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21B1 -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 Google Patents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21B1
KR102651121B1 KR1020210052609A KR20210052609A KR102651121B1 KR 102651121 B1 KR102651121 B1 KR 102651121B1 KR 1020210052609 A KR1020210052609 A KR 1020210052609A KR 20210052609 A KR20210052609 A KR 20210052609A KR 102651121 B1 KR102651121 B1 KR 10265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weighing
fine dust
si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5697A (en
Inventor
조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
Priority to KR102021005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21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01N5/02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by absorbing or adsorbing components of a material and determining change of weight of the adsorbent, e.g.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는, 외부와 차단된 칭량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캐리어와,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매거진 유닛과, 본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매거진 유닛이 삽입되어 필터 캐리어를 칭량공간으로 노출시키는 필터 사일로와,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칭량유닛과,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매거진 유닛과 칭량유닛으로 필터 캐리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필터 캐리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과, 칭량공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습도조절유닛을 포함한다.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is provided that can more clear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ed with a weighing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a filter carrier on which a filter for measuring fine dust is seated, a magazine unit into which a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are removably inserted, and a main body. It is formed in a filter silo in which a plurality of magazine units are inserted to expose the filter carrier to the weighing space, a weig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ilter, and a magazine unit and a weig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It includes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filter carrier, an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transfer unit to identify the filter carrier, and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that maintain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weighing space.

Description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that can more clear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먼지를 뜻한다. 미세먼지는 입자가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 미세먼지 농도를 판단하기 어려우며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야외활동을 하기 전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고 야외활동 유무를 결정한다. 최근에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세먼지의 농도도 상승하고 있어 그 날의 미세먼지 농도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 중 하나가 되었다.Fine dust refers to dust whose particles are so small that they cannot be seen. Because the particles of fine dust are small,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with the naked eye, and because it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many people check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fore engaging in outdoor activities and decide whether or not to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Recently,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s been increasing, and the daily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s become one of people's main concerns.

이러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에 빛을 비추어 빛의 굴절 정도를 통해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미세먼지의 무게를 저울로 칭량(Weighing)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도 미세먼지 칭량 방법은, 미세먼지 자체의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온도, 습도 혹은 밀폐정도에 따라 칭량값이 쉽게 변하여 측정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도, 미세먼지 무게 측정 공간의 온도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조의 미세먼지 칭량 장치가 있었다.Representative methods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lude shining light on air containing fine dust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through the degree of refraction of the light,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by weighing the weight of the fine dust with a scale. There is a way to do it. Among them, in the fine dust weighing method, since the weight of fine dust itself is very light, the weight value easily changes depending on temperature, humidity, or degree of sealing, so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easurement space constant. Accordingly, in the past, there was a fine dust weighing device with a structure that always kep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ine dust weight measurement space constant.

그러나 종래의 미세먼지 무게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를 측정 공간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문을 열고 삽입하는 구조로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외부 공기가 측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측정 공간의 온도와 습도값이 일시적으로 크게 변동되어 미세먼지 무게 측정값의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ine dust weight measuring device has a structure of simply opening the door and inserting the filter that collects fine dust into the measurement space, which has the problem of allowing a large amount of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measurement space in the process.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of the measurement space temporarily fluctuated significantly, resulting in a large error in the fine dust weight measurement valu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5990호(2017. 09. 2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5990 (2017. 09. 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보다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that can more clear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는, 외부와 차단된 칭량공간이 형성된 본체,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캐리어, 복수 개의 상기 필터 캐리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매거진 유닛,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거진 유닛이 삽입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상기 칭량공간으로 노출시키는 필터 사일로,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칭량유닛,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매거진 유닛과 상기 칭량유닛으로 상기 필터 캐리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식별하는 식별유닛, 상기 칭량공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습도조절유닛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ormed with a weighing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a filter carrier on which a filter for measuring fine dust is seated, a magazine unit into which a plurality of the filter carriers are detachably inserted, and the main body. Formed, a filter silo in which a plurality of the magazine units are inserted to expose the filter carrier to the weighing space, a weig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ilter, and a weig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and the magazine It includes a unit and a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filter carrier to the weighing unit, an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transfer unit to identify the filter carrier, and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that keep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weighing space constant.

상기 필터 사일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매거진 유닛이 삽입되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silo may include a frame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a partition dividing the inside of the frame to form a slot into which the magazine unit is inserted.

상기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사일로를 덮어 내부를 밀폐하는 사일로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ilo door par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over the filter silo and seal the interior.

상기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는,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 사일로의 내측에 상기 슬롯부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door unit installed for each slot unit inside the filter silo locat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open and close the slot unit.

상기 내부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슬롯부 내부로 돌출된 개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매거진 유닛이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면 상기 매거진 유닛이 상기 개방돌기를 밀어 상기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The inner door part includes a door hinged to the frame and an op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oor into the slot part, and when the magazine unit is inserted into the slot part, the magazine unit pushes the opening protrusion to open the door. can be opened.

상기 매거진 유닛은, 상기 개방돌기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돌출된 돌출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gazine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ding pressing portion whos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pening protrusion protrudes into a curved surface.

상기 개방돌기는, 상기 돌출가압부와 접하는 면에 접촉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 protrus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roll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상기 프레임과 상기 내부 도어부 사이를 탄성결합하여 상기 내부 도어부를 닫는 탄성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도어부의 개방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couples between the frame and the inner door portion to close the inner door portion, and a recognition portion installed on the frame to recognize an open state of the inner door portion.

상기 필터 캐리어는, 상면에 상기 필터가 안착되며, 중앙에 상기 칭량유닛의 측정판이 통과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측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필터안착부; 및 상기 필터안착부의 측부에 상기 필터를 구별하는 정보가 표시돼 상기 식별유닛이 인식하는 식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arrier includes a filter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easuring plate of the weighing unit passes in the center, and a cut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it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display unit on the side of the filter seating unit wher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filter is displayed and recognized by the identification unit.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필터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파지하는 포크; 및 상기 포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필터와 접하여 상기 필터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접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ork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arrier to hold the filter carri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ground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fork and contacts the filter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from the filter.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먼지의 농도를 매우 정밀하게 칭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각각의 필터에 고유의 번호를 자동으로 부여하여 항량부터 칭량까지 과정의 정보를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어 필터 관리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weigh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very precisely. In particular, a unique number is automatically assigned to each filter, allowing information on the process from constant weight to weighing to be stored and checked, making filter management very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공간과 외부 사이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필터를 측정 공간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측정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ilter into the measurement space by double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ine dust measurement space and the outside,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easurement space can always be kept const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필터 사일로와 매거진 유닛를 따로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필터 사일로와 매거진 유닛를 따로 후면에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도어부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파지유닛과 필터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칭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미세먼지 무게 측정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silo and magazine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separately from the front.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silo and magazine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separately from the rear.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inner door part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ping unit and filter carrier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ighing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9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fine dust in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Figures 10 to 16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1)는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에 각각 고유의 번호나 코드를 지정하여 필터의 항량부터 칭량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데이터화 하여 정보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칭량공간(11)은 사일로 도어부(12)와 내부 도어부(도 4의 150참조)에 의해 2중으로 밀폐되어 온도와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를 칭량공간(11)으로 삽입하기 위해 사일로 도어부(12)를 열어도, 내부에 내부 도어부(도 4의 150참조)가 닫혀 있는 이중 밀폐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칭량공간(11)의 온도와 습도 유지와 상관없이 사일로 도어부(12)를 자유롭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 도어부(도 4의 150참조)는 필터를 칭량공간(11)으로 삽입하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열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fine dust automatic weig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igns a unique number or code to each filter for collecting fine dust and automatically performs all processes from the constant weight of the filter to weighing. You can easily manage information by converting it into data. In addition, the weighing space 11 inside the main body 10 is double sealed by the silo door part 12 and the inner door part (see 150 in FIG. 4),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always be kept constant. Accordingly, even if the silo door part 12 is opened to insert the filter into the weighing space 11, it is formed as a double sealed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door part (see 150 in FIG. 4) is closed inside, so the user can enter the weighing space. The silo door part (12)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aintained in (11). In addition, the inner door part (see 150 in FIG.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opens automatically only when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weighing space 11, making it easy to us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1)는 외부와 차단된 칭량공간(11)이 형성된 본체(10)와,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캐리어(300)와,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매거진 유닛(200)과, 본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매거진 유닛(200)이 삽입되어 필터 캐리어(300)를 칭량공간(11)으로 노출시키는 필터 사일로(100)와, 칭량공간(11)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칭량유닛(600)과, 칭량공간(11) 내부에 설치되어 매거진 유닛(200)과 칭량유닛(600)으로 필터 캐리어(300)를 이송하는 이송유닛(400)과, 이송유닛(400)에 설치되어 필터 캐리어(300)를 식별하는 파지유닛(500)과, 칭량공간(11) 내부의 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습도조절유닛(700)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with a weighing space 11 blocked from the outside, a filter carrier 300 on which a filter for measuring fine dust is mounted, and a plurality of filters. A magazine unit 200 into which the carrier 300 is removably inserted, and a filter silo 100 formed in the main body into which a plurality of magazine units 200 are inserted to expose the filter carrier 300 to the weighing space 11. ) and a weighing unit 600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11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ilter, and a filter carrier 300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11 with the magazine unit 200 and the weighing unit 600. ), a transfer unit 400 that transfers the filter, a gripping unit 500 installed on the transfer unit 400 to identify the filter carrier 300,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that keep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he weighing space 11 constant. Includes unit 700.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1)는 크게, 온습도조절유닛(700)에 의해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이 유지되는 칭량공간(11)에서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사일로(100)와, 필터 사일로(100)에 수용되어 있는 필터를 칭량유닛(600)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00)과, 이송된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칭량유닛(600)으로 구성된다. 이때, 필터는 필터 캐리어(도 7의 300참조)에 수용된 상태로 이송된다.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rised of a filter silo (100) that accommodates a filter in a weighing space (11) where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are maintained by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700), and a filter silo. It consists of a transfer unit 400 that transfers the filter accommodated in 100 to the weighing unit 600, and a weighing unit 600 that measures the weight of the transferred filter. At this time, the filter is transported while accommodated in a filter carrier (see 300 in FIG. 7).

본체(10)는 필터를 칭량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로 내부에 밀폐된 칭량공간(11)을 형성한다. 본체(10)는 칭량공간(11)에서 행해지는 칭량과정을 육안으로 들여다 보기 위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칭량과정에서 움직임이나 변화가 없는 구간은 불투명한 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온습도조절유닛(700)이 수용되는 하단부는 불투명창으로 형성되고, 이송유닛(400) 및 칭량유닛(600)이 수용되는 상단부는 투명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내부에 밀폐된 빈 공간인 칭량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인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형상으로 본체(10)를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장치의 구현 방식이나 전체적인 구조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본체(10)를 형성해 줄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a structure that forms a space for weighing the filter, and forms a sealed weighing space 11 therein. The main body 10 can be made transparent to visually inspect the weighing process performed in the weighing space 11, and the section where there is no movement or change in the weighing process can be formed as an opaque window. For example, in Figure 2, the lower portion w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700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as an opaque window, and the upper portion where the transfer unit 400 and the weighing unit 600 may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as a transparent window. The main body 10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weighing space 11, which is a sealed empty space insid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limit understanding of the main body 10 to the shape shown. The main body 10 can be form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r overall structure of the device.

필터 사일로(100)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필터를 수용하고. 수용된 필터를 칭량공간(11)으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필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 캐리어(도 7의 300참조)에 안착된 상태로 필터 사일로(100)에 수용된다. 본체(10) 는 필터 사일로(100)와 중첩되는 위치에 사일로 도어부(12)가 형성되어, 사일로 도어부(12)를 통해 필터 사일로(100)의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필터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사일로(100)는 칭량공간(11) 방향 측면에 내부 도어부(150)가 형성되어 필터 사일로(100)의 내측면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 사일로(100)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내부 도어부(150)와 사일로 도어부(12)가 형성되어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이중 도어 구조로 형성된다. 필터 사일로(100)의 개폐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filter silo 100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ccommodates a filte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It functions to expose the accommodated filter to the weighing space (11). At this time, the filter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silo 100 while being seated on the filter carrier (see 300 in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 has a silo door 12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ilter silo 100, so that a filter can be inserted by temporarily ope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silo 100 through the silo door 12. You can. In addition, the filter silo 100 has an internal door 150 formed on th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weighing space 11,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silo 100 can be opened and closed. In other words, the filter silo 100 has a double door structure in which an inner door 150 and a silo door 12 are form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respectively,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filter silo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한편, 이송유닛(400)은 필터 사일로(100)에 수용된 필터 캐리어(도 7의 300참조)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송유닛(400)은 필터 사일로(100)의 칭량공간(11) 측면에 위치하여 필터 사일로(100)의 후방에서 필터 캐리어(300)를 뽑아 내어 이송할 수 있다. 잠시 도 6을 참조하면, 이송유닛(400)은 본체(10)에 설치되는 고정축(410)과, 고정축(410)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하는 제1 이동축(420)과, 제1 이동축(420)을 기준으로 앞뒤로 이동하는 제2 이동축(430)과, 필터 캐리어(300)를 파지하는 파지유닛(500)을 포함한다. 이때, 파지유닛(500)은 제2 이동축(430)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송유닛(400)은 파지유닛(500)을 3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400)은 필터 사일로(100)에 삽입된 필터 캐리어(300)를 칭량유닛(600)으로 이송하거나, 칭량유닛(600)에서 칭량이 완료된 필터 캐리어(300)를 다시 필터 사일로(100)로 이송 및 회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유닛(400)은 필터 사일로(100)와 칭량유닛(600)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transfer unit 400 functions to transfer the filter carrier (see 300 in FIG. 7) accommodated in the filter silo 100. The transfer unit 40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weighing space 11 of the filter silo 100 and can extract and transfer the filter carrier 300 from the rear of the filter silo 100. Referring to FIG. 6 for a moment, the transfer unit 400 includes a fixed shaft 41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a first moving shaft 420 that moves left and right based on the fixed shaft 410, and a first It includes a second moving axis 430 that moves back and forth based on the moving axis 420, and a gripping unit 500 that grips the filter carrier 300. At this time, the gripping unit 500 can move up and down based on the second moving axis 430.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400 can freely move the gripping unit 500 in three axes. The transfer unit 400 transfers the filter carrier 300 inserted into the filter silo 100 to the weighing unit 600, or transfers the filter carrier 300 that has been weighed in the weighing unit 600 back to the filter silo 100. It can be transported and recovered.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400 can move within a range that can reach the filter silo 100 and the weighing unit 600.

칭량유닛(600)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 캐리어(300)에 수용된 필터의 무게를 칭량한다. 칭량유닛(600)은 칭량공간(11)에서 필터 사일로(1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필터 캐리어(300)를 필터 사일로(100)로부터 이송하는 이송유닛(400)의 이동 반경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칭량유닛(600)은 필터 사일로(10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평면상에 이송유닛(400)이 위치할 수 있다.The weighing unit 60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filter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rrier 300. The weighing unit 60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lter silo 100 in the weighing space 11 to minimize the movement radius of the transfer unit 400 that transfers the filter carrier 300 from the filter silo 100. You can. That is, the weighing unit 600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ilter silo 100, and the transfer unit 400 may be located on a plane spaced apart at a certain interval.

한편, 온습도조절유닛(700)은 본체(10)의 하단에 위치하여, 본체(10) 내부의 칭량공간(11)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온습도조절유닛(700)은 칭량유닛(60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칭량공간(11)의 온습도를 유지한다. 온습도조절유닛(7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온도와 습도 값에 따라 원하는 온습도로 조절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7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serves to keep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weighing space 11 inside the main body 10 constan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7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ing unit 600 and maintain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weighing space 11.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700 can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the desired leve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input by the user.

도 3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필터 사일로와 매거진 유닛를 따로 정면에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필터 사일로와 매거진 유닛를 따로 후면에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silo and magazine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 1 separately from the front,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silo and magazine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 1 separately from the rear. am.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사일로(100)는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의 내측 빈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30)과, 프레임(120)과 격벽(13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20)은 전후방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내부에 관통된 빈 공간을 형성하고, 격벽(130)은 이러한 프레임(120)의 내부를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수 개의 슬롯부(140)를 형성한다. 필터 사일로(100)는, 특히, 복수 개의 슬롯부(140)를 포함하여 각각의 슬롯부(140)에 필터가 수용된 매거진 유닛(200)이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로 필터 사일로(100)는 복수 개의 매거진 유닛(200)을 각각 독립적인 슬롯부(140)에 수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filter silo 100 includes a frame 120 fixed to the main body 10, a partition wall 130 dividing the empty space inside the frame 120, and the frame 120. and a slot portion 140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30. The frame 12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open front and rear sides, forming an empty space penetrated inside, and the partition wall 130 divides the inside of the frame 120 into spaces of a certain size to form a plurality of slot portions 140. forms. The filter silo 100, in particular, includes a plurality of slot parts 140, and a magazine unit 200 containing a filter is inserted into each slot part 140. With this structure, the filter silo 100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magazine units 200 in each independent slot portion 140.

필터 사일로(100)는 개방된 전면으로 매거진 유닛(200)이 삽입되고, 후면에는 내부 도어부(150)가 위치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매거진 유닛(200)은 내부 도어부(150)와 접하는 면적이 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가압부(210)를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매거진 유닛(200)은 슬롯부(14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돌출가압부(210)를 통해 내부 도어부(150)를 가압하여 자동으로 필터 사일로(100)의 후면을 개방하며, 이에 따라 매거진 유닛(200)의 내부 공간이 칭량공간(11)으로 노출된다. 즉, 내부 도어부(150)는 매거진 유닛(200)의 삽입 유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는 구조이다. 필터 사일로(100)는 칭량공간(11)측과 외측을 항상 차단할 수 있어 외측의 공기가 칭량공간(11)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칭량공간(11)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용이하다.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open front of the filter silo 100, and the inner door 150 is located at the rear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The magazine unit 200 includes a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whose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door portion 150 protrudes into a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4, when the magazine unit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140, the magazine unit 200 automatically opens the rear of the filter silo 100 by pressing the inner door portion 150 through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Accordingly, the internal space of the magazine unit 200 is exposed as the weighing space 11. That is, the inner door 15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or not. The filter silo (100) can always block the weighing space (11) side and the outside, preventing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weighing space (11) and making it easy to keep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weighing space (11) constant. do.

또한, 필터 사일로(100)는 슬롯부(140)의 개폐 유무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부(170)를 포함한다. 인식부(170)는 프레임(12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의 내부 도어부(15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배열된다. 인식부(170)는 내부 도어부(150)가 닫히는 경우 가압되어 인식되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물리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혹은 인식부(170)는 물리적 접촉 없이 전자기파 등을 방출하여 내부 도어부(150)의 위치를 인식하는 근접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식부(170)는 스위치나 근접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도어부(150)의 개폐 여부만을 인식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filter silo 100 includes a recognition unit 170 that can recognize whether the slot unit 140 is open or closed. A plurality of recognition units 170 ar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rame 120 to correspond to each inner door unit 150. The recognition unit 170 may be physically recognized, such as a limit switch that is recognized by being pressed when the inner door unit 150 is closed. Alternatively, the recognition unit 170 may be formed as a proximity sensor that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inner door unit 150 by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without physical contact. The recognition unit 170 is not limited to a switch or a proximity sensor,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long as it can recognize whether the inner door unit 150 is opened or closed.

매거진 유닛(200)은 필터 사일로(100)에 탈착 가능하며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가 수용되는 보관함으로,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를 그룹지어 필터 사일로(100)에 삽입하는 기능을 한다. 매거진 유닛(200)은 일측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측으로 필터 캐리어(300)가 삽입된다. 매거진 유닛(200)의 내측면에는 필터 캐리어(30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220)가 형성된다. 가이드바(220)는 매거진 유닛(200)의 양단의 내측면에 동일 평면상에 한 쌍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쌍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가이드바(220)는 개방된 일측 끝단에 필터 캐리어(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221)이 단차를 형성하며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턱(221)은 매거진 유닛(200)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필터 캐리어(300)가 쏟아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스토퍼의 기능을 할 수 있다.The magazine unit 200 is detachable from the filter silo 100 and is a storage box that accommodates a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300, and functions to group the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300 and insert them into the filter silo 100. The magazine unit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ox with one side open, and the filter carrier 300 is inserted into the open side. A guide bar 2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gazine unit 200 to guide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lter carrier 300. A pair of guide bars 220 is formed on the same plane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magazine unit 200, and a plurality of pair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certain distance apart. The guide bar 220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221 at one open end that prevents the filter carrier 300 from leaving, forming a step and protruding. The locking protrusion 221 can function as a stopper by preventing the filter carrier 300 from falling out even when the magazine unit 200 is tilted.

또한, 매거진 유닛(200)은 일측면이 투명창(230)으로 형성되어 매거진 유닛(200) 내부의 필터 캐리어(300)의 삽입 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투명창(23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매거진 유닛(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도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230)은 슬롯부(140)의 단면적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매거진 유닛(200)은 슬롯부(140)에 삽입되는 경우 투명창은 슬롯부(140)를 관통하지 않고 외측 테두리가 프레임(120)과 격벽(130)에 중첩되어 슬롯부(14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투명창(230)은 매거진 유닛(200)과 필터 사일로(100) 사이의 틈새를 덮어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매거진 유닛(200)은 필터 사일로(100)에 삽입되는 측면의 상하 양단면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돌출가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가압부(210)는 필터 사일로(10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필터 사일로(100)의 뒷면에 닫혀있던 내부 도어부(150)를 가압하여 열 수 있으며, 이들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magazine unit 200 is formed with a transparent window 230,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ith the naked eye whether or not the filter carrier 300 is inserted into the magazine unit 200. A handle may also be formed on the transparent window 230 to allow the user to move the magazine unit 200 by hand. The transparent window 230 is formed with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lot portion 140. That is, when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140, the transparent window does not penetrate the slot portion 140, but the outer edge overlaps the frame 120 and the partition wall 130 to form a transparent window of the slot portion 140. It can cover the front. Accordingly, the transparent window 230 can cover and block the gap between the magazine unit 200 and the filter silo 100. In addition, the magazine unit 200 may include a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whose upper and lower end surfaces of the side inserted into the filter silo 100 are inclined and protrude. When the protruding pressing part 2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lter silo 100, it can pressurize and open the inner door part 150 that was closed on the back of the filter silo 100. The operation process of the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Explain.

한편, 각각의 슬롯부(140)의 상단 혹은 하단에는 한 쌍의 표시등(111, 112)이 위치하며, 표시등(111, 112)은 항량 과정을 나타내는 항량 표시등(111)과 칭량 과정을 나타내는 칭량 표시등(112)을 포함한다. 매거진 유닛(200)은 슬롯부(140)에 삽입되게 되면, 24시간 동안의 일정한 온도와 습도의 조건에서 항량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항량 표시등(111)은 항량 과정의 진행 사항을 유색의 빛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진행 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칭량 표시등(112)은 항량 과정을 거친 필터의 무게 칭량 과정의 진행사항을 항량 표시등(111)과는 다른 유색의 빛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진행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항량 표시등(111)과 칭량 표시등(112)은 매거진 유닛(200)의 진행 사항을 표시하여, 하나의 매거진 유닛(200)에 삽입된 복수 개의 필터에 대한 정보를 한번에 표시한다.Meanwhile, a pair of indicator lights 111 and 112 are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of each slot portion 140, and the indicator lights 111 and 112 indicate the constant weight indicator 111 and the weighing process. It includes a weighing indicator light 112 that indicates. When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140, it undergoes a constant weight process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24 hours. At this time, the constant weight indicator light 111 can display the progress of the constant weight process with colored light to intuitively provide the progress to the user. In addition, the weighing indicator light 112 displays the progress of the weighing process of the filter that has undergone the constant weight process with a colored light different from the constant weight indicator light 111,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understand the progress. At this time, the constant weight indicator light 111 and the weighing indicator light 112 display the progress of the magazine unit 200 and display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filters inserted into one magazine unit 200 at once.

더 나아가, 매거진 유닛(200) 내부에는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용된다. 필터 캐리어(300)는 측부에 고유의 식별표시부(320)가 위치하며 매거진 유닛(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된 일측으로 식별표시부(320)가 노출될 수 있다. 즉, 매거진 유닛(200)이 필터 사일로(100)에 삽입되고, 내부 도어부(150)가 개방됨에 따라, 필터 캐리어(300)의 식별표시부(320)는 칭량공간(11)으로 노출된다. 이때, 파지유닛(500)이 식별표시부(320)를 인식하여 각각의 필터 캐리어(300)에 수용된 필터를 구분하고 데이터화 할 수 있다. 이들의 인식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Furthermore, within the magazine unit 200, a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300 are accommoda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carrier 300 has a unique identification display portion 320 located on the side, and when inserted into the magazine unit 200, the identification display portion 320 may be exposed to one open side. That is, as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silo 100 and the inner door part 150 is opened, the identification display part 320 of the filter carrier 300 is exposed to the weighing space 11. At this time, the holding unit 500 can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to distinguish the filters accommodated in each filter carrier 300 and convert them into data. These recognition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5는 도 4의 내부 도어부의 동작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inner door part of Figure 4.

도 5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도어부(150)는 필터 사일로(100)의 후면에 복수 개가 결합되어 각각의 슬롯부(140)의 후면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 도어부(150)는 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어 슬롯부(140)의 후방을 개폐하는 도어(151)와, 도어(151)로부터 슬롯부(140) 내부로 돌출되는 개방돌기(152)를 포함한다. 개방돌기(152)는 도어(151)가 닫힌 상태에서 슬롯부(14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평면의 도어(151)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다. 이러한 개방돌기(152)는 수평면을 형성하며 돌출되고, 수평면의 하단으로 접촉롤러(153)가 결합된다. 접촉롤러(153)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가압부(210)의 가압력을 내부 도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접촉롤러(153)는 수평면의 하단에 축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롤러(153)는 돌출가압부(210)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재로, 적당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표면이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소재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접촉롤러(153)는 돌출가압부(210)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축(161)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도어(15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61)에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도어(151)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프레임(120)과 내부 도어부(150)를 탄성결합하여 내부 도어부(150)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4, a plurality of inner door parts 150 ar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ilter silo 100 and function to open and close the rear of each slot part 140. The inner door part 150 includes a door 151 that is hinged to the frame 120 and opens and closes the rear of the slot part 140, and an opening protrusion 152 that protrudes from the door 151 into the slot part 140. Includes. The opening protrusion 152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flat door 151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140 when the door 151 is closed. These open protrusions 152 protrude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and a contact roller 153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surface. The contact roller 15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pressing force of the protruding pressing part 210 can be transmitted to the inner door part 150. The contact roller 153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a horizontal surface or may be formed as one piece. The contact roller 153 is a memb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 appropriate elastic force, or may be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with a material such as silicon or rubber. The contact roller 153 is pressed by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and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161 to open the door 151. At this time, an elastic member is formed on the rotation axis 161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automatically close the door 151. The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uples the frame 120 and the inner door 150 and functions to automatically close the inner door 150.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도어부(150)는 슬롯부(140)로 삽입되는 매거진 유닛(200)의 돌출가압부(210)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돌출가압부(210)는 내부 도어부(150)의 접촉롤러(153)와 중첩되도록 위치하여 접촉롤러(153)를 밀어내며 도어(151)를 개방할 수 있다. 돌출가압부(210)는 접촉롤러(153)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돌출가압부(210)는 곡면으로 접촉롤러(153)를 밀어내며, 접촉롤러(153)는 이러한 곡면을 따라 이동하여 부드럽게 도어(151)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촉롤러(153)와 돌출가압부(210)는 내부 도어부(150)를 자동으로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door portion 150 may be opened by being pressed by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of the magazine unit 200 inserted into the slot portion 14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ressing part 210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contact roller 153 of the inner door part 150 and pushes the contact roller 153 to open the door 151.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has a curved surface that contacts the contact roller 153.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210 pushes the contact roller 153 along a curved surface, and the contact roller 153 moves along this curved surface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door 151. That is, the contact roller 153 and the protruding pressing par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inner door part 150 to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and smoothly.

도 6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파지유닛과 필터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nsfer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pping unit and filter carrier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도 6을 참조하면, 이송유닛(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유닛(500)을 포함하고, 파지유닛(500)을 3축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3축은 고정축(410)과, 제1 이동축(430)과, 제2 이동축(430)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축(410)은 본체(10)에 고정 설치되며, 제1 이동축(420)은 고정축(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제2 이동축(430)은 제1 이동축(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파지유닛(500)은 제2 이동축(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ransfer unit 400 includes the gripping unit 5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gripping unit 500 can be freely moved along three axes. At this time, the three axes include a fixed axis 410, a first moving axis 430, and a second moving axis 430. As described above, the fixed shaft 4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the first moving shaft 4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shaft 410, and the second moving shaft 430 is 1 I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axis 420, and the gripping unit 500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oving axis 430.

도 7을 참조하면, 파지유닛(500)은 필터 캐리어(300)를 파지하고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파지유닛(500)은 제2 이동축(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530)과, 하우징(530)의 일측에서 집게 형상으로 연장되는 포크(510)와, 포크(510)의 상단면에 돌출되는 접지돌기(52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파지유닛(500)은 하우징(530)에 수용되는 접근센서(540)와 식별유닛(5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gripping unit 500 functions to grip and transport the filter carrier 300. The gripping unit 500 includes a housing 530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moving axis 430, a fork 510 extending in a pincer shape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530, and It includes a ground protrusion 52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ork 510. Furthermore, the gripping unit 500 includes an access sensor 540 and an identification unit 55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530.

하우징(530)은 포크(510)와 근접하는 일측면에 접근센서(540)를 수용한다. 접근센서(540)는 포크(510)에 필터 캐리어(300)가 파지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식별유닛(550)는 접근센서(540)와 같이 하우징(530) 내부에 수용되며, 접근센서(540)의 상단에 위치하여 필터 캐리어(300)의 일측면에 새겨진 식별표시부(320)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식별표시부(320)는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의 일측에 위치하여 고유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식별표시부(320)는 바코드나 큐알코드와 같이 쉽게 정보를 저장하고 인식할 수 있는 코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식별유닛(550)는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식별표시부(320)가 숫자나 그림의 이미지로 형성되는 경우, 식별유닛(550)는 이미지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별표시부(320)와 식별유닛(550)는 서로 고유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The housing 530 accommodates the access sensor 540 on one side adjacent to the fork 510. The access sensor 540 functions to recognize whether the filter carrier 300 is held by the fork 510.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unit 55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530 like the access sensor 540, an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access sensor 540 and has an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engraved on one side of the filter carrier 300. It has a recognition function.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300 and includes uniqu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may be in the form of a code that can easily store and recognize information,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unit 550 may be formed as a scanner capable of scanning codes. Furthermore, when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is formed as an image of a number or a picture, the identification unit 550 may be formed as a camera capable of image recogni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and the identification unit 550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as long as they can recognize each other's unique information.

포크(510)는 하우징(53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필터 캐리어(300)를 물리적으로 파지하는 기능을 한다. 포크(510)는 상단면이 평평한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터 캐리어가 상단면에 안착된다. 포크(510)는 한 쌍의 집게의 상단면에 각각 돌출되는 접지돌기(520)가 위치한다. 접지돌기(520)는 필터 캐리어(300)에 수용되는 필터(a)와 접하여 정전기를 제거한다. 접지돌기(52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 혹은 각기둥 형상 혹은 얇은 와이어 등, 필터(a)와 접지될 수 있다면 어떤 형상이든 상관없이 변형이 가능하다. 접지돌기(520)는 필터(a)의 무게를 칭량하기 전, 필터(a)의 정전기를 제거하여 무게 칭량 과정에서 정전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무게 오차율을 줄여줄 수 있다.The fork 51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530 and functions to physically grasp the filter carrier 300. The fork 510 is formed in the shape of pincers with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filter carri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fork 510 has ground protrusions 520 tha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s of a pair of tongs, respectively. The ground protrusion 5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a)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rrier 300 and removes static electricity. The grounding protrusion 520 can be transformed into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grounded with the filter (a), such 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ertain height, a prismatic shape, or a thin wire. The ground protrusion 520 can reduce the weight error rate that may occur due to static electricity during the weighing process by removing static electricity from the filter (a) before weighing the filter (a).

한편, 필터 캐리어(300)는 필터(a)를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필터(a)가 안착되는 필터안착부(310)와 고유의 정보가 새겨진 식별표시부(3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필터 캐리어(300)는 필터(a)를 수용하며 동시에 필터(a)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여, 복수 개의 필터(a)를 손쉽게 데이터화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 캐리어(300)는 칭량 과정에서 칭량유닛(600)의 측정판(6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며 측정판(610)에 필터(a)를 안착시키기 위해, 중앙에 관통구(311)가 형성된다. 관통구(311)는 필터(a)보다는 작고 측정판(610)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관통구(311)는 둘레를 따라 단차가 형성되어, 단차가 형성된 부분에 필터(a)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311)는 측부에는 필터 캐리어(300)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12)가 형성된다. 절개부(312)는 포크(510)의 개방된 일측 방향과 중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 14 및 도 15 사이의 과정에서, 포크(510)와 필터 캐리어(300)가 측정판(610) 하단의 기둥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lter carrier 300 functions to accommodate the filter (a) and includes a filter seating portion 310 on which the filter (a) is seated and an identification display portion 320 with unique information engraved on it. In other words, the filter carrier 300 accommodates the filter (a) and at the same time assign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filter (a), allowing a plurality of filters (a) to be easily converted into data and managed. The filter carrier 300 mov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measuring plate 610 of the weighing unit 600 to the lower part during the weighing process, and has a through hole 311 in the center to seat the filter (a) on the measuring plate 610. is formed The through hole 311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lter (a) and larger than that of the measuring plate (610). A step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311, so that the filter (a) can be seated in the portion where the step is formed.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311 has a cut portion 312 formed on the side where a portion of the filter carrier 300 is cut. The cut portion 312 is located overlapping with the open side of the fork 510. This structure can allow the fork 510 and the filter carrier 300 to pass through the pillar at the bottom of the measuring plate 610 in the process between FIGS. 14 and 15.

도 8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칭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ighing unit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도 8을 참조하면, 칭량유닛(600)은 필터의 무게를 칭량하기 위한 무게측정장치이며, 측정판(610)에 필터를 안착시켜 미세저울(620)로 필터의 무게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판(610)은 투명실린더(630)의 내부에 위치하여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공간과 칭량공간(11)을 단절한 상태로 필터의 무게를 측정한다. 투명실린더(63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631)를 포함하여, 개구부(631)를 통해 필터를 삽입할 수 있다. 특히, 투명실린더(63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터가 측정판(610)에 안착된 경우, 회전하여 개구부(631)를 폐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weighing unit 600 is a weight measuring device for weighing the weight of a filter. The filter is placed on the measuring plate 610 and the weight of the filter is measured using a microbalance 620. At this time, the measuring plate 610 is located inside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filter while disconnecting the spa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lter and the weighing space 11.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includes an opening 631 with one side open, and a filter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631. In particular,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that when the filter is seated on the measuring plate 610, it can rotate to close the opening 631.

도 9는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미세먼지 무게 측정 방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Figure 9 is a flowchart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fine dust in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1)를 통한 미세먼지 무게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필터를 이용해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이전에 필터만의 무게를 측정한 후,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의 포집 전후 필터 무게 차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무게를 측정한다. 즉, 미세먼지 무게 측정 방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필터만의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과 미세먼지를 포집한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fine dust using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before collecting fine dust using a filter, the weight of the filter alone is measured, then the weight of the filter containing fine dust is measured, and the weight of the filter before and after collecting fine dust is measur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filter. Measure the weight. In other words, the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fine dus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steps, and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lter alone and the process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lter that collects the fine dust are arranged sequentially.

먼저, 필터만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필터 캐리어(300)가 장착된 매거진 유닛(200)을 필터 사일로(100)에 장착한다. 이후 파지유닛(500)의 식별유닛(550)를 통해 필터 캐리어(300)의 식별표시부(320)를 스캔하여 각각의 필터를 데이터화한다. 이후 필터를 24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 노출하는 항량과정을 거친다. 항량과정을 마친 필터를 칭량유닛(600)으로 이송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다시 매거진 유닛(200)으로 회수한다. 이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순수 필터만의 무게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매거진 유닛(200)을 필터 사일로(100)로부터 빼내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공간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며, 미세먼지가 포집된 필터가 수용된 매거진 유닛(200)을 다시 필터 사이로 삽입한다.First, the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the filter alone is as follows. The magazine unit 200 equipped with the filter carrier 300 is mounted on the filter silo 100. Thereafter, the identification display unit 320 of the filter carrier 300 is scann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550 of the grip unit 500 to convert each filter into data. Afterwards, the filter goes through a constant weight process in which it is exposed to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for 24 hours. After completing the constant weight process, the filter is transferred to the weighing unit (600), its weight is measured, and it is returned to the magazine unit (200). Through this process, users can precisely measure the weight of pure filters alone. Afterwards, the user removes the magazine unit 200 from the filter silo 100 to collect fine dust in the space whe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to be measured, and inserts the magazine unit 200 containing the filter containing the fine dust back between the filters. .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전의 필터만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우선, 24시간의 항량과정을 거친 후 칭량유닛(600)을 통해 미세무게를 칭량한다. 결과적으로, 미세먼지를 포집한 후의 필터무게와 포집 이전의 필터 무게의 차이값을 통해 미세먼지의 무게를 파악할 수 있다.The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a filter containing fine dus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method of measuring the weight of only the filter. First, after going through a constant weighing process for 24 hours, the fine weight is weighed through the weighing unit 600. As a result, the weight of fine dust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lter weight after collecting fine dust and the weight of the filter before collection.

도 10 내지 도 16은 도 1의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의 작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도이다.Figures 10 to 16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of Figure 1.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가 안착된 복수 개의 필터 캐리어(300)를 수용하고 있는 매거진 유닛(200)을 필터 사일로(100)에 장착하게 되면 내부 도어부(150)가 자동으로 오픈된다. 이때, 매거진 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된 필터가 칭량공간(11)으로 노출되어 칭량공간(11)의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 노출되며, 24시간 동안 항량 과정을 거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magazine unit 200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filter carriers 300 on which filters are seated is mounted on the filter silo 100, the inner door 150 is automatically opened. At this time, the filter accommodated inside the magazine unit 200 is exposed to the weighing space 11, is exposed to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f the weighing space 11, and undergoes a constant weight process for 24 hours.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된 필터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파지유닛(500)은 해당하는 필터 캐리어(300)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식별유닛(550)을 이용해 노출된 식별표시부(320)를 통해 각 필터 캐리어(300)의 정보를 인식한다. 즉, 식별유닛(550)을 통해 필터 캐리어(300)의 정보를 읽고 저장하여 해당하는 필터 캐리어(300)의 삽입 시간 및 상태를 관리한다. 파지유닛(500)은 필터 캐리어(300)의 삽입시간 및 칭량공간(11)의 노출시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거진 유닛(200)이 필터 사일로(100)에 삽입된 후 24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항량 표시등(111)을 통해 항량과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혹은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매거진 유닛(200) 전체의 진행과정뿐만 아니라, 각각의 필터 캐리어(300)의 진행 과정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필터 캐리어의 항량 조건, 시간 혹은 칭량 과정, 결과 등을 보기 쉽게 배열하여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order to recognize information on the inserted filter, the gripping unit 500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ilter carrier 300 and identifies the exposed identification display portion 320 using the identification unit 550. Information on each filter carrier 300 is recognized through . 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filter carrier 300 is read and stor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unit 550 to manage the insertion time and status of the corresponding filter carrier 300. The gripping unit 500 can calculate the insertion time of the filter carrier 300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weighing space 11. Accordingly, when 24 hours have elapsed after the magazi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silo 100, the constant mass indicator lamp 111 indicates that the constant mass process has been completed. Alternatively, you can check the progress of each filter carrier 300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magazine unit 200 as a whole through a separate display. The display can be formed as a touch display, and can display the constant weight conditions, time or weighing process, results, etc. of each filter carrier in an easily viewable arrangement.

도 12를 참조하면, 파지유닛(500)은 항량과정을 마친 필터 캐리어(300)를 매거진 유닛(200)으로부터 빼낸다. 이때, 파지유닛(500)은 필터 캐리어(300)의 하단으로 진입하여 상승하며 필터 캐리어(300)를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려 꺼낼 수 있다. 특히, 파지유닛(500)은 필터 캐리어(300)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파지유닛(500)의 접지돌기(520)가 필터(a)와 접하며 필터(a)의 정전기를 제거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gripping unit 500 pulls out the filter carrier 300 that has completed the constant weight process from the magazine unit 200. At this time, the holding unit 500 enters the bottom of the filter carrier 300, rises, and lifts the filter carrier 300 from bottom to top to take it out. In particular, while the holding unit 500 lifts the filter carrier 300, the ground protrusion 520 of the holding unit 5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lter (a) and removes static electricity from the filter (a).

도 13을 참조하면, 정전기가 제거된 필터(a)와 필터 캐리어(300)는 칭량유닛(600) 으로 이송된다. 파지유닛(500)은 필터(a)와 필터 캐리어(300)를 칭량유닛(600)의 측정판(610)의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로 이송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filter (a) and filter carrier 300 from which static electricity has been removed are transferred to the weighing unit 600. The holding unit 500 transfers the filter (a) and the filter carrier 300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measuring plate 610 of the weighing unit 600.

도 14를 참조하면, 파지유닛(500)은 개구부(631)를 관통하여 투명실린더(630)의 내측으로 측정판(610)의 상단에 중첩되는 위치로 삽입된다. 이때, 측정판(610)과 필터 캐리어(300)의 관통구(311)는 서로 완전히 중첩된다.Referring to FIG. 14, the gripping unit 50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631 into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at a position overlapping the top of the measuring plate 610. At this time, the measuring plate 610 and the through hole 311 of the filter carrier 300 completely overlap each other.

도 15를 참조하면, 파지유닛(500)은 측정판(610)의 상단에서 하단방향으로 하강하며, 이때, 필터 캐리어(300)와 포크(510)는 측정판(610)을 관통하고, 필터(a)만이 측정판(610)의 상단면에 안착된다. Referring to Figure 15, the gripping unit 500 descen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easuring plate 610, and at this time, the filter carrier 300 and the fork 510 penetrate the measuring plate 610, and the filter ( Only a)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asuring plate 610.

도 16을 참조하면, 파지유닛(500)은 필터(a)가 측정판(610)의 안착된 상태로 개구부(631)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으며, 이때, 필터 캐리어(300)의 절개부(312)와 포크(510)의 개방된 일측이 측정판(610)을 받치는 기둥을 통과한다. 파지유닛(500)이 투명실린더(630)의 외측으로 빠져나간 후, 투명실린더(630)는 회전하여 개구부(631)를 밀폐한다. 이 상태에서 미세저울(620)은 측정판(610)에 안착된 필터의 무게를 측정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gripping unit 500 can come out through the opening 631 with the filter (a) seated on the measuring plate 610, and 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of the filter carrier 300 ( 312) and one open side of the fork 510 passes through a pillar supporting the measuring plate 610. After the gripping unit 500 exits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the transparent cylinder 630 rotates to close the opening 631. In this state, the microscale 620 measures the weight of the filter mounted on the measuring plate 61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10: 본체 11: 칭량공간
12: 사일로 도어부 100: 필터 사일로
111: 항량 표시등 112: 칭량 표시등
120: 프레임 130: 격벽
140: 슬롯부 150: 내부 도어부
151: 도어 152: 개방돌기
153: 접촉롤러 160: 탄성부재
161: 회전축 170: 인식부
200: 매거진 유닛 210: 돌출가압부
220: 가이드바 221: 걸림턱
230: 투명창 300: 필터 캐리어
310: 필터안착부 311: 관통구
312: 절개부 320: 식별표시부
400: 이송유닛 410: 고정축
420: 제1 이동축 430: 제2 이동축
500: 파지유닛 510: 포크
520: 접지돌기 530: 하우징
540: 접근센서 550: 식별유닛
600: 칭량유닛 610: 측정판
620: 미세저울 630: 투명실린더
631: 개구부 700: 온습도조절유닛
a: 필터
1: Fine dust automatic weighing device
10: Main body 11: Weighing space
12: Silo door 100: Filter silo
111: constant weight indicator light 112: weighing indicator light
120: frame 130: bulkhead
140: slot part 150: inner door part
151: Door 152: Opening protrusion
153: Contact roller 160: Elastic member
161: rotation axis 170: recognition unit
200: magazine unit 210: protruding pressurizing part
220: Guide bar 221: Locking jaw
230: transparent window 300: filter carrier
310: Filter seating portion 311: Through hole
312: incision 320: identification display part
400: transfer unit 410: fixed axis
420: first moving axis 430: second moving axis
500: gripping unit 510: fork
520: Ground protrusion 530: Housing
540: Access sensor 550: Identification unit
600: Weighing unit 610: Measuring plate
620: Microbalance 630: Transparent cylinder
631: Opening 700: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a: filter

Claims (10)

외부와 차단된 칭량공간이 형성된 본체;
미세먼지 측정을 위한 필터가 안착되는 필터 캐리어;
복수 개의 상기 필터 캐리어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매거진 유닛;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매거진 유닛이 삽입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상기 칭량공간으로 노출시키는 필터 사일로;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무게를 측정하는 칭량유닛;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매거진 유닛과 상기 칭량유닛으로 상기 필터 캐리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식별하는 파지유닛; 및
상기 칭량공간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온습도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 사일로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매거진 유닛이 삽입되는 슬롯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칭량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필터 사일로의 내측에 상기 슬롯부마다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슬롯부를 개폐하는 내부 도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도어부는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로부터 상기 슬롯부 내부로 돌출된 개방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매거진 유닛이 상기 슬롯부에 삽입되면 상기 매거진 유닛이 상기 개방돌기를 밀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 main body formed with a weighing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A filter carrier on which a filter for measuring fine dust is placed;
a magazine unit into which a plurality of the filter carriers are removably inserted;
a filter silo formed in the main body, into which the plurality of magazine units are inserted to expose the filter carrier to the weighing space;
A weigh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filter;
A transfer unit install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transfer the filter carrier to the magazine unit and the weighing unit;
a gripping unit installed on the transfer unit to identify the filter carrier; and
It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unit that maintains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weighing space,
The filter silo is:
It includes a fram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partition dividing the inside of the frame to form a slot into which the magazine unit is inserted,
It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door part installed for each slot part inside the filter silo located inside the weighing space to open and close the slot part,
The inner door portion includes a door hinged to the frame and an op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door into the slot portion,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y pushing the opening protrusion when the magazine unit is inserted into the slo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사일로를 덮어 내부를 밀폐하는 사일로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lo door portion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cover the filter silo and seal the interi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유닛은,
상기 개방돌기와 접하는 면이 곡면으로 돌출된 돌출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magazine unit is,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pressing portion whos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pen protrusion protrudes into a curved surfac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돌기는,
상기 돌출가압부와 접하는 면에 접촉롤러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open protrusion is,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roll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press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내부 도어부 사이를 탄성결합하여 상기 내부 도어부를 닫는 탄성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도어부의 개방상태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couples between the frame and the inner door portion to close the inner door portion, and a recognition portion installed on the frame to recognize an open state of the inner doo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캐리어는,
상면에 상기 필터가 안착되며, 중앙에 상기 칭량유닛의 측정판이 통과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의 측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필터안착부; 및
상기 필터안착부의 측부에 상기 필터를 구별하는 정보가 표시돼 상기 파지유닛이 인식하는 식별표시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filter carrier is,
A filter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filt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 through hole in the center through which the measuring plate of the weighing unit passes, and a cutout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display unit on a side of the filter seating unit wher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filter is displayed and recognized by the gripping uni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필터 캐리어의 하부로 삽입되어 상기 필터 캐리어를 파지하는 포크; 및
상기 포크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필터와 접하여 상기 필터의 정전기를 제거하는 접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자동 칭량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transfer unit is,
a fork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carrier to grip the filter carrier; and
An automatic fine dust weigh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ground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fork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lter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from the filter.
KR1020210052609A 2021-04-22 2021-04-22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KR1026511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09A KR102651121B1 (en) 2021-04-22 2021-04-22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09A KR102651121B1 (en) 2021-04-22 2021-04-22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97A KR20220145697A (en) 2022-10-31
KR102651121B1 true KR102651121B1 (en) 2024-03-26

Family

ID=8380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09A KR102651121B1 (en) 2021-04-22 2021-04-22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2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332A (en) *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Stora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990A (en) 2016-03-11 2017-09-20 김중구 Thermo-hygrostat for Particulate Matter Measur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332A (en) *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Storage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세먼지 측정수치 제각각..."로봇으로 바로잡는다" (2017.06.14.)*
제품카탈로그(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97A (en) 202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7666A (en) System for analyzing compounds contained liquid samples
US4159875A (en) Specimen holder
US5470533A (en) Test strip supply apparatus and analyzer using same
US4810096A (en) Plate reader
CA1235093A (en) Cassette for supporting test tubes of different diameters and/or lengths
JP4044968B2 (en) Automatic reading device of identification code carried by tubular container
US7826978B2 (en) Blood image analyzer
EP2673215A1 (en) Device for singulating and dispensing rigid and semi-rigid strips
EP2336746A2 (en) Slid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35998B2 (en) Test carrier analysis system
NO313437B1 (en) Cartridge holder for capillary tube blood testing with integral sealing device
EP0679895B1 (en) Analyzer elevator assembly
WO1994013402A1 (en) Microtitre cups for performing immunological tests and automated device therefor
KR102651121B1 (en) Automatic weighing device for fine dust
JP2006526780A (en) Tray assembly for optical inspection equipment
US20110197686A1 (en) Air sampling system
EP0375315B1 (en) Capsule-inspection apparatus
CA1158992A (en) Laminated filters
US10890536B2 (en) Gemstone handling and analysis system
US5638171A (en) Spectrophotometer with self-contained module
JP2022550689A (en) Method and Portable Reader for Analyzing Biological Fluid Specimens
US201000670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samples
WO1986003286A1 (en) Contact lens analyzing apparatus
ES2222037T3 (en) SAMPLE CHANGER TO TRANSFER RADIOACTIVE SAMPLES BETWEEN A HOT CELL AND A MEASURING DEVICE.
EP4118437B1 (en) A loading machine for slides provided with biological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