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37B1 -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37B1
KR102651837B1 KR1020230171042A KR20230171042A KR102651837B1 KR 102651837 B1 KR102651837 B1 KR 102651837B1 KR 1020230171042 A KR1020230171042 A KR 1020230171042A KR 20230171042 A KR20230171042 A KR 20230171042A KR 102651837 B1 KR102651837 B1 KR 102651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robot
dog
robot d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이연주
Original Assignee
신동호
이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호, 이연주 filed Critical 신동호
Priority to KR102023017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1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task planning, object-oriented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 구동 또는 보행 구동하는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이벤트 정보, 쇼핑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요청 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로 상기 로봇 강아지 제어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제 1단계;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신된 외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귀가하면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4단계; 사용자 귀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집되는 알람 정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생성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dog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개인 정보, 외부 활동 정보, 환경 정보 등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봇 강아지를 제어하여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간의 감성 관계를 증대시키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동작에 한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에 무관하게 동작된다. 이러한 로봇은 저가로 형성되어 어린이에게 적절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사용자와 상호 교감하는 애완 로봇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애완 로봇에 사용되는 사용자와의 상호 교감 인터페이스는 터치, 음성, 영상, 리모콘, 스위치가 대표적이다. 여기서, 터치와 스위치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을 위한 대표적인 인터페이스로서, 이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애완 로봇은 사용자와 직접적 접촉을 통하여 교감하고 감성을 사용자에게 표현함으로써, 애완 로봇은 마치 실제 애완동물과 같이 사용자와 상호 교감하는 듯한 느낌을 줄 필요가 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연구팀은 로봇이 동물이 숨을 쉬는 것과 같은 동작을 했을 때 사람들이 더욱 안정적이고 행복한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간단하게 동물이 숨을 쉬는 동작을 모방한 것만으로도 사람들이 받는 느낌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이러한 사례는 로봇의 생체 모방형 인터랙션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로봇 산업은 미래 핵심 산업으로써 다양한 현장에서 이용될 것이며, 그 일예로, 노인 요양 시설에 배치된 물개 로봇 파로(Paro) 로봇은 일본 산업 기술종합연구소(AIST)에서 개발된 세계 최초 심리치료 로봇이다. 다수의 실험과 논문을 통해, 환자의 기운을 북돋고 혈압과 맥박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Paro가 컨버세이션 스타터(Conversation starter)로서 기능하여 환자들 간의 사회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와 환자들의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이 된다는 인터뷰 결과도 나타났다.
Paro 로봇은 수염을 잡아당기면 마구 짖기도 하며, 껴안아달라고 애교를 부리기도 하며 쓰다듬으면 눈을 살포시 감기도 한다. 이러한 실제 생명체를 모방한 동물형 로봇의 인터랙션 기술은 로봇에 대한 수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네덜란드 트웬테대학의 연구 결과는 로봇과 사람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려면 로봇의 외형이 중요하다고 한다.
따라서, 외형에 적합하고 적절한 인터랙션이 적용되어야 로봇에 대한 사람의 '수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고 있는바, 의료용 로봇과 우주 항공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봇도 개발되고 있다.
특히 강아지 등과 같은 펫(pet)의 모습을 재현한 펫 로봇은 사용자에게 정서적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펫 로봇은 실제 펫과 유사하게 동작하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펫 로봇은 먹이를 주거나 배설물을 치울 필요가 없으므로 바쁜 현대인들에게 실제 펫과 같은 정서적인 만족감을 제공하면서도 번거로움이나 부담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종래의 강아지 로봇은 단순한 동작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움직임 패턴이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강아지 로봇을 조정하는 경우, 스마트폰은 단순히 미리 정해진 움직임 패턴을 지시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정에 비치되는 다양한 로봇과 사용자 간의 스마트 환경을 구현하는 고기능성을 구현하는 인터랙션 로봇 제어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등록특허 10-0850987호 KR 등록특허 10-0746878호 KR 등록특허 10-1537640호 KR 공개특허 10-2016-0095789호 KR 등록특허 10-2051217호 KR 등록특허 10-2027343호 KR 등록특허 10-2301762호 KR 등록특허 10-2247878호 KR 공개특허 10-2023-009547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환경적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제어 데이터를 실시간 생성하여 사용자 환경 맞춤형 기반의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 구동 또는 보행 구동하는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이벤트 정보, 쇼핑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요청 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로 상기 로봇 강아지 제어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제 1단계;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신된 외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당일 기준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명쾌한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의 구동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클래식 연주곡이나 명상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 주행을 멈추거나 최저 속도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귀가하면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4단계; 사용자 귀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집되는 알람 정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생성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활동량, 활동 위치, 활동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피로도와 육체적 피로도 정도가 분석된 활동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와 상기 제 5단계는, 집안에 설치된 조명 장치, 냉/난방 장치, 커튼, 에어 케어 장치,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홈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홈 제어 단말기로 상기 로봇 강아지에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홈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 즉, SNS, 메신저, 이메일, 캘린더, 쇼핑 정보, 배달 정보, 문자 정보 등에 기반하여 맞춤형으로 가정이나 실내에 배치된 로봇 강아지를 제어하여 사용자와 높은 상호작용의 실현하는 로봇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로봇 강아지는 홈 제어 단말기와 연동하여 집안 내 조명이나 냉/난방, 커튼, 오디오 등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실내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서 중앙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외부 정보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을 위한 로봇 강아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따른 제어 실시예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은, 주행 구동 또는 보행 구동하는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이벤트 정보, 쇼핑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요청 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로 상기 로봇 강아지 제어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제 1단계;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신된 외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당일 기준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명쾌한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의 구동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클래식 연주곡이나 명상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 주행을 멈추거나 최저 속도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귀가하면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4단계; 사용자 귀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집되는 알람 정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생성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 제어, 활동 제어, 사용자와의 상호교감 작용 등 사용자 맞춤형으로 로봇 강아지를 제어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로봇 강아지와의 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봇 강아지를 통해 실내 다양한 홈 기기들을 원격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만족도 높은 로봇 강아지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조건값을 입력받은 후 조건값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직접 제공받거나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제공받아 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로봇 제어를 중앙 관제하는 중앙 서버로 상기 로봇 강아지 제어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제 1단계(S100)이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본 정보값과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조건값이다. 기본 정보값은 사용자 이름, 성명, 성별, 나이, 성격 등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중앙 서버에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선행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 데이터란, 사용자의 SNS 컨텐츠나 이메일 정보, 쇼핑 정보, 메신저 정보, 문자 정보, O2O 서비스 정보(음식 배달, 세탁 배달, 차량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외부 서비스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계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계정 정보 수집 동의 절차를 거쳐 상기 중앙 서버는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단계(S200)다.
상기 중앙 서버는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게 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NS 컨텐츠나 이메일 정보, 스케쥴 정보, 쇼핑 정보, 메신저 정보, 문자 정보, O2O 서비스 정보(음식 배달, 세탁 배달, 차량 서비스 등)에 해당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SNS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메일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진행하는 업무나 금융 정보, 회사 업무, 여행 정보, 쇼핑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는 SNS 서버, 이메일 서버, 쇼핑몰 서버 등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 서버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기본 정보값과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조건값을 통해 사용자의 외부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단계(S200)에서 수신된 외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당일 기준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S300)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단계(S300)는 사용자의 당일 기준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데,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금일 수행한 외부 활동이나 업무, 회식, 약속, 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통해 당일 어디에서 어떤 일을 했는데, 얼마만큼 했는지, 피로도가 있는지, 즐거웠는지 등에 관한 활동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활동량, 활동 위치, 활동 시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심리적 피로도와 육체적 피로도 정도가 분석된 활동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수집된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의 제어를 사용자에게 맞춤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귀가 정보는 바람직하게 사용자의 캘린더 정보를 통해 귀가 시간을 수집할 수 있는데, 약속 시간, 약속 장소 기준이나 대중 교통 시간 정보 등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도착하는 시간 정보를 예측하고 로봇 강아지를 제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기 출장일 경우 귀가 정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3단계(S300)는 사용자의 외부 데이터 수집을 통해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로봇 제어를 실행한다.
즉,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귀가하면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4단계(S400)다.
상기 제 4단계(S400)는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통해 로봇 강아지를 동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로봇 강아지를 동작하는데, 사용자가 기쁘거나 즐거운 상태로 예측될 경우 귀가 시 신나고 명쾌한 음악을 재생시켜주거나 로봇 강아지의 구동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여 사용자와 함께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또는, 사용자가 피로에 지치거나 늦은 귀가, 회식, 술자리 등의 외부 데이터 수집을 기반으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가 생성되었을 경우 사용자 귀가 후 차분하거나 고요한 클래식 연주곡이나 명상 음악 등을 재생시켜주고 사용자에게 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로봇 강아지의 주행을 멈추거나 최저 속도 주행을 통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봇 강아지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어하여 편의성과 만족감을 향상시키고 로봇 강아지와 상호교감 작용을 통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단계(S400)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활동함에 따른 외부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라면, 제 5단계(S500)는 사용자 귀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집되는 알람 정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S500)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귀가 후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로봇 강아지는 실시간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문자 정보, 알람 정보, 스케쥴 정보, 이메일 정보 등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알람 정보를 수신받아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5단계(S500)는 사용자 단말기와 로봇 강아지간의 미러링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된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을 수 있다.
알람 정보는 대표적으로 사용자가 음식을 배달시키거나 O2O 서비스를 이용할 때, 알람 정보에 근거하여 로봇 강아지는 현관문을 원격으로 개방(이때, 로봇 강아지는 현관 앞에서 실시간 영상을 획득함)하여 주문 음식을 현관 안으로 배달받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택배 도착 알람을 받을 경우 사용자가 인지 못하면 로봇 강아지는 음성으로 택배 도착 알림을 안내하거나 도착 알림 주행 모드(현관 앞 주행이나 특별 주행 등)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물건 도착을 알려줄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외출 스케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침 상태일 경우 아래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홈 제어 단말기와 연동하여 커튼을 오프하도록 동작 신호를 출력하거나 기상 멘트, 기상 음악, 티비 온(on), 조명 온(on) 등의 동작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기상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준다. 기상 후 세면할 수 있도록 화장실 조명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5단계(S500)에서 생성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6단계(S600)를 통해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는 상호작용하여 높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따른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맞춤형 로봇 강아지(1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이벤트 정보, 쇼핑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앙 서버(2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요청 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봇 강아지를 보유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중앙 서버(200)로 회원 가입을 실시한 후 기본 정보값과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조건값이다. 기본 정보값에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이름, 성명, 성별, 나이, 성격 등에 관한 기초적인 정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중앙 서버에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선행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서비스 계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계정 정보 수집 동의 절차를 거쳐 상기 중앙 서버는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중앙 서버(200)는 로봇 강아지 제어를 위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고,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 관제 센터의 서버로써, 우선적으로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값을 수신받아 저장하고, 외부 데이터 조건값을 통해 외부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서 중앙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 중앙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기본 정보값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210)와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수집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외부 데이터 수집부(220)와 외부 데이터를 통해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으로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데이터 생성부(230)와 사용자가 실내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되는 알람 정보를 기초로 제 2로봇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데이터 생성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데이터 생성부(230)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수집되는 외부 데이터에서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피로도, 활동량, 활동 범위, 심리 상태, 체력 상태 등의 정보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귀가 시 이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귀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전에 냉/난방, 커튼, 조명, 음악 등 집안 환경을 세팅한 후 사용자에게 시각적, 심리적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가 가정 내 위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로 수신되는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로봇 강아지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실내 위치한 상태에서 배달이나 쇼핑 주문, 그 외 O2O 서비스 이용, 외출 정보, 손님 초대 정보 등에 기초하여 로봇 강아지는 상기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함에 따라 만족도 높은 로봇 강아지 활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적용되는 외부 정보의 예시도이다.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400)는 매우 다양한 카테고리별 서비스가 존재하며, 대표적인 서비스는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메신져 서비스, 이메일, 캘린더, 온라인 쇼핑, O2O 서비스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400)는 모두 개별적으로 서버를 구축하고 있으며, 상기 중앙 서버(200)는 각각의 외부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SNS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동영상, 이미지) 정보나 텍스트 정보, 메신져 서비스를 통해서는 상대와의 대화 내용이나 주고받은 이미지 데이터 등이다. 이때,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동의 절차를 반드시 거친 후 사용자 개인 정보(외부 데이터)를 외부 서비스 서버에서 중앙 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메일 정보, 캘린더 정보, 쇼핑 정보, 문자 정보, 그 외 O2O 서비스 정보에 대하여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구성된 외부 데이터 수집부(220)를 인공지능 모듈을 구성하고 있으며, 외부 데이터에 해당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텍스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환경 정보를 추출하고 환경 정보 결과값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을 위한 로봇 강아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강아지는 공지의 로봇 강아지의 구성을 갖고 있으며, 이와 함께 네트워크망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봇 강아지는 외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음성 안내, 음악 재생을 위한 음성 출력부와 동작상태, 고장 정보, 배터리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부와 주행 또는/ 및 보행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 외부 각종 장치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부는 가정 내에 설치된 Wifi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중앙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와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 맞춤형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에 따른 제어 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로봇 강아지(100)는 집안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별도의 홈 제어 단말기(500)와 통신으로 접속하여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홈 제어 단말기(500)는 집안에 설치된 각종 장치에 해당되는 홈조명, 냉/난방, 커튼, 에어 케어, 오디오 등과 같은 홈 장치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원격 제어 가능한 장치로써, 상기 로봇 강아지에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홈 제어 단말기(500)와 통신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제공받아 홈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로봇 강아지는 주행 동작을 제공하고 홈 제어 단말기와 연동해 각종 홈 장치들을 사용자의 조건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 즉, SNS, 메신저, 이메일, 캘린더, 쇼핑 정보, 배달 정보, 문자 정보 등에 기반하여 맞춤형으로 가정이나 실내에 배치된 로봇 강아지를 제어하여 사용자와 높은 상호작용의 실현하는 로봇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로봇 강아지는 홈 제어 단말기와 연동하여 집안 내 조명이나 냉/난방, 커튼, 오디오 등을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실내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로봇 강아지
200 : 중앙 서버
210 : 사용자 정보 등록부
220 : 외부 데이터 수집부
230 : 제 1데이터 생성부
240 : 제 2데이터 생성부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외부 서비스 서버
500 : 홈 제어 단말기

Claims (3)

  1. 주행 구동 또는 보행 구동하는 로봇 강아지;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스케쥴 정보, 이벤트 정보, 쇼핑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는 중앙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업로드된 외부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중앙 서버에서 요청 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중앙 서버로 상기 로봇 강아지 제어에 따른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제 1단계;
    등록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상기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외부 데이터를 수신받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신된 외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당일 기준 활동 정보와 귀가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집하여 명쾌한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의 구동 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클래식 연주곡이나 명상 음악을 재생시켜주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 강아지 주행을 멈추거나 최저 속도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귀가하면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4단계;
    사용자 귀가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시간 수집되는 알람 정보를 기반으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제 5단계에서 생성된 제 2로봇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강아지를 동작시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와 상기 제 5단계는,
    집안에 설치된 조명 장치, 냉/난방 장치, 커튼, 에어 케어 장치, 오디오 장치를 포함하는 홈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홈 제어 단말기로 상기 로봇 강아지에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홈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KR1020230171042A 2023-11-30 2023-11-30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KR102651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042A KR102651837B1 (ko) 2023-11-30 2023-11-30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042A KR102651837B1 (ko) 2023-11-30 2023-11-30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837B1 true KR102651837B1 (ko) 2024-03-27

Family

ID=9048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1042A KR102651837B1 (ko) 2023-11-30 2023-11-30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3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878B1 (ko) 2005-12-29 2007-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족보행 로봇의 다리 메커니즘
KR100850987B1 (ko) 2002-04-1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용 보행로봇의 보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640B1 (ko) 2008-12-02 2015-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완용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5789A (ko) 2015-02-04 2016-08-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스마트 강아지 로봇
JP2018079554A (ja) * 2016-11-18 2018-05-24 日東精工株式会社 多軸ねじ締め装置
KR102027343B1 (ko) 2018-11-23 2019-10-01 (주)바램시스템 물체 토출 기능이 향상된 애완동물용 훈련 로봇
KR102051217B1 (ko) 2018-05-29 2019-12-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모방 기반 동물형 로봇의 감정표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47878B1 (ko) 2019-07-01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102301762B1 (ko) 2019-07-01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20220008408A (ko) * 2020-07-13 2022-01-21 지피헬스 주식회사 반려 로봇을 이용한 실버 케어 시스템
JP2023072378A (ja) * 2021-11-12 2023-05-24 株式会社ユカリ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30095470A (ko) 2021-12-22 2023-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애완 로봇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87B1 (ko) 2002-04-1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용 보행로봇의 보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46878B1 (ko) 2005-12-29 2007-08-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족보행 로봇의 다리 메커니즘
KR101537640B1 (ko) 2008-12-02 2015-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애완용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5789A (ko) 2015-02-04 2016-08-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스마트 강아지 로봇
JP2018079554A (ja) * 2016-11-18 2018-05-24 日東精工株式会社 多軸ねじ締め装置
KR102051217B1 (ko) 2018-05-29 2019-12-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모방 기반 동물형 로봇의 감정표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7343B1 (ko) 2018-11-23 2019-10-01 (주)바램시스템 물체 토출 기능이 향상된 애완동물용 훈련 로봇
KR102247878B1 (ko) 2019-07-01 202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102301762B1 (ko) 2019-07-01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KR20220008408A (ko) * 2020-07-13 2022-01-21 지피헬스 주식회사 반려 로봇을 이용한 실버 케어 시스템
JP2023072378A (ja) * 2021-11-12 2023-05-24 株式会社ユカリ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230095470A (ko) 2021-12-22 2023-06-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애완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lichs et al. Mini: a new social robot for the elderly
Skouby et al. Smart cities and the ageing population
US11148296B2 (en) Engaging in human-based social interaction for performing tasks using a persistent companion device
AU20142366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istent companion device
Gockley et al. Designing robots for long-term social interaction
US20170206064A1 (en) Persistent companion device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platform
Koay et al. Hey! There is someone at your door. A hearing robot using visual communication signals of hearing dogs to communicate intent
CN107000210A (zh) 用于提供持久伙伴装置的设备和方法
CA3019535A1 (en) Persistent companion device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platform
EP2569681A2 (en) Electronic personal interactive device
Reijula et al. Human well-being and flowing work in an intelligent work environment
US109158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me-sharing interactions using a shared artificial intelligence personality
Tsiourti et al. The CaMeLi framework—a multimodal virtual companion for older adults
Ishiguro The realisation of an avatar-symbiotic society where everyone can perform active roles without constraint
KR102651837B1 (ko)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인공지능 로봇 강아지 제어 방법
McMaster Revolting Self-Care: Mark Aguhar's Virtual Separatism
Patterson 17 Toward a systems approach to nonverbal interaction
Van Grunsven Anticipating sex robots: A critique of the sociotechnical vanguard vision of sex robots as ‘good companions’
Lehmann et al. Artists as HRI pioneers: a creative approach to developing novel interactions for living with robots
Hanke et al. Embodied Ambient Intelligent Systems.
JP7113270B1 (ja) 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情報提供方法
Fellbaum The future: Communication in an ambient intelligence environment
WO2018183812A1 (en) Persistent companion device configuration and deployment platform
Savage et al. Disability Rights and Robotics
Pompe Robot applications for elderly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