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162B1 -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162B1
KR102653162B1 KR1020170025011A KR20170025011A KR102653162B1 KR 102653162 B1 KR102653162 B1 KR 102653162B1 KR 1020170025011 A KR1020170025011 A KR 1020170025011A KR 20170025011 A KR20170025011 A KR 20170025011A KR 102653162 B1 KR102653162 B1 KR 10265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isplay
base
rotation
ar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039A (ko
Inventor
권오관
김경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1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서로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1암 및 제 2암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암 부재; 각각의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 복수의 회전 부재; 및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Device for supporting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 용도에 따라 티브이, 모니터, 휴대용 단말 장치, 태블릿 PC 등으로 구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 환경 내의 바닥면(책상면 등 포함)이나 벽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변경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내구력 및 강성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hinge) 등의 관절을 회전시키는 동작시, 사용자가 회전 가능 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상기 관절에 무리가 발생하여 내구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방향(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상기 관절이 상기 모멘트에 대한 반대 방향 모멘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 회전축이 배치된 상기 관절에서 상기 반대 방향 모멘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하기 위해서는 상기 관절에 많음 힘이 작용하게 되어 장치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피로도의 누적으로 관절 부분의 마찰력이 감소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화상 출력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의 변경 자유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시키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시키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운송을 위한 포장 등의 수납시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과제는, 상기 제 6과제를 해결하면서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사용시 관절에 연결된 2개의 부재 사이의 각도를 기 설정된 대로 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서로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1암 및 제 2암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면 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서로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1암 및 제 2암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암 부재와, 각각의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 복수의 회전 부재와,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상기 제 1암 및 제 2암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암과 제 2암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된 상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암에 연결된 수평 축부와,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를 따라 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수평 축부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연장된 수직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는, 상기 수직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는, 상기 수평 회전축과 수직으로 상기 회전 부재에 배치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기초 암과,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가동 암과, 상기 기초 암과 상기 가동 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암이 관절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 회전 가능하게 해주는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상기 기초 암과 상기 가동 암이 소정 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절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기초 암은, 상기 관절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기초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관절부는, 상기 기초 암 및 상기 가동 암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축 부재와, 상기 가동 암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고 각 설정부를 형성하는 가동 회전 부재와, 상기 기초 암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고, 각 설정 대응부를 형성하는 기초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설정부 및 각 설정대응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기초 암 및 가동 암이 특정 각을 형성할 때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시야각에 따라 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내구력 및 강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 받음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특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모멘트 하중이 경감되어, 회전축을 제공하는 부품의 무리를 현저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의 기설정된 회전 경로를 쉽게 안내받을 수 있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관절 부위에 무리가 생길 확률을 현저히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점에서 하나의 상기 회전 부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가 특정 방향으로 기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연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가동 암 및 상기 제 2가동 암이 일체로 운동하면서도 상기 회전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회전축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의 변경 자유도를 상승시키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출력 방향을 편리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암 부재의 회전 가능 구조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의 운송을 위한 포장 등의 수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설정부/각 설정 대응부 또는 상기 관절 고정 부재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주어 기설정된 상기 특정 각을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또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사용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상측을 바라본 입면도로서, 가동 암(220)이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A)을 보여준다. 도 3a에서 암 부재(20a, 20b)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고, 도 3b에서 암 부재(20a, 20b)가 접힌 상태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1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상측을 바라본 입면도로서, 가동 암(220)이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A)과 기초 암(210')이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것(B)을 보여준다. 도 6a에서 암 부재(20a, 20b)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고, 도 6b에서 가동 암(220)이 기초 암(210')에 대해 회전 운동하여 암 부재(20a, 20b)가 접힌 상태가 도시되며, 도 6c에서 기초 암(210')이 지지 부재(10)에 대해 회전 운동하여 암 부재(20a, 20b)가 접힌 상태가 도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상측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 4, 7 및 8의 E1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부분을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도 9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5)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a 및 11b는, 도 9의 라인 S2-S2'를 따라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도 9와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5)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가 수직 회전축(O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C)을 보여준다. 도 11a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우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b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좌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0의 라인 S3-S3'를 따라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로서, 회전 부재(50)가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D)을 보여준다. 도 12a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b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상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c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하향으로 최대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2, 4, 7 및 8의 E2부분을 확대한 부분 사시도로서, 관절부(230)와 관절 고정 부재(30)의 결합 관계를 보여준다. 도 13a는 암 부재(20, 20')에서 관절 고정 부재(3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3b는 암 부재(20, 20')에 관절 고정 부재(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장치(1, 1', 1'', 1''')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540)를 구비한 관절부(23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관절 부재(540), 기초 암(210, 210') 및 가동 암(2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라인 S4-S4'를 따라 관절부(2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디스플레이 장치(1, 1', 1'', 1''')의 제 6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640)를 구비한 관절부(23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라인 S5-S5'를 따라 관절부(2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라인 S6-S6'을 따라 관절부(2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1, 1', 1'', 1''')의 제 7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740)를 구비한 관절부(230)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라인 S7-S7'을 따라 관절부(2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디스플레이 장치(1, 1', 1'', 1''')의 제 8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840)를 구비한 관절부(230)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라인 S8-S8'을 따라 관절부(230)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나 차이가 있는 부분의 도면 참조부호의 뒤에는 콤마('), 더블 콤마('') 또는 트리플 콤마(''')를 표시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2 및 4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와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된다는 것은, 제 1구성요소 및 제 2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거나 회전할 때 제 1구성요소의 제 2구성요소에 대한 상대적 위치 관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의미이다. 이는,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직접 결합된 경우 뿐만 아니라, 제 1구성요소가 제 3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제 3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결합되어 제 1구성요소가 제 2구성요소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는 외부의 바닥에 놓여지는 스탠드 형일 수도 있고, 외부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걸이 형일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스탠드 형으로 제시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디스플레이 장치(5)를 지지하기 위해 구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디스플레이 장치(5)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디스플레이 장치(5)의 화상 출력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5a, 5b, 5c, 5d)를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티브이, 모니터, 휴대용 단말 장치, 태블릿 PC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모니터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5)를 지지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의 하중을 외부의 바닥 또는 외부의 벽체에 전달하는 지지 부재(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지지 부재(10)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암 부재(20, 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암 부재(20, 20')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 부재(50)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5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회전 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5)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c를 참고하여, 회전 부재(50)는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부재(50)는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화살표 D 참고) 수평 회전축(O1)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축이다. 수평 회전축(O1)은 암 부재(20, 20')에 배치된다. 수평 회전축(O1)은 제 1암(210a, 220a, 230a)(210a', 220a', 230a')에 배치된다. 수평 회전축(O1)은 제 1암(210a, 220a, 230a)(210a', 220a', 23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수직 회전축(O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수직 회전축(O2)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화살표 C 참고) 수직 회전축(O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이다. 수직 회전축(O2)은 수평 회전축(O1)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수직 회전축(O2)은 회전 부재(50)에 배치된다. 수직 회전축(O2)은 회전 부재(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3a, 3b 및 6a 내지 6c를 참고하여, 가동 암(220)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가동 암(220)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화살표 A 참고) 관절 회전축(O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이다. 관절 회전축(O3)은 수평 회전축(O1)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관절 회전축(O3)은 수직 회전축(O2)과 평행할 수 있다. 관절 회전축(O3)은 기초 암(210, 210')에 배치된다. 관절 회전축(O3)은 암 부재(20, 20')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6a 내지 6c를 참고하여, 기초 암(210')은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기초 암(210')은 기초 암(210, 210')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화살표 B 참고) 기초 회전축(O4)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축이다. 기초 회전축(O4)은 수평 회전축(O1)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기초 회전축(O4)은 수직 회전축(O2)과 평행할 수 있다. 기초 회전축(O4)은 관절 회전축(O3)과 평행할 수 있다. 기초 회전축(O4)은 지지 부재(10)에 배치된다. 기초 회전축(O4)은 암 부재(20, 20')의 연장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가 지지 부재(10)에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기초 암(210)은 지지 부재(1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복수의 기초 암(210) 사이의 각도는 변경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는 지지 부재(10)의 기둥 부(13)에 고정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가 지지 부재(10)에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복수의 암 부재(20a', 20b') 중 적어도 하나는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기초 암(210')은 지지 부재(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기초 암(210')이 지지 부재(10)에 배치된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복수의 기초 암(210') 사이의 각도는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는 지지 부재(10)의 기둥 부(13)에 연결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 5c)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 5c)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가 지지 부재(10)에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중 적어도 하나는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지지 부재(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기초 암(210) 사이의 각도는 변경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변경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는 지지 부재(10)의 기둥 부(13)에 연결된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는 기둥 부(13)를 중심으로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 5c, 5d)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격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 5c, 5d)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는 4개의 디스플레이 장치(5a, 5b, 5c, 5d)를 지지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20d)가 지지 부재(10)에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20d) 중 적어도 하나는 기초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지지 부재(10)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기초 암(210) 사이의 각도는 변경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변경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20d)는 지지 부재(10)의 기둥 부(13)에 연결된다.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20d)는, 하측에 배치된 암 부재(20a, 20b)와 상측에 배치된 암 부재(20c, 20d)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각 실시예 별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된 것이다. 이하,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의 공통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후술할 제 5 내지 8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40)는 제 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 중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8을 참고하여, 지지 부재(10)는 암 부재(20, 20')를 지지한다. 지지 부재(10)는 암 부재(20, 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1암(210a, 220a, 230a) 및 제 2암(210b, 220b, 230b)을 지지한다. 지지 부재(10)는 제 1암(210a, 220a, 230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는 제 2암(210b, 220b, 230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의 하중을 바닥면에 전달하는 베이스(11)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지지 부재(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지지 부재(10)는 상하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는 베이스(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기둥 부(13)를 포함한다. 기둥 부(13)의 하단은 베이스(11)에 고정된다. 기둥 부(13)는 베이스(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기둥 부(13)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암 부재(20, 20')는 기둥 부(13)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기둥 부(13)에 복수의 암 부재(20, 20')가 연결된다. 기둥 부(13)에 제 1암(210a, 220a, 230a)이 연결된다. 기둥 부(13)에 제 2암(210b, 220b, 230b)이 연결된다. 기둥 부(13)에 기초 암(210, 210')이 연결된다. 기둥 부(13)에 제 1기초 암(210a, 210a') 및 제 2기초 암(210b, 210b')이 연결된다.
기둥 부(13)는 암 부재(20, 20’)가 연결되는 기초부(15, 15')를 포함한다. 기초부(15, 15')는 암 부재(20, 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기초부(15, 15')가 구비될 수 있다. 기초부(15, 15')는 제 1암(210a, 220a, 230a)과 연결되는 제 1기초부(15a, 15a')를 포함한다. 기초부(15, 15')는 제 2암(210b, 220b, 230b)과 연결되는 제 2기초부(15b, 15b')를 포함한다. 제 1기초부(15a, 15a')와 제 2기초부(15b, 15b')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하나의 제 1기초부(15a, 15a')는 어느 하나의 암 부재(20a)의 제 1암(210a, 220a, 230a)과 다른 암 부재(20b)의 제 1암(210a, 220a, 230a)을 같이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제 2기초부(15b, 15b')는 어느 하나의 암 부재(20a)의 제 2암(210b, 220b, 230b)과 다른 암 부재(20b)의 제 2암(210b, 220b, 230b)을 같이 지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1, 1', 1'', 1''')는, 하나의 지지 부재(10)에 연결된 복수의 암 부재(20, 20')와, 각각의 암 부재(20, 20')에 구비된 각각의 회전 부재(50)와, 각각의 회전 부재(50)에 구비된 각각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를 포함한다. 이하, 암 부재(20, 20')는 복수의 암 부재(2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하고, 회전 부재(50)는 복수의 회전 부재(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하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도 2 내지 9를 참고하여, 암 부재(20, 20')는 지지 부재(10)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암 부재(20, 20’)는 서로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1암(210a, 220a, 230a) 및 제 2암(210b, 220b, 230b)을 포함한다. 제 1암(210a, 220a, 230a) 및 제 2암(210b, 220b, 230b)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암 부재(20a, 20b, 20c, 20d)가 구비된다.
제 1암(210a, 220a, 230a)에는 수평 회전축(O1)이 배치된다. 제 1암(210a, 220a, 230a)은 수평 회전축(O1)을 따라 연장된 수평 축부(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1암(210a, 220a, 230a)은 수평 축부(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223)을 포함한다.
제 2암(210b, 220b, 230b)에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225)를 포함한다. 제 2암(210b, 220b, 230b)은 제 1암(210a, 220a, 230a)과 이격되어 회전 부재(50)를 보조적으로 지지한다. 제 2암(210b, 220b, 230b)은, 회전 부재(5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5)가 특정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이를 통해, 축 지지부(223) 및 수평 축부(51)에 무리가 덜 가게 하며, 회전 부재(50)가 특정 방향으로 기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쉬워진다.
하나의 회전 부재(50)를 지지하는 제 1암(210a, 220a, 230a) 및 제 2암(210b, 220b, 230b) 중 어느 하나가 상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가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암(210a, 220a, 230a)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 2암(210b, 220b, 230b)이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 부재(50)의 상측부에 수평 회전축(O1)이 배치되고 회전 부재(50)의 하측부에 가이드(225)가 배치된다. 다른 예에서, 제 1암(210a, 220a, 230a)이 하측에 배치되고 제 2암(210b, 220b, 230b)이 상측에 배치되어, 회전 부재(50)의 하측부에 수평 회전축(O1)이 배치되고 회전 부재(50)의 상측부에 가이드(225)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암 부재(20, 20')는, 지지 부재(10)에 연결되는 기초 암(210, 210')을 포함한다. 기초 암(210, 210')은, 제 1암(210a, 220a, 230a)에 구비된 제 1기초 암(210a, 210a') 및 제 2암(210b, 220b, 230b)에 구비된 제 2기초 암(210b, 210b')을 포함한다. 기초 암(210, 210')은 기둥 부(13)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기초 암(210, 210')의 일단은 지지 부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동 암(220)과 연결된다. 기초 암(210, 210')은 기초부(15, 15')와 연결되는 기초 연결부(211, 211')를 포함한다. 기초 암(210, 210')은 기초 연결부(211, 211')에서 돌출되어 연장된 연장부(213)를 포함한다. 기초 암(210, 210')은 관절부(230)를 형성하는 말단부(215)를 포함한다. 말단부(215)는 가동 암(22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장부(213)는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213)는 기초 연결부(211, 211')와 말단부(215)를 연결하며 연장된다.
암 부재(20, 20')는 회전 부재(50)에 연결되는 가동 암(220)을 포함한다. 가동 암(220)은, 제 1암(210a, 220a, 230a)에 구비된 제 1가동 암(220a) 및 제 2암(210b, 220b, 230b)에 구비된 제 2가동 암(220b)을 포함한다. 가동 암(220)은 기초 암(210, 2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암(220)은 기초 암(210, 210')의 말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가동 암(220)의 일단은 기초 암(210, 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하 연결부(220c)와 연결된다. 제 1가동 암(220a)의 일단은 제 1기초 암(210a, 210a')에 연결되고, 제 1가동 암(220a)의 타단은 상하 연결부(220c)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 2가동 암(220b)의 일단은 제 2기초 암(210b, 210b')에 연결되고, 제 2가동 암(220b)의 타단은 상하 연결부(220c)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 1가동 암(220a)에 수평 회전축(O1)이 배치된다. 제 2가동 암(220b)에 가이드(225)가 배치된다. 가동 암(220)은 관절부(230)를 형성하는 관절 연결부(221)를 포함한다. 관절 연결부(221)는 기초 암(210, 2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동 암(22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암 부재(20, 20')는 제 1암(210a, 220a, 230a)과 제 2암(210b, 220b, 230b)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된 상하 연결부(220c)를 포함한다. 상하 연결부(220c)는 지지 부재(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하 연결부(220c)는 기둥 부(13)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하 연결부(220c)는 상하로 연장된다. 제 1가동 암(220a) 및 제 2가동 암(220b) 중 어느 하나는 상하 연결부(220c)의 상단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하 연결부(220c)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하 연결부(220c)는 제 1가동 암(220a) 및 제 2가동 암(220b)과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가동 암(220a) 및 제 2가동 암(220b)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때 일체로 운동하게 되고, 회전 부재(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 1가동 암(220a)은 축 지지부(223)를 포함한다. 축 지지부(223)는 제 1가동 암(220a)이 제 2가동 암(220b)을 바라보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축 지지부(223)는 수평 축부(51)의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가동 암(220b)은 가이드(225)를 포함한다. 가이드(225)는 제 2가동 암(220b)이 제 1가동 암(220a)을 바라보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225)는 제 2가동 암(220b)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25) 및 후술할 슬라이더(53) 중, 어느 하나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경로를 따라 연장된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53)가 가이드 홈(53a)을 형성하고, 가이드(225)가 가이드 홈(53a)에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한다.
암 부재(20, 20')는 기초 암(210, 210')과 가동 암(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230)를 포함한다. 관절부(230)는 가동 암(220)이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 회전 가능하게 해준다. 관절부(230)는 가동 암(220)이 기초 암(210, 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해준다. 관절부(230)는 가동 암(220)과 기초 암(210, 210')을 서로 연결시킨다. 관절부(230)는, 제 1암(210a, 220a, 230a)에 구비된 제 1관절부(230a)와, 제 2암(210b, 220b, 230b)에 구비된 제 2관절부(230b)를 포함한다. 관절부(230)는 기초 암(210, 210')의 말단부(215)와 가동 암(220)의 관절 연결부(221)를 포함한다. 관절부(230)는 관절 회전축(O3)을 제공하는 관절 부재(40)를 포함한다. 관절 부재(40)는 말단부(215)와 관절 연결부(2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도 9 및 도 12a 내지 12c를 참고하여, 회전 부재(50)는 제 1암(210a, 220a, 230a)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수직면 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부재(50)는 제 2암(210b, 220b, 230b)에 구비된 가이드(225)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다. 회전 부재(50)는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부재(50)의 상하 회전에 따라, 회전 부재(50) 및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5)의 화상 출력 방향은 상하로 변경된다. 제 1암(210a, 220a, 230a)과 제 2암(210b, 220b, 230b)이 상하로 이격되어 있고, 수평 회전축(O1)과 가이드(225)가 상하로 이격되어 있어, 회전 부재(50)는 상하의 이격된 두 지점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통해, 회전 부재(50)가 특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모멘트 하중이 경감된다. 또한, 회전 부재(50)의 기설정된 회전 경로를 쉽게 안내받을 수 있다.
복수의 회전 부재(50a, 50b)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 부재(50a, 50b)는 각각 복수의 암 부재(20, 20')에 의해 지지된다. 복수의 회전 부재(50a, 50b)는 좌측에 배치된 좌측 회전 부재(50a)와 우측에 배치된 우측 회전 부재(5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 부재(50a, 50b)는 각각의 제 1암(210a, 220a, 230a)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복수의 회전 부재(50a, 50b)는 각각의 제 2암(210b, 220b, 230b)에 구비된 가이드(225)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다.
회전 부재(50)는 수평 회전축(O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1암(210a, 220a, 230a)에 연결된 수평 축부(51)를 포함한다. 수평 축부(51)는 회전 부재(50)에서 수평 회전축(O1)을 따라 돌출된다. 수평 축부(51)는 수직 축부(55)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수평 축부(51)는 제 1파트(55b)의 후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다. 수평 축부(51)는 수직 축부(55)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돌출된다. 축 지지부(223)는 수평 축부(51)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한다. 수평 축부(51)는 축 지지부(223)의 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부재(50)는 가이드(22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3a)을 형성하는 슬라이더(53)를 포함한다. 슬라이더(53)는 가이드(225)를 따라 운동한다. 슬라이더(53)는 회전 부재(50)의 회전 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더(5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53a)은 회전 부재(50)의 회전 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홈(53a)은 슬라이더(5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53)는 가이드 홈(53a)의 전단 및 후단이 형성하는 스토퍼(53b, 53c)를 포함한다. 스토퍼(53b, 53c)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최대로 하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가이드(225)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하향 스토퍼(53b)를 포함한다. 스토퍼(53b, 53c)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최대로 상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가이드(225)에 접촉하여 회전 부재(5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상향 스토퍼(53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향 스토퍼(53b)는 가이드 홈(53a)의 전단에 배치되고 상향 스토퍼(53c)는 가이드 홈(53a)의 후단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1암(210a, 220a, 230a)이 하측에 배치되고 제 2암(210b, 220b, 230b)이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실시예(수평 회전축(O1)이 회전 부재(50)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이드(225)가 회전 부재(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실시예)에서는, 하향 스토퍼(53b)는 가이드 홈(53a)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향 스토퍼(53c)는 가이드 홈(53a)의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225)는 제 2암(210b, 220b, 230b)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225)는 가동 암(2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가이드(225)는 제 2암(210b, 220b, 230b)에서 제 1암(210a, 220a, 230a)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가이드(225)는 시단을 형성하는 제 1돌기(225a)를 포함한다. 가이드(225)는 종단을 형성하는 제 2돌기(225b)를 포함한다. 제 1돌기(225a)는 제 2암(210b, 220b, 230b)에 고정된다. 제 2돌기(225b)는 제 1돌기(225a)에 고정된다. 제 1돌기(225a)는 가동 암(220)과 제 2돌기(225b)의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225)는 제 1돌기(225a) 및 제 2돌기(225b)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225c)를 포함한다. 체결 부재(225c)는 제 1돌기(225a) 및 제 2돌기(225b)를 가동 암(220)에 고정시킨다. 도 12a를 참고하여, 가이드(225)는 수직 단면 상 높이의 중간 부분의 표면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가이드(225)는, 제 1돌기(225a)와 제 2돌기(225b)의 경계 부분의 표면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더(53)는 가이드(225)의 상기 함몰된 부분과 맞물리는 돌출부분을 형성한다. 슬라이더(53)의 수직 단면 상 높이의 중간 부분의 표면은 가이드 홈(53a)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립단계에서, 가동 암(220)에 제 1돌기(225a)가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더(53)의 가이드 홈(53a)에 제 1돌기(225a)를 삽입시키고, 그 후 제 2돌기(225b)를 제 1돌기(225a)에 고정시켜 슬라이더(53)와 가이드(225)를 조립시킬 수 있다. 가이드(225)와 슬라이더(53)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서로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회전 부재(50)는 수평 축부(51)와 슬라이더(53)를 연결하며 연장된 수직 축부(55)를 포함한다. 수직 축부(55)는 수평 축부(51)와 슬라이더(53)가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시킨다. 수직 축부(55)는 회전 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다.
수직 축부(55)는 수직 회전축(O2)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 축(55a)을 포함한다. 메인 축(55a)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축(55a)은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의 수직 회전축(O2)을 제공한다. 메인 축(55a)은 원형 단면을 가진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축부(55)는 메인 축(55a)과 수평 축부(51)를 연결하며 연장된 제 1파트(55b)를 포함한다. 수직 축부(55)는 메인 축(55a)과 슬라이더(53)를 연결하며 연장된 제 2파트(55c)를 포함한다. 메인 축(55a)의 일단부는 제 1파트(55b)에 고정되고, 메인 축(55a)의 타단부는 제 2파트(55c)에 고정된다. 제 1파트(55b)의 일단부는 메인 축(55a)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제 1파트(55b)의 타단부는 수평 축부(51)를 고정시킨다. 제 2파트(55c)의 일단부는 메인 축(55a)의 타단부를 고정시키고, 제 2파트(55c)의 타단부는 슬라이더(53)를 고정시킨다.
제 1파트(55b)는 메인 축(55a)과 연결되는 메인 축 연결부(55b1)를 포함한다. 메인 축 연결부(55b1)는 수직 회전축(O2)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축(55a)은 제 1체결 부재(55d)에 의해 메인 축 연결부(55b1)에 고정된다. 복수의 제 1체결 부재(55d)가 수직 회전축(O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파트(55b)는 메인 축 연결부(55b1)와 연결되는 수평 축 연결부(55b2)를 포함한다. 수평 축 연결부(55b2)에 수평 축부(51)가 고정된다. 수평 축 연결부(55b2)는 메인 축 연결부(55b1)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메인 축 연결부(55b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 축 연결부(55b2)는 메인 축 연결부(55b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파트(55c) 메인 축(55a)과 연결되는 메인 축 연결부(55c1)를 포함한다. 메인 축 연결부(55c1)는 수직 회전축(O2) 방향으로 연장된다. 메인 축(55a)은 제 2체결 부재(55e)에 의해 메인 축 연결부(55c1)에 고정된다. 복수의 제 2체결 부재(55e)가 수직 회전축(O2)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2파트(55c)는 메인 축 연결부(55c1)와 연결되는 슬라이더 연결부(55c2)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연결부(55c2)에 슬라이더(53)가 고정된다. 슬라이더 연결부(55c2)는 메인 축 연결부(55c1)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가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메인 축 연결부(55c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더 연결부(55c2)는 메인 축 연결부(55c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부재(50)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58)를 포함한다. 스토퍼(58)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최대로 좌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 또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에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좌향 스토퍼(58a)를 포함한다. 스토퍼(58)는, 디스플레이 장치(5)가 최대로 우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5) 또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에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우향 스토퍼(58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58)는 디스플레이 장치(5)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58)가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8)는 제 1파트(55b) 또는 제 2파트(55c)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58)는 수직 축부(55)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고정부(58-1)를 포함한다. 스토퍼(58)는 스토퍼 고정부(58-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 돌출부(58-2)를 포함한다. 스토퍼 돌출부(58-2)는 체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스토퍼 고정부(58-1)에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돌출부(58-2)는 돌출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 돌출부(58-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2c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5)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73)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회전 부재(50)에 의해 지지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a, 70b)는 결합부(73)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회전 부재(50a, 50b)에 의해 지지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회전 부재(50)에 배치된 수직 회전축(O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수직 회전축(O2)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수직 축부(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 연결부(71)를 포함한다. 복수의 축 연결부(71a, 71b, 71c, 71d)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축 연결부(71a, 71b, 71c, 71d)는 수직 회전축(O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축 연결부(71) 메인 축(55a)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축 연결부(71)는 메인 축(55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축 연결부(71)는 결합부(73)에 고정된다. 결합부(73)를 회전시키면 축 연결부(71)가 결합부(73)와 일체로 운동한다.
결합부(73)는 디스플레이 장치(5)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류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5)를 결합부(7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5)를 결합부(73)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부(73)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73)는 전방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73)의 전방면에 디스플레이 장치(5)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70)는 결합부(73)의 후측을 가려주는 커버(7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8)는 메인 축(55a)의 후측을 가려줄 수 있다. 커버(78)는 디스플레이 장치(5)의 후면 중 일부와 함께 결합부(73) 및 메인 축(55a)의 후측을 가려준다. 커버(78)는 수직 축부(55)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상하측에 각각 형성한다.
도 13a 및 13b를 참고하여, 기초 암(210, 210')과 가동 암(220)이 소정 각(a)을 유지하도록 관절부(23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고정 부재(30)를 포함한다. 관절 고정 부재(30)는 관절부(230)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한다. 관절 고정 부재(30)는 기초 암(210, 210')의 말단부(215)와 가동 암(220)의 관절 연결부(221)과 소정 각(a)을 형성한 상태에서만 삽입되는 홈을 형성한다.
관절 고정 부재(30)는 기초 암(210, 210')의 말단부(215)를 고정시키는 기초 암 결합부(31)를 포함한다. 기초 암 결합부(31)는 기초 암(210, 21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측면 커버(31a)를 포함한다. 기초 암 결합부(31)는 한 쌍의 측면 커버(31a)를 연결하며 연장된 측면 연결 커버(31b)를 포함한다. 측면 연결 커버(31b)는 말단부(215)의 상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커버(31a)는 측면 연결 커버(31b)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절 고정 부재(30)는 가동 암(220)의 관절 연결부(221)를 고정시키는 가동 암 결합부(32)를 포함한다. 가동 암 결합부(32)는 가동 암(220)의 양측면에 각각 접촉하는 한 쌍의 측면 커버(32a)를 포함한다. 가동 암 결합부(32)는 한 쌍의 측면 커버(32a)를 연결하며 연장된 측면 연결 커버(32b)를 포함한다. 측면 연결 커버(32b)는 관절 연결부(221)의 상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커버(32a)는 측면 연결 커버(32b)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초 암 결합부(31)와 가동 암 결합부(32)는 서로 연결된다. 기초 암 결합부(31)와 가동 암 결합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초 암 결합부(31)와 가동 암 결합부(32)는 서로 소정 각(a)을 이루며 배치된다.
도 14 내지 23을 참고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관절부(230)는 관절 부재(40)를 포함한다. 이하, 제 5 내지 8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40)의 공통 구성을 설명한다.
관절 부재(40)는 기초 암(210, 210')에 대해 가동 암(2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관절 부재(40)는 관절 회전축(O3) 상에 배치된다. 기초 암(210, 210')의 말단부(215)에는 관절 부재(40)가 통과하는 제 1홀(215a)이 형성된다. 가동 암(220)의 관절 연결부(221)에는 관절 부재(40)가 통과하는 제 2홀(221a)이 형성된다. 관절 연결부(221)는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고정 홀 또는 고정 홈(221b)이 형성될 수 있다.
말단부(215)와 관절 연결부(221)는 상하로 겹쳐져 배치될 수 있다. 말단부(215)와 관절 연결부(221)의 사이에는 이격 와셔(543, 643, 743, 843) 구비된다. 이격 와셔(543, 643, 743, 843)의 두께만큼 말단부(215)와 관절 연결부(221)가 서로 이격된다.
관절 부재(40)는 기초 암(210, 210') 및 가동 암(220)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축 부재(541, 641, 741, 841)를 포함한다. 축 부재(541, 641, 741, 841)는 가동 암(220)에 관절 회전축(O3)을 제공한다. 축 부재(541, 641, 741, 841)는 관절 회전축(O3)을 따라 연장된다. 축 부재(541, 641, 741, 841)는 기초 암(210, 210') 및 가동 암(2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 부재(541, 641, 741, 841)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관절 부재(40)는 축 부재(541, 641, 741, 841)의 말단에 고정되는 보조 부재(542, 642, 742, 842)를 포함한다.
관절 부재(40)는 가동 암(220)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는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를 포함한다.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는 각 설정부(545b, 645b, 745b, 845b)를 형성한다.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는 가동 암(220)과 함께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는 기초 회전 부재(547, 647, 747, 847)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관절 부재(40)는 기초 암(210, 210')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는 기초 회전 부재(547, 647, 747, 847)를 포함한다. 기초 회전 부재(547, 647, 747, 847)는 각 설정 대응부(547b, 647b, 747b, 847b)를 형성한다. 기초 회전 부재(547, 647, 747, 847)는 기초 암(210, 210')과 함께 가동 암(220)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기초 회전 부재(547, 647, 747, 847)는 가동 회전 부재(545, 645, 745, 845)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관절 부재(40)는, 기초 암(210, 210')에 대해 가동 암(220)이 특정 각을 형성할 때, 서로 맞물리는 각 설정부(545b, 645b, 745b, 845b) 및 각 설정 대응부(547b, 647b, 747b, 847b)를 포함한다. 각 설정부(545b, 645b, 745b, 845b) 및 각 설정 대응부(547b, 647b, 747b, 847b)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기초 암(210, 210') 및 가동 암(220)이 특정 각을 형성할 때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기초 암(210, 210')에 대해 가동 암(220)이 특정 각을 형성할 때, 걸림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어 기설정된 상기 특정 각을 사용자가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준다.
복수의 서로 다른 상기 특정 각이 기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설정부(545b, 645b, 745b, 845b) 및 각 설정 대응부(547b, 647b, 747b, 847b) 중 어느 하나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고하여, 제 5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540)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 축 부재(541)를 포함한다. 축 부재(541)의 상단부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관절 부재(540)는 축 부재(54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보조 부재(542)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542)는 축 부재(54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말단 고정부(542a)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542)는 말단 고정부(542a)의 상측에 접촉 배치되는 스톱 와셔(542b)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542)는 스톱 와셔(542b)의 상측에 접촉 배치되는 마찰 형성부(542c)를 포함한다. 기초 회전 부재(547)는 보조 부재(542)에 의해 축 부재(541)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547)는 마찰 형성부(542c)의 상측에 접촉 배치된다. 보조 부재(542)가 축 부재(541)에 고정되고 기초 회전 부재(547)를 압착하여, 기초 회전 부재(547)가 기초 암(210, 210') 및 축 부재(541)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547)는 중앙부에 축 부재(541)가 통과하며 배치되는 관통부(547a)를 포함한다. 기초 회전 부재(547)는 홈을 형성하는 각 설정 대응부(547b)를 포함한다. 가동 회전 부재(545)는 가동 암(220)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545)는 상하로 두께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545a)를 포함한다. 축 부재(541)는 프레임 부(545a)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가동 회전 부재(545)는 프레임 부(545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부(545c)를 포함한다. 고정부(545c)는 가동 암(220)에 형성된 고정 홀(221b)에 삽입되어, 가동 암(22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545)는 돌기를 형성하는 각 설정부(545b)를 포함한다. 각 설정부(545b)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각 설정 대응부(547b)는 하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각 설정 대응부(547b)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17 내지 19를 참고하여, 제 6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640)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 축 부재(641)를 포함한다. 축 부재(641)의 상단부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관절 부재(640)는 축 부재(64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보조 부재(642)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642)는 축 부재(64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말단 고정부(642a)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642)는 말단 고정부(642a)에 의해 축 부재(641)에 고정되는 마찰 형성부(642c)를 포함한다. 기초 회전 부재(647)는 보조 부재(642)에 의해 축 부재(641)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647)는 마찰 형성부(642c)의 상측에 접촉 배치된다. 보조 부재(642)가 축 부재(641)에 고정되고 기초 회전 부재(647)의 하측면에 접촉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647)는 기초 암(210, 210') 및 축 부재(641)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647)의 중앙부를 축 부재(641)가 통과하며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647)는 돌기를 형성하는 각 설정 대응부(647b)를 포함한다. 가동 회전 부재(645)는 가동 암(22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645)는 상하로 두께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645a)를 포함한다. 축 부재(641)는 프레임 부(645a)의 상측에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647)는 프레임 부(645a)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동 회전 부재(645)는 기초 회전 부재(647)의 하측을 덮어준다. 가동 회전 부재(645)는 가동 회전 부재(645)를 가동 암(2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645c)를 포함한다. 고정부(645c)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45c)에 의해 가동 회전 부재(645)는 가동 암(22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645)는 홈을 형성하는 각 설정부(645b)를 포함한다. 각 설정 대응부(647b)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각 설정부(645b)는 하측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각 설정 대응부(647b)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20 및 21을 참고하여, 제 7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740)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 축 부재(741)를 포함한다. 축 부재(741)의 상단부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관절 부재(740)는 축 부재(74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보조 부재(742)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742)는 축 부재(74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말단 고정부(742a)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742)는 말단 고정부(742a)에 의해 축 부재(741)에 고정되는 스톱 와셔(742b)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742)는 축 부재(741)의 둘레에 배치되는 링부(742d)를 포함한다. 축 부재(741)는 링부(742d)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링부(742d)는 제 2홀(221a)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747)는 관절 회전축(O3)과 이격된 위치에서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747)는 기초 암(210, 21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747)는 가동 회전 부재(745)의 둘레 부분 중 일 측에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747)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시키는 기초 암 고정부(747c)를 포함한다. 기초 암 고정부(747c)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암 고정부(747c)에 의해 가동 회전 부재(745)는 기초 암(210, 21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747)는 돌기를 형성하는 각 설정 대응부(747b)를 포함한다. 가동 회전 부재(745)는 가동 암(22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745)는 상하로 두께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745a)를 포함한다. 축 부재(741)는 프레임 부(745a)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동 회전 부재(745)는 축 부재(741)의 하측을 덮어준다. 가동 회전 부재(745)는 가동 회전 부재(745)를 가동 암(2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45c)를 포함한다. 고정부(745c)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745c)에 의해 가동 회전 부재(745)는 가동 암(22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745)는 홈을 형성하는 각 설정부(745b)를 포함한다. 각 설정 대응부(747b)는 관절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각 설정부(745b)는 관절 회전축 방향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각 설정부(745b)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설정부(745b)와 각 설정 대응부(747b)는 가동 회전 부재(745)의 둘레 중 일부에서 맞물릴 수 있다. 각 설정 대응부(747b)는 관절 회전축(O3)에 수직인 단면 상에서 중간 부분이 관절 회전축(O3)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 설정 대응부(747b)는 각 설정부(745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 휨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여, 제 8실시예에 따른 관절 부재(840)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 축 부재(841)를 포함한다. 축 부재(841)의 상단부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관절 부재(840)는 축 부재(841)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보조 부재(842)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842)는 축 부재(84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말단 고정부(842a)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842)는 말단 고정부(842a)에 의해 축 부재(841)에 고정되는 스톱 와셔(842b)를 포함한다. 보조 부재(842)는 축 부재(841)의 둘레에 배치되는 링부(842d)를 포함한다. 축 부재(841)는 링부(842d)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링부(842d)는 제 2홀(221a)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관절 회전축(O3)과 이격된 위치에서 기초 암(210, 210')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기초 암(210, 21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가동 회전 부재(845)의 둘레 부분 중 일 측에 배치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기초 암(210, 210')에 고정시키는 기초 암 고정부(847c)를 포함한다. 기초 암 고정부(847c)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 암 고정부(847c)에 의해 가동 회전 부재(845)는 기초 암(210, 21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홈을 형성하는 각 설정 대응부(847b)를 포함한다. 가동 회전 부재(845)는 가동 암(220)의 하측면에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845)는 상하로 두께를 형성하는 프레임 부(845a)를 포함한다. 축 부재(841)는 프레임 부(845a)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동 회전 부재(845)는 축 부재(841)의 하측을 덮어준다. 가동 회전 부재(845)는 가동 회전 부재(845)를 가동 암(2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845c)를 포함한다. 고정부(845c)는 스크류 등의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845c)에 의해 가동 회전 부재(845)는 가동 암(220)과 일체로 운동하게 고정된다. 가동 회전 부재(845)는 돌기를 형성하는 각 설정부(845b)를 포함한다. 각 설정부(845b)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다. 각 설정 대응부(847b)는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복수의 각 설정부(845b)가 관절 회전축(O3)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설정부(845b)는 가동 회전 부재(845)의 하측면에 배치된다. 각 설정 대응부(847b)는 가동 회전 부재(845)의 가장 자리 부분의 하측에 위치한다. 기초 회전 부재(847)는 각 설정 대응부(847b)를 지지하는 부분이 관절 회전축(O3) 방향으로 돌출된다. 기초 회전 부재(847)의 각 설정 대응부(847b)를 지지하는 돌출 부분은, 각 설정 대응부(847b)는 각 설정부(845b)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휨 변형 및 탄성 복원을 하게 구비될 수 있다.
1, 1', 1'', 1''' :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5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지지 부재 20, 20' : 암 부재
210a, 220a, 230a : 제 1암 210b, 220b, 230b : 제 2암
210, 210' : 기초 암 220 : 가동 암
230 : 관절부 30 : 관절 고정 부재
40, 540, 640, 740, 840 : 관절 부재 50 : 회전 부재
70 :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
O1 : 수평 회전축 O2 : 수직 회전축
O3 : 관절 회전축 O4 : 기초 회전축

Claims (10)

  1. 제 1암 및 상기 제 1암과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2암;
    상기 제 1암과 상기 제 2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직면 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 회전 부재; 및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암 및 제 2암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상하 연결부는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암과 상기 제 2암의 사이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1암에 연결된 수평 축부;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를 따라 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수평 축부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며 연장된 수직 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는, 상기 수직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는, 상기 수평 회전축과 수직으로 상기 회전 부재에 배치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6.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제 1암 및 상기 제 1암과 상하로 이격 배치된 제 2암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암과 상기 제 2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암 부재;
    각각의 상기 제 1암에 배치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 2암에 구비된 가이드에 의해 회전 경로를 안내받는 복수의 회전 부재; 및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를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연결되는 기초 암;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가동 암; 및
    상기 기초 암과 상기 가동 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암이 관절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면 상 회전 가능하게 해주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암과 상기 가동 암이 소정 각을 유지하도록 상기 관절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관절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초 암은, 상기 관절 회전축과 평행하게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기초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관절부는,
    상기 기초 암 및 상기 가동 암을 관통하며 배치되는 축 부재;
    상기 가동 암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고, 각 설정부를 형성하는 가동 회전 부재; 및
    상기 기초 암과 일체로 운동하도록 고정되고, 각 설정 대응부를 형성하는 기초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설정부 및 각 설정대응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기초 암 및 가동 암이 특정 각을 형성할 때 상기 돌기와 맞물리는 홈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20170025011A 2017-02-24 2017-02-24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10265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11A KR102653162B1 (ko) 2017-02-24 2017-02-24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11A KR102653162B1 (ko) 2017-02-24 2017-02-24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39A KR20180098039A (ko) 2018-09-03
KR102653162B1 true KR102653162B1 (ko) 2024-04-01

Family

ID=6360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11A KR102653162B1 (ko) 2017-02-24 2017-02-24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110B1 (ko) * 2021-03-04 2022-06-22 주식회사 더케이 회전 가능하게 티브이가 설치될 수 있는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16B1 (ko) * 2004-08-27 2006-12-21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듀얼 모니터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039A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498B1 (ko) 제어 디스플레이 위치결정 시스템
US10113685B2 (en) Display device
US8000092B2 (en) Display apparatus
CN104599596B (zh) 具有边框隐藏构件的显示装置和多屏显示装置
US7614594B2 (en) Standing apparatus
US9161474B2 (en) Display device
KR102653162B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KR20090013348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JP2007156381A (ja) 複数の調節可能な位置および角度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EP3679837A1 (en) Pressure pivoting electronic mirroring device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20090184216A1 (en) Hinge Device of Plane Display
KR20150069103A (ko) 벽걸이형 평면 디스플레이 거치대
US973350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ual-monitor setting method
AU2013204014A1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S2803203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sangre con soporte de monitor de múltiples ejes
KR200455198Y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064485A (ja) 線下明示装置
AU2004247839A1 (en) Wall support for a thin tv set, screen and monitor
US4560132A (en) Stand for display devices
KR101581308B1 (ko) 벽걸이용 고정구
KR100910407B1 (ko) 듀얼 모니터
JP200731650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215647051U (zh) 一种用于狭小空间的摄像头外置镜结构
JP4751473B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