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518B1 -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518B1
KR102650518B1 KR1020230134169A KR20230134169A KR102650518B1 KR 102650518 B1 KR102650518 B1 KR 102650518B1 KR 1020230134169 A KR1020230134169 A KR 1020230134169A KR 20230134169 A KR20230134169 A KR 20230134169A KR 102650518 B1 KR102650518 B1 KR 10265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cense plate
plate number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왕일
Original Assignee
이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일 filed Critical 이왕일
Priority to KR102023013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차량번호,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티커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차량번호가 기 저장된 입주자 정보에 매핑된 차량번호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확인부, 관리자 단말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 system for providing a reside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is provided, and includes a manager terminal that photographs and uploads the license plate number and outputs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at least one license plate number, at least one occupant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at least one sticker number,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the license plate number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a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 plate number is mapped to pre-stored occupant information. It includes a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verification unit and an information unit that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Description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Resident verific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using vehicle number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본 발명은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번호를 촬영하면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출력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reside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nd provides a system that outputs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is photographed.

집합건물 내 부족한 주차공간의 문제는 층간소음 및 흡연의 문제와 함께 다루어져야 할 만큼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 문제이기는 하겠지만, 집합건물의 단지 내 주차장 부족이 문제 발생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일 수밖에 없다. 국민권익위원회가 공동주택 등 사유지 주차갈등 해소방안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그 결과 공동주택 내 주차위반차량에 견인 및 과태료 부과 등 조치근거를 마련토록 국토교통부에 적극행정을 권고했으나, 현재까지 근거를 마련하고 있지 않고 있다. 이렇게 정부가 사유지 불법주차를 개인 간의 문제 또는 사적자치의 문제로 방치하는 동안 주차갈등은 차량파손과 폭력, 살인에 이르는 등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The problem of insufficient parking space in complex buildings has reached such a serious level that it must be addressed along with the problems of noise between floors and smoking. Although this is a problem caused by a variety of factors, the lack of parking in the complex is boun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in causing the problem.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conducted a survey on ways to resolve parking conflicts in private properti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and as a result, recommended active administration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o prepare the basis for measures such as towing and imposing fines on vehicles that violate parking in apartment complexes, but there is no basis to date. is not being prepared. While the government ignores illegal parking on private land as a problem between individuals or private autonomy, parking conflicts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leading to vehicle damage, violence, and murder.

이때, 아파트 내 차량관리를 위하여 차량번호를 촬영하거나 방문차량에 대한 승인이 있어야 출입시키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43872호(2017년06월16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011599호(2018년02월02일 공개)에는,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후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여 입주자 차량인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관리자 단말로 결과를 제공하는 구성과, 집합건물로 진입한 차량을 입주자 차량 또는 방문차량으로 식별하고, 방문차량인 경우 얼굴을 촬영하여 기록하며, 방문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주차요금을 산정하여 입주자에게 부과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manage vehicles in the apartment, a method of photograph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r allowing visiting vehicles to enter only after approval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relation to this, the prior art,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743872 (June 16, 2017) Notice)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11599 (published on February 2, 2018), the manager terminal takes a picture of the license plate of the vehicle, recognizes the license plate number, and checks the license plate number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occupant's vehicle. It identifies and provides results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identifies vehicles entering the complex as resident vehicles or visiting vehicles, takes and records the face if it is a visiting vehicle, and collects parking fees when the visiting vehicle leaves. The structure of calculation and imposition on residents is disclosed.

다만, 전자의 경우 입주자 차량인 경우에도 입주자에게 연락을 하기 위해서는 전화번호를 별도로 조회하거나 동 및 호수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에는 다시 관리실로 가서 확인을 해야 한다. 후자의 경우에도 방문차량의 얼굴까지 촬영하지만 이를 입주자가 허락하지 않은 임의의 등록이라면 입주자에게 엉뚱한 주차비가 부과되는 결과만 낳는다. 이에, 차량번호로 입주자 여부를 식별함과 동시에 연락도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even if it is a resident's vehicle, if you need to separately look up the phone number or determine the building and number in order to contact the resident, you must go to the management office again to confirm. In the latter case, the face of the visiting vehicle is also recorded, but if this is registered arbitrarily without the resident's permission, it only results in the resident being charged an absurd parking fe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identifies occupants by vehicle number and provides an interface that allows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로 입주자 여부를 식별하도록 차량번호만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 동 및 호수, 차종 등의 정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주차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번호의 조회 결과 미등록차량인 경우 방문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입주자 차량도 아니고 방문차량도 아닌 경우에는 미등록차량 리스트로 추가하여 관리하며, 미등록차량 리스트에 대한 주차비 부과를 시작하고, 주차비 부과에 대한 증거를 로그로 기록함으로써 민형사상 손해배상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vehicl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at the manager terminal to identify the occupant using the vehicle number,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vehicle is the occupant's vehicle, building and number, and vehicle type is also output so that the manager can We make parking management easy, and if the vehicle number is unregistered, we check whether it is a visiting vehicle. If it is neither a resident vehicle nor a visiting vehicle, we add it to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and manage it. We also manage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By starting to charge parking fees and recording evidence of parking fee charges in log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tenant verification services using license plates that allows civil and criminal damages to be imposed. 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차량번호,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티커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차량번호가 기 저장된 입주자 정보에 매핑된 차량번호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확인부, 관리자 단말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ager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d uploading a license plate number and outputting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and at least one license plate number. ,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at least one occupa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ticker number,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the license plate number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a vehicle whose license plate number is mapped to pre-stored occupant information. It includes a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confirm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same, and an information unit that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로 입주자 여부를 식별하도록 차량번호만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 동 및 호수, 차종 등의 정보를 함께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주차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번호의 조회 결과 미등록차량인 경우 방문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입주자 차량도 아니고 방문차량도 아닌 경우에는 미등록차량 리스트로 추가하여 관리하며, 미등록차량 리스트에 대한 주차비 부과를 시작하고, 주차비 부과에 대한 증거를 로그로 기록함으로써 민형사상 손해배상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of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only the vehicl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to identify the occupant by the vehicle number at the manager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vehicle is the occupant's vehicle, building and number, and vehicle type is provided. By printing it together, the manager can easily manage parking. If the vehicle number is un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search, it is checked whether it is a visiting vehicle. If it is neither a resident's vehicle nor a visiting vehicle, it is managed by adding it to the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 start charging parking fees for a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and record evidence of parking fee charges in logs so that civil and criminal damages can be impo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to mean at or close to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assist in preventing unscrupulous infringers from taking unfair advantage of stated disclosures. The term “step of”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Meanwhile,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par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erefore, as an example, '~ par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part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parts'. Additionally, components and 'parts' may be implemented to regenerate one or more CPUs with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may include at least one occupant terminal 100, a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 However, since the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pretation of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Additionally,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 NR(New Radio), 6G(6th Generation of Cellular Networks),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5G New Radio (NR), 6th Generation of Cellular Networks (6G), and Long Term Evolution (LTE). ,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Fi,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This should be self-explanatory.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은,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방문차량을 등록하거나 컨펌하는 입주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입주자 단말(100)은 차량을 등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류를 업로드하는 입주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 입주자 단말(100)은 등록된 입주자의 차량 또는 방문차량의 입차 또는 출차 이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occupant terminal 100 may be an occupant terminal that registers or confirms a visiting vehicle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t this time, the occupant terminal 100 may be an occupant terminal that uploads at least one document for registering a vehicle. Additionally, the resident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an entry or exit event of a registered resident's vehicle or a visiting vehicl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주자 정보, 차량번호, 동 및 호수, 전화번호, 스티커 번호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방문차량이 입주자 단말(100)에서 등록되는 경우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고, 관리자 단말(400)에서 촬영한 차량번호가 기 등록된 입주자의 차량번호가 아닌 경우, 방문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방문차량도 아닌 경우 미등록차량 리스트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미등록차량 리스트로 편입되는 순간 미등록차량의 주차에 대한 증거를 수집하여 이력을 로그로 저장하며, 주차비의 산정을 시작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nd,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maps and stores occupant information, vehicle registration number, building and lake, phone number, sticker number, etc. In addition,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the visited vehicle when the visited vehicle is registe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00, and may be a vehicle of the resident whose vehicle number taken by the manager terminal 400 is already registered. If it is not a number, it may be a server that checks whether it is a visiting vehicle, and if it is not a visiting vehicle, it may be a server that manages a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In addition,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evidence of parking of an unregistered vehicle the moment it is included in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stores the history as a log, and begins calculating parking fees.

여기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은, 차량번호를 촬영하고 이에 대한 결과, 즉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와, 차종 및 동과 호수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관리자 단말(400)은 촬영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도 아니고, 방문차량도 아닌 경우, 미등록차량으로 출력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문을 부착하도록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a manager terminal that manages the parking lot of a complex building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n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t this time,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license plate number and outputs the results, that is, whether the vehicle belongs to the occupant, and the vehicle type, unit, and number. Additionally,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if the vehicle with the photographed license plate number is neither the resident's vehicle nor a visiting vehicle, outputs the vehicle as an unregistered vehicle and requests the administrator to attach a warning notic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At this tim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and 4 are an embodiment of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도 2를 참조하면,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추출부(320), 확인부(330), 안내부(340), 표시부(350), 연락부(360), 동호수출력부(370), 방문차량알림부(380), 관리부(390), 미등록처리부(391), 증거확보부(393), 청구부(395) 및 공유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n extraction unit 320, a confirmation unit 330, an information unit 340, a display unit 350, a contact unit 360, It may include a neighborhood number output unit (370), a visiting vehicle notification unit (380), a management unit (390), an unregistered processing unit (391), an evidence securing unit (393), a billing unit (395), and a sharing unit (397).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로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크롬(Chrome), 에지(Microsoft Edge), 사파리(Safari), 파이어폭스(FireFox), 웨일(Whale), UC 브라우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occupant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with at least one occupa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400 When transmitting a confirm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occupa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are configured to: You can install or open web pages, etc. 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on at least one resident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Chrome. , Microsoft Edge, Safari, FireFox, Whale, UC Browser,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번호,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티커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torage unit 310 may map and store at least one license plate number, at least one occupa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ticker number.

추출부(32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LPR(License Plate Recognition)은 차량 전후면에 부착된 번호판으로부터 차량번호판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LPR 기술은 OCR(Optical Chractor Recognition) 알고리즘과 영상처리 알고리즘 및 인공지능을 통해 번호판 정보를 추출한다. 최근 1 세대에서 2 대 이상의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1 대의 차량번호만을 등록하고, 2 대 이상의 차량에 등록된 차량번호를 모두 부착하여 위변조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번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종류, 즉 차종까지 한 번에 식별한 후, 실제 촬영되고 있는 차량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동 303호에 차종이 K5, 차량번호가 1234가 등록되었다고 가정하면 [101-303-K5-1234]가 등록된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에서 차량번호 1234를 촬영했고 입주자의 차량인 것을 확인했다고 할지라도 K5가 아닌 SM5라면 이는 등록된 차량이 아니라 미등록차량이 된다. 이에 따라, 차종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The extractor 320 can extract the license plate number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at the manager terminal 400. At this time, LPR (License Plate Recognition) is a technology that obtains license plate information from the license plate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General LPR technology extracts license plate information through OCR (Optical Chractor Recognition) algorithm, image processing algorith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cently, when two or more vehicles are driven in one household, there are cases where only one license plate number is registered and all license plates registered on two or more vehicles are attached and falsified. According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license plate number but also the type of vehicle, that is, the vehicle type, can be identified at once, and then guidance can be given as to whether or not it matches the vehicle being actually photograph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ar model K5 and license plate number 1234 are registered in room 303 of building 101, [101-303-K5-1234] is registered. At this time, even if the manager terminal 400 photographs the vehicle number 1234 and confirms that it is the occupant's vehicle, if it is SM5 rather than K5, it is not a registered vehicle but an unregistered vehic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vehicle type.

차량정보 추출의 첫 단계로 차량의 제조사와 모델명을 구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객체 인식 알고리즘인 YOLOv5를 활용하고, 최신의 대용량 학습 데이터셋은 국내 인공지능 공개 데이터 플랫폼인 AI-Hub에서 제공하는 차량 외관 영상 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다. 학습에 사용한 데이터셋은 AI-Hub 차량 외관 영상 데이터이다. 해당 데이터셋은 차량 100 종에 대한 트림, 색상별 영상 데이터 약 1,100,000장과 JSON 타입의 라벨링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에 대해 Bounding Box를 표현할 때, 일반적으로 좌측 상단 좌표와 우측 하단 좌표를 Box를 태깅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한 YOLOv5는 영상의 중심점 좌표를 잡고, 영상의 스케일을 이용해 Width 값과 Height 값을 이용해 Box를 태깅한다. 따라서, 라벨 데이터의 좌표값을 YOLOv5의 좌표값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추가로, 위와 같이 처리된 라벨 데이터에 총 100개 차종을 구분하기 위해 각 차종에 대한 클래스를 숫자로 [0 ~ 99]까지 지정할 수 있고, 각 클래스의 이름을 [제조사_차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에는 차량 전체 사진뿐만 아니라 각 부위별 사진 또한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차량 전체가 찍힌 사진만 분리하여 데이터셋을 구축할 수 있다. 물론, 부위별 사진을 포함시키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AI 허브에서는 [학습-검증-테스트]의 데이터 비율을 8 : 1 : 1의 비율로 구성하는 것을 권고하였으므로 각 차종의 색상에 대한 Augmentation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상술한 비율로 분배할 수 있고, YOLOv5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As a first step in extracting vehicle information, you can use a method to distinguish the vehicle manufacturer and model name. YOLOv5, an object recognition algorithm, can be used, and the latest large-scale learning dataset can be obtained from vehicle exterior image data provided by AI-Hub, a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open data platform. The dataset used for learning is AI-Hub vehicle exterior image data. The dataset consists of approximately 1,100,000 pieces of image data by trim and color for 100 types of vehicles and JSON type labeling data. When expressing a Bounding Box for an image, the upper left and lower right coordinates are generally tagged with the box. On the other hand, YOLOv5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of the image and tags the Box using the Width and Height values using the scale of the image. Therefor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label data can be converted to the coordinate value format of YOLOv5. Additionally, in order to distinguish a total of 100 car models from the label data processed as above, the class for each car model can be specified as a number from [0 to 99], and the name of each class can be set to [manufacturer_model]. . Since the video data included not only photos of the entire vehicle but also photos of each part, a dataset could be constructed by separating only photos of the entire vehicle. Of course, including photos of each part is not excluded. AI Hub recommended that the data ratio of [Learning-Verification-Test] be set at a ratio of 8:1:1, so data can be distributed at the above-mentioned ratio considering augmentation for the color of each car model, and the YOLOv5 model can be learned.

<번호판 영역 검출 및 인식번호판 영역 검출><License plate area detection and recognition license plate area detection>

이때, 차량번호판이 비교적 중앙 부근에 분포해있는 영상으로 검출 및 인식을 진행할 수 있다. Gaussian Blurring, Morphology 연산, Adaptive Thresholding을 이용해 전처리한 영상에 에지 검출을 진행할 수 있고, 컨투어(Contour) 영역을 그린 후 숫자 배열의 형태를 띄는 영역을 번호판으로 추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 최종 검출한 번호판 영역은 기울기가 수평이 아닌 경우 OCR 인식 정확도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하와 같은 각도 계산 공식을 적용하여 각도를 구하고, 기울기를 보정 후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detection and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 image in whic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relatively distributed near the center. Edge detection can be performed on preprocessed images using Gaussian Blurring, Morphology calculation, and Adaptive Thresholding, and detection can be done by drawing a contour area and estimating the area that resembles a number array as a license plat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final detected license plate area may cause a decrease in OCR recognition accuracy if the inclination is not horizontal, the angle calculation formula below can be applied to obtain the angle, and the inclination can be corrected and then extracted.

Figure 112023110471744-pat00001
Figure 112023110471744-pat00001

최종적으로 번호판의 차량번호 인식을 위해 오픈소스 OCR 중 Easy OCR을 사용하여 앞서 구현했던 차종 식별과 함께 테스트 영상에 대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Finally, to recognize the vehicle number of the license plate, Easy OCR among open source OCRs can be used to perform recognition on the test image along with the previously implemented vehicle model identification.

<특징점 매칭><Feature point matching>

한 가구에서 두 대의 차량을 1 대인 것처럼 등록하는 경우, 예를 들어 K5 차량인 1234만을 등록해두고, SM5 차량 5678은 등록하지 않고 1234의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를 검지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술한 차종을 구분하는 방법으로 등록된 차량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겠지만, 만약 제조사와 차종을 인공지능 모델에서 구분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특징점 매칭, 즉 차량의 크기, 예를 들어, 폭, 가로, 세로 등의 크기와 특징 기술자 매칭을 통하여 차종을 구분하거나, 차종이 동일하더라도 동일한 차량인지 등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K5 차량일지라도 운전습관에 따라 차량에 손상이 간 곳이 다르다거나 하는 특징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동일한 차종이라도 차량의 동일성 여부를 파악하는 도구로 이용할 수 있다.If a household registers two vehicles as if they were one vehicle, for example, only the K5 vehicle 1234 is registered, but the SM5 vehicle 5678 is not registered and the number 1234 is registered, it can be detected. Of cours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 registered vehicle or not by distinguishing the vehicle type described above, but if the manufacturer and vehicle type cannot be distinguish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eature point matching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ize of the vehicle, for example, , It can help to distinguish between car types by matching size and feature descriptors such as width, width, and height, or whether they are the same vehicle even if the car model is the same. For example, even if it is the same K5 vehicle, there may be characteristics such as different areas of damage to the vehicle depending on driving habits. Using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used as a tool to determine whether vehicles are identical even if they are the same model.

먼저, 차량 진입 시에 카메라를 통해 차량 진입 영상을 받아와 차량 이미지 추출 과정을 거친다. 추출된 이미지는 번호판 인식과 특징점 매칭에 사용될 수 있도록 형태가 변환된다. 만들어진 이미지는 일반적인 주차관제시스템과 동일하게 번호판 인식 과정을 진행하며, 차량번호판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차량 진입을 금지하거나 새로 데이터베이스에 차량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고 차량번호판이 등록되어 있다면 다음으로 특징점 매칭 과정을 진행한다. 특징점 매칭 과정에서는 차량 이미지 추출 과정을 거쳐 반환된 이미지에서 ORB(Oriented Fast and Rotated Brief) 알고리즘을 통해 특징점과 특징 기술자를 추출하고 번호판 인식 과정과 유사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의 특징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원본 이미지의 특징점과 얼마나 비슷한지 특징점 유사도를 계산한다. 만약 해당 유사도가 기준을 넘는다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동일한 차종으로 판단하여 내부존재여부 확인 과정으로 넘어간다.First, when a vehicle enters, the vehicle entry video is received through a camera and the vehicle image extrac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extracted image is transform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license plate recognition and feature point matching. The created image goes through the same license plate recognition process as a general parking control system. If the license plate is not registered in the database, entry of the vehicle is prohibited or a new process is performed to register the license plate in the database. If the license plate is registered, the image is processed through a license plate recognition process. Next, the feature point match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feature point matching process, feature points and feature descriptors are extracted from the image returned through the vehicle image extraction process through the ORB (Oriented Fast and Rotated Brief) algorithm and compared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similar to the license plate recognition process. goes through In this process, feature point similarity is calculated based on how similar it is to the feature point of the original image. If the similarity exceeds the standard, it is judged to be the same vehicle model registered in the database and proceeds to the internal existence confirmation process.

이때, 진입한 차량이 위조번호판을 부착한 차량 혹은 다른 차량임을 판명하고 동일한 차량은 통과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몇 개의 특징점이 매칭되어야 할지 기준점을 적용해야 하는데, 최소 몇 개의 특징점이 매칭되어야 진입한 차량을 저장된 차량과 동일한 차량이라고 인식할 것인지 특징점 매칭 기준 X을 구하기 위해 신경망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모델을 학습시킬 데이터를 위해 수집한 모든 차량 진입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 매칭의 개수를 X로 두고 이에 따라 실제로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Y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신경망 모델로 데이터의 X에 따른 결과값 Y를 학습시킴으로써 이후에 진입한 차량과 등록된 차량 간의 특징점 매칭 개수 X에 따라 통과하는지 여부 Y를 예측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determine that the entering vehicle is a vehicle with a counterfeit license plate or another vehicle and to allow the same vehicle to pass, a reference point must be applied to determine how many characteristic points must be matched. At least how many characteristic points must be matched to store the entered vehicle. A neural network model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feature point matching standard For data to train the model, the number of feature point matches extracted from all vehicle entry image data collected can be set to X, and whether the vehicle actually passed can be set to Y accordingly. In other words, by learning the result Y according to X of the data with a neural network model,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Y will pass according to the number

이때, ORB 알고리즘은 영상에서 특징점을 검출하는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알고리즘과 특징 기술자를 빠르게 계산하고 정합하는 BRIEF(Binary Robust Independent Elementary Features)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다. ORB는 효율적인 계산으로 SIFT, SURF 와 동등한 수준의 매칭 성능을 보이면서 실시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이미지의 회전, 크기 변화 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 강건한 특징을 보인다. 물론 상술한 특징점 매칭 알고리즘 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ORB algorithm is an algorithm created based on the FAST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algorithm, which detects feature points in images, and the BRIEF (Binary Robust Independent Elementary Features) algorithm, which quickly calculates and matches feature descriptors. ORB is capable of real-time operation while showing matching performance at the same level as SIFT and SURF through efficient calculation. In addition, it shows robust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affected by image rotation or size changes. Of cour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algorithm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feature point matching algorithm described above.

확인부(330)는, 차량번호가 기 저장된 입주자 정보에 매핑된 차량번호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The confirmation unit 330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number is a vehicle number mapped to pre-stored occupant information.

안내부(340)는, 관리자 단말(400)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은,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unit 340 may inform the manager terminal 400 of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The manager terminal 400 can photograph and upload a license plate number and output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표시부(35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카메라를 켠 상태인 경우, 카메라로 인식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AR(Augment Reality) 콘텐츠로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 장씩 관리자가 사진을 촬영하고 이를 업로드한 후 입주자 차량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지만 세대 수가 천 세대가 넘어가는 경우 주차 면 수도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에 상당한 인력의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촬영된 화면 상에 입주자 차량인지의 여부를 파악해줌으로써 관리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is turned on in the manager terminal 400, the display unit 350 can display in real time as AR (Augment Reality) content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by the camera is the occupant's vehicle. The manager can take photos one by one and upload them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belongs to a resident, but if the number of households exceeds 1,000, the number of parking spaces also increases, which can result in significant man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the manager can take appropriate ac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a resident's vehicle on the screen captured in real time.

연락부(360)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관리자 단말(400)에서 입주자의 입주자 단말(100)로 호 발신 또는 메시지 전송이 되도록 전화걸기 버튼 또는 문자보내기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determined to be the occupant's vehicle, the contact unit 360 presses the call button or send text button to make a call or send a message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to the occupant's terminal 100. can be provided.

동호수출력부(370)는,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으로 출력된 경우, 입주자의 동 및 호수와 입주자의 차량의 종류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output as the occupant's vehicle, the unit number output unit 370 may output the occupant's unit and unit number and the type of the occupant's vehicle.

방문차량알림부(380)는, 입주자 단말(100)로부터 방문차량을 등록받고, 방문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관제기로부터 인식된 경우 입주자 단말(100)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외 선생님이 방문을 해야 한다거나, 수리기사가 방문을 하는 등의 경우에 입주자가 미리 날짜 및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된 방문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관제기에서 리딩되는 경우, 방문차량알림부(380)는 입주자 단말(100)로 입차 이벤트를 알려줄 수 있다.The visiting vehicle notification unit 380 may receive registration of a visiting vehicle from the resident terminal 100 and guide the visiting vehicle to the resident terminal 100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isiting vehicle is recognized by the parking controller. For example, in cases where a tutor needs to visit or a repairman needs to visit, residents can register the date and vehicle number in advance. At this time, when the registered license plate number of the visiting vehicle is read from the parking controller, the visiting vehicle notification unit 380 can notify the occupant terminal 100 of the entry event.

관리부(390)는, 입주자 단말(100)에서 등록되지 않은 방문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입주자 단말(100)로 방문차량의 확인을 요청하고, 입주자 단말(100)에서 방문차량을 신고한 경우, 신고된 방문차량의 차량번호를 입차금지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자율주행로봇에서 차 유리 내 전화번호를 읽어낼 수 있는 경우 또는 드론을 해당 위치로 호출할 수 있는 경우, 차 유리 내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관리자 단말(400)로 전달하거나, 관리부(390)로 업로드하여 ARS와 같이 자동 호 발신 또는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다. 이때, 출차요청 메시지나 음성과 함께 주차비 부과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이후 주차비 부과에 대한 근거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re is a visiting vehicle that has not been registered in the resident terminal 100, the management unit 390 requests confirmation of the visiting vehicle from the resident terminal 100, and if the visiting vehicle is reported by the resident terminal 100, a report is made. You can manage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visiting vehicle as a no-entry list. At this time, if the autonomous robot can read the phone number in the car window or if the drone can be called to the relevant location, the phone number in the car window is extracted and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or the management unit 390. You can upload it to make automatic calls or send messages like ARS. At this time, information on parking fee charges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a message or voice requesting to leave the car,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charging parking fees in the future.

미등록처리부(391)는, 자율주행로봇에서 기 설정된 루트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이동하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고,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경우의 차량번호를 미등록차량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입주자의 차량이 아니면서 방문자의 방문차량도 아니어야 한다. 이렇게 미등록된 차량은 아파트의 주차장을 이용할 수 없지만 무단으로 들어온 상태인 것인데, 무단으로 들어온 후 수 개월째 방치하는 경우도 존재하므로 미등록차량으로 등록한 경우, 입차 증거사진, 체류 증거사진을 매일 촬영한 후 이를 증거로 주차비 부과 및 각종 민형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The non-registration processing unit 391 causes the autonomous robot to move a preset route at preset times and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parked vehicle. If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not the occupant's vehicle, the license plate number is converted to an unregistered vehicle. You can register. At this time, it must not be a vehicle belonging to a resident or a visitor. Such unregistered vehicles cannot use the apartment's parking lot, but they have entered without permission. There are cases where they are left unattended for several months after entering without permission. Therefore, if registered as an unregistered vehicle, take photos of your entry and stay every day. As evidence of this, you can claim parking fees and various civil and criminal damages.

자율주행로봇의 경우, 복잡도가 높은 공간에서 목적지로 도달하기 위해 LIDAR, RGB-D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행 공간을 미리 매핑할 수 있다. 그 후, Map을 이용하여 최적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를 주행 중에 근접 장애물이 발생하면 Map을 재생성하거나 국부 경로를 생성하여 회피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자율주행로봇에 탑재된 센서들로는 장애물에 가려진 다른 장애물의 충돌 위험도를 알 수 없고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한 장애물을 오인식할 수 있다. 이에 전체 주행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글로벌 비전을 이용하여 자율주행로봇과 숨겨진 장애물의 위치를 인식하여 혼재된 공간에서도 장애물을 회피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elf-driving robots, the driving space can be mapped in advance using sensors such as LIDAR and RGB-D to reach the destination in a highly complex space. After that, the optimal route can be created using Map. Here, if a nearby obstacle occurs while driving the route, a method of avoiding it is used by regenerating the map or creating a local path. However, the sensors mounted on the autonomous robot cannot determine the risk of collision with other obstacles hidden by the obstacle and are very close. Obstacles occurring on the street may be misrecognized. Accordingly, using global vision that can cover the entire driving space, the autonomous robot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hidden obstacles and avoid obstacles even in a mixed space.

<Global Vision System><Global Vision System>

이때, 카메라는 LifeCam HD-3000을 이용할 수 있고, 모든 주행 공간을 FOV(Field of View)가 커버하기 위해 천정에 별도의 프레임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제작된 프레임 위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 및 고정하기 위해서 별도의 Jig를 설계할 수 있다. Jig를 이용해 프레임에 카메라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Global Vision System에 사용된 카메라는 PC와 연결될 수 있는데, PC에서는 수집된 영상을 기반으로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율주행로봇과 숨겨진 장애물의 위치를 계산한다. 이후, 경로 변경을 위해 Wi-Fi로 연결된 Robot Control Board로 계산된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LifeCam HD-3000 can be used as the camera, and a separate frame can be created on the ceiling to cover all driving space with FOV (Field of View). Additionally, a separate jig can be designed to install and fix the camera in an appropriate location on the manufactured frame. You can fix the camera to the frame using a jig. At this time, the camera used in the Global Vision System can be connected to a PC, which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autonomous robot and hidden obstacles using a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the collected images. Afterwards, the calculated loc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 Board connected via Wi-Fi to change the route.

자율주행로봇은 협소한 공간에서 유동적으로 주행해야 되기 때문에 Tracked Wheel을 기반으로 한 Tri-Tracked Tank Robot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보드는 모바일 로봇에 탑재하기 용이하고 영상처리가 가능한 Jetson Tx2를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는 Depth를 측정할 수 있는 ZED Stereo Camera를 이용할 수 있다. 제품 혹은 용기를 적재하고 Global Vision System에서 Robot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마커 설치를 목적으로 상판을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판 위의 마커는 검은색 배경에 빨간색 원형태의 마커를 이용할 수 있다. Global Vision System에서 얻어진 프레임 상에서 Template Matching을 이용하여 원형 마커를 찾고 카메라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원형 마커의 좌표를 계산한다. 마커의 좌표는 Robot Control Board로 전송한다. 자율주행로봇에서는 Stereo Camera의 Depth Data를 기반으로 SLAM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SLAM 알고리즘을 통해 Mapping된 공간 위에 마커의 좌표를 추가하여 Map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Since self-driving robots must move fluidly in narrow spaces, a Tri-Tracked Tank Robot based on tracked wheels can be used. The control board can use the Jetson Tx2, which is easy to mount on a mobile robot and is capable of image processing, and the camera can use the ZED Stereo Camera, which can measure depth. The top plate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loading products or containers and installing markers to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robot in the Global Vision System. The marker on the top plate can be a red circular marker on a black background. Find a circular marker using Template Matching on the frame obtained from the Global Vision System and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circular marker based on the camera installation location.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are transmitted to the Robot Control Board. In self-driving robots, the SLAM algorithm can be used based on the Depth Data of the Stereo Camera. The Map can be updated by adding the coordinates of the marker on the space mapped through the SLAM algorithm.

증거확보부(393)는, 미등록차량 중 기 등록된 방문차량을 제외시킨 후,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생성하고,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달하며, 관리자 단말(400)에서 미등록차량의 소유주에게 출차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경우, 출차요청 메시지를 저장하고, 미등록차량의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출차요청 메시지의 전송이력을 로그로 관리할 수 있다.The evidence securing unit 393 excludes previously registered visiting vehicles from among the unregistered vehicles, creates a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transmits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to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identifies the unregistered vehicles in the manager terminal 400. When a parking request message is delivered to the owner, the parking request message can be saved,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and phone number of the unregistered vehicle can be mapped, stored and managed, and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parking request message can be managed as a log.

청구부(395)는, 관리자 단말(400)의 집합건물 또는 공동주택의 주차비에 따라 미등록차량에 따른 주차비를 산정하고, 주차비를 청구 및 고지하도록 기 설정된 전문가 단말로 증거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청구부(395)는, 미등록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 경우, 이에 대한 주차비를 관리비에 합산하여 청구할 수 있다. 이렇게 미등록차량 리스트로 관리되는 차량의 경우 입차를 금지하고, 출차를 할 때에도 관리자 단말(400)로 주차비 및 주차비가 산정된 근거, 즉 증거자료를 전송함으로써 차주가 주차비를 정산해야 출차할 수 있도록 한다. The billing unit 395 may calculate the parking fee for an unregistered vehicle based on the parking fee for the complex or apartment complex of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ransmit evidence to a preset expert terminal to request and notify the parking fee. At this time, if the unregistered vehicle is a resident's vehicle, the billing unit 395 can charge the parking fee by adding it to the management fee. In the case of vehicles managed as an unregistered vehicle list, entry is prohibited, and even when exiting, the parking fee and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parking fee, i.e., evidence materials, ar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so that the car owner must settle the parking fee before leaving the car. .

공유부(397)는,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공유할 수 있다.The sharing unit 397 can store and share the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in a database.

이하, 상술한 도 2의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FIGS. 3 and 4 as an example.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차량번호, 입주자, 동 및 호수, 전화번호 및 스티커 번호 등을 저장하고, (b)와 같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를 확인하고,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경우 (c) 방문차량인지 확인하며 입주자의 차량도 아니고 방문차량도 아닌 경우 미등록차량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d)와 같이 무단침입에 대한 고소 및 고발 등 각종 민형사상 손해배상청구를 위한 증거를 누적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서비스는, 도 4c와 같이 차량번호로 동 및 호수 등을 조회하는 기능은 관리자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로그인을 제한하고 도 4d와 같이 주차관리에서 필요한 기능만을 모아서 제공한다. 차량번호를 입력하거나 촬영하고, 차량 스티커 번호를 입력하거나 촬영하여 도 4e와 같이 입주차량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차량번호를 카메라로 인식이 어려울 때에는 도 4f와 같이 텍스트로 차량번호를 입력하거나 차량 스티커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조회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a)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ores the vehicle number, occupant, building and number, phone number, sticker number, etc., and when recognizing the vehicle number as in (b), the vehicle number Check whether the vehicle is the resident's vehicle, and if it is not the resident's vehicle, (c) check whether it is a visiting vehicle, and if it is neither the resident's vehicle nor a visiting vehicle, add it to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and manage it. In addition,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an accumulate and manage evidence for various civil and criminal damage claims, such as complaints and accusations about trespassing, as shown in (d). The service according to FIGS. 4A and 4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login so that only administrators can access the function of searching for buildings and lakes by vehicle number, as shown in FIG. 4C, and provides parking management as shown in FIG. 4D. It collects and provides only the necessary functions. By entering or photographing the vehicle number and entering or photographing the vehicle sticker numb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ccupied, as shown in Figure 4e. In addition, when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icense plate number with a camera, it can be set to search by entering the license plate number in text or entering the vehicle sticker number as shown in Figure 4f.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or are derived from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 1.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ystem for providing an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an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번호,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티커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maps and stores at least one license plate number, at least one occupa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ticker number (S5100).

그리고,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에서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차량번호를 추출하고(S5200), 차량번호가 기 저장된 입주자 정보에 매핑된 차량번호인지의 여부를 파악한다(S5300).In addition,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extracts the license plate number when the administrator terminal photographs and uploads the license plate number (S5200) and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 plate number is mapped to pre-stored occupant information (S5300).

또,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안내한다(S5400).Additionally, the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resident's vehicle (S5400).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sequ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400) may change,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simultaneously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are not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ccupant confirmation service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 5 are the same as, or are derived from,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regarding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FIGS. 1 to 4.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of providing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in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You can.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vehicle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y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this may include programs included in the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which are installed by default on the terminal).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by the user directly o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of providing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vehicle license plat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installed by default in the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the user, and is implemented by a computer such as the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readable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고,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차량번호, 적어도 하나의 입주자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티커 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차량번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차량번호가 기 저장된 입주자 정보에 매핑된 차량번호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확인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안내부,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 것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입주자의 입주자 단말로 호 발신 또는 메시지 전송이 되도록 전화걸기 버튼 및 문자보내기 버튼을 제공하는 연락부,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으로 출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관리자를 대상으로 상기 입주자의 동 및 호수와 입주자의 차량의 종류를 출력하는 동호수출력부를 포함하는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추출부는,
1세대에서 2대 이상의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 1대의 차량번호만을 등록하고, 2대 이상의 차량에 등록된 차량번호를 모두 부착하여 위변조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번호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해당 차량의 폭, 가로 및 세로 크기를 통해 차량의 크기를 확인한 후, 확인된 차량의 크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차종을 식별하고,
상기 안내부는,
차량번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종류를 근거로 실제 촬영되고 있는 차량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n administrator terminal that photographs and uploads a license plate number and outputs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occupant's vehicle; and
A storage unit that maps and stores at least one license plate number, at least one occupant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sticker number, a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the license plate number when the license plate number is photographed and uploaded by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license plate number. A confirm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license plate number is mapped to the stored occupant information, an information unit that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resident's vehicle, and a confirmation unit that informs the manager terminal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the resident's vehic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nager's terminal is a contact unit that provides a call button and a text message button to make a call or send a message to the resident's terminal, if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output as the resident's vehicle, It includes a confirm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unit number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unit and unit number of the occupant and the type of vehicle of the occupant to a preset manager;
The extraction unit,
When driving two or more vehicles in one household, register only one license plate number and attach all license plates registered to two or more vehicles to prevent forgery or falsification. After confirming the size of the vehicle through the width, width, and height of the vehicle, the model of the vehicle is identified through the confirmed size of the vehicle,
The information department said,
A system for providing an occup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vehicle nu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guidance on whether or not it matches the vehicle being actually photographed based on not only the vehicle number but also the type of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카메라를 켠 상태인 경우, 상기 카메라로 인식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인지의 여부를 AR(Augment Reality) 콘텐츠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When the camera is turned on in the manager terminal,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 real time whether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recognized by the camera is the occupant's vehicle through AR (Augment Reality) content;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입주자 단말로부터 방문차량을 등록받고, 상기 방문차량의 차량번호가 주차관제기로부터 인식된 경우 상기 입주자 단말로 안내하는 방문차량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 visiting vehicle notification unit that receives a visiting vehicle from a resident's terminal and guides the visiting vehicle to the resident's terminal when the vehicle's license plate number is recognized by the parking controller;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입주자 단말에서 등록되지 않은 방문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입주자 단말로 방문차량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입주자 단말에서 상기 방문차량을 신고한 경우, 신고된 방문차량의 차량번호를 입차금지리스트로 관리하는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If there is a visited vehicle that has not been registered in the resident terminal, confirmation of the visited vehicle is requested through the resident terminal, and if the visited vehicle is reported in the resident terminal, the vehicle number of the reported visited vehicle is added to the no-entry list. management department to manage;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자율주행로봇에서 기 설정된 루트를 기 설정된 시간마다 이동하며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차량번호의 차량이 입주자의 차량이 아닌 경우의 차량번호를 미등록차량으로 등록하는 미등록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n unregistration processing unit that causes the autonomous robot to travel a preset route at preset times and photograph the license plate number of a parked vehicle, and registers the license plate number as an unregistered vehicle if the vehicle with the license plate number is not the occupant's vehicle;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미등록차량 중 기 등록된 방문차량을 제외시킨 후,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미등록차량의 소유주에게 출차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경우, 상기 출차요청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미등록차량의 차량번호 및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출차요청 메시지의 전송이력을 로그로 관리하는 증거확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fter excluding previously registered visited vehicles from among the unregistered vehicles, a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is created, the list of unregistered vehicles is delivered to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manager terminal delivers a departure request message to the owner of the unregistered vehicle. an evidence securing unit that stores a vehicle extraction request message, stores and manages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and phone number of the unregistered vehicle by mapping them, and manages the transmission history of the vehicle extraction request message as a log;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집합건물 또는 공동주택의 주차비에 따라 상기 미등록차량에 따른 주차비를 산정하고, 상기 주차비를 청구 및 고지하도록 기 설정된 전문가 단말로 증거자료를 전송하는 청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 billing unit that calculates a parking fee for the unregistered vehicle according to the parking fee of the complex or apartment complex of the manager terminal and transmits evidence to a preset expert terminal to claim and notify the parking fee;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미등록차량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공유하는 공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verif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s,
a sharing unit that stores and shares the unregistered vehicle list in a database;
A system for providing a tenant verification service using a license plate number, further comprising:
KR1020230134169A 2023-10-10 2023-10-10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KR102650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169A KR102650518B1 (en) 2023-10-10 2023-10-10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169A KR102650518B1 (en) 2023-10-10 2023-10-10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518B1 true KR102650518B1 (en) 2024-03-21

Family

ID=9047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169A KR102650518B1 (en) 2023-10-10 2023-10-10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1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72B1 (en) * 2016-06-08 2017-06-1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An Apartment
KR20180085432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System for Performing Linkage Oper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Event in Association with Camera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90141437A (en)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메인시스 Parking acces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5247A (en)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파킹패스 Managemnet system of parking by moving vehicle tracking
KR20220160355A (en) * 2021-05-27 2022-12-06 조경호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20220168931A (en) * 2021-06-17 2022-12-26 김종정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register remote the password per household of apartment complex for parking breaker entran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72B1 (en) * 2016-06-08 2017-06-16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Vehicle Management System of An Apartment
KR20180085432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System for Performing Linkage Oper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Event in Association with Camera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90141437A (en)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메인시스 Parking acces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25247A (en) *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파킹패스 Managemnet system of parking by moving vehicle tracking
KR20220160355A (en) * 2021-05-27 2022-12-06 조경호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KR20220168931A (en) * 2021-06-17 2022-12-26 김종정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register remote the password per household of apartment complex for parking breaker entr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Automatic collection of fuel prices from a network of mobile cameras
DE102020113417A1 (en) SYSTEMS AND PROCEDURES FOR AUTOMATED MULTIMODAL DELIVERY
WO2020100922A1 (en) Data distribution system, sensor device, and server
CN107705576B (en) Vehicle fake plate detection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1508269B (en) Open type parking space vehicle distinguish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image recognition
CN110556022A (en) Parking lot parking space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852236A (en) Target event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1009866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ublic resentment delivery using lbs based mobile terminal
KR102429515B1 (en)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based mobile terminal
CN114663871A (en) Image recognition method, training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Chandrasekaran et al. Computer vision based parking optimization system
KR102650518B1 (en) System for providing resident checking service using car number
KR102101090B1 (en) Vehicle accident video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2712626A (en) Vehicle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license plate information,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oushika et al. An efficient car parking slo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JP71607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pplication program
KR102067547B1 (en) Method and detection for peripheral vehicle risk based on image analysis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building cctv camera
JP6606779B6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Mostf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hicles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CN113158852B (en) Traffic ga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face and non-motor vehicle cooperative identification
KR20050034224A (en) A system for automatic parking violation regulation, parking control,and disclosure and roundup of illegal vehicle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240054795A1 (en) Automatic Vehicle Verification
KR102511971B1 (en) System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drivers using object recognition of license plate on realtime video and rating drive
JP7258667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7258666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