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30B1 - 관악기용 리가춰 - Google Patents

관악기용 리가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30B1
KR102654230B1 KR1020220005045A KR20220005045A KR102654230B1 KR 102654230 B1 KR102654230 B1 KR 102654230B1 KR 1020220005045 A KR1020220005045 A KR 1020220005045A KR 20220005045 A KR20220005045 A KR 20220005045A KR 102654230 B1 KR102654230 B1 KR 102654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tool
ligature
reed
mouthpiec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279A (ko
Inventor
안표진
Original Assignee
안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표진 filed Critical 안표진
Priority to KR102022000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3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와 밀착되는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가춰에 있어서, 하부에 나사홀이 관통된 몸체와, 양단에 상기 몸체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져 마우스피스가 끼워지는 리가춰본체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볼트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 볼트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승강되는 리드밀착구와; 상기 리드밀착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마우스피스의 리드와 밀착되는 보조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가춰본체의 몸체는 사각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양단이 상기 몸체의 양측 상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소정폭을 갖는 '∩' 형상의 자체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밀착구는 하부면에 볼트홈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의 양측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날개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결합돌기가 돌출된 보조구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구는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보조구와 상기 제1보조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보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조구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구는 목재, 가죽, 실리콘, 금속재, 우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상부 내측에는 곡선형의 보조밀착구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르면,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마우스피스의 리드를 하나의 리가춰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악기용 리가춰 {Ligature for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감싸 마우스피스에서 리드를 견고하게 고정됨은 물론 크기가 상이한 마우스피스에도 적용될 수 있는 관악기용 리가춰에 관한 것이다.
리드(reed)는 색소폰과 같은 관악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진동에 의해 악기의 소리를 내는 발음체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리드는 끝부분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경사진 부분을 이루는 뱀프(vamp)부분과,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고정판 역할을 하는 스톡(stock)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리드는 두께, 재질 등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많고, 이에 따라 리드가 낼 수 있는 음색 또한 다양하여 클래식,재즈, 팝 등 연주곡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리드가 사용되고 있다. 리드는 그 재질과 강도에 따라 분류되고 있는데, 주로 갈대의 일종인 물대(giantreed)로 제작된 나무재질의 리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리드는 자체의 특성 및 형상의 변화로 인하여 공명이 부족하여 소리가 풍부하지 않고 아름다운 느낌을 주지 못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252434호에서, 리드에 장착되는 보조 음향기는 리드의 형상에 부응하고 공명을 이루는 부위를 갖으며, 상기 리드를 마우스피스의 정확한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조 음향기는 음량의 증폭이 커지며, 소리의 직진성을 높이고, 쉽게 소리를 낼 수 있으며, 풍부하고 아름다운 음감을 구현할 수있다. 리가추어는 보조 음향기를 리드와 함께 마우스피스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보조 음향기와 리드를 고정시키는 종래의 리가추어는 마우스피스의 크기와 형태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종래의 리가추어는 리드에 대한 보조 음향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드의 안정적인 고정은 물론 다양한 크기의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적용하여 리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리드의 하부에 밀착되는 보조구를 다양한 재질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원하는 음색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와 밀착되는 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가춰에 있어서, 하부에 나사홀이 관통된 몸체와, 양단에 상기 몸체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져 마우스피스가 끼워지는 리가춰본체와; 상기 나사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볼트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 볼트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승강되는 리드밀착구와; 상기 리드밀착구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마우스피스의 리드와 밀착되는 보조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가춰본체의 몸체는 사각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양단이 상기 몸체의 양측 상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소정폭을 갖는 '∩' 형상의 자체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밀착구는 하부면에 볼트홈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의 양측이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날개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결합돌기가 돌출된 보조구지지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구는 하부에 결합홈이 형성된 제1보조구와 상기 제1보조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보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조구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구는 목재, 가죽, 실리콘, 금속재, 우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의 상부 내측에는 곡선형의 보조밀착구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리드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마우스피스의 리드를 하나의 리가춰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드의 하부에 밀착되는 보조구를 다양한 재질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원하는 음색으로 연주하거나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저면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관악기용 리가춰(이하 '리가춰'라 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색소폰 등 관악기의 마우스피스(2)에 밀착되는 리드(3)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마우스피스(2)에 밀착된 상태로 끼워 조이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리드(3)는 색소폰과 같은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에 결합되어 관악기의 소리를 내는 발음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막대형상의 스톡(stock)과, 스톡과 일체로 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부분으로 갈수록 경사진 절삭면이 구비된 뱀프로 구성되어 있다.
리드(3)는 두께, 재질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에 따라 리드(3)가 낼 수 있는 음색 또한 다양하여 클래식, 재즈, 팝 등 연주곡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리드(3)가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2)와 밀착되는 리드(3)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가춰(1)에 있어서, 하부에 나사홀(111)이 관통된 몸체(110)와, 양단에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탄성부(120)로 이루어져 마우스피스(2)가 끼워지는 리가춰본체(100)와; 상기 나사홀(11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볼트(20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 볼트(200)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승강되는 리드밀착구(300)와; 상기 리드밀착구(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마우스피스(2)의 리드(3)와 밀착되는 보조구(4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직사각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에서 상기 탄성부(120)의 양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리가춰(1)가 끼워지고 상기 높이조절 볼트(200)의 풀림과 조임으로 마우스피스(2)에 리드(3)를 간편하게 고정하고, 리드(3) 및 리드밀착구(300) 등으로 교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110)의 크기와 탄성부(120)의 폭과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전체적인 리가춰(1)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폭과 같은 폭의 비교적 얇은 띠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자체탄성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리가춰본체(100)의 몸체(110)는 사각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20)는 양단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 상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소정폭을 갖는 '∩' 형상의 자체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20)의 곡선형상의 상부는 마우스피스(2)의 일면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탄성부(120)에서 일체로 곡면의 밀착부(5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120)는 탄성체인 실리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몸체(110)에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볼트(200)는 상기 몸체(110)의 나사홀(111)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되어 단부가 상기 리드밀착구(300)를 가압하게 되며, 높이조절 볼트(200)의 머리부(21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반적인 볼트의 머리부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리드밀착구(300)는 하부면에 볼트홈(311)이 형성된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120)의 양측이 끼워지는 가이드홈(321)이 형성된 날개부(320)와, 상기 지지부(3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결합돌기(331)가 돌출된 보조구지지대(3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리드밀착구(300)의 볼트홈(311)에는 상기 몸체(110)를 관통한 높이조절 볼트(200)의 단부가 끼워져 높이조절 볼트(200)를 조여 리드밀착구(300)를 가압할때 상기 리드밀착구(300)가 원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날개부(320)는 상기 탄성부(12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측면이 탄성부(120)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320)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21)에 탄성부(120)가 끼워져 탄성부(120)가 리드밀착구(300)의 이동시 수직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320)의 내측 상부에는 직경이 비교적 큰 마우스피스(2)가 결합될 시 마우스피스(2)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사면(322)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구지지대(330)는 지지부(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마우스피스(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구(4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이로인해 보조구(40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드(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구(400)는 하부에 결합홈(411)이 형성된 제1보조구(410)와 상기 제1보조구(4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보조구(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조구(410)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구(420)는 목재, 가죽, 실리콘, 금속재, 우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구지지대(330)의 결합돌기(331)는 제1보조구(410)의 결합홈(411)에 끼워져 리드밀착구(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보조구(400)도 원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보조구(410)의 상부에는 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2보조구(420) 역시 이 곡면에 대응되도록 소정 높이의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보조구(420)는 제1보조구(410)의 상부면과 같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리드(3)의 곡면이 상기 제2보조구(420)의 곡면과 견고히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제1보조구(410)와 상기 제2보조구(420)는 접착제 등으로 상호 고정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보조구(420)의 재질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고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질에 따라 다양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리드(3)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직경이 상이한 마우스피스(2)에도 하나의 리가춰(1)로 리드(3)를 간편하게 고정하고 음색의 변화를 위해 제2보조구(42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120)의 상부 내측에는 곡선형의 보조밀착구(121)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보조밀착구(121)는 탄성부(12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고,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마우스피스(2)의 곡선면이 탄성부(120)와 직접 밀착되어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밀착력과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리가춰 2: 마우스피스
3: 리드 100: 리가춰본체
110: 몸체 111: 나사홀
120: 탄성부 121: 보조밀착구
200: 높이조절 볼트 300: 리드밀착구
310: 지지부 311: 볼트홈
320: 날개부 321: 가이드홈
322: 사면 330: 보조구지지대
331: 결합돌기 400: 보조구
410: 제1보조구 411: 결합홈
420: 제2보조구 500: 밀착부

Claims (5)

  1. 관악기에 구비되는 마우스피스(2)와 밀착되는 리드(3)를 고정하기 위한 관악기용 리가춰(1)에 있어서,
    하부에 나사홀(111)이 관통된 몸체(110)와, 양단에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탄성부(120)로 이루어져 마우스피스(2)가 끼워지는 리가춰본체(100)와;
    상기 나사홀(111)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볼트(20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 볼트(200)의 상단부와 밀착되어 승강되는 리드밀착구(300)와;
    상기 리드밀착구(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마우스피스(2)의 리드(3)와 밀착되는 보조구(400)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드밀착구(300)는, 하부면에 볼트홈(311)이 형성된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120)의 양측이 끼워지는 가이드홈(321)이 형성된 날개부(320)와,
    상기 지지부(3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결합돌기(331)가 돌출된 보조구지지대(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가춰본체(100)의 몸체(110)는 사각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120)는 양단이 상기 몸체(110)의 양측 상부와 일체로 결합되며 소정폭을 갖는 '∩' 형상의 자체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400)는 하부에 결합홈(411)이 형성된 제1보조구(410)와 상기 제1보조구(4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보조구(4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조구(410)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보조구(420)는 목재, 가죽, 실리콘, 금속재, 우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120)의 상부 내측에는 곡선형의 보조밀착구(1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용 리가춰.
KR1020220005045A 2022-01-13 2022-01-13 관악기용 리가춰 KR102654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45A KR102654230B1 (ko) 2022-01-13 2022-01-13 관악기용 리가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045A KR102654230B1 (ko) 2022-01-13 2022-01-13 관악기용 리가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79A KR20230109279A (ko) 2023-07-20
KR102654230B1 true KR102654230B1 (ko) 2024-04-02

Family

ID=8742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045A KR102654230B1 (ko) 2022-01-13 2022-01-13 관악기용 리가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2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1721A1 (en) * 2015-07-07 2017-01-12 Leto R&D Corporation Ligature for a wind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7248B1 (en) * 2010-01-08 2012-07-10 Roberto Feliciano Liga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1721A1 (en) * 2015-07-07 2017-01-12 Leto R&D Corporation Ligature for a wind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279A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4536A (en) Bridge mechanism for the acoustic guitar
KR20060029220A (ko) 악기용 액세서리, 구성요소, 및 작동부품
US7659463B2 (en) Viola/violin shoulder rest
US3988958A (en) Thumb rest for a musical wind instrument
US7157634B1 (en) String instrument
KR102654230B1 (ko) 관악기용 리가춰
US4024788A (en) Mute for stringed instruments
US4169402A (en) Isolated guitar body
US5911171A (en) Pickup system for bridge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90193956A1 (en) Wind instrument ligature
JP2010508543A (ja) バイオリンのあご当て
KR101693218B1 (ko) 관악기용 리가추어
US4607559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307721A (en) Violin
KR101252434B1 (ko) 보조 음향기가 장착된 관악기용 리드
CN217847424U (zh) 双簧管哨片稳定器
US6376755B1 (en) Guitar construction
US6020546A (en) Block percussion instrument
US4809579A (en) Plastic violin
CA3134872A1 (en) Bowed instrument
US20080087156A1 (en) Mouthpiece with a replaceable bite plate
US5033350A (en) Single reed mouthpiece
US2318515A (en) Reed
US5831191A (en) Bassbar for stringed instruments
US11532292B2 (en) Sprung striker assembly for use with an idi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