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173B1 -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173B1
KR102656173B1 KR1020210148416A KR20210148416A KR102656173B1 KR 102656173 B1 KR102656173 B1 KR 102656173B1 KR 1020210148416 A KR1020210148416 A KR 1020210148416A KR 20210148416 A KR20210148416 A KR 20210148416A KR 102656173 B1 KR102656173 B1 KR 10265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tack
data
solid ox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396A (ko
Inventor
김영진
윤홍노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1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스택; 셀 사이에 개재되고, 스택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 및 온도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SOLID OXIDE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고온에서 연료와 산화제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고체세라믹을 전해질로 갖고 700~1000℃라는 극고온에서 작동하며, 이로 인해 발전효율이 높고 전해질을 보충해주는 등의 문제에서 자유롭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는 다수의 단위 셀(111)cell)을 적층하여 사용하며, 1개의 셀 당 약 1V의 전압을 생성하는데 다수의 단위 셀을 적층하고 셀들의 면적을 늘려 고전압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수의 단위 셀을 적층한 것을 스택(110)stack)이라 한다.
이때, 셀 사이를 가스 밀봉하기 위해 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접합되기 때문에 스택은 조립 및 운전 이후 교체(수정)가 불가능하다.
또한, 고온 환경 속에서 세라믹 전해질과 전극, 그리고 금속 재료의 열 하중은 스택 내의 구조적 안전성이 취약해지며, 시동과 운전의 반복적인 사이클 운전은 피로 하중을 일으켜 전해질 및 전극에 크나큰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택의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상이 있는 스택을 교체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스택; 셀 사이에 개재되고, 스택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 및 온도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센서는 셀에 접하는 분리판; 및 분리판에 설치되는 열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온도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온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택의 온도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 및 온도데이터와 패턴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스택의 이상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하는 예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온도데이터, 패턴데이터 및 예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단말기에 출력하여 시각화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은 스택 간에 온도센서가 개재됨으로써 스택을 복수 개로 모듈화할 수 있다.
또한, 스택이 모듈화됨으로써 이상이 생긴 스택과 온도센서만 따로 분리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스택의 내부온도와 온도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3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택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택에 매니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석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3은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스택의 사시도,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택에 매니폴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셀(111)로 이루어진 스택(110), 상기 셀(11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택(11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120), 상기 온도데이터를 단말기(10)에 출력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택(110) 간에 상기 온도센서(120)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스택(110)을 복수 개로 모듈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110)이 모듈화됨으로써 이상이 생긴 상기 스택(110)과 온도센서(120)만 따로 분리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스택(110)의 내부온도와 온도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택(110)은 육면체로 형성되며, 각 셀(111)에는 연료극과 공기극이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매니폴드(140)에 구비된 연료유입구와 공기유입구를 통해서 연료극으로 연료가 공급되고, 공기극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120)는 상기 셀(111)에 접하는 분리판(121), 상기 분리판(121)에 설치되는 열전대(122, Thermocouple)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121)은 상기 셀(111)의 분리판과 같은 크기와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셀에 적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전대(122)는 판상 형태로서, 상기 분리판(121)의 중심에 형성되는 통공(121a)에 삽입되어 상기 분리판(12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택(110)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의 온도측정지점(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131), 상기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2), 상기 온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택(110)의 온도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133), 상기 온도데이터와 패턴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스택(110)의 이상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하는 예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31)는 상기 열전대(122)에 연결되는 와이어(123)를 매개로 상기 온도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2)는 상기 수집부(131)로부터 수집된 상기 온도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데이터는 모듈별 상기 스택(110)의 전체온도, 부분온도 및 상기 스택(110)의 면적별 온도분포와 같이 상기 스택(110)의 온도와 관련된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상기 온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택(110)의 온도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예보부(134)는 상기 분석부(133)로부터 산출된 상기 패턴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상기 온도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스택(110)의 이상에 대한 상기 예상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33)는 학습부(133a), 패턴추론부(133b)를 포함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석부의 블록도이다.
상기 학습부(133a)는 상기 스택(110)의 이상이 발생한 시점의 상기 온도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한다.
상기 패턴추론부(133b)는 상기 학습부(133a)의 학습에 기초하여 상기 스택(110)의 이상패턴을 추론하여 패턴데이터를 산출하고 저장한다.
상기 예보부(134)는 상기 학습부(133a)로부터 산출된 패턴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상기 온도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스택(110)의 이상에 대한 상기 예상데이터를 산출한다.
즉, 상기 예보부(134)는 상기 패턴데이터와 온도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스택(110)의 이상이 발생하는 상기 스택(110)의 온도, 온도분포, 시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데이터, 패턴데이터 및 예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10)에 출력하여 시각화하는 출력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는 컴퓨터(PC),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의 공지의 스마트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35)에 의해 상기 온도데이터, 패턴데이터 및 예상데이터가 상기 단말기(10)에 전송되어 출력되어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00)은 경고부(13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부(136)는 상기 예보부(134)로부터 산출된 상기 예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예상데이터의 산출시점이 상기 스택(110)의 이상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점 이내에 속하는 경우 경고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경고부(136)는 생성된 경고신호를 상기 단말기(10)에 도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발생하여 관리자에게 상기 스택(110)의 보수시점이 임박했음을 알릴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은 스택 간에 온도센서가 개재됨으로써 스택을 복수 개로 모듈화할 수 있다.
또한, 스택이 모듈화됨으로써 이상이 생긴 스택과 온도센서만 따로 분리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스택의 내부온도와 온도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110 : 스택
120 : 온도센서 130 : 제어부
140 : 매니폴드

Claims (4)

  1.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셀로 이루어진 스택;
    상기 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스택의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온도데이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데이터를 단말기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셀에 접하는 분리판; 및
    상기 분리판에 설치되는 열전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온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온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택의 온도에 대한 패턴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온도데이터와 패턴데이터를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스택의 이상에 대한 예상데이터를 산출하는 예보부;
    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데이터, 패턴데이터 및 예상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여 시각화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KR1020210148416A 2021-11-02 2021-11-0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KR10265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416A KR102656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416A KR102656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396A KR20230063396A (ko) 2023-05-09
KR102656173B1 true KR102656173B1 (ko) 2024-04-08

Family

ID=8640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416A KR102656173B1 (ko) 2021-11-02 2021-11-02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1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2437A (ja) * 2017-12-01 2019-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81B1 (ko) * 2009-05-12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압축열을 이용한 연료전지 냉시동 장치 및 방법
KR101583832B1 (ko) * 2009-11-30 2016-0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냉각시스템 제어 방법
KR101601060B1 (ko) * 2010-11-25 2016-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KR102541037B1 (ko) * 2017-12-18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온도센서의 고장 진단방법 및 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2437A (ja) * 2017-12-01 2019-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396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rrai et al. Fuel-cell parameter estimation and diagnostics
Benchouia et al. Modeling and validation of fuel cell PEMFC
CN108886179B (zh) 能够测量电池单元的内部温度的电池单元
Seyezhai et al. Mathematical modeling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KR102096268B1 (ko)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ndújar et al. Comprehensive diagnosis methodology for faults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Air-Coole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s
CN103018678A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的测试系统
CN116231000A (zh) 一种燃料电池/电堆仿真模型的构建方法
Swain et al. PID control design for the pressure regulation of PEM fuel cell
Kong et al. A hybrid model with combined steady-state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PEMFC fuel cell stack
EP2544287A1 (en) Fuel cell system, fuel cell control method, and fuel cell determination method
Alrewq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based power system
Sahu et al. Performance study of PEM fuel cell under different loading conditions
KR102656173B1 (ko) 고체산화물연료전지시스템
Kupecki et al. Analysis of a micro-CHP unit with in-series SOFC stacks fed by biogas
El‐Sharkh et al. Portable direct hydrogen fed PEM fuel cell model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Del Zotto et al. Determination and validation of polarization losses parameters to predict current/voltage-characteristics for SOFC button cell
CN115084614B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电堆
Ali et al. Modeling a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system as a hybrid power supply for standalone applications
KR101165961B1 (ko) 연료전지 스택 가시화 장치
Salimi Nanadegani et al. On neural network modeling to maximize the power output of PEMFCs
da Costa Lopes et al. A recurrent neural approach for modeling non-reproducible behavior of PEM fuel cell stacks
JP6614468B1 (ja) 情報処理端末、蓄電設備の温度分布の表示方法
L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current distribution in parallel-connected solid oxide fuel cell strings
Ciancetta et al. Supercapacitor to provide current step variation in FC P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