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321B1 -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 Google Patents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321B1
KR102647321B1 KR1020220049971A KR20220049971A KR102647321B1 KR 102647321 B1 KR102647321 B1 KR 102647321B1 KR 1020220049971 A KR1020220049971 A KR 1020220049971A KR 20220049971 A KR20220049971 A KR 20220049971A KR 102647321 B1 KR102647321 B1 KR 102647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immediate
application
bar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2846A (en
Inventor
장용훈
Original Assignee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321B1/en
Priority to KR1020230126069A priority patent/KR20230150769A/en
Publication of KR2023015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2Driver interactions by confirmation, e.g. of th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은,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that displays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rough the display unit,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in the application,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direct charging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nd based on the input of information on direct charging,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recharge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s entered,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is stored in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charging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tored in the memory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Description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운행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운행할 수 있으며, 특정 장소에 배치된 충전기를 통해 전기차 내의 배터리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that runs on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These electric vehicles can be driven using electric batteries and electric motors without using petroleum fuel or engines, and the batteries in the electric car can be charged wired or wirelessly through a charger placed in a specific location.

이러한, 전기차로의 충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지갑에서 결제하고자 하는 신용 카드를 꺼낸 후, 충전기의 카드 정보 리더기에 읽히도록 함으로써, 충전에 따른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When paying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e driver takes out the credit card he wishes to pay for from his wallet and reads it on the charger's card information reader, thereby paying the charging cost.

그런데, 이와 같이 충전에 대한 요금을 지불하는 과정은 운전자에게 결제 카드를 항상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과, 지갑으로부터 카드를 꺼내는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rocess of paying for charging has the problem of causing the driv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always carry the payment card and the inconvenience of taking the card out of the wallet.

또한, 충전 방식, 포인트 사용 여부 등 충전과 결제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매번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제 방식 선택, 충전 요청, 충전 확인, 충전 종료 등 많은 과정을 사용자에게 요구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nter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and payment every time, such as the charging method and whether points are used, but also requiring the user to go through many processes, such as selecting a payment method, requesting charging, confirming charging, and terminating charging. There was a problem that user convenience was reduced.

따라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과정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user convenience by simplifying the proces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은, 표시부,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또는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 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a portable terminal that displays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memory,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ry, The processor displays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in the application, performs the direct charging. Display a screen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application, display information on the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recharge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and display the payment card on the application. When information about the card is input,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is stored in the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When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is selected,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ethod of displaying a barcode in order to provide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by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an applic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in the applic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recharge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When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s input,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A process of displaying a menu about direct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it may include a process of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through th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in order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displays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application. Commands that do; Commands for displaying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for the immediate charging in the application; Comman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Commands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when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s input; Commands for displaying a menu about immediate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it may include commands that display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through the applica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와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re convenient way for the user by displaying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after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and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charging. You can charge an electric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충전에 따른 시간과 결제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horten the charging time and payment time by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through the application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또한, 본 발명은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y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to authenticate the user when a command for registering a menu for immediate recharge is input to the application. You can.

또한, 본 발명은 충전 방식, 및 상기 충전 방식에 따른 설정 값을 입력하여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시마다 매번 충전 방식을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lect a charging method every time the user charges by directly creating a menu for charging by entering a charging method and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충전 방식, 및 설정 값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바로 충전에 대한 포인트 또는 쿠폰 또는 할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충전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of charging by immediately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points, coupons, or discount information for charging through the application when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and setting value is input.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거나 또는 서버에 전송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충전기의 사용에 미숙한 사용자도 보다 쉽게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barcode or QR code based on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tored in memory or transmitted to the server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s selected, thereby preventing users who are inexperienced in using the charger. You can also charge your electric vehicle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하여 다시 표시함으로써, 악의적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alicious use by changing and re-displaying the barcode or QR cod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전기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포인트 사용 여부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바로 충전 메뉴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충전에 대한 바코드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hat displays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oviding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selecting a charging metho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regarding whether to use points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that a charging menu has been registered directly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displaying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where a menu for direct charging is displayed i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including a barcode for direct charging i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and receiving a barcode or QR cod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absent, it means C or higher and D or low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량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코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바코드 외에 QR 코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gram therefor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focuses on barcodes, bu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QR codes in addition to barcod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은 유선(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차(120)(예: 배터리), 및 상기 전기차(120)에 전력의 송신을 제어하는 전력 송신 장치(110)(예: 충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전기차(120)로의 충전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예: 운전자의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120 (e.g., a battery) that is supplied with wired (or wireless) power, and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20. 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eg, a charger) that controls transmission. Additionally, it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eg, a driver's smart phone) that control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20 as needed.

도 1에 도시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전기차 충전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관제 서버, 및 앱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100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as necessary.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For exampl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harging control server and an app ser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예: 충전기)는 전력선(111)을 통해 전기차(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예: 충전기)는 유선(또는 무선)으로 전기차(1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커넥터 보관함에는 전기차(120)로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예: 전력선(RS 4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보관함의 개폐는 다른 전자 장치(예: 휴대 단말)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111)은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와 상기 전기차(120)간의 신호, 및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예: RS485)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eg, charger)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20 through the power line 111. Alternativel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eg, charger)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120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or storage box, and each connector storage box may include a connector (eg, a power line (RS 485)) tha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20.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nector storage box may be controlled through another electronic device (eg, a portable terminal). The power line 111 may include a cable (eg, RS485)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power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and the electric vehicle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120)가 배터리 충전을 위해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의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전기차(120)는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의 제어 하에,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차(120)로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전기차(120)는 전력 송신 장치(110)로 전력 송신을 중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vehicle 12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hrough the connector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for battery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120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 Under the control of 110), power can be supplied by wire. For example, when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20 is completed, the electric vehicle 120 may transmit a signal to stop power transmission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는 상기 전기차(120)로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전기차(120)로 공급되는 총 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력량에 따른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ransmits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20, measures the total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20, and generates bill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You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는 상기 전기차(120)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출력부(112)에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는 전력 전송에 대한 충전 정보를 충전 관제 서버(미도시) 및 앱 서버(미도시)를 통해 휴대 단말(도 2의 21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may outpu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120 to the output unit 112 in real time. Alternatively,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may transmit charging information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mobile terminal (210 in FIG. 2) through a charging control server (not shown) and an app server (not show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120)는 상기 전력 송신 장치(1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미도시)에 충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ic vehicle 120 may charge a battery (not shown)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의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that displays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210)은 전원부(211), 카메라(212), 통신부(213), 메모리(214), 표시부(215), 및 프로세서(2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portable terminal 210 that displays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unit 211, a camera 212, a communication unit 213, and a memory. It may include (214), a display unit (215), and a processor (216).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210)의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것이고, 휴대 단말(210)의 구성 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shown in FIG. 2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10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and some components can be added as needed. , may be changed or dele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211)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210)이 동작되도록 배터리(미도시)에 저장된 전력을 휴대 단말(210)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unit 211 includes a battery (not shown) and can supply power stored in the battery (not shown) to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21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10 operates. there i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212)는 프로세서(216)의 제어에 따라 전력 송신 장치(110)에서 제공되는 식별 코드(예: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12)는 렌즈,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6)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프로세서(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216)의 제어 하에 동작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212 may capture an identification code (eg, QR code) provid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6. The camera 212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etc., and may convert an optical signal input (or photographed)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and output it to the processor 216. The camera unit 2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216 and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전력 송신 장치(110)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3)는 전기차(120)에 대한 전력 정보를 전력 송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정보는 전기차(120)의 출력 전압 정보, 충전 전류 정보,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communicate with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transmit power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vehicle 120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utput voltage information, charging current information, and an identifier of the electric vehicle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앱 서버로부터 전기차의 바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여러 과정들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바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바로 충전 메뉴(또는 바로 충전 기능)가 선택되면, 바로 충전에 설정된 정보를 통해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표시부(215)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download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direct charging service for an electric vehicle from an app server. The application can perform an immediate charging function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simplifying the various processes requir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direct charging menu (or direct charging function) is selected, the application can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using information set for direct charging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215.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전력 송신 장치(110)로부터 전기차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예: 충전 안내 가이드, 실시간 충전율, 충전량, 충전금액 등)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충전 완료 후, 상기 통신부(213)는 전력 송신 장치(110) 또는 서버(도 13 내지 도 15의 1310)로부터 충전에 따른 영수증 정보(예: 카드 번호, 카드 종류, 승인 번호, 충전 시작 일시, 충전 종료 일시, 충전량, 결제 방식, 결제 일시, 충전 금액, 할인 금액, 및 최종 금액 등)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charging information (e.g., charging information guide, real-time charging rate, charging amount, charging amount, etc.)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110 in real time. Alternatively, after completion of charging, the communication unit 213 receives receipt information (e.g., card number, card type, approval number, charging start date and time) according to charging from the power transmitting device 110 or the server (1310 in FIGS. 13 to 15). , charging end date and time, charging amount, payment method, payment date and time, charging amount, discount amount, and final amount, etc.) can be receiv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2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앱 서버 또는 관제 시스템과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3)는 전기차(120)에 대한 전력 정보를 앱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정보는 전기차(120)의 출력 전압 정보, 충전 전류 정보, 및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communicate with an app server or a control system in a predetermined manner based on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210.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power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 vehicle 120 from the app server.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utput voltage information, charging current information, and an identifier of the electric vehicle 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설정 값, 포인트 설정 값,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앱 서버 또는 관제 시스템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트는 쿠폰 또는 할인 정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membership card entered through the application,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etting value for the charging method, point setting value, an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to the app server or control.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Here, points include coupon or discount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13)는 바로 충전에 따른 충전 과금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directly transmit the charging fee according to charging to the payment server through an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14)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4)는, 예를 들면, 전기차(1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14)는 전기차로 바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214)는 전기차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명령어들,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214 may include volatile and/or non-volatile memory. Memory 214 may store commands 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of electric vehicle 120, for example. The memory 214 store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 charging service directly to an electric vehicle. Additionally, the memory 214 may store at least some of the commands, algorithms, software, applications, and programs required to display a barcode to directly provide charging to an electric vehicle.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14)는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어들과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emory 214 is based on the input of commands for display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n the application and a command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in the application. You can immediately store commands that display a screen on the application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charging.

또한, 상기 메모리(214)는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과,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14)에 저장하는 대신 서버가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14) 및 서버가 일부 정보들을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mory 214 includes instructio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input of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When is input, commands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can be stored. Here, instead of storing it in the memory 214, the server can directly store the information about charging. Alternatively, the memory 214 and the server may divide and store some information.

또한, 상기 메모리(214)는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과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214 includes commands for displaying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the stored direct charging information is provided. Commands that display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can be stored.

이외에도, 상기 메모리(214)는 앱 서버 또는 관제 시스템의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214 can store commands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the app server or the server of the control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14)는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일시적으로만 저장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213)가 서버(도 13 내지 도 15의 1310)에 전송한 후,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 전부 또는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14)는 상기 바로 충전 정보에 대한 식별자(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mory 214 only temporarily stores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3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to the server (1310 in FIGS. 13 to 15) Afterwards, you can immediately delete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about charging. And the memory 214 can store the identifi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harging information.

이 경우, 서버(1310)는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추후 휴대 단말(210)의 소정의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210)의 통신부(213)가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1310)는 그에 대응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휴대 단말(210)의 통신부(213)에게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rver 1310 can immediatel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harging, and lat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the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mobile terminal 210 immediately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harging. If so, the server 131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barcode or QR code to the communication unit 213 of the mobile terminal 210.

또한, 상기 통신부(213)는 바로 충전 정보에 대한 식별자에 대응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을 서버(1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214)는 수신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14)에 저장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는 결재 후,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삭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3 can immediately receive a barcode or QR code corresponding to an identifier for charg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310, and the memory 214 can temporarily store the received barcode or QR code. there is. The barcode or QR code stored in the memory 214 may be deleted after payment o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6)가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14)에 저장한 후, 통신부(213)는 서버(1310)에게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213)는 서버(1310)로부터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세서(216)가 수신한 식별 정보를 메모리(214)에 저장한다. 프로세서(216)가 메모리(214)에 저장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 중 일부는 프로세서(216)가 메모리(214)에서 삭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processor 216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in the memory 214, the communication unit 213 transmits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to the server 13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3 directly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charging from the server 1310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processor 216 in the memory 214 . The processor 216 may delete some of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tored in the memory 214 by the processor 216 from the memory 214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바로 충전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215)는 프로세서(216)의 제어 하에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immediate charging menu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is selected, the display unit 215 may display a barcode (or QR code) for providing immediate charging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6.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215)는 충전 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보(예: 충전 중, 충전 비율, 충전 완료 여부, 충전 시간, 충전 완료 예상 시간, 충전 정보, 과금 정보, 결제 진행에 대한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215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status (e.g., charging, charging rate, whether charging is complete, charging time, expected charging completion time, charging information, billing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payment progress) etc.) can be display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16)는 휴대 단말(2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6)는 메모리(214)로부터 독출한 제어에 요구되는 알고리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기차(120)로 바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6)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미니 컴퓨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216 may gener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The processor 216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providing a charging service directly to the electric vehicle 120 using an algorithm, program, or application required for control read from the memory 214. The processor 21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PU, microprocessor, or mini comput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력 송신 장치(110)과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210)과 전력 송신 장치(110)는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연결된 통신 채널을 통해 각각의 식별자를 송수신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perform pairing with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hrough the pairing, the mobile terminal 210 and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can connect a communication channel, transmit and receive each identifier through the connected communication channel, and perform an authentication proces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력 송신 장치(110)와 QR 결제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바로 충전을 제안하는 팝업을 표시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pop-up suggesting charging immediately when authentication for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and QR payment is comple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기차(120)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시키는 화면을 표시부(215)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20 i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15.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전기차(120)의 충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ion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bou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120 or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use electric vehicle charging more conveniently.

그리고, 바로 충전은 전기차 충전 시 필요한, 충전 방식, 충전량, 회원 인증, 보너스 카드, 결제 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미리 등록한 후, 클릭 한 번으로 간편하게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기능이다. 전술한 바로 충전에 필요한 정보의 등록은 서버(1310)에 저장되는 프로세스를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정보의 등록에서 보안상 중요도가 낮은 정보(충전 방식, 충전량 등)는 휴대 단말(210)의 메모리(214) 및 서버(1310)에 저장되고, 보너스 카드와 결제 카드, 회원 인증과 같은 보안상 중요도가 높은 정보는 서버(1310)에만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앱의 로그인이 보안상 안전도를 높일 경우, 전술한 바로 충전에 필요한 정보들이 휴대 단말(210)의 메모리(214)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Direct charging is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easily charge an electric vehicle with one click after pre-register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charging amount, membership authentication, bonus card, and payment card required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one embodiment, the registration of information required for charging as described above is a process that is stored in the server 1310.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registering information, information of low security importance (charging method, charging amount, etc.) is stored in the memory 214 and server 1310 of the mobile terminal 210, and bonus cards, payment cards, member Information of high security importance, such as authentication, can be stored only in the server 1310. Alternatively, when logging in to an app increases security,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charg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memory 214 of the mobile terminal 210.

이에, 각 정보들은 서버(1310)에 전부 또는 일부 저장되거나, 휴대 단말(210)에 전부 또는 일부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구현 과정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piece of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whole or in part in the server 1310, or in whole or in part in the mobile terminal 210, and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이러한 바로 충전을 어플리케이션에 등록시키기 위한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for registering such direct charging in the application on the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command for registering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input to the application,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in .

예를 들면,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 중 하나의 회원 카드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회원 카드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ommand to register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input to the appl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uses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to authenticate the user.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when one member card i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member cards, the user can be authenticated with the selected member card. And, when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display a screen on the application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charg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14)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information about recharging is inpu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recharge on the application, When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s input, information about charging can be immediately stored in the memory 214.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는 전부 또는 일부가 서버(1310)로 전송된 후, 메모리(214)에는 해당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310, onl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14.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는 회원 카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포인트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recharge may include membership card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charge method, information about whether points are used, an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예를 들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는 충전 방식, 및 상기 충전 방식에 따른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방식은 전기 차(12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는 충전율, 충전량, 충전 시간, 충전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값은 각각의 충전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는 값이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may include a charging method and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The charging method may include a charging rate, charging amount, charging time, and charging amount for charging the battery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120. And, the setting value is a value set by the user according to each charging metho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입력 또는 설정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 상의 일 측(예: 상단)에 표시(또는 추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created based on input or set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on one side (e.g., top) of the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r added).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는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설정 값에 대한 정보, 및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enu for direct recharg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membership card, information about the recharge method, information about the setting value, an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메모리(214)에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generates a barcode (or QR) based on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tored in the memory 214. code)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이 경우, 바코드 또는 QR 코드는 전술한 바로 충전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코드 내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은 서버(1310)와 약속된 방식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arcode or QR code may contain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above-described direct recharge.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de may be encoded in a manner agreed upon with the server 1310.

다른 실시 예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통신부(213)는 서버(1310)에게 메뉴에 대응하는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 정보의 전송 후, 통신부(213)는 서버(1310)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13)는 서버(1310)로부터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a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mmediate charging corresponding to the menu to the server 1310. And afte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a barcode or QR c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310.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213 may receive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from the server 1310.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214)에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어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generates a barcode (or QR cod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stored in the memory 214. You can create and output the generated barcode (or QR code) on the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코드가 표시된 이후 일정 시간(예: 1분)이 지나면, 상기 메모리(214)에 저장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바코드를 재생성하고, 재생성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stores the immediate char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14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1 minute) after the barcode i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barcode can be re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regenerated barcode (or QR code) can be displayed in the applica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210)은 전술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서버(1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210)이, 바로 충전에 대응하는 바코드/QR코드를 서버(1310)에 요청하면, 서버(1310)가 해당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210)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바코드를 어플리케이션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may receive the above-described barcode or QR code from the server 131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requests the server 1310 for a barcode/QR code corresponding to immediate charging, the server 1310 generates the corresponding barcode or QR cod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terminal 210. . And the mobile terminal 210 can display the received barcode on the appl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전기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등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충전 방식을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포인트 사용 여부에 대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상에 바로 충전 메뉴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providing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for selecting a charging metho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regarding whether to use points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showing that a charging menu has been registered directly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the process for providing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기차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10). 어플리케이션은 전기차(12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여러 과정들을 단순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바로 충전은 이러한 여러 과정들을 단순화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 시 필요한 충전 방식, 충전량, 회원 인증, 보너스 카드, 결제 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미리 등록한 후, 클릭 한 번으로 간편하게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기능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ether a command for creat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input (S310). The application can perform the function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by simplifying various processes required to charge the battery (not shown) of the electric vehicle 120. In order to simplify these various processes, direct charging is a function that register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charging amount, membership authentication, bonus card, and payment card required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 advance, and then easily charges the electric vehicle with one click.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표시부(215)를 통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생성하거나 등록시킬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directly create or register a charging menu in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5.

이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dentify whether a command for creating a menu for charging is input directly on the applica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는 화면(410)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display a screen 410 that creates a menu for charging through an application.

예를 들면, 상기 화면(410)은 기존에 생성된(또는 등록된) 바로 충전 메뉴(412)의 일 측(예: 우측)에 바로 충전의 등록을 추천하는 이미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410)은 휴대 단말(2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41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410 may include an image 411 recommending registration of direct charging on one side (e.g., right side) of the previously created (or registered) direct charging menu 412. . Additionally, the screen 410 may include information 413 about the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where charging is possib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기차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이미지(411) 상에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ether a command for creat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input on the image 411.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복수의 회원 카드들을 표시할 수 있다(S312).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기차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상기 이미지(411) 상에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4에 표시된 이미지(411)(또는 메뉴)가 선택되면, 도 5와 같이 회원 카드를 선택받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S312). When a command for creat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input on the image 411,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ollect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already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When the image 411 (or menu) shown in FIG. 4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a membership card on the application as shown in FIG. 5.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전기차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510)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command for creat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is inpu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includ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already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A screen 510 that does this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화면(510)의 일정 영역(520)에는 복수의 회원 카드들(521, 522)에 대한 정보, 및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메뉴(523)가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521 and 522 and a menu 523 for moving to the next step may be displayed in a certain area 520 of the screen 510.

예를 들면, 각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는 카드 명칭, 카드 번호, 잔여 포인트, 충전 적용 단가, 유효 기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each membership card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ard name, card number, remaining points, recharge application price, and expiration date.

예를 들면, 상기 화면(510)은 상기 일정 영역(520)에 표시된 회원 카드 이외에 다른 회원 카드를 추가로 등록하기 위한 메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메뉴(미도시)를 선택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다른 회원 카드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510 may further include a menu (not shown) for additionally registering a membership card other than the membership card displayed in the certain area 520, and the user may use this menu (not shown). You can select to register other membership cards you own in the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회원 카드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14).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5의 일정 영역(520)에 표시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원 카드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고, 다음 단계(예: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메뉴(423)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ether a membership card is selected (S314).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dentify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displayed in the certain area 520 of FIG. 5 is selected, and proceed to the next step (e.g., immediately It can be identified whether the menu 423, which moves to the step of enter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is selec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16).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5에 표시된 복수의 회원카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원 카드가 선택되면, 도 6과 같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mmediately display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S316). When one member card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shown in FIG. 5,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charging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on the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in .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회원 카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원 카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610)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충전 방식(예: 충전율, 충전량, 충전 시간, 충전 금액)과 충전 방식에 따른 설정 값(612)을 입력 받는 화면(610)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별칭(613)을 입력 창(614)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when one membership card is selected among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immediately displays a screen 610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charging as an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table.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a screen 610 for inputting a charging method (e.g., charging rate, charging amount, charging time, charging amount) and a setting value 612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on the application. It can be displayed in . Additionally,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receive an alias 613 for charging through the input window 614.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18).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충전 방식들(예: 충전율, 충전량, 충전 시간, 충전 금액) 중 어느 하나(예: 충전율)가 선택되면, 선택된 충전 방식에 기반한 설정 값(예: 80%)을 상기 화면(610)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identify whether information about charging is input (S318). When one of the charging methods (e.g., charging rate, charging amount, charging time, charging amount) is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sets a setting value based on the selected charging method. (Example: 80%) can be input through the screen 610.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상기 화면(610)을 통해 도 5 및 도 6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한 별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receive an alias for the information selected in FIGS. 5 and 6 from the user through the screen 610.

이와 같이, 상기 화면(610)은 충전 방식들의 종류, 각 충전 방식에 따른 설정 값, 및 별칭(613), 및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메뉴(615)를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screen 610 may include types of charging methods, setting values for each charging method, an alias 613, and a menu 615 for moving to the next step.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포인트를 설정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20). 도 6에 표시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610)을 통해 충전 방식과 설정 값이 입력된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메뉴(615)가 선택되면, 도 7과 같이 포인트 사용 여부에 대한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for setting a point (S320). After the charging method and setting values are entered through the screen 610 fo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shown in FIG. 6, when the menu 615 to move to the next step is selected, a question about whether to use points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 The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도 7을 참조하면, 충전 방식과 설정 값이 입력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포인트 사용 여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액수를 선택 받는 화면(710)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charging method and setting value are input,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a screen 710 on the application for selecting whether to use points and the amount of points to be used. It can be displayed.

예를 들면, 상기 화면(710)은 포인트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 박스, 포인트를 1000씩 사용하도록 하는 체크 박스, 2000씩 사용하도록 하는 체크 박스,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포인트를 사용하도록 하는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710)은 포인트 사용 여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액수가 결정되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메뉴(713)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creen 710 includes a check box to not use points, a check box to use points in 1000 increments, a check box to use 2000 in increments, or an input box to allow the user to use the desired points. can do. Additionally, the screen 710 may include a menu 713 for moving to the next step when whether to use points and the amount of points to be used are determin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포인트 설정이 완료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S322).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상기 화면(710)을 통해 포인트 사용 여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액수가 입력 또는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ether point setting is completed (S322).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dentify whether points are being used and whether the point amount to be used is input or selected through the screen 7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결제가 가능한 복수의 결제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24). 도 7에 표시된 포인트 사용 여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액수가 결정된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하는 메뉴(713)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8과 같이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ayment cards that can make payments (S324).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points shown in FIG. 7 and the amount of points to be used, when the menu 713 to move to the next step is selected,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kes payment as shown in FIG. 8 A screen for entering information about the card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포인트 사용 여부 및 사용하고자 하는 포인트 액수가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에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810)을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inputs whether to use points and the amount of points to be used, a screen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payment card already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810) can be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결제 카드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326).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상기 화면(810)에 표시된 복수의 결제 카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제 카드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810)은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메뉴(811),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812), 및 저장하는 메뉴(813)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ether a payment card is selected (S326).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identify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payment cards displayed on the screen 810 is selected. This screen 810 may include a menu 811 for registering a payment card, information 812 for at least one registered payment card, and a menu 813 for storing.

사용자는 상기 화면(810)을 통해 새로운 결제 카드를 등록하거나, 또는 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들 중에서 바로 충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결제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register a new payment card through the screen 810, or selec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recharge directly from among a plurality of already registered payment card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로 충전 메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328). 상기 화면(810)에 표시된 복수의 결제 카드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결제 카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214)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create a menu for direct charging and store information about the created immediate charging menu (S328). When one payment card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payment cards displayed on the screen 810,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displays the information selected or entered through FIGS. 5 to 8. It can be stored in memory 214.

또한,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14)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generates a menu for charging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or input through FIGS. 5 to 8,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ed menu in memory ( 214).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에 대한 정보는 바로 충전의 상세 정보들을 대표하는 식별 정보만 메모리(214)에 저장된 후, 다른 정보들은 서버(13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10)이 해당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 단말(210)은 서버(1310)로부터 메뉴를 구성하는 바로 충전의 세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정보를 도 9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detailed information on direct chargin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14 as information o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and then oth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310. In this case,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selects the menu for the corresponding direct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210 receiv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that constitutes the menu from the server 1310. And the mobile terminal 210 can output the received information as shown in FIG. 9.

이와 같이, 도 8을 통해 바로 저장 메뉴(813)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고, 도 9와 같은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immediate save menu 813 is selected through FIG. 8,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stores the information selected or input through FIGS. 5 to 8, and FIG. 9 A screen 910 like this can be display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910)은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선택되거나 입력된 정보(예: 회원 카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포인트 사용에 관한 정보, 및 결제 카드 정보 등), 홈으로 가기 메뉴(9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어플리케이션의 홈 화면에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creen 910 displays information selected or entered through FIGS. 5 to 8 (e.g., membership card information, information on recharge method, information on point use, payment card information, etc.), A home menu 912 may be included. Thereafter,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menu for charging directly created on the home screen of the applic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 바로 충전에 대한 바코드를 포함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다.Fig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for displaying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where a menu for direct charging is displayed i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screen including a barcode for direct charging i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를 표시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the process of displaying a bar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복수의 바로 충전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S1010).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어플리케이션의 홈 화면(1110)에 새로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1111)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plurality of immediate charging menus (S1010).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newly created menu 1111 for direct charging on the home screen 1110 of the applica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홈 화면(1110)에는 기존에 생성된(또는 등록된) 바로 충전 메뉴(412)의 일 측(예: 좌측)에 새로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1111)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화면(1110)은 휴대 단말(21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의 위치에 대한 정보(41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home screen 1110 displays a newly created menu 1111 for direct charging on one side (e.g., the left) of the previously created (or registered) direct charging menu 412. It can be. Additionally, the home screen 1110 may include information 413 about the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where charging is possib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로 충전 메뉴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012).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11의 홈 화면(1110)에 표시된 복수의 바로 충전에 관한 메뉴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1111)가 선택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identify whether the charging menu is selected (S1012).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dentify which one of the menus 1111 for direct charging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enus related to direct charging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1110 of FIG. 11. You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선택된 바로 충전 메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14).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도 11의 홈 화면(1110)에 표시된 복수의 바로 충전에 관한 메뉴들 중에서 선택된 메뉴(1111)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14)에서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harging menu (S1014).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menu 1111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menus related to direct charging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1110 of FIG. 11 from the memory 214. You can.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들은 서버(1310)에 저장되고, 메모리(214)는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10)은 서버(1310)에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한 후, 세부 정보를 서버(1310)로부터 수신하여 메모리(21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일시적 저장의 경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is stored in the server 1310, and the memory 214 may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10 may directl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charging to the server 1310, then receive detailed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310 and store it in the memory 214. This storage includes cases of temporary storag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바로 충전을 위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1016).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메모리(214)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바로 충전을 위한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210)과 서버(1310)가 동기화된 정보를 공유할 경우(예를 들어 OTP 등), 휴대 단말(210)은 이 동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210)은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자체적으로 생성하지만, 이 코드는 서버(1310)와 공유된 (동기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한 것에 해당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for immediate charging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S1016).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can immediately generate a barcode for charging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mory 214. Alternatively,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and the server 1310 share synchronized information (for example, OTP, etc.), the mobile terminal 210 can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using this synchronized information. .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10 generates a barcode or QR code on its own, but this code is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shared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1310.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210)은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서버(1310)에게 전송한 후, 서버(1310)가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버(1310)와 휴대 단말(210)이 미리 약속한 방식에 따라, 서버(1310)가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휴대 단말(210에게 전송하면,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may immediately transmit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1310, and then the server 1310 may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terminal 210. there is. Alternatively, when the server 1310 transmit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to the mobile terminal 210 according to a method previously agreed upon by the server 1310 and the mobile terminal 210, the mobile terminal 210 You can create a barcode (or QR code)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생성된 바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S1018).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생성된 바코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부(215)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the generated barcode (S1018). The portab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including the generated barcode on the display unit 215 through an applica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바코드를 포함하는 화면(1210)을 표시부(215)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1210)은 바로 충전의 메뉴(1111)에 관련된 정보(예: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바코드(1211), 바코드(1211)의 일련 번호, 바코드(1211)의 유효 잔여 시간, 무료 충전 잔여량, 바로 충전 가이드(1213)에 대한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display a screen 1210 including a barcode o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15. The screen 1210 directly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harge menu 1111 (e.g., information about the membership card, information about the recharge method, barcode 1211, serial number of the barcode 1211, validity of the barcode 1211). Remaining time, free charging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charging guide 1213, etc.) may be inclu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코드(1211)는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충전 방식에 따라 설정된 값, 포인트 사용 여부(또는 적용된 포인트), 및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rcode 1211 contains at least some of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membership card,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a value set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whether points are used (or points applied), and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t can be created based on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210)(예: 프로세서(216))은 주기적(예: 1분 단위)으로 표시된 바코드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갱신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210)이 서버(1310)와 공유 또는 동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갱신하는 방법, 휴대 단말(210)이 서버(1310)로부터 바코드/QR코드를 다시 전송받는 방법, 또는 휴대 단말(210)이 서버(1310)로부터 바코드/QR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다시 전송받는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mobile terminal 210 (e.g., processor 216) may update and display the displayed barcode periodically (e.g., every minute). Regarding the updat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210 updates using information shared or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1310, and the mobile terminal 210 retransmits the barcode/QR code from the server 1310. The reception method may vary, such as a method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10 receives the information needed to generate a barcode/QR code from the server 1310.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and receiving a barcode or QR cod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210)은 앞서 도 4 내지 도 8의 과정에 따라 바로 충전을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251). 그리고 휴대 단말(210)은 입력된 정보를 서버(1310)에 전송 가능한 정보로 변환한다(S1252).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310)와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암호화하거나 패킷화하는 것은 전술한 변환에 해당한다. The mobile terminal 210 immediately receives information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n in FIGS. 4 to 8 (S1251). Then, the mobile terminal 210 converts the input information into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1310 (S125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ncrypting or packetizing in a manner previously agreed upon with the server 1310 corresponds to the above-described conversion.

이후, 휴대 단말(210)은 변환한 정보를 서버(1310)에게 전송한다(S1253). 서버(1310)는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바로 충전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S1254). 서버(1310)는 휴대 단말(210)의 식별 정보와 바로 충전 식별 정보를 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310)는 휴대 단말(210)에게 바로 충전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S1255). 휴대 단말(210)은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S1256). 이 과정에서 S1251에서 입력된 정보 중 일부는 휴대 단말(210)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는 S1251에서 입력된 정보는 휴대 단말(210)에 유지될 수 있다. 삭제 또는 유지되는 정보는 구현 과정에서 보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fterwards, the mobile terminal 210 transmit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1310 (S1253). The server 131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database and immediately generates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254). The server 1310 may combine and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10 and the immediate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n, the server 1310 directly transmits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10 (S1255). The mobile terminal 210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256). In this process, some of the information entered in S1251 may be dele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10.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entered in S1251 may be maintained in the mobile terminal 210. Information deleted or maintained may vary depending on security, etc.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전술한 과정에서 바로 충전 메뉴가 등록된다. 이후, 도 11과 같이 휴대 단말(210)은 바로 충전 메뉴를 선택한다(S1261). 다수의 바로 충전 메뉴가 있을 경우, 휴대 단말(210)에서 선택된 하나의 바로 충전 메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서버(1310)로 전송된다(S1262). 그리고 서버(1310)는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바코드 또는 QR 코드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S1263). 여기서 바코드 또는 QR 코드 관련 정보의 일 실시 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관련 정보의 일 실시 예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The charging menu is registered immediately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fterwards, as shown in Figure 11, the mobile terminal 210 immediately selects the charging menu (S1261). If there are multiple direct charging men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direct charging menu selected in the mobile terminal 2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310 (S1262). Then, the server 1310 generates barcode or QR code related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263). Here, an example of barcode or QR code related information may be an image of a barcode or QR code. Alternatively, an example of barcode or QR code 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eded to generate a barcode or QR code.

서버(1310)는 생성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210)에게 전송하고,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도 12와 같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한다(S1265). The server 1310 transmits the generated barcode or QR code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210, and the mobile terminal 210 us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display the barcode or QR code as shown in FIG. 12 (S1265).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S1251 내지 S1253은 앞서 도 13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한다. S1251 to S1253 of FIG. 13 refer to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in FIG. 13.

서버(1310)는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바로 충전 식별 정보 및 코드 생성 동기화 정보를 생성한다(S1257). 그리고 생성한 정보를 휴대 단말(210)에 전송한다(S1258). The server 131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immediately generates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de gener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S1257). Then, the gener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10 (S1258).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정보들을 저장한다(S1259). 바로 충전 식별 정보는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코드 생성 동기화 정보란, 휴대 단말(210)이 시간에 따라 상이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되, 이 코드를 서버(1310)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동기화를 시켜주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OTP, 또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고유 암호 정보 등을 일 실시예로 한다. The mobile terminal 210 stores the received information (S1259). The charg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s shown in FIG. 13. Code generation synchroniza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allows the mobile terminal 210 to generate different barcodes or QR codes over time and synchronize these codes so that the server 1310 can check them. For example, OTP or unique password information that changes over time is an example.

이후, 휴대 단말(210)은 도 11과 같이 바로 충전 메뉴를 선택하면(S1267) 휴대 단말(210)이 해당 충전 메뉴의 식별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도 12와 같이 바코드/QR 코드를 표시한다(S1268). Thereafter,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directly selects the charging menu as shown in FIG. 11 (S1267), the mobile terminal 210 displays a barcode/QR code as shown in FIG. 12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rging menu. (S1268).

도 14의 동기화 정보는 휴대 단말(210)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생성함에 있어서 서버(1310)로부터 매번 정보를 수신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in FIG. 14 is intended to prevent the mobile terminal 210 from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1310 each time when generating a barcode or QR code that changes over time.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서버 사이의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서버(1310)에 바로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관련 정보가 휴대 단말(210)에만 저장되는 경우이다. 즉, 휴대 단말(210)은 바로 충전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면(S1271) 입력된 정보를 암호화 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1272). 암호화는 선택적으로 일부 정보에 대해서만 진행될 수 있다. Figure 15 shows a case where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is not stored directly in the server 1310, but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only in the mobile terminal 210.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immediately inputs information for charging (S1271), it encrypts the input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memory (S1272). Encryption can optionally occur only for some information.

그리고 휴대 단말(210)이 충전을 위해 바로 충전 메뉴를 선택하면(S1281), 휴대 단말(210)은 해당 바로 충전 메뉴에서 설정했던 정보들(충전 방식, 충전량, 회원 인증, 보너스 카드, 결제 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을 서버(1310)에게 전송한다(S1282). 서버(1310)는 수신한 정보로 충전이 이루어짐을 확인하고 이 정보를 저장한 후, 바코드/QR 코드 관련 정보를 생성한다(S1283). 그리고 바코드/QR 코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210)에게 전송한다(S1284). 휴대 단말(210)은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바코드/QR 코드를 표시한다(S1285).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210 selects the direct charging menu for charging (S1281), the mobile terminal 210 enters the information set in the direct charging menu (charging method, charging amount, member authentication, bonus card, and payment card). vario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1310 (S1282). The server 1310 confirms that charging is done with the received information, stores this information, and generates barcode/QR code related information (S1283). Then, barcode/QR cod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10 (S1284). The mobile terminal 210 displays a barcode/QR code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S1285).

도 15의 경우 바로 충전에 관련된 정보를 휴대 단말이 저장하고, 사용자가 충전을 시도할 경우에 그에 대응하는 바코드/QR코드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In the case of Figure 15, an embodiment is presented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barcode/QR code from the server when the user attempts charg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여러 과정들을 바로 충전 서비스로 단순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하는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로 충전은 전기차 충전 시 사용자가 충전 방식, 충전량, 회원 인증, 보너스 카드, 결제 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사용자가 클릭 한 번으로 간편하게 전기차를 충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기 차를 효율적으로 충전시키는 탁월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for users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by simplifying the various processes requir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into a direct charging service. To this end, direct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process of the user directly enter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charging amount, membership authentication, bonus card, and payment card when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allows the user to easily purchase the electric vehicle with one click. By allowing charging, an excellent effect of efficiently charging electric vehicles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상술한 각각의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도시된 순서에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 가능할 수 있다. Each step in each flowchart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regardless of the order shown, or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dditionally,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least one operation performed by the 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or softwa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10: 전력 송신 장치 120: 전기차
210: 휴대 단말 211: 전원부
212: 카메라 213: 통신부
214: 메모리 215: 표시부
216: 프로세서
110: Power transmission device 120: Electric vehicle
210: mobile terminal 211: power unit
212: Camera 213: Communication Department
214: memory 215: display unit
216: processor

Claims (13)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표시부;
메모리; 및
상기 표시부,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바로 충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바로 충전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전송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바로 충전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의 선택 한 번으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차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휴대 단말.
In a mobile terminal that displays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display unit;
Memory; and
It includes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the memory,
The processor,
Display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for the direct charging in the application, displaying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recharge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fter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is entered, when immediate recharge is select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mmediate rechar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request a barcode or QR code for immediate recharge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receive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y the server from the server,
Display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When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is selected, the barcode or QR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is set to b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immediate charging is,
Characterized by a function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by selecting the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barcode or the QR code is periodically updated and display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복수의 회원 카드들에 대한 정보 중 하나의 회원 카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회원 카드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When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is input in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to authenticate the user,
When one membership card is selected among the displayed information on the plurality of membership cards, authenticating the user with the selected membership card,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는 충전 방식, 및 상기 충전 방식에 따른 설정 값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includes a charging method and a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charging metho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은,
상기 전기 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율, 충전량, 충전 시간, 충전 금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use 3,
The charging method 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harging rate, charging amount, charging time, and charging amount for charging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방식, 및 상기 설정 값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포인트 또는 쿠폰 또는 할인 정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use 3,
The processor,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points or coupons or discount information for the immediate charging through the application when information about the charging method and the setting value is inpu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는,
상기 선택된 회원 카드에 대한 정보, 상기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 상기 설정 값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use 5,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s,
A mobile termi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embership card, information on the charging method, information on the setting value, and information on the payment car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설정된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A mobile terminal configured to change and display the barcode or QR cod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통신부는 서버에게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After the processor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in the memory,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ll or par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to the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charging from the server, and the processor stores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memory.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바로 충전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식별 정보의 전송 후,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use 9,
When the menu for direct charging is selecte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mmediate charging corresponding to the menu to the server,
Afte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unit
A portable terminal that receives the barcode or the QR code from the server, or receives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the barcode or the QR code from the serv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와 공통된 정보 또는 동기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
According to clause 9,
The processor generates the barcode or the QR code using information common to or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휴대 단말이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바로 충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바로 충전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과정;
상기 전송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바로 충전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의 선택 한 번으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차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방법.
In a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to display a barcode or QR code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an applic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in the application;
A process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recharge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recharge;
After in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payment card, when immediate recharge is selecte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mmediate recharge to a server and requesting a barcode or QR code for direct recharge from the server;
Receiving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y the server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menu about direct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direct charging on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displaying the barcode or QR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application,
The immediate charging is,
Characterized by a function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charging by selecting the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A method in which the barcode or the QR code is periodically updated and displayed.
휴대 단말이 전기 차에 대한 바로 충전을 제공하기 위해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기 차의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결제를 지불하는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후, 상기 바로 충전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바로 충전을 위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명령어들;
상기 전송된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에서 생성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명령어들;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바로 충전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메뉴의 선택 한 번으로, 상기 바로 충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기 차를 충전시키도록 하는 기능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QR 코드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표시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displaying a barcode or QR code for a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immediate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is recorded,
The above program is,
Commands for displaying a screen for registering a menu for direct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n an application;
Commands for displaying a screen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a command for registering the menu for the immediate charging in the application;
Comman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payment card that pays for the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After the information on the payment card is input, when the direct recharge is selected, instruction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mmediate recharge to the server and requesting a barcode or QR code for direct recharge from the server;
Commands for receiving a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by the server from the server based o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Commands for displaying a menu about immediate charging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immediate charging on the application;
When the menu for immediate charging is selected, it includes instructions for displaying the barcode or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server through the application,
The immediate charging is,
Characterized by a function of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 charging by selecting the menu about the immediate charging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The barcode or the QR code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at is periodically updated and displayed is recorded.
KR1020220049971A 2022-04-22 2022-04-22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KR1026473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71A KR102647321B1 (en) 2022-04-22 2022-04-22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KR1020230126069A KR20230150769A (en) 2022-04-22 2023-09-21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971A KR102647321B1 (en) 2022-04-22 2022-04-22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069A Division KR20230150769A (en) 2022-04-22 2023-09-21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846A KR20230152846A (en) 2023-11-06
KR102647321B1 true KR102647321B1 (en) 2024-03-13

Family

ID=885433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971A KR102647321B1 (en) 2022-04-22 2022-04-22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KR1020230126069A KR20230150769A (en) 2022-04-22 2023-09-21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069A KR20230150769A (en) 2022-04-22 2023-09-21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7321B1 (e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차 충전소 위치 검색 어플 찾기 앱, 블로그 리뷰, 2021.09.12. 1부.*
전기차 충전소 위치 검색(무료 앱 추천), 블로그 리뷰, 2020.03.08. 1부.*
카카오페이 편의점 결제방법 바코드 QR 등, 블로그 리뷰, 2021.09.2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769A (en) 2023-10-31
KR20230152846A (en)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2308B1 (en) System and method of authorizing off-lin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87891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ransaction with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110241824A1 (en) In-vehicle mount type battery charging system, managing server, managing serv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managing server
EP2469374A1 (en) Facilitating and authenticating transactions
JP2008065635A (en) Charging stand management system
CN105915629A (en) Meter charging method, terminal and intelligent meter
KR20140054474A (en) Contents down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EP2405623A2 (en) Facilitating and authenticating transactions
CN113978291A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and integrated equipment
US9990167B2 (en) Mobile authentication for enabling host device functions
KR20140116047A (en) An electric charging system, a power measuring instrument and a mobile terminal for an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7321B1 (en) A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a barcode or a qr code to provide direct 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program therefor
KR20210038003A (en) Advertising linkage and charging payment system of EV charging station
KR101227433B1 (en) Hipass converter for mobile card and the conversion method
KR1008384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Cash Charging and Payment Using Zone Service
KR20230150768A (en)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directl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y recognizing a barcode or qr code related to direct charging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for
KR20220134809A (en) A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KR102551396B1 (en) Device of enhancing security in auto-charging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230150767A (en)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directly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by recognizing an rfid card based on direct charging set through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for
CN112348508A (en) Card data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KR20130049712A (en) Hipass converter for mobile card and the conversion method
KR20060104045A (en) Transportation card having combined functions of card and terminal and service system therefor
JP2003137070A (en) Use managing method of automobile using portable terminal
KR101051771B1 (en) IC pass card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22115353A (en) Electronic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settlement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3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1102

Effective date: 2024011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