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25B1 -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25B1
KR102650225B1 KR1020230154383A KR20230154383A KR102650225B1 KR 102650225 B1 KR102650225 B1 KR 102650225B1 KR 1020230154383 A KR1020230154383 A KR 1020230154383A KR 20230154383 A KR20230154383 A KR 20230154383A KR 102650225 B1 KR102650225 B1 KR 10265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ry ice
ice storage
carbon dioxid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3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용환
정석호
조성봉
박용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번
Priority to KR102023015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08B15/005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comprising a stationary main duct with one or more branch units, the branch units being freely movable along a sealed longitudinal slit in the main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solidified gases, e.g. carbon-dioxide snow
    • F25D3/125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2215/003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with the assistance of blow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작업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덕트,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제2 덕트, 및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덕트와 제1 덕트를 통해 상기 작업장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ry ice storage stored in a workplace, a first duct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dry ice storage, and connecting the dry ice storage and the first duct. A second duct, and an exhaust fa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ct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to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second duct and the first duct. do.

Description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에 구비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서 드라이아이스의 승화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작업장 외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노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a dry ice storag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quickly discharging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sublimation phenomenon of dry ice inside a dry ice storage stored in a dry ice storage facility to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This relates to a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a dry ice storag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carbon dioxide by efficiently discharging it.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에 대한 일반적인 명칭으로서 상압에서 고체에서 기체로 상변화하는 승화온도가 약 -78.5 ℃로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상변화시 수분과 같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약품이나 식품 등의 냉장 또는 냉동 보관시 냉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Dry ice is a general name for carbon dioxide in a solid state. Not only does it have a very low sublimation temperature of about -78.5°C, which changes the phase from solid to gas at normal pressure, but it does not leave any residue such as moisture during the phase change, so it can be used in medicines, foods, etc. It is widely used as a refrigerant in refrigerated or frozen storage.

최근 온라인 시장을 통해 육류나 어패류 등과 같은 냉장/냉동 제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홈쇼핑이나 백화점과 같은 대형 유통업체에서는 소비자가 구매한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제품과 냉매제인 드라이아이스를 함께 담은 후 소비자에게 배송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냉장/냉동 제품의 포장방법에 대해서는 하기 [문헌 1]과 [문헌 2] 등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for refrigerated/frozen products such as meat and fish and shellfish has increased through the online market, large retailers such as home shopping and department stores have placed products and refrigerant in packaging containers made of insulating materials to maintain the freshness of products purchased by consumers. It is packed with dry ice and then delivered to the consumer. Methods for packaging refrigerated/frozen products using dry ice are specifically disclosed in [Document 1] and [Document 2] below.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냉동 제품의 포장작업은 대부분 작업자가 제품의 포장시 작업장의 일측에 배치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로부터 드라이아이스를 인출하여 제품과 함께 포장용기에 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드라이아이스 인출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는 인출구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most of the packaging work for refrigerated/frozen produc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one in a way that workers withdraw dry ice from a dry ice storage compartment placed on one side of the workplace when packaging the product and place it in a packaging container along with the product. For convenience of dry ice withdrawal, the dry ice storage storage generally has an open outlet.

이와 같이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인출구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 상압/상온에서 기체로 상변화(승화현상)하는 드라이아이스의 특성상 상기 수납고의 내부에는 승화된 이산화탄소가 채워지게 되고, 상기 수납고 내부에 채워진 이산화탄소는 드라이아이스 인출구 등을 통하여 작업장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outlet of the dry ice storage is open, the inside of the storage is filled with sublimated carbon dioxide due to the nature of dry ice that changes phase (sublimation) into gas at normal pressure/room temperature,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is filled with sublimated carbon dioxide.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into the workplace through dry ice outlets, etc.

따라서,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의 작업자는 부득이하게 장시간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 노출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졸음, 두통,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심할 경우 호흡곤란, 혈압 상승, 부정맥 증가 등의 건강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Therefore, workers in workplaces handling dry ice are inevitably exposed to a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for a long time, symptoms such as drowsiness, headache, and dizziness appear, and in severe cases, difficulty breathing and blood pressure. It may cause health problems such as increased blood pressure and arrhythmia.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에서는 수시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공기보다 비중이 큰(약 1.5배) 이산화탄소는 상대적으로 작업장의 바닥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작업장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이 여전히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다.To prevent this, ventilation is provided frequently in workplaces handling dry ice, but even in this case, carbon dioxide, which has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air (approximately 1.5 times), diffuses relatively to the floor of the workplace, so it is easily discharged outside the workpl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fety of workers is still threatened.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8-0107536호(2018. 10. 2. 공개)[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107536 (published on October 2, 2018)

[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2009900(2019. 8. 13. 공고)[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2009900 (notified on August 13, 201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에 구비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서 드라이아이스의 승화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작업장 외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노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sublimation phenomenon of dry ice inside a dry ice storage room provided in a workshop handling dry 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dry ice storag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carbon dioxide by quickly and efficiently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작업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덕트,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제2 덕트, 및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덕트와 제1 덕트를 통해 상기 작업장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팬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ry ice storage storage installed in a workshop, a first duc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and the dry ice storage storage. A second duct connecting the dry ic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duct, and an exhaus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ct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to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second duct and the first duc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including a fan.

또한,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덕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풍량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and further includes a constant air volume damp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ct.

또한,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덕트의 내부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and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valve that opens or closes an internal flow path of the second duct.

또한, 상기 제1 덕트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덕트 유량계와, 상기 측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uct flow meter that measures the flow rate inside the first duc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according to the measured flow ra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량이 상기 제2 덕트의 개폐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유량이 되도록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so that the measured flow rate is a predetermined set flow rate accor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second duct.

또한, 상기 작업장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풍량 댐퍼는 구동모터에 의해 내부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전동식 정풍량 댐퍼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정풍량 댐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wherein the constant wind quantity damper is an electric constant wind quantity damper that changes the internal flow path area by a drive motor,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econd damp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is controlled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duct varies.

또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하부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u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dry ice storage tank and the first duct.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제1 덕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제2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에 설치된 배기팬의 구성에 의하여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에 구비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작업장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노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ndles dry ice by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duct, a second duct connecting the dry ice storage and the first duct, and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first duct.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worker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carbon dioxide by discharging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dry ice workshop to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정풍량 댐퍼에 의하여 상기 배기팬의 흡기력이 제1 덕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2 덕트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장에 설치된 전체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균일한 효율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intake force of the exhaust fan acts uniformly on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connected to the first duct by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all dry ice storage units installed in the workplace with uniform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정풍량 댐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작업장의 온도 환경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ct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so dry ice storag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fficiently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furnac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가 설치된 작업장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과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한 정풍량 댐퍼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5는 도2에 도시한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orkshop where a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a dry ice storage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installed in the dry ice storage room shown in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stant wind quantity damper shown in Figure 2, respectively,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shown in Figure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전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used as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or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전체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자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In addition, all terms used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가 설치된 작업장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에 설치된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workshop in which a carbon dioxide emission device of a dry ice storage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llustrate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rbon dioxide emission device installed in the dry ice storage storage shown in Figure 1. This is a drawing for this purpose.

또한, 도3과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한 정풍량 댐퍼의 서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도2에 도시한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In addi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shown in Figure 2,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shown in Figure 2. .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도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덕트(40), 및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와 상기 제1 덕트(40)의 내부를 연결하는 제2 덕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dry ice storage 30 and a first duc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ry ice storage 30. 40), and a second duct 50 connecting the interior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and 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40.

또한,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는 드라이아이스를 취급하는 작업장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작업장은 드라이아이스 제조공장의 포장라인이나 냉장/냉동이 필요한 약품이나 식품의 포장라인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workshop that handles dry ice, and the workshop can be a packaging line at a dry ice manufacturing plant or a packaging line for medicine or food that requires refrigeration/freezing. .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작업장이 냉장/냉동이 필요한 약품이나 식품의 포장라인인 경우를 설명하는데, 상기 작업장에는 제품(P)의 포장을 위하여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제1 컨베이어 장치(10), 상기 각각의 제1 컨베이어 장치(10)로부터 이송된 제품(P)을 일괄로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장치(20), 및 상기 제1,2 컨베이어 장치(10,20)와 후술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a case is described where the workplace is a packaging line for drugs or food that requires refrigeration/freezing. The workpla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veyor devices (10) installed in parallel for packaging the product (P), A second conveyor device 20 that transfers the products P transferred from each of the first conveyor devices 10 in batch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devices 10 and 20 and a carbon dioxide discharge device described later. It consists of a control panel (C) that controls the operation.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 장치(10)의 일측에는 각각 상기 제품(P)의 포장시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제품(P)과 함께 포장되는 드라이아이스가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conveyor device 10, there is a dry ice storage compartment 30 inside which dry ice packed with the product P is stored in order to maintain freshness when packaging the product P.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는 일예로서 박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면 일측에는 제품(P)의 포장작업시 드라이아이스 인출을 위한 인출구(31)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 ice storage 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x, as an example, and an outlet 3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for dispensing dry ice during packaging of the product P.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인출구(31)가 개구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드라이아이스 승화와 승화된 이산화탄소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인출구(31)에 개폐도어(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outlet 31 is formed as an opening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ase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an opening/closing door (opening/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outlet 31 to minimize dry ice sublimation and leakage of sublimated carbon dioxid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또한, 상기 제1 덕트(40)는 작업장에 설치된 통상의 천정 덕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작업장 내부의 환기를 위한 덕트와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술한 환기용 덕트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duct 40 may be composed of a normal ceiling duct installed in a workplace. It may be used in common with a duct for ventilation inside the workplace, but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ntilation duct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Let me explain what happe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덕트(50)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와 상기 제1 덕트(40)의 내부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제2 덕트는 제1 덕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덕트(40)에 병렬로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uct 50 is installed in each dry ice storage storage 30 and connects the interior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and 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40. The second duc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uct 4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duct 40 in parallel.

이 경우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에서 승화된 이산화탄소는 공기보다 비중이 커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하부에 위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상기 제2 덕트(50)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carbon dioxide sublim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30 has a higher specific gravity than air and is likely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y ice storage 30, so the second duct 50 is located in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It is more preferable to connect to the lower part of (30).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 덕트(50)가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 각각에 설치된 경우를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의 제2 덕트(50)를 분기시켜 복수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와 제1 덕트(40)의 내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second duct 50 is installed in each dry ice storage storage 30 is described. However, if necessary, one second duct 50 can be branched to create a plurality of dry ice storage storages. It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interior of (30) and 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덕트(50)와 제1 덕트(40)를 통해 상기 작업장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덕트(40)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팬(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harges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to the outside of the workshop through the second duct 50 and the first duct 40. It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an 6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ct 40 to exhaust air.

이 경우, 상기 배기팬(60)은 제2 덕트(50)로의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덕트(40)의 출구측 단부(즉, 작업장의 외부와 연통되는 단부)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exhaust fan 60 is installed at the outlet end of the first duct 40 (i.e., th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to prevent backflow into the second duct 50. desirabl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에서 승화된 기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신속하게 작업장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작업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discharges the gaseous carbon dioxide sublim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to the outside of the work place, thereby reducing the increase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the work place. Safety accidents involving worker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덕트(50)가 제1 덕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덕트(40)에 병렬로 연결된 경우 배기팬(60)과 가깝게 위치한 제2 덕트(50)에서는 과도한 양의 유량이 발생되는 반면에 배기팬(60)과 멀리 위치한 제2 덕트(50)에서는 충분한 유량이 발생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ducts 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uct 40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uct 40, the second duct located close to the exhaust fan 60 While an excessive amount of flow is generated in the duct 50,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 sufficient flow rate is not generated in the second duct 50 located far from the exhaust fan 60.

따라서, 상기 배기팬(60)과 멀리 위치한 제2 덕트(50)와 연결된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에서는 승화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해당 포장라인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건강이 위협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Therefore, the dry ice storage 30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50 located far from the exhaust fan 60 does not smoothly discharge sublimated carbon dioxide, endangering the health of workers working on the packaging line. Problems may ari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제2 덕트(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팬(60)에 의하여 상기 제2 덕트(5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정풍량 댐퍼(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50, and discharges carbon dioxide from the second duct 50 by the exhaust fan 60.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to keep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constant.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정풍량 댐퍼(70)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동식 정풍량 댐퍼로 구성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정풍량 댐퍼(7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71), 상기 몸체부(71)에 삽입된 유량측정부(72), 상기 몸체부(71)에 설치된 유량제어부(73,74,75), 및 상기 유량제어부(73,74,7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정풍량댐퍼 구동부(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is configured as an electric constant air volume damper as shown in Figure 3. Specifically,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has a body portion 71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pe. , the flow measurement unit 72 inserted into the body 71, the flow control units 73, 74, 75 installed on the body 71,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low control units 73, 74, 7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ing unit 76.

이때, 상기 유량측정부(72)는 몸체부(71)의 내측면 중도에 삽입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71)의 내측면에는 유량측정부(72)를 고정시키기 위한 환형의 고정돌기(71a)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low measuring unit 7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71. For this purpose, an annular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low measuring part 7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71. (71a) is formed.

또한, 상기 유량측정부(72)는 상기 고정돌기(71a)에 고정되는 환형의 지지링(72a), 복수의 지지암(72e)에 의하여 상기 지지링(72a)의 중앙부에 결합된 유량측정기(72d), 및 상기 유량측정기(72d)의 중앙에 연결된 회전축(72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펠러(7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low measuring unit 72 includes an annular support ring 72a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71a, and a flow meter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ring 72a by a plurality of support arms 72e ( 72d), and a propeller 72b rotatab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72c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low meter 72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유량측정부(72)는 도3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 유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프로펠러(72b)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유량측정기(72d)는 상기 프로펠러(72d)의 회전량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정풍량댐퍼 구동부(76)로 전달하게 된다.The flow measuring unit 72 configured as above causes the propeller 72b to rotate when air flow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ure 3, and the flow meter 72d measures the rotation amount of the propeller 72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ing unit 7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전기신호의 크기는 상기 프로펠러(72d)의 회전량(즉, 유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는 전달받은 전기신호의 크기에 의하여 유량을 연산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size of the electric signal is proportional to the rotation amount (i.e., flow rate) of the propeller 72d, as described later,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er 76 calculates the flow rate based on the size of the received electric signal.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유량제어부(73,74,75)는 몸체부(71)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73), 상기 구동모터(73)의 회전축(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되거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71)를 관통하여 몸체부(71)의 내부로 삽입되는 샤프트(74), 및 상기 몸체부(7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74)에 결합된 원반형의 블레이드(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low control units 73, 74, and 75 extend from a drive motor 7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71, a rotation axis (not shown) of the drive motor 73, or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and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ody 71. A shaft 74 that penetrates the portion 71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71, and a disk-shaped blade 75 coupled to the shaft 74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body portion 71. It consists of: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73)는 통상의 정역회전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정밀한 유량제어를 위하여 회전각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rive motor 73 may be configured as a normal forward/reverse rotation motor,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be configured as a servo motor that can easily control the rotation angle for precise flow control.

또한,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는 상기 유량측정기(72d)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71)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연산하게 되고, 상기 연산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73)를 동작시켜 상기 블레이드(75)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몸체부(71) 내부의 유량을 미리 정해진 설정유량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ing unit 76 calculates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inside the body portion 71 using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received from the flow meter 72d, an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By operating the drive motor 73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75, the flow rate inside the body 71 is kept constant at a predetermined set flow rate.

즉,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는 상술한 방식으로 연산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75)를 몸체부(71)의 내부 유로를 좁히는 방향(즉, 유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연산된 유량이 설정유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75)를 몸체부(71)의 내부 유로를 넓히는 방향(즉, 유로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몸체부(71) 내부 유량을 일정하게 제어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flow rate calculat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s greater than the set flow rate,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er 76 moves the blade 75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body portion 71 (i.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low path). ), and if the calculat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set flow rate, the blade 75 is rotated in a direction that widens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body 71 (i.e.,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flow path), thereby The flow rate is controlled to be constant.

이를 위하여,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는 상기 전기신호의 크기로부터 유량을 연산하기 위한 연산 데이터(또는 연산식)과 몸체부(71)의 설정유량에 대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ing unit 76 has calculation data (or calculation formula) for calculating the flow rate from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and data on the set flow rate of the body part 71 stored in advance.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정풍량 댐퍼(70)는 기계식 정풍량 댐퍼(170)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정풍량 댐퍼(17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71)와 이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량제어부(172)로 구성된다. 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may be composed of a mechanical constant air volume damper 170. In this case,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170 is a cylindrical pipe as shown in FIG. 4. It consists of a body part 171 made of a shape and a flow control part 172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즉, 상기 유량제어부(172)는 몸체부(171)의 내측면 중도에 삽입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부(171)의 내측면에는 유량제어부(172)를 고정시키기 위한 환형의 고정돌기(171a)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flow control unit 17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71. For this purpose, an annular fixing protrusion 171a for fixing the flow control part 17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71. ) is formed.

상기 정풍량 댐퍼(170)에서 유량제어부(172)는 몸체부(171)에 삽입되어 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유량을 제어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화살표 방향으로의 공기 흐름이 강하면 공기의 통로를 작게 하고 공기의 흐름이 약하면 공기의 통로를 크게하여 일정한 양의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비례 제어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In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170, the flow control unit 172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71 to control the flow rate by changing the size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Specifically, when the air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strong, the air flow rate is controlled. If the passage is small and the air flow is weak, the air passage is enlarged to implement a proportional control function that allows a certain amount of air to flow.

이를 위하여, 상기 유량제어부(172)는 상기 몸체부(17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171a)에 고정되는 원판형 플레이트(172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172a)에는 공기가 흐르기 위한 공기 흐름용 개구(172b)와 상기 공기 흐름용 개구(172b)를 통해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제어용 개구(172c)가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flow control unit 172 includes a disc-shaped plate 172a inserted into the body 171 and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71a. The disc-shaped plate 172a includes An air flow opening 172b for air to flow and a flow rate control opening 172c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opening 172b are formed.

또한, 상기 유량제어부(172)는 상기 공기 흐름용 개구(172b)의 테두리로부터 몸체부(171) 방향으로 관형으로 연장 형성된 공기 흐름관(172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4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7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원판형 플레이트(172a)의 중앙부에 형성된 공기 흐름관(172d)을 통하여 유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ow control unit 172 further includes an air flow pipe 172d extending in a tubular shape from the edge of the air flow opening 172b toward the body 171, as shown in the arrow direction in Figure 4.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171 flows through an air flow pipe 172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isk-shaped plate 172a.

또한, 상기 유량제어부(172)는 상기 공기 흐름관(172d)의 중앙부에 설치된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공기 주머니(172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공기 주머니(172e)의 내부는 공기 통로관(172f)에 의하여 상기 유량제어용 개구(172c)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low control unit 172 further includes a sealed bag-shaped air bag 172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air flow pipe 172d, and the inside of the air bag 172e is an air passage pipe ( It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control opening 172c through 172f).

즉, 상기 공기 통로관(172f)은 일측 단부가 상기 유량제어용 개구(172c)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공기 흐름관(172d)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 주머니(172e)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공기 통로관(172f)은 공기 주머니(172e)의 내외로 공기가 유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이루게 된다. That is, the air passage pipe 172f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low control opening 172c and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air flow pipe 172d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air bag 172e, As a result, the air passage pipe 172f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 and out of the air bag 172e.

또한, 상기 공기 주머니(172e)는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의 압력에 따라 부풀어 오르거나 수축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air bag 172e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swells or contracts depending on internal pressu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정풍량 댐퍼(170)는 공기 흐름이 강하여 너무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면 유량제어용 개구(172c)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통로관(172f)를 거쳐 공기 주머니(172e)로 유입되면서 상기 공기 주머니(172e)가 부풀어 오르게 되며, 그 결과 상기 공기 흐름관(172d)의 유로가 작아지면서 공기의 흐름을 감소시키게 된다.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stant air flow damper 170 has a strong air flow, so that when too much air flows, the air flowing into the flow control opening 172c flows into the air bag 172e through the air passage pipe 172f. As this happens, the air bag 172e swells, and as a result, the passage of the air flow pipe 172d becomes smaller, thereby reducing the flow of air.

이와 반대로 공기 흐름이 약하고 너무 적은 공기가 흐르게 되면 상기 공기 주머니(172e)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공기 주머니(172e) 내의 공기가 공기통로관(172f)를 거쳐 유량제어용 개구(172c)를 통해 유출되고, 그 결과 상기 공기 흐름관(172d)의 유로가 커지면서 다시 공기의 흐름을 증가시키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air flow is weak and too little air flows, the air bag (172e) contracts due to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air in the air bag (172e)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pipe (172f) and through the flow control opening (172c). It flows out, and as a result, the passage of the air flow pipe 172d becomes larger, thereby increasing the air flow again.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정풍량 댐퍼(70,170)의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배기팬(60)의 흡기력이 복수의 제2 덕트(50)에 균일하게 작용하게 됨으로써 작업장에 설치된 전체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업장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s 70 and 170 as described above,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take force of the exhaust fan 60 to act uniformly on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50. As a result, carbon dioxide inside the entire dry ice storage unit 30 installed in the workshop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orksho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제2 덕트(5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덕트(50)의 내부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밸브(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50 and further includes an opening/closing valve 80 that opens or closes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second duct 5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개폐밸브(80)는 제품(P)의 포장시에는 해당 포장라인에 설치된 제2 덕트(50)의 유로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다가, 제품(P)의 포장작업이 완료되거나 중단된 경우 또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드라이아이스 잔량이 모두 소진된 경우 등에는 해당 포장라인에 설치된 제2 덕트(50)의 유로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opening/closing valve 80 maintains the flow path of the second duct 50 installed in the relevant packaging line in an open state when packaging the product (P), but when the packaging operation of the product (P) is completed or stopped, or In cases such a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dry ice in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is exhausted, the flow path of the second duct 50 installed in the relevant packaging line is closed.

또한, 상기 개폐밸브(80)는 기계식 개폐밸브 또는 전동식 개폐밸브로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개폐밸브(80)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동식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In addition, the on-off valve 80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as a mechanical on-off valve or an electric on-off valve. 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on-off valve 80 is made of an electric valve such as a solenoid valve.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정풍량 댐퍼(70)가 전동식 정풍량 댐퍼로 구성된 경우에는 블레이드(75)의 회전 각도 조절에 의해 유량제어가 가능하여 상기 개폐밸브(80)의 기능(즉. 제2 덕트의 개폐)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8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tant wind amount damper 70 is configured as an electric constant wind amount damp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rat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blade 75, so that the fun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80 (i.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duct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80 may be omitted if necessar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덕트(50)의 내부에 정풍량 댐퍼(70)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배기팬(60)의 회전속도(rpm)가 과도하게 낮은 경우에는 흡기력이 낮아서 각각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배기팬(60)의 회전속도(rpm)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각각의 제2 덕트(50)에서 배출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유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배기팬(60)의 동작 전원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for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exhaust fan 60 to decrease even i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50 as described above. If it is excessively low,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each dry ice storage unit 30 cannot be discharged quickly due to the low intake power, and on the contrary, the rotational speed (rpm) of the exhaust fan 60 is excessive. In the high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ng power of the exhaust fan 60 is unnecessarily wasted because the carbon dioxide flow rate that can be discharged from each second duct 50 is limited.

따라서, 상기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제1 덕트(40)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덕트 유량계(9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fficientl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60, and for this purpose,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flow meter that measures the flow rate inside the first duct 4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9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덕트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60 using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duct flow meter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압 상온에서 승화하는 드라이아이스의 경우 외부 온도에 따라 승화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달라지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 겨울철보다 승화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많아지게 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dry ice that sublimates at normal pressure and room temperatur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by sublim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In summer, when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by sublimation is greater than in winter.

따라서,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30)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50)의 정풍량을 다르게 제어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가 설치된 작업장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dry ice storage storage 30,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constant air volume of the second duct 50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for this purp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un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20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where the dry ice storage unit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측정된 작업장의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덕트(50)에 설치된 정풍량 댐퍼(7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emission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installed in the second duct 50 using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 decided to do it.

상술한 바와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동작 구성을 살펴보면, 일예로서 상기 제어반(C)에 설치된 제어부(100)는 입출력부(110)에 입력된 동작조건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 구동부(140), 정풍량댐퍼 구동부(76), 및 배기팬 구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Looking at the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00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C)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input to the input/output unit 110. The operation of the open/close valve driver 140,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er 76, and the exhaust fan driver 150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입출력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동작조건이 입력되거나 동작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서 상기 제어반(C)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output unit 110 is for inputting operating conditions or output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panel (C), for example. It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덕트 유량계(90)와 온도센서(120)의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와 배기팬 구동부(150)의 구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 can control specific operations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er 76 and the exhaust fan driver 150 using the output of the duct flow meter 90 and the temperature sensor 120.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덕트 유량계(90)에서 측정된 유량이 상기 제1 덕트(40)에 대해 미리 정해진 설정유량이 되도록 상기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배기팬(60)의 회전속도 제어는 상기 배기팬 구동부(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60 so that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duct flow meter 90 is a predetermined set flow rate for the first duct 4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an 6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exhaust fan driving unit 150.

일예로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설정유량보다 측정된 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고 설정된 유량보다 측정된 유량이 큰 경우에는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배기팬(6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00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60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less than the set flow rate, and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60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greater than the set flow rat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60 can be controlled by reducing it.

이때, 상기 설정유량은 상기 제2 덕트(50) 각각의 개폐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져 데이터 테이블이나 연산식 등의 형태로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덕트(50)의 개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풍량 댐퍼(70)의 블레이드(75) 또는 개폐밸브(8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t flow rate may b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each of the second ducts 50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n the form of a data table or calculation formula.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by the blade 75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or the opening/closing valve 80.

또한, 상기 설정유량은 제1 덕트(40)와 제2 덕트(50)의 사양이나 배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1,2 덕트(40,50)의 사양이나 배치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에 대해서도 상기 제1 덕트(40)에 연결된 제2 덕트(50) 중 유로가 개방된 상기 제2 덕트(50)의 개수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t flow rat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r arrangement of the first duct 40 and the second duct 50, and the specifications or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ucts 40 and 50 are the same. The device may also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econd ducts 50 with open flow passages among the second ducts 50 connected to the first duct 40.

이러한 설정유량은 각각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에 대한 시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기팬(60)과 가장 많이 이격된 제2 덕트(50)의 정풍량(즉, 정풍량 댐퍼에 의해 미리 정해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확보될 수 있는 유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set this set flow rate through testing or simulation for each carbon dioxide discharge device. In all cases, the constant air volume (i.e., constant air volume) of the second duct 50 that is the most distant from the exhaust fan 60 It is more desirable to set the flow rate to ensure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is secured by the wind volume damp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된 정풍량 댐퍼에 의하여 상기 배기팬의 흡기력이 제1 덕트에 연결된 복수의 제2 덕트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장에 설치된 전체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균일한 효율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bon dioxide exhaust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take force of the exhaust fan to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second ducts connected to the first duct by a constant air volume damper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By being configured to operate uniform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all dry ice storage units installed in the workplace with uniform efficiency.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정풍량 댐퍼(70)가 구동모터에 의해 내부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전동식 정풍량 댐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센서(120)에서 측정된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50)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즉, 정풍량 댐퍼를 통한 배출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정풍량 댐퍼(7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stant wind amount damper 70 is configured as an electric constant wind amount damper that changes the internal flow path area by a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workplac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20.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7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ct 50 (i.e., discharge through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이 경우, 상기 정풍량 댐퍼(70)의 동작제어는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stant wind amount damper 7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onstant wind amount damper driving unit 76.

즉, 상기 작업장의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덕트(50)에 설치된 정풍량 댐퍼(70)의 정풍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장의 기온이 높은 겨울철의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2 덕트(50)에 설치된 정풍량 댐퍼(70)의 정풍량이 감소되도록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in the summ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workplace is high,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er 76 to increase the constant air volume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installed in the second duct 50,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in the workplace is high, the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er 76 to reduce the constant air volume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70 installed in the second duct 50.

상기 제어부(100)의 상술한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정풍량댐퍼 구동부(76)는 구동모터(73)를 통해 상기 몸체부(71)에 삽입된 블레이드(75)의 개폐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정풍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00,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driving unit 76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angle of the blade 75 inserted into the body 71 through the driving motor 73 to control the constant air volume. increases or decreas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는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정풍량 댐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내부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작업장의 온도 환경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carbon dioxide discharge device of the dry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ct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so that the dry ice storage storag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fficiently discharge carbon dioxide generated inside the furnac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30 :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40 : 제1 덕트
50 : 제2 덕트 60 : 배기팬
70 : 정풍량 댐퍼 76 : 정풍량댐퍼 구동부
80 : 개폐밸브 90 : 덕트 유량계
100 : 제어부 120 : 온도센서
140 : 개폐밸브 구동부 150 : 배기팬 구동부
30: dry ice storage 40: first duct
50: second duct 60: exhaust fan
70: Constant wind volume damper 76: Constant wind volume damper driving unit
80: open/close valve 90: duct flowmeter
100: Control unit 120: Temperature sensor
140: opening/closing valve driving part 150: exhaust fan driving part

Claims (7)

작업장에 설치된 복수의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덕트;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각각의 내부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덕트;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 내부에서 승화현상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를 상기 제2 덕트와 제1 덕트를 통해 상기 작업장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배기팬;
상기 제2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덕트의 내부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밸브;
상기 제1 덕트 내부의 유량을 측정하는 덕트 유량계; 및
상기 측정된 유량에 따라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2덕트는 상기 제1덕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덕트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배기팬의 흡기력이 상기 복수의 제2덕트에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덕트 각각의 내부에는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정풍량 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유량이 상기 제2 덕트 각각의 개폐상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설정유량이 되도록 상기 배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설정유량은 내부 유로가 개방된 상기 제2 덕트의 갯수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
Multiple dry ice storage bins installed in the workshop;
A first duc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a plurality of second ducts connecting each interior of the dry ic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first duct;
an exhaust fan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duct to exhaust carbon dioxide generated by sublimation inside the dry ice storage to the outside of the workplace through the second duct and the first duct;
an opening/closing valv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duct and opening or closing an internal flow path of the second duct;
a duct flow meter measuring the flow rate inside the first duc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exhaust fan according to the measured flow rate,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uct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duc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take force of the exhaust fan acts uniformly on the plurality of second ducts, a constant air volume damper is installed inside each of the second ducts to maintain a constant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xhaust fan so that the measured flow rate is a predetermined set flow rate accor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each of the second ducts,
The set flow rate is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second duct with an open internal flow pa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작업장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풍량 댐퍼는 구동모터에 의해 내부 유로 면적을 변화시키는 전동식 정풍량 댐퍼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덕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달라지도록 상기 정풍량 댐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
In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The constant wind volume damper is an electric constant wind volume damper that changes the internal flow path area by a drive motor,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air volume damper so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second duct vari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orkplace.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하부와 상기 제1 덕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아이스 수납고의 이산화탄소 배출장치.


In paragraph 1 or 6:
The second duct connects the lower part of the dry ice storage storage with the first duct.


KR1020230154383A 2023-11-09 2023-11-09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KR102650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383A KR102650225B1 (en) 2023-11-09 2023-11-09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383A KR102650225B1 (en) 2023-11-09 2023-11-09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225B1 true KR102650225B1 (en) 2024-03-21

Family

ID=9047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383A KR102650225B1 (en) 2023-11-09 2023-11-09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22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67A (en) * 1992-05-12 1993-11-22 Tokyo Gas Co Ltd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method and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kitchen room
KR102441493B1 (en) * 2022-01-11 2022-09-07 주식회사 무한상사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ice
KR102499823B1 (en) * 2022-06-02 2023-02-14 (주)오토링크 Air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a dust coll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367A (en) * 1992-05-12 1993-11-22 Tokyo Gas Co Ltd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method and air 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for kitchen room
KR102441493B1 (en) * 2022-01-11 2022-09-07 주식회사 무한상사 Method for manufacturing dry ice
KR102499823B1 (en) * 2022-06-02 2023-02-14 (주)오토링크 Air volume automatic control device of a dust coll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621B2 (en) Cryogenic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EP1680632B1 (en) Fresh air vent position monitoring system
US6923111B2 (en) Mobile container for perishable goods
US1047338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078458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s medium inside a container
US201603669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rvation of perishable substances
US10101081B2 (en) Method of operating a cryogenic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PL187692B1 (en) Method of transporting or storing readily perishable products
KR102650225B1 (en) An apparatus for exhaust carbon dioxide of dry ice storage cabinet
US11673752B2 (en) Dispenser vane
KR20120021916A (en) Food stuff container for maintaining vacuum
US9920884B2 (en) Automated gas canister filler
CN109124081A (en) Library bookshelf with fire prevention and fire-extinguishing function concurrently
CN109124399A (en) A kind of cooking machine
JP2019086274A (en) Freez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799521B2 (en) Control environment container
JPH04225769A (en) Refrigerating machine with gas leakage diagnostic device
CN114270121A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plurality of refrigeration compartments in fluid communication
WO2001053763A1 (en) Atmosphere control device for dry container
US20230040836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goods delivery vehicle
KR100831685B1 (en) Fluid-Discharging-Device for Packing System
CN217457146U (en) Cold air conveying pipeline and fresh-keeping system
CN218641935U (en) Continuous type discharge device of safety isolation
CN218922361U (en) Material throwing device and cooking machine
CN211575583U (en) Cage type compressed liquid gas refrigerant refrigerating system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