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269B1 -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269B1
KR102648269B1 KR1020210050601A KR20210050601A KR102648269B1 KR 102648269 B1 KR102648269 B1 KR 102648269B1 KR 1020210050601 A KR1020210050601 A KR 1020210050601A KR 20210050601 A KR20210050601 A KR 20210050601A KR 102648269 B1 KR102648269 B1 KR 10264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disease
disease treatmen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213A (ko
Inventor
김태원
성유섭
김선영
윤신교
서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1005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69B1/ko
Priority to PCT/KR2022/004825 priority patent/WO2022225227A1/ko
Publication of KR20220144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료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COMPUTER-RE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LYING MEDIC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들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후 의료진으로부터 자신의 질병에 관한 추후 치료 단계에 대하여 설명을 듣지만, 의료진의 설명만으로는 구체적인 치료 과정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암 환자들은 본인의 정확한 암 병기를 모르는 경우도 많으며, 대부분의 암 환자들은 암 진단을 받은 후에 향후 치료 단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상세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장기 또는 단기 계획을 수립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암 정보가 제공되는 사이트 및 의료진에게 궁금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묻고 답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하나, 암 정보가 제공되는 사이트들은 주기적으로 암 정보가 갱신되지 않으며, 의료진에게 궁금한 부분을 실시간으로 묻고 답변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은, 병원 운영시간, 진료항목 등 고객이 자주 질문하는 사항에 대한 답변만을 한정적으로 응답할 뿐이다.
따라서, 환자들은 병을 진단 받은 후, 구체적인 향후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61251호 (2017.06.05. 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단계에 대한 상세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 등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는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 치료 정보, 식이 정보, 재활 정보, 유사 사례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공할 질문을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입출력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는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입출력부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 치료 정보, 식이 정보, 재활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로서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공할 질문을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입력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입출력부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한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예를 들어, 암) 치료단계별로 질환, 진단, 치료, 치료 후 관리, 완화/호스피스, 임상시험, 부작용 관리, 재활/운동, 식이 및 환자의 질병과 유사한 사례 정보 등의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환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받으므로, 제공받은 환자별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고, 질병에 대한 투병 과정에 필요한 내용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절차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는 입출력부(101), 통신부(102), 메모리(110) 및/또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챗봇(Chat-bot) 모듈(12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01)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01)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상태정보는,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자의 개인정보는,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또는 생년월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질병정보는, 환자의 질병에 관련된 정보로써, 환자의 진단명, 환자의 병기 및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예를 들어, 암 전이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치료정보는, 환자의 치료시기에 관련된 정보로써,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환자의 수술일자, 환자의 질병 치료일자(예를 들어, 방사선 치료일자 또는 항암치료 시작일자) 및 환자의 치료 약품(예를 들어, 항암제)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유전자 정보는, 환자의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결과, 면역염색 결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결과 및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결과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입출력부(101)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3)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03)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환자 또는 보호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입출력부(101)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스캐너(104)를 포함할 수 있고,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를 스캐너(104)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는, 현재 환자의 질병에 대한 상세한 상태정보에 관한 것으로써, 환자의 현재 치료 단계 및 환자의 진료 기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자는 직접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것보다,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할 경우, 더 상세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는 실물 카드이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모바일 카드일 수 있으며, QR 코드는 QR 코드가 인쇄된 QR 코드 카드 또는 지류형태의 QR 코드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QR 코드(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QR 코드)일 수 있다.
예컨대, 카드 또는 QR 코드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 또는 QR 코드에 포함된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는 의료진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 환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는 챗봇(Chat-bot) 모듈(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챗봇(Chat-bot) 모듈(125)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환자의 상태정보로서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공할 질문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입력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출력부(101)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부(101)는 챗봇을 기반으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도 있다.
통신부(102)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와 외부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프로세서(120), 입출력부(101) 및/또는 통신부(102))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제어부, 제어 장치 또는 제어 회로라고도 함)는 연결된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예: 입출력 부(101), 통신부(102) 및/또는 메모리(110))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를 들어,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입출력부(101)를 통해 입력받은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 별 질병 치료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입출력부(101)를 통해 입력받은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질병(예를 들어, “암”일 수 있음)의 전체 치료 여정(예를 들어, 치료전, 치료중, 치료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정보는,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에 따라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 및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은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일수 있고,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은 “치료전”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일 수 있고,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은 “치료후”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는 해당 시점에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는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가 많을수록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의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가 적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가 많을수록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의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가 적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에 포함된 항목 개수가 적을수록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의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가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환자의 상태정보가 적을수록 이후 제공될 수 있는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가 많은 반면, 환자의 상태정보가 많을수록 환자의 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으므로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한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는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 별 질병 치료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 및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 중 하나의 시간 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치료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하거나,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치료전”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에 포함되는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하거나,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해당하는 “치료후”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에 포함되는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정보는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서,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또는 질환 정보), 치료 정보, 식이 정보, 재활 정보, 환자의 질병에 관한 유사 사례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120)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정보는 각 시간 영역별 질병(예를 들어, 암) 치료단계별로 질환, 진단, 치료, 치료 후 관리, 완화/호스피스, 임상시험, 부작용 관리, 재활/운동, 식이 및 환자의 질병과 유사한 사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예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입출력부(101)에서 환자의 상태정보 중, 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으로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50)에 대한 의료정보(2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환자의 현재 치료상태를 요약한 정보(1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출력부(101)에서 환자의 상태정보 중, 환자의 질병정보(60)에서의 환자의 병기 정보(63)(병기, 2기)를 입력받을 경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으로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50)에 포함된 치료 방법(55)(수술, 재발예방을 위한 항암치료 4개월, 5년간 6개월 간격으로 CT시행 5년간 재발이 없으면 완치로 간주) 중, 입력 받은 환자의 질병정보에 해당되는 단계(53)(수술)에 대한 의료정보(2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입출력부(101)에서 환자의 상태정보 중, 환자의 질병정보(60)에서의 환자의 장기 전이 정보(65)(다른 장기전이 없음)를 입력받을 경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으로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50)에 포함된 치료 방법(56)(다른 장기 전이 없음, 폐기능 양호, 폐기능 불량) 중, 입력 받은 환자의 질병정보에 해당되는 단계(57)(다른 장기 전이 없음)에 대한 의료정보(2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의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는 2가지(폐기능 양호, 폐기능 불량)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입출력부(101)에서 환자의 상태정보 중, 환자의 질병정보(60)에서의 환자의 병기 정보(63)(병기, 3기)와, 환자의 치료정보 중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정보(67)(수술 가능)를 입력 받을 경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으로 “치료중”에 해당되는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50)에 포함된 치료 방법(58)(수술이 가능한 경우, 수술, 재발예방을 위한 항암치료 4개월, 재발예방을 위한 항암치료 4개월 후 방사선치료 1개월, 재발예방을 위한 동시 항암방사선치료 6주) 중, 입력 받은 환자의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에 해당되는 단계(59)(수술)에 대한 의료정보(20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영역에 대한 질병 치료 단계의 질병 치료 방법의 경우의 수는 3가지(재발예방을 위한 항암치료 4개월, 재발예방을 위한 항암치료 4개월 후 방사선치료 1개월, 재발예방을 위한 동시 항암방사선치료 6주)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방법의 절차에 대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6의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의료정보 제공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출력부(101)는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단계 S10).
일 실시예로서, 입출력부(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입출력부(101)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01)는 카드 또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카드 또는 QR 코드에 포함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입출력부(101)는 제공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환자의 상태정보로써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입출력부(101)에서 입력 받은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20).
여기서, 프로세서(120)에서 제공하는 의료정보는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써,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 치료 정보, 식이정보, 재활 정보, 유사 사례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120)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정보는 각 시간 영역별 질병(예를 들어, 암) 치료단계별로 질환, 진단, 치료, 치료 후 관리, 완화/호스피스, 임상시험, 부작용 관리, 재활/운동, 식이 및 환자의 질병과 유사한 사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한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예를 들어, 암) 치료단계별로 질환, 진단, 치료, 치료 후 관리, 완화/호스피스, 임상시험, 부작용 관리, 재활/운동, 식이 및 환자의 질병과 유사한 사례 정보 등의 의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또는 보호자와 같이 의료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들은 환자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환자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환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받으므로, 제공받은 환자별 맞춤 정보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고, 질병에 대한 투병 과정에 필요한 내용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인코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법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료정보 제공 장치
101: 입출력부
102: 통신부
103: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104: 스캐너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Claims (22)

  1. 의료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를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은 치료중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은 치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은 치료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인
    의료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 치료 정보, 식이 정보, 재활 정보, 유사 사례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공할 질문을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
  11.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입출력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를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은 치료중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은 치료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은 치료후에 해당하는 시간 영역인
    의료정보 제공 장치.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의료진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환자의 진료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또는 QR 코드로부터 추출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
  15. 삭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유전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암 치료 단계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환자의 병기에 대한 질병 정보, 치료 정보, 식이 정보, 재활 정보 및 임상시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기 저장되어 있는 질문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공한 질문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로서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추가로 제공할 질문을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입력된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입출력부에 전달하는 챗봇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료정보 제공 장치.
  2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를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2.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상세도가 다르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및 치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는, 상기 환자의 성명, 성별 및 출생일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질병정보는, 상기 환자의 진단명, 상기 환자의 병기 및 상기 환자의 장기 전이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치료정보는, 상기 환자의 수술가능 여부, 상기 환자의 수술일자, 상기 환자의 질병 치료 일자 및 상기 환자의 치료약품을 포함하고,
    상기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는,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1 질병 치료 단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2 질병 치료 단계 및 상기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입력한 시점 이후의 시간 영역에 대한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는,
    해당 시점에 제공되며, 택일적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질병 치료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병 치료 방법의 개수가 결정되고,
    상기 의료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질병 치료 단계에 대응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시간 영역별 질병 치료 단계에 대한 의료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각각에 대해 상기 환자에 대응되는 제1 UI 객체를 상기 환자의 질병에 대한 전체 치료 여정을 경로로 시각화한 제2 UI 객체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정보 제공 방법을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50601A 2021-04-19 2021-04-19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01A KR102648269B1 (ko) 2021-04-19 2021-04-19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22/004825 WO2022225227A1 (ko) 2021-04-19 2022-04-05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601A KR102648269B1 (ko) 2021-04-19 2021-04-19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13A KR20220144213A (ko) 2022-10-26
KR102648269B1 true KR102648269B1 (ko) 2024-03-15

Family

ID=8372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01A KR102648269B1 (ko) 2021-04-19 2021-04-19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8269B1 (ko)
WO (1) WO20222252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19B1 (ko) * 2017-03-17 2018-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629A (ko) * 2013-08-29 2015-03-11 서울대학교병원 환자맞춤형질환정보제공 단말기
KR20150111011A (ko) * 2014-03-24 2015-10-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61251A (ko) 2015-11-26 2017-06-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05563B1 (ko) * 2018-05-16 2020-04-28 (주)비주얼터미놀로지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방법 및 환자 상태 조회 화면 제공 시스템
JP2022510834A (ja) * 2018-12-11 2022-01-28 アウトカムス4ミ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ヘルスケア情報と治療推奨の提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19B1 (ko) * 2017-03-17 2018-06-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추천 진료 상담 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13A (ko) 2022-10-26
WO2022225227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ccles et al. Changing the behavior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use of theory in promoting the uptake of research findings
US20170169177A1 (en) Treatment intelligence and interactive presence portal for telehealth
US10372802B2 (en) Generating a report based on image data
CN105268051B (zh) 用于提供用于血糖控制的信息的医疗系统和方法
WO2013049386A1 (en) Instruct-or
Vaidyam et al. Enabling research and clinical use of patient-generated health data (the mindLAMP Platform): digital phenotyping study
US20210133553A1 (en) Training a model
US11037678B2 (en) Medical device with interfaces for capturing vital signs data and affirmatively skipping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vital signs data
Ekeland et al. Assessment of MAST in European patient-centered telemedicine pilots
CN105188519A (zh) 医疗装置和外部装置协调系统和方法
US20140370476A1 (en) Computer-Implemented Training of a Procedure
KR102648269B1 (ko) 의료정보 제공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Beck et al. Developing a mHealth routine outcome monitoring and feedback app (“SMART Track”) to support self-management of addictive behaviours
KR20150111011A (ko) 의료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30028948A1 (en) Generation of patient-specific content
CN105214186A (zh) 用于医用呼吸机的控制设备
US20240177867A1 (en) Method, devic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Herranz et al. A Practice-Proven Adaptive Case Management Approach for Innovative Health Care Services (Health Circuit): Cluster Randomized Clinical Pilot and Descriptive Observational Study
Ehrler et al. Addressing the Complexity of Mobile App Design in Hospital Setting with a Tailored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Model.
JP5283955B2 (ja) 放射線治療部門システム
Monteiro-Guerra et al. The design of a mobile app for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self-management in prostate cancer survivors: personas, feature ideation and low-fidelity prototyping
Martinez Lorca et al. Anxiety reduction and emotional self-care using the U-technique in radiology departments
Lester et al. A learning pharmacy practice enabled by the pharmacists’ patient care process
Doarn et al.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e-Quit worRx: an iPad App for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and shared decision making in primary care
Lunde et al. Think Aloud Testing of a Smartphone App for Lifestyle Change Among Persons at Risk of Type 2 Diabetes: Usability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