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831B1 -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831B1
KR102654831B1 KR1020190070295A KR20190070295A KR102654831B1 KR 102654831 B1 KR102654831 B1 KR 102654831B1 KR 1020190070295 A KR1020190070295 A KR 1020190070295A KR 20190070295 A KR20190070295 A KR 20190070295A KR 102654831 B1 KR102654831 B1 KR 102654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voltage
relay
vehicle
charg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873A (ko
Inventor
노정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831B1/ko
Priority to US16/690,751 priority patent/US11208002B2/en
Priority to DE102019218375.1A priority patent/DE102019218375A1/de
Priority to CN201911194789.8A priority patent/CN112078417A/zh
Publication of KR2020014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7Controlling two or more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고속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에 연결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충전제어부에서 차량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1충전기에 송신하는 제1단계; 제1충전기의 입력 전압을 충전제어부에서 송신된 전압에 일치시키고 충전제어부로 상기 전압의 일치를 알리는 제2단계; 충전제어부에서 제1충전기가 체결되는 제1충전구에 연결될 고전압 릴레이를 연결시켜 차량의 충전을 진행하는 제3단계; 및 차량의 충전 진행 중에, 제1충전구와 병렬로 연결되는 충전구로서 제2충전기가 체결되는 제2충전구에 연결하여 충전제어부와 제2충전기 사이에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에 다수개의 충전구를 장착하여 하나의 충전구를 통해 충전이 진행 중 나머지 충전구를 접속하여 충전을 개시하는 경우 충전구 간 전위차로 인한 스파크와 돌입전류 발생으로 인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 HIGH VOLTAGE POWER GRID STRUCTUR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을 고속 충전하기 위해 충전기에 연결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용 전원의 배전망(grid)이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케이블을 이용한 전도성 충전 시스템이나 비접촉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중인 전기차에서 배터리를 충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기차는 주행 경로 상에서 전기차 충전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charge station)이나 충전 스팟(charging spots)에 위치하는 그라운드 어셈블리(groundassembly, GA)로 이동하게 된다.
전기차의 충전 시, 전기차에 탑재되는 차량 어셈블리(vehicle assembly, VA)는 그라운드 어셈블리의 송신 패드와 유도 공진 결합을 형성하고, 유동 공진 결합을 통해 그라운드 어셈블리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전기차의 고전압 배터리에 충전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기차는 송신 패드와의 유도 공진 결합을 위한 수신 패드를 구비한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0184호(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는 전기차의 충전을 하는 충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복수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차량마다 설치된 한 개의 충전구가 탑재되어 충전기와 차량의 일대 일 방식으로 충전을 할 수 밖에 없어 고전압 배터리의 경우 충전 지연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0184호
본 발명은 충전시간 단축 한계를 극복하고,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제어부에서 차량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1충전기에 송신하는 제1단계; 제1충전기의 입력 전압을 충전제어부에서 송신된 전압에 일치시키고 충전제어부로 전압의 일치를 알리는 제2단계; 충전제어부에서 제1충전기가 체결되는 제1충전구에 연결될 고전압 릴레이를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전을 진행하는 제3단계; 및 차량의 충전 진행 중에, 제1 충전구와 병렬로 연결되는 충전구로서 제2충전기가 체결되는 제2충전구에 연결하여 충전제어부와 제2충전기 사이에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단계는, 제1충전구와 충전제어부의 공급 전압을 일치시켜 추가로 병렬 접속되는 충전구와의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제어부는, 제1충전구에 연결되어 충전 진행 중 제2충전구 또는 제N충전구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제어부에 제N충전구를 연결 시에도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다수의 충전 포트를 통한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 및 제N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 및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는 병렬 연결되어 다수의 고전압 배터리 팩이 병렬 연결된 노드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충전구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메인 릴레이; 제1메인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제1충전구 및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 제2충전구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메인 릴레이; 및 제2메인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제2충전구 및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1릴레이 및 제2릴레이는 직렬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며, 제1릴레이 작동 후 제1메인 릴레이가 작동되거나 제2릴레이 작동 후 제2메인 릴레이가 작동되며, 제1고전압배터리와 제2고전압 배터리의 양극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충전구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메인 릴레이; 제2충전구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메인 릴레이; 및 제1충전구와 제2충전구는 각각의 OBC(On Board Charger)에 연결되며 각각의 OBC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OBC 릴레이;를 포함하고, OBC 릴레이는 제1메인 릴레이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 및 제2메인 릴레이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에 다수개의 충전구를 장착하여 하나의 충전구를 통해 충전이 진행 중 나머지 충전구를 접속하여 충전을 개시하는 경우 충전구 간 전위차로 인한 스파크와 돌입전류 발생으로 인한 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용량 배터리의 충전 방식과 직렬로 연결된 각 회로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직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회로의 병렬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의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대용량 배터리의 충전 방식과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된 각 회로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a)는 대용량 배터리가 장착된 차량에 한 개의 충전구가 탑재되어 충전구와 차량이 일대 일 방식으로 충전을 하는 모습이고, 도 1(b) 내지 도 1(c)는 차량에 복수의 충전구를 연결하되, 각 충전구와 고전압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1충전구만 연결해서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 2는 충전되지 않으며 고전압 배터리 1, 2의 충전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한 배터리 운용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1번 2번 충전구중 어느 쪽을 충전해야 하는지, 얼마나 충전해야 하는지 등을 고민해야 한다.
제1충전구를 통해 충전 중, 제2충전구를 통해 충전하는 경우 충전이 끝나는 시간에 차이가 있으므로 불편을 초래할 수 있고, 방전 시 고전압 부하 1 / 고전압 부하 2 를 각각 구성해야 하므로, MCU는 고전압배터리 1에, 냉각 컴프레셔는 고전압배터리 2에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면, 고전압 전체 구성의 복잡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로직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회로의 병렬 구조를 나타낸다. 도 2와 같은 회로 구조에 따르면, 직렬 방식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제1충전구 또는 제2충전구 중 어느 곳을 통해서 충전을 하더라도, 고전압배터리 1,2가 균등하게 충전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충전기가 1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고전압배터리 1,2 모두 완충이 가능하다. 고전압배터리 1,2간의 충전량 차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고전압 공통부하를 사용하면 되므로, 마치 고전압 배터리가 하나인 것처럼, 단순한 고전압 전력망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구성하는 경우 전술한 도 1(a) 내지 도 1(c)의 직렬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복수의 충전구를 연결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충전구를 통해 충전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다른 충전구를 통해 충전을 개시할 때 스파크와 돌입전류 발생으로 인한 부품 손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의 병렬 회로 구성에 본 발명의 로직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1충전구에서 충전 중인 상황에서, 본 발명의 로직과 같이 제2충전구를 통해 충전을 시도하는 경우, 충전중인 전압과, 제2충전기에서 공급하는 전압의 차이로 인한 스파크 발생이 없기 때문에, 스파크로 인한 장비 및 차량 손상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다.
제1충전구 충전 시 Pre-Charge 과정을 통해 차량 측 전압과 충전기의 출력 측 전압을 동등한 수준으로 맞춘 후, 차량 측 릴레이 A를 CLOSE 시키게 된다. 따라서 쌍방의 전위차로 인한 스파크와 돌입전류 발생을 막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충전구의 Pre-Charge과정을, 제2충전구에 활용하여, 제1충전구를 통해 차량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 제2충전구를 통해, 차량의 충전을 개시하더라도, 제2충전구와 차량 측 전력망의 전위차를 동등하게 유지시켜, 고전압 릴레이 B를 CLOSE 할 때의 스파크와 돌입전류 발생을 막아, 결국 동시 충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회로가 적용된 본 발명의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요 구성요소는 고전압 퓨즈, 고전압 릴레이들로 구성될 수 있는 HV JBOX(High Voltage Junction Box), 고전압배터리(셀들의 집합)와 배터리 제어기(흔히 BMS로 칭함)로 구성된 배터리팩, 그리고 충전제어기와 각 케이블, 릴레이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및 제N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 및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는 병렬 연결되어 다수의 고전압 배터리 팩이 병렬 연결된 노드에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충전제어기는, 충전기(PLC통신)와 배터리제어기(CAN통신) 간의 신호 프로토콜이 다르므로, PLC 신호(Power Line Communication)를 CAN 신호로, 혹은 그 역으로 변환하여 충전기와 배터리 제어기간의 통신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제어부는 충전제어기와 배터리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 고전압 충/방전 경로를 제시하는 고전압케이블과 고전압 흐름을 개/폐하는 고전압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구와 제2충전구는 하나의 충전기에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충전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충전제어부를 통해 본 발명은 용이하게 충전구 N개 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단계는 충전제어부에서 차량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1충전기에 송신하고, 제2단계는 제1충전기의 입력 전압을 충전제어부에서 송신된 전압에 일치시키고 충전제어부로 전압의 일치를 알린 후에, 제3단계는 충전제어부에서 제1충전구에 연결될 고전압 릴레이를 연결시켜 차량의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S10, S20). 제4단계는 차량의 충전 진행 중에, 제1충전구와 병렬로 연결되는 충전구로서 제2충전기가 체결되는 제2충전구에 연결하여 충전제어부와 제2충전기 사이에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S30, S40).
제1단계는 제1충전구를 통해 충전을 시작하고 정해진 절차에 따라 충전 단계를 진행하며 차량 측 전력망의 현재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기에 통보할 수 있고, 충전기 측에서 차량 충전용 출력 전압을 충전제어부에서 알려준 전압과 동등한 수준으로 맞출 수 있다.
제2단계는, 제1충전구와 충전제어부의 공급 전압을 일치시켜 추가로 병렬 접속되는 충전구와의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충전제어부로 알려준 전압 및 제2단계에서 충전제어부로 알려준 전압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제1단계에서 충전제어부로 알려준 전압 및 제2단계에서 충전제어부로 알려준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통보 받은 충전구에 대하여 고전압 릴레이(A)를 CLOSE 시킨다. 이 때 제2충전구는 실제 충전 전류 공급을 개시하게 되며, 차량과 각 충전구의 출력 전압간 전위차가 없으므로, 스파크 및 돌발 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는 제1충전구에 연결되어 충전 진행 중 제2충전구 또는 제N충전구를 연결할 수 있다. 충전제어부에 제N충전구를 연결 시에도 상술한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구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 어느 쪽 충전구를 통해 먼저 충전을 개시하든 무방하게, 어느 쪽 충전구의 충전상황을 고려할 필요 없이 문제없이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릴레이 CLOSE시의 스파크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로 구조를 나타내는데, 충전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먼저 고전압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② 번 릴레이를 붙인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스파크는 ③ 저항에 의해 억제 및 흡수 된다. 일단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와 ⓑ는 동전위가 된다. 따라서 이후에 ① 번 릴레이를 붙여도 스파크 발생의 문제가 없다. ① 번 릴레이를 통해 주 전력 공급 회로가 형성되고 나면 ② 번 릴레이를 OPEN 하여,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할 수 있다. 순서는 ① pre charge relay CLOSE (→ pre charge resistor) → ② main relay CLOSE → ③ pre charge relay OPEN 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2의 고전압릴레이 A, B에 도 5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기술을 활용하여 2구 충전 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먼저 제1충전구를 통한 전력 공급을 시도하면, 충전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먼저 고전압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는 '2A' 번 릴레이를 붙인다. 이때 발생하는 스파크는 '3A' 저항에 의해 억제 및 흡수 된다. 일단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와 ⓑ는 동전위가 된다. 따라서 이후에 '1A' 번 릴레이를 붙여도 스파크 발생의 문제가 없다. '1A' 번 릴레이를 통해 주 전력 공급 회로가 형성되고 나면 '2A' 릴레이를 OPEN 하여, 지속적인 전력공급을 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충전구 2를 통한 전력을 공급할 경우, '2B'릴레이 CLOSE ‘1B' 릴레이 CLOSE '2B' 릴레이 OPEN의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제1충전구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메인 릴레이; 제1메인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상기 제1충전구 및 상기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 제2충전구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메인 릴레이; 및 제2메인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제2충전구 및 상기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고, 제1릴레이 및 제2릴레이는 직렬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며, 제1릴레이 작동 후 상기 제1메인 릴레이가 작동되거나 제2릴레이 작동 후 제2메인 릴레이가 작동되며, 제1고전압배터리와 제2고전압 배터리의 양극은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경우 고전압을 견디는 릴레이 2개, 저항 2개를 달아야 하므로 원가, 중량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OBC를 기본으로 하여, PRECHARGE RELAY와 PRECHARGE RESISTOR를 삭제할 수 있어 원가/중량 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기본 발명 대비, 완속 충전을 하는 경우, 차량 내부적으로, 'b'점의 전위를 측정하여 OBC에 알려주는 단계와 OBC 의 출력 전압을 'b'점과 동일하게 맞추는 단계 및 메인릴레이 'OBC'를 CLOSE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충전구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메인 릴레이; 제2충전구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메인 릴레이; 및 제1충전구와 제2충전구는 각각의 OBC(On Board Charger)에 연결되며 각각의 OBC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OBC 릴레이;를 포함하고, OBC 릴레이는 제1메인 릴레이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 및 제2메인 릴레이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OBC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회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충전구를 통해 완속 충전중에, 제2충전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충전구를 통해 급속 충전을 시도하는 경우, 본 발명에 개시된 절차를 진행하면 되는데, b 점의 전위를 충전기 2에 알림 충전구 2가 전압을 맞춘후 메인릴레이 'B' CLOSE 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PRECHARGE 릴레이와, PRECHARGE 저항 구성하지 않고, 제2충전구의 완/급속 충전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충전구에 충전기를 꽂는 선후, 완속/급속 여부 등을 구별할 필요 없이 모든 조합으로 충전 가능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충전제어부에서 차량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1충전기에 송신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충전기의 입력 전압을 상기 충전제어부에서 송신된 전압에 일치시키고 상기 충전제어부로 상기 전압의 일치를 알리는 제2단계;
    상기 충전제어부에서 상기 제1충전기가 체결되는 제1충전구에 연결될 고전압 릴레이를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전을 진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차량의 충전 진행 중에, 상기 제1 충전구와 병렬로 연결되는 충전구로서 제2충전기가 체결되는 제2충전구에 연결하여 상기 충전제어부와 상기 제2충전기 사이에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충전구와 상기 충전제어부의 공급 전압을 일치시켜 추가로 병렬 접속되는 충전구와의 스파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구에 연결되어 충전 진행 중 상기 제2충전구 또는 제N충전구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에 제N충전구를 연결 시에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5. 충전제어부에서 차량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1충전기에 송신하는 제1단계;
    상기 충전제어부에서 상기 제1충전기가 체결되는 제1충전구에 연결될 고전압 릴레이를 연결시켜 상기 차량의 충전을 진행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충전구의 전압을 상기 충전제어부에서 송신된 전압에 일치시키고 상기 충전제어부로 상기 전압의 일치를 알리며 차량의 충전 진행 중에, 상기 제1 충전구와 병렬로 연결되는 충전구로서 제2충전기가 체결되는 제2충전구에 연결하여 상기 충전제어부와 상기 제2충전기 사이에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충전구와 상기 충전제어부의 공급 전압을 일치시켜 추가로 병렬 접속되는 충전구와의 스파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는,
    상기 제1충전구에 연결되어 충전 진행 중 상기 제2충전구 또는 제N충전구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어부에 제N충전구를 연결 시에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9. 다수의 충전 포트를 통한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및
    제N충전구와 직렬로 연결된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 및 제N고전압 충전 릴레이는 병렬 연결되어 다수의 고전압 배터리 팩이 병렬 연결된 노드에 직렬 연결된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배터리 팩과 HV JBOX(High Voltage Junction Box)가 고전압 케이블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HV JBOX는,
    제1충전구에 직렬로 연결된 제1고전압 릴레이; 및
    제2충전구에 직렬로 연결된 제2고전압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전압 릴레이와 상기 제2고전압 릴레이는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고전압 케이블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고전압 배터리 팩은,
    제1고전압 배터리 팩;
    상기 제1고전압 배터리 팩에 병렬 연결된 제2고전압 배터리 팩;
    상기 제1고전압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제1배터리 제어기; 및
    상기 제2고전압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제2배터리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 제어기 및 상기 제2배터리 제어기와 통신을 통해 상기 제1충전구 및 제2충전구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1충전구와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
    상기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상기 제1충전구 및 상기 제1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릴레이;
    제2충전구와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 및
    상기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와 병렬 형태로 상기 제2충전구 및 상기 제2고전압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릴레이 및 제2릴레이는 직렬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릴레이 작동 후 상기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가 작동되거나 상기 제2릴레이 작동 후 상기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릴레이가 닫힌 후 상기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가 닫히며 이후 제1릴레이가 다시 열리고,
    상기 제2충전구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릴레이가 닫힌 후 상기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가 닫히며 이후 제2릴레이가 다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충전구와 상기 제2충전구는 각각의 OBC(On Board Charger)에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OBC가 공통으로 연결되는 OBC 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OBC 릴레이는 상기 제1고전압 충전 릴레이와 제1고전압 배터리 사이 및 상기 제2고전압 충전 릴레이와 제2고전압 배터리 사이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장치.
KR1020190070295A 2019-06-13 2019-06-13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5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95A KR102654831B1 (ko) 2019-06-13 2019-06-13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6/690,751 US11208002B2 (en) 2019-06-13 2019-11-2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 high voltage power grid structure of a vehicle
DE102019218375.1A DE102019218375A1 (de) 2019-06-13 2019-11-27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Ladung einer Hochspannungsstromnetzstruktur eines Fahrzeugs
CN201911194789.8A CN112078417A (zh) 2019-06-13 2019-11-28 用于控制对车辆的高压电网结构进行充电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95A KR102654831B1 (ko) 2019-06-13 2019-06-13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73A KR20200142873A (ko) 2020-12-23
KR102654831B1 true KR102654831B1 (ko) 2024-04-05

Family

ID=7354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95A KR102654831B1 (ko) 2019-06-13 2019-06-13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8002B2 (ko)
KR (1) KR102654831B1 (ko)
CN (1) CN112078417A (ko)
DE (1) DE102019218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4593B2 (en) * 2020-09-08 2022-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synchronization and charging connector devices
US11738660B2 (en) * 2021-05-27 2023-08-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solation charging for multiple AC charging inputs
CN113682164A (zh) * 2021-08-23 2021-11-23 国网智慧能源交通技术创新中心(苏州)有限公司 一种船舶大电流充电控制系统及充电方法
KR102629631B1 (ko) * 2021-11-24 2024-01-30 주식회사 그린퍼즐 멀티 충전 인터페이스 장치
DE102022112430A1 (de) 2022-05-18 2023-11-23 Daimler Truck AG Hochvolt-Speich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Laden einer Hochvolt-Speich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9866B2 (en) * 2009-09-01 2015-08-04 Aden Seama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parallel power flow calculation and power system simulation
KR101198506B1 (ko) 2010-02-03 2012-11-06 한국과학기술원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6467816B2 (ja) * 2014-08-21 2019-0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システム
EP3188340B1 (en) * 2014-08-29 2024-01-24 Nissan Motor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DE102014016620B4 (de) * 2014-10-24 2021-08-26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KR20160076825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동아일렉콤 돌입전류 방지 및 배터리 고장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60026965A (ko) * 2016-02-25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KR20170121628A (ko) * 2016-04-25 2017-1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170127150A (ko) * 2016-05-11 2017-11-21 영화테크(주) 전기차량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KR102465069B1 (ko) * 2017-11-15 2022-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873A (ko) 2020-12-23
CN112078417A (zh) 2020-12-15
US11208002B2 (en) 2021-12-28
DE102019218375A1 (de) 2020-12-17
US20200391606A1 (en)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831B1 (ko) 차량 고전압 전력 망 구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221244B (zh) 通过切换电池的电池单元组块来平衡该电池的充电和放电水平的方法
TWI751229B (zh) 控制裝置、控制系統、蓄電裝置以及電腦可讀取媒體
US20180109120A1 (en) Control device, electric storage device, electric storag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6169795A (zh) 一种储能锂电池组及其扩容方法
US20120126820A1 (en) Battery pack burn-in test system and method
CN110303944B (zh)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系统及方法
KR20120107302A (ko) 배터리 팩 연결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067404B (zh) 一种换电站供电系统及换电站供电方法
JP2018523959A (ja) 電気車両充電ステーションおよび電気車両充電ステーション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KR20160125285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제어 방법
WO2020080543A1 (ja) 蓄電システム
US11901534B2 (en) Auxiliary energy system architecture
CN107681758A (zh) 复合能源系统
WO2020071290A1 (ja) 蓄電システム
JP2009072053A (ja) 蓄電システム
CN109813985A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测试装置
US2023006171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N109301140A (zh) 一种串联成组型动力电池组
CN103376413A (zh) 电池测试系统及控制电池测试系统的方法
CN112477694B (zh) 车辆充电控制方法、装置及电路、车辆和计算机设备
CN210111619U (zh) 储能装置
CN208299480U (zh) 一种电池充放电管理电路及通讯基站系统
JP2020005386A (ja) 電源システム
KR20210044026A (ko) 쌍안정릴레이를 이용한 병렬 전지팩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