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557B1 -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 Google Patents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557B1
KR102647557B1 KR1020190083926A KR20190083926A KR102647557B1 KR 102647557 B1 KR102647557 B1 KR 102647557B1 KR 1020190083926 A KR1020190083926 A KR 1020190083926A KR 20190083926 A KR20190083926 A KR 20190083926A KR 102647557 B1 KR102647557 B1 KR 10264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function
electronic device
intelligent electronic
communication
simul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7446A (en
Inventor
이남호
김남대
김석곤
김태균
안용호
이유진
장병태
전동훈
최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8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557B1/en
Publication of KR2021000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7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통신이상 또는 통신두절) 현상을 모의하고 그 판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검증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ncludes a device that simulates a communication failure (communication abnormality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phenomenon in a digital substation and automatically performs the determination to automatically detect response function verif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failure phenomenon; It's about how.

Description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통신이상 또는 통신두절) 현상을 모의하고 그 판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검증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ncludes a device that simulates a communication failure (communication abnormality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phenomenon in a digital substation and automatically performs the determination to automatically detect response function verif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failure phenomenon; It's about how.

변전소의 신호전달이 제어케이블에 의한 1대 1 전기적신호 전송방식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디지털 전송방식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Signal transmission in substations is rapidly changing from a one-to-one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control cables to a digital transmission method that shares information through a network.

기존 변전소의 전기적신호 전송방식에서는 환경적인 요소이외에 전송수단에 외부요인이 개입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디지털변전소의 전송방식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변전소를 운영하기 위한 통신장애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통신장애 요인으로는 네트워크 장애 또는 구성하는 지능형전자장치와 운영시스템의 장애가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In the existing substation's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method, it was difficult for external factors other than environmental factors to intervene in the transmission means. However, since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igital substation is a method of mutual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a network,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failures to operate the digital substation. Communication failures can be caused by network failures or failures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systems.

또한 디지털변전소의 경우 단일제작사가 아닌 4~6개 이상의 다수 제작사 제품으로 구성되다 보니 장애가능성이 높고, 장애에 대한 대응방식도 미비하거나 상이하여 변전소 준공지연 또는 운영환경의 신뢰성 문제로 휴전작업 등 막대한 시간과 금전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gital substations, as they are made up of products from 4 to 6 or more manufacturers rather than a single manufacturer,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high, and response methods to failures are insufficient or different, resulting in delays in substation completion or enormous power outages due to reliability issue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Time and financial losses may occur.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 디지털변전소의 통신 장애현상을 모의하고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communication failures in digital substations, it is necessary to simulate communication failures in digital substations and check response functions for communication failures.

그러나 현재는 이와 같은 디지털변전소의 장애현상을 모의할 수 있는 장비가 부족한 실정이며, 지능형전자장치와 운영시스템의 기능보완 후 변전소 현장에 설치하여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이 때 동일한 현상이 발생 안하는 경우 검증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확인 과정도 전용의 시험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수집된 네트워크 통신트래픽을 통해 소수의 전문가만 수행할 수 있어 많은 시간이 소유되고 인적판단오류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equipment that can simulate such failure phenomena in digital substations, and after supplementing the functions of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and operating systems, they are installed at the substation site to verify the response to communication failure phenomena. At this time, if the same phenomenon does not occur, verification is virtually impossible, and since there is no dedicated testing system, the verification process can only be performed by a small number of experts through collected network communication traffic, which wastes a lot of time and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human judgment errors. They are in very poor conditions.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통신이상 또는 통신두절) 현상을 모의하고 그 판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검증을 자동으로 검출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simulate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failure (communication abnormality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of a digital substation and automatically perform the determination to automatically detect the verification of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phenomenon. there is.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실시예를 가진다.As a mean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embodiments with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로서, 상기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는 상기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포함하는 모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 간에 다양한 네트워크 장애현상을 발생시키며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that uses an operating system or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a digital substation as a test target device.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simulates an operating system havi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a simulation module including a module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various network failure phenomena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의 통신경로를 제어하는 제어포트와,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분석포트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 및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조건을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제어/판독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including a control por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an analysis port that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a controller/reader that controls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by monitoring performance conditions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시도 또는 유지하는 상황에서 장애현상과 부정의 응답을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est operation client that induces a failure phenomenon and a negative response to occur in a situation where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ttempt or mainta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을 통신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and connecting the test device and the simul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운영시스템 일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은 사전설정에 따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을 통해 정상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은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when the device under test is an operating system, the operating system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set, and normal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If confirme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 communication error such as non-transmission of the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and the control/reader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and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by monitoring whether normal communication is maintained.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기능을 정상으로 복귀시키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reader restores th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normal, check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and determines whether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is maintained.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performance.

또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고, 이 때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사전 연결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reader forcibly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at this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pre-connects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terfering with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s.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reader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do.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ler/reader controls the test operation client to disconnect from communica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checks whether the test subject device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and checks whether the test subject device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It is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s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지능형전자장치일 경우, 상기 지능형전자장치는 사전설정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하고,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은 기 설정된 횟수만큼 통신이상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device under test is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 preset,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rtificially causes communication abnormalitie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reader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by check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개설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새로운 통신연결을 계속 수행하며,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시도할 때마다,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ient for test operation open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under test and continues to make new communication connections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the control/reader allows the client for test operation to make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under test. Each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hecked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is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하는 통신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부정응답을 발생할 때마다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st operation client repeatedly per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device under test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the controller/reader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each time the device under test generates a negative response. It is characterized by checking whether information exchange is being carried out normally.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고,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reader forcibly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check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and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통신을 재연결하고,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정보교환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시도하면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reader reconnects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when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ttempts to request a ser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device under test, the device under tes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system. It is characterized by monitoring whether information is exchanged normally with the simul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운영시스템을 시험대상으로 할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of a digital substation using an operating system or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a digital substation as a test target device. When the operating system is used as a test target, the operating system is used to test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having a function; Generating a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Generating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and a final test result determination step of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는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기능을 정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부정응답을 발생시키는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checks the fault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first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that causes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of non-transmission of the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A first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Restoring th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norm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a second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in whi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 negative respons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이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is characterized by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satisfies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attempting reconnection and maintaining normal communication.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이 파일서비스 시도를 반복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 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is characterized by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satisfies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repeating file service attempts and maintaining normal communication.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사전 연결된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ncludes forcibly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 test operation client pre-connected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interferes with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attempts to reconnect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ncludes controlling the test operation client to disconnect fro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으로 할 경우,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간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of a digital substation using an operating system or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a digital substation as a test target device. Wh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 test target,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used in the operating system. 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 final test result determination step of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이상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에 대하여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감시하는 제1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includes causing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to generate a communication abnormality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first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개설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새로운 통신연결을 계속 수행하는 통신연결 단계; 및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시도할 때마다,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2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in which the test operation client establishe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continues to perform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second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each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attempt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하는 통신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부정응답을 발생할 때마다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3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includes the step of the test operation client repeatedly perfo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third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proper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whenever a negative response occur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통신을 재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정보교환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시도하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heck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ncludes forcibly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Monitor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atisfies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attempting reconnection; Re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when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ttempts to request a ser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atisfies a preset success condition for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통신이상 또는 통신두절) 현상을 모의하고 그 판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통신장애 현상에 대한 대응기능검증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imulating a communication failure (communication abnormality 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phenomenon in a digital substation and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to automatically detect response function verification for the communication failure phenomen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시스템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연결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전자장치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연결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시스템을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ystem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an operating system as a test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flowchart of FIG. 6 and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the first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igure 8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ure 6, and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a second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igure 9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ure 6 and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s a test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flowchart of FIG. 10 and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in case of a communication abnormality.
Figure 12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ure 10, and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개념도이다.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변전소를 시험대상장치(30)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that uses a digital substation as a test target device (30).

상기 디지털변전소는 크게 운영시스템과 지능형전자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험대상장치(30, DUT: Device under Test)도 운영시스템(10) 또는 지능형전자장치(20)를 대상으로 한다. The digital subst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operating system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 device under test (30, DUT: Device under Test) also targets the operating system (10) o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상기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는 운영시스템(10) 또는 지능형전자장치(20)를 시험대상으로 하여 디지털변전소의 통신장애(통신이상 또는 통신두절) 현상을 모의하고, 시험대상의 통신장애현상에 대한 대응기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장치이다. The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simulates the phenomenon of communication failure (communication abnormality or communication loss) of a digital substation by using the operating system 10 o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s the test subject, and detects the communication failure of the test subject. I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response function to a phenomen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는 통신포트(110),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 모의모듈(150), 제어/판독기(170),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190)을 포함한다.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port 110,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a simulation module 150, a control/reader 170, and a test operation client 190. .

상기 통신포트(110)는 외부의 시험대상장치(30)과 따른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통신포트(110)은 2개 이상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통신포트와 제2 통신포트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port 110 is a device that connects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test target device 30 and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port 110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communication ports and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port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은 시험대상장치(30)와 모의모듈(150) 간의 통신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30)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한다.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30 and the simulation module 150 and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30.

상기 모의모듈(150)은 시험대상장치의 기능을 가지며 모의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모의모듈(150)은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로 구성된다. The simulation module 150 is a device that has the function of a test target device and can perform a simulation test. The simulation module 150 is composed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that has the functions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that has the functions of an operating system.

상기 제어/판독기(170)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구체적으로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과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190)을 제어하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시험대상장치(30)의 장애대응기능을 판독한다.The control/reader 170 generally controls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nd specifically controls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and the test operation client 190, from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nalyzed to read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30).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190)는 제어/판독기(170)의 제어를 받으며, 시험대상장치(30)와 모의모듈(150)이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시도하거나 유지하는 상황에서 장애현상 및 부정의 응답을 방생하도록 유도한다. The test operation client 190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reader 170, and failure phenomena and irregularities occur when the device under test 30 and the simulation module 150 attempt or mainta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induces a response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의 블록도이다.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영시스템(10)은 제1 통신포트(111)에 연결되고, 지능형전자장치(20)는 제2 통신포트(112)에 연결되어 모의모듈(150)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The operating system 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port 111,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port 112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simulation module 150.

시험대상장치가 운영시스템(10)인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10)은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며 상기 운영시스템(10)과 모의시험을 할 수 있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과 연결된다. When the device under test is an operating system 10, the operating system 10 has the func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is connected to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that can perform a simulation test with the operating system 10. .

시험대상장치가 지능형전자장치(20)인 경우,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는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며 지능형전자장치(20)와 모의시험을 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과 연결된다.When the test target device is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has the function of an operating system and is connected to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that can perform a simulation test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

이 과정에서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은 시험대상장치(30)와 모의모듈(150) 간의 통신 경로를 제어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30)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한다.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은 제어포트(131), 분석포트(132)를 포함한다.In this process,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30 and the simulation module 150 and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30.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includes a control port 131 and an analysis port 132.

상기 제어포트(131)은 시험대상장치(30)와 모의모듈(150) 간의 통신 경로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포트(131)는 시험대상장치와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장애대응기능을 모의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모의모듈 간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시험대상이 운영시스템(10)인 경우에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와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고, 시험 대상이 지능형전자장치(20)인 경우에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과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포트(131)에 대한 제어는 제어/판독기(17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rol port 131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30 and the simulation module 150. The control port 131 can forcibly disconnec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ed module in order to simulate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for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ed module. If the test subject is the operating system 10,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can be forcibly disconnected, and if the test subject is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and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can be forcibly disconnected. Control of the control port 131 is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reader 170.

상기 분석포트(132)는 상기 시험대상장치(30)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한다. 상기 시험대상장치(30)는 통신장애 상황에 접하게 되면,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대응을 수행한다. 상기 분석포트(132)는 상기 시험대상장치(30)의 이러한 대응에 해당하는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하고, 이를 제어/판독기(170)에 전송한다. 제어/판독기(170)는 상기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통신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30)의 통신장애 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을 판독하고 검출한다.The analysis port 132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30. When the device under test 30 encounters a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 it attempts to reconnect or takes action to maintain normal communication in response. The analysis port 132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corresponding to this correspondence of the device under test 30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reader 170. The control/reader 170 analyzes the communication content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and reads and detects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3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시스템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연결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operating system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시험대상이 운영시스템인 경우를 예로 들어 모의 통신장애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for a simulated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 will be explain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test object is an operating system as an example.

운영시스템(10)은 시전설정에 따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한다. 통신연결은 IEC 61850 등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어/판독기(170)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을 통하여 운영시스템(10)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 간의 정상통신 여부를 확인한다. The operating system 1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according to the casting settings. Communication connection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EC 61850. The control/reader 170 verifies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1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through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통신장애 상황은 크게 통신이상 상황, 통신두절 상황으로 구별될 수 있다.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ommunication abnormality situations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s.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는 통신이상 상황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운영시스템(10)의 대응기능을 각각 확인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을 검출한다. The digital subst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checks th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10 for communication abnormalities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s, and synthesizes the results to detect the digital subst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먼저 통신이상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First,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abnormalities is explained.

정상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판독기(170)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에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를 미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은 제어/판독기(170)의 명령에 따라 MMS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킨다. When normal communication is confirmed, the control/reader 170 issues a command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not to transmit an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generates a communication error such as non-transmission of the MMS report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control/reader 170.

운영시스템(10)이 이러한 통신이상에 대응기능을 갖추었다면, 상기 운영시스템(10)은 MMS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에 대응하여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에 재접속을 시도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려고 한다.If the operating system 10 is equipped with a function to respond to such communication abnormalities, the operating system 10 attempts to reconnect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in response to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of non-transmission of the MMS report and performs normal communication. Trying to maintain it.

제어/판독기(170)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의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운영시스템(10)이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2가지 성공조건(제1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한다. 2가지 성공조건(제1 성공조건)의 감시는 스케줄링 설정을 통하여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reader 170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of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and determines two success conditions (first 1) for the operating system 10 to attempt reconnection and maintain normal communication. Monitor whether the success conditions are met. Monitoring of the two success conditions (first success condition) can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cheduling settings.

제1 성공조건에 대한 감시가 종료된 뒤에는, 제어/판독기(170)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의 기능을 정상으로 복귀시킨다. 제어/판독기(170)는 운영시스템(10)으로 부터의 파일서비스의 요청에 정상적으로 응답하던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이 부정응답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판독기는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운영시스템(10)이 파일서비스 시도를 반복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2가지 성공조건(제2 성공조건)을 감시한다. 제2 성공조건의 감시는 스케줄링 설정을 통하여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After monitoring for the first success condition is completed, the control/reader 170 returns th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to normal. 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which normally responded to the file service request from the operating system 10, to generate a negative response. The control/reader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and monitors two success conditions (second success conditions) in which the operating system 10 repeats the file service attempt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Monitoring of the second success condi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at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cheduling settings.

다음으로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Next, we explain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s.

제어/판독기(170)는 제어포트(131)을 제어하여 운영시스템(10)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한다. 이 때 제어/판독기(170)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190)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과 사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판독기(170)는 운영시스템(10)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도록 한다. 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control port 131 to forcibly disconnec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1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At this time, 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test operation client 190 to pre-connect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And the control/reader 170 interferes with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1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제어/판독기(170)는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통해 운영시스템(10)이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2가지 성공조건(제3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한다. 제3 성공조건의 감시는 스케줄링 설정을 통하여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reader 170 monitors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10 satisfies two success conditions (a third success condition) to attempt reconnection and maintain normal communication through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Monitoring of the third success condi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at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cheduling settings.

제3 성공조건 감시 종료 후 시험동작 클라이언트(190)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과 통신연결을 해제(17)하고 제어/판독기(170)는 운영시스템(10)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15)하는 성공조건(제4 성공조건)을 감시한다. After the third success condition monitoring ends, the test operation client 190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17), and the control/reader 170 connects the operating system 1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 152) monitors the success condition (4th success condition) to check (15) whether information exchange is being performed normally.

마지막으로 제어/판독기(170)는 제1, 2, 3, 4성공조건을 모두 종합하여 최종시험결과를 판독하여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을 검출한다.Finally, the control/reader 170 synthesize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uccess conditions and reads the final test result to detect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전자장치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연결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시험대상이 지능형전자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모의 통신장애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simulated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 will be explained by taking the case where the test object is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s an example.

지능형전자장치(20)은 시전설정에 따라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2)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한다. 통신연결은 IEC 61850 등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어/판독기(170)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130)을 통하여 지능형전자장치(20)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2) 간의 정상통신 여부를 확인한다.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2 according to the casting settings. Communication connection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EC 61850. The control/reader 170 verifies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2 through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0.

통신장애 상황은 크게 통신이상 상황, 통신두절 상황으로 구별될 수 있다. Communication failure situation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ommunication abnormality situations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s.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100)는 통신이상 상황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지능형전자장치(20)의 대응기능을 각각 확인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을 검출한다.The digital subst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100 checks the response functions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for communication abnormalities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s, and synthesizes the results to detect the digital substation failure response function.

먼저 통신이상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First,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abnormalities is explained.

제어/판독기(170)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통신이상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들면 “Window zero size”와 같은 디지털변전소 현장에서 발생되는 장애이상일 수 있다. 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to artificially generate a communication error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it may be a fault that occurs at a digital substation site, such as “Window zero size.”

그리고, 상기 제어/판독기(170)는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지능형전자장치(20)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성공조건(제1 성공조건)을 감시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reader 170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is exchanging information properly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under a success condition (first Success conditions) are monitored.

이어서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지능형전자장치(20)와의 TCP기반의 통신연결을 새롭게 개설하고 일정횟수 만큼 반복하면서 새로운 통신연결을 수행한다.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시도할 때마다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성공조건(제2 성공조건)을 반복 감시한다. Next, the test operation client opens a new TCP-based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nd perform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hile repeating it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control/reader provides a success condition (second success) to check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each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attempt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conditions) are monitored repeatedly.

이어서 제어/판독기(170)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하는 통신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의 부정응답 발생은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파일서비스 동시요청 또는 지능형전자장치(20)가 운영시스템 모의 모듈과 정보교환을 위한 사용 중인 RCB(Report Control Block)의 사용요청서비스를 통해 지능형전자장치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test operation client to repeatedly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occurrence of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may be caused by a simultaneous request for file service by the test operation client or a request service for the use of RCB (Report Control Block) that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is using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a negative response from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가 부정응답을 발생할 때마다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성공조건(제2 성공조건)을 감시한다.And the control/reader monitors a success condition (second success condition) to check whether information is being exchanged normally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whenev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generates a negative response.

다음으로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Next, we explain the specif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s.

제어/판독기(170)는 제어포트(131)을 제어하여 운영시스템(10)과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152)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한다.The control/reader 170 controls the control port 131 to forcibly disconnect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10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52.

제어/판독기(170)는 분석포트(132)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가 재접속 시도를 하는지 감시한다. The control/reader 170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132 and monitors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ttempts to reconnect.

상기 제어/판독기(170)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통신을 재연결한다. The control/reader 170 reconnect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그리고 제어/판독기(170)는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와 정보교환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시도하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20)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151)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 성공조건(제3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한다. 제3 성공조건의 감시는 스케줄링 설정을 통하여 일정기간을 주기로 하여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nd when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ttempts to request a ser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20, the control/reader 170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1. Monitor whether the success condition (the third success condition) is satisfied. Monitoring of the third success condition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repeatedly at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cheduling settings.

마지막으로 제어/판독기(170)는 제1, 2, 3성공조건을 모두 종합하여 최종시험결과를 판독하여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을 검출한다.Finally, the control/reader 170 synthesiz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ccess conditions and reads the final test result to detect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시스템을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 도 8은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 도 9는 도 6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an operating system as a test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 6, showing fault response for a first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The flowchart of th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igure 8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ure 6, and the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the second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Figure 9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ure 6,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occurrence situation. This is a flowchart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s.

운영시스템을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은 운영시스템이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연결 단계(S110);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단계(S130);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단계(S150); 최종 시험 결과 판정단계(S170)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the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the operating system as a test target device includes the step of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S110); Confirming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abnormality situation (S130);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s (S150); Includes the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S170).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단계(S130)는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checking the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abnormalities (S130) is a step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abnormality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단계(S150)는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The step of checking the response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S150) is a step of generating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최종 시험 결과 판정단계(S170)는 상기 통신이상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이다. The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S170) is a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that comprehensively determines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S130)는 제1 통신이상 발생 단계(S131); 제1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을 감시하는 단계(S133);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상으로 복귀하는 단계(S135); 제2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을 감시하는 단계(S137); 제2 통신이상 발생 단계(S141) 제1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을 감시하는 단계(S143)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상으로 복귀하는 단계(S145); 제2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을 감시하는 단계(S147)를 포함한다. Checking the response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abnormality situation (S130) includes the first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tep (S131);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first success condition (S133); A step in whi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returns to normal (S135);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second success condition (S137); A second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tep (S141), a step of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first success condition (S143), and a step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returning to normal (S145); It includes a step (S147) of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second success condition.

제1 통신이상 발생 단계(S131)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The first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tep (S131) is a step in whi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 communication error in which an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is not transmitted.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S150) 단계는 통신연결 강제 해제하는 단계(S151);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사전 연결하는 단계(S152); 제1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 감시하는 단계(S153);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 연결 해제하는 단계(S155); 제2 성공조건에 대한 DUT(운영시스템) 감시하는 단계(S157)를 포함한다.The step of checking the response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S150) includes the step of forcibly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151); Pre-connecting the test operation client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S152); A step of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first success condition (S153); A step in which the test operation client disconnects communica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S155); It includes a step (S157) of monitoring the DUT (operating system) for the second success condi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 도 12는 도 10의 순서도를 구체화한 것으로,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단계의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s a test targe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specification of the flowchart of FIG. 10, showing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error occurrence situation. Flowchart of the confirmation step, FIG. 12 is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flowchart of FIG. 10, and is a flowchart of the confirmation step of the fault response function in case of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은 지능형전자장치가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통신연결 단계(S210);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 단계(S230);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 단계(S250);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S270); 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s a test target device includes the step of communicating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S210); Confirming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abnormality situation (S230); Confirmation of response function for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S250);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S270); Includes.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 단계(S230)는 통신이상 발생 단계(S231);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정상복귀 단계(S232); 제3 성공조건에 대한 DUT(지능형전자장치) 제1 감시 단계(S233);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DUT(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연결 단계(S234); 제3 성공조건에 대한 DUT(지능형전자장치) 제2 감시 단계(S235);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DUT(지능형전자장치)의 부정응답 발생 유도 통신연결 단계(S236); 제3 성공조건에 대한 DUT(지능형전자장치) 제3 감시 단계(S237)를 포함한다. Th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for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230) includes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tep (S231);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normal return step (S232);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irst monitoring step for the third success condition (S233); A test operation client communicating with a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234);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econd monitoring step for the third success condition (S235);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in which the test operation clien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236); It includes a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hird monitoring step (S237) for the third success condition.

통신두절 발생상황에 대한 대응기능 확인 단계(S250)는 통신연결 강제 해제 단계(S251); 제4 성공조건에 대한 DUT(지능형전자장치) 감시 단계(S253); DUT(지능형전자장치)와 운영장치 모의모듈의 통신 재연결 단계(S255); 제3 성공조건에 대한 DUT(지능형전자장치) 감시 단계(S257)를 포함한다. The step of checking the response function for a communication interruption situation (S250) includes the step of forcibly releas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251);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step for the fourth success condition (S253); Communication reconnection step (S255) between the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device simulation module; It includes a DUT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step (S257) for the third success condition.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운영시스템
20: 지능형전자장치
30: 시험대상장치
100: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111: 제1 통신포트
112: 제2 통신포트
110: 통신포트
130: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
131: 제어포트
132: 분석포트
150: 모의모듈
151: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152: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170: 제어/판독기
190: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
10: Operating system
20: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30: Test target device
100: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fault response function
111: 1st communication port
112: 2nd communication port
110: Communication port
130: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131: Control port
132: Analysis port
150: Simulation module
151: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152: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170: Control/Reader
190: Client for test operation

Claims (25)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로서,
상기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는 상기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을 포함하는 모의모듈;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의 통신경로를 제어하는 제어포트와,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분석포트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 및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조건을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제어/판독기;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시도 또는 유지하는 상황에서 장애현상과 부정의 응답을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 간에 다양한 네트워크 장애현상을 발생시키며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되,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지능형전자장치일 경우,
상기 지능형전자장치는 사전설정에 따라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하고,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은 기 설정된 횟수만큼 통신이상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It is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that uses the operating system or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hat constitutes the digital substation as the test target device,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ncludes a simulation module including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including a control por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an analysis port that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A controller/reader that controls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monitors performance conditions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A test operation client that induces a failure phenomenon and a negative response to occur in a situation where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ttempt or mainta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Including,
Various network failure phenomena occur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is automatically detected,
If the device under test is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establish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preset,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rtificially generates communication error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reader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ult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by check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의 통신경로를 제어하는 제어포트와,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모든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분석포트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 및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조건을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제어/판독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s
a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including a control port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nd an analysis port that collects all communication contents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A controller/reader that controls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monitors performance conditions of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시도 또는 유지하는 상황에서 장애현상과 부정의 응답을 발생하도록 유도하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test operation client that induces a failure phenomenon and a negative response to occur in a situation where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simulation module attempt or mainta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모의모듈을 통신연결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the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and connecting the test device and the simulat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운영시스템 일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은 사전설정에 따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연결을 실행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분석 모듈을 통해 정상통신이 확인되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은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If the device under test is an operating system,
The operating system execut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ccording to preset,
When normal communic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analysis module,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 communication error such that an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is not transmitted,
The control/reader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기능을 정상으로 복귀시키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rol/reader restores th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normal, check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and determines whether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is maintained.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automatically detecting perform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고,
이 때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사전 연결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ontroller/reader forcibly disconnect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t this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pre-connects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prevent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est target device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In paragraph 7
The control/reader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and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In clause 7,
The control/reader is
Controlling the test operation client to releas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automatically detects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fault response function of the device under test by checking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개설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새로운 통신연결을 계속 수행하며,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시도할 때마다,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In paragraph 1
The test operation client open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test device and continues to make new communication connection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reader is a digital sub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every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attempt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device under test. Automatic detection device for fault response 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하는 통신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고,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부정응답을 발생할 때마다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test operation client repeatedly per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device under test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reader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whether information is normally exchanged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whenever the device under test generates a negative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고,
상기 분석포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reader is
Forcibly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heck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nalysis port and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ttempts to reconnec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독기는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통신을 재연결하고,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상기 시험대상장치와 정보교환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시도하면 상기 시험대상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trol/reader is
Reconn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est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utomatic detection of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ttempts to request a ser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device under test, the device under test monitors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Device.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운영시스템을 시험대상으로 할 경우,
상기 운영시스템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기능을 가지는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을 발생시키고,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사전 연결된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 간의 정상적인 통신을 방해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s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the operating system or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the digital substation as the test target device,
When the above operating system is used as a test subject,
connecting the operating system to communicate with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Generating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and
A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of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Including,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s
Forcibly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 test operation client pre-connected to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interferes with normal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attempts to reconnect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aintains normal communication;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MMS(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리포트 미전송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는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의 기능을 정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부정응답을 발생시키는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에 대한 상기 운영시스템의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In paragraph 15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above communication error is
Confirming the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the first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in whi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causes a communication error in which an MMS (Manufacture Message Specification) report is not transmitted. step;
Restoring th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to norm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failure response func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a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operating system for a second communication abnormality occurrence situation in whic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generates a negative response;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제16항에 있어서
제1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이 재접속 시도를 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In paragraph 16
The first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system attempts to reconnect and monitors whether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maintaining normal communication are satisfied.
제17항에 있어서
제2 통신이상 발생상황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이 파일서비스 시도를 반복하고 정상적인 통신을 유지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 지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In paragraph 17
The second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is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automatic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system repeats the file service attempt and monitors whether the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maintaining normal communication are satisfied.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과 통신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 모의모듈이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ccording to clause 15,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s
Controlling the test operation client to disconnect from communica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nd
Monitoring whether the operating system and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imulation module are exchanging information normally;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디지털변전소를 구성하는 운영시스템 또는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장치로 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으로서,
상기 지능형전자장치를 시험대상으로 할 경우,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의 기능을 가지는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간의 통신이상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 간의 통신두절 상황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과 통신두절 상황에 대한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최종 시험 결과 판정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이상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상에 대하여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네트워크 장애대응기능의 성능을 감시하는 제1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s a method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using the operating system or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constituting the digital substation as the test target device,
When the abov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 test subject,
Connecting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to communicate with an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havi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Generating a communication error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confirming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 final test result judgment step of comprehensively determining the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for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communication loss situation; Including,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above communication error is
causing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to generate a communication error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first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the performance of a network failure response function of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respect to the communication abnormality;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삭제delet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개설하여 기 설정된 횟수만큼 새로운 통신연결을 계속 수행하는 통신연결 단계; 및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통신연결을 새롭게 시도할 때마다,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2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ccording to clause 21,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above communication error i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in which a test operation client establishe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continues to perform new communication connections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second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each time the test operation client attempts a new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상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시험동작용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의 부정응답 발생을 유도하는 통신연결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부정응답을 발생할 때마다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제3 감시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ccording to clause 23,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above communication error is
Repeating, by the test operation client, a communication connection that induces a negative response from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 preset number of times; and
A third monitor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is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whenever a negative response occurs;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두절에 대한 장애대응기능 확인 단계는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 모듈의 통신연결을 강제로 해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재접속 시도를 하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의 통신을 재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와 정보교환을 위한 서비스 요청을 시도하면 상기 지능형전자장치가 상기 운영시스템 모의모듈과 정보교환을 정상적으로 하고 있는 기 설정된 성공조건을 만족하는지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변전소 장애대응기능 자동검출방법.
According to clause 21,
The step to check the fault response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terruption is
Forcibly disconnect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Monitor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atisfies preset success conditions for attempting reconnection;
Re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nd
When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ttempts to request a service for information exchange with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monitoring whether th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satisfies a preset success condition for normall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operating system simulation module; Automatic detection method of digital substation fault response function including.
KR1020190083926A 2019-07-11 2019-07-11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KR1026475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26A KR102647557B1 (en) 2019-07-11 2019-07-11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926A KR102647557B1 (en) 2019-07-11 2019-07-11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46A KR20210007446A (en) 2021-01-20
KR102647557B1 true KR102647557B1 (en) 2024-03-15

Family

ID=743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926A KR102647557B1 (en) 2019-07-11 2019-07-11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5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4117A (en) * 2021-10-21 2022-01-28 山脉科技股份有限公司 Application method of reservoir safety monitor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9B1 (en) * 2009-06-30 2009-12-14 한국전력공사 Tes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of the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based report
JP2017184037A (en) * 2016-03-30 2017-10-05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245B1 (en) * 2016-07-15 2018-08-09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ance test of IE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member deterio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59B1 (en) * 2009-06-30 2009-12-14 한국전력공사 Tes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of the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based report
JP2017184037A (en) * 2016-03-30 2017-10-05 東京都下水道サービス株式会社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46A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3816B (en) Fault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for secondary equipment of power system
KR101476234B1 (en) Diagnostic system for substation network based on iec 61850 standard
CN202735834U (en) Test system for double measurement and control device in intelligent substation of power system
CN110942400B (en) Automatic point-to-point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substation monitoring system
CN109104335A (en) A kind of industrial control equipment network attack test method and system
CN103944787B (en) The two net pattern handoff testing method of intelligent substation station level
KR102647557B1 (en) Automatic Detector for Trouble Recovery function of Digital Substation
CN105978140B (en) Information fusion method of power equipment
CN110865263A (en) Intelligent substation virtual test method based on minimum test system
CN111683044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forward isolation device strategy
CN106792842A (en) A kind of short message channe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4638761A (en) Packet sensing and packet simulation verification based GOOSE (generic object oriented substation event) virtual terminal connection method
CN112615728A (en) Simulation system master-slave switching method based on railway safety communication protocol
CN116626437A (en) Method for determining fault types of power distribution terminal
CN216134483U (en) Communication test device for decentralized control system
CN114977494A (en) Batch remote control checking device and method for substation in-service equipment without power outage
KR102283874B1 (en) Automatic testing machine for Automatic Block System
CN111917182B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ly transmitting data of double main stations of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KR1024058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interoperability
CN105044552A (en) Fault diagnosis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istribution network automation system
Lee et al. Construction of the Interoperability Test-bed for IEC 61850 based Digital Substation
CN113934579B (en) Hardware detection method and equipment for short-distance single-signal transmission network
CN111146863A (en) Power safety detection method for transformer substation
CN115275925B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logic of intelligent distributed FA virtual information
CN111509863B (en) Mobile substation monitoring alarm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