제2 크기(예: 도 7의 제2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호의 길이가 r1인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또는, 호의 길이 r1)은,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예: 제2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2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은, 도 8a에서 사용자(309)로부터 사용자 발화(예: "현재 날씨 알려줘")가 수신되는 방향에 대응(또는, 일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은, 제1 객체(805a), 제2 객체(805b), 제3 객체(805c), 제4 객체(805d), 제5 객체(805e), 제6 객체(805f), 제7 객체(805g), 제8 객체(805h), 제9 객체(805i) 또는 제10 객체(805j)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은, 순서대로, 실외 날씨 정보, 지역 정보, 최고/최저 기온 정보, 강우 정보, 강수량 정보, 습도 정보, 바람 정보, 체감 온도 정보, 미세 먼지 농도 정보 및 자외선 지수 정보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객체들이 나타내는 정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적어도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130)를 통하여,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이 나타내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130)를 통하여, "바람이 강해 쌀쌀하게 느껴져요"라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거리(예: 도 8a의 d1)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 제2 크기(예: 도 8b의 제2 크기)보다 큰 제1 크기(예: 도 7의 제1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807a 및 807b)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807a 및 807b)은, 도 8b의 제1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 객체(807a) 및 제12 객체(807b)는, 도 8b의 제3 객체(805c) 및 제4 객체(805d)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호의 길이가 r2인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호의 길이 r2는, 도 8b의 호의 길이 r1보다 길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또는, 호의 길이 r1)은,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예: 제2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즉,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은, 도 8b의 제1 화면에 포함된 객체들의 개수(예: 10개)보다 적은 개수(예: 2개)의 객체들(예: 807a 및 807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8b 또는 도 8c에 도시된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제1, 2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807a 및 807b)은, 도 8b의 복수의 객체들(805a 내지 805j)이 디스플레이(120) 상에 배치된 배열과 상이한 배열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8b 또는 도 8c에 도시된 복수의 객체들의 배열은,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제1, 2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또는, 호의 길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 또는 복수의 객체들의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8b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스피커(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807a 및 807b)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정보(예: 도 8b의 805a, 805b, 807e 내지 807j)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도 8a 내지 도 8c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은, 도 4a 및 도 4b에서 상술한 곡면 왜곡 보정이 수행된 객체들일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도 17의 전자 장치(1701))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900a, 900b)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10a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30a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50a에서, 사용자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은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디스플레이 되는 수,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배열은, 사용자 발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70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90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은, 제1 화면 또는 제1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의 속성(characteristic) 중 적어도 일부가 변경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크기 또는 배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화면에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크기 또는 배열 중 적어도 하나와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디스플레이 되는 수,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되는 배열은, 사용자 발화의 크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05b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10b에서,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915b에서, 제1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동작 정보는, 도 7에서 상술한 동작 730 내지 동작 750에 의한 제1 동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20b에서,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에 대한 정보(또는,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는,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제1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25b에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은, 도 7에서 상술한 동작 770에 의한 제1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3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전자 장치(100)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35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200)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94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움직임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의 변화(예: 멀어짐 또는 가까워짐), 방향의 변화(예: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 높이의 변화(예: 높아짐 또는 낮아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기반한 이미지 내의 객체(예: 사용자의 얼굴) 인식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945b에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거리는,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제1 거리로부터 변경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거리는, 동작 940b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950b에서, 제2 거리에 기반하여, 제2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크기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될 복수의 객체들의 변경된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크기는, 식별된 제2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도 8b에서 상술한 제1 크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식별된 제2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에는 도 8c에서 상술한 제2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955b에서, 제2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동작 정보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식별된 제2 거리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동작 정보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있는 화면(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60b에서,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를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965b에서, 결정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크기가 도 8b에서 상술한 제1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2 크기가 도 8c에서 상술한 제2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950b 내지 동작 965b는, 동작 940b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식별되지 않거나, 동작 945b에서 식별된 제2 거리가 동작 915b(즉, 도 7의 동작 740)에서 식별된 거리(예: 제1 거리)와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945b에서 식별된 제2 거리가 동작 915b(즉, 도 7의 동작 740)에서 식별된 거리(예: 제1 거리)와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은, 제1, 2 거리 모두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작거나, 제1, 2 거리 모두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큰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동작 915b 또는 940b 내지 955b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동작 905b 내지 동작 965b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309)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위치하는 거리(d)가 변경될 경우에, 디스플레이 된 화면(예: 1001)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거리가 d(m)일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호의 길이가 r인 영역) 상에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화면(100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미도시)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출된 사용자(309)의 움직임(예: ① 또는 ②)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된 화면(1001)을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309)의 움직임(예: ① 또는 ②)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된 화면(1001)을 변경하는 동작은, 도 9에서 상술한 동작 935b 내지 965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카메라(미도시)(예: 도 3의 카메라(303))에 의해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출된 사용자(309)의 움직임(예: ① 또는 ②)을 검출하는 동작은,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 또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프로세서(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거리(d)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 미만일 경우에는, 도 8b에서 도시된 제1 화면과 같이 화면(1001)을 디스플레이 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출된 ② 방향으로의 사용자(309)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거리(d)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크거나 같게 되면 디스플레이 된 화면(1001)을 도 8c에서 도시된 제2 화면과 같이(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의 호의 길이가 r보다 크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거리(d)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 이상일 경우에는, 도 8c에서 도시된 제2 화면과 같이 화면(1001)을 디스플레이 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출된 ① 방향으로의 사용자(309)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거리(d)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작게 되면 디스플레이 된 화면(1001)을 도 8b에서 도시된 제1 화면과 같이(예: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의 호의 길이가 r보다 작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 발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로부터 확인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1100a, 1100b)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10a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30a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을 이용하여,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50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70a에서, 사용자의 발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발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결정된 제1 크기로,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10b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20b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3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4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150b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사용자 발화 정보로부터 사용자 발화의 신호 이득 또는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대하여 객체 인식 동작(예: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의 크기를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거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160b에서, 제1 거리에 기반하여 제1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크기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될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크기는, 제1 거리를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와 비교를 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앞선 도면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170b에서, 제1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80b에서,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190b에서, 결정된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크기가 도 8b에서 상술한 제1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크기가 도 8c에서 상술한 제2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1200a, 1200b)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10a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30a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회로(예: 도 17의 통신 모듈(1790))을 이용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50a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방향으로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방향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예: 일치 또는 근접한 방향)일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10b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20b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발화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지향성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발화의 신호 이득 또는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230b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의 신호 이득 또는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240b에서,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기반하여 제1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방향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일치 또는 근접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250b에서, 제1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동작 정보는, 사용자 발화에 대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패스 룰(예: 도 5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60b에서,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복수의 객체들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270b에서, 제1 화면을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을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309)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발화(1302a)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 및 제1 화면(1301)에 대한 정보(예: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발화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날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1301)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화면(1301)에 대한 정보(예: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화면(1301)을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제1 방향(①)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8b 및 도 8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309)가 위치하는 거리(d)에 따라서,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크기, 배열, 개수, 영역의 크기를 달리하여, 제1 화면(1301)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가, 사용자가 이동한 방향으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1400a, 1400b)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10a에서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30a에서,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12a, 도 12b 또는 도 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발화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화면(예: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50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1의 카메라(303))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70a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다른 말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능형 서버(예: 도 1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식별된 제1 화면에 대한 정보(예: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을 식별하는 동작은,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기반한 이미지 내의 객체(예: 사용자의 얼굴) 인식 동작(예: 객체의 움직임(이동)을 확인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2 화면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화면을 제1 방향에서 변경된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다른 말로,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 또는 지능형 서버(200)에 의한 동작 1405b 내지 동작 1435b는 각각, 도 12b의 동작 1210b 내지 동작 1270b에서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4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45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450b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한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기반하여 이미지 내의 객체(예: 사용자의 얼굴) 인식 동작(예: 객체의 움직임(이동)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하는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455b에서, 사용자가 이동하여 위치한 방향에 기반하여 제2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방향은,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방향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일치 또는 근접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능형 서버(200)는, 동작 1460b에서, 제2 동작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동작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패스 룰(예: 도 5의 패스 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동작 정보는,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65b에서,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2 화면 정보(예: 제1 화면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방향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동작 1470b에서, 제1 화면을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객체들을 결정된 방향(예: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 8b 및 도 8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도 함께 변경되면,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또는, 호의 길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 또는 복수의 객체들의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309)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발화(1501)를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1 동작 정보 및 제1 화면(1505a)에 대한 정보(예: 복수의 객체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동작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발화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1505a)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1 방향(①)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사용자(309)에 대한 이미지 및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 사용자(309)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지능형 서버(예: 도 2의 지능형 서버(200))로부터 제2 동작 정보 및 제2 화면 정보(제1 화면(1505a)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방향(예: 제2 방향(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제1 화면(1505a)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방향(예: 제2 방향(②))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화면(1505a)이 디스플레이 된 방향(예: 제1 방향(①))을 제2 방향(②)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즉, 제2 화면(1505b)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가,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1600)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1610에서, 마이크(예: 도 3의 마이크(301))를 통하여, 사용자 발화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발화는, 예를 들어,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한 기능(또는 태스크)을 실행(또는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1630에서, 사용자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1 화면(제1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은,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발화가 마이크(301)에 의하여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 이득 또는 지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위치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제1 거리) 또는 방향(제1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은,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한 크기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위치 정보에 기반한 크기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의 크기(세기)에 기반하여 식별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제1 크기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깝거나 같은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의 크기(세기)에 기반하여 식별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는,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에는, 제1 개수(예: 2개)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깝거나 같은 경우에는 제1 개수보다 많은 제2 개수(예: 10개)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는, 수신된 사용자 발화의 크기(세기)에 기반하여 식별된,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은,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먼 경우에는, 제1 크기의 영역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거리(예: 5m)보다 가깝거나 같은 경우에는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1630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가 제1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발화에 기반하는 방법 외에도,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를 통하여 획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하여 객체 인식을 수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로부터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함으로써, 상술한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 또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1650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예: 도 3의 카메라(303))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이미지는, 사용자 발화를 전송한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1670에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하는 동작은,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에 기반한 이미지 내의 객체(예: 사용자의 얼굴) 인식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로부터, 제2 위치 정보(예: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제2 거리) 또는 방향(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위치 정보 및 제2 위치 정보의 비교 결과,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 또는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동작 1690에서,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화면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실행 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 된 제1 화면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또는 복수의 객체들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거리가, 제1 거리에서 제2 거리로 변경된 경우, 제1 화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개수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는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도 8b 및 도 8c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이,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변경된 경우, 제1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방향을 제2 방향에 대응하도록 변경하여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도 8b 및 도 8c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700) 내의 전자 장치(1701)의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700)에서 전자 장치(1701)는 제 1 네트워크(17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7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7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704) 또는 서버(17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701)는 서버(17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7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701)는 프로세서(1720), 메모리(1730), 입력 장치(1750), 음향 출력 장치(1755), 표시 장치(1760), 오디오 모듈(1770), 센서 모듈(1776), 인터페이스(1777), 햅틱 모듈(1779), 카메라 모듈(1780), 전력 관리 모듈(1788), 배터리(1789), 통신 모듈(1790), 가입자 식별 모듈(1796), 또는 안테나 모듈(17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7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760) 또는 카메라 모듈(17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7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7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7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7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7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76) 또는 통신 모듈(17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7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7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7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720)는 메인 프로세서(17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7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723)은 메인 프로세서(17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723)는 메인 프로세서(17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7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7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7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7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721)와 함께, 전자 장치(17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760), 센서 모듈(1776), 또는 통신 모듈(17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7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780) 또는 통신 모듈(17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전자 장치(1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720) 또는 센서모듈(17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7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휘발성 메모리(17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7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740)은 메모리(17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742), 미들 웨어(1744) 또는 어플리케이션(17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750)는, 전자 장치(17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7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7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7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7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7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7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760)는 전자 장치(17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7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7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70)은, 입력 장치(17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755), 또는 전자 장치(17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7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76)은 전자 장치(17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7)는 전자 장치(17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7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7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7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7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7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788)은 전자 장치(17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789)는 전자 장치(17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7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90)은 전자 장치(17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702), 전자 장치(1704), 또는 서버(17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90)은 프로세서(17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790)은 무선 통신 모듈(17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7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7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7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7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798) 또는 제 2 네트워크(1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7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7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7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798) 또는 제 2 네트워크(17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7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7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7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799)에 연결된 서버(17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7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7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702, 1704) 각각은 전자 장치(17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7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702, 1704, or 17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7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7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7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7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확인된 동작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는 상기 제1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의 수와는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반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크기는, 상기 서버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발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제1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크기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제2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객체는, 상기 제2 화면 상에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 및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1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상이한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크기, 방향 또는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는,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원통형 형상의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제1 화면 또는 상기 제2 화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평면으로 보여지도록 곡면 왜곡 보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는 동작,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따라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화면은 제1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크기와는 상이한 제2 크기에 기반한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1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1 거리 또는 제1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상기 제1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제1 거리에서 제2 거리로 이동함을 확인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제2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들을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제1 거리에서 제2 거리로 이동함을 확인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이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객체들이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 및 상기 제1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도록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거리 또는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상기 제2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7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736) 또는 외장 메모리(17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7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7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7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0: 전자 장치
130: 스피커
150: 프로세서
200: 지능형 서버
301: 마이크
303: 카메라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원통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1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제1 기능과 관련된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제1방향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과, 여기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결정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제1 거리에 기반한 제1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동작 정보에 따른 상기 태스크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2 동작 정보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의 상기 전체 표시 영역 중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통해 결정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제2 거리에 기반한 제2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제2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먼 경우,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반한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제1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는, 상기 서버에 의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발화의 크기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상기 제1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이미지를 더 고려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상기 제1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와 상기 전자 장치 간의 상기 제2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 중 적어도 일부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객체는, 상기 제2 화면 상에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크기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2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 및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상기 제2 크기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2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2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비된 원통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통신 회로;
    상기 전자 장치의 일부분이거나 상기 전자 장치와 원격으로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전자 장치 상에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발화에 대응하는 제1 기능과 관련된 제1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표시 영역 중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여기서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결정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제1 거리에 기반한 제1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제1 위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1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화면을 제2 화면으로 변경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전체 표시 영역 중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고, 상기 제2 화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통해 결정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제2 거리에 기반한 제2 크기의 복수의 객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의 제2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는 상기 제1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 거리가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먼 경우, 상기 제2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은 상기 제1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객체들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90032011A 2019-03-20 2019-03-20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11A KR102656461B1 (ko) 2019-03-20 2019-03-20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0/003609 WO2020190001A1 (ko) 2019-03-20 2020-03-16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7/476,588 US11989337B2 (en) 2019-03-20 2021-09-16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attribute of object on basis of user's mo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011A KR102656461B1 (ko) 2019-03-20 2019-03-20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087A KR20200112087A (ko) 2020-10-05
KR102656461B1 true KR102656461B1 (ko) 2024-04-12

Family

ID=7252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011A KR102656461B1 (ko) 2019-03-20 2019-03-20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객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89337B2 (ko)
KR (1) KR102656461B1 (ko)
WO (1) WO20201900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9635B2 (en) * 2007-12-20 2012-06-2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hanging a display
US8749609B2 (en) 2009-09-03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ll
JP5621421B2 (ja) * 2010-09-06 2014-11-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274362B1 (ko) * 2010-10-29 2013-06-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731346B1 (ko) * 2010-11-12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KR101303939B1 (ko) * 2011-10-17 2013-09-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53820B1 (ko) * 2013-07-02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056019A (ja) * 2013-09-11 2015-03-2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571096B1 (ko) * 2013-11-11 2015-11-23 주식회사 시공미디어 사용자 적응형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20910B1 (ko) * 2014-01-10 202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 제어방법
KR102344045B1 (ko) * 2015-04-21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543173B2 (ja) 2015-11-18 2019-07-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65902A (ko)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와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1769704B1 (ko) 2016-02-26 2017-08-21 (주) 올림플래닛 실린더 디스플레이 상의 출력 콘텐츠 조정 시스템 및 방법
US10360876B1 (en) * 2016-03-02 2019-07-23 Amazon Technologies, Inc. Displaying instances of visual content on a curved display
US10297234B2 (en) * 2016-03-11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rved virtual display surface for displaying digital objects
US11250201B2 (en) * 2016-06-14 2022-02-15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optimal viewing displays
US9774911B1 (en) * 2016-07-29 2017-09-26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an audio description track of a media asset
KR102627244B1 (ko) 2016-11-30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홍채 인식을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
KR20180084303A (ko) * 2017-01-16 2018-07-25 (주) 올림플래닛 360도 공간에서 인터렉션이 가능한 실린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CN107437063A (zh) * 2017-07-04 2017-12-05 上海小蚁科技有限公司 用于感测环境的装置和方法、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KR20190024190A (ko) * 2017-08-31 2019-03-08 (주)휴맥스 음성 인식 영상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37078A1 (en) 2017-08-31 2019-08-01 Humax Co., Ltd. Voice recognition image feedback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11029834B2 (en) * 2017-12-20 2021-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tilizing biometric feedback to allow users to scroll content into a viewable display area
KR20190024919A (ko) * 2019-02-11 2019-03-08 (주)휴맥스 음성 인식 영상 피드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0001A1 (ko) 2020-09-24
US20220004252A1 (en) 2022-01-06
KR20200112087A (ko) 2020-10-05
US11989337B2 (en) 202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7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2426704B1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98947B1 (ko)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26717B1 (ko) 발화 인식 모델을 선택하는 시스템 및 전자 장치
KR102365649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74593B1 (ko) 챗봇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47208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KR102348758B1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21824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6718B1 (ko) 컨텍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지속 기간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369083B1 (ko)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3105A (ko) 응답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KR102431817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서버
CN112331196A (zh) 管理多个智能代理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508863B1 (ko)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KR20200073733A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40651B1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44175B2 (en) Rule based application execution using multi-modal inputs
KR102512614B1 (ko) 오디오 개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200043642A (ko) 동작 상태에 기반하여 선택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130376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419374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29796B1 (ko) 음성 인식의 향상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5851A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102345883B1 (ko)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