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85B1 -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585B1
KR102650585B1 KR1020230024534A KR20230024534A KR102650585B1 KR 102650585 B1 KR102650585 B1 KR 102650585B1 KR 1020230024534 A KR1020230024534 A KR 1020230024534A KR 20230024534 A KR20230024534 A KR 20230024534A KR 102650585 B1 KR102650585 B1 KR 10265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concentration
quest
learning managemen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인혁
Original Assignee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2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반영한 가상 공간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을 통해 화상 강의의 수업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습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획득부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제공받아 표출시키는 학습자 단말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는 학습 관리 서버 및 학습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강의 컨텐츠를 전달하는 교수자 단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the creation of a learner-digital twi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that utilizes the creation of a learner's avatar and provides a learning service in a virtual space reflecting the learner's avatar. It relates to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fficiency.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of the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the learner's video and transmits the video data, and receives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created using the video data. It includes a learner terminal that displays information,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using video data and analyz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d an instructor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delivers lecture content.

Description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본 발명은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반영한 가상 공간에서의 학습 서비스 제공을 통해 화상 강의의 수업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the creation of a learner-digital twi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that utilizes the creation of a learner's avatar and provides a learning service in a virtual space reflecting the learner's avatar. It relates to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fficiency.

COVID-19로 인해 수업의 양태가 비대면 수업(원격,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비대면 수업 방식에 어느 정도 적응을 하고 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 방식에 대한 적응 여부와는 별개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의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 학습 중 인터넷이나 SNS 등을 많이 하게 되어 학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 학생들의 성적 양극화가 심해지는 문제점 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단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Due to COVID-19, the mode of class has shifted to non-face-to-face classes (remote, online classes), and as time goes by,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adapting to a certain extent to the non-face-to-face class method. However, regardless of adaptation to the non-face-to-face class method, there are problems such as students' lack of concentr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decreased learning effectiveness due to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or SNS during study, and worsening polarization of students' grades. Problems and other disadvantages are still being raised as unresolved issues.

COVID-19로 인해 불가피하게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향상이 중요한 이슈가 되었고, 종래 기술에 따르면(국내 등록특허 제10-1766347호),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피평가자의 시청모습을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집중도를 평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Due to COVID-19,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has inevitably become an important issue, 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766347), the viewing behavior of the evaluator watching video content A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evaluat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video content using captured video dat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학습자의 시선, 얼굴 각도 및 방향, 상반신 자세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수업(가상 강의)에 집중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3D 아바타를 통해 화상 강의 속 3차원 가상 공간에 반영시키고, 집중도 분석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온라인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집중도 분석 결과 공유를 통해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에 대한 복수의 학습자의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한,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analyzes the learner's gaze, face angle and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in a complex way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er is concentrating on the online class (virtual lecture) and uses a 3D avatar to determine the learner's learning status. Through this, it is reflected in the 3D virtual space in the video lecture, and through concentration analysis, it encourages learners to focus more on online classes, and by sharing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the instructor can clearly see the status of multiple learners in online class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that can support ver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은 학습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획득부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제공받아 표출시키는 학습자 단말과,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는 학습 관리 서버 및 학습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강의 컨텐츠를 전달하는 교수자 단말을 포함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of the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the learner's video and transmits the video data, and receives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created using the video data. It includes a learner terminal that displays information,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using video data and analyz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d an instructor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delivers lecture content.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면부 특징점 및 상반신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 각도, 시선 방향, 상반신 자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학습자의 집중도를 측정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extracts facial feature points and upper body feature points, and measur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face angle, gaze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기초하여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ovides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to the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concentration level.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기초하여 퀘스트 설정을 상이하게 조정하여 퀘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퀘스트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ovides a quest by adjusting quest settings differently based on the concentration, and verifies the concentration by receiving the quest performance result of the learner terminal.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의 결과를 이용하여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갱신을 수행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updates the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sing the results of the concentration ver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방법은 (a) 학습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b) 학습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자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3D 아바타를 반영한 가상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와, (c) 가상 강의 콘텐츠 시청에 대한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행동을 3D 아바타의 행동으로 반영시키는 단계와, (d) 집중도의 분석 결과에 따라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퀘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분석을 이용하여 (c) 단계에서 분석한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acquiring the learner's image, (b) creating a 3D avatar of the learner using the learner's image, and creating a 3D avatar. (c) analyzing the learner's concentration on watching the virtual lecture content and reflecting the learner's behavior in the behavior of the 3D avatar; (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centration Providing a quest, performing analysis on the quest performance results, and (e) using the analysis of the quest performance results to verify the concentration analyzed in step (c) and updating the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It includes steps to perform.

상기 (b)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영상으로부터 안면부 및 상반신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에 기초하여 상기 3D 아바타를 생성한다. In step (b), feature points of the face and upper body are extracted from the learner's image, and the 3D avatar is created based on the feature points.

상기 (c) 단계는 얼굴 각도, 시선 방향, 상반신 자세를 고려하여 상기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 상기 학습자의 실제 행동을 상기 가상 강의 콘텐츠에 포함되는 상기 3D 아바타의 행동으로 반영시킨다. In step (c), the learner's concentration is analyzed considering the face angle, gaze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and the learner's actual behavior is reflected in the behavior of the 3D avatar included in the virtual lecture content.

상기 (d) 단계는 상기 집중도의 분석 결과 및 제공 목적에 기초하여 상기 퀘스트의 설정 정보를 상이하게 조정한다. In step (d),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quest is adjusted different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concentration and the purpose of provision.

상기 (e) 단계는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자 개개인별로 구축되는 집중도 분석 모델 및 개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Step (e) use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concentration to update at least one of a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built for each learner and a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hat does not reflect individu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느끼며 가상 강의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성적, 커리큘럼 등의 학습 관련 정보 및 집중도 등의 학습 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인프라 차이에 따른 성적 양극화 문제의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sexual polarization due to differences in educational infrastructure is solved by encouraging learners to participate in virtual lectures with interest and providing learn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grades and curriculum and information on learning attitudes such as concentr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possible.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의 강의 몰이도 및 집중도를 향상시키고, 강의 집중도 및 성적 등 학업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배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learner's immersion and concentration in lectures and providing academic-related information such as lecture concentration and grades, the effect of solving problems in online lectures and cultiva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 non-face-to-face class environment is achieved.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3D 아바타를 이용하여 가이드라인(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며, 학습 중 겪을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챗봇 형태의 정보 제공을 통해, 학습자의 시스템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guidelines (feedback) using a 3D avatar, an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earner's usability of the system by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chatbot about problems that may be encountered during learn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에서의 집중도 분석부에 적용된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백 데이터(back data)를 활용한 학습 관리를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applied to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i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of the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uter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learning management using learner bac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ntended to conve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It is only provided to easily inform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the mentioned elem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preclude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it is not excluded that it is added.

메타버스, 확장 가상 세계는 3차원 가상 세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세계의 의미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Metaverse, an extended virtual world,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Specifically, it is widely used to mean a living or game-type virtual world where reality and unreality coexist in general aspect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상 공간에서의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되, 학습자의 아바타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에 반영시키며, 학습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3D 아바타를 3차원 가상 공간에서의 화상 강의에 반영시키고, 학습자의 안면부에 대한 실시간 3D 렌더링 작업 결과를 3D 아바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도록 연계하여, 학습자의 행동 및 시선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가상 공간에 반영시킨다. 예컨대, 학습자가 카메라 시야 각 내에서 벗어나게 되면, 학습자의 3D 아바타 또한 화면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해당 학습자의 부재 중에 대한 표시를 3D 아바타에 반영시킴으로써, 교수자 또는 관리자가 학습자들의 출결 및 수업 참여 태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are proposed to provide a learning service in a virtual space to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create a learner's avatar and reflect it in the virtual space, and perform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s 3D avatar is reflected in a video lecture in a 3D virtual space, and the real-time 3D rendering work results for the learner's face are linked so that they appear in the form of a 3D avatar, so that the learner's behavior and Changes in gaze are reflected in the virtual space in real time. For example, when a learner moves out of the camera's viewing angle, the learner's 3D avatar also disappears from the screen or an indication of the learner's absence is reflected on the 3D avatar, allowing the instructor or administrator to intuitively monitor the learner's attendance and class participation attitude. You can check 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RGB 영상으로 획득되는 학습자 영상에 대해 안면부 요소별 특징점, 상반신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 각도, 시선 방향, 상반신 자세를 복합적으로 추출 및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학습자의 집중도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에서의 이론 수업 후(또는 수업 중 기설정 시점에) 다양한 형식으로 퀘스트(예컨대, 퀴즈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는 강의 내용 복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학습자의 집중도에 기초하여 퀘스트의 설정 정보(예: 문제의 난이도, 문제의 수, 문제의 분류)가 조정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퀘스트의 설정 정보 조정은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수업에 집중한 학생들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측면에서의 목적이라면, 기본 학습 내용뿐 아니라 해당 수업에 집중한 학생들이 정답을 맞힐 확률이 높은 문제를 포함한 퀴즈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 학생이더라도 평가가 아닌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이라면, 해당 학생이 집중하지 못한 타이밍에 설명된 개념에 대해, 추가 설명 자료와 함께 그 개념을 이해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문제(퀴즈)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수업에 집중도가 높았던 학생에게 기본 문항 대비 보다 난이도가 높은 심화 문제를 포함하는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에 대한 보상 역시 더 높은 보상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수업 집중도에 따라 같은 답이 매칭되는 문제라고 하더라도, 객관식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주관식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서술형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퀘스트 설정이 상이하게 조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eature points and upper body feature points for each facial element are extracted from the learner image obtained as an RGB image, and the learner's concentration is measured by complexl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face angle, gaze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 Based on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learner, after the theory class in the virtual space (or at a preset point during the class), the learner can review the lecture content by performing quests in various formats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quiz).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quest setting information (e.g., difficulty of the problem, number of problems, classification of the problem) may be adjus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d the adjustment of the quest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there is. For example, if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is to enable students who concentrated in class to receive a better evaluation, the quest should include not only the basic learning content but also a quiz that includes questions that students who focused on the class are likely to answer correctly. can be set. As another example, even if a student is unable to concentrate in class, if the purpose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the lesson rather than evaluation, the concept explained at a time when the student was unable to concentrate is provided with additional explanatory materials. Quests can be set up to include questions (quizzes) to check whether one understands or not.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quest containing more advanced problems than the basic questions to a student who was highly focused in class, and to grant a higher reward for successfully completing the quest. As another example, even if the question matches the same answer depending on class concentration, the quest settings are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quest is provided in a multiple-choice, subjective, or narrative format.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집중도 분석 데이터에 따라 퀘스트의 난이도가 다르게 제공되고, 퀘스트 결과 데이터를 반영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학사 관리 플랫폼과 연동을 통해, 강의 중 누적 확보되는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학습시킴으로써, 학습자에게 강의, 학습 중 태도 등과 관련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라인(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iculty of the quest is provid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alysis data, and by reflecting the quest result data,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analyze the learner's concentration. By linking with the academic management platform and learning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lectures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learners with various types of guidelines (feedback) related to lectures and attitudes during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Figure 1 shows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utiliz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학습자 단말(100)은 가상 강의 공간에 인터넷 접속하는 학습자의 단말로, 제1 학습자 단말(100a) 내지 제n 학습자 단말(100n)이 복수 개로 포함된다. 각 학습자 단말에는 영상 획득부(110a 내지 110n)가 포함되는데, 예컨대 영상 획득부는 깊이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로 구비된다. 영상 획득부는 학습자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도 있고, 별물의 카메라 일 수도 있다. 학습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식부(210),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 질의응답 관리부(230), 집중도 분석부(240) 및 분석 기준 갱신부(250)를 포함한다.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300) 및 학사 데이터베이스(400)와 연결되어, 가상 강의 공간에서의 정보를 공유한다. The learn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of a learner accessing the Internet in a virtual lecture spac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learner terminals 100a to nth learner terminals 100n. Each learner terminal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110a to 110n), for examp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is equipped with a camera including a depth sensor.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be a camera installed on the learner's terminal, or it may be a separate camera.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user recognition unit 210, a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a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a concentration analysis unit 240, and an analysis standard update unit 250.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300 and the academic database 400 to share information in the virtual lecture space.

학습 관리 서버(200)는 학사 데이터베이스(400)로 집중도, 출결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키고, 학사 데이터베이스(400)로부터 성적, 과목 정보, 수강 만족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자 단말(100)에 공유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concentration and attendance data to the academic database 400 and stores them, and receives grades, course inform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data from the academic database 400 and shares them with the learner terminal 100.

사용자 인식부(210)는 영상 획득부(110a 내지 110n)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학습자 특징 정보와 깊이 정보를 추출한다. The user recognition unit 210 receives images captu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units 110a to 110n and extracts learn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추출된 특징 정보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작 표현이 가능한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3D 아바타가 활동하는 가상 강의 공간을 생성한다.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시간에 따른 학습자의 행동 변화를 3D 아바타에 실시간으로 반영시킨다.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학습자를 인식한 정보 및 모션 인식 결과를 수신하고, 표정, 얼굴 각도, 얼굴 방향 정보를 분석하여 3D 아바타를 생성한다.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generates a 3D avatar capable of expressing movements in real time using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and creates a virtual lecture space in which the 3D avatar operates.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reflects changes in the learner's behavior over time on the 3D avatar in real time.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receives learner recognition information and motion recognition results, and analyzes facial expression, face angle, and face direction information to create a 3D avatar.

집중도 분석부(240)는 학습자의 안면부 및 상반신 자세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한다. 집중도 분석 결과는 교수자 단말(300) 및 학사 데이터베이스(400)에 전송되어,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300)을 통해 실시간으로 복수의 학습자 각각의 집중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240 analyz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by analyzing the learner's facial and upper body posture. The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are transmit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300 and the academic database 400, so that the instructor can check the concentr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earners in real time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300.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300) 및 학사 데이터베이스(400)와 연동되어, 집중도 분석 결과, 학사 관련 데이터, 과목 커리큘럼 등 학습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학습자는 개인 단말(스마트 기기, 학습자 단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상 강의에 참여하고, 학사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is linked with the instructor terminal 300 and the academic database 400 to provide learning-related information such as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academic-related data, and subject curriculum. Learners can participate in virtual lectures and obtain academic-related information us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personal terminal (smart device, learner terminal).

학습 관리 서버(200)는 학습자의 3D 아바타 뿐 아니라, 교수자의 3D 아바타를 가상 공간에 반영시켜, 가상 강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virtual lecture space by reflecting the instructor's 3D avatar as well as the learner's 3D avatar in the virtual space.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교수자의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모듈 및 학습자의 3D 아바타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으로 3D 아바타를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includes a module that creates a 3D avatar of the instructor and a module that creates a 3D avatar of the learner, and displays an image including the 3D avatar from a first-person or third-person perspective according to user settings. .

가상 강의 공간에 대한 배경은 사용자 설정 별로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300)이 획득한 교수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교수자의 3D 아바타 생성에 반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300)을 통해 수신되는 교수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포즈나 동작을 교수자의 3D 아바타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300)을 통해 수신되는 교수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현재 가상 강의 공간에서 제공되고 있는 학습 컨텐츠의 내용, 위치 등을 변경시키거나, 현재 설명되고 있는 가상 강의 공간 내 콘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처리 등을 자동 수행할 수도 있다. 학습자 단말(100)에는 가상 강의 공간이 디스플레이 되고, 다수의 학습자들은 가상 강의 공간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음성, 채팅 등으로 교수자와 상호 소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 또는 별물의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송출하고,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채팅에서 문자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background for the virtual lecture space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user setting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can reflect the instructor's video acquired by the instructor terminal 300 in creating the instructor's 3D avatar in real time. As another example,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may use the instructor's voice received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300 to automatically reflect the pose or movement on the instructor's 3D avatar. As another example,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analyzes the instructor's voice received through the instructor terminal 300 and changes the content, location, etc. of the learning content currently being provided in the virtual lecture space, or changes the current explanation. Highlighting processing, etc. for content within the virtual lecture space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 virtual lecture space is displayed on the learner terminal 100, and multiple learners can share the virtual lecture space in real time and communicate with the instructor through voice, chat, etc. In addition, it transmits the voice received through a smart device or a separate microphone, recognizes the voice, and displays it as text in ch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학습자의 움직임에 대한 모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행동을 유추하여 학습자의 3D 아바타의 동작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가 졸면 해당 학습자의 3D 아바타의 동작도 조는 동작으로 바뀌고, 학습자가 자리를 비우면 해당 학습자의 3D 아바타도 강의실을 벗어나게 된다. 학습자는 수업 내용 외에도 학습자 본인의 학사 정보, 함께 수강하고 있는 타 학생의 정보에 대해 확인할 수 있고, 궁금한 내용은 챗봇의 형태로 소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학생이 수업 내용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질의를 하면, 관련 교과서의 정확한 페이지 및 내용을 알려주어 복습을 수행할 수 있다.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motion data about the learner's movements, infers behavior using the motion data, and changes the movement of the learner's 3D avat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earner falls asleep, the motion of the learner's 3D avatar changes to a dozing motion, and when the learner leaves the classroom, the learner's 3D avatar also leaves the classroom. In addition to class content, learners can check their own academic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other students taking the course together, an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any questions they have in the form of a chatbot. For example, if a student asks a question about some area of the class content, the student can review by providing the exact page and content of the relevant textbook.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에 의해 가상 강의 공간이 생성되면, 가상 강의 공간에 대한 정보(강의명, 교수명, 강의실 환경)에 대한 안내가 제공되고,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강의의 내용, 학습 서비스(퀴즈, 교수자료 등)을 제공한다. 이 때, 집중도 분석 결과에 따라 제공되는 퀘스트의 설정(예: 난이도, 문항 수, 문제 종류)이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When a virtual lecture space is created by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information on the virtual lecture space (lecture name, professor name, classroom environment) is provided, and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the lecture, Provides learning services (quizzes, teaching materials, etc.). At this time, the settings of the provided quest (e.g. difficulty level, number of questions, type of question) may be adju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학습자의 집중도에 기초하여 퀘스트의 설정 정보(예: 문제의 난이도, 문제의 수, 문제의 분류)를 조정하며, 퀘스트의 설정 정보 조정은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수업에 더 집중한 학생들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측면에서의 목적이라면,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기본 학습 내용뿐 아니라 해당 수업에 집중한 학생들이 정답을 맞힐 확률이 높은 문제를 포함한 퀴즈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한다. 다른 예로서,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 학생이더라도 평가가 아닌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이라면,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해당 학생이 집중하지 못한 타이밍을 파악하고, 그 타이밍에 설졍된 주요 개념에 대해, 추가 설명 자료와 함께 그 개념을 이해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문제(퀴즈)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한다.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수업에 집중도가 높았던 학생에게 기본 문항 대비 보다 난이도가 높은 심화 문제를 포함하는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에 대한 보상 역시 더 높은 보상을 부여한다. 동일한 답이 매칭되는 문제라고 하더라도, 질의응답 관리부(230)는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방식을 객관식으로 설정하여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주관식으로 설정하여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서술형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퀘스트 설정을 상이하게 조정한다.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adjusts the quest setting information (e.g.,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number of questions, classification of the problem) based on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d the adjustment of the quest setting information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there is. If the purpose in terms of evaluation is to enable students who relatively focused more on the class to receive a better evaluation,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not only provides the basic learning content, but also ensures that students who focused on the class have a high probability of getting the correct answer. Set up the quest to include a quiz with questions. As another example, even if the student is unable to concentrate in class, if the purpose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class content rather than evaluation,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determines the timing when the student was unable to concentrate and responds to that timing. For the main concepts established, the quest is set up to include additional explanatory materials and questions (quizzes) to check whether the concepts are understood.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provides quests containing more advanced problems than the basic questions to students who were highly focused in class, and also grants higher rewards for successfully completing the quest. Even if the question matches the same answer, the question and answer management unit 230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a quest by setting the answer method for the question in a multiple-choice format, providing a quest by setting it in a subjective format, or providing a quest in a narrative format. Adjust the quest settings differently.

가상 강의 공간은 교육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강의 내용이 중국의 역사와 관련된 경우, 교수자는 중국과 연관된 장소를 가상 강의 공간의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학습자는 본인이 좋아하는 배경(예: 놀이공원 사진)을 가상 강의 공간의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virtual lecture spac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 For example, if the lecture content is related to Chinese history, the instructor can set a place related to China as the background of the virtual lecture space. As another example, learners can set their favorite background (e.g., a photo of an amusement park) as the background of the virtual lecture space.

가상 강의 공간 생성부(220)는 교육 컨텐츠가 팀 프로젝트인 경우, 복수의 학습자 3D 아바타 간의 협업이 필요하므로, 팀원들의 협업에 필요한 자료를 전송하는 서비스,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는 채팅 및 음성 교환 서비스, 협업을 위한 화면 공유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When the educational content is a team project, the virtual lecture space creation unit 220 requires collaboration between multiple learner 3D avatars, so it provides a service for transmitting materials necessary for team members' collaboration and a chat for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Additionally, voice exchange services and screen sharing services for collaboration ar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관리 서버(200)는 교수자 단말로부터 데이터 소스(기여도, 평균 집중력 등)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3D 아바타가 자체적으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data sources (contribution, average concentration, etc.)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and uses this to allow the 3D avatar to proceed with learning on its own.

데이터 소스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강의 및 학사 관련 정보가 축적되며, 학습자는 누적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사/강의/과제 관련 정보와 학습 관련 가이드라인을 3D 아바타를 통해 챗봇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As learning progresses using data sources, lecture and academic-related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learners are provided with academic/lecture/assignment-related information and learning-related guidelines in the form of a chatbot through a 3D avatar. You can receive 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학사 관련 데이터 소스를 기반으로 정밀한 집중도 분석을 수행하고, 입력되는 학사 데이터를 포함하여 시스템 내에서 활용 및 획득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 지도가 가능하다. 예컨대, 팀별 과제 수행 시 어려움을 갖는 사용자의 경우, 챗봇 채팅방을 통해 '시험공부가 걱정되시나요?'/'조별과제가 어려우신가요?'/'과제가 어려우신가요?' 등의 채팅 박스 중 두 번째 사항을 선택하면, 기설정된 질문 단계를 거쳐 학습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ecise concentration analysis based on academic data sources and provide learner guidance based on data utilized and acquired within the system, including input academic data. For example,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performing team assignments, they can ask questions such as 'Are you worried about studying for the test?'/'Is the group assignment difficult?'/'Is the assignment difficult?' through the chatbot chat room. If the second option among the chat boxes is selected, a service is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receive the desired information through a preset question process.

또 다른 예로서, 팀별 과제 수행시 팀원 모집에 어려움을 갖는 사용자의 경우, 챗봇(채팅)의 형태로 3D 아바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으며, 강의 및 타 참여자의 정보(평균 팀 과제 점수, 기여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팀원 추천을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학습자가 시험공부를 진행하는 도중 어려움을 느낀다면 본인의 아바타에게 챗봇(채팅)의 형태로 도움 요청이 가능하며, 해당 단원 또는 강의 중 녹음된 교수자의 음성파일 및 수업자료에 대한 제공이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users who have difficulty recruiting team members when performing team tasks, they can request help from a 3D avatar in the form of a chatbot (cha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lecture and other participants (average team task score, contribution level, etc.) Recommend team members based on data. As another example, if a learner feels difficulty while studying for a test, he or she can request help in the form of a chatbot (chat) from his/her avatar, and can request the instructor's voice file and class materials recorded during the unit or le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 결과(시선 추적 결과 데이터, 상반신 자세 결과 데이터, 집중도 데이터, 시간대별 감정 변화 데이터)와 학사 정보(교수 평가 데이터, 강의 만족도, 성적 데이터, 학사 데이터, 수강과목 커리큘럼)을 이용하여 분석 레포트를 작성하여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sis results (eye tracking result data, upper body posture result data, concentration data, emotional change data by time period) and academic information (professor evaluation data, course satisfaction, grade data, academic data, course curriculum) ) to create and provide an analysis report.

분석 레포트에는 일간, 월간 집중도 분석 결과, 전일 또는 전월 대비 상승 정도, 자세 검증, 총 학습시간 대비 집중 시간 정보, 금일 학습 중 집중도 변화 및 자세 변화 측정 그래프가 포함된다. 분석 레포트는 학습자가 높은 집중력을 보인 강의와 연관된 교과, 비교과 활동을 추천하고, 높은 집중도를 보인 강의와 관련한 핵심 역량을 알려주고, 그에 맞는 직업군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analysis report includes daily and monthly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day or previous month, posture verification, information on concentration time compared to total learning time, concentration change during today's study, and graphs measuring posture change. The analysis report provides a service that recommend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lated to lectures in which learners showed high concentration, informs them of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lectures in which learners showed high concentration, and recommends appropriate job group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강의 공간 제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의 집중도 분석부에 적용된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applied to the concentration analysis unit in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rough provision of virtual lectur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입력으로, 사용자 인식 결과가 수신된다. 사용자 인식 결과는 학습자에 대해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인식 결과로서, 학습자의 시선, 고개 방향, 상반신 자세 인식 결과가 포함된다. As a first input, a user recognition result is received. The user recognition result is a recognition result of video data captured about the learner, and includes the learner's gaze, head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recognition results.

학습자의 평균적인 집중도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모델인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과, 학습자 개개인별로 특징적인 집중도 분석을 위한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 기반 집중도 분석을 수행한다. Image-based concentration analysis is performed using a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which is a general model for analyzing the learner's average concentration, and an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concentration of each individual learner.

이 때,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개념 설명 중에 화면을 응시하지 않거나, 턱을 괴거나, 고개를 숙이고 있거나, 고개를 꾸벅거리면서 졸고 있거나, 가상 강의 공간을 이용한 학습 서비스가 제공되는 학습자 단말의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을 주시하는 경우,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using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he learn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 learning service using a virtual lecture space or does not stare at the screen during the explanation of the concept, rests its chin, lowers its head, or dozes off while nodding its head. If you focus o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of , the analysis is performed as if your concentration is low.

학습자 별로 학습 습관이 상이할 수 있는데, 예컨대 A 학습자의 경우 개념 설명이 끝나는 시점에 눈을 감고 해당 내용을 되뇌이며 학습을 수행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 해당 영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조는 중으로 판단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뿐 아니라, 학생 개개인별로 구축되는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의 분석 결과인 집중도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Learning habi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learner. For example, if learner A has a habit of closing his eyes at the end of a concept explanation and repeating the content while learning, he should not be judged to be dozing based on the video analysis results. will b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concentration analysis, which i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acquired video, by using not only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but also the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built for each individual stud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영상 분석 기반으로 집중도를 분석함에 그치지 않고, 해당 수업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결과를 제2 입력으로 수신하여, 실제 집중하여 해당 수업 내용을 잘 수강하고 이해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질의응답 결과 기반 집중도 검증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level is not simply analyzed based on video analysis, but the result of the question and answer about the class content is received as a second input to determine whether the class content was actually attended and understood well by concentrating. Check . In other words, concentration verification is performed based on question and answer results.

제1 출력인 집중도에 기반하여, 질의(퀘스트)의 종류, 형태(주관식, 객관식, 서술식), 난이도가 상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Based on the concentration level, which is the first output, the type, form (subjective, multiple choice, descriptive), and difficulty level of the query (quest) can be adjusted differently.

제1 출력인 집중도에 기반하여 제공된 퀘스트에 대해, 학습자의 응답을 질의응답 결과로 수신하여, 높은 집중도인 것으로 판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퀘스트를 잘못 수행하지는 않는지 또는 낮은 집중도인 것으로 판정되었으나 퀘스트는 잘 수행하는 것으로 수행 결과가 확인되어 실제로는 높은 집중도였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수행한다. For the quest provided based on concentration, which is the first output, the learner's response is received as a question and answer result to determine whether the quest is performed incorrectly despite being judged to be high concentration or whether the quest is performed well despite being judged to be low concentration. The performance results are confirmed an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level of concentration was actually high.

예컨대, B 학습자의 시선이 화면, 즉 가상 강의 공간이 제공되고 있는 학습자 단말의 화면을 벗어난 것으로 파악하여,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실은 B 학습자가 잠시 화면을 응시하지 않고 책상에 펼쳐놓은 해당 과목의 참고 서적을 보는 것이었음을 가정한다. 영상 기반 집중도 분석 결과의 경우, 단순히 학습자의 시선이 콘텐츠를 주시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바, 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판정할 것이다. 그런데, 실은 B 학습자가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해 수업 중 잠시 다른 참고 서적을 참고하여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한 행동인 경우, 퀘스트에 대한 성공 확률은 더 높을 것이다. 즉, B 학습자의 시선 분석 결과 집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인지하였으나, 질의응답 결과 기반 집중도 검증 시에는 집중도가 높은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에 반영하여, 해당 학습자의 시선이 벗어나는 경우에도 학습 집중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모델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 업데이트는 분석 기준 갱신부(250)에 의해 수행된다. For example, it was determined that Learner B's gaze was off the screen, that is, the screen of the learner's terminal where the virtual lecture space is provided, and it was judged that his concentration was low. However, in reality, Learner B did not stare at the screen for a while and was studying the subject spread out on his desk. Assume that you were looking at a reference book. In the case of video-based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rner's gaze is simply not focused on the content, so concentration will be judged to be low. However, if learner B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more accurately by briefly referring to other reference books during clas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the quest would be higher.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earner B's gaze, it was recognized that his concentration was low, but when verifying his concentration based on the question and answer results, he could be recognized as having a high concentration. In this case, by reflecting it in the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he model can be updated to ensure that the learning concentration does not decrease even if the learner's gaze deviates. This model update is performed by the analysis standard update unit 250.

특정 학습자의 행동이 영상 분석 결과 집중도가 낮은 것이나, 퀘스트 수행 결과 실제로는 집중을 잘 한 것이었음을 판정한 경우라도 하더라도, 그 특정 학습자의 행동이 올바른 행동인 것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특정 학습자가 집중하는 경우에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이 있다면, 집중하여 강의를 수강하고 퀘스트를 잘 수행하였다고 하더라도, 해당 습관을 올바른 습관으로 권장할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학습자마다 집중 상태의 행동 양태를 확인하고, 그 행동 양태에 대해 기분류된 긍정 지수에 따라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의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손톱을 물어뜯는 습관은 긍정 지수가 0점이므로(기준점: 10점),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을 학습자에게 바로 제공한다. Eve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learner's behavior was low in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video analysis, or that he was actually well focused as a result of completing the quest, there are cases where the specific learner's behavior cannot be considered correct behavior. For example, if a specific learner has the habit of biting his or her nails when concentrating, even if he or she concentrated on taking the lecture and performed the quest well, this habit should not be recommended as a correct habit.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havioral pattern in the concentration state is confirmed for each learner, and whether to provide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ve index classified for the behavioral pattern. For example, the habit of biting nails has a positive index of 0 points (standard point: 10 points), so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are immediately provided to learners.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은 영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일회성 행동인지 습관성 행동인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공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컨대, 더운 날씨에 손부채질을 하는 경우, 영상 분석 결과 집중도가 낮은 것이고 이에 따라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도, 해당 행동이 일시적으로 더운 환경에서 수행된 것이고, 습관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모니터링되는 경우(예컨대 1시간 30분 강의가 3번 수행되는 동안에, 첫 강의에서만 총 25분동안 수행되었음),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may be provided based on video analysis results, and the timing of provis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monitoring results of whether it is a one-time behavior or a habitual behavi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fanning one's hands in hot weather, even if the video analysis results show that concentration is low and behavioral correction guidelines need to be provided accordingly, the behavior was performed temporarily in a hot environment and is performed habitually. If it is monitored that it is not being done (for example, while the 1 hour and 30 minute lecture was conducted three times, only the first lecture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5 minutes), the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 is controlled so that it is not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석 기준 갱신부(250)는 학습자 개개인의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업데이트가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 업데이트로 그칠 것인지, 또는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 업데이트에도 반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가상 강의 공간에 접속한 전체 인원 수 대비 일정 기준수 이상의 학습자의 행동 양태를 기준으로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의 집중도 분석 기준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강의 공간에서 개념을 설명하고, 오프라인에서 부교재를 이용한 실습이 수행되는 과목임을 가정하여 본다. 이 경우, 개념 설명 시에는 학습자들이 화면을 응시하지만, 개념 설명 후 오프라인에서 부교재를 이용한 실습 수행 시에는 부교재를 응시할 것이기에, 이러한 시간 동안은 단순히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집중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정하지 않고,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의 분석 기준을 조정하여, 집중도 분석의 신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alysis standard update unit 250 analyzes the update results for each learner's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update will be limited to an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pdate or a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pdate. Decide whether to reflect it or not. For example, the concentration analysis standard of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can be updated based on the behavioral patterns of learners exceeding a certain standard numbe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people connected to the virtual lecture space. For example, let's assume that this is a subject in which concepts are explained in a virtual lecture space and practice using supplementary materials is performed offline. In this case, learners will stare at the screen when explaining the concept, but after the concept explanation, they will stare at the supplementary material when practicing using the supplementary material offline. Therefore, during this time, concentration cannot be determined to be low simply using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Instead,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analysis standards of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o ensur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oncentration analysis does not decreas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방법을 도시한다. Figure 3 shows a learning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방법은 학습자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10)와, 가상 강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320)와,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콘텐츠에 반영하는 단계(S330)와, 학습자에게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S340) 및 집중도 분석 결과를 검증하고, 집중도 분석 모델을 갱신시키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 The learning management method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a learner video (S310), creating virtual lecture content (S320), and maintaining the learner's concentration. A step of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in the content (S330), a step of providing a quest to the learner and performing an analysis of the quest performance results (S340), and a step of verifying the concentration analysis results and updating the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 S350).

S310 단계에서, 학습자 단말에 배치된 또는 학습자 단말과는 별물로 구비되는 카메라를 통해 학습자 영상이 획득된다. 학습자 영상에는 학습자의 시선 정보, 학습자의 행동 정보, 학습자의 자세 정보, 학습자의 안면부 정보가 포함된다. In step S310, a learner video is acquired through a camera placed on the learner terminal 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er video includes the learner's gaze information, the learner's behavior information, the learner's posture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facial information.

S320 단계는 S310 단계에서 획득된 학습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3D 아바타가 반영된 가상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 복수의 학습자의 3D 아바타와 교수자의 3D 아바타가 포함되는 가상 강의 공간이 생성되고, 그 배경은 가상 강의 콘텐츠와 연관되는 배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step S320, a 3D avatar of the learner is created using the learner image obtained in step S310, and virtual lecture content reflecting the 3D avatar is created. A virtual lecture space containing a plurality of learners' 3D avatars and the instructor's 3D avatar is created, and the background can be set to a background related to the virtual lecture content.

S330 단계는 학습자 영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실제 오프라인에서의 행동을 가상 공간에서의 3D 아바타의 행동에 반영시킨다. In step S330, the learner's concentr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earner's video, and the learner's actual offline behavior is reflected in the behavior of the 3D avatar in the virtual space.

S340 단계는 S330 단계에서 분석된 집중도 정보에 따라 설정이 상이하게 조정되는 퀘스트를 제공하고, 그 퀘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수행 결과를 분석한다. Step S340 provides a quest whose settings are adjus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information analyzed in step S330, and analyzes the learner's performance results for the quest.

S350 단계는 퀘스트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S330 단계에서 수행된 영상 기반 집중도 분석 결과에 대해 검증한다. 검증 결과를 토대로,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필요 시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Step S350 uses the quest performance results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image-based concentration analysis performed in step S330.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updates to the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are performed and, if necessary, updates to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are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강의 공간 제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프록시 서버를 구축하여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한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프록시(Proxy)의 확보가 필수적인데, 고정 IP는 사이트(Site)마다 초당 N번 이상 수집(call)하는 경우 IP 자체가 밴(Ban)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유동 IP의 경우 크롤링 등의 데이터 수집 시 상대적으로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Site)의 방해를 우회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록시 서비스는 유동 IP의 경우 고정 IP의 경우보다 과금이 높게 책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크롤링을 수행함에 있어서, 모바일 유심이 부착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그룹으로 형성되는 프록시 서버를 이용하고, 프록시 서버를 관리하고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 수집을 수행할 모바일 디바이스를 어레인지하는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크롤링을 수행한다. 관리 서버는 크롤러 서버 또는 일반 유저의 요청을 전달하는 웹 서버로부터, 데이터 수집 요청을 수신한다. 관리 서버는 그룹에 편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룹으로부터 퇴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프록시 서버에 대한 등록 현황을 관리한다. 관리 서버는 그룹에 포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동 IP 변경 주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관리 서버는 데이터 수집 요청이 사이트에 대한 유해한 공격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공격이 확인되면 요청을 전송한 유저를 차단시키고 블랙리스트를 관리한다. 모바일 유심은 컴퓨팅 장치(모바일 디바이스)에 부착되어, 안정적인 유동 IP 프록시 서비스 구축을 수행한다. 컴퓨팅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외에, 워크스테이션, 랩탑, PDA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는 별도의 앱이 설치되며, 유동 IP 프록시 서비스 구축을 위해 그룹핑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록시 서버로 정의한다. 관리 서버는 크롤러 서버 또는 웹 서버로부터 수집 요청을 수신하여, 접속된 프록시 서버에 포함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해당 요청을 전달한다. 관리 서버는 그룹핑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현황을 관리하여, 해당 요청에 따라 데이터 수집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록시 서버 내에 서브-그룹핑한다. 관리 서버는 현재 다른 데이터 수집 요청을 수행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태스크 완료 예상 시점을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그룹핑을 수행하고, 필요 시 관리자에게 알람을 전송하여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in)을 요청한다. 관리 서버는 가상 강의 공간 제공을 위한 3차원 아바타의 행동 정보를 고려하는 경우 다른 아바타의 행동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하고, 얼굴 표정을 고려하는 경우 다른 아바타의 얼굴 표정 정보를 대상으로 데이터 크롤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크롤링 대상 정보의 범주를 고려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서바-그룹핑과 인(in) 요청이 수행된다. 관리 서버는 데이터 수집 요청의 특성(긴급성, 정보 수집 대상의 시계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에 제1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는 제1 서브-그룹과, 새로운 제2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할 제2 서버-그룹을 통합하여, 일정 기간 동안 제2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른 태스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그 이후에는 제1 및 제2 서브-그룹으로 리그룹핑되어 각각의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1 서브-그룹이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실시간 수집에 대한 필요성이 기설정 수치 이하인 경우(예컨대 실시간 수집이 아닌, "1일 누적 데이터 수집: 매일 22시부터 24시까지 1일 동안의 누적 데이터 집계"가 요청 사항이므로, 데이터 수집을 위한 구동 필요 시간대가 1일 기준 1/12인 경우), 제1 서브-그룹을 일시적으로 활용하여 다른 데이터의 수집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1 서브-그룹은 새로운 제2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라 태스크를 수행할 통합 그룹으로 편입되어, 기설정된 기간 동안은 제2 데이터 수집을 수행하고, 그 외 기간에는 본래의 제1 데이터 수집 요청에 따른 태스크를 수행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providing a virtual lecture space, a proxy server is established and data crawling is performed. Securing a stable proxy is essential for data collection, and if a static IP is collected (calls) more than N times per second per site, the IP itself is often banned. In addition, because dynamic IPs are relatively advantageous in bypassing interference from the site for the purpose of data collection when collecting data such as crawling, proxy services generally charge a higher fee for dynamic IPs than for static IPs. It is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erforming automatic crawling, a proxy server formed by a group of mobile devices with attached mobile SIM cards is used, and the proxy server is managed and data coll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data collection requests. Crawling is performed using a management server that arranges mobile devices.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data collection requests from a crawler server or a web server that delivers requests from general users.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registration status for the proxy server using information on mobile device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group and mobile devices being expelled from the group.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dynamic IP change cycle of mobile devices included in the group. The management server monitors whether the data collection request is a harmful attack on the site, and when the attack is confirmed, it blocks the user who sent the request and manages a blacklist. The mobile SIM is attached to a computing device (mobile device) to establish a stable dynamic IP proxy service. In addition to mobile devices, computing devices may be workstations, laptops, PDAs, etc. A separate app is installed on mobile devices, and grouped mobile devices are defined as proxy servers to build a dynamic IP proxy service.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collection request from a crawler server or a web server and delivers the request to at least one device included in the connected proxy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grouped mobile devices and sub-groups at least one mobile device to perform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within the proxy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considers the expected task completion time of mobile devices that are currently performing other data collection requests, performs sub-grouping of mobile devices, and sends an alarm to the administrator when necessary to detect new mobile devices. request. When considering the behavior information of a 3D avatar to provide a virtual lecture space,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data crawling targeting the behavior information of other avatars. When considering facial expressions, the management server performs data crawling targeting the facial expression information of other avatars. Perform. Considering this category of crawl target information, server-grouping and in requests to mobile devices are perform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collection request (urgency,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collection target), the management server collects a first sub-group that is already performing a task according to the first data collection request, and a new second data collection. By integrating the second server-group to perform the task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task according to the second data collection request is intensively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fter that, it is regroup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b-groups and each Control to perform tasks. For example, the data that the first sub-group wants to collect is when the need for real-time collection is below a preset value (e.g., not real-time collection, but "1-day cumulative data collection: accumulation for 1 day from 22:00 to 24:00 every day). Since "data aggregation" is a request (if the operating time required for data collection is 1/12 per day),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utilize the first sub-group to collect other data. At this time, the first sub-group is incorporated into the integrated group that will perform the task according to the new second data collection request, and performs the second data collection during the preset period, and collects the original first data during the other periods. Perform tasks according to request.

데이터 수집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타겟 사이트(target websites)에 접속하여 정보를 가져오고, 해당 정보는 최초의 요청자(크롤러 서버 또는 일반 유저)까지 전달된다. 관리 서버는 프록시 서버 내에 인(in), 아웃(out)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등록 현황을 관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현황을 모니터링한다. 관리 서버는 프록시 서버의 등록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의 그룹 내 편입(new device in) 시, 예비 그룹을 운영하여 관리한다. 이 때, 관리 서버는 프록시 서버 내 모바일 디바이스 각각의 통신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수집 요청을 전달하여 그 태스크를 수행할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정하여야 하는 바, 모니터링 및 지정에 소요되는 연산 로드(load)를 함께 모니터링한다. 관리 서버는 모니터링 대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모니터링 및 지정에 소요되는 연산 로드(load)가 커지므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의 그룹 내 편입 허가에 있어서, 모니터링 및 지정에 소요되는 연산 로드를 고려하여 허가 시점을 결정한다. 현재 프록시 서버 내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현황 모니터링 및 지정에 소요되는 연산 부하량이 10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새로이 편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n개가 추가되면 통신 현황 모니터링 및 지정에 소요되는 연산 부하량이 120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연산 부하량의 증가는 20%가 된다. 이 때, 현재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요청의 증감 수치를 고려하여, 연산 부하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새로이 편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n개를 즉시 그룹 내로 편입되도록 허가하여야 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n개를 즉시 그룹 내로 편입시킨다. 반면, 현재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수집 요청의 증감 수치를 고려하여 볼 때, 굳이 현 시점에서 새로운 모바일 디바이스 n개를 편입시킬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예비 그룹을 운영/관리함으로써, 추후 필요에 따라 즉시 프록시 서버의 그룹 내로 편입될 수 있도록 대비한다. 관리 서버는 프록시 서버 내에서도 복수의 계층으로 그룹을 관리하여, 타겟 웹사이트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태스크를 우선 지정하는 제1 그룹, 태스크를 우선 지정하지 않고 데이터 수집 요청 특성(수집 대상 데이터의 양, 수집 기간 등)을 고려하여 예비적으로 구비하는 제2 그룹, 새로운 디바이스의 편입 시에 전술한 예비 그룹 등으로 계층화하여 그룹을 관리함으로써, 프록시 서버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bile device that receives the data collection request accesses target websites to retriev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original requester (crawler server or general user).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registration status of mobile devices entering and leaving the proxy server, and monitors the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registration management of a proxy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operates and manages a reserve group when a new mobile device is incorporated into the group.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must monitor the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mobile device within the proxy server and transmit a data collection request to designate the mobile device that will perform the task, and calculates the computational load required for monitoring and designation. Monitor together. As the number of mobile devices subject to monitoring increases, the management server requires computational load for monitoring and designation. Therefore, when permitting new mobile device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group, the computational load required for monitoring and designation is considered. Decide when to grant permission. Based on the calculation load required for monitoring and specifying the communication status of mobile devices in the current proxy server as 100, it was determined that when n newly incorporated mobile devices are added, the computational load required for monitoring and specifying the communication status will be 120. In this case, the increase in computational load is 20%.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increase or decrease in data collection requests currently being received, if it is necessary to allow n newly incorporated mobile devices to be immediately incorporated into the group despite the increase in computational load, n mobile devices must be immediately incorporated into the group. incorporate.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increase/decrease in data collection requests currently being receive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corporate n new mobile devices at this time, a reserve group can be operated/managed to meet the needs of the future. Prepare to be immediately incorporated into the proxy server group. The management server manages groups in multiple layers even within the proxy server, such as a first group that prioritizes the task of collecting data for the target website, and data collection request characteristics (amount of data to be collected, It is desirable to manage the proxy server efficiently by managing the group by stratifying it into a second group that is provisionally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lection period, etc., and the aforementioned preliminary group when incorporating a new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uter system for implemen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000)은, 버스(107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0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060), 및 저장 장치(10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또한 네트워크에 결합된 통신 장치(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1030) 또는 저장 장치(104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저장 장치(10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mputer system 1000 includes a processor 1010, a memory 1030, an input interface device 105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060, and a storage device 1040 that communicate through a bus 1070.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mputer system 1000 may also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1020 coupled to a network. The processor 10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30 or the storage device 1040. Memory 1030 and storage device 104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may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rocessor, and the memory may be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rough various known means. Memory is various form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memory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or random access memory (RAM).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구현된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본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or as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In one embodiment,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may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t least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통신 장치(10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1020 can transmit or receive wired signals or wireless sign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통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hardwar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It may be the same magneto-optical media, ROM, RAM, flash memory, etc.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through an interpreter,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백 데이터(back data)를 활용한 학습 관리를 도시한다. Figure 5 shows learning management using learner bac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 백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함에 따라 학습 관련 정보들이 축적되며, 가상공간 상에 아바타와 학생의 정보로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earning progresses using learner back data, learning-related information is accumulated and provided as avatar and student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학습자 Back Data의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학사-학업 관련 정보들로서, 학사정보, 비교과, 취업연계, 인터뷰 및 상담의 데이터가 반영된다.In the case of Learner Back Data, it is information related to academic studie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data from academic information, extracurricular subjects, employment linkage, interviews, and counseling are reflected.

학사정보 내에는 학습자가 이수한 교과목, 학점, 교과/비교과 활동, 봉사활동 정보가 포함된다. 비교과 정보 내에는 진단받은 개인역량, 비교과 프로그램 활동, 경력개발현황, 학습자의 포트폴리오의 내용이 포함된다. Academic information includes subjects completed by the learner, credits, curricular/non-curricular activities, and volunteer activity information. Extracurricular information includes diagnosed personal competencies,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career development status, and the contents of the learner's portfolio.

취업연계 정보에는 학습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기업의 정보, 학습자의 이력서/자기소개서, 학습자가 희망 또는 지원한 기업들의 정보, 인턴/실습 정보 등의 내용들이 포함된다. Employment-linke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companies the learner is interested in, the learner's resume/self-introduction, information on companies the learner hopes for or has applied to, and internship/practice information.

인터뷰 및 상담 정보에는 지도교수 상담, 개인상담, 집단 검사, 심리검사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Interview and counseling information includes advisor counseling, individual counseling, group testing, and psychological testing.

학습자 기반 데이터는 학내에서 학사 DB/교과 및 비교과/현장실습/봉사활동/E-Class/경력개발/Legacy등의 내용들과 연계되어 운영되며, 외부의 취업, 창업 정보/인턴정보/동영상 강의와 같은 내용들과 연계되어 운영된다.Learner-based data i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contents such as undergraduate DB/curricular and non-curricular/field training/volunteer activities/E-Class/career development/Legacy, etc. within the school, and external employment, start-up information/internship information/video lectures and It i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same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 백 데이터와 축적된 관련 정보들의 연계를 통해 학습자의 학사 정보, 진로 방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절한 활동을 추천한다. 학습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절한 강의를 추천하고, 일치하지 않는 강의는 리스트에서 제외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하며, 취업 및 창업과 관련된 교과/비교과 활동을 추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 백 데이터와 축적된 관련 정보들과, 집중도 분석을 기반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패턴을 분석하고 맞춤형 학습 코스를 계획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학습이 이뤄지도록 하며, 분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학습 유형(버릇, 행동 등)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한 학습 과정을 추천하여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 activitie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learner's academic information and career direction data through linking the learner's back data and accumulated related information. It recommends appropriate lectures based on the learner's data, provides a system to exclude lectures that do not match from the list, and recommends curricular/non-curricular activities related to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 learning is achieved by analyzing each learner's learning pattern based on the learner's back data, accumulated related information, and concentration analysis, and planning and providing a customized learning course.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learner's learning type (habits, behavior, etc.) is analyzed and an appropriate learning process is recommended and provided to the learn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백 데이터와 누적된 학습자 정보, 분석된 집중도 정보로 학습자의 유형을 산출하고 학습 패턴 분석 및 학습관련 정보를 추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er's type is calculated using the learner's back data, accumulated learner information, and analyzed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pattern analysis and learning-related information are recommen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백 데이터 중 취업연계의 내용과 연관하여 학습자의 추후 취업 및 창업에 이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요식업 창업을 희망하는 학습자 A에게 조리관련 자격증 정보(시험 일정, 자격증 종류 등)를 제공하거나 전문가의 강연, 요리관련 경진대회 및 대외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beneficial to the learner's future employment and start-up is provided in relation to employment-related content among the learner's back data. For example, learner A who wants to start a restaurant business is provided with cooking-related certification information (exam schedule, type of certification, etc.) or information about expert lectures, cooking-related competitions, and external activit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의 학사정보와 연관하여 학습자에게 추천되는 강의 정보를 제공하며,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습자 B의 학점을 분석하여 특히 우월한 학점의 강의를 선정한다. 특수교육학 관련 학점이 높게 나타난다면 특수교육과 관련된 강의를 추천하며, 비교과의 경우 강의 및 서적 등을 추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mmended lectu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learner in relation to the learner's academic information, and the grades of learner B majoring in education are analyzed to select lectures with particularly superior grades. If the special education-related credits are high, lectur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re recommended, and in the case of non-curricular subjects, lectures and books are recommended.

Claims (10)

학습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제공받아 표출시키는 학습자 단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강의 공간 정보를 생성하고, 학습자의 집중도를 분석하는 학습 관리 서버; 및
상기 학습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강의 컨텐츠를 전달하는 교수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기초하여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제공하되, 특정 학습자의 행동이 영상 분석 결과 집중도가 낮으나 퀘스트 수행 결과 실제로는 집중을 잘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특정 학습자의 행동과 관련하여 기분류된 긍정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의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학습자의 행동이 일회성 행동인지 습관성 행동인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행동 교정 가이드라인이 제공되는 시점을 제어하고,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기초하여 퀘스트 설정을 상이하게 조정하여 퀘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의 퀘스트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되, 퀘스트의 설정 정보 조정은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하며, 수업에 집중한 학생들이 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측면에서의 목적인 경우, 기본 학습 내용뿐 아니라 해당 수업에 집중한 학생들이 정답을 맞힐 확률이 상기 해당 수업에 집중하지 않은 학생들이 정답을 맞힐 확률보다 높은 문제를 포함한 퀴즈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하고, 수업에 집중하지 못한 학생이더라도 평가가 아닌 수업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좀 더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인 경우, 해당 학생이 집중하지 못한 타이밍에 설명된 개념에 대해, 추가 설명 자료와 함께 그 개념을 이해한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문제가 포함되도록 퀘스트를 설정하고, 수업에 집중도가 높았던 학생에게 기본 문항 대비 보다 난이도가 높은 심화 문제를 포함하는 퀘스트를 제공하고, 퀘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에 대한 보상 역시 상기 심화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를 포함하는 퀘스트를 수행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보상을 부여하며, 같은 답이 매칭되는 문제라고 하더라도, 수업 집중도에 따라 객관식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주관식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 서술형으로 퀘스트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퀘스트 설정을 상이하게 조정하고,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의 결과를 이용하여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되, 학습자 개개인의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업데이트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업데이트가 개인별 집중도 분석 모델 업데이트로 그칠 것인지, 또는 일반 집중도 분석 모델 업데이트에도 반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An image acquisition unit that captures the learner's video and transmits video data;
A learner terminal that receives and displays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created using the video data;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that generates the virtual lecture space information using the video data and analyz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and
Includes an instruc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to deliver lecture content,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ovides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to the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level of concentration. However, if the behavior of a specific learner is determined to be low in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video analysis but is actually well concentrated as a result of completing the quest, the specific learner's behavior is determined to be good concentration. It is decided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ve index related to the behavior, and the point at which the behavior correction guideline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whether the specific learner's behavior is a one-time behavior or a habitual behavior. control,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rovides a quest by adjusting the quest settings differently based on the concentration, receives the quest performance result of the learner terminal, and verifies the concentration, but adjusts the quest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If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is to enable students who concentrated on the class to receive a better evaluation, not only the basic learning content but also the probability of getting the correct answer by students who concentrated on the class will increase. Quests are set to include quizzes that include questions that are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students answering correctly, and even if students are unable to concentrate in class, if the purpose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lass content rather than evaluation, the student should focus. For concepts explained at a time that could not be explained, the quest is set to include questions to check whether the concept is understood along with additional explanatory materials, and for students who were highly focused in class, advanced questions are more difficult than the basic questions. It provides a quest that includes, and the reward for successfully performing the quest is also higher than when performing a quest that includes a problem with lower difficulty than the advanced problem, and even if the problem matches the same answer, Depending on the level of class concentration, the quest settings are adjusted differently to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quests in a multiple-choice, subjective, or narrative format.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updates the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sing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concentration, but analyzes the update results for each learner's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to ensure that the update is limited to an update of the individu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or whether to reflect it in the general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pdat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획득부로부터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안면부 특징점 및 상반신 특징점을 추출하고, 얼굴 각도, 시선 방향, 상반신 자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학습자의 집중도를 측정하는 것
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extracts facial feature points and upper body feature points, and measures the learner's concentration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e angle, gaze direction, and upper body posture.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집중도에 대한 검증의 결과를 이용하여 집중도 분석 모델에 대한 갱신을 수행하는 것
인 학습자-디지털트윈 생성을 활용한 가상강의 공간의 학습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performs an update on the concentration analysis model using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concentratio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a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cre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24534A 2023-02-23 2023-02-23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KR102650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534A KR102650585B1 (en) 2023-02-23 2023-02-23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534A KR102650585B1 (en) 2023-02-23 2023-02-23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585B1 true KR102650585B1 (en) 2024-03-26

Family

ID=9047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534A KR102650585B1 (en) 2023-02-23 2023-02-23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8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50A (en) * 2016-03-23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veness using Personalization Model
JP2018041049A (en) * 2016-09-09 2018-03-15 富士通株式会社 Learning support system,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learning support method
KR20220164252A (en) * 2021-06-04 2022-12-13 이영민 Self-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self-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09099A (en)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grouping students in real time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edu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350A (en) * 2016-03-23 2017-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veness using Personalization Model
JP2018041049A (en) * 2016-09-09 2018-03-15 富士通株式会社 Learning support system, learning support program and learning support method
KR20220164252A (en) * 2021-06-04 2022-12-13 이영민 Self-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self-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20230009099A (en) * 2021-07-08 2023-01-17 주식회사 유비온 Method for grouping students in real time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edu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dson-Shivers et al. Web-based learning
Ting et al. Understanding students’ choice of electives and its implications
Balçikanli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on pre-service english teachersmetacognitive awareness and teaching practice
Dinna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n teaching negotiation
KR102650585B1 (en) Method for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virtual lecture space using learner-digital twin generation
Rennar-Potacco et al. Innovations in academic support: Factors influencing student adoption of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for online support in high-risk STEM courses
Lane 32 Enhancing Informal Learning Experiences with Affect-Aware Technologies
Todd et al. E‐mentoring and its relevance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earch from the GSAA BreakThru model
Krpan Cognitive coaching and efficacy, growth, and change for second-, third-, and fourth-year elementary school educators
Nagata et al. Trial for e-learning system on information security incorporate with learning style and consciousness factors
Jawahar A study on role of intelligent agent in education
Zhou et al. What Makes a Successful Online Learner?: Community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Challenges and Strategies
Marwa Faculty and Students Perceptions about E-learning for Enhancing Interactive Learning in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in Tanzania
Hawthorne Impact of Internet Connection on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Course Quality at an Online High School
Brown The use of reflective questioning as a peer coaching strategy in an asynchronous online cognitive apprenticeship
Shoukry et al. ClasScorer: Towards a Gamified Smart Classroom
Resendez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as an Instructional Tool in the Classroom
Powietrzynska et al. Illuminating the Relational Nature of Teaching Learning Using Heuristic Methodology
A Rahim et al. The new norms and students’ motivation in the pandemic sphere
Okagbare The perception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educators concerning student retention in private for-profit universities
Johnso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n Teaching Negotiation
Marty University X: Exploring the Online Student Experience to Identify Differentiators, Supportive Others, and Potential Interventions to Enhance On-Time Pacing and Graduation Rates
Petitti First-Year Mentorship Program Influence on Second-Year Student Success
MacKinnon et al. Developing next generation online learning systems to support high quality global Higher Education provision
Umar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Enrolment of Female Learners in Open Distance Learning (ODL) Programmes at Open University Malaysia (O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