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803B1 -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803B1
KR102651803B1 KR1020190127071A KR20190127071A KR102651803B1 KR 102651803 B1 KR102651803 B1 KR 102651803B1 KR 1020190127071 A KR1020190127071 A KR 1020190127071A KR 20190127071 A KR20190127071 A KR 20190127071A KR 102651803 B1 KR102651803 B1 KR 102651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4019A (en
Inventor
김안
강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803B1/en
Publication of KR2021004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8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8Bio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r,g,b)를 상기 제1 화소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상기 제2 화소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표시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대응되는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pixel and a second pixel; And based on the user health profile,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s converted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and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2 Display control unit converting to output data (R2, G2, B2); and wherein light output from at least on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light output from a corresponding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Description

생체리듬 기반 파장 가변 영상 표시 장치{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생체리듬 기반 파장 가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rhythm-based wavelength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발생, 생리, 대사, 행동 등 다양한 생명 현상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경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주기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인간을 포함한 대다수의 생명체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이러한 본질적인 주기성을 통칭하여 생체리듬(biological rhythm)이라 한다. Various life phenomena such as development, physiology, metabolism, and behavior show various types of periodic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tendency to maintain homeostasis. This essential periodicity commonly observed in most living organisms, including human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iological rhythm.

대다수의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몸도 생체 리듬에 따라 움직인다. 잠을 자고 일어나는 것, 몸 안의 호르몬 분비, 체온의 변화 등 인체에 일어나는 일들은 생체 리듬에 따라 변화한다.Like most living things, the human body moves according to biological rhythms. Things that happen to the human body, such as sleeping and waking up, secretion of hormones in the body, and changes in body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biorhythms.

현대인들은 대부분 바쁘게 일하고, 잠을 적게 자며, 생활 패턴이 불규칙하다. 이러한 환경적인 변화는 생체 리듬을 교란시킨다. 생체 리듬의 교란은 불면증, 우울증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Most modern people work too busy, sleep little, and have irregular life patterns. These environmental changes disrupt biological rhythms. Disruption of biological rhythms can cause diseases such as insomnia and depression.

빛은 생체리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데,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호르몬들을 매개로 하여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 따라서, 빛을 잘 활용하면 교란된 생체 리듬을 교정하고, 불면증, 우울증 등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Ligh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iological rhythms, and it regulates physiological functions through hormones that respond sensitively to it. Therefore, if light is utilized well, disturbed biological rhythms can be corrected and diseases such as insomnia and depression can be treated.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빛을 잘 활용하면 교란된 생체 리듬을 교정하고, 불면증, 우울증 등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나, 시판되는 광 치료 장비는 비용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개인이 구매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주로 병원과 같은 특정 시설에 설치되어 운영되므로 사용자의 접근성이 좋지 못하다.Proper use of light can correct disturbed biological rhythms and treat diseases such as insomnia and depressio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purchase commercially available light therapy equipment due to limitations such as cost, and it is mainly used in specific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Because it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 user accessibility is not good.

본 발명의 목적은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적인 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과 광치료 효과가 뛰어난 중심 파장대를 가지는 광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광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has a light source used in a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light source with a central wavelength band with excellent light therapy effect, so that the user can obtain a light therapy effect while watching the image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실시예를 가진다.As a mean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embodiments with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r,g,b)를 상기 제1 화소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상기 제2 화소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표시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대응되는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anel including a first pixel and a second pixel; And based on the user health profile,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s converted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and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2 Display control unit converting to output data (R2, G2, B2); wherein the light output from at least on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상기 제1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상기 제1 화소의 녹색(G)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녹색(G)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output from the green (G)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green (G)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상기 제1 화소의 적색(R)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적색(R)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output from the red (R)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red (R)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제2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의 중심파장은 460nm 내지 470nm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wavelength of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460 nm to 470 nm.

상기 표시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으로, 입력 데이터(r,g,b)를 상기 제1 화소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상기 제2 화소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converts input data (r, g, b)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on the first pixel and second output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pixel ( It is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R2, G2, B2).

여기서 x는 제1 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고, y는 제2 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며,where x is the weight value for the first pixel, y is the weight value for the second pixel,

p1은 적색(r) 서브화소, p2는 녹색(g) 서브화소, p3는 청색(b) 서브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다. p1 is the red (r) subpixel, p2 is the green (g) subpixel, and p3 is the weight value for the blue (b) subpixel.

상기 표시제어부는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 모드는 입력 데이터(r, g, b)와,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가 동일한 최적 시청모드;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데이터가 0의 값을 가지는 비 시청모드; 및 입력 데이터(r, g, b)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시청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비 시청모드에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r, g, b)를 무시하고, r,g,b를 최대 그레이 레벨의 값(8bit 데이터 기준으로 255)으로 하여 상기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sets a display mode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user health profile, and the display mode includes input data (r, g, b),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is the same optimal viewing mode; A non-viewing mod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has a value of 0; and a viewing mode that applies different weights to the input data (r, g, b) to convert them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It includes, and in the non-viewing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ignores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s r, g, and b to the maximum gray level value (255 based on 8-bit data).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IoT센서(70)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생성하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that collects the user's biorhythm through an IoT sensor 70 attached to the user, analyzes it, and generates a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이 생성한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생체건강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건강 확인부는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로 대체하여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하고,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biometric health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created by the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and the biometric health confirmation unit stores the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Compared to the normal person's health profile (B), if the difference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user's health temporary profile (A) is replac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normal person's health profile (B) to create a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user health temporary profile (A) is generated as the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는 표시 패널 상에 상하, 좌우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ixel and the second pixel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display panel.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pixel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pixel i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를 1열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xels are formed by arrang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in an alternating row on the display panel.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를 1행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xels are formed by arrang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in one row at a time on the 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형성하는 O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OLED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도포된 발광층(EML), 및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와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ncludes an OLED element forming a first pixel and a second pixel, and the OLED ele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 emitting layer (EML) appli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emitting layer. And,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host)와, 상기 호스트에 첨가하는 도펀트(dopant)를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와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emitting layer (EML) includes a host and a dopant added to the host, and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forming a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differently from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that forms the sub-pixel of the pixel (L1).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host)와, 상기 호스트에 첨가하는 도펀트(dopant)를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호스트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layer (EML) includes a host and a dopant added to the host, and the hos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mixed with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the same as the hos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pixel (L1).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형성하는 O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색 변환층(Color Conversion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색 변환층은 제1 화소(L1) 또는 제2 화소(L2) 중 어느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ncludes an OLED element forming a first pixel and a second pixel, and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color conversion layer, wherein the color conversion layer is the first pixel (L1) or the second pixel (L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ly in at least one sub-pixel constituting one of the pixels L2.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CD)로 구성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칼라필터(CF)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칼라필터(CF)와 다르게 형성하여 서브 화소에서 출력되는 광의 중심 파장이 제2 화소(L2)와 제1 화소(L2) 간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includes a color filter (CF) forming a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and a color filter (CF) forming a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CF)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wavelength of light output from the sub-pixel is different between the second pixel (L2) and the first pixel (L2).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CD)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서 백라이트 유닛(BLU)을 구성하는 LED는 중심 파장을 서로 달리하는 제1 LED와 제2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splay panel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the LED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BLU) in the display panel ar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first LED and a second LED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는 표시 패널 상에 상하, 좌우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d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LED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2 LED는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unit (BLU) is disposed directly under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first LED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LED is dispos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o it as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LED와 제2 LED를 1열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d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are arranged in one row in an alternating manner on the 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LED와 제2 LED를 1행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d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are arranged in one row in an alternating manner on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이 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일반 적인 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과 광치료 효과가 뛰어난 중심 파장대를 가지는 광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광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 source used in a general video display device and a light source with a central wavelength band excellent for phototherapy effect, so that the user can obtain the phototherapy effect while watching the imag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부착된 IoT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the user's biorhythm through an IoT sensor attached to the user and analyze it to create a user health profile.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중심 파장을 가지는 화소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교란된 생체 리듬 치료에 적합한 다양한 파장을 생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pixels with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to generate various wavelengths suitable for treating the user's disturbed biological rhythm.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계조 변조가 아니라, 생체 리듬 치료에 적합한 다양한 파장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체 리듬 치료 효과가 높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generating various wavelengths suitable for biorhythm therapy rather than simple gray level modulation, so the biorhythm treatment effect is hig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가 표시하는 광의 파장에 따른 에너지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표시 패널에 배치된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RGB 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RGB 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W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장치(LCD)구성된 경우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ixel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mount of energy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displayed by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5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xel structure when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GB OLED elements.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structure whe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GB OLED elements, and FIG. 11 is a top view.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structure whe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WOLED element, and FIG. 13 is a top view.
14 to 19 illustrate a case where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직접 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referred to as “on,”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is on th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y can be directly connected/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proportion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And/or” includes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configuration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Terms such as “below,” “on the lower side,” “above,” and “on the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expla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in the drawing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clude." Or “to have.” Terms such as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combinations of these is not excluded in advan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As the information society develops,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Recently,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re being used.

본 발명이 제공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일반 적인 영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원과 광치료 효과가 뛰어난 중심 파장대를 가지는 광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광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ght source used in a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light source with a central wavelength band excellent for phototherapy effect, so that a user can obtain a phototherapy effect while watching an imag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착용한 IoT 센서, 또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IoT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수집/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각성 효과를 주는 기능, 또는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기능 등, 교란된 생체 리듬을 교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analyzes the user's biological rhythm through an IoT sensor worn by the user or an IoT sensor attached to the user, and provides a function that provides an awakening effect to the user or improves the user's sleep. It can provide functions to correct disturbed biorhythms, such as non-disruptive functions.

표시 장치는 OLED, TFT-LCD, PDP, 또는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모니터, TV 등과 같은 전자 장치 그 자체일 수도 있고, 해당 전자 장치들의 영상 표시를 위한 부품일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b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n OLED, TFT-LCD, PDP, or LED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variety of devices that receive an image signal and display a corresponding image. The display devic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tself,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PC, laptop PC, monitor, TV, etc., or may be a component for displaying images of the electronic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며, 표시 장치(1)는 제어부(10),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전원 공급부(40) 및 표시 패널(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control unit 10, a gate driver 20, a data driver 30, a power supply unit 40, and a display panel 50.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S)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신호(RGB)는 복수의 계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CS)는 예를 들어,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메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 may receive an image signal (RGB) and a control signal (CS) from the outside. The image signal (RGB)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ayscale data. The control signal CS may include, for example,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main clock signal.

제어부(10)는 영상 신호(RGB) 및 제어 신호(CS)를 표시 패널(50)의 동작 조건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DATA),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2) 및 전원 공급 제어 신호(CONT3)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 processes the image signal (RGB) and control signal (CS) to sui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isplay panel 50, and generates image data (DATA), gate driving control signal (CONT1), and data driving control signal ( CONT2) and power supply control signal (CONT3) can be generated and output.

게이트 구동부(20)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표시 패널(50)의 화소(PX)들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구동 제어 신호(CONT1)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생성된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을 통해 화소(PX)들에 제공할 수 있다. The gate driver 20 may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of the display panel 50 through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The gate driver 20 may generate gate signals based on the gate drive control signal CONT1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The gate driver 20 may provide the generated gate signals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데이터 구동부(3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표시 패널(50)의 화소(PX)들과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DATA) 및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CONT2)에 기초하여, 데이터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들을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화소(PX)들에 제공할 수 있다.The data driv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of the display panel 50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The data driver 30 may generate data signals based on the image data DATA and the data drive control signal CONT2 output from the controller 10. The data driver 30 may provide the generated data signals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전원 공급부(40)는 복수의 전원 라인(PL1, PL2)들을 통해 표시 패널(50)의 화소(PX)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CONT3)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50)에 제공될 구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 전압은 예를 들어 고전위 구동 전압(ELVDD) 및 저전위 구동 전압(ELVS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0)는 생성된 구동 전압들(ELVDD, ELVSS)을 대응되는 전원 라인(PL1, PL2)을 통해 화소(PX)들에 제공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pixels PX of the display panel 50 through a plurality of power lines PL1 and PL2. The power supply unit 40 may generate a driving voltage to be provided to the display panel 50 based on the power supply control signal CONT3. The driving voltage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DD) and a low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SS). The power supply unit 40 may provide the generated driving voltages ELVDD and ELVSS to the pixels PX through the corresponding power lines PL1 and PL2.

표시 패널(50)에는 복수의 화소(PX)(또는, 서브 화소로 명명됨)들이 배치된다. 화소(PX)들은 예를 들어, 표시 패널(50) 상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pixels PX (or referred to as sub-pixels) ar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50. For example, the pixels PX may be arranged in a matrix form on the display panel 50.

각각의 화소(PX)는 대응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화소(PX)들은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 Each pixel (PX)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gate line and data line. These pixels PX may emit light with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gate signal and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gate lines GL1 to GLn and the data lines DL1 to DLm.

각각의 화소(PX)는 제1 내지 제3 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화소(PX)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각각의 화소(PX)는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화소(PX)들은 4개 이상의 색들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PX)는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 중 어느 하나의 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Each pixel (PX) can display one of the first to third colors. In one embodiment, each pixel PX may display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In another embodiment, each pixel PX may display one of cyan, magenta, and yellow. In various embodiments, pixels PX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ny one of four or more colors. For example, each pixel (PX) may display one of red, green, blue, and white.

제어부(10),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및 전원 공급부(40)는 각각 별개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구성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통합된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30) 및 전원 공급부(4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부(10)와 통합된 집적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0, gate driver 20, data driver 30, and power supply unit 40 may each be composed of a separate integrated circuit (IC) or may be composed of an integrated circui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grated circui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ata driver 30 and the power supply 4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circuit integrated with the control unit 10.

또한, 도 1에서는 게이트 구동부(20)와 데이터 구동부(30)는 표시 패널(50)과 별개의 구성 요소로써 도시되지만,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 패널(50)과 일체로 형성되는 인 패널(In Panel)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0)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방식에 따라 표시 패널(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FIG. 1, the gate driver 20 and the data driver 30 are shown as separate components from the display panel 50, but at least one of the gate driver 20 and the data driver 30 is used in the display panel 50. ) may be configured in an in-panel manner,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nel. For example, the gate driver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panel 50 according to a gate in panel (GIP) metho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pixel shown in FIG. 1.

도 2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과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되는 화소(PXij)를 예로써 도시한다. FIG. 2 shows a pixel (PXij) connected to the i-th gate line (GLi) and the j-th data line (DLj) as an example.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pixel PX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ST), a driving transistor (DT), a storage capacitor (Cst),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LD).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제1 전극(예를 들어, 소스 전극)은 j번째 데이터 라인(DLj)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은 제1 노드(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 전극은 i번째 게이트 라인(GLi)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으로 게이트 온 레벨의 게이트 신호가 인가될 때 턴 온되어, j번째 데이터 라인(DLj)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제1 노드(N1)로 전달한다.The first electrode (eg, sourc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j-th data line (DLj), and the second electrode (eg, drain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th gate line (GLi).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turned on when a gate signal of the gate on level is applied to the ith gate line (GLi) and transmits the data signal applied to the jth data line (DLj) to the first node (N1). .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은 제1 노드(N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은 고전위 구동 전압(ELVDD)을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N1)에 인가되는 전압과 고전위 구동 전압(ELVDD) 사이의 차이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DD. The storage capacitor Cst may be charged with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node N1 and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DD.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 전극(예를 들어, 소스 전극)은 고전위 구동 전압(ELVDD)을 제공받도록 구성되고, 제2 전극(예를 들어, 드레인 전극)은 발광 소자(LD)의 제1 전극(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1 노드(N1)를 통해 게이트 온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때 턴 온되고, 게이트 전극에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발광 소자(LD)를 흐르는 구동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eg,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DD), and the second electrode (eg, drain electrode)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high potential driving voltage (ELVDD). 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ode (e.g., anode electr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turned on when a gate-on level voltage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node N1, and controls the amount of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emitting device LD in response to the voltage provided to the gate electrode. You can.

발광 소자(LD)는 구동 전류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한다. 발광 소자(LD)는 레드, 그린 및 블루 중 어느 하나의 색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마이크로 내지 나노 스케일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초소형 무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발광 소자(LD)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The light emitting device LD outputs light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curr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LD can output light corresponding to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The light emitting device (LD)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n ultra-small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size ranging from micro to nano sca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evice LD is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에서 화소(PX)들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화소(PX)들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거나,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 및/또는 발광 소자(LD)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을 초기화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pixels PX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ixels PX have at least a voltage for compensating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or initializing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or the voltage of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LD. It may include one more element.

도 2에서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트랜지스터(DT)가 NMOS 트랜지스터인 예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PX)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는 P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트랜지스터(DT) 각각은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박막 트랜지스터,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저온 폴리 옥사이드(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LTPO)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witching transistor (ST) and the driving transistor (DT) are NMOS transistor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some or all of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each pixel PX may be configured as PMOS transistors. In various embodiments, the switching transistor (ST) and driving transistor (DT) are each implemented as a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thin film transistor, an oxide thin film transistor, or a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LTPO) thin film transistor. It can be implem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의 블록도이다.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 생체건강 확인부(12), 표시제어부(13)을 포함한다. The control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a biometric health confirmation unit 12, and a display control unit 13.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IoT센서(70)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생성한다. IoT센서(70)는 사용자의 멜라토닌, 코르티솔, 심부체온 등을 감지할 수 있다.The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collects the user's biorhythm through the IoT sensor 70 worn by the user or attached to the user, analyzes it, and generates a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The IoT sensor 70 can detect the user's melatonin, cortisol, and core body temperature.

이론적으로 우리 체내에서 일어나는 생체리듬을 갖는 모든 변화들은 일중 변동 양상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생체리듬을 평가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생체리듬의 평가방법은 예를 들어 멜라토닌 및 코르티솔의 농도, 심부체온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In theory, all changes that occur in our body that have a biological rhythm can be measured and the circadian rhythm can be evaluated based on this. Clinically applicable circadian rhythm evaluation methods can be assessed, for example, by measuring melatonin and cortisol concentrations and core body temperature.

멜라토닌(melatonin)은 뇌 속에 있는 송과선에서 만들어지는 천연 호르몬으로써, 인체의 자연적인 리듬을 통제하여 시계를 맞추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밤마다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멜라토닌 덕분에 우리는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있는 것이다. 멜라토닌은 전구체인 세로토닌으로부터 두 단계를 거쳐 만들어진다. 불을 끄면 더 잠이 잘 오는 것처럼, 들어오는 빛이 줄어들면 이미 만들어져 저장되어 있는 멜라토닌이 혈중으로 분비된다. 아침이 되면 혈중 멜라토닌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며, 사람의 몸에 청색광(중심파장이 대략 460nm)이 인지되면, 멜라토닌의 분비가 억제된다고 알려져 있다. Melatonin is a natural hormone produced by the pineal gland in the brain and plays a role in setting and controlling the clock by controlling the body's natural rhythm. Thanks to melatonin, which is secreted from the pineal gland every night, we can fall asleep comfortably. Melatonin is made in two steps from its precursor, serotonin. Just as you sleep better when you turn off the lights, when the light coming in decreases, melatonin that has already been made and stored is secreted into the blood. In the morning, the amount of melatonin in the blood decreases, so you wake up and start getting active. This melatonin induces sleep, and it is known that when blue light (center wavelength is approximately 460 nm) is recognized by the human body, the secretion of melatonin is suppressed.

코르티솔(cortisol)은 부신피질에서 발생하는 호르몬으로 사실은 몸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한다. 인체가 자극을 받으면 자극에 대항하는 힘을 만들게 되고, 근육에서 아미노산, 간에서 포도당, 지방조직에서 지방산을 추가로 분비시켜 소모된 에너지를 회복시킨다. 코르티솔의 혈중 농도의 최저점은 보통 자정에 관 찰이 되고, 최고점은 아침 9시경에 관찰된다. 코르티솔 농도는 잠이 들고 난 뒤 2-3시간 후부터 점차로 상승하기 시작해서, 아침 9시의 최고점까지 점차로 증가한다. 즉 낮 동안에는 저하되어 있다가, 밤이 되면 증가하기 시작하여 아침에 일어날 무렵 최대치에 도달한다.Cortisol is a hormone produced in the adrenal cortex that actually functions to restore the body. When the human body is stimulated, it creates a force to counteract the stimulus and additionally secretes amino acids from the muscles, glucose from the liver, and fatty acids from adipose tissue to recover the consumed energy. The lowest point in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is usually observed at midnight, and the highest point is observed around 9 a.m. Cortisol levels begin to gradually rise 2-3 hours after falling asleep, and gradually increase until they peak at 9 a.m. In other words, it decreases during the day, but begins to increase at night and reaches its maximum level around the time you wake up in the morning.

심부체온은 체내의 열 생성과 열 손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밤이 되면 혈관의 확장이 일어나면서 열 손실이 증가하게 되어 심부체온은 떨어 지고, 아침에는 열 생성이 시작되면서 심부체온이 상승하게 된다. 입면 시간과 수면 시간이 심부체온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심부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순간에 잠이 온다는 보고가 있다. Core body temperature i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heat production and heat loss within the body. Typically, at night, blood vessels dilate and heat loss increases, causing core body temperature to drop. In the morning, heat production begins and core body temperature rises. There are reports that bedtime and sleep time are related to core body temperature, and in particular, sleep occurs at the moment when core body temperature drops rapidly.

이렇듯 멜라토닌과 코르티솔의 농도 및 심부체온의 변동은 수면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멜라토닌과 코르티솔의 농도 및 심부체온의 변동을 측정하면 생체리듬을 파악할 수 있다.Since the concentrations of melatonin and cortisol and changes in core body temperature are related to sleep, biological rhythms can be identifi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melatonin and cortisol and changes in core body temperature.

생체건강 확인부(12)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이 생성한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생체건강 확인부(12)는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과 비교한다. The biometric health verification unit 12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ser health temporary profile A created by the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and generates the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Specifically, the biometric health verification unit 12 compares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with the previously stored health profile (B) of a normal person.

그리고,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과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로 대체하여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한다.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사용자의 생체 리듬에 일시적인 이상이 있거나, 또는 IoT센서(70)를 통하여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리듬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이다.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and the health profile (B) of a normal person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and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is stored in the pre-stored health profile. It is replaced with a normal person's health profile (B) and created as a user's regular health profile (C).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there is a temporary abnormality in the user's biological rhythm, or there is an error in the user's biological rhythm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oT sensor 70.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과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생체건강 확인부(12)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이 생성한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한다.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and the health profile (B) of a normal pers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biometric health verification unit 12 determines that the user's health temporary profile (A) generated by the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has an abnormality.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user health profile (A) and the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is created.

생체건강 확인부(12)가 생성한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은 표시제어부(13)에 전달되고, 표시제어부(13)는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에 기초하여 표시장치(1)를 제어한다. The user health constant profile (C) generated by the biometric health confirmation unit 12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3,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display device 1 based on the user health constant profile (C). do.

표시제어부(13)는 표시장치(1)의 영상 표시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제어부(13)는 표시 장치(1)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 모드는 시청모드(m1), 비 시청모드(m2), 최적 시청모드(m3)가 있으며, 시청모드(m1)는 세부적으로 치료 중시 모드(mm1)와 화질 중시 모드(mm2)로 나뉜다. 표시 모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3 generally controls the imag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3 can set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device 1. The display modes include viewing mode (m1), non-viewing mode (m2), and optimal viewing mode (m3), and viewing mode (m1) is further divided into treatment-oriented mode (mm1) and image quality-oriented mode (mm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isplay mode will be provided later.

표시제어부(13)는 표시 모드에 따라 서브 픽셀 렌더링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적색, 녹색, 청색의 입력 데이터(r, g, b)를 서브 픽셀 구조(배열)에 대응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는 제1 화소(L1)에 표시되고,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는 제2 화소(L2)에 표시된다. 출력 데이터는 서브 픽셀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휘도는 1024(10bit, 210) 계조, 256(8 bit, 28) 계조, 또는 64(6 bit, 26) 계조 등을 가질 수 있다. The display control unit 13 selects a sub-pixel render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and converts red, green, and blue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 first output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 structure (array). It can be converted into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is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is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L2). Output data may include luminance information of subpixels. The luminance may have a 1024 (10 bit, 2 10 ) gray level, a 256 (8 bit, 2 8 ) gray level, or a 64 (6 bit, 2 6 ) gray level.

표시제어부(13)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 모드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변환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표시제어부(13)는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30)로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부(30)는 출력 데이터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 패널(50)에 인가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 각각의 계조(그레이 레벨) 데이터이다. 출력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를 픽셀 구조(픽셀 배열)에 따라 서브 픽셀 렌더링하여 변환한 계조 데이터이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 receives input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and generates output data by converting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13 outputs output data to the data driver 30, and the data driver 30 converts the output data into a data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display panel 50. The input data is gradation (gray level) data of red, green, and blue, respectively. The output data is grayscale data converted by sub-pixel rendering of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pixel structure (pixel array).

입력 데이터(r, g, b)와,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의 관계식은 [수학식 1, 2]와 같다. The relational expressions between the input data (r, g, b),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are as shown in [Equations 1 and 2].

x는 제1 화소(L1)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에 대한 가중치 값이고, y는 제2 화소(L2)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에 대한 가중치 값이다. x is a weight value for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in the first pixel (L1), and y is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displayed in the second pixel (L2) This is the weight value for .

그리고, p1, p2, p3는 각각 적색(r), 녹색(g), 청색(b) 서브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다. And, p1, p2, and p3 are weight values for red (r), green (g), and blue (b) subpixels, respectively.

표시제어부(13)는 상기 수학식 1,2에 따라 계조 데이터인 입력 데이터에 감마 함수를 적용하고 휘도 데이터로 변환한 후 서브 픽셀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휘도 데이터에 역 감마 함수를 적용하고 계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1, 제2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13 applies a gamma function to input data that is grayscale data according to Equations 1 and 2, converts it to luminance data, renders subpixels, applies an inverse gamma function to the rendered luminance data, and converts it to grayscale data. By converting, first and second output data can be generated.

도 4는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가 표시하는 광의 파장에 따른 에너지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mount of energy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light displayed by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2종류의 화소,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를 구비한다. 제1 화소(L1)의 어느 하나의 서브 화소(R1, G1, 또는 B1)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L2)의 대응되는 서브 화소(R2, G2, 또는 B2)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진다.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types of pixels, a first pixel (L1) and a second pixel (L2),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The light output from one sub-pixel (R1, G1, or B1) of the first pixel (L1) is different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sub-pixel (R2, G2, or B2) of the second pixel (L2). It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예를 들어, 도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소(L2)는 제1 화소(L1)와 청색 서브 화소만 중심 파장이 다를 수 있다. 제1 화소(L1)의 청색 서브 화소는 중심 파장이 460nm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청색 광을 방출하고,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는 중심 파장이 460nm에 가까운 제2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화소(L1)의 청색 서브 화소는 어두운 청색(dark blue, deep blue) 광을 방출하고,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 밝은 청색(sky blue)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청색 광의 중심 파장은 제2 청색 광의 중심 파장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청색 광의 중심 파장은 425nm 내지 435nm 사이의 값일 수 있고, 제2 청색 광의 중심 파장은 450nm 내지 470nm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청색 광의 중심 파장은 430nm, 제2 청색 광의 중심 파장은 460nm가 되도록, 제1 화소(L1)의 청색 서브 화소와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 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a),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second pixel L2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ixel L1 only in the blue sub-pixel.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emits first blue light with a center wavelength far from 460 nm, and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emits second blue light with a center wavelength close to 460 nm. can do. For example,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may emit dark blue (deep blue) light, and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may emit bright blue (sky blue) light.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first blue light may be shorter than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second blue light.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first blue light may be between 425 nm and 435 nm, and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second blue light may be between 450 nm and 470 nm. For example,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and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may be formed so that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first blue light is 430 nm and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second blue light is 460 nm.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소(L2)는 제1 화소(L1)와 녹색 서브 화소만 중심 파장이 다를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b),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second pixel L2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ixel L1 only in the green sub-pixel.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소(L2)는 제1 화소(L1)와 적색 서브 화소만 중심 파장이 다를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4(c),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second pixel L2 may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ixel L1 only in the red sub-pixel.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화소(L2)의 청색, 녹색, 적색 서브 화소는 제1 화소(L1)의 청색, 녹색, 적색 서브 화소와 각각 대응되는 서브화소의 중심 파장이 다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d), the blue, green, and red sub-pixels of the second pixel (L2) are the centers of the sub-pixels corresponding to the blue, green, and red sub-pixels of the first pixel (L1), respectively. Wavelengths may be different.

제1 화소(L1)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생체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제2 화소(L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생체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광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광치료는 신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건강, 기분(mood), 행동, 학습을 향상시켜준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pixel L1 has a small effect on the biological rhythm, but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pixel L2 has a large effect on the biological rhythm and can have a phototherapy effect. Light therapy reduces physical stress and improves health, mood, behavior and learning.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멜라토닌의 생성 조절에 많은 효과를 가지는 파장이 짧은 청색 및 녹색을 발광하며, 필요시에는 일정 시간에 제한적인 치료의 목적으로 적색 빛을 조사하여 멜라토닌 생성 조절 및 치료 목적으로 안구에 빛을 조사하도록 형성하여 극대화된 치료효과를 제공한다. 멜라토닌의 적정한 생성 조절로 인해 우울증 치료, 수면장애 극복 및 노화 방지의 향상된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mits blue and green lights with short wavelengths, which are very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melatonin, and when necessary, irradiates red light for the purpose of limited treatment at a certain time to control the production of melatonin and irradiate the eye for treatment purposes. It is formed to irradiate light to provide maximized treatment effect.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melatonin, it can provide improved therapeutic effects in treating depression, overcoming sleep disorders, and preventing aging.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에서 제1 화소(L1)의 청색 서브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중심 파장이 460nm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멜라토닌 억제 효과가 미약하지만,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픽셀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중심 파장이 460nm에 가까우므로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has a weak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because the center wavelength is away from 460 nm, but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has a weak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The light emitted from has a central wavelength close to 460 nm, so it has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ecretion of melatonin.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드에 따라 2종의 청색 서브 화소를 적절히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각성 효과를 주거나, 사용자의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화소(L1)의 청색 서브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멜라토닌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므로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시켜 사용자를 각성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ovide a function of awakening the user or inducing the user to sleep by appropriately driving two types of blue sub-pixels according to the display mo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has little effect on the secretion of melatonin and does not disturb the user's sleep.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suppresses the secretion of melatonin and generates the effect of awakening the user.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제어부(13)는 표시 장치(1)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표시 모드는 시청모드(m1), 비 시청모드(m2), 최적 시청모드(m3)가 있으며, 시청모드(m1)는 세부적으로 치료 중시 모드(mm1)와 화질 중시 모드(mm2)가 있다. 상기 표시제어부(13)는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1)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control unit 13 can set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device 1, and the display modes include viewing mode (m1), non-viewing mode (m2), and optimal viewing mode (m3). (m1) specifically includes a treatment-focused mode (mm1) and an image quality-focused mode (mm2). The display control unit 13 may set the display mode of the display device 1 based on the user's constant health profile C.

시청모드(m1)의 경우, 표시제어부(13)는 입력 데이터(r, g, b)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한다. In the case of viewing mode (m1), the display control unit 13 applies different weights to the input data (r, g, b) to creat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 B2).

비 시청모드(m2)는 표시 장치(1)가 광치료 기능을 극대화한 경우이다. 비 시청모드(m2)의 경우, 표시제어부(13)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무시하고, 광치료 기능 극대화를 위해서 r,g,b를 최대 그레이 레벨의 값(8bit 데이터 기준으로 255)을 사용한다. 비 시청모드(m2)에서 제1 화소(L1) 또는 제2 화소(L2) 중 어느 하나는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다. 즉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데이터는 0의 값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비 시청모드(m2)에서 표시 장치(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일 컬러 영상만 표시한다.The non-viewing mode (m2) is when the display device 1 maximizes the light therapy function. In the case of non-viewing mode (m2), the display control unit 13 ignores image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sets r, g, and b to the maximum gray level value (255 based on 8-bit data) to maximize the phototherapy function. use. In the non-viewing mode (m2), either the first pixel (L1) or the second pixel (L2) does not output an image. 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has a value of 0. As a result, in the non-viewing mode (m2), the display device 1 does not display image data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but only displays a single color image.

최적 시청모드(m3)는 표시 장치(1)가 광치료 기능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에게 최적의 영상시청을 제공하는 모드로서, 표시제어부가 입력 데이터(r, g, b)를 변환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최적 시청모드(m3)에서는 입력 데이터(r, g, b)와,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가 동일하다. The optimal viewing mode (m3) is a mod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 minimizes the phototherapy function and provides optimal image viewing to the user, and is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oes not convert the input data (r, g, b). That is, in the optimal viewing mode (m3), the input data (r, g, b),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are the same.

입력 데이터(r, g, b)와,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의 관계식은 [수학식 1, 2]와 같으며, 표시 모드에 따라, 표시제어부(13)가 [표 1]의 알고리즘 파라미터에 따라 청색의 입력 데이터(r, g, b)를 서브 픽셀 구조(배열)에 대응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한다. The relational expressions between the input data (r, g, b),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are as in [Equations 1 and 2], and the display mode Accordingly, the display control unit 13 converts blue input data (r, g, b)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 structure (array) according to the algorithm parameters of [Table 1]. and converted into second output data (R2, G2, B2).

[표 1]에 제시된 파라미터 x, y, p1, p2, p3의 조합은 예시일 뿐이며,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반드시 [표 1]에 제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bination of parameters x, y, p1, p2, and p3 presented in [Table 1]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determined empiricall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in [Table 1].

도 5 내지 도 8은 표시 패널(50)에 배치된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5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2종류의 화소,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를 구비한다.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는 표시 패널(50)에서 다양한 배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5 내지 도 8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의 배치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types of pixels, a first pixel (L1) and a second pixel (L2),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may have various arrangement shapes in the display panel 50, and FIGS. 5 to 8 are only examples, and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pixel L2 is not limited to this.

도 5의 실시예는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는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가 치료효과가 있는 시청 모드(m1, mm1, mm2)로 동작하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색감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up-down, left-right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are arranged uniformly, so that the user feels the color The difference may be relatively small.

도 6의 실시예는 표시 패널(50)의 중앙부에 제1 화소(L1)가 배치되고, 제2 화소(L2)가 외곽부에 배치된 구조이다. The embodiment of FIG. 6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ixel (L1)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50, and the second pixel (L2) i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도 7의 실시예는 제1 행은 제1 화소(L1)가 배치되고, 제2 행은 제2 화소(L2)가 반복되어 배치된 구조이다. The embodiment of FIG. 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ixel (L1)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pixel (L2)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second row.

도 8의 실시예는 제1 열은 제1 화소(L1)가 배치되고, 제2 열은 제2 화소(L2)가 반복되어 배치된 구조이다.The embodiment of FIG. 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ixel (L1)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pixel (L2)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second row.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표시 패널(50)의 중앙부에 제1 화소(L1)가 배치되고, 제2 화소(L2)가 외곽부에 배치하는 경우, 또는 도 7이나,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를 1열씩, 혹은 1행씩 교차로 배치하는 경우, 표시 패널(50) 제조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When the first pixel L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50 and the second pixel L2 is disposed at the outer por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6 , o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7 or FIG. 8 Similarly, when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are arranged alternately in one column or one row,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50 is easy.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50)에 중심 파장이 서로 다른 제1 화소(L1)와 제2 화소(L2)를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도 9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how to implement the first pixel L1 and the second pixel L2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in the display panel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9.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RGB 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다.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xel structure when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GB OLED elements.

OLED소자는 제1 전극(예를 들면, 애노드: Anode)과 제2 전극(예를 들면, 캐소드: Cathode)에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EML)에서 재결합할 때의 여기 과정에서 여기자(exciti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하여 발광한다. OLED는 발광층(EML)에서 발생하는 빛의 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RGB OLED 방식은 red, green, blue에 해당하는 각각의 서브화소(sub pixel)들을 독립적으로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발광층(EML)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OLED devices generate excitons (excitations) during the excitation process when holes and electrons injected from the first electrode (e.g.,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e.g., cathode) recombine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 is formed and emits light due to the energy from the exciton. OLED displays images by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The RGB OLED method independently forms sub-pixels corresponding to red, green, and blue. 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in the emitting layer (EML),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can be achieved.

OLED소자가 방출하는 광의 중심 파장은 발광층(EML)의 에너지 밴드갭에 따라 결정된다. 에너지 밴드갭은 발광층(EML)의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OLED소자는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와 다르게 형성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2종류의 화소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The central wavelength of light emitted by an OLED device is determined by the energy band gap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The energy band gap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 of the emitting layer (EML). In an OL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two types of pixels with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발광층(EML)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녹색, 적색, 청색의 발광 파장이 결정된다. 발광층의 구조는 색순도 향상과 효율 특성 향상을 위하여 단일재료보다는 호스트(host)에서 생성된 여기자가 도펀트(dopant)로 전이하여 발광하는 시스템인 호스트/도펀트 시스템을 주로 이용한다. 여기서 호스트는 발광층의 주재료이고, 도펀트는 호스트에 첨가하는 부재료에 해당한다. 이때 발광층에 적용되는 유기물질의 고유 파장에 따라 여러 가지 발광색을 구현할 수 있는데 호스트와 도펀트의 구성비를 원하는 소자의 발광 특성에 따라 조정하게 된다.Depending on the material used in the emitting layer (EML), the green, red, and blue emission wavelengths are determined. The structure of the light-emitting layer mainly uses a host/dopant system, which is a system in which excitons generated in the host transition to a dopant and emit light, rather than a single material, to improve color purity and efficiency characteristics. Here, the host is the main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dopant is a secondary material added to the host. At this time, various light-emitting colors can be realized depending on the unique wavelength of the organic material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layer,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host and dopa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ight-emitting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d device.

일반적으로 호스트는 높은 에너지 갭을 가지며, 호스트에서 형성된 여기자(excition)는 보다 낮은 에너지 갭을 갖는 도펀트로 에너지 전이를 이룬다. Generally, a host has a high energy gap, and excitons formed in the host transfer energy to a dopant with a lower energy gap.

호스트 물질은 적색보다 짧은 파장 영역의 색을 발광하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컨대 녹색 호스트 물질 또는 청색 호스트 물질일 수 있으며, 이 중에 적색 파장 영역에 가까운 녹색 호스트 물질일 수 있다. 도펀트 물질은 적색 도펀트 물질 및 적색보다 짧은 파장 영역의 색을 발광하는 녹색 도펀트 물질일 수 있다.The host material may be a material that emits a color with a wavelength shorter than red, for example, a green host material or a blue host material. Among these, it may be a green host material closer to the red wavelength region. The dopant material may be a red dopant material or a green dopant material that emits a color with a wavelength shorter than 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2종류의 화소를 구비하도록,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와 다르게 형성하였다. 도펀트와 달리 호스트 재료는,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와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간에 반드시 달라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선택에 따라 동일하더라도 서브 화소가 발광하는 중심파장이 다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types of pixels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and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used to correspond to the dopant material.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1) was formed differently. Unlike the dopant, the host material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fferent between the sub-pixels of the second pixel (L2) and the corresponding sub-pixels of the first pixel (L1), and depending on selection, the central wavelength at which the sub-pixels emit light may be different even if they are the same. .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RGB 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평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structure whe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RGB OLED elements, and FIG. 11 is a top view.

도 10,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의 중심 파장을 제1 화소(L2)의 중심 파장과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색 변환층(Color Conversion Layer)을 추가하였다. 색 변환층은 QD(quantum dot) 필름 또는 나노셀로 구현할 수 있다. 10 and 11, a color conversion layer was added to make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different from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first pixel (L2). The color conversion layer can be implemented as a QD (quantum dot) film or nanocell.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WOLED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의 화소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평면도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structure whe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WOLED element, and FIG. 13 is a top view.

WOLED 방식은 단색(흰색, white) OLED 소자에 컬러 필터(color Filter, C/F)를 설치하고 흰색광을 투과시켜 컬러를 재현하는 방식이다. WOLED 방식과 전술한 RGB OLED 방식은 색상구현을 OLED 소자가 직접 하느냐 아니냐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The WOLED method is a method that reproduces color by installing a color filter (C/F) on a monochromatic (white) OLED device and transmitting white light. The WOLED method and the aforementioned RGB OLED method can be distinguished by the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he OLED device directly implements color.

WOLED 방식에서 모든 서브 화소에 형성된 발광층(EML) 재질은 동일하게 구성되어, 모든 OLED 소자가 동일 색상인 흰색을 발광한다. 그리고 색상구현은 컬러필터를 이용해서 구현한다. 컬러필터는 각 서브화소의 OLED가 발광한 흰색광을 적색(R)으로 변환하는 적색 칼라필터, 녹색(G)으로 변환하는 적색 칼라필터, 및 청색(B)으로 변환하는 청색 칼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WOLED 방식에서 하나의 화소는 3개(R,G,B) 또는 4개(R,G,B,W)의 서브화소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WOLED method,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material formed in all sub-pixels is composed of the same material, so all OLED elements emit the same color, white. And the color is implemented using a color filter. The color filter consists of a red color filter that converts the white light emitted by the OLED of each sub-pixel into red (R), a red color filter that converts it into green (G), and a blue color filter that converts it into blue (B). You can. In the WOLED method, one pixel can be composed of three (R, G, B) or four (R, G, B, W) sub-pixels.

반면에 RGB OLED 방식은 색상구현을 각 서브 화소의 OLED 소자가 직접 한다. R, G, B 적색(R) 서브 화소에 형성된 발광층(EML)은 적색 파장을 발광하는 적색 발광층, 녹색(G) 서브 화소에 형성된 발광층(EML)의 재질은 녹색 파장을 발광하는 녹색 발광층, 청색(B) 서브 화소에 형성된 발광층(EML)의 재질은 청색 파장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층으로 형성된다.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층의 색상(중심 파장)은 발광층(EML)의 에너지 밴드갭에 따라 결정되고, 에너지 밴드갭은 발광층(EML)의 재료에 따라 결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GB OLED method, the OLED element of each sub-pixel directly implements color. R, G, B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ed in the red (R) sub-pixel is a red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red wavelengths, and the material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formed in the green (G) sub-pixels is a green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green wavelengths, and the material is blue. (B)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ed in the sub-pixel is made of a blue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blue wavelengths. As previously mentioned, the color (center wavelength) of the light-emitting layer is determined by the energy band gap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and the energy band gap is determined by the material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RGB OLED 방식에서는 각 서브 화소의 색상(R,G,B)마다 발광층(EML)의 재질을 달리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방식이 복잡하고 대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반면에 WOLED 방식은 각 서브 화소의 색상마다 발광층(EML)의 재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RGB OLED 방식보다 제조 방식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WOLED 방식은 TV 제품 등 대형 디스플레이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In the RGB OLED method, the material of the emitting layer (EML) must be different for each color (R, G, B) of each sub-pixel, so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apply to large displays. On the other hand, the WOL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r than the RGB OLED method because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is the same for each color of each sub-pixel. The WOLED method is widely used in large displays such as TV products.

도 12,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제2 화소(L2)의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 서브 화소의 중심 파장을 제1 화소(L2)의 대응하는 서브화소의 중심 파장과 다르게 하기 위해서, 색 변환층(Color Conversion Layer)을 추가하였다. 색 변환층은 QD(quantum dot) 필름 또는 나노셀로 구현할 수 있다. 12 and 13, color conversion is performed to make the center wavelengths of the red, green, blue, and white sub-pixels of the second pixel L2 different from the center wavelengths of the corresponding sub-pixels of the first pixel L2. A color conversion layer was added. The color conversion layer can be implemented as a QD (quantum dot) film or nanocell.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장치(LCD)구성된 경우이다. 14 to 19 illustrate a case where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도 14의 실시예서는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에 사용된 칼라필터(CF)를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에 사용된 칼라필터(CF)를 다르게 적용하여,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의 중심 파장을 제1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의 중심 파장과 다르게 구성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2 화소(L2)의 청색 서브 화소뿐만 아니라, 적색 녹색 서브 화소에 사용된 칼라필터(CF)를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4, the color filter (CF) used in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applied differently to the color filter (CF) used in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blue sub-pixel of the pixel (L2)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center wavelength of the blu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L2). However, if necessary, the color filter (CF) used for the red and green sub-pixels as well as the blu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may be applied differently.

도 15 내지 도 19의 실시예에서는 LCD로 이루어진 표시 패널(5)에서 백라이트 유닛(BLU)을 구성하는 LED는 중심 파장을 서로 달리하는 제1 LED(L1)와 제2 LED (L2)로 구성될 수 있다.15 to 19, the LED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BLU) in the display panel 5 made of LCD are composed of a first LED (L1) and a second LED (L2)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You can.

제1 LED(L1)는 제2 LED(L2)와 중심 파장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ED(L1)가 방출하는 청색 광 영역은 460nm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청색 광을 방출하고, 제2 LED(L2)가 방출하는 청색광 영역은 460nm에 가까운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The first LED (L1) may have a different center wavelength from the second LED (L2). For example, the blue light region emitted by the first LED (L1) may emit first blue light distant from 460 nm, and the blue light region emitted by the second LED (L2) may emit blue light close to 460 nm. there is.

제1 LED(L1)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생체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지만, 제2 LED(L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생체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광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LED(L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광치료는 신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건강, 기분(mood), 행동, 학습을 향상시켜준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ED (L1) has a small effect on the biological rhythm, but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D (L2) has a large effect on the biological rhythm and can have a phototherapy effect. For exampl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D (L2) may have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secretion of melatonin. Light therapy reduces physical stress and improves health, mood, behavior and learning.

도 15의 실시예는 엣지(edge)형으로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BLU)의 예이다. The embodiment of FIG. 15 is an example of a backlight unit (BLU) arranged in an edge shape.

도 16 내지 도 19의 실시예는 직하(direct) 방식으로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BLU)의 예이다. 16 to 19 are examples of a backlight unit (BLU) arranged in a direct manner.

도 16의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BLU)의 구조는 제1 LED(L1)와 제2 LED(L2)가 상하, 좌우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LED(L1)와 제2 LED(L2)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가 치료효과가 있는 시청 모드(m1, mm1, mm2)로 동작하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색감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16, the structure of the backlight unit (BLU) is such that the first LED (L1) and the second LED (L2)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D (L1) and the second LED (L2) are arranged uniformly, so the color sense felt by the user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1 operates in the therapeutic viewing mode (m1, mm1, mm2) The difference may be relatively small.

도 17의 실시예에서, 백라이트 유닛(BLU)의 구조는 중앙부에 제1 LED(L1)가 배치되고, 제2 LED(L2)가 외곽부에 배치된 구조이다. 제2 화소(L2)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제1 화소(L1)로부터 방출되는 광보다, 영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색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화소(L2)를 외곽부에 배치할 경우, 사용자에게 색감의 위화감 인지 정도를 낮출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17, the structure of the backlight unit (BLU) is such that the first LED (L1)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second LED (L2) i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pixel (L2) may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lower color quality in expressing an image than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pixel (L1). However, the second pixel (L2) may be placed on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perceives color discomfort can be reduced.

도 18의 실시예는 제1 행은 제1 LED(L1)가 배치되고, 제2 행은 제2 LED(L2)가 반복되어 배치된 구조이다. The embodiment of FIG. 1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ED (L1)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LED (L2)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second row.

도 19의 실시예는 제1 열은 제1 LED(L1)가 배치되고, 제2 열은 제2 LED(L2)가 반복되어 배치된 구조이다.The embodiment of FIG. 19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LED (L1)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LED (L2)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second row.

도 7이나,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제1 LED(L1)와 제2 LED(L2)를 1열씩, 혹은 1행씩 배치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BLU) 내지 표시 패널(50) 제조 공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When the first LED (L1) and the second LED (L2) are arranged in one row or one row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7 or Figure 8,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cklight unit (BLU) or display panel 50 is easy. There is one advantage.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

1: 표시장치
10: 제어부
11: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
12: 생체건강 확인부
13: 표시제어부
20: 게이트 구동부
30: 데이터 구동부
40: 전원 공급부
50: 표시 패널
70: IoT 센서
1: Display device
10: control unit
11: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2: Biological health verification department
13: Display control unit
20: Gate driver
30: data driving unit
40: power supply unit
50: display panel
70: IoT sensor

Claims (23)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고 상기 복수개의 화소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r,g,b)를 상기 제1 화소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상기 제2 화소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표시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대응되는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표시제어부는 사용자 건강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 모드는
입력 데이터(r, g, b)와,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가 동일한 최적 시청모드;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력 데이터가 0의 값을 가지는 비 시청모드; 및
입력 데이터(r, g, b)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시청모드; 를 포함하고,
상기 비 시청모드에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r, g, b)를 무시하고, r,g,b를 최대 그레이 레벨의 값(8bit 데이터 기준으로 255)으로 하여 상기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including a first pixel and a second pixel; and
Based on the user health profile,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are combined with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on the first pixel. a display control unit that converts second output data (R2, G2, B2) displayed on the second pixel; Including,
The light output from at least one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corresponding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The display control unit sets a display mode of th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user's health profile,
The display mode is
An optimal viewing mode in which the input data (r, g, b),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are the same;
A non-viewing mod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the second output data (R2, G2, B2) has a value of 0; and
A viewing mode in which input data (r, g, b) is converted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Including,
In the non-viewing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ignores the input data (r, g, b)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sets r, g, and b as the maximum gray level value (255 based on 8-bit data), and displays the first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rted into output data (R1, G1, B1) and second output data (R2, G2, B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녹색(G)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녹색(G)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ght output from the green (G)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green (G)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의 적색(R)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은, 제2 화소의 적색(R)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과 서로 다른 중심파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light output from the red (R) sub-pixel of the first pixel has a different central wavelength from the light output from the red (R)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제1항에 있어서,
제2 화소의 청색(B) 서브 화소가 출력하는 광의 중심파장은 460nm 내지 470nm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central wavelength of light output from the blue (B)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is 460 nm to 47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부는 하기 수학식으로, 입력 데이터(r,g,b)를 상기 제1 화소에 표시되는 제1 출력 데이터(R1, G1, B1)와 상기 제2 화소에 표시되는 제2 출력 데이터(R2, G2, B2)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여기서 x는 제1 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고, y는 제2 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며,
p1은 적색(r) 서브화소, p2는 녹색(g) 서브화소, p3는 청색(b) 서브화소에 대한 가중치 값이다.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control unit converts input data (r, g, b) into first output data (R1, G1, B1) displayed on the first pixel and second output data displayed on the second pixel (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conversion to (R2, G2, B2).


where x is the weight value for the first pixel, y is the weight value for the second pixel,
p1 is the red (r) subpixel, p2 is the green (g) subpixel, and p3 is the weight value for the blue (b) subpix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부착된 IoT센서(70)를 통하여 사용자의 생체리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생성하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ideo display device is
A video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that collects the user's biorhythm through an IoT sensor (70) attached to the user and analyzes the user's biorhythm to generate a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건강 프로파일 생성 모듈(11)이 생성한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생체건강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건강 확인부는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기 저장된 정상인의 건강 프로파일(B)로 대체하여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하고,
그 차이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 건강 임시 프로파일(A)을 사용자 건강 상시 프로파일(C)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biometric health confirmation unit that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temporary user health profile (A) created by the health profile creation module (11),
The biological health verification department
By comparing the user's temporary health profile (A) with the previously stored health profile of a normal person (B),
If the differenc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user health temporary profile (A) is replaced with the previously stored health profile of a normal person (B) to create a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a user health temporary profile (A) is generated as a user health permanent profile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는 표시 패널 상에 상하, 좌우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pixel and the second pixel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pixel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pixel is disposed at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를 1열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pixels are formed by arrang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in an alternating row on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화소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화소와 제2 화소를 1행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pixels are formed by arrang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in one row at a time on the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형성하는 O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OLED 소자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도포된 발광층(EML), 및 상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재료와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OLED elements form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The OLED devic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 emitting layer (EML) appli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emitting layer,
An imag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host)와, 상기 호스트에 첨가하는 도펀트(dopant)를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도펀트 재료와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includes a host and a dopant added to the hos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dopant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Video display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host)와, 상기 호스트에 첨가하는 도펀트(dopant)를 포함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호스트 재료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발광층(EML)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includes a host and a dopant added to the host,
The host material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ost material of the light-emitting layer (EML)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video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화소 및 제2 화소를 형성하는 OLED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색 변환층(Color Conversion Layer)을 포함하되, 상기 색 변환층은 제1 화소(L1) 또는 제2 화소(L2) 중 어느 하나의 화소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소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panel includes OLED elements forming first pixels and second pixels,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color conversion layer, wherein the color conversion layer is formed only in at least one sub-pixel constituting either the first pixel (L1) or the second pixel (L2).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CD)로 구성되고,
제2 화소(L2)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칼라필터(CF)를, 대응되는 제1 화소(L1)의 서브 화소를 형성하는 칼라필터(CF)와 다르게 형성하여 서브 화소에서 출력되는 광의 중심 파장이 제2 화소(L2)와 제1 화소(L2) 간에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panel consist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color filter (CF) forming the sub-pixel of the second pixel (L2)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color filter (CF) forming the sub-pixel of the corresponding first pixel (L1), so that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sub-pixel An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ixel (L2) and the first pixel (L2) are diffe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LCD)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서 백라이트 유닛(BLU)을 구성하는 LED는 중심 파장을 서로 달리하는 제1 LED와 제2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panel consist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LED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BLU) in the display panel is a video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rst LED and a second LED having different center wavelength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LED와 상기 제2 LED는 표시 패널 상에 상하, 좌우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In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LED and the second LED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n a display pane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LED는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2 LED는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In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 image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LED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second LED is disposed in the out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LED와 제2 LED를 1열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In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rranging first LEDs and second LEDs in alternating rows on the display panel.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BLU)이 직하(direct)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1 LED와 제2 LED를 1행씩 교차로 배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9,
In the display panel, the backlight unit (BLU) is arranged directly,
An ima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arranging first LEDs and second LEDs in alternating rows on the display panel.
KR1020190127071A 2019-10-14 2019-10-14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KR1026518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71A KR102651803B1 (en) 2019-10-14 2019-10-14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71A KR102651803B1 (en) 2019-10-14 2019-10-14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19A KR20210044019A (en) 2021-04-22
KR102651803B1 true KR102651803B1 (en) 2024-03-28

Family

ID=7573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71A KR102651803B1 (en) 2019-10-14 2019-10-14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803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5167B2 (en) * 2008-10-01 2016-07-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KR102063611B1 (en) * 2013-08-19 2020-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photo-therapy image, and display device
KR20160055555A (en) * 2014-11-10 2016-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386112B1 (en) * 2015-07-30 2022-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2549216B1 (en) * 2015-11-02 2023-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user profile
KR102447506B1 (en) * 2016-01-05 2022-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19A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294B1 (en)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692528B2 (en) Image display device
JP3820265B2 (en) Display device
CN106328056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its driving method
RU2491105C2 (en) Method and system for photic and physiological stimuli supply
US9474119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backlight module
US2006000709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53359A (en)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reof
CN105047147B (en) The metho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of image are compensated based on light adaptation
KR20130126396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0162214A (en) Light irradiation apparatus
KR102651803B1 (en) Biorhythm-based tunable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93900A (en) Display apparatus
TWI358713B (en) Displaying mothod
JP2012053433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119888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an e-paper display
TW200910296A (en) Active display device and mixing type pixel driving method in active display device
CN117677926A (en) Dynamic supply voltage compensation for different segments of a display area
CN105637575B (en) Active matrix/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its method for saving energy
KR100599731B1 (en)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164464A (en) Display device
KR10062731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16533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65862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11545082B1 (en) Method for hybrid pulse amplitude and width modulation in led drivers for display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