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400B1 -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400B1
KR102652400B1 KR1020220137648A KR20220137648A KR102652400B1 KR 102652400 B1 KR102652400 B1 KR 102652400B1 KR 1020220137648 A KR1020220137648 A KR 1020220137648A KR 20220137648 A KR20220137648 A KR 20220137648A KR 102652400 B1 KR102652400 B1 KR 102652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fastening
cable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차이그래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이그래픽스 filed Critical (주)차이그래픽스
Priority to KR102022013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A47F7/02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with provisio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 A47F7/0246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with provisio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for rectangular articles, e.g. books, casset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45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detection of interference with a cable tethering an article, e.g. alarm activated by detecting detachment of article, breaking or stretching of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종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모바일기기 및 케이블의 단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대는, 단부에 단자가 형성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면으로 상기 단자가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충전용 또는 시건용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에서 모바일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바일기기 거치대는 모바일기기를 지면에 경사지거나 지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손을 이용하지 않고 시청을 하거나 모바일기기를 전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기기를 전시하는 경우에도 거치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난을 방지 장치 및 충전 장치가 거치대와 함께 하나의 유닛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시건 장치라 한다. 도난 방지 장치와 모바일기기는 케이블로 연결되며, 모바일기기가 케이블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분리 신호를 도난 방지 장치가 전달받아 경보를 울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품을 손쉽게 다루기 위하여 케이블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연장된 케이블을 감아서 정리할 수 있는 리코일러 등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은 도난 방지 장치 이외에도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충전될 수도 있고, 모바일기기와 타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시에 이용하는 거치대의 경우 모바일 기종에 따라 생산되지 않고, 다양한 두께의 모바일기기가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나의 사이즈로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보통의 거치대와 달리 전시에 이용하는 거치대의 경우, 상기 케이블이이 단자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단자를 포함한 거치대의 규격이 모바일기기의 규격에 맞지 않는 경우, 케이블 단자 및 모바일기기의 단자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기종에 맞추어 거치대 및 시건 장치를 생산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하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KR 10-2013-0107782 A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190767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기종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모바일기기 및 케이블의 단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대는, 단부에 단자가 형성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면으로 상기 단자가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면에는 장방향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나사머리와 나사못으로 형성되는 조절나사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나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나사머리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체결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나사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는, 상술한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포함하고, 전류 조건 변화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난 방지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및 상기 단자는, 상기 도난 방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면 상에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권선되며, 상기 케이블이 권출될 시 상기 케이블을 권선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코일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는, 지지부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의 사이즈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시건 장치의 단자 및 모바일기기의 단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지지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코일러 및 도난 방지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거치대를 전시용으로 사용할 경우 단정한 전시가 가능하며, 도난 방지가 가능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일 실시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받침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의 지지부 위치 조정 전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모바일기기 거치대(10)의 일 실시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10)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10)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받침부(100)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모바일기기 거치대(10)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10)의 지지부(300) 위치 조정 전후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모바일기기 거치대(10)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기기에서 단자(112)가 형성된 모서리 부분을 받치는 받침부(100),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 및 상기 받침부(100)와 지지부(300)를 연결하는 체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0)과, 케이블(110) 단부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110)은 도난 방지 장치(30), 전원, 또는 기타 장치에 연결되어 도난 방지에 이용되거나 충전에 이용되거나 데이터 송수신에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110) 단부에는 단자바디(111)가 형성되고, 단자바디(111)에는 단자(1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자(112)는 단자바디(111)의 상면에 돌출될 수 있다. 단자(112)는 모바일기기에 형성된 커넥터에 삽입되어 케이블(110)과 모바일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110)의 일측에는 제1커버(120)가, 타측에는 제2커버(130)가 배치되어, 단자바디(111)를 수용할 수 있다.
제1커버(120)는 단자바디(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110) 단부 및 단자바디(1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20)의 일측에는 케이블(1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케이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20)의 일면에는 단자(112)가 통과할 수 있는 단자홀(1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단자홀(121)은 단자(112)의 횡단면과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단자(112) 지지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20)의 일면에는 체결홀(1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22)은 지지부(300)와 받침부(100)가 체결되기 위해 지지부(300)의 체결돌기(320)가 삽입되는 홀이다. 또한 체결홀(122)은 단자(1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320)의 위치를 체결홀(122)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체결돌기(320) 및 체결홀(122)은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을 위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120) 내측면과 단자바디(111) 사이의 거리는, 상기 체결돌기(320)가 체결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돌기(320)와 단자바디(111) 일면이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20)의 일면에는 결합돌기(1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돌기(123)에는 상기 단자홀(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정홀(1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조정홀(12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3)는 체결부(200)를 이용하여 지지부(300)가 고정되는 구성이며, 결합돌기(123)와 체결부(200) 또는 지지부(300)의 상대 위치에 따라 지지부(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커버(130)는 단자바디(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단자바디(111)의 하부를 커버하며, 제1커버(120)에 조립되어 전체로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130)의 일측에는 케이블(1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케이블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커버(130)는 제1커버(120)와 돌기 및 홈의 조립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130)의 모서리를 따라 조립돌기(132)가 돌출형성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커버(120)의 모서리를 따라 조립돌기(132)가 삽입되거나 걸리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130)에는 내부 공간을 향하여 압착리브(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압착리브(133)는 단자바디(111)에 밀착함과 동시에 단자바디(111)를 제1커버(120)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체결부(200)를 설명한다. 체결부(200)는 상술한 받침부(100)와 지지부(30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며, 체결부(200)는 지지부(300)와 함께 받침부(10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00)는 나사머리와 나사못으로 이루어지는 조절나사(210)일 수 있다. 나아가 조절나사(210)의 나사머리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체결리브(2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리브(220)는 나사머리 둘레 전체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 지점에서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방사형이 아닌 일부 지점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200)는 도 5와 같이 받침부(100)에 형성된 결합돌기(123)의 조정홀(124)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조정홀(124) 내에서 나사산을 이용하여 조절나사(21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3 및 도 5에 도시된 지지부(300)를 설명한다. 지지부(300)는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받침부(100)의 체결홀(1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지지몸체(310)에 타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몸체(310)는 실제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는 안정적 지지를 위해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전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몸체(310)의 전면에는 전면부착부(312)가 넓은 홈의 형태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면부착부(312)에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는 모바일기기를 지지몸체(310) 전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양면패드일 수도 있고, 접착 성능을 가지는 도포될 수 있는 수지일 수도 있고, 점착 성능이 있는 수지일 수 있다. 지지몸체(310)의 후면은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리브(3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몸체(310)의 하부 일측에는 체결돌기(3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320)는 단부가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홀(1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체결돌기(320)는 중앙부에 삽입 방향으로 슬릿(321)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체결돌기(320)가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321)을 형성함으로써, 체결돌기(320)는 횡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시 압축되고, 삽입 완료 후 복원되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몸체(310)의 하부 타측에는 결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30)는 지지부(300)가 받침부(100) 및 체결부(20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결합부(330)에는 받침부(100)의 결합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331)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31)의 폭은 결합돌기(123)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112)를 향하는 길이방향은 결합돌기(123)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00)는 결합홈(331)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결합돌기(123) 외측에서 단자(112)를 향하거나 단자(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300)에는 체결부(200)가 연결될 수 있는 나사체결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체결홈(333)은 조절나사(210)가 결합돌기(123)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절나사(210)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절나사(210)의 체결리브(220)가 상하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방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나사체결홈(333)은 지지몸체(310) 후면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돌부(33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각 구성의 연결관계를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받침부(100)의 결합돌기(123)에 조절나사(210)를 체결하고, 결합돌기(123) 및 조절나사(210)가 각각 지지부(300)의 결합홈(331) 및 나사체결홈(333)에 삽입되도록 정렬한 후 지지부(300)의 체결돌기(320)를 받침부(100)의 체결홀(122)에 끼워 넣어 지지부(300)가 받침대에 조립될 수 있다. 조절나사(210)와 지지부(300)가 맞물려 있고, 지지부(300)가 받침대의 체결홀(12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 조절나사(210)를 받침대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300)가 조절나사(2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6 (a)에는 지지부(300)가 단자(112)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절나사(210)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210)가 단자(112)를 향해 전진하며 도 6 (b)와 같이 지지부(300)가 함께 움직여 단자(112)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에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1의 모바일기기 거치대(10)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10), 케이블(110)이 권선되는 리코일러(20), 케이블(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난 방지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코일러(20)는 모바일기기 전시 시 케이블(110)을 단정하게 정리하기 위한 구성이며, 리코일러(20)는 하우징 및 하우징 상에 복원 가능한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취부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원주방향으로 탄성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110)은 권취부에 권선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케이블(110)이 하우징으로부터 권출되고, 외력 제거 시 권취부의 복원 동작에 따라 케이블(110)이 권취될 수 있다.
도난 방지 장치(30)는 케이블(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110)의 전류 조건 변화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110)이 모바일기기와 분리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보 신호로는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별도로 구비된 동일 네트워크상의 관리용 PC에 경보 신호를 전달하여 PC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내거나 경고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 거치대(10)로부터 모바일기기를 분리하는 경우, 단자(112)가 분리되면서 도난 방지는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관리자로 하여금 대처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거치대(10)에 접착제를 배치하여 모바일기기를 부착시키는 경우 등 모바일기기를 강제로 고정시켜 놓는다면, 단자(112)가 모바일기기로부터 분리될 시 도난 또는 사고 상황으로 가정할 수밖에 없으므로 도난 방지 장치(30)와 접착제와 같은 모바일기기 고정 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모바일기기 거치대 20 리코일러
30 도난 방지 장치 100 받침부
110 케이블 111 단자바디
112 단자 120 제1커버
121 단자홀 122 체결홀
123 결합돌기 124 조정홀
130 제2커버 131 케이블홈
132 조립돌기 133 압착리브
200 체결부 210 조절나사
220 체결리브 300 지지부
310 지지몸체 311 지지리브
312 전면부착부 320 체결돌기
321 슬릿 330 결합부
331 결합홈 332 체결돌부
333 나사체결홈

Claims (9)

  1. 단부에 단자가 형성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면으로 상기 단자가 돌출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커버의 일면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면에는 장방향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홀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받침부 및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는 체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받침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나사머리와 나사못으로 형성되는 조절나사이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나사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나사머리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체결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며 상기 체결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나사체결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
  7. 제1항, 제4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바일기기 거치대를 포함하고,
    전류 조건 변화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도난 방지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및 상기 단자는, 상기 도난 방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면 상에 접착제가 배치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권선되며, 상기 케이블이 권출될 시 상기 케이블을 권선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코일러;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KR1020220137648A 2022-10-24 2022-10-24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KR102652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48A KR102652400B1 (ko) 2022-10-24 2022-10-24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648A KR102652400B1 (ko) 2022-10-24 2022-10-24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400B1 true KR102652400B1 (ko) 2024-03-29

Family

ID=9048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648A KR102652400B1 (ko) 2022-10-24 2022-10-24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4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090123335A (ko) * 2008-05-27 2009-12-0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제품 전시용 도난경보시스템
KR20130107782A (ko)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전시 제품용 도난경보장치 및 케이블
KR101506161B1 (ko)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KR200478726Y1 (ko) * 2014-05-13 2015-11-11 김화진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원터치 거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767Y1 (ko) 2000-03-07 2000-08-01 최은석 충전용 잭 내장형 핸드폰 거치대
KR20090123335A (ko) * 2008-05-27 2009-12-0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제품 전시용 도난경보시스템
KR20130107782A (ko)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전시 제품용 도난경보장치 및 케이블
KR101506161B1 (ko)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KR200478726Y1 (ko) * 2014-05-13 2015-11-11 김화진 휴대단말기용 다용도 원터치 거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032B2 (en) Tool suspension rack
US9499373B1 (en) Cable retraction unit assembly
US7001210B1 (en) Wire winding device for receiving network wires or telephone wires
US20080156922A1 (en) Apparatus for secure display of small electronic devices having an essential signal or power cord
US9024211B2 (en) Power and communications grommet
JP2020514789A (ja)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20190094470A (ko) 릴 어셈블리,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기
US20110187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JP2007065639A (ja) フラット・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を取り付ける方法と、同組み合わせ装置
US9060225B2 (en) Wireless earphone
US6532653B1 (en) Foldable connector assembly for miniature circuit card
US20100285687A1 (en) Electric plug and methods of providing the same
TW201724949A (zh) 存放架及具有此存放架的充電櫃
KR102652400B1 (ko) 모바일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기기 시건 장치
US10587075B1 (en) Anti-theft connector head structure
US10910755B2 (en) Connector storage device
JPWO2006049092A1 (ja) イヤホンアダプタ
US20200093010A1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05167480A (ja) 面上収音式マイクロホン
US10797454B1 (en) Loss prevention structure for adapter
US20220385049A1 (en) Wire management bracket for wireless charger
US20130286626A1 (en) Cable management device
GB2530021A (en) Tablet display device security system
CN217956748U (zh) 一种通用充电防盗器
CN108932030A (zh) 电脑线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