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174B1 -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 Google Patents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174B1
KR102648174B1 KR1020230102475A KR20230102475A KR102648174B1 KR 102648174 B1 KR102648174 B1 KR 102648174B1 KR 1020230102475 A KR1020230102475 A KR 1020230102475A KR 20230102475 A KR20230102475 A KR 20230102475A KR 102648174 B1 KR102648174 B1 KR 10264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torage box
electromagnet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용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0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이 개시된다. 상기 물통은,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액체 출입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보관공간이 함몰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 각각을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WATER TANK COMBINED WITH MEDICATION STORAGE}
본 발명은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간편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보관함이 결합되어 보관함에 약을 휴대하여 물과 약을 함께 휴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구투약이 필요한 상황에서 물을 찾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개인 건강 관리에 관심을 가지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나이가 들어갈 수록, 개인 건강 관리를 위해 다양한 영양제를 시간에 맞춰 경구투약하거나, 다양한 질병을 앓는 상황이 증가하여 치료약을 시간에 맞춰 경구투약하여야 하는 상황이 증가하고 있다.
영양제 또는 약을 시간에 맞춰 경구투약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 습관이 되어 있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시간을 맞춰 약을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투약을 건너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 약을 챙겨서 먹어야겠다고 인지하고 있더라도, 대부분의 영양제나 약은 보관의 용이성(부피) 때문에 가루약 또는 알약 형태로 형성되고 처방되기 때문에, 물과 함께 섭취하여야 하지만, 실내가 아닌 이상 물을 쉽게 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위해 이하 본 발명에서는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제(결과물)는 2023년도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의 결과임(2021RIS-001).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RIS)"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2021RIS-001).
과제번호: 2021RIS-001
부처명: 교육부(P13)
과제관리(전문)기관명: 한국연구재단
연구사업명: 지자체-대학협력기반지역혁신사업
과제수행기관명: (충북지역혁신플랫폼)충북대학교
연구기간: 2023-04-01 ~ 2024-02-29
(0001)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80217호 (000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36658호 (000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72880호 (0004) 한국등록특허 제10-1750975호
본 발명은, 보관함과 결합되어 액체를 내부에 저장(보관)하고, 보관함에 약(영양제)을 함께 보관함으로서 사용자가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약을 먹어야 하는 시간대에 주변에 물이 없더라도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약을 쉽게 먹도록 할 수 있는,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령의 사용자가 약 보관함의 위치를 혼동하지 않도록, 식사 시간에 알맞은 약 보관함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을 제공한다.
상기 물통은,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액체 출입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보관공간이 함몰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 각각을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된다.
또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에는 탈부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탈부착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의 개방구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석; 복수의 상기 개폐부 모두에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메인 개폐부; 및 복수의 상기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개폐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 각각이 폐쇄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전자석 각각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가 배치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배치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개폐부는, 복수의 상기 개폐부 모두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금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과 상기 금속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은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메인 금속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로부터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수신하는 동작; 현재 시각이 상기 아침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현재 시각이 상기 점심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다른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현재 시각이 상기 아침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나머지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은, 보관함과 결합되어 액체를 내부에 저장(보관)하고, 보관함에 약(영양제)을 함께 보관함으로서 사용자가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액체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약을 먹어야 하는 시간대에 주변에 물이 없더라도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약을 쉽게 먹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은, 식사 시간에 알맞은 약 보관함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고령의 사용자가 약 보관함의 위치를 혼동하지 않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통을 구성별로 분리한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물통에서 보관함이 몸체부와 분리되는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보관함이 열리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보관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보관함의 개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통을 구성별로 분리한 분리도이며, 도 3은 도 1의 덮개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과 결합되어 액체를 저장할수 있는 물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1)은 몸체부(11), 보관함(13) 및 덮개부(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11)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기 설정된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는 지름이 높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굴곡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11)는 일정 높이의 원기둥의 상부에 돔 형태의 상부면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몸체부(1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를 몸체부(11) 내부의 기 설정된 부피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도록 액체 출입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출입부(11a)는 몸체부(11)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액체를 몸체부(11)에 유입시키거나, 몸체부(11)에 기 유입되어 있는 액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액체 출입부(11a)는 이를 위해 일 예로 몸체부(11)의 외부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몸체부(11)의 일 면에는 복수개의 보관함(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보관함(13)이 몸체부(11)의 하부면과 결합하여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보관함(13)은 제1 보관함(13a), 제2 보관함(13b) 및 제3 보관함(13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각 보관함(13a 내지 13c)의 측면에는 제조자가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는 일 예로 아침, 점심 및 저녁을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1)은 상술한 효과와 같이 약과 물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관함(13)에 결합되는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는 약을 경구투약 하여야 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 일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한글, 영어 또는 점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호는 아침, 점심 및 저녁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호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13)의 상측 외주면에는 몸체부(11) 또는 다른 보관함(13)의 하측 내주면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 및 보관함(13)의 하측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돌출부가 걸림홈에 걸림에 따라 보관함(13)이 몸체부(11) 또는 다른 보관함(13)과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보관함(13)의 일 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동작 상태(눌림)인 경우 버튼과 연결되는 걸림판이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몸체부(11) 또는 다른 보관함(13)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걸림홈에서 걸림판이 제거되어 보관함(13)이 슬라이딩하며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관함(13)은 슬라이딩 형태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돌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회전축을 이용한 회전형 슬라이딩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축을 이용한 슬라이딩 형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13)들은 동일한 회전축을 이용하도록 형성되며, 상술한 내용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은 보관함(13)의 중심축이 아닌 부분에 형성되어 보관함(13)이 회전하여 슬라이딩 하는 경우 외부로 보관함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축은 보관함(13)을 형성하는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보관함(13)이 회전하는 경우 보관함 내부 공간이 모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술한 내용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도록 보조축이 회전축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되고, 걸림홈이 보조축에 각각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몸체부(11)의 상부측에는 덮개부(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5)는 몸체부(11)의 상부측에 결합하여 액체 출입부(11a)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5)는 내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출입부(11a)를 밀폐할 수 있는 액체 밀폐부(17)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액체 밀폐부(17)는 밀폐부재(17a) 및 고정부재(17b)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17a)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액체 출입부(11a)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재(17b)는 기 설정된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15)의 내측 바닥면과 액체 출입부(11a)의 상부면의 거리보다 기 설정된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덮개부(15)가 액체 출입부(11a)를 밀폐하도록 몸체부(11)에 고정되는 경우, 고정부재(17b)는 일정 길이만큼 수축하여 탄성력을 밀폐부재(17a)에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액체 출입부(11a)와 밀폐부재(17a)가 결합되고 밀폐부재(17a)의 액체 출입부(11a)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덮개부(15)는 덮개부(1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액체(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덮개부(15) 내부에 일자 홈을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덮개부(15)는 일자 홈을 이용하여 액체의 흐름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액체(물)를 음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5)는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출입부(11a)와 결합하여 내부에 구비되는 액체 밀폐부(1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내부 액체를 음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밀폐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17c), 내부 개폐부재(171a) 및 외부 개폐부재(171b)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17c)는 밀폐부재(17a)와 고정부재(17b)의 내부에 일정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17c)는 액체 밀폐부(1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내부 액체를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밀폐부재(17a) 측단에 구비되는 내부 개폐부재(171a) 및 고정부재(17b) 측단에 구비되는 외부 개폐부재(171b)의 개방을 통해 유로(17c)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액체의 음용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15)는 바람직하게는 몸체부(11)를 밀폐하기 위해 결합하는 반대방향으로 액체 출입부(11a)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출입부(11a)와의 결합을 위해 덮개부(15)는 외부 개폐부재(171b) 측에 더 구비되는 삽입홈을 이용하여 액체 출입부(11a)와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5)는 삽입홈을 이용하여 외부 개폐부재(171b)가 개방된 상태로 액체 출입부(11a)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삽입 홈을 이용하여 덮개부(15)가 역방향으로 몸체부(11)와 결합하고, 밀폐부재(17a)의 일 단에 구비되는 내부 개폐부재(171a)가 제거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로(17c)는 액체 출입부(11a)와 연결되어 몸체부(11) 내부의 액체 보관 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재(17b)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사라짐으로써 액체 밀폐부(17)가 덮개부(15)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1)은 사용자가 액체 밀폐부(17)를 액체 음용 가이드 유로로 이용하여 차량 등의 내부에서 음용이 필요한 경우 외력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액체를 흘리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체의 흐름이 발생하더라도, 흘러나온 액체를 덮개부(15) 내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제2 실시예
한편, 도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이 도시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은, 몸체부(21), 캡부(23), 덮개부(231), 손잡이부(22), 보관공간(22a, 22b, 22c)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21)는 액체를 저장하도록 기 설정된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1)는 지름이 높이 이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굴곡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21)는 몸체부(2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굴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중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몸체부(21)의 내부공간이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몸체부(21)의 상측에 캡부(23)가 결합되어 몸체부(21)의 내부공간이 밀폐된다. 몸체부(21)의 상측 외주면과 캡부(23)의 하측 내주면 사이는 나사결합될 수 있다. 캡부(23)를 회전시킴에 따라 캡부(23)의 하측 내주면과 몸체부(21)의 상측 외주면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캡부(2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를 몸체부(21) 내부의 기 설정된 부피에 저장하도록 할 수 있도록 액체 출입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출입부(23a)는 캡부(23)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액체를 몸체부(21)에 유입시키거나, 몸체부(21)에 기 유입되어 있는 액체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액체 출입부(23a)는 이를 위해 일 예로 몸체부(21)의 외부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공간에 수용된 액체의 음용을 쉽게 하기 위해, 액체 출입부(23a)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출입부(23a)는 캡부(23)의 상측 면과 45˚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캡부(23)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보관공간(22a, 22b, 22c)을 포함하는 손잡이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22)는 탈착 구조로 형성되어 캡부(23)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23)의 외주면에 결합부재(23b)가 구비되고, 손잡이부(22)의 일 면에 탈부착부재(226)가 구비되며, 결합부재(23b)에 탈부착부재(226)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되어 몸체부(21)와 손잡이부(22)가 탈부착 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재(23b)의 좌우측면에는 버튼이 형성되어, 탈부착부재(226)가 결합될 때는 외력에 의해 쉽게 손잡이부(22)가 제거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좌우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 손잡이부(22)가 쉽게 제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2)를 잡고 회전시켜 캡부(23)를 몸체부(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캡부(23)에 직접적으로 외력을 가해 몸체부(21)에서 분리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쉽게 캡부(23)를 몸체부(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22)에는 복수 개의 보관공간(22a, 22b, 22c)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보관공간(22a, 22b, 22c)이 손잡이부(2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보관공간(22a, 22b, 22c)은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각 보관공간(22a 내지 22c)의 측면에는 제조자가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는 일 예로 아침, 점심 및 저녁을 의미하는 문자 또는 기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은 상술한 효과와 같이 약과 물을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관공간(22a, 22b, 22c)에 결합되는 기 입력한 문자 또는 기호는 약을 경구투약 하여야 하는 일정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 일 수 있다. 여기서, 문자는 한글, 영어 또는 점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호는 아침, 점심 및 저녁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공간(22a, 22b, 22c)은 개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공간(22a, 22b, 22c)이 개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보관공간(22a, 22b, 22c)은 일 면에 힌지가 구비되어 개폐가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의 개폐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태의 개폐부를 이용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약을 보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공간(22a, 22b, 22c)이 슬라이드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보관공간(22a, 22b, 22c)은 슬라이딩 형태로 내부 보관 공간이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관공간(22a, 22b, 22c)에는 버튼이 구비되어 보관공간(22a, 22b, 22c)의 고정 및 해제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관공간(22a, 22b, 22c)의 일 면에 형성되는 버튼은 기본 상태(돌출)인 경우 버튼과 연결되는 걸림판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부(22)에 구비되는 걸림홈에 걸림판이 걸려 보관공간(22a, 22b, 22c)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보관공간(22a, 22b, 22c)의 일 면에 형성되는 버튼이 동작 상태(눌림)인 경우 버튼과 연결되는 걸림판이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손잡이부(22)에 구비되는 걸림홈에서 걸림판이 제거되어 보관공간(22a, 22b, 22c)이 슬라이딩하며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몸체부(21)의 상부측에는 덮개부(2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31)는 몸체부(21)의 상부측에 결합하여 액체 출입부(23a)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31)와 액체 출입부(23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덮개부(231)가 액체 출입부(23a)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31)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액체 출입부(23a)는 가이드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두 나사산이 서로 결합하는 형태로 액체 출입부(23a)가 밀폐될 수 있다.
또, 덮개부(231)는 도면에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내부에 유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부면에 유로부재의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재는 빨대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덮개부(231)의 중앙부분에 기 설정된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지름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출입부(23a)의 지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31)는 밀폐부재가 개방되면 유로부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몸체부(21) 내부에 보관되는 액체의 음용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부(231)의 밀폐부재는 덮개부(231)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유로부재의 상부 일부가 돌출됨과 동시에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덮개부(231)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측에 개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개방부와 덮개부(231) 사이는 일정 거리가 구비되며, 개방부에 하방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개방부가 눌리면서 개방부와 덮개부(231) 사이에 구비되고 있는 유로부재가 개방부 상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유로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유로부재를 빨대처럼 사용하여 내부의 액체를 음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의 보관함이 열리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의 보관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의 보관함의 개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물통(2)은, 손잡이부(22)에 형성된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 각각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는 플레이트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부(22)의 측면 중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힌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 각각은 힌지를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는 메인 개폐부(224)에 의해서 덮혀진다. 메인 개폐부(224)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손잡이부(22)의 측면에 형성된 힌지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개폐부(224)는, 힌지를 축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를 덮거나 덮지 않을 수 있다.
손잡이부(22)의 부분 중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 각각의 개방된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는 전자석(225)이 각각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3개의 전자석(225)이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에 배치된다.
제1 개폐부(221)는 제1 금속부재(2211)를 포함한다. 제1 금속부재(2211)는, 제1 개폐부(221)가 제1 보관공간(22a)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1 개폐부(221)의 전자석(225)과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제2 개폐부(222)는 제2 금속부재(2221)를 포함한다. 제2 금속부재(2221)는, 제2 개폐부(222)가 제2 보관공간(22b)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개폐부(222)의 전자석(225)과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제3 개폐부(223)는 제3 금속부재(2231)를 포함한다. 제3 금속부재(2231)는, 제3 개폐부(223)가 제3 보관공간(22c)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3 개폐부(223)의 전자석(225)과 마주하는 부분에 위치된다.
전자석(225)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전자석(225)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전자석(225)과 제1 금속부재(2211)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어 제1 개폐부(221)가 제1 보관공간(22a)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된다.
전자석(225)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전자석(225)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전자석(225)과 제2 금속부재(2221)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어 제2 개폐부(222)가 제2 보관공간(22b)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된다.
전자석(225)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전자석(225)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전자석(225)과 제3 금속부재(2231)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되어 제3 개폐부(223)가 제3 보관공간(22c)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된다.
전자석(225)에 공급되는 자력이 차단됨에 따라, 전자석(225)에서 자기장이 제거되고, 전자석(225)과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 사이에 발생되던 인력이 제거되어,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개폐부(221)는 제1 자석부재(2212)를 포함한다. 제1 자석부재(2212)는, 제1 개폐부(221)의 제1 금속부재(2211)가 배치된 일측 면의 반대편인 타측 면에 배치된다.
제2 개폐부(222)는 제2 자석부재(2222)를 포함한다. 제2 자석부재(2222)는, 제2 개폐부(222)의 제2 금속부재(2221)가 배치된 일측 면의 반대편인 타측 면에 배치된다.
제3 개폐부(223)는 제3 자석부재(2232)를 포함한다. 제3 자석부재(2232)는, 제3 개폐부(223)의 제3 금속부재(2231)가 배치된 일측 면의 반대편인 타측 면에 배치된다.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와 마주하는 메인 개폐부(224)의 일측 면에는 메인 금속부재(2241)가 배치된다. 메인 개폐부(224)가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를 덮은 상태에서, 메인 금속부재(2241)는, 제1 자석부재(2212), 제2 자석부재(2222) 및 제3 자석부재(2232)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자석부재(2212), 제2 자석부재(2222) 및 제3 자석부재(2232)와 메인 금속부재(2241)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된다.
제1 자석부재(2212), 제2 자석부재(2222) 및 제3 자석부재(2232)와 메인 금속부재(2241)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은, 제1 금속부재(2211), 제2 금속부재(2221) 및 제3 금속부재(2231)와 전자석(225)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제1 개폐부(221), 제2 개폐부(222) 및 제3 개폐부(223)는 전자석(225)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있다면 메인 개폐부(224)와 함께 열리고, 전자석(225)에 자기장이 발생되고 있다면 메인 개폐부(224)와 함께 열리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아침용 약품이 보관되는 제1 보관공간(22a)에 배치된 전자석(225)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에 배치된 전자석(225)에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개폐부(224)가 열린 경우, 제1 보관공간(22a)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지 않는다.
점심용 약품이 보관되는 제2 보관공간(22b)에 배치된 전자석(225)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제1 보관공간(22a) 및 제3 보관공간(22c)에 배치된 전자석(225)에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개폐부(224)가 열린 경우, 제2 보관공간(22b)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개방되지 않는다.
즉, 전자석(225)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메인 개폐부(224)를 개방했을 때, 특정한 보관공간이 함께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령의 노인인 경우 아침용, 점심용, 저녁용 보관공간을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데, 메인 개폐부(224)를 열었을 때 아침시간, 점심시간, 저녁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제1 보관공간(22a), 제2 보관공간(22b) 및 제3 보관공간(22c)이 열리도록 제어한다면 사용자의 혼동염려 없이 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의 기능적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2)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물통(2)은, 시간 설정부(101), 전자석 제어부(102), 발광장치 제어부(10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 설정부(101)는, 물통(2)에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를 통해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물통(2)에는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버튼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기계식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물통(2)에는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전자식 입력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간 설정부(101)는, 물통(2)과 전자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단말(미도시)에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등일 수 있다.
전자석 제어부(102)는, 배터리(160)로부터 전자석(225)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 제어부(102)는, 현재 시각이 아침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로부터 제1 보관공간(22a)에 인접한 전자석(225)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 제어부(102)는, 현재 시각이 점심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로부터 제2 보관공간(22b)에 인접한 전자석(225)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 제어부(102)는, 현재 시각이 저녁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로부터 제3 보관공간(22c)에 인접한 전자석(225)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발광장치 제어부(103)는, 배터리(160)로부터 발광 장치(150)로 전력이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보관공간(22a)과 인접하는 손잡이부(22)의 측면에는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보관공간(22b)과 인접하는 손잡이부(22)의 측면에는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보관공간(22c)과 인접하는 손잡이부(22)의 측면에는 발광 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장치 제어부(103)는, 현재 시각이 아침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가 제1 보관공간(22a)과 인접하는 발광 장치(15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장치 제어부(103)는, 현재 시각이 점심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가 제2 보관공간(22b)과 인접하는 발광 장치(15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장치 제어부(103)는, 현재 시각이 저녁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배터리(160)가 제3 보관공간(22c)과 인접하는 발광 장치(15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물통(2)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술한 물통(2)의 구성부들(101~103)이나 기타 기능 또는 동작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물통(2)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통(2)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발광 장치(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통(2)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 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5)

  1.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에 있어서,
    상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측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액체 출입부; 및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보관공간이 함몰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 각각을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각각이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의 개방구 각각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전자석;
    복수의 상기 개폐부 모두에 근접 또는 이격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메인 개폐부; 및
    복수의 상기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개폐부 각각은,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 각각이 폐쇄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전자석 각각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가 배치된 일측 면의 반대편 타측 면에 배치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개폐부는,
    복수의 상기 개폐부 모두에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자석부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금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석과 상기 금속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은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메인 금속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물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보관공간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물통.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측에는 탈부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탈부착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단말로부터 아침시간, 점심시간 및 저녁시간을 수신하는 동작;
    현재 시각이 상기 아침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현재 시각이 상기 점심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다른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현재 시각이 상기 저녁시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복수의 상기 전자석 중 나머지 하나로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물통.
KR1020230102475A 2023-08-04 2023-08-04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KR10264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475A KR102648174B1 (ko) 2023-08-04 2023-08-04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475A KR102648174B1 (ko) 2023-08-04 2023-08-04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174B1 true KR102648174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475A KR102648174B1 (ko) 2023-08-04 2023-08-04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174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58Y1 (ko) 1996-12-05 1999-02-01 강보성 휴대용으로 살균과 정수를 겸한 물통내의 약품보관함
KR200207477Y1 (ko) * 2000-07-03 2000-12-15 김미경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339897Y1 (ko) * 2003-10-21 2004-01-28 윤정현 병제품 취부용 수납케이스
KR20100110094A (ko) * 2009-04-02 2010-10-12 김노수 휴대용 물통
KR20160052159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무선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약보관함
KR20160131443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타무 손잡이가 내부에 수납되는 보온컵
KR101687000B1 (ko) * 2014-11-28 2016-12-16 오재혁 의약품 수납이 가능한 물통
KR101743473B1 (ko) * 2015-12-29 2017-06-05 주식회사 디앤티 다용도 휴대용 물병
KR101750975B1 (ko) 2017-02-17 2017-06-27 김지일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KR20190072880A (ko) 2017-12-18 2019-06-26 임다솔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KR20220050269A (ko) * 2020-10-15 2022-04-25 은영아 스마트 약 상자
KR20230080217A (ko) 2021-11-29 2023-06-07 김태성 약 보관 뚜껑을 구비한 물통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658Y1 (ko) 1996-12-05 1999-02-01 강보성 휴대용으로 살균과 정수를 겸한 물통내의 약품보관함
KR200207477Y1 (ko) * 2000-07-03 2000-12-15 김미경 휴대용 알약 케이스
KR200339897Y1 (ko) * 2003-10-21 2004-01-28 윤정현 병제품 취부용 수납케이스
KR20100110094A (ko) * 2009-04-02 2010-10-12 김노수 휴대용 물통
KR20160052159A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휴로 무선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약보관함
KR101687000B1 (ko) * 2014-11-28 2016-12-16 오재혁 의약품 수납이 가능한 물통
KR20160131443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타무 손잡이가 내부에 수납되는 보온컵
KR101743473B1 (ko) * 2015-12-29 2017-06-05 주식회사 디앤티 다용도 휴대용 물병
KR101750975B1 (ko) 2017-02-17 2017-06-27 김지일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KR20190072880A (ko) 2017-12-18 2019-06-26 임다솔 알약 보관함이 구비된 물통
KR20220050269A (ko) * 2020-10-15 2022-04-25 은영아 스마트 약 상자
KR20230080217A (ko) 2021-11-29 2023-06-07 김태성 약 보관 뚜껑을 구비한 물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2020B2 (en) Dosage dispensing and tracking container
US7128213B2 (en) Convertible pill container
US20220234801A1 (en) Pill bottle with removable bill container cap
US20080296181A1 (en) Pill dispensing liquid container
US8915371B2 (en) Dual compartment dispenser
US8469236B2 (en) Credit card sized liquid container and dispenser
US8550240B2 (en) Combination water dose and medication container
CN108602610B (zh) 通过装置、阀、具备其的容纳器具、内容物移动器具及内容物器具
US20140251862A1 (en) Pill containers with registers and methods
US20020139709A1 (en) Cap-mounted pill container
US6021902A (en) Modular medicine container with means for reminding a user of time to take medicines
US20130134180A1 (en) Digital Pill Dispenser
KR102648174B1 (ko) 약품 보관함이 결합된 물통
KR20180052477A (ko) 알약 용기
US20230120304A1 (en) Dispenser, pod,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tracking usage of supplements and/or pharmaceuticals
KR102186909B1 (ko) 알약 배출 장치
US8055380B1 (en) Daily pill dispensing apparatus
US3382969A (en) Dosage dispenser
US20150088059A1 (en) Pill administration device with liquid reservoir
CN209575296U (zh) 一种便携药盒
KR201700915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042A (ko) 알약 복용을 용이하게 하는 텀블러
CA2060796A1 (en) Portable medicine dispenser
US20200008547A1 (en) Liquid medication storage assembly
KR102151261B1 (ko) 약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