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73B1 -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73B1
KR102647273B1 KR1020210178344A KR20210178344A KR102647273B1 KR 102647273 B1 KR102647273 B1 KR 102647273B1 KR 1020210178344 A KR1020210178344 A KR 1020210178344A KR 20210178344 A KR20210178344 A KR 20210178344A KR 102647273 B1 KR102647273 B1 KR 10264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elete delete
drowsiness
present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392A (ko
Inventor
한동철
조수현
이성훈
신한재
변상봉
정용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7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27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 A61B2503/22Motor vehicles operators, e.g. drivers, pilots, cap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모듈화된 센서를 구비하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 분석과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함에 있어서, 상기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바이오 센서는 인체 밀착성, 착용성, 및 최소화된 동작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STATUS OF DRIVER'S SLEEPINESS}
본 발명은 졸음 운전 등과 같은 운전자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생태 정보와 행동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물리적인, 예컨대 청각적인 바이오 피드백을 통해서 위험한 상황을 경고하기 위해서 히어러블 시스템을 적용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전 중 졸음 운전에 의한 사고는 음주 운전에 필적할 정도로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졸음 운전을 제대로 예방할 수 있다면 상당한 정도로 교통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졸음 운전을 검출하기 위해서 종래 다양한 감지 기법이 고안되었다.
예컨대, 실시간으로 운전자의 안면(특히, 눈동자)을 인식하여 졸음을 감지하는 기술은 오래 전부터 상용화되었다.
하지만, 해당 기술은 주변 환경의 밝기(터널 진입 등), 조명(실내 조명이나 가로등), 수목이나 고층 빌딩에 의한 그늘짐 등으로 인해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기초하여 졸음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는데도 일정 부분 한계가 있어 대중적으로 보급되거나 확산되고 있지 않고 있다.
더욱이, 뇌파나, 체온, 맥박 패턴 등의 생체 정보 분석에 기반하는 졸음 감지 시스템은 해당 디바이스(device)의 인체 밀착성이 불량하거나 동(動)잡음에 의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운전자의 생체 정보와 행동 패턴 분석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확도가 높은 복합 센서를 사용한다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고, 이를 위해서, 각고의 노력 끝에 운전자의 졸음 감지 시스템의 밀착성과 착용성을 개선한 블루투스 이어폰 형태의 히어러블 디바이스를 창안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893호 공보(2015.08.24.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 및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모듈화된 센서를 구비하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모듈화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 운전자의 졸음 상태는 3 차원 가속도 센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 운전자의 졸음 상태는 심박수 및 체온의 변화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에 있어서, 운전자의 졸음 상태는 바이오 센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 분석과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행동 패턴 분석에 의한 상기 운전자의 졸음 상태는, 고개를 숙이는 자세, 및 반복적인 자세 고침으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졸음 상태는 상기 생체 정보 중에서 심박수 및 체온의 변화로부터 판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 분석과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바이오 센서는 인체 밀착성, 착용성, 및 최소화된 동작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 분석과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상기 일체형으로 구현된 상기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바이오 센서는 인체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상기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상기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 분석과 상기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로부터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다고 판별되면, 진동 및 전기 자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바이오 센서와 함께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 및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 정의됨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 및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의 졸음 운전, 응급 상황 및 전방 주시 소홀 등과 같은 운전자의 상태 이상 징후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상 상황이라고 판별되는 즉시 여러가지 바이오 피드백을 통하여 해당 위험 상황을 통지함으로써 졸음 등에 의한 교통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다른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의 동작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의 동작 블록도이다.
도 1로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의 동작은, 바이오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S100), 감지 데이터 수신 여부 확인 단계(S200),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S300), 신호 처리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400), 위험 상태 여부 확인 단계(S500), 및 소정의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바이오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S100)에서는, 바이오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바이오 센서와 가속도 센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로부터 생성된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500, 도 2 참조)에 입력되고, 이 제어부(500)에 의해서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최종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의 체온, 심박과 같은 신체의 생체 정보는 바이오 센서가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여 둘 수 있으며, 이 생체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을 시작한 직후의 생체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 데이터로 하여 수집/저장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자세 고침, 또는 고개의 떨굼과 같은 행동 패턴은 가속도 센서, 특히 3 차원 가속도 센서가 미리 수집하여 저장하여 둘 수 있다.
가속도 센서도 상기한 바이오 센서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을 시작한 직후의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기준 데이터로 하여 수집/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을 시작한 직후라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시점부터 최대 60 분 이내의 시간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은 모듈화된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로부터, 운전자가 고개를 숙이는 자세나 반복적인 자세 고침으로부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바이오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운전자의 체온이나 심박 등과 같은 생체 정보와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운전자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자세 고침 또는 고개의 떨굼과 같은 행동 패턴은 통합하여 이들 정보가 분석되면서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 및/또는 판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데이터 수신 여부 확인 단계(S200)는, 상기한 바이오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운전 중의 생체 정보 또는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운전자의 운전 중의 행동 패턴 정보가 신호로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S200)에 있어서, 감지 데이터라고 하는 것은 상기한 운전자의 체온이나 심박 등과 같은 생체 정보 신호와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집된 운전자의 반복적인 행동이나 자세 고침 또는 고개의 떨굼과 같은 행동 패턴 정보 신호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의 데이터를 지칭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S200)에서 수신된 감지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S300)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본 단계(S300)는 통상적인 데이터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하이 노이즈(High noise)와 로우 노이즈(Low noise)는 필터링한 다음에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으로 신호를 데이터 처리하면 바람직하다.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은 국제 표준을 따를 수 있으며, 예컨대, XML 양식이나 JSON 양식으로 구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신호 처리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400)에서는, 상기한 단계(S100)에서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상기한 단계(S300)에서 신호 처리된 데이터가 비교될 수 있다.
상기한 단계(S100)에서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도 단계(S300)에서 신호 처리된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국제 표준에 따른 데이터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단계(S400)에서의 데이터 비교 결과로부터, 위험 상태 여부 확인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500)는, 상기한 단계(S100)에서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상기한 단계(S300)에서 신호 처리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상기 단계(S400)의 결과로부터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바이오 센서로부터 수신된 운전자의 운전 중의 생체 정보 신호 또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운전자의 운전 중의 행동 패턴 정보 신호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단계(S500)에서의 판단 결과, 졸음 운전이나 응급 상황과 같은 비상 상황, 또는 전방 주시 소홀 등과 같은 운전자 상태나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간 감지 결과, 운전자가 운전 이외의 상황에 쳐해 있다고 판단되면(단계(S500), 소정의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S600)에서는, 운전자에게 현재의 위험한 상황에 대해서 경고를 발하고, 운전에 집중하도록 소정의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는 진동이나 전기 자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술한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는 디바이스를 통해서 전달되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음악과 같은 소리 신호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은 입력부(100), 감지부(200), 전원부(300), 제어부(400), 출력부 1(500), 및 출력부 2(6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부(100)는, 예컨대, 전원의 온(on)/오프(off)나 후술하는 피드백, 특히 바이오 피드백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력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0)는, 예컨대, 운전자의 상태 감지용 복합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감지부(200)에서는 운전자의 상태, 즉 고개를 숙이는 자세, 및 반복적인 자세 고침과 같은 운전자의 행동 패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행동 패턴 신호는, 예컨대, 3 차원 가속도 센서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200)는, 또한, 운전자의 심박수 및 체온, 특히 체온의 변화와 관련된 생체 정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생체 정보 신호는, 예컨대, 바이오 센서를 통해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센서로는 체온 센서나 심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신체의 생체 정보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센서라면 다른 종류의 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바이오 센서는 인체 밀착성, 착용성, 및 최소화된 동작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 밀착성은 종래 인체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가 외부 환경 변화에 취약하였던 점을 개선하여 인체로부터 즉각적으로 운전자의 졸음 상태 관련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개념이다.
이 인체 밀착성을 위해서는, 인체에 부착되는 패드(pad) 타입이나 손목 시계나 목걸이와 같이 인체에 부착되는 타입이면 바람직하다.
특히, 인체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부착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외이도에 밀착하는 방식으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블루투스 이어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외이도를 조금 벗어나서 인체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는 위치로는 측두 동맥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체 밀착성을 위해서, 헤드폰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경동맥이나 요골 동맥(손목)과 같은 위치에 밀착하여 생체 신호를 취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운전자 상태 감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은 통합된 모듈 방식이 아니라 분리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3 차원 가속도 센서 및 바이오 센서)는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바이오 센서는 본 발명의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의 공간적인 제약을 피하기 위해서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 이외의 별개의 장소에서 운전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감지부(200)는 상기한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한 바이오 센서가 통합되어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복합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00) 및 감지부(200)를 동작시키고, 후술하는 다른 컴포넌트(400, 500, 및 600)의 동작을 위해서 전원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원부(300)는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자동차의 경우 상시 전원이 가능하므로 상시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MCU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부(400)는 상술한 입력부(100) 및, 특히 감지부(200)에서의 3 차원 가속도 센서에 의한 행동 패턴과 바이오 센서에 의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다고 판별되면 출력부 1(500) 및 출력부 2(600)로부터 경고음이나 기타 적절한 바이오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졸음 상태로 빠져들면 심박수는 평소의 심박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체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이들 심박수와 체온의 변화를 통해서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고음은 출력부 1(500)로부터 송출될 수 있다.
해당 경고음 자체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나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된 별도의 스피커(예컨대,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스피커)로부터 발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차량과 접속되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휴대 전화의 앱(App)에 연결되어 출력부 1(5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은,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로부터의 바이오 피드백은 진동 및 전기 자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피드백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4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차량과 접속되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휴대 전화의 앱(App)에 연결되어 출력부 2(600)의 기능을 수행활 수 있다.
진동 및 전기 자극과 같은 바이오 피드백은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출력부 2(600)가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는 상술한 3 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술한 바이오 센서와 함께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있으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출력부 2(600)는 본 발명의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상태 감지 센서 모듈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컴포넌트이므로 출력부 1(500)의 디바이스와 함께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출력부 2(600)의 바이오 피드백을 담당하는 액추에이터까지 해당 디바이스 내에 일체화하여 제작하는 것은 공간상의 제약이 크므로, 운전자 신체의 다른 부위, 예컨대, 손목 시계 형태 또는 목걸이 형태와 같이 별도의 전극을 갖는 신체 부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 및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바이오 센서와 가속도 센서의 기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S200 : 감지 데이터 수신 여부 확인 단계
S300 : 미리 설정된 데이터 형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S400 : 신호 처리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S500 : 위험 상태 여부 확인 단계
S600 : 소정의 액추에이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100 : 입력부
200 : 감지부
300 : 전원부
400 : 제어부
500 : 출력부 1
600 : 출력부 2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운전자의 고개를 숙이는 자세 및 반복적인 자세 고침을 포함하는 행동패턴 정보를 감지하는 3차원 가속도 센서와, 운전자의 심박수 및 체온의 변화를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운전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부착되고, 상기 운전자가 운전을 시작한 직후의 상기 생체정보와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행동패턴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기준데이터를 수집하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센서 모듈; 및
    상기 감지된 행동패턴 정보와 생체정보를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상기 운전자의 행동패턴 정보와 상기 3차원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한 행동패턴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바이오 센서가 감지한 생체정보와 운전을 시작한 직후의 상기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이를 통합하여 상기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별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전자가 졸음 상태로 판별되는 경우, 진동 및 전기 자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이오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3차원 가속도 센서와 상기 바이오 센서와 함께 일체형으로 모듈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178344A 2021-12-14 2021-12-14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KR10264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344A KR102647273B1 (ko) 2021-12-14 2021-12-14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344A KR102647273B1 (ko) 2021-12-14 2021-12-14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392A KR20230090392A (ko) 2023-06-22
KR102647273B1 true KR102647273B1 (ko) 2024-03-14

Family

ID=8698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344A KR102647273B1 (ko) 2021-12-14 2021-12-14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7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893B1 (ko) 2013-02-28 2015-08-24 (주)디나로그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KR20170017616A (ko) * 2015-08-07 201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70036168A (ko) * 2015-09-23 2017-04-03 유정시스템(주) 차량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5566A (ko) * 2015-12-23 2017-07-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졸음방지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392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5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integrating health priority alerts of vehicle occupants
KR101642697B1 (ko) 차량 운전자 생체정보신호 측정 시스템 및 방법
US10864918B2 (en) Vehicle and method for supporting driving safety thereof
US20180240342A1 (e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s using ear pieces
EP3132739B1 (en) Enhancing vehicle system control
WO2017093289A2 (en) Robotic safety using wearables
US20210290102A1 (en) Alertness determination for non-alert detection using ear-worn electronic devices
KR102053794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차량 간 운전자의 주행의도정보 상호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48970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5748050A (zh) 一种车载健康诊断系统
US20100234692A1 (en) System for health management used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170325718A1 (en) Neuropathic Diagnosis and Monitoring Using Earpiec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922337B1 (ko) 고령자를 위한 안전운전 보조방법
CN112204630A (zh) 疲劳驾驶干涉系统及具有其的车辆、疲劳驾驶干涉方法
US20190038230A1 (en) Composi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5253590A (ja) 運転支援装置
KR102647273B1 (ko) 운전자 졸음 상태 감지 시스템
WO2008054460A2 (en) Stay awake
JP2018116426A (ja) ドライバ状態検出装置
US11647925B2 (en) Alertness mode initiation for non-alert detection using ear-worn electronic devices
US20230397891A1 (en) Ear-wearable device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preventing head injuries
US20210304581A1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Alerting a User to Remain Awake
KR101834906B1 (ko) 생체신호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사용자 이상상태 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5470A (ko) 웨어러블 졸음방지장치
CN110148280B (zh) 一种癫痫患者智能看护耳机及其采用的癫痫预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