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955B1 - Working platform - Google Patents
Working plat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3955B1 KR102653955B1 KR1020220039085A KR20220039085A KR102653955B1 KR 102653955 B1 KR102653955 B1 KR 102653955B1 KR 1020220039085 A KR1020220039085 A KR 1020220039085A KR 20220039085 A KR20220039085 A KR 20220039085A KR 102653955 B1 KR102653955 B1 KR 1026539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ge
- gap
- workbench
- wall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7—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elevator 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 통로, 사일로, 인접하게 대면하는 벽면 사이 등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통로에 삽입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완료후 작업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건축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는, 인접하게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벽면과 제2벽면이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일면이 제1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는 제1케이지와; 일면이 제2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고, 타면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케이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상기 제2케이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workbench. In particular, it is inserted and placed in a passag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an elevator passage, a silo, or between adjacent walls, to facilitate the worker's work, and to easily separate the workbench after completing the work. It's about construction workbench.
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bench in which a first wall surface and a second wall surface arranged adjacently face each other are inserted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the workbench comprising: a first cage whose one surface is inserted facing the first wall surface; a second cage whose one side is inserted and placed facing the second wall, and whos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wherei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The cages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there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m.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기 통로, 사일로, 인접하게 대면하는 벽면 사이 등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통로에 삽입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 완료후 작업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건축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workbench. In particular, it is inserted and placed in a passag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an elevator passage, a silo, or between adjacent walls, to facilitate the worker's work, and to easily separate the workbench after completing the work. It's about construction workbench.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로 고층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건물 내부에는 반드시 승강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기 설치를 위해서는 건물 내부에 하층에서 최상층까지 수직으로 승강기용 통로를 시공해야 한다.Generally, when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with reinforced concrete, an elevator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To install such an elevator, an elevator passage must be constructed vertically from the lower floor to the top floor inside the building.
이러한 승강기용 통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과거에는 파이프나 패널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조립하여 시공 층에 해당하는 승강기 통로용 거푸집을 만들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만들었던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시 그 상층에서 거푸집을 재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승강기 통로를 수직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기가 지연될 뿐만 아니라, 작업 인력도 많이 투입되기 때문에 인건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In order to construct such an elevator passage, in the past, pipes or panels were assembled by hand one by one to create a form for the elevator passage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floor, pouring concrete, dismantling the created form, and then reassembling the form from the upper floor. Since the work was carried out by pouring concrete after assembly to make the elevator shaft vertical, not only did it take a lot of work time and delay the construction period, but it also required a lot of workers, which was a factor in increasing labor costs.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작업구조물 및 방법은 작업자가 발판 등을 설치 및 해체하여야 했는바,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었다.In addition, these conventional work structures and methods required workers to install and dismantle scaffolding, etc., and were exposed to safety accidents.
위와 같은 승강기 통로 뿐만 아니라, 사일로, 인접하게 대면하여 배치되는 벽면 등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위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 problems also occurred when constructing not only elevator passages as above, but also silos and walls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건축용 승장장치, 시공장비 등이 개발되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construction equipment, construction equipment, etc. have been developed in the past.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승강시 다른 곳과의 간섭의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devices had a complicated structure or had problems with interference with other areas during lifting and lower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 통로, 사일로, 건물 외벽 등 인접하게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벽면과 제2벽면이 사이에 삽입 배치되면서 타 구조물과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건축용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the first and second walls, which are arranged adjacently to each other, such as in an elevator passage, a silo, or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re inserted and arranged in between, and can be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structur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nstruction workben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는, 인접하게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벽면과 제2벽면이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작업대에 있어서, 일면이 제1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는 제1케이지와; 일면이 제2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고, 타면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케이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상기 제2케이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bench in which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are disposed adjacently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cage is inserted with one side facing the first wall. and; a second cage whose one side is inserted and placed facing the second wall, and whos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wherei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The cages move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there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m.
상기 제1벽면과 제2벽면 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가 상승하기 전에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제1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지 또는 제2케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제2간격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좁게 된다.Before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inserted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rise,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and the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When at least one of the cage or the second cage rises,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by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gap is formed by the connection part. It becomes narrower than 1 gap.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제1케이지 또는 제2케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이 형성된다.The connection part slides the second cag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ge, an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ge or the second cage rise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The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s of the cage.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guide member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It consists of a mov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unt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방향에서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지보다 상기 제2케이지가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guide member toward one end, and the second end is more inclined than the first cage. When the second cage rises further,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제1벽면에는 제1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제2벽면에는 제2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1케이지의 일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재가 장착되어 있다.A first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wall, a second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wall, and a first locking memb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ge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 second locking member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ge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 상부와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 하부와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하부를 연결한다.The connection portion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and conne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do.
또는,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수평방향으로 안내홈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Alternatively,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guide member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It consists of a mov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vably mounted along the guide member, wherein a long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guid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and when the second cag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ge by an external forc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and moves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The gap narrows.
또는,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보다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간격에서 제2간격으로 좁게 형성한다.Alternatively,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age, and when the second cage rises higher than the first cage, the connection portion rotates. The gap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is narrowed from the first gap to the second ga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본 발명의 작업대는 상승시 작업대의 전체적인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상하방향의 통로의 내부에서 간섭없이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Since the overall width of the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arrowed when raised, it can be easi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interference inside the vertical passage us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working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
또한, 작업대의 잦은 조립 및 해제가 불필요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frequent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workbench is unnecessary,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작업대가 들어 올려져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작업대가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
도 6는 도 5에서 작업대가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struction work ben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in a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worktable in Figure 1 in a lifted state;
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construction workben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in the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workbench in Figure 3;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construction workben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d in the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ure 6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work table in Figure 5.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작업대가 들어 올려져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이다.Figure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struction workben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in a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ure 2 is a structural diagram in a state in which the workbench in Figure 1 is lifted and raised.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는, 인접하게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1벽면과 제2벽면이 사이에 삽입 배치되어 작업자가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in which a first wall surface and a second wall surfac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and arranged to facilitate work for workers.
이러한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는, 승강기 통로, 사일로, 인접하게 대면하는 벽면 사이 등으로 이루어진 상하방향의 통로에 삽입 배치되고, 상하방향을 승강되게 된다.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vertical passage such as an elevator passage, a silo, or between adjacent walls, and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건축용 작업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와, 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케이지(10)는 일면이 제1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된다.The
상기 제2케이지(20)는 일면이 상기 제1벽면과 대면하여 배치되는 제2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된다.The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은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마주하게 배치된다.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20)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10).
즉,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는 상기 상하방향의 통로(H)의 내부에서 타면이 상호 마주하면서 이격되어 배치된다.That is, the
상기 연결부(30)는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을 서로 연결한다.The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서로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제1케이지(10)와 상기 제2케이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connecting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The
상기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가 상승하기 전에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사이에는 제1간격이 형성된다.Befor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10) 또는 제2케이지(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사이에는 제2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좁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either the
위와 같이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의 간격이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좁혀지게 되면, 상하방향의 통로(H)의 내부에 배치된 작업대의 폭이 작아지게 되면서 작업대를 상하방향의 통로(H)에서 쉽게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gap between the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3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0)는 상기 제2케이지(20)가 상기 제1케이지(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1케이지(10) 또는 제2케이지(2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이 형성되면서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When at least one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30)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31)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에 결합되는 이동부재(32)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이동부재(32)는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3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32)가 상기 가이드부재(31)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의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moving
상기 이동부재(32)가 상기 가이드부재(31)를 따라 이동하는 구조 및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에는 안내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2)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31a)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structure and method by which the moving
그리고, 상기 안내홈(31a)은 상기 가이드부재(31)의 타단방향에서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따라서,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에 연결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상기 제2케이지(20)가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32)의 타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안내홈(31a)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Therefore, after connect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crane to the
상기 제2케이지(20)를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더 상승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각각 별도의 와이어로 연결한 후 상기 제2케이지(20)를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더 상승시킬 수도 있고, 하나의 와이어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연결한 후 크레인으로 와이어의 중심부를 잡고 상승시키면 상기 연결부(30)의 구조에 의해 와이어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2케이지(20)가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더 상승되도록 할 수도 있다.A method of raising the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1개만으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를 연결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30)는 적어도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 상부와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 하부와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가 흔들림없이 상호 간격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한편, 제1벽면에는 제1지지부재(41)가 결합되어 있고, 제2벽면에는 제2지지부재(42)가 결합되어 있다.Meanwhile, a
그리고 상기 제1케이지(10)의 일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41)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부재(11)가 장착되고,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42)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재(21)가 장착되어 있다.And a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부재(11)가 상기 제1지지부재(41)에 걸려고 상기 제2걸림부재(21)가 상기 제2지지부재(42)에 걸려, 상기 작업대가 하방향으로 낙하됨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the work table is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passage 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ocking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되어 있는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크레인 등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상기 제2케이지(20)가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더 상승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대를 상하방향의 통로(H)의 내벽에 충돌되거나 간섭됨이 없이 쉽게 인양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ire is connected to the
그리고,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로 올려진 작업대를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하여 안착시키자 할 경우에는, 작업대를 하강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work table raised with the gap between the
그러면 상기 제1케이지(10)에 장착된 상기 제1걸림부재(11)가 상기 제2걸림부재(21)보다 약간 위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걸림부재(11)가 상기 제1지지부재(41)에 먼저 걸리게 된다.Then, since the first locking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케이지(1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고, 상기 제2케이지(20)는 상기 연결부(30)를 따라 상기 제1케이지(10) 보다 더 하강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와의 간격이 더 벌어지면서 상기 제2케이지(20)에 장착된 상기 제2걸림부재(21)가 상기 제2지지부재(42)에 걸리게 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지(10) 및 제2케이지(20)는 모두 안전하게 안착되어 지지된다.In this case,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되는 작업대를 충돌 및 간섭없이 쉽게 상승 또는 하강시켜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작업대의 잦은 조립 및 해제가 불필요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shorten work time by easily raising or lowering the work table inserted into the vertical passage (H) without collision or interference,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eliminating the need for frequent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work tabl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작업대가 상승하는 과정을 도시한 과정도이다.Figure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construction workbenc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fixed in the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ure 4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workbench in Figure 3.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안내홈(31a)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31a)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2)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3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게 된다.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moving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을 좁아지게 이동시킨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적으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상승시키게 된다.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the gap betwee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H)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를 인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케이지(20)를 제1케이지(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More specifically, when it is desired to lift the work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t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그러면, 상기 이동부재(32)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3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Then, the other end of the moving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케이지(10)를 상기 제2케이지(2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모두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위와 같은 상기 제1케이지(10) 또는 제2케이지(20)의 이동은 상기 연결부(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The movement of the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를 인양하게 된다.When the gap between the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details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작업대가 상하방향의 통로에 정착된 상태의 구조도이고, 도 6는 도 5에서 작업대가 들어 올려져 상승한 상태의 구조도이다.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construction workbenc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in the passag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workbench in a state of being lifted and raised in Figure 5.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연결부(30)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the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단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단 사이에 상기 연결부(30)가 배치된다.The
이러한 상기 연결부(30)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따라서 상기 제1케이지(10)와 제2케이지(20)에 와이어를 연결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지(20)가 상기 제1케이지(10)보다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30)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10)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20)의 타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간격에서 제2간격으로 좁게 변경한다.Therefore, when the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details are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인 건축용 작업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workben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케이지, 11 : 제1걸림부재,
20 : 제2케이지, 21 : 제2걸림부재,
30 : 연결부, 31 : 가이드부재, 31a : 안내홈, 32 : 이동부재,
41 : 제1지지부재, 42 : 제2지지부재,
H : 상하방향의 통로, W : 와이어.10: first cage, 11: first locking member,
20: second cage, 21: second locking member,
30: connection part, 31: guide member, 31a: guide groove, 32: moving member,
41: first support member, 42: second support member,
H: Up and down passage, W: Wire.
Claims (9)
일면이 제1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는 제1케이지와; 일면이 제2벽면에 대면하여 삽입 배치되고, 타면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케이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상기 제2케이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며,
상기 제1벽면과 제2벽면 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가 상승하기 전에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제1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지 또는 제2케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제2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보다 좁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a workbench where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are disposed adjacently facing each other,
a first cage whose one side is inserted and placed facing the first wall; a second cage whose one side is inserted and placed facing the second wall, and whose other side is dispos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It includes a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move toward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there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m,
Before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inserted between the first wall surface and the second wall surface rise, a first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ge or the second cage rises, a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by the connection part,
A construction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ap is narrower than the first gap by the connection par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되,
상기 제1케이지 또는 제2케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에는 상기 제2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1,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s the second cage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ge,
A construction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ge or the second cage rises, the second gap is form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by the connection part.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3,
The connection part is,
a guide member whos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A construction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ov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vably mounted along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안내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단방향에서 일단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지보다 상기 제2케이지가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4,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guide member,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slope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guide member to one end,
When the second cage rises higher than the first cag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Construction workbench.
제1벽면에는 제1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고,
제2벽면에는 제2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1케이지의 일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1,
A first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wall,
A second suppor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wall,
A first locking membe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ge and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 construction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locking member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ge and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 상부와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 하부와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하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1,
The connection part consists of a plurality,
A construction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connect at leas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and conne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된 가이드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수평방향으로 안내홈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재의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와 제2케이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1,
The connection part is,
a guide member whos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age;
It consists of a moving member,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a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ount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member,
A long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guide member,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When the second cag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age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other end of the moving member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cage and the second cage is narrowed. Construction workbench.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제1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케이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2케이지가 상기 제1케이지보다 더 상승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케이지의 타면과 상기 제2케이지의 타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간격에서 제2간격으로 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작업대.In claim 1,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cage,
When the second cage rises higher than the first cage, the connection portion rotat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cag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cage from the first gap to the second gap. Features an architectural workbenc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085A KR102653955B1 (en) | 2022-03-29 | 2022-03-29 | Working plat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085A KR102653955B1 (en) | 2022-03-29 | 2022-03-29 | Working platfo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211A KR20230140211A (en) | 2023-10-06 |
KR102653955B1 true KR102653955B1 (en) | 2024-04-03 |
Family
ID=8829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9085A KR102653955B1 (en) | 2022-03-29 | 2022-03-29 | Working plat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395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4540A (en) * | 2005-12-06 | 2007-06-21 |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 Temporary scaffolding unit |
JP2009256963A (en) * | 2008-04-16 | 2009-11-05 | Taisei Corp | Temporary stag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4245B1 (en) * | 1993-06-26 | 1997-03-26 | 김태희 | Process for constructing concrete core-wall form and concrete core-wall form |
JPH0882101A (en) * | 1994-09-12 | 1996-03-26 | Maki Kogyo Kk | Safety unit for floor surface opening |
KR200182858Y1 (en) | 1999-12-24 | 2000-05-15 | 이현성 | 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
KR102129286B1 (en) | 2018-09-05 | 2020-07-02 | (주)광산이엔지 |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passage |
-
2022
- 2022-03-29 KR KR1020220039085A patent/KR10265395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4540A (en) * | 2005-12-06 | 2007-06-21 |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 Temporary scaffolding unit |
JP2009256963A (en) * | 2008-04-16 | 2009-11-05 | Taisei Corp | Temporary st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211A (en) | 2023-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70057B (en) | Self-elevating construction elevator | |
US20100199597A1 (en) | Multi-horizontal structure member forming method | |
CN107217815B (en) | Resistance to compression, safe type assembled steel construction elevartor shaft | |
CN204588379U (en) | For the Dokdo type elevator of outdoor | |
CN202689495U (en) | Self-elevating chimney and water tower construction tower frame | |
KR101142839B1 (en) | Working cage apparatus for construcion | |
KR20070005533A (en) | Gang form | |
KR20070000811U (en) | Gang form climbing guide | |
KR102653955B1 (en) | Working platform | |
CN211622509U (en) | Scaffold for industrial and civil buildings | |
CN104847108A (en) | Hydraulic climbing formwor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ydraulic climbing formwork structure | |
KR20110119252A (en) | Gang form climb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CN217439544U (en) | Building top outer vertical surface overhanging structure template supporting system | |
CN212271561U (en) | Self-elevating elevator shaft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 |
KR102129286B1 (en) |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passage | |
JP2014109392A (en) | Construction method of scaffold inside boiler | |
KR20200077843A (en) | Elevate type guide shoe for constru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
CN204645604U (en) | Hydraulic climbing formwork structure | |
KR102486863B1 (en) | Sliding shoe for construction | |
KR102681565B1 (en) | Elevator elevator path construction workbench | |
CN114046031B (en) | Movable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erected on steel beam | |
KR102086828B1 (en) | Sliding shoe for construction | |
CN211421843U (en) | Steel platform hoisting point spandrel girder | |
CN218912242U (en) | Tripod extension jacking formwork platform for elevator shaft construction | |
KR102636240B1 (en) | Tableform system and method of disassembling by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