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80B1 -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80B1
KR102655480B1 KR1020190008060A KR20190008060A KR102655480B1 KR 102655480 B1 KR102655480 B1 KR 102655480B1 KR 1020190008060 A KR1020190008060 A KR 1020190008060A KR 20190008060 A KR20190008060 A KR 20190008060A KR 102655480 B1 KR102655480 B1 KR 10265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laser light
projector
ligh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162A (ko
Inventor
강신규
복기소
안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80B1/ko
Priority to PCT/KR2019/013112 priority patent/WO2020153573A1/ko
Priority to US17/417,353 priority patent/US11966152B2/en
Publication of KR2020009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03B21/204LED or laser light sources using secondary light emission, e.g. luminescence or fluoresc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two or more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creating scrolling colour ba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7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 G02B26/0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the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 controlling the colour, i.e. a spectral characteristic, of the light in the form of devices for effecting sequential colour changes, e.g. colour wh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8Sequential recording or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레이저광을 사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투과하는 투과부를포함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인광으로 변환하는 인광 플레이트(phosphor); 상기 인광이 통과하는 다른 색상의 컬러필름을 포함하는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투과한 레이저광과 상기 제2 컬러필터를 통과한 인광이 제공되어 이미지를 사출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는 광경로를 단축하여 광학계에 이용되는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PROJECTOR}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의 빛을 색광원으로 분리하는 광학계의 구조를 개선한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컴퓨터 또는 캠코더와 같은 영상기기등을 직접 연결하여 스크린에 투사시켜 각종 프리젠테이션이나 멀티미디어 교육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청각용 영상기기로 사용된다.
상기 프로젝터는 광원에서 사출되는 빛과 영상 신호에 따른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영상이 일정 비율로 조절되어 스크린에 투사되어 외부로 보여진다. 이러한 프로젝터의 광원으로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는 단일 파장의 빛을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이 우수하고 휘도가 개선될 수 있어 레이저 다이오드가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프로젝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청색광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인광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디스크를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빛의 파장을 변환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휠형태의 인광 디스크는 이상유동이 발생할 수 있어 소음 및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학계의 구조 및 컬러휠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개수와 크기를 줄이면서도 높은 밝기의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이저광을 사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투과하는 투과부를포함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인광으로 변환하는 인광 플레이트; 상기 인광이 통과하는 다른 색상의 컬러필름을 포함하는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투과한 레이저광과 상기 제2 컬러필터를 통과한 인광이 제공되어 이미지를 사출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컬러필터와 상기 제2 컬러필터는 하나의 원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름은 상기 제1 컬러필터의 반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원판의 중심에서 제1 거리에 배치된 반사부와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의 상기 컬러필름은 상기 원판의 중심에서 제2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의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컬러필터의 상기 컬러필름과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광 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원판 상에 중심에서 동일거리에 위치하는 인광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인광물질의 종류는 하나 또는 두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광 플레이트는 상기 레이저광을 상기 인광으로 전환하여 반사하는 인광물질이 도포된 미러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과 상기 인광 플레이트에서 반사된 인광 중 하나는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반사하는 제1 이색성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투과된 레이저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를 통과한 인광은 투과하는 제2 이색성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청색광을 사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광 플레이트는 상기 광원을 황색 또는 녹색으로 전환하는 인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상기 표시소자로 제공하는 제1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상기 인광 플레이트로 제공하는 제2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로를 단축하여 광학계에 이용되는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광 플레이트의 구조를 휠 형상이 아닌 고정형으로 이용할 수 있어, 광학계의 부피 및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를 하나의 휠로 구현하여 복수개의 휠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동기화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컬러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인광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젝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프로젝터(100)는 무선 통신부(10), 센싱부(40), 투사부(50), 위치조정부(60) 및 전원 공급부(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프로젝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프로젝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0)는 이동 통신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부(10)는 특정 명령 또는 특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1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사진, 동영상과 같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리모콘과 같이 무선으로 프로젝터(100)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0)는 방송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0)는 위치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프로젝터(1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40)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 없이 검출할 수 있다.
투사부(50)는 영상 신호를 투사하는 기능을 하며 광학계라고도 할 수 있다. 투사부(50)는 빛을 제공하는 광원(51), 광원(51)을 투과성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투사부(50)는 투사 영역 상의 투사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투사렌즈(59)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정부(60)는 프로젝터(100)가 영상을 투사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조정부(60)는 투사부(5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위치조정부(60)는 수직이동부(61) 및 수평이동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이동부(61)는 투사부(5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수평이동부(62)는 투사부(5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100)의 카메라(20), 센싱부(40) 및/또는 투사부(50) 위치조정부(60)에 의해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메모리(70)는 투사할 영상, 주변 공간 정보 및/또는 투사 영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무선 통신부(10), 센싱부(40), 투사부(50), 위치조정부(60) 및/또는 메모리(70)와 조합되어 주위 공간 구조를 분석하고, 투사 영역을 분석하고, 영상 보정을 수행하고, 영상을 투사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위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9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90)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1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프로젝터(100)의 하우징(20)과 하우징(20)의 전면에 노출된 투사렌즈(59)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의 측면에는 하우징(20) 내에 광원(51) 등 발열 부품이 배치되므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벤트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조작부(30)를 통해 렌즈의 초점이나 투사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20) 내부에는 무선통신부(10), 센싱부(40), 투사부(50), 메모리(70), 제어부(80) 및 전원공급부(90) 등이 구비된다. 광원(51)에서 사출된 빛이 표시소자(58)에서 이미지 정보와 합성되어 투사렌즈(59)를 통해 사출되고 스크린이나 벽면에 영상이 나타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100)의 광학계(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100) 광학계(50)는 광원(51)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사출되는 빛은 동일한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광을 사출하기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위상이 일정하고 직진성을 가지고 있어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 자체의 수명이 종래의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 보다 길기 때문에 수명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고 제조비용이 싸고, 크기도 작게 구현 가능하여 프로젝터(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레이저광은 특정 파장의 빛으로 녹색광보다 청색광이 효율이 높아 청색광을 사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
청색의 레이저광 만으로는 다양한 색상을 낼 수 없으므로 이를 인광 플레이트(56)를 이용하여 다른 파장(색상)을 가지는 인광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다만, 청색은 광원(51)에서 사출되는 레이저광을 그대로 이용하기 위해 광원(51)에서 사출하는 빛을 둘로 나눌 필요가 있다.
도 6은 종래의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래에는 광원(1)에서 사출된 빛을 인광휠(6, phosphor wheel)을 이용하여 분리한다. 인광휠(6)은 회전 중심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인광물질이 도포된 제1 영역과 인광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원판으로서, 인광휠(6)이 회전하면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영역이 변화된다.
레이저광이 인광물질이 도포된 제1 영역에 제공되는 경우 반사되며 녹색광이나 황색광의 인광으로 전환되고 인광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2 영역에서는 레이저광이 통과하여 영상을 만드는 표시소자(8)로 공급된다. 인광휠(6)에 도포된 인광물질은 한가지 종류인 경우 한가지 색상의 인광으로 전환할 수 있으나, 두 가지 종류를 포함하여 황색광과 녹색광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적색광은 청색광과 파장의 차이가 크므로 전환이 어렵고, 황색광 또는 황색광과 녹색광으로 전환할 수 있다.
반사된 인광은 릴레이 렌즈(relay lens)나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와 같은 집광렌즈를 이용하여 컬러휠(5)로 전달한다. 컬러휠(5)은 이미지 구현을 위해 필요한 색상의 빛을 공급하는 원판형 부재로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에 영역별로 다른 컬러필름을 포함한다. 컬러필름은 공급된 빛을 특정파장의 빛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컬러휠(5)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각각 다른 색상의 컬러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컬러필름을 통과한 빛은 표시소자(8)를 통해 영상을 합성하고 스크린으로 사출 한다. 스크린으로 사출되는 영상을 확대하기 위해 투사렌즈(59)를 통과시킬 수 있다. 표시소자(8)는 실리콘 웨이퍼상에 미세한 크기의 거울을 배열하고 이 거울을 통해 빛이 반사되는 것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각 미러가 하나의 픽셀 역할을 하며 광원(1)에서 공급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의 종래 구조는 컬러휠(5) 뿐만 아니라 인광휠(6)을 더 포함하여 전체 광학계의 부피가 커지고 광경로가 길어져 집광렌즈의 개수도 증가하여 부품의 개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컬러휠(5)과 인광휠(6)의 주기를 맞춰야 정확한 영상을 공급할 수 있어, 제어에 있어서도 정밀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원(51)에서 사출된 레이저광을 통과하는 제1 컬러필터(551)를 포함한다. 제1 컬러필터(551)는 레이저광을 통과시키는 투과부(55f)와 반사시키는 반사부(55e)을 포함하며, 투과부(55f)를 통과하는 투과광은 청색광을 공급하기 위해 표시소자(58)로 제공되며 반사부(55e)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추후 인광 플레이트(56)와 제2 컬러필터(552)를 통해 황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반사부(55e)의 크기는 투과부(55f)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551)는 원판상에 형성하여 회전하는 휠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2 컬러필터(552)와 동일 원판상에 구현할 수도 있다. 제2 컬러필터(552)는 인광 플레이트(56)를 통해 파장이 전환된 인광이 통과하여 적색, 녹색 황색 및 청색의 빛을 공급하기 위한 컬러필름(55b, 55c, 55d) 을 포함하고, 원판 상에 부재꼴로 구획된 영역에 각각 컬러필름(55b, 55c, 55d) 이 배치되어 구현할 수 있다. 제1 컬러필터(551)와 제2 컬러필터(552)가 하나의 휠로 구현하면 휠의 개수가 늘어나지 않고, 제1 컬러필터(551)에서 레이저광이 반사하여 반사광이 될 때 제2 컬러필터(552)는 황색, 녹색 및 적색의 컬러필름(55b, 55c, 55d) 을 통해 빛이 공급되도록 동기화가 용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컬러필터(551)와 제2 컬러필터(552)가 하나로 구현된 컬러휠(55)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4의 (a)와 같이 제1 컬러필터(551)와 제2 컬러필터(552)가 통합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의 (b)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구현할 수 있다.
도 4의 (a)을 참조하면 제2 컬러필터(552) 의 적색, 녹색 및 황색의 컬러필름(55b, 55c, 55d)은 인광을 황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으로 통과시키고 동시에 청색광의 레이저광은 반사시키는 제1 컬러필터(551)의 반사부(55e)로서 역할을 한다. 반사부(55e)는 이색성 필터를 컬러필름(55b, 55c, 55d) 상에 중첩 배치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이 제1 컬러필터(551)의 투과부(55f)를 통과할 때에 제2 컬러필터(552) 상에서 빛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청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부(55f)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b)는 제1 컬러필터(551)와 제2 컬러필터(552)를 회전 중심에서 다른 거리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중심에서 제1 거리에 배치된 제1 필터는 반사부(55e)와 투과부(55f)로 구성되고, 제2 필터는 중심에서 제2 거리에 배치되고 적색, 황색 및 녹색 컬러필름(55b, 55c, 55d)을 포함한다. 도면상에 제1 컬러필터(551)가 바깥쪽에 제2 컬러필터(552)가 안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두 컬러필터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컬러필름(55b, 55c, 55d)은 반사부(55e)에 대응된 위치에 배치되며, 반사부(55e)에서 반사된 빛이 인광 플레이트를 통해 인광으로 변환된다. 인광은 다시 제2 컬러필터(552)의 컬러필름(55b, 55c, 55d)을 통과하고, 투과부(55f)를 투과한 빛은 제2 컬러필터(552)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그에 대응되는 영역은 비워둘 수 있다.
컬러휠(55) 상에 컬러필터가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상에 점대칭 구조로 각 컬러필름을 2개의 영역에, 반사부(55e)와 투과부(55f)를 2개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 필터의 반사부(55e)에서 반사된 빛은 인광 플레이트(56)로 공급된다. 도 6의 종래의 실시예는 레이저광이 바로 인광 플레이트(56)에 공급되어 반사되는 빛은 파장이 변화하여 특정한 파장대역의 빛만 통과시키는 이색성 필터(53a, dichroic filter)를 인광 플레이트(56)와 광원(51) 사이에 배치하여 광원(51)에서 공급된 레이저광은 통과하고 인광 플레이트(56)에서 반사한 빛은 반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제1 컬러필터(551)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레이저광과 동일한 파장을 가지므로 이색성 필터를 이용할 수 없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컬러필터(551)는 광원(51)과 마주보는 방향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광원(51)에서 공급된 레이저광의 진행방향과 반사된 반사광의 진행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광학계(5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미러(53b)를 이용하여 빛을 꺾어 인광 플레이트(56)로 공급하고 인광 플레이트(56)는 반사광의 파장을 변환하여 반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광 플레이트(56)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의 (a)와 (b)와 같이 인광휠(56a, 56b)을 이용할 수도 있고, (c)와 같이 고정형의 인광 플레이트(56c)를 이용할 수 있다.
인광휠(56a, 56b)은 (a)와 같이 두 종류의 인광물질이 구획을 나누어 도포할 수도 있고 (b)와 같이 하나의 인광물질만 이용하여 한가지 색상의 인광을 형성하고 다른 색상은 인광을 제2 컬러필터(552)를 통과시켜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는 광원(1)에서 출사된 레이저광이 바로 인광휠(6)로 공급되므로 광원(51)에서 통과된 빛 중 일부는 인광으로 전환되지 않고 투과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광물질(561, 562)이 도포된 영역 이외에 투과부(563)가 반드시 필요하므로 고정구조로는 구현할 수 없고 회전하는 원판과 같이 움직이는 구조 상에 형성해야 한다.
인광휠(56a, 56b)은 부피가 크고 회전구조를 위해 모터가 필요하며 인광휠(56a, 56b)과 컬러휠(55)의 주기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컬러필터(551)에서 레이저광의 일부가 투과부(55f)를 통해 걸러지고 반사광만 공급되므로 동적인 부재를 이용할 필요 없어 고정형 인광 플레이트(56c)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형 인광 플레이트(56c)의 경우 한가지 인광물질(561)에만 반사광이 입사되므로 한 색상의 인광으로만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황색의 인광으로 전환하는 인광물질(561)을 도포한 판에 반사광이 공급될 수 있다.
인광 플레이트(56)에서 반사된 빛은 파장의 길이가 달라지므로 제1 이색성 필터(53a)를 이용하여 인광 플레이트(56)로 공급되는 반사광은 투과하고 인광 플레이트(56)에서 반사된 인광은 반사되어 제2 컬러필터(552)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컬러필터(552)로 인광이 공급되는 위치와 광원(51)에서 공급된 빛이 공급되는 위치는 컬러휠(55)의 회전 중심에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컬러필터(552)를 통과한 인광은 황색, 녹색 및 적색으로 변환되어 표시소자(58)로 공급된다. 제1 컬러필터(551)에서 투과된 투과광도 표시소자(58)에 같이 공급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색성 필터(53b)를 이용할 수 있다.
빛이 직진으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콜리미네이터 렌즈나 릴레이 렌즈와 같이 집광렌즈(52) 각 부재 사이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51)에서 공급되는 레이저광이 통과하는 제1 집광렌즈(52a), 제1 컬러필터(551)의 투과부(55f)를 통과한 빛이 표시소자(58)로 공급되기 전에 통과하는 제2 집광렌즈(5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컬러필터(551)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투과하는 제3 집광렌즈(52c) 인광 플레이트(56)에서 반사된 인광이 통과하는 제4 집광렌즈(52d), 제1 이색성 필터(53a)를 투과하는 제5 집광렌즈(52e) 및 제2 컬러필터(552)를 투과한 빛을 집광하여 표시소자(58)로 공급하는 제6 집광렌즈(52f)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경로를 단축하여 광학계(50)에 이용되는 렌즈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광 플레이트(56)의 구조를 휠 형상이 아닌 고정형으로 이용할 수 있어, 광학계(50)의 부피 및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를 하나의 휠로 구현하여 복수개의 휠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동기화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프로젝터
50: 투사부 51: 광원
52a, 52b, 52c, 52d, 52e, 52f: 집광렌즈
53a, 53b: 미러 54a, 54b: 이색성 필터
55: 컬러휠 551: 제1 컬러필터
553: 제2 컬러필터 55b, 55c, 55d: 컬러필름
55e: 반사부 55f: 투과부
56: 인광 플레이트 561: 인광물질
58: 표시소자 59: 투사렌즈

Claims (13)

  1. 레이저광을 사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레이저광을 반사하는 반사부와 투과하는 투과부를포함하는 제1 컬러필터;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인광으로 변환하는 인광 플레이트(phosphor plate);
    상기 인광이 통과하는 다른 색상의 복수개의 컬러필름을 포함하는 제2 컬러필터; 및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투과한 레이저광과 상기 제2 컬러필터를 통과한 인광이 제공되어 이미지를 사출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컬러필터에 비스듬히 레이저광을 사출하여 상기 반사부에 반사된 레이저광과 상기 광원에서 사출된 레이저광의 방향이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인광 플레이트는 상기 반사된 레이저광을 상기 인광으로 전환하여 반사하는 인광물질이 도포된 고정형 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와 상기 제2 컬러필터는 하나의 원판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컬러필름은 상기 제1 컬러필터의 반사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는 상기 원판의 중심에서 제1 거리에 배치된 반사부와 투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의 상기 컬러필름은 상기 원판의 중심에서 제2 거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의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제2 컬러필터의 상기 컬러필름과 중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과 상기 인광 플레이트에서 반사된 인광 중 하나는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는 반사하는 제1 이색성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투과된 레이저광은 투과하고 상기 제2 컬러필터를 통과한 인광은 투과하는 제2 이색성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청색광을 사출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 플레이트는 상기 광원을 황색 또는 녹색으로 전환하는 인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를 통과한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상기 표시소자로 제공하는 제1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필터에서 반사된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상기 인광 플레이트로 제공하는 제2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190008060A 2019-01-22 2019-01-22 프로젝터 KR10265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60A KR102655480B1 (ko) 2019-01-22 2019-01-22 프로젝터
PCT/KR2019/013112 WO2020153573A1 (ko) 2019-01-22 2019-10-07 프로젝터
US17/417,353 US11966152B2 (en) 2019-01-22 2019-10-07 Projector including color fil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060A KR102655480B1 (ko) 2019-01-22 2019-01-22 프로젝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162A KR20200091162A (ko) 2020-07-30
KR102655480B1 true KR102655480B1 (ko) 2024-04-08

Family

ID=7173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60A KR102655480B1 (ko) 2019-01-22 2019-01-22 프로젝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66152B2 (ko)
KR (1) KR102655480B1 (ko)
WO (1) WO2020153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8950B2 (en) * 2017-04-10 2022-09-20 Materion Precision Optics (Shanghai) Limited Combination wheel for light conversion including both phosphor segments and color filters
CN114563903B (zh) * 2020-11-27 2023-10-2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以及照明系统
KR20240047440A (ko) * 2021-08-24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형광체 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투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4431A1 (en) * 2013-11-05 2015-05-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llumin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13053D0 (en) * 2012-07-23 2012-09-05 Eis Optics Ltd Compact light engine
JP6268745B2 (ja) * 2012-09-18 2018-01-31 株式会社リコー 照明装置、投射装置および照明方法
CN103713454B (zh) * 2012-09-28 2016-12-07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发光装置及相关投影系统
JP5637274B2 (ja) * 2012-12-26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TWI512385B (zh) * 2013-10-07 2015-12-11 中強光電股份有限公司 光波長轉換模組、照明系統以及投影裝置
SG11201606721QA (en) * 2014-02-17 2016-10-28 Ricoh Co Ltd Light irradi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TWI530749B (zh) * 2014-06-06 2016-04-2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光源模組與色輪的製作方法
EP3480904B1 (en) * 2016-07-04 2020-11-1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Projector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4431A1 (en) * 2013-11-05 2015-05-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llumin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5245A1 (en) 2022-03-10
WO2020153573A1 (ko) 2020-07-30
KR20200091162A (ko) 2020-07-30
US11966152B2 (en)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480B1 (ko) 프로젝터
CN101592853B (zh) 投影机
US8608320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43467B1 (ko) 프로젝션 시스템
US20080055550A1 (en) Microprojector
KR102595295B1 (ko) 프로젝터
US11359793B2 (en) Lighting apparatus and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CN107515510B (zh) 一种光源装置以及投影显示装置
US20080291400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CN110133857B (zh) 投影装置及光机模块
US7150535B2 (en) Lighting device and projector equipped with the same
JP5044723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17032631A (ja) プロジェクタ
US20230042973A1 (en) Wavelength conversion plate,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KR20130115005A (ko) 프로젝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KR20140073942A (ko) 빔 프로젝터용 조명 광학계
US11119394B2 (en) Light source device, illuminatio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2008015299A (ja) 照明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CN101976011A (zh) Md短焦距投影显示装置
US2020040096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7249171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15022244A (ja) 固体光源装置及び画像投射装置
US11353638B2 (en) Optical unit and projection device
CN110678811B (zh) 光源装置和投影型显示设备
KR100771136B1 (ko) 프로젝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