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35B1 -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035B1
KR102648035B1 KR1020230150534A KR20230150534A KR102648035B1 KR 102648035 B1 KR102648035 B1 KR 102648035B1 KR 1020230150534 A KR1020230150534 A KR 1020230150534A KR 20230150534 A KR20230150534 A KR 20230150534A KR 102648035 B1 KR102648035 B1 KR 10264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body
welding mask
information
ha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0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엠.텍
Priority to KR1020230150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8Soft caps; Hoods with protection against blow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1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movable shutters, e.g. filter discs; Actua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23K9/322Head prot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모자본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머리에 착용되며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머리장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와, 모자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변의 산소 함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와,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추적기와, 상기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모자본체의 후방측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부;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측 외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바디와, 상기 레일바디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을 가리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용접마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Safety helmet equipped with a welding mask}
본 발명은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 및 공장을 포함한 각종 산업 현장 및 소방 현장 등에서는 작업자들이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갑작스러운 건강 이상, 유해 물질의 발생, 추락, 매몰, 붕괴 등 다양한 위험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고 예방 수단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위와 같은 현장의 작업자들은 외부와 멀리 떨어져 소수의 인원만이 함께 일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부와 단절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험에 처하였음에도 타인이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도움을 주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위험한 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건강상태, 위험에의 노출 여부, 위치 등을 타인이 인식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환경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고열 환경에서 작업 중 열사병의 발병 위험성, 밀폐 공간에서 이산화탄소 중독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으나 정작 현장의 작업자는 위험 상황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피해를 당하는 위험이 있었다.
아울러 작업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외부의 감시자가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용접 작업자는 상시 용접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나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용접마스크를 쓰거나 벗기 어려워 착용률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203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머리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체온 상승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고, 작업공간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여 가스중독의 위험을 감지할 수 있고,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사고 발생 시 작업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고,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상시 추적하여 지하 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간 경우 외부에서 작업자의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산업재해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안전모에 용접마스크를 장착하여 용접 작업 시 안면 보호와 머리 보호를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착용이 편리하여 상시 착용이 용이하도록 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본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머리에 착용되며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머리장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 상기 모자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변의 산소 함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추적기 및 상기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모자본체의 후방측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부;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측 외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바디와, 상기 레일바디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을 가리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용접마스크;를 포함하는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모자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가 상기 장착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통로와 통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레일홈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톱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톱홀에 임시 고정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마스크는 상기 모자본체의 상부에 대응되며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투시창이 형성된 전면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하단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메인쉴드부재와,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조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상기 장공의 양측 내면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롤링되며 상기 슬롯에 밀착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슬롯에 밀착되는 롤링볼과, 메인쉴드부재의 양단부에 매립되어 상기 롤링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안면의 측면에 가려지도록 전개되는 측면가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림부재는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차양막재가 권취되어 수납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쉴드부재의 하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차양막재의 단부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부와, 상기 정보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수신된 정보를 보관하는 메인서버;를 구비한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체온이 높아지면 쿨링 에어를 공급하여 머리를 식혀주어 열사병을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작업공간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여 적정 농도 이하의 상황일 경우 에어가 분출되어 모자본체 내부 및 전면 용접마스크 안쪽까지 공기를 공급해줌으로써 위험 장소를 이탈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모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사고발생 시 작업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상시 추적하여 지하 공간에 작업자가 들어간 경우 외부에서 작업자의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위험 상황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다.
또한, 용접작업 시 안면을 보호해줄 수 있고, 육안 확인이 필요할 때에는 용접마스크를 접어 걷어 올림으로써 시야 확보가 용이해지고, 용접마스크의 무게 편중을 최소화하여 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절감시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냉각부'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외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가이드부의 레일홈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냉각부'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외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가이드부의 레일홈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에서 용접마스크에 대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는,
모자본체(100), 모자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고 머리에 착용되며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머리장착밴드(120)를 포함한다.
모자본체(100)는 반구형상이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기준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이며, 머리장착밴드(120)는 모자본체(100)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충격이 직접 머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는, 모자본체(100)에 구비되는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200); 모자본체(100)에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냉각부(300); 그리고 모자본체(100)의 전면에 장착되는 용접마스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보수집부(200)는 모자본체(100)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210), 모자본체(10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변의 산소 함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220),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추적기(230) 및 상기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50)를 포함한다.
아울러 각 센서에서 수집된 정보를 정보송신부(240)를 통해 후술될 중앙관제센터(M)에 전송하게 된다.
온도센서(210)는 주로 모자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여 머리에 발생된 과도한 열을 감지하도록 하여 열사병에 노출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산소측정센서(220)는 공기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한다. 공기 중 산소 농도가 18% 미만일 경우 산소결핍 상태가 된다.
또한, 정보수집부는 충격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250)는 머리(구체적으로는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고, 충격 데이터를 외부에 전송하여 감시자에게 정보를 송신하고, 감시자는 허용 범위 이상의 충격량을 감지한 경우 즉시 작업자를 구조하는 시스템을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밀폐된 탱크, 하수관 등에서 작업자는 산소 농도가 저하되어 의식을 잃을 위험이 커지므로 이를 미연에 감지하여 알람을 발생하고 외부의 감시자에게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위험 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위치추적기(230)는 GPS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고, 지하 작업을 하거나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할 때 위치를 상시 감시할 수 있고, 일정 시간 이동이 없을 때 무전기와 같은 통신기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수집부(200)에서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부(270)와, 정보송신부(270)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280); 및 수신된 정보를 보관하는 메인서버(290);를 구비한 중앙관제센터(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관제센터(M)에서 각 작업자들의 각 생체정보, 위치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고, 작업자의 움직임을 상시 체크하여 움직임이 없을 경우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 징후 발견 시 즉시 현장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조대에 통보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냉각부(300)를 작동시키게 된다.
냉각부(300)는 모자본체(100)의 내부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해줌으로써 체온 상승을 방지하고, 아울러 청정 공기를 공급하여 호흡을 보조하여 머리를 맑게 해줄 수 있다.
냉각부(300)는 모자본체(100)의 후방측 외면에 형성되며 모자본체(100)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350)와, 상기 장착부(350)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340)로 구성되어 모자본체(100)의 내부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가이드부(140)는 모자본체(100)의 전방측 외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바디(142)와, 레일바디(142)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홈(144)으로 이루어진다.
용접마스크(400)는 가이드부(140)의 레일홈(144)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40)가 상부에 형성되고, 모자본체(100)의 전방을 가리도록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냉각부(300)는 모자본체(10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통로(322)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322)가 장착부(350)와 통하도록 형성된 덕트부(320)와, 덕트부(3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통로(322)와 통하는 노즐(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착부(350)에 장착된 에어탱크(340)의 개방 시 통로(322)에 에어가 즉시 주입된 후 노즐(324)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모자본체(100)의 내부에 청정하고 시원한 공기가 투입됨으로써 작업자의 머리를 식혀줄 수 있고, 신선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해줄 수 있다.
장착부(350)에 에어탱크(34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353)가 구비된다. 밸브(353)는 수동식 또는 전동식일 수 있다.
따라서 전동식 밸브(353)의 경우 온도센서(210)와 연결되어 과도한 온도로 상승할 경우 중앙관제센터(M)에서 전동식 밸브(353)를 개방시키도록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는 작업자가 직접 수동식 밸브(353)를 열어 에어탱크(340)의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용접마스크(40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바디(142)는 모자본체(100)의 전방측 외면에 호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홈(144)도 호형으로 형성되므로 용접마스크(400)를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안내되도록 가이드해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40)의 레일홈(144)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톱홀(1440)이 형성되고, 용접마스크(400)의 결합부(410)는 스톱홀(1440)에 임시 고정되는 스토퍼(430)가 형성된다.
스토퍼(430)는 결합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핀(432)과, 핀(432)을 탄성 지지하도록 결합부(410)의 홀에 매설된 스프링(43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토퍼(430)가 상시 돌출된 상태이므로 핀(432)이 스톱홀(1440)에 삽입됨으로써 일시 고정력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용접마스크(400)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마스크(400)를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유지시킴은 물론 경사진 상태로도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용접마스크(400)를 개폐시킴으로써 용접 작업 시 안면 보호 및 육안 확인 시 용접마스크(400)를 개방하는 작동이 자유롭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용접마스크(400)는 모자본체(100)의 상부에 대응되며 결합부(410)가 상부에 형성되고, 투시창(442)이 형성된 전면보호부재(440);를 포함한다.
전면보호부재(440)는 내열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열을 차단하고 강한 광선에 의한 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투명성의 투시창(442)이 마련된다.
또한 전면보호부재(440)의 하단부에 장공(444)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444)에 삽입되는 메인쉴드부재(450)와, 상기 메인쉴드부재(450)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메인쉴드부재(450)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조쉴드부재(46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보호부재(440)에 메인쉴드부재(450)와 보조쉴드부재(460)를 접거나 펴서 안면 보호를 위한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보호부재(440)의 장공(444)의 양측 내면에 슬롯(446)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쉴드부재(450)의 양단부에는 슬롯(446)에 삽입되어 롤링되며 슬롯(446)에 밀착되는 탄성지지부재(4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470)는 슬롯(446)에 밀착되는 롤링볼(472)과, 메인쉴드부재(450)의 양단부에 매립되어 롤링볼(472)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4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조쉴드부재(460)를 접으면 용접마스크(400)의 하중이 다소 경감될 수 있기 때문에 용접마스크(400)를 상부로 회전시켜 시야를 개방하더라도 처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보호부재(4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안면의 측면에 가려지도록 전개되는 측면가림부재(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가림부재(480)는 전면보호부재(440)의 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482)과, 하우징(482)의 내부에 수납되며 차양막재(483)가 권취되어 수납되는 권취롤(484)을 포함하고, 보조쉴드부재(460)의 하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차양막재(483)의 단부에 걸고리(48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접마스크(400)를 수직으로 전개하여 얼굴의 전면을 가리도록 한 후 얼굴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측면가림부재(480)를 펼쳐서 전개하여 가리도록 한다.
이렇게 용접마스크(400)를 전개하고 측면가림부재(480)도 전개함으로써 얼굴의 전면과 측면이 가려지게 되므로, 냉각부(300)의 에어탱크(340)에서 분사되어 모자본체(100)의 내부에 도달한 냉각용 공기가 모자본체(100)의 내부 및 용접마스크(400)의 내부에 채워져 그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호흡을 확보할 수 있고 고열 환경에서도 머리의 열을 식혀주어 열사병을 방지해줄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모자본체 120 : 머리장착밴드
200 : 정보수집부 210 : 온도센서
220 : 산소측정센서 230 : 위치추적기
240 : 통신모듈 250 : 충격감지센서
270 : 정보송신부 280 : 정보수신부
290 : 메인서버 M : 중앙관제센터
300 : 냉각부 320 : 덕트부
322 : 통로 324 : 노즐
400 : 용접마스크 410 : 결합부
430 : 스토퍼 440 : 전면보호부재
442 : 투시창 470 : 탄성지지부재
480 : 측면가림부재 482 : 하우징
483 : 차양막재 484 : 권취롤

Claims (8)

  1. 모자본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머리에 착용되며 머리의 둘레에 끼워지는 머리장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 상기 모자본체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변의 산소 함량을 측정하는 산소측정센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위치추적기 및 상기 모자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모자본체의 후방측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며 고압의 에어가 충진된 에어탱크로 구성되어 상기 모자본체의 내부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냉각부;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측 외면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바디와, 상기 레일바디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레일홈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자본체의 전방을 가리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는 용접마스크; 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모자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가 상기 장착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덕트부와,
    상기 덕트부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통로와 통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레일홈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톱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톱홀에 임시 고정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마스크는
    상기 모자본체의 상부에 대응되며 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투시창이 형성된 전면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하단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메인쉴드부재와,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다단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보조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상기 장공의 양측 내면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롤링되며 상기 슬롯에 밀착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슬롯에 밀착되는 롤링볼과, 상기 메인쉴드부재의 양단부에 매립되어 상기 롤링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안면의 측면에 가려지도록 전개되는 측면가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가림부재는
    상기 전면보호부재의 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차양막재가 권취되어 수납되는 권취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쉴드부재의 하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상기 차양막재의 단부에 걸고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정보송신부와,
    상기 정보송신부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 및 수신된 정보를 보관하는 메인서버;를 구비한 중앙관제센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KR1020230150534A 2023-11-03 2023-11-03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KR10264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534A KR102648035B1 (ko) 2023-11-03 2023-11-03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534A KR102648035B1 (ko) 2023-11-03 2023-11-03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035B1 true KR102648035B1 (ko) 2024-03-15

Family

ID=9027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534A KR102648035B1 (ko) 2023-11-03 2023-11-03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03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535Y (zh) * 1998-11-09 1999-12-22 许君华 电焊安全防护装置
KR101152031B1 (ko) 2010-02-16 2012-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모
CN205671558U (zh) * 2015-10-23 2016-11-09 王玉 一种防晒帽
CN213428617U (zh) * 2020-10-13 2021-06-15 朱莎 一种电气工程及其自动化专业用透气降温型防护罩
KR20210093397A (ko) * 2020-01-17 2021-07-28 프로식스 주식회사 안면보호구가 구비되는 작업용 안전 헬멧
KR20220050590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옥토 위험작업공간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KR20230090673A (ko) * 2021-12-15 2023-06-22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보수용 절연안전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535Y (zh) * 1998-11-09 1999-12-22 许君华 电焊安全防护装置
KR101152031B1 (ko) 2010-02-16 2012-06-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모
CN205671558U (zh) * 2015-10-23 2016-11-09 王玉 一种防晒帽
KR20210093397A (ko) * 2020-01-17 2021-07-28 프로식스 주식회사 안면보호구가 구비되는 작업용 안전 헬멧
CN213428617U (zh) * 2020-10-13 2021-06-15 朱莎 一种电气工程及其自动化专业用透气降温型防护罩
KR20220050590A (ko) *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옥토 위험작업공간 내 작업자 안전 시스템
KR20230090673A (ko) * 2021-12-15 2023-06-22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 보수용 절연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2164B2 (en)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electronics system
US11806559B2 (en) Coupler for a fall protection device
KR102108428B1 (ko) 화재 진압용 스마트 방화복 세트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90054328A1 (en) Smart fall arrest system
US20190008228A1 (en) Integrated non-conflicting headgear platform system and method
KR101984302B1 (ko) Gps 기능을 통한 작업자의 위치추적이 가능한 안전모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102648035B1 (ko) 용접마스크를 구비한 안전모
US20100219956A1 (en) Heat Sensor Device and System
CN206433792U (zh) 一种防静电阻燃抗油拒水的防护服
KR20190113150A (ko) 추락방지 시스템
CN214016220U (zh) 一种智能监管安全帽装置
KR20190063001A (ko)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211675945U (zh) 一种全方位观察的正压式空气呼吸机面罩
CN107277755B (zh) 一种基于多功能安全帽的监管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CN106136410A (zh) 一种可以监测消防员身体状况的消防安全帽
CN207236209U (zh) 安全帽
JP2008150761A (ja) 検電器を装着した作業用帽子
WO2016205053A1 (en)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electronics system
KR101980853B1 (ko) 재 호흡 기능을 가진 안전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KR200493720Y1 (ko) 페이스 쉴드가 장착된 안전모
KR20230034081A (ko) 비상시 산소 공급을 위한 자동 후드형 안전 조끼
CN210054755U (zh) 一种带有害气体检测装置的消防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