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633B1 -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633B1
KR102654633B1 KR1020180113418A KR20180113418A KR102654633B1 KR 102654633 B1 KR102654633 B1 KR 102654633B1 KR 1020180113418 A KR1020180113418 A KR 1020180113418A KR 20180113418 A KR20180113418 A KR 20180113418A KR 102654633 B1 KR102654633 B1 KR 102654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arizer
polarizing plate
treatment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7132A (en
Inventor
고지 수미다
신이치 가와무라
히로마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1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과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편광판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광자(2)와, 편광자(2)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3, 4)을 포함하는 편광판(1)으로서, 초기 상태에 측정되는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44% 이상이고,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다.
[Project] Provide a polarizing plate that makes it possible to make streak-shaped irregularities less noticeable regardless of color changes.
[Solution] A polarizing plate (1) including a polarizer (2) and protective films (3, 4)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2) through an adhesive layer, wherein the visibility correction unit is measured in an initial state. The transmittance (Ty) is 44% or more, and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do not change in sign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escription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편광자 표면의 줄에 유래되어, 반사광의 농담에 의해 확인되는 줄 형상의 얼룩짐이 생기기 때문에, 편광자의 표면 요철의 높이를 280 nm 이하로 함으로써, 반사광의 농담에 의해 생기는 줄 형상 얼룩짐을 억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since streak-like irregularities occur due to streaks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are confirmed by the shade of reflected light, the height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is set to 280 nm or less, so that the irregularities caused by the shade of reflected light are set to 280 nm or less. It has been proposed to suppress streak irregularity.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16643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6166431

최근, 소비 전력의 저감 등을 목적으로 하여 편광판의 고투과화(高透過化)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편광판이 고투과로 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편광자의 표면 요철을 280 nm 이하로 했다고 해도, 이 편광자의 표면 요철에 유래되어, 직교 니콜 상태로 편광자를 투과하는 빛에 의해 줄 형상의 얼룩짐이 생기는 것을 알게 되었다.Recently, polarizing plates are being made highly transparen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arizing plate becomes highly transparent,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even if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are set to 280 nm or less, the stripe shape is caused by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in the orthogonal Nicol state I found out that spots appear.

또한, 고투과의 편광판에 관해서, 초기 상태의 색상을 제어하여, 직교 니콜 상태로 편광자를 투과함으로써 시인되는 줄 형상의 얼룩짐을 눈에 띄지 않게 하더라도, 편광판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이 편광판의 색상(색감)이 변화함으로써, 줄 형상의 얼룩짐이 눈에 띠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a high-transmission polarizer, even if the initial color is controlled and the visible streak-like irregularities are made inconspicuous by transmitting the polarizer in an orthogonal Nicol state, the color (color tone) of the polarizer while being used is reduced. Due to this change, there were cases where streak-like irregularities became noticeabl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사정에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와 같은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uch conventional circumstances, and includes a polarizing plate that makes it possible to make streak-shaped irregularities inconspicuous regardless of color chang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such a polarizing plat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초기 상태에 측정되는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44% 이상이고,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measured in an initial state. (Ty) is 44% or more, and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do not change in sign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또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내구 시험 후는, 적어도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건조 분위기 중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한 후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polarizing plate, after the durability test, heating may be provided at 105° 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at least from the initial state.

또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Additionally, in the polarizing plate, the polarizer may be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또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3∼15 ㎛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Additionally, in the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may be 3 to 15 μm.

또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제거했을 때에, 접착제가 부착된 상기 편광자의 표면에, 고저차가 80∼250 nm가 되는 요철이 존재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Additionally, in the polarizing plate, when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to which the adhesive is attached may have irregularities with a height difference of 80 to 250 nm.

또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요오드계 편광자인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Additionally, in the polarizing plate, the polarizer may be an iodine-based polarizer.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표시 패널과 상기 어느 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one of the above polarizing plate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색상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wherein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ab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color adjustment process for adjusting the sign so as not to change between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chromaticity coordinate.

또한,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 적어도 상기 편광자의 색상을 조정하는 제조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Moreov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the color adjustment step may be a manufacturing method that adjusts at least the color of the polarizer.

또한,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 필름을 선택하는 제조 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Moreover,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the color adjustment step may be a manufacturing method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plate is selec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줄 형상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편광판, 그리고 그와 같은 편광판을 구비한 굴곡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that makes it possible to make stripe-shaped irregularities inconspicuous regardless of color changes, and a benda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uch a polariz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편광판을 구비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편광판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ab 색도 좌표도이다.
도 6은 편광 필름 제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 2에 있어서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를 도시하는 ab 색도 좌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3, 4 및 비교예 1, 2에 있어서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를 도시하는 ab 색도 좌표도이다.
도 9는 참고예 1에 있어서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를 도시하는 ab 색도 좌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 polarizing plate shown in FIG. 2.
Figure 5 is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to explain the change in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Figure 7 is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showing changes in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n Examples 1 and 2.
Figure 8 is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showing changes in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n Examples 3 and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Figure 9 is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showing changes in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n Reference Example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구성 요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경우가 있으며, 구성 요소에 따라서는 치수의 축척을 다르게 하여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예시되는 재료나 수치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mponents may be schematically shown in some cases to make each component easier to see, and the dimensions may be shown at different scales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materials and values exemplif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changes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invention.

(편광판)(Polarizer)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편광판(1)에 관해서 설명한다. Firs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polarizing plate 1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여기서, 도 1은 편광판(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Here,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편광자(2)와, 편광자(2)의 적어도 한쪽의 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양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3, 4)을 포함하고, 이들 보호 필름(3, 4)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편광자(2)의 양면에 접합(접착제층을 통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larizer 2 and protective films 3 and 4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both sides in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polarizer 2.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s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bonded (laminated through an adhesive layer)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with an adhesive (not shown).

편광자(2)는 자연광 등의 빛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며, 투과축과 흡수축을 갖고 있다. 편광자(2)의 투과축은 이 편광자(2)에 자연광을 투과시켰을 때의 투과광의 진동 방향이다. 한편, 편광자(2)의 흡수축은 이 편광자(2)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방향이 된다. The polarizer 2 has the function of converting light, such as natural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and has a transmission axis and an absorption axis.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2 is the direction of vibration of the transmitted light when natural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er 2. On the other hand,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2 i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er 2.

편광자(2)는, 일반적으로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편광자(2)의 흡수축 방향은 그 연신 방향(MD)에 일치하고, 편광자(2)의 투과축 방향은 폭 방향(TD)에 일치한다. The polarizer 2 is generally made of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 (PVA)-based resin film. For this reason,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coincides with its stretching direction (MD), and the transmiss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2 coincides with the width direction (TD).

PVA계 수지 필름은 통상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그 비누화도는 통상 약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9 몰% 이상이다. PVA-based resin films are usually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usually about 85 mol% or more, preferably about 90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99 mol% or more.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약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약 1500∼5000 정도이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may be, for exampl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s well as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therewith. Other monomers that can be copolymerized include, for exampl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unsaturated sulfonic acids.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Thes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may be modified, an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etc. modified with aldehydes can also be used.

편광자(2)의 두께는, 편광판(1)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편광판(1)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편광자(2)의 두께는, 예컨대 25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며, 예컨대 1 ㎛ 이상,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라도 좋다. 편광자(2)의 두께가 15 ㎛ 이하가 될 때는, PVA계 수지 필름의 가공 중의 반송에 있어서 주름이 생기기 쉽고, 편광자(2)에 요철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효과가 커진다. 또한, 편광판(1)에 있어서의 편광자(2)의 두께는, 보호 필름(3, 4)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 경화시킨 후의 편광자(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다고 생각하여도 지장 없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s preferably thin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polarizer 1, but is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polarizer 1, etc.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s, for example, 25 μm or less, preferably 2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5 μm or less, and may be, for example, 1 μm or more, preferably 3 μm or m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s 15 μm or less, wrinkles are likely to occur during conveyance during processing of the PVA-based resin film, and unevenness is likely to occur in the polarizer 2, s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In addition, it is safe to assume that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n the polarizing plate 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after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and cured.

보호 필름(3, 4)으로서는,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쇄상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include films made of acetylcellulose-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cellulose and diacetylcellulose; Films made of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film; Cycloolefin-based resin film; Acrylic resin film; A film made of chain olefin resin of polypropylene resin can be mentioned.

편광자(2)의 양면에 보호 필름(3, 4)이 배치되는 경우는, 동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3, 4)이라도 좋고, 이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3, 4)이라도 좋다. When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may be made of the same type of resin, or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may be made of different types of resin.

보호 필름(3, 4)의 두께는, 편광판(1)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편광판(1)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보호 필름(3, 4)의 두께는, 예컨대 85 ㎛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라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is preferably thin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polarizing plate 1, but is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polarizing plate 1, etc.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may be, for example, 85 μm or less, preferably 5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μm or less.

한편, 보호 필름(3, 4)의 두께는, 가공성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라도 좋다.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is preferably a thickness that can secure a certain level of strength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for example, 5 μm or more, preferably 10 μm or more.

접착제로서는 수계 접착제라도 좋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라도 좋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 또는 이것에 가교제가 배합된 수용액,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를 들 수 있다. The adhesive may be a water-based adhesive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Examples of water-based adhesives include water-based adhesives such as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an aqueous solution mixed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a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접착제를 의미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서는, 그 경화 양식으로 분류하면, 경화성 화합물로서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이온 중합형 접착제, 경화성 화합물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형 접착제,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및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양쪽을 포함하는 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refers to an adhesive that is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s are classified by their curing mode into cationic polymerizable adhesives containing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as a curable compound, radically polymerizable adhesives contain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as a curable compound,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s and radicals. and curable adhesives containing both polymerizable compounds. Examples of cationically polymerizable compounds include epoxy compounds and oxetane compounds. Examples of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ompound include (meth)acrylic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meth)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수계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20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nm 이상이라도 좋다. 한편, 접착제의 두께는, 생산 비용 등의 관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크지 않을 정도면 되며, 예컨대 10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nm 이하라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water-based adhesive may be, for example, 20 nm or more, preferably 40 nm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should not be too large than necessary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costs, etc., and may be, for example, 1000 nm or less, preferably 500 n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0 nm or less.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0.1 ㎛ 이상인 것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by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preferably 0.1 μm or more, preferably 10 μm or less, preferably 5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μm or less.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편광판(1A)이나 도 3에 도시하는 편광판(1B)의 구성이라도 좋다. 여기서, 도 2는 편광판(1A)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편광판(1B)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A shown in FIG. 2 or the polarizing plate 1B shown in FIG. 3 may be used. Her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A.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B.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하는 편광판(1A)은, 상기 편광판(1)의 구성에 더하여, 적어도 한쪽의 보호 필름(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필름(4))의 편광자(2)와는 반대쪽의 면에 배치된 점착제(PSA)층(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편광판(1B)은, 편광자(2)와, 편광자(2)의 한쪽의 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3)과, 편광자(2)의 다른 쪽의 면에 배치된 점착제층(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Specifically, the polarizing plate 1A shown in FIG. 2,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at least one protective film (protective film 4 in this embodiment) opposite to the polarizer 2.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rranged adhesive (PSA) layer (5). On the other hand, the polarizing plate 1B shown in FIG. 3 includes a polarizer 2, a protective film 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and an adhesiv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larizer 2.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layer (5).

점착제층(5)은, 그 자체의 점착성에 의해, 편광자(2)나 보호 필름(3, 4)에 대하여 접합할 수 있다. 점착제층(5)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편광판(1A, 1B)이 노출될 수 있는 환경 하에 있어서, 벗겨짐 등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접착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고,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가공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제층(5)의 두께는 통상 3∼10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 The adhesive layer 5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2 and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due to its own adhesiveness. As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5, a conventionally known adhesiv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ny adhesive that has sufficient adhesiveness to prevent peeling, etc., in an environment where the polarizing plates 1A, 1B may be exposed. Specifically, acrylic adhesives, silicone adhesives, rubber adhesives, etc. can be mentioned, and acrylic adhesive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in terms of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processabilit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5 is usually about 3 to 100 μm, and is preferably 5 to 50 μm.

또한,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부여제, 가소제, 유리 섬유, 글래스 비드, 금속 가루, 그 밖의 무기 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 안료, 착색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등,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하여도 좋다. Additionally, the adhesive may, if necessary, contain fillers such as tackifiers, plasticizers, glass fibers, glass beads, metal powders, and other inorganic powders, pigments, colorants, fill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and silane coupling agents. etc., various additives may be appropriately mixed.

점착제층(5)은 편광판(1A, 1B)을 다른 부재에 접합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점착제층(5)의 표면에는 미리 박리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5)의 표면에 박리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한쪽의 면에서 박리 필름을 벗겨내어, 이 점착제층(5)을 편광자(2)나 보호 필름(3, 4)에 접합(적층)할 수 있다. 또한, 그 다른 쪽의 면에서 박리 필름을 벗겨낸 후에, 이 점착제층(5)을 통해 다른 부재에 접합시킬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5 is used to bond the polarizing plates 1A and 1B to other members.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5 may have a peeling film (not shown) in advance. When a release film i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5, the release film is peeled off from one side, and this adhesive layer 5 is bonded (laminated) to the polarizer 2 or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can do. In addition, after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from the other side, it can be bonded to another member through this adhesive layer 5.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광판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도 1∼도 3에 도시하는 편광판(1, 1A, 1B)의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되며, 그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larizing plates 1, 1A, and 1B shown in FIGS. 1 to 3 above. That is,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and other configurations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예컨대, 상기 편광판(1, 1A)에서는, 상기 보호 필름(4) 대신에, 예컨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등의 다른 기능층이 적용되어 있어도 좋다. For example, in the polarizing plates 1 and 1A, other functional layers such as a retardation film or a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be applied instead of the protective film 4.

또한, 상기 편광판(1, 1A, 1B)을 원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1/4 파장(λ/4)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λ/4판은, 어떤 특정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편광으로 (또는 원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λ/4판은 점착제층(5)을 통해 보호 필름(4)의 편광자(2)와는 반대쪽의 면에 배치된다. In addi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s 1, 1A, 1B are used as circularly polarizing plates, the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1/4 wavelength (λ/4) plate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λ/4 plate has the function of conver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of a certain wavelength into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λ/4 plate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protective film 4 opposite to the polarizer 2 through the adhesive layer 5.

또한, 상기 편광판(1, 1A, 1B)을 원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λ/4판 외에도,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편광판(1, 1A, 1B)의 반사 색상(색감)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λ/4판은 역파장 분산성 λ/4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지티브 C 플레이트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λ/4판의 편광자(2)와는 반대쪽의 면(다른 쪽의 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편광판(1)인 경우, 상기 편광판(1), 점착제층(5), λ/4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s 1, 1A, and 1B are used as circularly polarizing plates, the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sitive C plate in addition to the λ/4 plate. The positive C plate can reduce changes in the reflection color (color) of the polarizers 1, 1A, and 1B. When a positive C plate is included, the λ/4 plate is preferably an inverse wavelength dispersion λ/4 plate. The positive C plate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2 (the other side) of the λ/4 plat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plate 1, it has a stacked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 the adhesive layer 5, the λ/4 plate, th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and the positive C plate.

또한, 상기 편광판(1, 1A, 1B)을 원편광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λ/4판 외에도, 1/2 파장(λ/2)판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λ/2판은, 입사광의 전계 진동 방향(편광면)으로 π(=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으로, 직선 편광의 방향(편광 방위)을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원편광의 빛을 입사시키면, 원편광의 회전 방향을 반대 회전 방향으로 할 수 있다. λ/2판은,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통해 λ/4판의 편광자(2)와는 반대쪽의 면(다른 쪽의 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편광판(1)인 경우, 상기 편광판(1), 점착제층(5), λ/4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 λ/2판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In addi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s 1, 1A, and 1B are used as circularly polarizing plates, the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1/2 wavelength (λ/2) plate in addition to the λ/4 plate. The λ/2 plate has the function of changing the direction (polarization direc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by providing a phase difference of π (=λ/2) in the direction of electric field vibration (polarization plane) of incident light. Additionally, when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can be changed to the opposite rotation direction. The λ/2 plate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olarizer 2 (the other side) of the λ/4 plate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Therefo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plate 1, it has a stacked structure of the polarizing plate 1, the adhesive layer 5, the λ/4 plate, the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and the λ/2 plate.

(표시 장치)(display device)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에 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또한,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편광판(1A)을 갖춘 표시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Additionally,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equipped with the polarizing plate 1A shown in FIG. 2.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10)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 패널(11)과, 표시 패널(11)의 시인 측에 배치된 편광판(1A)을 구비하고 있다. 편광판(1A)은 점착제층(5)을 통해 표시 패널(11)에 접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device 1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11 and a polarizing plate 1A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 The polarizing plate 1A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11 through the adhesive layer 5.

표시 패널(11)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 표시 소자 등이면 된다.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사용한 경우는 액정 표시 장치라고 불린다. 한편, 표시 장치(10)는, 표시 패널(11)로서 유기 EL 표시 소자를 사용한 경우는 유기 EL 표시 장치라고 불린다. The display panel 1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element, or the like. Whe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used as the display panel 11, the display device 10 is call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device 10 uses an organic EL display element as the display panel 11, it is called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는 상기 도 4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0)의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이 적용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한, 표시 패널의 구성에 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을 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편광판의 용도는, 상술한 표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광학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shown in FIG. 4 above. That is,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an make appropriate changes to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as long as it is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Meanwhile, the use of the polarizing plat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and can be used for various optical purposes.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은,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편광판(1)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가,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걸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구 시험 전후에 편광판(1)의 직교 색상이 변화되더라도,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olarizing plat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re adjusted so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o. That is, the change in orthogonal color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set to a value that does not span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Accordingly, even if the orthogonal color of the polarizing plate 1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t is possible to make the streak-shaped unevenness generated in the polarizing plate 1 inconspicuous regardless of the change in color.

구체적으로, 편광판(1)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에 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편광판(1)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ab 색도 좌표도이다. Specifically, the change in orthogonal color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Here, FIG. 5 is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nge in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1.

편광판(1)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의 변화에 관해서는 분광광도계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change in orthogonal color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1 can b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광광도계에 의해 투과 색상을 측정한다. 그 후, 건조 분위기 중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한 후에, 다시 분광광도계에 의해 투과 색상을 측정한다. 그리고, 편광판(1)의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된 투과 색상이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tted color i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Thereafter, after heating at 105° 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the transmitted color is again measured by a spectrophotomete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mitted color measured after the initial state and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1 did not change in sign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또한,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은 백라이트 상의 직교 니콜 투과광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색 백라이트의 조명면에 편광판을 접합시키고, 그 위에 편광판(1)을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놓고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얼룩짐의 세기를 관찰할 수 있다. Additionally, streak-shaped irregularities occurring on the polarizer 1 can be observed using orthogonal Nicole transmitted light on the backlight. Specifically, the intensity of the spotting can be observed by attaching a polarizing plate to the illumination surface of a white backlight, placing the polarizing plate 1 on it so that the absorption axes are perpendicular to it, and visually checking.

편광판(1)의 보호 필름(3, 4)으로서 λ/4판, 포지티브 C 플레이트, λ/2판 등의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이들 위상차판이 백라이트의 반대쪽(시인 측)이 되도록 백라이트 상에 설치하여 관찰하면 된다. 또한, 편광판(1)의 보호 필름(3, 4) 양쪽이 위상차판의 구성인 경우, 조명면에 편광판을 접합시킨 백라이트 위에 위상차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편광판(1)이 직교 니콜이 되도록 설치하여 관찰할 수 있다. Even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of the polarizer 1 include retardation plates such as a λ/4 plate, positive C plate, and λ/2 plate, the backlight is set so that these retardation plates are on the opposite side (viewing side) of the backlight. Just install it on the table and observe. In addition, when both protective films 3 and 4 of the polarizer 1 are composed of retardation plates, the retardation plate is installed on the backlight with the polarizer bonded to the illumination surface, and the polarizer 1 is installed on it so that it is orthogonal to the nicol. This can be observed.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광판(1)의 내구 시험 전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에 관해서,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란,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ab 색도 좌표도에 있어서,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한(象限)을 걸치지 않는 것과 동의이다. 이 경우, 내구 시험 전후에 편광판(1)의 직교 색상이 변화되더라도,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상한을 걸치면, 직교 색상의 변화에 의해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이 보이기 쉽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ing plate 1, the case where the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means, for example,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shown in FIG. 5. This means that there is no upper limit between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is case, even if the orthogonal color of the polarizing plate 1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the streak-shaped unevenness occurring in the polarizing plate 1 can be made inconspicuous regardless of the change in color. On the other hand, if the upper limit is placed between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streak-like irregularities generated in the polarizing plate 1 due to changes in orthogonal colors become easily visible.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에 관해서는, 편광판(1) 표면에 있어서의 줄 형상 얼룩짐의 고저차(ΔH)가 80∼25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줄 형상 얼룩짐의 고저차(ΔH)는, 보호 필름(3, 4)을 제거했을 때에, 접착제가 부착된 편광자(2)의 표면을, 그 줄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편광판(1)의 표면을 주사하면서 표면의 요철 형상을 라인 측정한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식(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표면의 평균선에 대하여, 가장 높은 볼록부의 정점에 있어서의 높이(H1)와, 가장 높은 볼록부에 각각 인접하는 2개의 오목부 중, 보다 깊은 쪽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깊이(H2)의 합계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줄의 연장 방향은 통상 연신 방향(MD)에 일치하는 방향이다. Regarding the stripe-shaped unevenness occurring on the polarizing plate 1,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difference (ΔH) of the stripe-shaped unevenness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80 to 250 nm. The height difference (ΔH) of the stripe-shaped unevenness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2 with the adhesiv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tripe when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removed. While scanning, the uneven shape of the surface is measured along the line. From this measurement result,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height (H1) at the apex of the highest convexity with respect to the average line of the surface and the height (H1) of the two concave portions adjacent to the highest convexity are , is obtained by the sum of the depth H2 at the bottom of the deeper concave portion. Additionally,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tring is usually a direction that coincides with the stretching direction (MD).

80 nm≤ΔH=H1+H2≤250 nm ···(1)80 nm≤ΔH=H1+H2≤250 nm···(1)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에서는,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이러한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In the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re adjusted so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so that the polarizing plate 1 Stripe-shaped irregularities that occur can be made inconspicuous regardless of color changes.

또한,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에서는, 편광자(2)의 색상을 조정하거나, 편광판(1)의 적어도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4, 5)을 선택하는 것으로 그 직교 색상을 조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the orthogonal colors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lor of the polarizer 2 or by selecting the protective films 4 and 5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plate 1. can be adjusted.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에 있어서,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은 4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4.5% 이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에 있어서, 시감도 보정 편광도(Py)는 9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Ty 및 Py는, 예컨대 분광광도계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In the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is preferably 44.0% or more, more preferably 44.3%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44.5% or more. Moreover, in the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the visibility correction polarization degree (Py) is 95% or more, preferably 9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9% or more. Ty and Py can be measured using, for example, a spectrophotomet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1) 이외에도, 상술한 편광판(1A, 1B)이나 λ/4판, 포지티브 C 플레이트, λ/2판 등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해서도,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함으로써, 편광판에 발생한 직교 니콜 상태에서 편광자(2)를 투과하는 빛에 의해 생기는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polarizing plate 1,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for polarizing plates including retardation films such as the above-described polarizing plates 1A and 1B, λ/4 plates, positive C plates, and λ/2 plates, with respect to the initial state and durability. By adjusting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after the test so that its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the line produced b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2) in the orthogonal Nicol state generated in the polarizer Shape irregularities can be made inconspicuous regardless of color changes.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embodiment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6.

또한, 도 6은 상기 편광자(2)가 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100)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 6 중에 도시하는 화살표는 편광 필름이 되는 필름(F)의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apparatus 100 of a polarizing film that becomes the polarizer 2. In addition, the arrow shown in FIG. 6 represents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film F used as a polarizing film.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1) 중 편광자(2)가 되는 편광 필름을 제작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척의 미연신 PVA계 수지 필름(원단 필름)(F)을 출발 재료로 하여, 이 필름(F)을 제조 장치(100)의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소정의 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장척의 편광 필름을 연속하여 제조한다. In this embodiment, first, a polarizing film that becomes the polarizer 2 of the polarizing plate 1 is produced us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Specifically, using a long unstretched PVA-based resin film (fabric film) F as a starting material, this film F is continuously conveyed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 of the manufacturing device 100 and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ocessing step. A long polarizing film is continuously manufactured through this process.

소정의 처리 공정으로서는, 필름(F)을 팽윤욕(102)에 침지시키는 팽윤 처리 공정과, 팽윤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염색욕(103)에 침지시키는 염색 처리 공정과, 염색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가교욕(104)에 침지시키는 가교 처리 공정과, 가교 처리 후의 필름(F)을 세정욕(105)에 침지시키는 세정 처리 공정과, 반송 중인 필름(F)에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연신 처리 공정과, 세정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건조로(106)로 건조시키는 건조 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처리 공정을 부가하여도 좋다. The predetermined treatment process includes a swelling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film F is immersed in the swelling bath 102, a dyeing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film F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is immersed in the dyeing bath 103, and a dyeing treatment process in which the film F is immersed in the dyeing bath 103. A crosslinking treatment step in which the film (F) is immersed in the crosslinking bath 104, a cleaning treatment step in which the film (F)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is immersed in the cleaning bath 105, and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being transported. It may include a stretching process to be performed and a drying process to dry the film F after the cleaning process in the drying furnace 106. Additionally, other treatment steps may be added as needed.

도 6에 도시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100)는, 원단 롤(101)로부터 필름(F)을 연속적으로 풀어내면서,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면서, 이 필름 반송 경로 상에 마련된 팽윤욕(102)과 염색욕(103)과 가교욕(104)과 세정욕(105)에 필름(F)을 순차 통과시키고, 마지막으로 건조로(106)에 필름(F)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은, 예컨대 그대로 다음 편광판(1)의 제작 공정(편광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continuously unwraps the film F from the fabric roll 101 and transports it along the film transport path, while swelling bath 102 provided on the film transport path. ), the film (F)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dyeing bath (103), the crosslinking bath (104), and the washing bath (105), and finally the film (F) is passed through the drying furnace (106).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can, for example, be conveyed as is to the next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1 (a process of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에서는, 필름(F)에 대하여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액이 수용된 처리욕으로서, 팽윤욕(102), 염색욕(103), 가교욕(104) 및 세정욕(105)을 각각 1조씩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욕을 2조 이상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as a processing bath containing a processing liquid for processing the film F, a swelling bath 102, a dyeing bath 103, a crosslinking bath 104, and Although the case in which one set of washing baths 105 is installed is shown as an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or more sets of one or more treatment baths are installed may be used as needed.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는, 필름 반송 경로 상에 있어서, 상술한 처리욕(102∼105) 외에, 반송되는 필름(F)을 지지함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서 반송되는 필름(F)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가이드 롤(30∼41)과, 반송되는 필름(F)을 압박·협지하고, 그 회전에 의한 구동력을 필름(F)에 부여함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서 반송되는 필름(F)의 반송 방향을 변경하는 닙 롤(50∼55)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supports the conveyed film F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baths 102 to 105 on the film conveyance path, and also supports the conveyed film F as needed. ) and guide rolls 30 to 41 that change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onveyed film F, which press and hold the conveyed film F, and provide a driving force due to rotation to the film F, and the conveyed film as necessary. It is configured by appropriately arranging nip rolls 50 to 55 that change the conveyance direction of (F).

가이드 롤(30∼41) 및 닙 롤(50∼55)은, 각 처리욕(102∼105)의 전후나 처리욕(102∼105) 중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처리욕(102∼105)에의 필름(F)의 도입·침지 및 처리욕(102∼105)으로부터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처리욕(102∼105) 중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30∼41)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 롤(30∼41)을 따라서 필름(F)을 반송시킴으로써, 각 처리욕(102∼105)에 필름(F)을 침지시킬 수 있다. The guide rolls 30 to 41 and nip rolls 50 to 55 can be disposed before or after each of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or in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Accordingly, the film F can be introduced and immersed in each of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and taken out from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For example, by installing one or more guide rolls 30 to 41 in each of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and transporting the film F along these guide rolls 30 to 41, each of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The film (F) can be immersed in .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에서는, 각 처리욕(102∼105)의 전후로 닙 롤(50∼55)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욕(102∼105) 중에서, 그 전후로 배치되는 닙 롤(50∼55)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필름(F)에 대하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nip rolls 50 to 55 are arranged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bath 102 to 105. Accordingly, in one or more of the treatment baths 102 to 105,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is provided between the nip rolls 50 to 55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m, and inter-roll stretching is performed to perform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of the film F. It is possible to do so.

이하, 편광 필름을 제작할 때에 필름(F)에 실시되는 각 처리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treatment process performed on the film F when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ll be described.

<팽윤 처리 공정> <Swelling treatment process>

팽윤 처리 공정은, 원단 필름이 되는 필름(F)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의 제거나, 필름(F) 중에 존재하는 가소제의 제거, 이염색성(易染色性)의 부여, 필름(F)의 가소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필름(F)의 극단적인 용해나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includes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film (F) that becomes the fabric film, removal of the plasticizer present in the film (F), provision of discoloration, and plasticization of the film (F). It is carried out for purposes such as anger. Process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purpose and do not cause problems such as extreme dissolution or loss of transparency of the film F.

원단 필름으로서는, 두께가 65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35 ㎛인 미연신의 PVA계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원단 필름은 통상 장척의 미연신 PVA계 수지 필름의 롤(감긴 것)로서 준비된다. 단, 원단 필름은, 팽윤 처리 공정 전에 미리 기체 속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한 연신 필름이라도 좋다. As the raw film, an unstretched PVA-based res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65 μm or less, preferably about 10 to 50 μm, and more preferably about 10 to 35 μm, can be used. The raw film is usually prepared as a roll of a long unstretched PVA-based resin film. However, the raw film may be a stretched film that has previously been subjected to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a gas before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팽윤 처리 공정에서는, 원단 롤(101)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어진 필름(원단 필름)(F)을 닙 롤(50), 가이드 롤(30∼32)의 순으로 통과시키는 동안에, 팽윤욕(102) 중에 수용된 처리액에 소정 시간 침지한다. 이에 따라, 필름(F)에 대하여 팽윤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필름(F)에 대해서는, 연신 처리 공정으로서, 닙 롤(50)과 닙 롤(51)의 주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팽윤욕(102) 속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In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while passing the film (fabric film) F continuously unwound from the fabric roll 101 through the nip roll 50 and the guide rolls 30 to 32 in that order, the swelling bath 102 It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liquid contained in the proces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swell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In addition, as a stretching process, the film F may be subjected to uniaxial stretching in the swelling bath 102 using the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50 and 51.

팽윤욕(102)의 처리액에는, 순수 외에, 붕산(일본 특허공개 평10-153709호 공보를 참조), 염화물(일본 특허공개 평06-281816호 공보를 참조), 무기산, 무기염, 수용성 유기 용매, 알코올류 등을 약 0.01∼1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한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The treatment liquid in the swelling bath 102 contains, in addition to pure water, boric acid (see JP-A-10-153709), chloride (see JP-A-06-281816), inorganic acid, inorganic salt, and water-soluble organic.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solvents, alcohols, etc. added in the range of about 0.01 to 10% by weight can be used.

필름(F)이 미연신 필름인 경우, 팽윤욕(102)의 온도는, 예컨대 10∼5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 정도이다. 필름(F)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 정도이다. 한편, 필름(F)이 연신 필름인 경우, 팽윤욕(102)의 온도는, 예컨대 2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60℃ 정도이다. 필름(F)의 침지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300초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240초 정도이다. When the film F is an unstretched film,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102 is, for example, about 10 to 50°C, preferably about 10 to 40°C, and more preferably about 15 to 30°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s preferably about 10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about 20 to 200 second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m F is a stretched film,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bath 102 is, for example, about 20 to 70°C, and preferably about 30 to 60°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s preferably about 30 to 300 seconds, more preferably about 60 to 240 seconds.

팽윤 처리에서는, 필름(F)이 폭 방향으로 팽윤되어 필름(F)에 주름이 들어가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쉽다. 이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F)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30, 31) 및/또는 가이드 롤(32)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는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n the swelling treatment, the film F is swollen in the width direction, and problems such as wrinkles forming in the film F are likely to occur. As a means for conveying the film F while eliminating the wrinkles, the guide rolls 30, 31 and/or the guide roll 32 are provided with a roll having a widening function such as an expander roll, spiral roll, or crown roll. You can use , or you can use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loth guiders, bend bars, and tenter clips. On the other hand, stretc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as another mean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wrinkles.

팽윤 처리에서는, 필름(F)의 반송 방향으로도 필름(F)이 팽윤 확대되기 때문에, 필름(F)에 적극적인 연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는, 반송 방향의 필름(F)의 이완을 없애기 위해서, 예컨대 팽윤욕(102)의 전후로 배치하는 닙 롤(50, 51)의 속도를 컨트롤하는 등의 수단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윤욕(102) 속에서의 필름(F)의 반송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팽윤욕(102) 속에서의 수류를 수중 샤워로 제어하거나, EPC 장치(엣지 포지션 컨트롤 장치: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여, 필름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등을 병용하거나 하는 것도 유용하다. In the swelling treatment, the swelling and expansion of the film F also occurs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F. Therefore, when the film F is not actively stretched, in order to eliminate relaxation of the film F in the transport direction, 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take measures such as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nip rolls 50 and 51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swelling bath 102.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the transport of the film F in the swelling bath 102, the water flow in the swelling bath 102 is controlled by an underwater shower, or an EPC device (edge position control device: controls the end of the film). It is also useful to use a device that detects and prevents the film from meandering.

팽윤욕(102)으로부터 인출된 필름(F)은, 가이드 롤(32), 닙 롤(51)을 순차 통과하여 염색욕(103) 측으로 반송된다. The film F taken out from the swelling bath 10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32 and the nip roll 51 and is conveyed to the dyeing bath 103 side.

<염색 처리 공정> <Dyeing treatment process>

염색 처리 공정은, 팽윤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처리 조건은,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필름(F)의 극단적인 용해나 투명성 상실 등의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The dyeing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and orienting the dichroic dye to the film (F)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Process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within a range that can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do not cause problems such as extreme dissolution or loss of transparency of the film F.

염색 처리 공정에서는, 팽윤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닙 롤(51), 가이드 롤(33∼35)의 순으로 통과시키는 동안에, 염색욕(103) 중에 수용된 처리액에 소정 시간 침지한다. 이에 따라, 필름(F)에 대하여 염색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필름(F)에 대해서는, 연신 처리 공정으로서, 닙 롤(51)과 닙 롤(52)의 주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염색욕(103) 속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dyeing treatment process, the film F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liquid contained in the dyeing bath 103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passing the film F in that order through the nip roll 51 and the guide rolls 33 to 35. Accordingly, dye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In addition, for the film F, as a stretching process,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n the dye bath 103 by utilizing the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 51 and the nip roll 52. .

염색 처리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F)은, 이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기 위해서,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한 필름(F)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색 처리 전에 일축 연신 처리를 더하거나 또는 염색 처리 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 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m (F) used in the dyeing process is preferably a film (F) that has undergone at least a certain degree of uniaxial stretching in order to increase the dyeability of the dichroic dye, and uniaxial stretching is added or dyeing is performed before the dyeing. In addition to the previous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perform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during the dyeing treatment.

염색욕(103)의 처리액은,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약 0.003∼0.3/약 0.1∼10/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 대신에, 요오드화아연 등의 다른 요오드화물을 이용하여도 좋고, 요오드화칼륨과 다른 요오드화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키더라도 좋다. 붕산을 첨가하는 경우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교 처리와 구별되며, 수용액이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약 0.003 중량부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면, 염색욕(103)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When iodine is used as a dichroic dye, the treatment liquid of the dyeing bath 103 can be, for example, an aqueous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iodine/potassium iodide/water = about 0.003 to 0.3/about 0.1 to 10/100 in weight ratio. Instead of potassium iodide, other iodides such as zinc iodide may be used, and potassium iodide and other iodides may be used together. Additionally, compounds other than iodide, such as boric acid,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etc., may be coexisted. The addition of boric acid is different from the crosslinking treatment described later in that it contains iodine. I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s about 0.003 parts by weight or more of iodin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t can be regarded as the dyeing bath 103. You can.

이 경우의 염색욕(103)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 바람직하게는 10∼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5℃이다. 이 경우의 필름(F)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103 in this case is usually about 10 to 45°C, preferably 10 to 40°C, and more preferably 20 to 35°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n this case is usually about 30 to 600 seconds, preferably 60 to 300 seconds.

한편, 염색욕(103)의 처리액은, 이색성 색소로서 수용성 이색성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예컨대 농도가 중량비로 이색성 염료/물=약 0.001∼0.1/100(바람직하게는 약 0.003∼0.03/약 0.1∼10/100인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염색욕(103)의 처리액에는 염색조제 등을 공존시키더라도 좋으며, 예컨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이나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색성 염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이색성 염료를 병용하여도 좋다.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water-soluble dichroic dye as a dichroic dye, the treatment liquid of the dyeing bath 103 has, for example, a concentration by weight of dichroic dye/water = about 0.001 to 0.1/100 (preferably about 0.003 to 0.03/100). An aqueous solution of about 0.1 to 10/100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treatment liquid of the dyeing bath 103 may contain a dyeing aid or the like, and may contain, for example, an inorganic salt such as sodium sulfate or a surfactant. One type of dichroic dye may be used individually, and two or more types of dichroic dyes may be used together.

이 경우의 염색욕(103)의 온도는, 예컨대 20∼8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70℃이며, 이 경우의 필름(F)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60∼300초 정도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bath 103 in this case is, for example, about 20 to 80°C, preferably 30 to 70°C,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n this case is usually about 30 to 600 seconds, preferably 60°C. It is about ∼300 seconds.

염색 처리에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F)의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F)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33, 34) 및/또는 가이드 롤(35)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n the dyeing treatment, as in the case of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guide rolls 33, 34 and/or guide rolls 35 are used as a means for conveying the film F while eliminating wrinkles in the film F. Alternatively, rolls with a widening function such as expander rolls, spiral rolls, and crown rolls can be used, or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loth guiders, bend bars, and tenter clips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stretc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염색욕(103)으로부터 인출된 필름(F)은, 가이드 롤(35), 닙 롤(52)을 순차 통과하여 가교욕(104) 측으로 도입된다. The film F taken out from the dyeing bath 103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35 and the nip roll 52 and is introduced into the crosslinking bath 104.

<가교 처리 공정>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가교 처리 공정은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처리이다. 가교 처리 공정에서는, 염색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닙 롤(52) 및 가이드 롤(36∼38)의 순으로 통과시키는 동안에, 가교욕(104) 중에 수용된 처리액에 소정 시간 침지한다. 이에 따라, 필름(F)에 대하여 가교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필름(F)에 대해서는, 연신 처리 공정으로서, 닙 롤(52)과 닙 롤(53)의 주속도의 차를 이용하여, 가교욕(104) 속에서 일축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The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is a treatment performed for purposes such as water resistance or color adjustment by crosslinking. In the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the film F after the dyeing treatment process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liquid contained in the crosslinking bath 104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passing the film F in that order through the nip roll 52 and the guide rolls 36 to 38. Accordingly, crosslink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In addition, as a stretching process, the film F may be subjected to uniaxial stretching in the crosslinking bath 104 using the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52 and 53.

가교욕(104)의 처리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예컨대 약 1∼10 중량부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가교욕(104)의 처리액은, 염색 처리에서 사용한 이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붕산에 더하여 요오드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양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30 중량부로 할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공존시키더라도 좋다. The treatment liquid of the crosslinking bath 104 can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for example, about 1 to 10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per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When the dichroic dye used in the dyeing treatment is iodine, the treatment liquid in the crosslinking bath 104 preferably contains iodide in addition to boric acid, and the amount is, for example, 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You can. Examples of iodide include potassium iodide and zinc iodide. Additionally, compounds other than iodide, such as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zirconium chloride, sodium thiosulfate, potassium sulfite, and sodium sulfate, may be coexisted.

가교 처리에서는, 그 목적에 따라서, 가교제(붕산 등) 및 요오드화물의 농도, 그리고 가교욕의 온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가교 처리의 목적이 가교에 의한 내수화이며, 미연신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팽윤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경우, 가교욕의 가교제 함유액은,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3∼10/1∼20/100인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붕산 대신에 글리옥살 또는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다른 가교제를 이용하여도 좋고, 붕산과 다른 가교제를 병용하여도 좋다. In the crosslinking treatment, the concentrations of the crosslinking agent (boric acid, etc.) and iodide, and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example, when the purpose of the crosslinking treatment is water resistance by crosslinking, and the swell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and crosslinking treatment are performed in this order on an un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the crosslinking agent-containing liquid in the crosslinking bath has a concentration of It may be an aqueous solution with a weight ratio of boric acid/iodide/water = 3 to 10/1 to 20/100. Additionally, if necessary, other cross-linking agents such as glyoxal or glutaraldehyde may be used instead of boric acid, and boric acid and other cross-linking agents may be used together.

가교욕(104)의 온도는 통상 50∼70℃ 정도, 바람직하게는 53∼65℃이다. 필름(F)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6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0∼3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00초이다. 한편, 미리 연신한 필름(F)에 대하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경우의 가교욕(104)의 온도는 통상 50∼85℃ 정도, 바람직하게는 55∼80℃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104 is usually about 50 to 70°C, preferably 53 to 65°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s usually about 10 to 600 seconds, preferably 20 to 30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20 to 200 seconds. On the other hand, when the dyeing treatment and crosslinking treatment are performed on the pre-stretched film (F) in this order,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104 is usually about 50 to 85°C, preferably 55 to 80°C.

색상 조정을 목적으로 하는 가교 처리에 있어서는, 예컨대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 농도가 중량비로 붕산/요오드화물/물=1∼5/3∼30/100인 가교욕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F)을 침지할 때의 가교욕(104)의 온도는 통상 10∼45℃ 정도이다. 필름(F)의 침지 시간은 통상 1∼30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2∼100초이다. In crosslinking treatment for the purpose of color adjustment, for example, when iodine is used as a dichroic dye, a crosslinking bath with a concentration of boric acid/iodide/water = 1 to 5/3 to 30/100 by weight ratio can be used. The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bath 104 when immersing the film F is usually about 10 to 45°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s usually about 1 to 300 seconds, preferably 2 to 100 seconds.

가교 처리는 복수 회 행하여도 좋으며, 통상 2∼5회 행해진다. 이 경우, 사용하는 각 가교욕(104)의 조성 및 온도는 상기한 범위 내라면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을 위한 가교 처리는 각각 복수의 공정에서 행하여도 좋다. The crosslink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multiple times, and is usually performed 2 to 5 times.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each crosslinking bath 104 use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s long as they are within the above range. Crosslinking treatment for water resistance by crosslinking and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may each be performed in multiple processes.

가교 처리에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F)의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F)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36, 37) 및/또는 가이드 롤(38)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n the crosslinking treatment, as in the case of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guide rolls 36, 37 and/or guide rolls 38 are used as a means for conveying the film F while eliminating wrinkles in the film F. Alternatively, rolls with a widening function such as expander rolls, spiral rolls, and crown rolls can be used, or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loth guiders, bend bars, and tenter clips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stretc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가교욕(104)으로부터 인출된 필름(F)은, 가이드 롤(38), 닙 롤(53)을 순으로 통과하여 세정욕(105) 측에 도입된다. The film F taken out from the crosslinking bath 104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38 and the nip roll 53 in that order and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bath 105 side.

<세정 처리 공정> <Cleaning treatment process>

세정 처리 공정은, 필름(F)에 부착된 필요 이상의 붕산이나 요오드 등의 약제를 제거할 목적으로 행해진다. 세정 처리 공정에서는, 예컨대 가교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을 닙 롤(53) 및 가이드 롤(39∼41)의 순으로 통과시키는 동안에, 세정욕(105) 중에 수용된 세정액(물)에 소정 시간 침지한다. 또는, 가교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에 대하여 물을 샤워로서 분무한다. 혹은 이들 세정 처리를 병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The washing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excess chemicals such as boric acid and iodine attached to the film F. In the washing treatment process, for example, the film F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is immersed in a washing liquid (water) contained in the washing bath 105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passing the film F in that order through the nip roll 53 and the guide rolls 39 to 41. do. Alternatively, water is sprayed as a shower on the film (F)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Alternatively, it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se washing treatments together.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에서는, 필름(F)을 세정욕(105)에 침지하여 세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세정욕(105)의 온도는 통상 2∼40℃ 정도이다. 필름(F)의 침지 시간은 통상 2∼120초 정도이다.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lm F is immersed in the cleaning bath 105 to perform a cleaning treatment.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bath 105 is usually about 2 to 40°C.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F is usually about 2 to 120 seconds.

세정 처리에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필름(F)의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F)을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39, 40) 및/또는 가이드 롤(41)에,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과 같은 확폭 기능을 갖는 롤을 이용하거나, 클로스 가이더, 벤드바, 텐터 클립과 같은 다른 확폭 장치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한편,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또 하나의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팽윤 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신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n the cleaning treatment, as in the case of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as a means for conveying the film F while eliminating wrinkles in the film F, the guide rolls 39, 40 and/or the guide roll 41 are used. Alternatively, rolls with a widening function such as expander rolls, spiral rolls, and crown rolls can be used, or other widening devices such as cloth guiders, bend bars, and tenter clips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ans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rinkles, stretc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swelling treatment described above.

세정욕(105)으로부터 인출된 필름(F)은, 가이드 롤(41), 닙 롤(54)을 순으로 통과하여 건조로(106) 측에 도입된다. The film F taken out from the washing bath 105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 41 and the nip roll 54 in that order and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furnace 106 side.

<건조 처리 공정> <Drying treatment process>

건조 처리 공정은 세정 처리 공정 후의 필름(F)에 대하여 건조 처리를 실시한다. 필름(F)의 건조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하는 제조 장치(100)에서는 건조로(106)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히터 등을 이용하여 필름(F)의 건조를 행할 수 있다. In the drying treatment process, a dry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after the washing treatment process. The drying process for the film 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erformed using the drying furnace 106 i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More specifically, the film F can be dried using, for example, a hot air dryer or a far-infrared heater.

필름(F)의 건조 온도는, 예컨대 20∼100℃, 바람직하게는 20∼80℃이다. 필름(F)의 건조 시간은, 예컨대 10∼600초, 바람직하게는 30∼300초이다.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film (F) is, for example, 20 to 100°C, preferably 20 to 80°C. The drying time of the film (F) is, for example, 10 to 600 seconds, preferably 30 to 300 seconds.

<연신 처리 공정>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연신 처리 공정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 공정 동안(즉,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의 전후 및/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 공정 중)에 있어서, 습식 또는 건식으로 필름(F)에 대하여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한다. In the stretching treatment process,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ilm F in a wet or dry manner dur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treatment processes (i.e., before and after and/or during one or more treatment processes). .

일축 연신 처리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필름 반송 경로를 구성하는 2개의 닙 롤(예컨대, 처리욕 전후에 배치되는 2개의 닙 롤)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이나, 일본 특허 제2731813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롤간 연신이다. A specific method of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is, for example, inter-roll stretching in which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with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wo nip rolls (e.g., two nip rolls dispos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ath) constituting the film transport path, Hot roll stretching, tenter stretching, etc., such as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2731813, can be used, and inter-roll stretching is preferred.

연신 처리는, 필름(F)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얻을 때까지 여러 번에 걸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처리는 상술한 필름(F)에 발생하는 주름의 억제에도 유리하다. Stretch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several times until a polarizing film is obtained from the film (F). In addition, stretching treatment is also advantageous for suppressing wrinkles occurring in the above-mentioned film (F).

편광 필름이 최종적인 누적 연신 배율은, 통상 미연신의 필름(F)을 기준으로 하여 4.5∼7배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6.5배이다. The final cumulative draw ratio of the polarizing film is usually about 4.5 to 7 times, preferably 5 to 6.5 times, based on the unstretched film (F).

<그 밖의 처리 공정> <Other treatment processes>

편광 필름의 제작 공정에서는 상기 처리 공정 이외의 처리 공정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되는 처리 공정의 예로서는, 예컨대 가교 처리 공정 후에 행해지는, 붕산을 포함하지 않는 요오드화물 수용액에의 침지 처리 공정(보색 처리 공정)이나, 붕산을 포함하지 않고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의 침지 처리 공정(아연 처리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it is also possible to add treatment processes other than the above treatment processes. Examples of additional treatment processes include, for example, a immersion treatment process (complementary color treatment process) in an iodide aqueous solution not containing boric acid, which is performed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or immersion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zinc chloride, etc., but not boric acid. A treatment process (zinc treatment process) etc. are mentioned.

편광자(2)는 제작된 편광 필름을 적절하게 재단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자(2)는 사각형 형상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편광자(2)가 되는 편광 필름의 제작 공정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편광자(2)가 되는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olarizer 2 can be obtained by appropriately cutting the produced polarizing film. Additionally, the polarizer 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a long film.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process for the polarizing film that becomes the polarizer 2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the polarizing film that becomes the polarizer 2 using another method.

이어서, 상기 편광자(2)를 제작한 후에는, 편광자(2) 및/또는 보호 필름(3, 4)의 접합면에 예비 처리를 실시하는 예비 처리 공정과, 편광자(2)의 양면에 보호 필름(3, 4)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접합 처리 공정과, 보호 필름(3, 4)이 접합 된 편광자(2)를 경화시키는 경화 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편광판(1)을 제조할 수 있다. Subsequently, after manufacturing the polarizer 2, a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apply preliminary treatment to the bonding surfaces of the polarizer 2 and/or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nd a protective film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The polarizing plate 1 can be manufactured by going through a bonding process of bonding (3, 4) with an adhesive and a curing process of curing the polarizer (2) to which the protective films (3, 4) are bonded.

<예비 처리 공정>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예비 처리 공정에서는, 접합 처리 공정 전에, 편광자(2)와 보호 필름(3, 4)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편광자(2) 및/또는 보호 필름(3, 4)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한다. In the preliminary treatment process, before the bonding treatment process, corona treatment is appli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2 and/or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2 and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 surface treatments such as flame treatment, plasma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primer application treatment, and saponification treatment are performed.

<접합 처리 공정> <Joining treatment process>

접합 처리 공정에서는 편광자(2)의 양면에 보호 필름(3, 4)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라도 좋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라도 좋다. 접합 조건은, 편광자(2)의 표면에 적용되는 접착제의 양이 비교적 많아지도록 설정된다. In the bonding process,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with an adhesive. The adhesive may be a water-based adhesive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The bonding conditions are set so that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2 is relatively large.

<경화 처리 공정> <Harding treatment process>

경화 처리 공정에서는 보호 필름(3, 4)이 접합된 편광자(2)를 경화시킨다. 수계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보호 필름(3, 4)의 접합 후, 접착제층의 건조 처리를 행함으로써 경화시킨다. 건조 온도는, 예컨대 30∼100℃, 바람직하게는 40∼90℃이다. 건조 시간은, 예컨대 30∼1200초, 바람직하게는 60∼900초이다. 건조 후에, 실온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온도, 예컨대 20∼45℃ 정도의 온도에서 양생하여도 좋다. In the curing treatment process, the polarizer 2 to which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bonded is cured. When a water-based adhesive is used, the adhesive layer is cured by drying the adhesive layer after bonding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The drying temperature is, for example, 30 to 100°C, preferably 40 to 90°C. Drying time is, for example, 30 to 1200 seconds, preferably 60 to 900 seconds. After drying, curing may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or a slightly higher temperature, for example, about 20 to 45°C.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편광자(2)와 보호 필름(3, 4)의 접합 후, 활성 에너지선(자외선, 전자선, 엑스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킨다. 광 조사 시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마다 제어되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사 강도와 조사 시간의 곱으로서 나타내어지는 적산 광량이 10∼2,500 mJ/㎠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is used, after bonding the polarizer 2 and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the adhesive is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ultraviolet rays, electron rays, X-rays, etc.). The light irradiation time is controlled for each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set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expressed as the product of the irradiation intensity and the irradiation time is 10 to 2,500 mJ/cm2.

편광판(1)은, 편광자(2)와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상이라도 좋고, 장척의 필름이라도 좋다. 사각형 형상의 편광판(1)은, 예컨대 장척의 편광판(1)의 재단에 의해 얻더라도 좋다. 또한, 장척의 편광판(1)은 편광판(1)의 롤(감긴 것)이라도 좋다. Like the polarizer 2, the polarizing plate 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may be a long film. The square-shaped polarizing plate 1 may be obtained, for example, by cutting a long polarizing plate 1. Additionally, the long polarizing plate 1 may be a roll of the polarizing plate 1.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1)의 제조 방법은,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색상 조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1 of this embodiment is a color adjustment process in which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re adjusted so that their signs do not change across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구체적인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는, 편광자(2)의 색상을 조정함으로써, 편광판(1)의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편광자(2)의 색상은, 상술한 처리액의 농도(예컨대, 염색욕(103) 중의 요오드화칼륨 농도 또는 염료 농도나, 가교욕(104) 중의 붕산 농도, 요오드화칼륨 농도 등), 처리액의 온도, 수세의 세기(시간·온도), 필름(F)의 두께 및 그 연신 배율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직교 색상의 조정에는 수세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이 유용하다. As a specific color adjustment proces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of the polarizer 1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by adjusting the color of the polarizer 2. In addition, the color of the polarizer 2 is determin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cessing liquid (e.g.,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or dye concentration in the dyeing bath 103, boric acid concentration,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etc. in the crosslinking bath 104), the processing liquid It is possible to adjust it by the temperature, the strength of water (time and temperature), the thickness of the film (F) and its stretching ratio, etc. Among them, it is useful to control the strength of the water force when adjusting orthogonal colors.

또한,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는, 편광자(2)의 적어도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3, 4)을 선택함으로써, 편광판(1)의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선택되는 보호 필름(3, 4)의 종류에 의해서도, 편광판(1)의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a color adjustment process,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of the polarizer 1 is adjusted by selecting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It is possib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rthogonal colors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of the polarizer 1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lso depending on the type of protective films 3 and 4 selected.

보호 필름(3, 4)은, 직교 색상 변화 조정의 점에서, 시클로올레핀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로 형성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표면에 오는 보호 필름(3)은 하드코트층이 부여되어 있어도 좋다. The protective films 3 and 4 are preferably films made of cycloolefin resin, cellulose resin, polyester resin, or acrylic resin from the viewpoint of orthogonal color change adjustment. Additionally, the protective film 3 closest to the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hard coat layer.

또한, 색상 조정 공정에서는, 편광판(1)의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화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구 시험 전후에 편광판(1)의 직교 색상이 변화되더라도,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걸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편광판(1)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lor adjustment process,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of the polarizer 1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to chang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ccordingly, even if the orthogonal color of the polarizer 1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the a coordinate axis and the b coordinate axi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s are not crossed, so the stripe-shaped irregularities generated in the polarizer 1 are changed in color. Regardless, you can make it inconspicuo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1)을 제조하는 경우 이외에도, 편광판(1A, 1B)이나 λ/4판, 포지티브 C 플레이트, λ/2판 등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색상 조정 공정을 둠으로써, 제조된 편광판에 발생한 줄 형상의 얼룩짐을 색상의 변화와 상관없이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polarizer 1,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to the case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including polarizers 1A, 1B, λ/4 plate, positive C plate, λ/2 plate, etc. By applying a color adjustment process to adjust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after the condition and durability test so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streak-like irregularities occurring in the manufactured polarizer are eliminated. It can be made inconspicuous regardless of the color chang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분명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more clear through exampl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appropriate modifications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Example 1>

실시예 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 2개의 가교욕(104)(1번째를 가교욕(104a)으로 하고, 2번째를 가교욕(104b)으로 하여 구별하는 것으로 함)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 장치(100)와 같은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여, 얻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편광판을 제작했다. In Example 1, in the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6, two crosslinking baths 104 (the first is a crosslinking bath 104a, and the second is a crosslinking bath 104b) A polarizing film wa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apparatus as the above-mentioned manufacturing apparatus 100, except that a polarizing film was used, and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which a protective film was bonded to both side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1) 팽윤 처리 공정(1) Swelling treatment process

우선, 두께 3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원단 필름)(가부시키가이샤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쿠라레포발필름 VF-PE#3000」,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을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면서 반송하여, 20℃의 순수가 들어간 팽윤욕에 30초간 침지했다. 이 팽윤 처리 공정에서는, 닙 롤(50, 51)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원단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2.5배로 했다. First, a 30 ㎛ thick polyvinyl alcohol film (fabric film) (trade name “Kurarepobal Film VF-PE#3000” manufactured by Shakurare Corporatio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9 mol%) is continuously rolled from the fabric roll. It was conveyed while loosening and immersed in a swelling bath containing pure water at 20°C for 30 seconds. In this swelling treatment step, inter-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with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50 and 51.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abric film was set to 2.5 times.

(2) 염색 처리 공정(2) Dye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닙 롤(51)을 통과한 필름을, 순수/요오드화칼륨/요오드/붕산(질량비)이 100/2/0.01/0.3인 30℃의 염색욕에 120초간 침지했다. 이 염색 처리에 있어서도 닙 롤(51, 52)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팽윤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1.1배로 했다. Next, the film that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1 was immersed in a dyeing bath at 30°C with a pure water/potassium iodide/iodine/boric acid (mass ratio) of 100/2/0.01/0.3 for 120 seconds. Also in this dyeing treatment,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was provided between the nip rolls 51 and 52, and inter-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ilm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was set to 1.1 times.

(3) 가교 처리 공정(3)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닙 롤(52)을 통과한 필름을, 순수/요오드화칼륨/붕산(질량비)이 100/12/4인 56℃의 가교욕(104a)에 70초 침지했다. 닙 롤과, 제1 가교욕(104a)과 제2 가교욕(104b)의 사이에 마련된 닙 롤(52, 53)과의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염색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1.9배로 했다. Next, the film that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2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104a at 56°C with a pure water/potassium iodide/boric acid (mass ratio) of 100/12/4 for 70 seconds. Roll-to-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with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and the nip rolls 52 and 53 provided between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04a and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04b.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ilm after the dyeing process was set to 1.9 times.

(4) 보색 처리 공정(4) Complementary color processing process

이어서, 제1 가교 처리 후의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순수(질량비)가 9/2.9/100인 40℃의 가교욕(104b)에 10초 침지했다. Next, the film after the first crosslinking treatment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104b at 40°C with a potassium iodide/boric acid/pure water (mass ratio) of 9/2.9/100 for 10 seconds.

(5) 세정 처리 공정(5) Clean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제2 가교 처리 후의 필름을 5℃의 순수가 들어간 세정욕(105)에 5초간 침지시켰다. Next, the film after the second crosslinking treatment was immersed in a washing bath 105 containing pure water at 5°C for 5 seconds.

(6) 건조 처리 공정(6) Dry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세정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건조로에 통과시킴으로써 80℃에서 190초간 가열 건조시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약 12 ㎛였다. Next, the film after the washing treatment process was passed through a drying furnace and heated and dried at 80°C for 190 second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about 12 μm.

(7) 접합 처리 공정(7) Bond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접착제로서,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5 질량부 함유하는 수계 접착제를 조제했다. 위에서 제조한 편광 필름의 양측에, 조제한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보호 필름을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에 가열 건조를 행하고, 접착제를 건조시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약 50 nm였다. Next, as an adhesive,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5 parts by mass of polyvinyl alcohol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was prepared. The protective film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prepared above using the prepared water-based adhesive. The obtained laminate was heated and dried, the adhesive was dried, and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about 50 nm.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의 측정> <Measurement of visibility correction single transmittance>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을, 적분구가 달린 분광광도계(닛폰분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JIS Z 8729」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The visibility-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Z 8729” using a spectrophotometer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편광자의 표면 요철의 측정> <Measurement of surface irregularities of polarizer>

얻어진 편광판을 10 cm×5 cm의 작은 조각으로 잘라내어, 이염화메틸렌 600 mL에 침지시키고, 실온에서 30분간 초음파 처리를 행하여, 접합되어 있던 제1 보호 필름 및 제2 보호 필름을 용해 제거했다.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small pieces of 10 cm x 5 cm, immersed in 600 mL of methylene dichloride, and ultrasonica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o dissolve and remove the bonded first and second protective films.

이들 보호 필름이 제거된 편광 필름에 관해서, 프론트 측(제1 보호 필름이 접합 되어 있던 측)의 표면이며, 접착제가 부착된 편광자의 표면을, 그 연신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주사하여, 접착제가 부착된 편광자의 표면 요철을 라인 측정했다. 그리고, 이 측정 결과로부터 기복의 크기(요철 고저차)와 요철 간격을 산출했다. 그 산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Regarding the polarizing film from which these protective films have been removed,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on the front side (the side to which the first protective film was bonded), to which the adhesive is attached, is scan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and the adhesive is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attached polarizer were line measured. And, from this measurement result, the size of the undulations (difference in elevation of unevenness) and the spacing of unevenness were calculated. The calcul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여기서, 요철 고저차와 요철 간격은 하기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Here, the uneven elevation difference and uneven spacing are values calculated as follows.

요철 고저차: 표면의 평균선에 대하여, 가장 높은 볼록부의 정점에 있어서의 높이(H1)와, 가장 높은 볼록부에 각각 인접하는 2개의 오목부 중, 보다 깊은 쪽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깊이(H2)와의 합계. Uneven elevation difference: The height (H1) at the apex of the highest convexity with respect to the average line of the surface, and the depth (H1) at the bottom of the deeper concave of the two concavities adjacent to the highest convexity ( Sum with H2).

요철 간격: 가장 높은 볼록부의 정점과, 가장 높은 볼록부에 각각 인접하는 2개의 오목부 중, 보다 깊은 쪽의 오목부의 바닥부와의 사이의, 표면의 평균선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 Convex-convex spacing: Distanc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verage line of the surface between the vertex of the highest convexity and the bottom of the deeper concave of the two concavities each adjacent to the highest convexity.

또한, 표면 요철의 측정은 이하의 조건으로 행했다.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surface irregularities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측정 장치: VertScan(등록상표)(가부시키가이샤료카시스템 제조 형식 R5500G)Measuring device: VertScan (registered trademark) (model R5500G manufactured by Ryoka Systems Co., Ltd.)

대물렌즈(배율): 2.5배Objective lens (magnification): 2.5x

측정 범위: 3700×2800 ㎛ Measuring range: 3700×2800 ㎛

해상도: 640×480 픽셀Resolution: 640×480 pixels

측정 모드: 웨이브 모드Measurement mode: wave mode

면 보정: 4차 처리Face correction: 4th processing

<색상의 측정> <Measurement of color>

제조한 편광판의 직교 a치 및 직교 b치를, 적분구가 달린 분광광도계(닛폰분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The orthogonal a value and orthogonal b value of the manufactured polarizing plate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그 후, 제조한 편광판에 건조 분위기 하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했다. 가열 후의 편광판의 직교 a치 및 직교 b치를, 적분구가 달린 분광광도계(닛폰분코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After that, the manufactured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heating at 105°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The orthogonal a value and orthogonal b value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heating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equipped with an integrating sphere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Bunko Co., Lt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줄 형상 얼룩짐의 측정> <Measurement of streak shape irregularity>

20000 cd/㎡ 휘도의 백색 백라이트 모듈의 조명면에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41.6%, 시감도 보정 편광도(Py)가 99.997인 편광판 A를 접합시키고, 그 위에 편광판을 놓았다. Polarizer A, which has a visibility-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41.6% and a visibility-corrected polarization (Py) of 99.997, was bonded to the illumination surface of a white backlight module with a luminance of 20000 cd/m2, and a polarizer was placed thereon.

또한, 이 때 편광판의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제1 보호 필름이 위가 되며, 또한 편광판 A의 투과축과 편광판의 투과축이 직교(직교 니콜 상태)하도록 놓았다. 이 상태에서, 편광판의 제1 보호 필름 측에서, 눈으로 보아 줄 형상의 얼룩짐을 확인했다. 줄 형상의 얼룩짐을 이하의 4 단계로 평가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In addition, at this time, the first protective film shown in Table 1 below was placed on top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A was placed so that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was orthogonal (orthogonal Nicol state). In this state, streak-shaped irregularities were confirmed visually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unevenness of the streak shape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0: 줄 형상의 얼룩짐이 시인되지 않는다. 0: Irregularity of the line shape is not recognized.

1: 줄 형상의 얼룩짐이 거의 시인되지 않는다. 1: Stripe-like irregularities are hardly recognized.

2: 줄 형상의 얼룩짐을 옅게 시인할 수 있다. 2: Irregularities in the shape of lines can be slightly recognized.

3: 줄 형상의 얼룩짐이 분명히 시인된다. 3: Irregularity of the line shape is clearly recognized.

그 후, 제조한 편광판에 건조 분위기 하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했다. 가열 후의 편광판을 상기와 같은 식으로 줄 형상 얼룩짐의 얼룩짐을 확인하고, 상기와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7에 나타낸다. After that, the manufactured polarizing plate was subjected to heating at 105°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The polarizing plate after heating was checked for stripe-shaped unevennes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regarding Example 1,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 7.

<실시예 2> <Example 2>

실시예 2에서는, 편광 필름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편광 필름에 대한 세정 조건만을 변경하는(구체적으로는, 침지 시간을 3초로 했음)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편광판 2를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7에 나타낸다. In Example 2, in order to adjust the color of the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2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except that only the cleaning conditions for the polarizing film were changed (specifically, the immersion time was set to 3 seconds).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with respect to Example 2,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ure 7.

<실시예 3><Example 3>

(1) 팽윤 처리 공정(1) Swelling treatment process

우선, 두께 30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원단 필름)(가부시키가이샤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쿠라레포발필름 VF-PE#3000」,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을 원단 롤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내면서 반송하여, 20℃의 순수가 들어간 팽윤욕에 30초간 침지했다. 이 팽윤 처리 공정에서는, 닙 롤(50, 51)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원단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2.2배로 했다. First, a 30 ㎛ thick polyvinyl alcohol film (fabric film) (trade name “Kurarepobal Film VF-PE#3000” manufactured by Shakurare Corporatio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9 mol%) is continuously rolled from the fabric roll. It was conveyed while loosening and immersed in a swelling bath containing pure water at 20°C for 30 seconds. In this swelling treatment step, inter-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with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50 and 51.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abric film was set to 2.2 times.

(2) 염색 처리 공정(2) Dye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닙 롤(51)을 통과한 필름을 순수/요오드화칼륨/요오드/붕산(질량비)이 100/1.4/0.01/0.3인 30℃의 염색욕에 120초간 침지했다. 이 염색 처리에 있어서도 닙 롤(51, 52)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팽윤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1.2배로 했다. Next, the film that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1 was immersed in a dyeing bath at 30°C with a pure water/potassium iodide/iodine/boric acid (mass ratio) of 100/1.4/0.01/0.3 for 120 seconds. Also in this dyeing treatment,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was provided between the nip rolls 51 and 52, and inter-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ilm after the swelling treatment process was set to 1.2 times.

(3) 가교 처리 공정(3) Cross-link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닙 롤(52)을 통과한 필름을, 순수/요오드화칼륨/붕산(질량비)이 100/9/4인 53℃의 가교욕(104a)에 70초 침지했다. 닙 롤과, 제1 가교욕(104a)과 제2 가교욕(104b)의 사이에 마련된 닙 롤(52, 53)과의 사이에 주속도의 차를 붙여 롤간 연신(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염색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은 2.1배로 했다. Next, the film that passed through the nip roll 52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104a at 53°C with a pure water/potassium iodide/boric acid (mass ratio) of 100/9/4 for 70 seconds. Roll-to-roll stretching (vertic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with a difference in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nip rolls and the nip rolls 52 and 53 provided between the first crosslinking bath 104a and the second crosslinking bath 104b. The stretching ratio based on the film after the dyeing process was set to 2.1 times.

(4) 보색 처리 공정(4) Complementary color processing process

이어서, 제1 가교 처리 후의 필름을 순수/요오드화칼륨/붕산(질량비)이 100/9/3.9인 50℃의 가교욕(104b)에 10초 침지했다. Next, the film after the first crosslinking treatment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104b) at 50°C with a pure water/potassium iodide/boric acid (mass ratio) of 100/9/3.9 for 10 seconds.

(5) 세정 처리 공정(5) Clean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제2 가교 처리 후의 필름을 13℃의 순수가 들어간 세정욕(105)에 5초간 침지시켰다. Next, the film after the second crosslinking treatment was immersed in a washing bath 105 containing pure water at 13°C for 5 seconds.

(6) 건조 처리 공정(6) Dry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세정 처리 공정 후의 필름을 건조로에 통과시킴으로써 80℃에서 190초간 가열 건조시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두께는 약 12 ㎛였다. Next, the film after the washing treatment process was passed through a drying furnace and heated and dried at 80°C for 190 second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about 12 μm.

(7) 접합 처리 공정(7) Bonding treatment process

이어서, 제조한 편광 필름의 양측에,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5 질량부 함유하는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보호 필름을 적층시켰다. 얻어진 적층체에 가열 건조를 행하고, 접착제를 건조시켜 편광판을 제작했다. 또한, 얻어진 편광판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약 50 nm였다. Next, the protective films shown in Table 1 below we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roduced polarizing film using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5 parts by mass of polyvinyl alcohol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The obtained laminate was heated and dried, the adhesive was dried, and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about 50 nm.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3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8에 나타낸다.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regarding Example 3,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 8.

<실시예 4> <Example 4>

실시예 4에서는, 보호 필름의 종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보호 필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편광판을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 4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4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8에 나타낸다. In Example 4,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3, except that the type of protective film was changed to the protective film shown in Table 1 below.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er 4,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polarizer, the change in color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regarding Example 4,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 8.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에서는, 편광 필름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편광 필름에 대한 세정 조건만을 변경(구체적으로는, 침지 시간을 3초로 했음)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식으로 편광판을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8에 나타낸다. In Comparative Example 1, in order to adjust the color of the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3, except that only the cleaning conditions for the polarizing film were changed (specifically, the immersion time was set to 3 seconds).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regarding Comparative Example 1, FIG. 8 shows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n an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에서는, 편광 필름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해서, 편광 필름에 대한 세정 조건만을 변경하는(구체적으로는, 침지 시간을 3초로 했음)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식으로 편광판을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2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8에 나타낸다. In Comparative Example 2, in order to adjust the color of the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4, except that only the cleaning conditions for the polarizing film were changed (specifically, the immersion time was set to 3 seconds).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with respect to Comparative Example 2,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 8 .

<참고예 1> <Reference Example 1>

참고예 1로서, 염색 처리 공정에 있어서, 순수/요오드화칼륨/요오드/붕산(질량비)을 100/2/0.03/0.3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편광판을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편광판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 편광자의 표면 요철,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 내구 시험 전후의 줄 형상 얼룩짐의 변화를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참고예 1에 관해서, 내구 시험 전후의 색상 변화를 ab 색도 좌표도에 도시한 것을 도 9에 나타낸다. As Reference Example 1, in the dyeing treatment process,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ure water/potassium iodide/iodine/boric acid (mass ratio) was set to 100/2/0.03/0.3. Then,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olarizer,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change in streak shape irregularity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ere measu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abov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dditionally, regarding Reference Example 1, the colo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shown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diagram in FIG. 9.

또한, 표 1 중의 보호 필름은 이하에 기재하는 것과 같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s in Table 1 are as described below.

보호 필름 A: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트층을 가진 경사 연신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두께 29 ㎛ Protective film A: Obliquely stretche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with a UV-curable hard coat layer, thickness 29 ㎛

보호 필름 B: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두께 25 ㎛ Protective film B: triacetylcellulose film, thickness 25 ㎛

보호 필름 C: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트층을 가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두께 32 ㎛ Protective film C: Triacetylcellulose film with UV-curable hard coat layer, thickness 32 ㎛

보호 필름 D: 자외선 경화형 하드코트층을 가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단, 보호막 C와 자외선 흡수능이 다름) 두께 32 ㎛Protective film D: Triacetylcellulose film with UV-curable hard coat layer (however, UV absorption capacity is different from protective film C), thickness 32 ㎛

또한, 표 1 중에 있어서, 내구 시험 전후에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을, 색상의 축 「○」으로 했다. 한편, 내구 시험 전후에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되는 것을, 색상의 축 「×」로 했다. In addition, in Table 1, the sign of the orthogonal hue that did not change across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xi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as designated as "○" on the hue axis. On the other hand, the sign of the orthogonal color changing across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xi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was designated as the color axis "×".

표 1 및 도 7∼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4에서는, 내구 시험 전후에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고, 줄 형상의 얼룩짐이 적고, 내구 시험 후에도 줄 형상의 얼룩짐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서 양호했다. As shown in Table 1 and Figures 7 to 9, in Examples 1 to 4, the signs of the orthogonal colors across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xis did not change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re was little streak-like irregularity, and even after the durability test. It was good, with no significant increase in streak-shaped unevenness.

한편, 비교예 1, 2에서는, 내구 시험 전후에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고 있고, 내구 시험 후에도 줄 형상의 얼룩짐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참고예 1에서는,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44% 미만인 편광 필름에서는 줄 형상의 얼룩짐이 시인되지 않았다.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the signs of the orthogonal colors were changing across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xis befor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and the streak-shaped unevenness greatly increased even after the durability test. Additionally, in Reference Example 1, streak-like irregularities were not recognized in the polarizing film with a visibility-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of less than 44%.

1, 1A, 1B: 편광판, 2: 편광자, 3, 4: 보호 필름, 5: 점착제층, 10: 표시 장치, 11: 표시 패널, 30∼41: 가이드 롤, 50∼55: 닙 롤, 100: 제조 장치, 101: 원단 롤, 102: 팽윤욕, 103: 염색욕, 104: 가교욕, 105: 세정욕, 106: 건조로, F: 필름 1, 1A, 1B: Polarizer, 2: Polarizer, 3, 4: Protective film, 5: Adhesive layer, 10: Display device, 11: Display panel, 30-41: Guide roll, 50-55: Nip roll, 100: Manufacturing apparatus, 101: fabric roll, 102: swelling bath, 103: dyeing bath, 104: crosslinking bath, 105: washing bath, 106: drying furnace, F: film

Claims (10)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초기 상태에 측정되는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Ty)이 44% 이상이고,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는 것이며,
상기 내구 시험 후는, 적어도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건조 분위기 중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한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The visibility corrected single transmittance (Ty)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is 44% or more,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does not change sign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durability test, it is after heating at 105° 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from at least the initial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편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zer is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3∼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polarizer has a thickness of 3 to 15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제거했을 때에, 접착제가 부착된 상기 편광자의 표면에, 고저차가 80∼250 nm가 되는 요철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when the protective film is removed, irregularities having a height difference of 80 to 250 nm are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to which the adhesive is attach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가 요오드계 편광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polarizer is an iodine-based polarizer. 표시 패널과,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한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A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or 3.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초기 상태 및 내구 시험 후에 측정되는 직교 색상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과 b 좌표축을 사이에 두고서 부호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정하는 색상 조정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내구 시험 후는, 적어도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건조 분위기 중에서 105℃, 30분의 가열을 제공한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layer,
It includes a color adjustment process in which the orthogonal color measured in the initial state and after the durability test is adjusted so that the sign does not change across the a and b coordinate axes in the ab chromaticity coordin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durability test, heating is provided at 105° C. for 30 minutes in a dry atmosphere from at least the initial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 적어도 상기 편광자의 색상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the color adjustment step, at least the color of the polarizer is adjusted.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정 공정으로서,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쪽의 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는 상기 보호 필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in the color adjustment step, the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plate is selected.
KR1020180113418A 2017-09-28 2018-09-21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26546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8101A JP7025166B2 (en) 2017-09-28 2017-09-28 Polarizing pl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JPJP-P-2017-188101 201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132A KR20190037132A (en) 2019-04-05
KR102654633B1 true KR102654633B1 (en) 2024-04-03

Family

ID=6591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418A KR102654633B1 (en) 2017-09-28 2018-09-21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25166B2 (en)
KR (1) KR102654633B1 (en)
CN (1) CN109581569B (en)
TW (1) TWI796362B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024A (en) 2000-09-21 2002-06-14 Sumitomo Chem Co Ltd Iodine-containing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028234A (en) * 2009-06-26 2011-02-10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5222368A (en) * 2014-05-23 2015-12-10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898Y2 (en) 1984-10-09 1990-03-19
JP2004133242A (en) * 2002-10-11 2004-04-30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05029143A1 (en) * 2003-09-19 2005-03-3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119203A (en) * 2004-10-19 2006-05-11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using such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televis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2003172A (en) * 2010-06-21 2012-01-05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ation film,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20100175A (en) * 2011-03-03 2012-09-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TWI551899B (en) * 2012-03-19 2016-10-01 日本化藥公司 Dye-based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N105190378B (en) * 2013-04-03 2018-02-16 日本化药株式会社 The dyestuff system polarizer and polarizer of netrual colour with high-transmission rate
JP6122337B2 (en) * 2013-04-26 2017-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6235370B2 (en) * 2014-02-19 2017-11-22 住友化学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polarizing plate
JPWO2015194523A1 (en) * 2014-06-18 2017-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6052331A1 (en) * 2014-10-01 2016-04-07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20160091014A (en) * 2015-01-23 2016-08-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JP5913648B1 (en) * 2015-01-23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6157081A (en) * 2015-02-26 2016-09-0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616963B2 (en) * 2015-05-22 2019-1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oloring composition, light absorption anisotropic film, laminat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compound
JP6166431B1 (en) * 2016-06-17 2017-07-19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9024A (en) 2000-09-21 2002-06-14 Sumitomo Chem Co Ltd Iodine-containing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1028234A (en) * 2009-06-26 2011-02-10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aminated optical member using the same
JP2015222368A (en) * 2014-05-23 2015-12-10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66502A (en) 2019-04-25
JP7025166B2 (en) 2022-02-24
CN109581569B (en) 2022-06-10
JP2022065070A (en) 2022-04-26
KR20190037132A (en) 2019-04-05
TWI796362B (en) 2023-03-21
CN109581569A (en) 2019-04-05
TW201921006A (en)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003B1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panel
JP64225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JP4697964B2 (en)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JP63463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KR100830392B1 (en) Production method for polarization plate, polarization plate and image display unit using it
TWI704369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TWI570456B (en) Polish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WI443389B (en)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er
WO20070580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JP2009063829A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those manufacturing method
KR101828213B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JP4646236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102654633B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p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20180020206A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KR101609312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er,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CN111308600A (en) Polarizing plate
US20220057559A1 (en) Polarizing plate for antireflec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2315318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JP2017223956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20022411A (en) Polarizing Plate for Antireflection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4284448A (en)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 display device
JP450019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