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65B1 -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 Google Patents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065B1
KR102648065B1 KR1020230115989A KR20230115989A KR102648065B1 KR 102648065 B1 KR102648065 B1 KR 102648065B1 KR 1020230115989 A KR1020230115989 A KR 1020230115989A KR 20230115989 A KR20230115989 A KR 20230115989A KR 102648065 B1 KR102648065 B1 KR 10264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llar
pad
contac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범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동
Priority to KR102023011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 E04F11/0255Stairways having stringers having adjustable grad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35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 E04F11/038Stairway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ssembled modular parts without further support each modular part having a load-bearing balustrad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구조물을 지면 위에 위치하도록 떠받칠 수 있는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구조물을 떠받치기 위한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에 곡면형의 지지면이 구비된 받침 지주; 및 상단부에 상기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지지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이 구비되는 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은 상기 지지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structure positioned on the ground is disclosed.
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a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support having a curved support surface at the upper end; and a support pad provided at an upper end with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at a lower end with a coup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It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Description

구조물용 받침장치{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Support device for structures{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지면 위에 위치하도록 떠받칠 수 있는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a structure to be positioned on the ground.

통상적으로, 계단, 램프, 지붕 구조물, 육교, 교량, 보행자용 데크 등의 구조물을 지면 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려면 지면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는 지지대가 필요하다.Typically, in order to install structures such as stairs, ramps, roof structures, overpasses, bridges, and pedestrian decks on the ground, a support that is installe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structure is required.

지지대는 하단부가 지면이나 콘크리트 바닥에 고정되어 지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구조물이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is fixed to the ground or concrete floor and is installed to stan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지면에 대해 경사진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물의 경사에 따라 지지대의 상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에 구조물을 올려놓은 상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구조물을 지지대에 고정하게 된다.When installing a structure inclined to the ground,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and fixed to the support using a method such as weld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구조물의 경사에 맞춰 지지대의 상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해야 하므로, 시공이 비효율적이고, 시공 비용이 상승하며, 시공 기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metho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ust be cut at an angl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so construction is inefficient, construction costs increas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delayed.

또한, 종래의 방식으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공 현장의 조건에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그로 인해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구조물의 시공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when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method,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quickly respond to continuously changing conditions at the construction site. This work method increases worker stress, which increas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structure.

한국등록특허 제1612078호(2016.04.06.)Korean Patent No. 1612078 (2016.04.0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물을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경사에 ??춰 경사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현장 조건에 따라 부품을 설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구조물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물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ne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to support the structure at an angle to the ground,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nd change parts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that does not need to be used,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구조물을 떠받치기 위한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에 곡면형의 지지면이 구비된 받침 지주; 및 상단부에 상기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지지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이 구비되는 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은 상기 지지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support support having a curved support surface at the upper end; and a support pad provided at an upper end with a support surface capable of supporting the structure, and at a lower end with a coup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wherein the coupling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It is compos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상기 받침 지주에 대한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에 맞춰 상기 받침 지주에 대한 상기 받침면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 상에서 상기 결합면의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contact position of the engaging surface on the support surface may be chang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 패드와 상기 받침 지주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 패드와 상기 받침 지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받침 패드가 상기 받침 지주로부터 상기 지지면의 법선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들뜨지 않도록 상기 받침 패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ad and the support support;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d and the support support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wherein the stopper prevents the support pad from lifting more than a preset separation distance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from the support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d may be restricted.

상기 받침 패드는, 상기 받침 지주보다 마찰 계수가 크고, 강성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pa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and less rigidity than the support support.

상기 지지면과 상기 결합면은 각각 원호형 또는 구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may each have an arc shape or a spherical shape.

상기 받침 지주는, 상기 지지면의 양쪽 단부에 상기 받침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상기 받침 패드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support may include bracket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structure without deviating from the support pad.

상기 받침 지주는, 기둥; 및 상기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기둥과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support is a pillar; And it may include a stand that has the support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pillar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pill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edestal to the pillar, and the pedestal is coupled to the pillar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and the height is adjusted by the fixing member. Can be fixed in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의 외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체결 바디 및 제2 체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바디 및 상기 제2 체결 바디는 상기 패스너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져 상기 기둥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er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pillar, and the support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illar in between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I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body and a second fastening body, and the first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may b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 바디 홈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소켓 바디; 및 상기 소켓 바디의 양쪽 단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제1 체결 브라켓 및 제2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제2 체결 브라켓이 상기 패스너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져 상기 기둥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er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pillar, the support has a socket body groove into which an end of the pillar can be inserted, and the pillar a socket body capable of en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and a first fastening bracket and a second fastening bracke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to face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fastening bracket and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are tightened by the fastener in a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so that the pillar It may be configured to adhere closely to the outer surface of.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 바디와 결합되는 지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소켓 바디의 양쪽 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소켓 바디 절개 홈과 연결되는 지지 바디 절개 홈이 구비될 수 있다.The pedestal has the support surface and includes a support body coupled to the socket body, and the support surface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cutout groove connected to a socket body cutout groove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It can b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지면에 세워지는 받침 지주가 원호 형태로 굽은 곡면형의 지지면을 구비하고, 지지면에 대응하는 곡면형의 결합면을 갖는 받침 패드가 지지면과 접촉하도록 받침 지주 위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패드가 지지면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구조물과 접촉하는 받침 패드의 받침면 기울기가 구조물의 배치 각도에 맞춰 손쉽게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조물을 다양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upport erected on the ground is provided with a curved support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and the support pad having a curved engageme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is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It can support the structure by being placed on a support support so as to be in contact with it. Therefore, as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ad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changes, the slope of the support surface of the support pad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tructure, and thus the structure can be stably supported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종래의 지지대와 같이 구조물의 경사에 맞춰 지지대의 상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tructure more stably without the need to cu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at an angle to match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like a conventional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받침 지주 상에서 구조물과 접촉하는 받침 패드의 기울기가 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받침 패드의 기울기가 작업자에 의해 어렵지 않게 조절되어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 시공에 따른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구조물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d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on the support support can be easily changed, so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d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work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ly changing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site. It can support the structure. Therefore, the stress of workers due to structur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구조물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공 비용 및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ructure construction and shorten construction costs and construction periods.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와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의해 구조물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 지주를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받침 지주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받침 지주의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ide views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supporting a structural bea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ructure support device and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structur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supporting a structural bea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side views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supporting a structural bea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supporting a structural bea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supporting a structural beam of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front view of a support pill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 pillar shown in Figure 11.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support support shown in Figure 1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symbols only in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ay mean that it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지면(G;도 5 참조)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받침 지주(110)와,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 지주(110)의 상단부에 면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받침 패드(160)를 포함한다. 받침 패드(160)는 지면(G)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받침 지주(110)의 상단부 상에서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device 100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upport 110 that can be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G; see Figure 5), and a support support device 100 to support the structure 10. It includes a support pad 160 disposed to make surface contact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upport 110.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pport pad 160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10 may be changed so that it can be tilted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다양한 구조물을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구조물을 지면(G)과 평행하게, 또는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물은 계단, 램프, 지붕 구조물, 육교, 교량, 보행자용 데크 등 지면(G)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The structure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various structures at various angles. That is,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structure parallel to the ground (G) or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Here, the structure may be a variety of structure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G), such as stairs, ramps, roof structures, overpasses, bridges, and pedestrian deck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가 H빔 형태의 구조물용 빔(11)을 포함하는 구조물(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supporting the structure 10 including the H-beam type structural beam 11.

받침 지주(110)는 지면(G)에 세워질 수 있는 기둥(120)과, 기둥(120)의 상단부를 덮도록 기둥(120)과 결합되는 받침대(1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pillar 110 includes a pillar 120 that can be erected on the ground G, and a stand 130 coupled to the pillar 120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기둥(120)은 사각 기둥 등의 각기둥 형태나, 원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둥(120)은 금속 등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rismatic shape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cylindrical shape. Additionally, the pillar 12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strength, such as metal.

받침대(130)는 받침 패드(1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1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받침대(130)는 금속 등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130)는 기둥(12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소켓 바디(140)와, 받침 패드(160)를 떠받칠 수 있도록 소켓 바디(14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150)를 포함한다.The suppor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The pedestal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strength, such as metal. The support 130 includes a socket body 14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120, and a support body 15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cket body 14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

소켓 바디(140)는 기둥(12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소켓 바디 홈(141)을 갖는다. 소켓 바디 홈(141)은 소켓 바디(14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고, 기둥(120)의 상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cket body 140 has a socket body groove 141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is inserted. The socket body groove 141 is open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ocket body 140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지지 바디(150)는 받침 패드(160)가 접촉할 수 있는 곡면형의 지지면(151)을 갖는다. 지지면(151)은 원호 형태로 굽은 볼록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면(151)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굽은 볼록면 모양, 즉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원기둥의 외주면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body 150 has a curved support surface 151 that the support pad 160 can contact. The support surface 15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Additionally, the support surface 15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surface curved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hat is, in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cylinder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받침 패드(160)는 구조물(10)의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 지주(110) 위에 배치된다. 받침 패드(160)의 상단부에는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161)이 마련되고, 받침 패드(160)의 하단부에는 지지면(151)과 면접촉하는 결합면(162)이 구비된다. 받침면(161)은 구조물용 빔(11)의 외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면(162)은 지지면(15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결합면(162)은 지지면(151)과 틈새 발생없이 면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면(151)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결합면(162)은 원호 형태로 굽은 오목면 모양, 또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굽은 오목면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면(162)의 면적은 지지면(151)의 면적보다 작고, 결합면(162)의 곡률은 지지면(151)의 곡률과 같을 수 있다. 받침 패드(160)는 지지면(151) 상에서 접촉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받침 지주(110)에 대한 구조물(10)의 기울기에 맞춰 받침 지주(110)에 대한 받침면(161)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지지면(151) 상에서 받침 패드(160)의 결합면(162) 접촉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pad 160 is disposed on the support support 110 to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of the structure 10. A support surface 161 capable of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1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d 160, and a coupling surface 162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d 160. This is provided. The support surface 161 may be flat so as to be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al beam 11. The coupling surface 16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51. That is, the coupling surface 16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51 so that it can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without creating a gap. Specifically, the coupling surface 16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ave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or in the shape of a concave surface curved to have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The area of the coupling surface 162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upport surface 151, and the curvature of the coupling surface 162 may be the same as the curvature of the support surface 151.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pport pad 160 on the support surface 151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at is,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upport pad 160 on the support surface 151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surface 161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110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110. (162) The contact location can be varied.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10)이 받침 지주(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받침 패드(160)는 지지면(15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면(15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받침면(161)은 받침 지주(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조물용 빔(11)과 면접촉함으로써 구조물용 빔(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structure 10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pport 110, the support pad 16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151. You can contact (151). 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161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pport 110 and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tructural beam 11,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11.

한편,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10)이 받침 지주(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경우, 받침 패드(160)는 지지면(151)의 중앙에서 벗어나도록 지지면(15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받침면(161)은 받침 지주(110)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구조물용 빔(11)과 면접촉함으로써 구조물용 빔(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structure 10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 110, the support pad 160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surface 151 so as to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151. ) can be contacted. 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161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110 and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tructural beam 11,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11.

받침 패드(160)는 받침 지주(110)보다 마찰 계수가 크고, 강성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받침 패드(160)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무로 이루어지는 받침 패드(160)는 결합면(162)이 지지면(151)에 접하도록 받침 지주(11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때 구조물(10)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받침 패드(160)는 받침 지주(110) 및 구조물용 빔(11)과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ad 16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er friction coefficient and lower rigidity than the support support 110. For example, the support pad 160 may be made of rubber. The support pad 160 made of rubber is placed on the support support 110 so that the coupling surface 162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and when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11, it responds to the load of the structure 10.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t this time, the support pad 160 can maintain a more stable and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pport 110 and the structural beam 11.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복수 개가 지면(G)에 고정되어 하나의 구조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10)이 지면(G)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조물용 빔(11)과,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구조물용 빔(11)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구조물용 받침장치(100) 중 일부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구조물용 빔(11)을 지면(G)과 평행한 상태로 지지하고, 다른 일부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구조물용 빔(11)을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a plurality of structural support device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the ground (G) to support one structure (10).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structure 10 includes both a structural beam 11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G and a structural beam 11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Among the plurality of structural support devices 100, some of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s 100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G), and other structural support devices 100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in a state parallel to the ground (G). The beam 11 can be supporte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구조물용 빔(11)을 지면(G)과 평행하게 지지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받침면(161)이 지면(G)에 대해 평행하도록 받침 패드(160)가 받침 지주(110)의 지지면(151)과 면접촉하여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다. 이때, 받침 패드(160)는 구조물용 빔(11)의 하중에 의해 지지면(151)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지지면(151)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100, which supports the structural beam 11 in parallel with the ground (G), has a support pad 160 of the support support 110 so that the support surface 161 is parallel to the ground (G). The structural beam 11 can be supported by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At this time, the support pad 160 can be maintained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by being pressed toward the support surface 151 by the load of the structural beam 11.

한편, 구조물용 빔(11)을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게 지지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받침면(161)이 지면(G)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받침 패드(160)가 받침 지주(110)의 지지면(151)과 면접촉하여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다. 이때, 받침 패드(160)는 구조물용 빔(11)의 하중에 의해 지지면(151) 쪽으로 가압됨으로써 지지면(151)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100, which supports the structural beam 11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has a support pad 160 so that the support surface 16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The structural beam 11 can be supported by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of 110). At this time, the support pad 160 can be maintained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151 by being pressed toward the support surface 151 by the load of the structural beam 11.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지면(G)에 세워지는 받침 지주(110)가 원호 형태로 굽은 곡면형의 지지면(151)을 구비하고, 지지면(151)에 대응하는 곡면형의 결합면(162)을 갖는 받침 패드(160)가 지지면(151)과 접촉하도록 받침 지주(110) 위에 배치되어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다. 따라서, 받침 패드(160)가 지지면(151)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구조물(10)과 접촉하는 받침 패드(160)의 받침면(161) 기울기가 구조물(10)의 배치 각도에 맞춰 조절 가능하며, 이에 따라 구조물(10)을 다양한 각도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upport 110 erected on the ground G is provided with a curved support surface 151 bent in the shape of an arc, The support pad 160 having a curved engagement surface 162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151 is disposed on the support support 110 so as to contact the support surface 151 to support the structure 10. Therefore, as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ad 160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151 changes,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surface 161 of the support pad 160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10 is adjusted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tructure 10. It is adjustable, and thus the structure 10 can be stably supported at various ang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종래의 지지대와 같이 구조물(10)의 경사에 맞춰 지지대의 상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할 필요가 없이 구조물(1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structure 10 more stably without the need to cu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obliquely to match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10 like a conventional support.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받침 지주(110) 상에서 구조물(10)과 접촉하는 받침 패드(160)의 기울기가 쉽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시공 현장의 조건에 따라 받침 패드(160)의 기울기가 작업자에 의해 어렵지 않게 조절되어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 시공에 따른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구조물의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device 100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d 160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10 on the support support 110, so that it can be used for continuously changing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site,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d 160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worker to support the structure 10. Therefore, the stress of workers due to structure construction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100)는 구조물 시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시공 비용 및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suppor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ructure construction and shorten construction costs and construction periods.

도면에는, 받침 지주(110)가 기둥(120) 및 기둥(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받침 지주(1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받침 지주는 기둥의 상단부에 곡면형의 지지면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support support 110 is shown as including a pillar 120 and a support 13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120, bu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support 11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 As another example, the support support may be configured so that a curved support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Meanwhile,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of the structure, and Figures 7 and 8 are 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for the structural beam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200)는 지면(G)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받침 지주(210)와,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 지주(2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받침 패드(260)를 포함한다. 받침 패드(260)는 지면(G)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받침 지주(210)의 상단부 상에서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device 200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upport 210 that can be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G),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upport 210 to support the structure 10. It includes a support pad 260 that is dispose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pport pad 260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210 may be changed so that it can be tilted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G).

받침 지주(210)는 지면(G)에 세워질 수 있는 기둥(220)과, 기둥(220)의 상단부를 덮도록 기둥(220)과 결합되는 받침대(2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support 210 includes a pillar 220 that can be erected on the ground G, and a stand 230 coupled to the pillar 220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20.

기둥(220)은 사각 기둥 등의 각기둥 형태나, 원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220)에는 받침 지주 홈(221)이 마련된다. 받침 지주 홈(221)은 볼트가 삽입되는 나사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 2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prismatic shape such as a square pillar, or a cylindrical shape. The pillar 2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groove 221. The support support groove 221 may be in the form of a screw groove into which a bolt is inserted.

받침대(230)는 받침 패드(2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2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받침대(230)는 기둥(220)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부재(270)에 의해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기둥(220)의 받침 지주 홈(221)에 삽입되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270)는 기둥(220)에 고정됨으로써 받침대(230)를 기둥(220)에 고정할 수 있다.The support 2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20 to support the support pad 260. The pedestal 230 is coupled to the pillar 220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and can be fixed to a height-adjusted position by the fixing member 270. The fixing member 270 may be in the form of a bolt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1 of the pillar 220. The fixing member 270 is fixed to the pillar 220, thereby fixing the pedestal 230 to the pillar 220.

받침대(230)는 기둥(22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소켓 바디(240)와, 받침 패드(260)를 떠받칠 수 있도록 소켓 바디(24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250)와, 지지 바디(250)의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254)을 포함한다.The support 230 includes a socket body 24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220, a support body 25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cket body 240 to support the support pad 260, and a supporter. It includes a pair of brackets 254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body 250.

소켓 바디(240)는 소켓 바디 홈(241)과 슬릿(242)을 갖는다. 소켓 바디 홈(241)은 기둥(2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켓 바디(24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되고, 기둥(220)의 상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릿(242)은 기둥(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270)가 슬릿(242)을 관통하여 기둥(220)의 받침 지주 홈(221)에 삽입될 수 있다.The socket body 240 has a socket body groove 241 and a slit 242. The socket body groove 241 is open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ocket body 24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20 can be inserted, and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220. The slit 242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llar 220. The fixing member 270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21 of the pillar 220 through the slit 242.

지지 바디(250)는 받침 패드(260)가 접촉할 수 있는 곡면형의 지지면(251)을 갖는다. 지지면(251)은 원호 형태로 굽은 볼록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 바디(250)는 삽입홈(252)을 갖는다. 삽입홈(252)은 지지면(25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250 has a curved support surface 251 that the support pad 260 can contact. The support surface 25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Additionally, the support body 250 has an insertion groove 252. A plurality of insertion grooves 252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251.

브라켓(254)은 지지면(251)의 양쪽 단부에 받침 패드(260)의 받침면(261)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브라켓(254)은 받침 패드(260)에 의해 떠받쳐지는 구조물(10)을 받침 패드(26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The bracket 254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251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261 of the support pad 260. The bracket 254 may support the structur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pad 260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upport pad 260 .

브라켓(254)의 개수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r shape of the brackets 254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받침 패드(260)는 구조물(10)의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 지주(210) 위에 배치된다. 받침 패드(260)의 상단부에는 구조물용 빔(11)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261)이 마련되고, 받침 패드(260)의 하단부에는 지지면(251)과 면접촉하는 결합면(262)이 구비된다. 받침면(261)은 구조물용 빔(11)의 외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면(262)은 지지면(25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받침 패드(260)는 지지면(251) 상에서 접촉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upport pad 260 is disposed on the support support 210 to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of the structure 10. A support surface 261 capable of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1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d 260, and a coupling surface 262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25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d 260. This is provided. The support surface 261 may be flat so as to be in stable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al beam 11. The coupling surface 26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251.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upport pad 260 on the support surface 251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받침 패드(260)의 중간 부분에는 가이드 홈(263)이 받침 패드(26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홈(263)은 결합면(26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홈(263)은 받침면(261)으로 개방되는 제1 홈(264)과, 결합면(262)으로 개방되는 제2 홈(265)을 포함한다. 제1 홈(264)의 폭은 제2 홈(265)의 폭보다 크다.A guide groove 263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pad 260 to penetrate the support pad 26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guide groove 263 may have a shap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upling surface 262. The guide groove 263 includes a first groove 264 that opens to the receiving surface 261 and a second groove 265 that opens to the engaging surface 262. The width of the first groove 264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roove 265.

받침 패드(260)는 스토퍼(280)에 의해 받침 지주(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토퍼(280)는 가이드 홈(263)을 관통하여 받침 지주(210)의 삽입홈(252)에 삽입됨으로써 받침 지주(210)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 패드(260)가 지지면(251)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토퍼(280)는 받침 패드(260)의 받침면(26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스토퍼(280)는 받침 지주(210)에 고정되어 받침 패드(260)가 받침 지주(210)로부터 지지면(251)의 법선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들뜨지 않도록 받침 패드(26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The support pad 26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support 210 by a stopper 280. The stopper 28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support 210 by penetrating the guide groove 263 and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2 of the support support 210. When the support pad 260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251, the stopper 280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pport surface 261 of the support pad 260. The stopper 280 is fixed to the support support 2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d 260 so that the support pad 260 does not lift more than a prese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ort support 210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251. can do.

스토퍼(280)는 삽입홈(252)에 삽입되는 스토퍼 바디(281)와, 스토퍼 바디(281)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토퍼 헤드(282)를 포함한다. 스토퍼 헤드(282)의 폭은 스토퍼 바디(281)의 폭보다 크다. 즉, 스토퍼 헤드(282)는 스토퍼 바디(281)보다 굵다. 스토퍼 바디(281)는 가이드 홈(263)의 제2 홈(265)을 통과할 수 있는 굵기를 갖고, 스토퍼 헤드(282)는 제2 홈(265)을 통과할 수 없는 굵기를 갖는다. 스토퍼 바디(281)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헤드(282)는 스토퍼 바디(281)와 맞물림 결합되는 너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280)는 스토퍼 헤드(282)가 받침 패드(260)를 지지면(251)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받침 패드(260)를 받침 지주(210)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280)가 가이드 홈(263)에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 패드(260)는 스토퍼(280)에 의해 받침 지주(210)로부터 벗어날 수 없지만, 지지면(251)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움직여 지지면(251)에 접촉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 stopper 280 includes a stopper body 281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52, and a stopper head 282 provided at an end of the stopper body 281. The width of the stopper head 282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opper body 281. That is, the stopper head 282 is thicker than the stopper body 281. The stopper body 281 has a thickness that can pass through the second groove 265 of the guide groove 263, and the stopper head 282 has a thickness that cannot pass through the second groove 265. The stopper body 281 may be in the form of a bolt, and the stopper head 282 may be in the form of a nut engaged with the stopper body 281. The stopper 280 may fix the support pad 260 to the support support 210 by having the stopper head 282 press the support pad 260 toward the support surface 251. With the stopper 280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63, the support pad 260 cannot escape from the support support 210 by the stopper 280, but is supported by moving a certain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251. The location of contact with the surface 251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10)이 받침 지주(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받침 패드(260)는 지지면(25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지지면(25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받침면(261)은 받침 지주(21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조물용 빔(11)과 안정적으로 면접촉하여 구조물용 빔(11)을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tructure 10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pport 210, the support pad 26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251. You can contact (251). 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261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illar 210 and can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by making stable surface contact with the structural beam 11.

한편,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물(10)이 받침 지주(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경우, 받침 패드(260)는 지지면(251)의 중앙에서 벗어나도록 지지면(251)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받침면(261)은 받침 지주(210)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구조물용 빔(11)과 안정적으로 면접촉하여 구조물용 빔(11)을 지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structure 10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illar 210, the support pad 260 is positioned on the support surface 251 so as to deviate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surface 251. ) can be contacted. At this time, the support surface 261 is dispos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210 and can support the structural beam 11 by making stable surface contact with the structural beam 1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200)는 받침대(2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물용 받침장치(2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받침대(23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고정부재(270)를 조여 받침대(230)를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I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upport 230 can be adjusted.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200, the worker properly adjusts the height of the stand 230 and then tightens the fixing member 270 to move the stand 230 to the height-adjusted position. It can be fix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200)는 받침 패드(260)가 스토퍼(280)에 의해 받침 지주(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받침 지주(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구조물(10)의 기울기에 맞춰 지지면(251) 상에서 접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현장에서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구조물용 받침장치(2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스토퍼(28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받침 패드(260)가 지지면(251)에 접촉하는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device 200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d 260 is coupled to the support support 21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support 210 by the stopper 280. The contact position on the support surface 25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10). Therefore,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at th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tructure using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200, the work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topper 280 as needed, thereby vary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 pad 260 contacts the support surface 251. It can change.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220)과 받침대(230)의 결합 방식이나, 높이 조절된 받침대(230)를 기둥(2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7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method of coupling the pillar 220 and the stand 230 o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fixing member 270 for fixing the height-adjusted stand 230 to the pillar 220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또한, 받침 지주(210)와 받침 패드(260)의 연결 방식이나, 받침 패드(260)를 받침 지주(210)에서 분리되지 않게 받침 패드(260)와 받침 지주(210)를 연결하는 스토퍼(28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support support 210 and the support pad 260, or the stopper 280 that connects the support pad 260 and the support support 210 so that the support pad 260 is not separated from the support support 210. )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and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가 구조물의 구조물용 빔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Meanwhile,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the structural beam of the structure, and Figure 10 is a structural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for the structural beam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300)는 지면(G)에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받침 지주(310)와,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도록 받침 지주(3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받침 패드(160)를 포함한다. 받침 패드(160)는 구조물(10)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161)과, 곡면형의 결합면(162)을 갖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다.The support device 300 for a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support 310 that can be erected vertically on the ground (G),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support 310 to support the structure 10. It includes a support pad 160 disposed on. The support pad 160 has a support surface 161 capable of supporting the structure 10 and a curved coupling surface 162, as shown in FIGS. 1 to 5.

받침 지주(310)는 지면(G)에 세워질 수 있는 기둥(320)과, 기둥(320)의 상단부를 덮도록 기둥(320)과 결합되는 받침대(3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pillar 310 includes a pillar 320 that can be erected on the ground G, and a stand 330 coupled to the pillar 320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기둥(320)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 3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받침대(330)는 받침 패드(16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3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받침대(330)는 기둥(32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소켓 바디(340)와, 받침 패드(160)를 떠받칠 수 있도록 소켓 바디(34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360)와, 지지 바디(360)의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363)을 포함한다.The support 3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The support 330 includes a socket body 34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320, a support body 36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cket body 34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and a support It includes a pair of brackets 363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ody 360.

소켓 바디(340)는 기둥(3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 바디 홈(341)을 갖는다. 소켓 바디(340)는 연결 바디(342)와, 상호 마주하도록 연결 바디(342)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체결 바디(344) 및 제2 체결 바디(349)를 포함한다.The socket body 340 has a socket body groove 341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can be inserted. The socket body 340 includes a connection body 342, and a first connection body 344 and a second connection body 349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342 so as to face each other.

연결 바디(342)는 기둥(320) 상단부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바디(342)는 지지 바디(360)와 연결되어 지지 바디(360)를 지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ody 342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or arc shape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The connection body 342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360 and support the support body 360.

제1 체결 바디(344)는 기둥(320)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된다. 제1 체결 바디(344)는 지지 바디(360)와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체결 바디(344)는 기둥(32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되는 제1 접촉 바디(345)와, 제1 접촉 바디(345)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장 바디(346)를 포함한다. 제1 접촉 바디(345)는 기둥(320) 상단부의 다른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장 바디(346)는 제1 접촉 바디(345)의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 접촉 바디(345)의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연장 바디(346)에는 제1 체결 바디 홀(347)이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body 34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342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320.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342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360.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includes a first contact body 345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342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320, and a first contact body 345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contact body 345. Includes an extension body 346. The first contact body 345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surround anothe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The first extension body 346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contact body 345 so as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normal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body 345. A first fastening body hole 347 is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body 346.

제2 체결 바디(349)는 기둥(320)을 사이에 두고 제1 체결 바디(344)와 마주하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됨으로써 기둥(320)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제2 체결 바디(349)는 지지 바디(360)와 연결되지 않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2 체결 바디(349)는 기둥(320)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결 바디(342)와 연결되는 제2 접촉 바디(350)와, 제2 접촉 바디(350)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장 바디(351)를 포함한다. 제2 접촉 바디(350)는 기둥(320) 상단부의 또 다른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연장 바디(351)는 제2 접촉 바디(350)의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2 접촉 바디(350)의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연장 바디(346)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연장 바디(351)에는 제2 체결 바디 홀(352)이 형성된다.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342 so as to face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with the pillar 320 in between, so that it can partially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342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360.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includes a second contact body 35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ody 342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320, and a second contact body 35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ntact body 350. Includes an extended body 351. The second contact body 35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o surround anothe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illar 320. The second extension body 351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contact body 350 and face the first extension body 346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body 350 in the normal direction. A second fastening body hole 352 is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body 351.

제1 체결 바디(344) 및 제2 체결 바디(349)는 각각 기둥(3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패스너(370)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다. 패스너(370)는 제1 체결 바디(344)의 제1 체결 바디 홀(347) 또는 제2 체결 바디(349)의 제2 체결 바디 홀(352)에 삽입될 수 있는 볼트(371)와, 볼트(371)에 맞물리는 너트(3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body 344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may b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37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320. The fastener 370 includes a bolt 371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body hole 347 of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or the second fastening body hole 352 of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and a bolt. It may include a nut 372 engaged with (371).

소켓 바디(340)는 연결 바디(342)가 기둥(320)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기둥(320)의 상단부에 배치된 후 제1 체결 바디(344) 및 제2 체결 바디(349)가 패스너(370)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기둥(3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 바디(344) 및 제2 체결 바디(349)가 패스너(370)에 의해 조여질 때 연결 바디(342)와, 제1 체결 바디(344) 및 제2 체결 바디(349)가 기둥(320)에 밀착됨으로써 소켓 바디(340)는 기둥(3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socket body 34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320 so that the connecting body 342 partially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320, and then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are fasteners. It can be fixed to the pillar 320 by being tightened by (370). That is, when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are tightened by the fastener 370, the connecting body 342, the first fastening body 344,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349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illar 320, the socket body 3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pillar 320.

지지 바디(360)는 받침 패드(160)가 접촉할 수 있는 곡면형의 지지면(361)을 갖는다. 지지면(361)은 원호 형태로 굽은 볼록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body 360 has a curved support surface 361 that the support pad 160 can contact. The support surface 3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브라켓(363)은 지지면(361)의 양쪽 단부에 받침 패드(160)의 받침면(161)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브라켓(363)은 받침 패드(160)에 의해 떠받쳐지는 구조물(10)을 받침 패드(16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The bracket 36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361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161 of the support pad 160. The bracket 363 can support the structur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pad 160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upport pad 16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300)는 받침대(330)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어 기둥(320)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330 can be adjusted to various angles and fixed to the pillar 32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용 받침장치(300)는 받침대(330)가 원기둥 형상의 기둥(3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받침대(330)가 다양한 직경의 기둥(320)에 결합되어 구조물(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upport 330 to be stably fixed to a cylindrical pillar 320, and the support 330 to support pillars 320 of various diameters. ) can stably support the structure 10.

한편,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 지주를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ures 11 to 13 show a support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받침 지주(410)는 지면(G; 도 5 참조)에 세워질 수 있는 기둥(420)과, 기둥(420)의 상단부를 덮도록 기둥(420)과 결합되는 받침대(430)를 포함한다.The support support 410 shown in FIGS. 11 to 13 includes a pillar 420 that can be erected on the ground (G; see Figure 5), and a support 430 coupled to the pillar 420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pillar 420. ) includes.

기둥(420)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illar 4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받침대(430)는 받침 패드(160; 도 1 참조)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42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받침대(430)는 기둥(420)의 상단부를 덮을 수 있는 소켓 바디(440)와, 받침 패드(160)를 떠받칠 수 있도록 소켓 바디(44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460)와, 지지 바디(460)의 양쪽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463)을 포함한다.The support 4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llar 42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see FIG. 1). The support 430 includes a socket body 440 capable of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420, a support body 46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cket body 440 to support the support pad 160, and a supporter. It includes a pair of brackets 463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ody 460.

소켓 바디(440)는 기둥(42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 바디 홈(441)을 갖는다. 소켓 바디(440)는 기둥(420) 상단부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일부분이 절단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소켓 바디(440)의 양쪽 단부는 이격되며, 소켓 바디(440)의 양쪽 단부에는 사전 설정된 크기의 소켓 바디 절개 홈(443)이 마련된다. 소켓 바디(440)의 내경은 기둥(420)의 외경보다 크거나, 또는 기둥(420)의 외경과 같을 수 있다. 소켓 바디(4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소켓 바디 절개 홈(443)의 폭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즉, 소켓 바디(440)는 외력에 의해 확장되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The socket body 440 has a socket body groove 441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pillar 420 can be inserted. The socket body 440 may have a ring shape with a portion cut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420. Both ends of the socket bodies 44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re spaced apart, and socket body cut grooves 443 of a preset size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440. The inner diameter of the socket body 440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420, or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420. The width of the socket body cut groove 443 may become larger or smaller depending 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ocket body 440. That is, the socket body 440 may be expanded or retracted by an external force.

소켓 바디(440)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제1 체결 브라켓(450)과 제2 체결 브라켓(454)이 구비된다. 제1 체결 브라켓(450)과 제2 체결 브라켓(454)은 소켓 바디(440)의 외주면에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제1 체결 브라켓(450)에는 제1 체결 브라켓 홀(451)이 형성되고, 제2 체결 브라켓(454)에는 제2 체결 브라켓 홀(455)이 형성된다.A first fastening bracket 450 and a second fastening bracket 45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440,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bracket 450 and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454 ar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ocket body 440 in the normal direction. A first fastening bracket hole 451 is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bracket 450, and a second fastening bracket hole 455 is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454.

소켓 바디(440)는 그 내면이 기둥(3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패스너(370)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패스너(370)는 제1 체결 브라켓(450)의 제1 체결 브라켓 홀(451) 또는 제2 체결 브라켓(454)의 제2 체결 브라켓 홀(455)에 삽입될 수 있는 볼트(371)와, 볼트(371)에 맞물리는 너트(3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cket bodies 440 may b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370 so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socket bodies 44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pillars 320.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er 370 is a bolt ( 371) and a nut 372 engaged with the bolt 371.

소켓 바디(440)는 기둥(420)의 상단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기둥(420)의 상단부에 배치된 후 제1 체결 브라켓(450) 및 제2 체결 브라켓(454)이 패스너(370)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기둥(4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 브라켓(450) 및 제2 체결 브라켓(454)이 패스너(470)에 의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질 때 소켓 바디(440)의 내면이 기둥(420)에 밀착됨으로써 소켓 바디(440)가 기둥(4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socket body 44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420 so as to partially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420, and then the first fastening bracket 450 and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454 are fastened by the fastener 370. It can be fixed to the pillar 420 by carrying it. That is, when the first fastening bracket 450 and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454 ar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470,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body 4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illar 420, so that the socket body ( 4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pillar 420.

지지 바디(460)는 받침 패드(160)가 접촉할 수 있는 곡면형의 지지면(461)을 갖는다. 지지면(461)은 원호 형태로 굽은 볼록면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면(461)의 중간 부분에는 지지 바디 절개 홈(463)이 형성된다. 지지 바디 절개 홈(463)은 지지 바디(460)의 일단부로부터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소켓 바디(440)의 소켓 바디 절개 홈(443)과 연결될 수 있다. 소켓 바디(440)가 패스너(370)에 의해 조여질 때 지지 바디(460)는 지지 바디 절개 홈(463)의 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460 has a curved support surface 461 that the support pad 160 can contact. The support surface 46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vex surface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A support body cut groove 463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surface 461. The support body cut groove 463 is formed to be open from one end of the support body 46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ocket body cut groove 443 of the socket body 440. When the socket body 440 is fastened by the fastener 370, the support body 46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support body cut groove 463 is narrowed.

브라켓(463)은 지지면(461)의 양쪽 단부에 받침 패드(160)의 받침면(161)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브라켓(463)은 받침 패드(160)에 의해 떠받쳐지는 구조물(10)을 받침 패드(16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463)은 소켓 바디(440) 또는 지지 바디(460)에 고정될 수 있다.The bracket 463 i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461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161 of the support pad 160. The bracket 463 can support the structure 10 supported by the support pad 160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support pad 160. The bracket 463 may be fixed to the socket body 440 or the support body 460.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 지주(410)는 받침대(430)가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어 기둥(4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support 4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fixed to the pillar 420 by adjusting the support support 430 to various angl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 지주(410)는 받침대(430)가 원기둥 형상의 기둥(4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받침대(430)가 다양한 직경의 기둥(42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support 4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stably fixed to the cylindrical pillar 420, and the support 430 can be coupled to the pillar 420 of various diameters. .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preferred exampl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described and shown above.

예를 들어, 받침 지주에 마련되는 지지면의 곡면 형상과, 받침 패드에 마련되는 결합면의 곡면 형상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For example, the curved shape of the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support pillar and the curved shape of the coupling surface provided on the support pad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shown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또한, 구조물용 받침장치는 받침 패드 위에 구조물과 접촉할 수 있는 별도의 패드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device for the structur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parate pad on the support pad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 구조물용 받침장치 110, 210, 310, 410 : 받침 지주
120, 220, 320, 420 : 기둥 130, 230, 330, 430 : 받침대
140, 240, 340 : 소켓 바디 150, 250, 360, 460 : 지지 바디
151, 251, 361, 461 : 지지면 160, 260 : 받침 패드
161, 261 : 받침면 162, 262 : 결합면
254, 363, 463 : 브라켓 270 : 고정부재
280 : 스토퍼 342 : 연결 바디
344 : 제1 체결 바디 345 : 제1 접촉 바디
346 : 제1 연장 바디 349 : 제2 체결 바디
350 : 제2 접촉 바디 351 : 제2 연장 바디
370 : 패스너 450 : 제1 체결 브라켓
454 : 제2 체결 브라켓
100, 200, 300: Support device for structure 110, 210, 310, 410: Support support
120, 220, 320, 420: Pillar 130, 230, 330, 430: Pedestal
140, 240, 340: Socket body 150, 250, 360, 460: Support body
151, 251, 361, 461: support surface 160, 260: support pad
161, 261: support surface 162, 262: coupling surface
254, 363, 463: Bracket 270: Fixing member
280: Stopper 342: Connection body
344: first fastening body 345: first contact body
346: first extension body 349: second fastening body
350: second contact body 351: second extension body
370: Fastener 450: First fastening bracket
454: 2nd fastening bracket

Claims (11)

구조물을 떠받치기 위한 구조물용 받침장치에 있어서,
상단부에 곡면형의 지지면이 구비된 받침 지주; 및
상단부에 상기 구조물을 떠받칠 수 있는 받침면이 마련되고, 하단부에 상기 지지면과 접촉하는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 지주보다 마찰 계수가 크고 강성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받침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은 상기 지지면과 면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에 대응하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In the structural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A support support provided with a curved support surface at the upper end; and
A support surfac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to support the structure, a coup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a support pad made of a material with a higher friction coefficient and lower rigidity than the support support,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surface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urfac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주에 대한 상기 구조물의 기울기에 맞춰 상기 받침 지주에 대한 상기 받침면의 기울기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 상에서 상기 결합면의 접촉 위치가 변경 가능한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upling surface on the support surface can be changed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패드와 상기 받침 지주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 패드와 상기 받침 지주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받침 패드가 상기 받침 지주로부터 상기 지지면의 법선 방향으로 사전 설정된 이격 거리 이상 들뜨지 않도록 상기 받침 패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guide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ad and the support support;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support pad and the support support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stopper is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that limits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ad so that the support pad does not lift more than a preset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ort support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upport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결합면은 각각 원호형 또는 구면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wherei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each have an arc shape or a sphe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주는,
상기 지지면의 양쪽 단부에 상기 받침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조물을 상기 받침 패드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support is,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including bracket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urface so as to protrude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to support the structure without deviating from the support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지주는,
기둥; 및
상기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의 상단부를 덮도록 상기 기둥과 결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support is,
Pillar; and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including a base having the support surface and coupled to the pillar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pill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높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In clause 7,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edestal to the pillar,
The support device is a structural support device that is coupled to the pillar in a height-adjustable manner and can be fixed to a height-adjusted position by the fix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의 외면을 감싸기 위해 상기 기둥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 체결 바디 및 제2 체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바디 및 상기 제2 체결 바디는 상기 패스너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져 상기 기둥의 외면에 밀착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In clause 7,
Includes a fastener for fixing the stand to the pillar,
The pedestal is,
Comprising a first fastening body and a second fastening body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illar between them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The first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body ar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상기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기둥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 바디 홈을 구비하고, 상기 기둥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소켓 바디; 및
상기 소켓 바디의 양쪽 단부에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제1 체결 브라켓 및 제2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 브라켓 및 상기 제2 체결 브라켓이 상기 패스너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져 상기 기둥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In clause 7,
Includes a fastener for fixing the stand to the pillar,
The pedestal is,
a socket body having a socket body groove into which an end of the pillar can be inserted, and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illar; and
Comprising a first fastening bracket and a second fastening bracket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to face each other,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bracket and the second fastening bracket are tightened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by the fastener and are configured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a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 바디와 결합되는 지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소켓 바디의 양쪽 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소켓 바디 절개 홈과 연결되는 지지 바디 절개 홈이 구비되는 구조물용 받침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pedestal is,
A support body having the support surface and coupled to the socket body,
A support device for a structure wherein the support surface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cutout groove connected to a socket body cutout groove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socket body.
KR1020230115989A 2023-09-01 2023-09-01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KR102648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989A KR102648065B1 (en) 2023-09-01 2023-09-01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989A KR102648065B1 (en) 2023-09-01 2023-09-01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065B1 true KR102648065B1 (en) 2024-03-15

Family

ID=9027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989A KR102648065B1 (en) 2023-09-01 2023-09-01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0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3427A1 (en) * 2009-11-20 2011-05-26 Linda Margaret Ness Structural connector system
KR101612078B1 (en) 2015-02-09 2016-04-27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A Support Structure for the Inclined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3427A1 (en) * 2009-11-20 2011-05-26 Linda Margaret Ness Structural connector system
KR101612078B1 (en) 2015-02-09 2016-04-27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A Support Structure for the Inclined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851B2 (en) Structural support member
US10106991B2 (en) Paver pedestal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6231897B2 (en) Solar panel mount,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nd positioning jig used in the method
US5590494A (en) Support foundation for a building structure
US6715238B2 (en) Fall protecting safety device
US6988719B2 (en) Rollerstand
KR102648065B1 (en) Support apparatus for structure
KR101940788B1 (en) Beam connecting apparatus for deck road system
KR20100058286A (en) Screw jack for setting block of ship
US20090205275A1 (en) Support structure for elevated floor assembly
KR20210100062A (en) U-head jack for system support
KR102213361B1 (en) Connection device for strut
KR20160121880A (en) Manhole A manhole with adjustabl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frame
US4220378A (en) Plate bearing
JP2002034365A (en) Standing installation angle adjustment type strut and trellis structure composed of the strut
JP3940578B2 (en) Handrail coupling
JP5877573B1 (en) Prop fixture
KR101883887B1 (en) Horizontal adjusting apparatus of form for concrete
KR101851505B1 (en) Safety balustrade
KR101598218B1 (en) Pedestrian bridge using ball joint
KR200497272Y1 (en) Supporter for railing
KR200209566Y1 (en) The support for construction
KR102503438B1 (en) Pergolas with tilt compensation function
GB2050297A (en) Plate bearing
CN114585578B (en) Fixing system for mounting a base of a rail system of an elevator installation to a wall, rail system and moun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