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29B1 -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29B1
KR102646729B1 KR1020217002933A KR20217002933A KR102646729B1 KR 102646729 B1 KR102646729 B1 KR 102646729B1 KR 1020217002933 A KR1020217002933 A KR 1020217002933A KR 20217002933 A KR20217002933 A KR 20217002933A KR 102646729 B1 KR102646729 B1 KR 10264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movable
information
user
head mou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5093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지. 웨버
제레미 씨. 프랭클린
제이슨 씨. 사우어스
빅토리아 씨. 챈
웨이-지운 린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riority to KR102024700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268A/ko
Publication of KR2021002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2Adjusting pupillary distance of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4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elective to wavelength, e.g. color barcode or barcodes only visible under UV or 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a selected wavelength, e.g. to sense red marks and ignore blue mar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 G02B2027/011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 for genereting colour display comprising devices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위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 내의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은 사용자의 머리 상에서 디바이스를 지지한다.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은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력을 조절하도록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맞춤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안경 처방과 같은 정보는 바코드들, 텍스트, 프로그래밍가능 메모리,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소를 사용하여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이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내의 제어 회로부는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시선 추적기 시스템 또는 다른 센서들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본 출원은, 2019년 2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6/276,286호, 및 2018년 7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12,10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때때로 사용자들에 의해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헤드 장착형(head-mounted) 디바이스들에는 디바이스들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게 하는 헤드 장착형 구조체가 제공된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들은 렌즈를 갖는 광학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디바이스들 내의 디스플레이들이 사용자들에게 시각적 콘텐츠를 제시하게 한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들의 일부 사용자들은 근시, 원시, 난시, 또는 노안과 같은 시각적 결함들을 갖는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내의 광학 시스템이 이들 사용자들에게 만족스럽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시각적 결함들을 갖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 상에 적절히 초점을 맞추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사용자를 위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있다. 디바이스 내의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은 사용자의 머리 상에서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다.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상의 콘텐츠를 아이 박스(eye box)들에 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눈이 아이 박스들 내에 로케이팅될 때 콘텐츠를 볼 수 있다.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은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과 정렬되어 있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기 커플링 구조체들 또는 다른 결합 구조체들은 보완 렌즈 시스템을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의 렌즈 특성을 조정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시력을 조절하도록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맞춤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좌측 및 우측 보완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내의 대응하는 좌측 및 우측 렌즈들과 정렬되고, 난시 렌즈 특성들 및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가 난시 또는 다른 시각적 결함들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다른 특성들을 포함한다.
상이한 사용자들과 연관된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들은 공유된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그의 동작을 맞춤화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의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에는 그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 및 다른 저장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바코드들 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들, 프로그래밍가능 메모리,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소를 사용하여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판독기, 시선 추적 시스템, 또는 다른 센서가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에 저장되는 정보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안경 처방과 같은 사용자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이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에 설치될 때,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내의 제어 회로부는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적절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는 렌즈 포지셔너(lens positioner)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동공간 거리 및 사용자에 대한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 시스템들의 렌즈 간격 및 다른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과 연관된 예시적인 동작들의 흐름도이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들 및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게 하는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을 가질 수 있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디스플레이들)로부터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초점을 맞추고 시각적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하도록 렌즈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광범위한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 상에 명확하게 초점을 맞추고 시각적 콘텐츠를 볼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보완 렌즈들은 렌즈 시스템에 의해 달리 다루어지지 않은 사용자들의 시각적 결함들을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난시가 있는 사용자는 난시를 교정하는 보완 렌즈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가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보기를 원할 때, 보완 렌즈들은 사용자의 난시를 교정하는 것을 돕도록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배열에서, 보완 렌즈들은 디바이스 내의 비-제거가능 렌즈들에 보완 렌즈들을 부착하는 자석들 또는 다른 제거가능 체결구들을 사용하여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제거가능 보완 렌즈에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에 의해 후속적으로 검색되고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능력이 제공될 수 있다. 때때로 보완 렌즈 정보 또는 저장된 정보로 지칭될 수 있는 이러한 정보는 렌즈 굴절력(lens power) 정보 및 보완 렌즈들에 특정되는 다른 정보 및/또는 렌즈들과 연관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명, 안경 처방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와 같은 저장 회로부는 보완 렌즈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보완 렌즈 정보는 다른 방식들로(예컨대, 바코드들, 보완 렌즈 상의 텍스트, 다른 패턴화된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정보 등을 사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동작 동안, 사용자가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내에 보완 렌즈들을 설치한 후에,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보완 렌즈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는 렌즈들 내의 광학 수차들(예를 들어, 구면 수차, 색수차, 핀쿠션 왜곡(pincushion distortion), 배럴 왜곡(barrel distortion) 등)을 교정하는 것을 돕도록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렌즈들의 동공간 거리를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사용자명 등으로 미리 채워져 있는 로그인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보완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렌즈들을 사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8)은 전자 디바이스(1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8)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컴퓨터들, 셀룰러 전화기들,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들, 손목시계 디바이스들,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가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인 구성들이 때때로 본 명세서에서 일례로서 기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은 제어 회로부(12)를 가질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저장소 및 프로세싱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2)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소, 비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예컨대, 정적 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기저대역 프로세서들, 전력 관리 유닛들, 오디오 칩들,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및 다른 집적 회로들에 기초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회로부(12) 내의 저장소에 저장되고 회로부(12) 내의 프로세싱 회로부 상에서 실행되어,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 동작들(예컨대, 데이터 수집 동작들, 3차원 안면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데 수반되는 동작들, 제어 신호들을 사용하여 컴포넌트들의 조정을 수반하는 동작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는 유선 및 무선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2)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 회로부, 예컨대 셀룰러 전화 송수신기 회로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Fi®) 송수신기 회로부, 밀리미터파 송수신기 회로부, 및/또는 다른 무선 통신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동안, 시스템(8) 내의 디바이스들의 통신 회로부(예컨대,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부(12)의 통신 회로부)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는 시스템(8) 내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8) 내의 전자 디바이스들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회로부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예컨대, 인터넷, 근거리 통신망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부는, 데이터가 외부 장비(예를 들어, 테더링된(tethered) 컴퓨터,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랩톱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원격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컴퓨팅 장비와 같은 온라인 컴퓨팅 장비, 또는 다른 전기 장비)로부터 디바이스(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게 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외부 장비에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에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은 또한, 디바이스(10)가 동작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22) 내의 출력 컴포넌트들은 디바이스(10)가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외부 전기 장비와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은 디스플레이(들)(14)와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과 각각 정렬되어 있는 좌측 디스플레이 패널 및 우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들에서, 디스플레이(14)는 양쪽 눈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4)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적 콘텐츠는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4)와 같은 디바이스(10) 내의 디스플레이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들 또는 발광 다이오드들의 어레이들에 기초한 다른 디스플레이들, 액정 디스플레이들, LCoS(liquid-crystal-on-silicon) 디스플레이들, 특수 광학장치(예컨대,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들)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표면 상에 광 빔들을 투사하는 것에 기초한 프로젝터들 또는 디스플레이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들, 전기습윤 디스플레이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스플레이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가상 현실 콘텐츠 및 혼합 현실 콘텐츠와 같은 컴퓨터생성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가상 현실 콘텐츠는 실세계 콘텐츠의 부재 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때때로 증강 현실 콘텐츠로 지칭될 수 있는 혼합 현실 콘텐츠는 실세계 이미지들 상에 오버레이되는 컴퓨터생성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세계 이미지들은 카메라(예컨대, 전방 대면 카메라)에 의해 캡처되고, 오버레이된 컴퓨터생성 콘텐츠와 병합될 수 있거나, 또는 광학 커플링 시스템은 컴퓨터생성 콘텐츠가 실세계 이미지들의 상부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한 쌍의 혼합 현실 안경 또는 다른 증강 현실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는 빔 스플리터, 프리즘, 홀로그래픽 커플러, 또는 다른 광학 커플러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미지들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가 렌즈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들이 일례로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다.
입출력 회로부(22)는 센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16)은, 예를 들어, 3차원 센서들(예컨대, 광의 빔들을 방출하고, 타깃이 광의 빔들에 의해 조명될 때 생성되는 광 스폿들로부터 3차원 이미지들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2차원 디지털 이미지 센서들을 사용하는 구조화된 광 센서들과 같은 3차원 이미지 센서들, 양안 이미징 배열 내의 2개 이상의 카메라들을 사용하여 3차원 이미지들을 수집하는 양안 3차원 이미지 센서들, 3차원 라이다(lidar)(광 검출 및 레인징) 센서들, 3차원 무선 주파수 센서들, 또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다른 센서들), 카메라들(예컨대, 적외선 및/또는 가시 디지털 이미지 센서들), 시선 추적 센서들(예컨대, 이미지 센서에 기초한 시선 추적 시스템, 및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들로부터 반사된 후에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추적되는 광의 하나 이상의 빔들을 방출하는 광원), 터치 센서들, 버튼들, 용량성 근접 센서들, 광-기반(광학) 근접 센서들, 다른 근접 센서들, 힘 센서들, 스위치들에 기초한 접촉 센서들과 같은 센서들, 가스 센서들, 압력 센서들, 수분 센서들, 자기 센서들, 오디오 센서들(마이크로폰들), 주변광 센서들, 음성 커맨드들 및 다른 오디오 입력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로폰들, 모션, 위치, 및/또는 배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들(예컨대, 가속도계들, 자이로스코프들, 나침반들, 및/또는 이들 센서들 전부 또는 이들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관성 측정 유닛들), 및/또는 다른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및 다른 정보는 입출력 디바이스들(22) 내의 센서들 및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집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입출력 디바이스들(22)은 다른 디바이스들(24), 예컨대 햅틱 출력 디바이스들(예컨대, 진동 컴포넌트들), 발광 다이오드들 및 다른 광원들, 오디오 출력을 생성하기 위한 이어 스피커들과 같은 스피커들, 및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회로들, 다른 디바이스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회로들, 배터리들 및 다른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들(예컨대, 커패시터들), 조이스틱들, 버튼들,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도 1의 예시적인 지지 구조체들(2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구조체들(예컨대, 하우징 벽들, 스트랩들 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가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예컨대, 한 쌍의 안경, 고글, 헬멧, 모자 등)인 구성들에서, 지지 구조체들(26)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예컨대, 헬멧 하우징, 헤드 스트랩들, 한 쌍의 안경 내의 템플들, 고글 하우징 구조체들, 및/또는 다른 헤드 장착형 구조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은 디바이스(10)의 동작 동안 사용자의 머리 상에 착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들)(14), 센서들(16), 다른 컴포넌트들(24), 다른 입출력 디바이스들(22), 및 제어 회로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 디바이스(10)가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인 예시적인 구성의 전자 디바이스(10)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컴포넌트들을 하우징하고 디바이스(10)를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지지 구조체들(예컨대, 도 1의 지지 구조체들(2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체들은, 예를 들어, 메인 유닛(26-2)을 위한 하우징 벽들 및 다른 구조체들을 형성하는 구조체들, 및 사용자의 눈이 아이 박스들(60) 내에 로케이팅되도록 메인 유닛(26-2)을 사용자의 안면 상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 구조체들(26-1)과 같은 다른 보완 지지 구조체들 또는 스트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사용자의 좌안(및 좌안 박스(60)) 및 우안(및 우안 박스)에 각각 대응하는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 모듈들(70) 내에 각각 장착되는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 패널들(예컨대, 때때로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들로 지칭되는 좌측 및 우측 픽셀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때때로 렌즈 지지 구조체들 또는 렌즈 하우징들로 지칭될 수 있는 모듈들(70)은, 각각의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58)(예컨대, 스텝퍼 모터들, 압전 액추에이터들, 모터들, 선형 전자기 액추에이터들, 및/또는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다른 전자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대해 그리고 메인 유닛(26-2)의 하우징 벽 구조체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포지셔너들(58)은 디바이스(10)의 동작 동안 제어 회로부(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너들(58)은 사용자의 눈의 동공간 거리(IPD)와 매칭하도록 모듈들(70) 사이의 간격(및 이에 따른 모듈들(70)의 렌즈들 사이의 렌즈-대-렌즈 간격)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사용자의 시력(난시 등)을 조절하기 위해 제거가능 보완 렌즈들을 부착할 수 있는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때때로 영구 렌즈 시스템 또는 고정 렌즈 시스템으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없을 때, 사용자는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한 시각적 결함들(예컨대, 난시)이 있는 사용자들은 비-제거가능 렌즈들에 대한 제거가능 보완 렌즈들의 부착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보완 렌즈들이 비-제거가능 렌즈들과 정렬되어 디바이스(10)에 커플링될 때, 보완 렌즈들 및 비-제거가능 렌즈들은 함께 동작하여, 비-제거가능 렌즈들 및 보완 렌즈들 둘 모두에 의해 결정되는 조합된 광학적 특성들을 갖는 조합된 렌즈 시스템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각의 렌즈 모듈(70)은 비-제거가능 렌즈(7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들(72)은 프레넬 렌즈,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된 단일-요소 또는 다중-요소 렌즈, 거울 렌즈, 반사굴절 렌즈,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렌즈일 수 있다. X 축을 따른 렌즈들(72)의 위치는, 렌즈들(72)이 사용자의 동공간 거리(거리 IPD)와 매칭되는 거리만큼 분리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Z 축을 따른 렌즈들(72)의 위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4) 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돕도록 조정될 수 있다.
렌즈들(72)에 이용가능한 이동의 양은 제한될 수 있고/있거나, 렌즈들(72)은 모든 사용자들에 의해 디스플레이(14) 상의 콘텐츠를 보기 위해 렌즈들(72)이 단독으로 사용되기 어렵게 만드는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난시를 가질 수 있거나, 심하게 근시안이거나 원시안일 수 있다. 이들과 같은 상황에서, 단독으로 사용될 때 렌즈들(72)은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할 수 없을 수 있다. 사용자의 시력이 완전히 교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보완 렌즈들(76)이 렌즈들(72)에 커플링되어 추가의 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난시인 경우, 보완 렌즈들(76)은 사용자의 난시를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와 연관된 다수의 사용자들이 있는 경우,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은 잠재적으로 상이한 각자의 세트의 보완 렌즈들(76)을 가질 수 있다. 렌즈들(76)은 단일 보완 렌즈 모듈에 기초하여 보완 렌즈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될 수 있거나, 멀티 렌즈 모듈 보완 렌즈 시스템을 형성하는 별개의 렌즈 모듈들에 하우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보완 렌즈들(76)은 보완 렌즈 모듈들(74)과 같은 보완 렌즈 모듈들(때때로, 보완 렌즈 지지 구조체들 또는 하우징들로 지칭됨)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 모듈들(74)은, 비-제거가능 렌즈 모듈들(70) 내의 커플링 구조체들(78) 및 커플링 구조체들(78)과 정합하는 대응하는 커플링 구조체들, 예컨대 렌즈 모듈들(74)을 렌즈 모듈들(70)에 커플링하기 위한 제거가능 렌즈 모듈들(74) 내의 커플링 구조체들(80)을 사용함으로써 지지 구조체들(26)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커플링 구조체들(78, 80)은 자기 커플러들(예를 들어, 자석들 및/또는 철봉(iron bar)들과 같은 자기 구조체들), 클립들, 후크-루프 체결구들, 스냅들, 나사들 및 다른 나사식 체결구들, 임시 접착제, 스프링-하중형 결합 구조체들, 및/또는 다른 커플링 메커니즘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0)는 아이 박스들(60) 내의 사용자의 눈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시선 검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시선 검출 시스템은, 일례로서, 광학 눈 모니터링 컴포넌트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10)를 사용하고 있을 때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시선 추적기(86)와 같은 시선 추적기가 각각의 렌즈 모듈(70) 내에 로케이팅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각각의 렌즈 모듈(70) 내의 시선 추적기(86)는 각각의 렌즈(72) 및 각각의 정합(mating) 보완 렌즈(76)를 통해 각각의 아이 박스(60) 내의 사용자의 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시선 추적기들(86)은, 시선 추적기들(86)이 제거가능 렌즈들(76) 및 비-제거가능 렌즈들(72)을 통해 디스플레이(14)의 사용자의 뷰를 차단하지 않도록 렌즈 모듈들(70)의 주변 부분들에 배치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도 2의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예를 들어, 렌즈 모듈들(7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및/또는 제거가능 렌즈들(76) 둘 모두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의 제거가능 렌즈 홀더)에는 저장소(84)와 같은 전자 저장소가 제공될 수 있다. 저장소(84)는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예컨대,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레이저 프로그래밍된 퓨즈들로부터 형성된 메모리, 및/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메모리)일 수 있고, (예컨대, 전도성 경로들의 패턴, 저항기들 및/또는 그들의 연관된 저항 값들의 패턴, 및/또는 디바이스(10)에 의한 전기적 검색을 위해 제거가능 렌즈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회로부의 형태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금속 트레이스들 및/또는 저항 소자들의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의 일부로서(예컨대, 모듈들(74) 및 연관된 제거가능 렌즈들(76) 중 하나 이상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저장소(84)는 렌즈 정보, 사용자 정보,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전기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이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예컨대, 저장소(84)와 같이 렌즈 모듈들(7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커플링될 때, 전기적으로 저장된 정보 판독기(82)는 저장소(84)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정보 판독기(82)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프로그래밍된 판독 전용 메모리 판독기, 레이저 프로그래밍된 저장소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메모리를 판독하는 메모리 판독기, (예컨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전도성 트레이스들 및/또는 저항 소자들의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저장소(84)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회로부, 및/또는 다른 판독기 회로부일 수 있다.
렌즈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다른 정보와 같은 정보가 또한, 비-전기 저장소를 사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예를 들어, 바코드들, 텍스트, 도트들의 패턴들, 및/또는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데이터 판독 동작들은 적외선 카메라 및/또는 가시선 카메라 또는 광학적으로 인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다른 장비(예컨대, 바코드 스캐닝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서, 시선 추적 센서들(86) 내의 적외선 디지털 이미지 센서들 및/또는 가시광 디지털 이미지 센서들과 같이, 제거가능 렌즈를 이미징함으로써 제거가능 렌즈 상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학적 데이터 판독 장비가 바코드들, 텍스트, 및/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인코딩된 정보를 판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선 추적기들(86)(때때로 시선 모니터링 시스템들, 시선 추적 시스템들, 눈 모니터링 시스템들 등으로 지칭됨)은 디바이스(10)의 동작 동안 아이 박스들(60) 내의 사용자의 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시선 추적기들(86)은 광원들, 및 이미지 센서들과 같은 광 검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시선 추적기(86)는, 일례로서, 광 빔들(예컨대, 사용자의 시력을 방해하지 않는 적외선 광 빔들)의 어레이를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광원 또는 레이저 광원과 같은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파장 및/또는 가시 파장에서의 블랭킷(플러드(flood)) 조명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시선 추적기(86)는 또한, 각각의 아이 박스(60) 내의 사용자의 눈을 대면하는 각각의 적외선 이미지 센서(및/또는 가시광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눈이 그러한 시선 추적기의 광원으로부터의 광 빔들로 조명되고 있는 동안 사용자의 눈의 이미지들을 렌즈들(72) 및 렌즈들(76)을 통해 캡처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동안, 제어 회로부(2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들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 등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시선 추적기들(86)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 텍스트 등의 형태로 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저장된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내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요망될 때, 하나 이상의 시선 추적기들(86) 내의 하나 이상의 적외선 이미지 센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들이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예컨대, 하나 이상의 렌즈 모듈(74)로부터)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도 3은 렌즈 모듈에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배열들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제거가능 렌즈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모듈(74)은 렌즈 지지 구조체들(74H)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들(74H)은 중합체, 금속, 및/또는 다른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렌즈 모듈(74)을 형성하기 위해 렌즈(76)를 둘러싸거나 달리 지지할 수 있다. 커플링 구조체들(80)은 지지 구조체들(74H)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서, 커플링 구조체들(80)은 렌즈 모듈(74)을 렌즈 모듈(70)에 유지하고, 커플링 구조체들(80)이 렌즈 모듈(70) 내의 정합 커플링 구조체들(78)에 커플링될 때 구조체들(26)을 지지한다.
렌즈 정보, 사용자 정보, 및 다른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접근법들을 사용하여 제거가능 렌즈 모듈(74)에 저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배열에서, 전기 저장소(84)가 렌즈 모듈(74) 내에 포함된다. 데이터는 전기 저장소(84)에 저장될 수 있다. 제거가능 렌즈 모듈(74)이 비-제거가능 렌즈 모듈(70)에 커플링될 때, 판독기(82)는 전기 저장소(84)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전기 저장소(84)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배열에서, 바코드(92)와 같은 바코드가 렌즈 모듈(74)에 포함될 수 있다. 바코드(92)는, 일례로서, 적외선 광(예컨대, 시선 추적기(86)에서 적외선 광원에 의해 방출된 파장에 있는 적외선 광)에 불투명하면서 가시적으로 투명한 잉크로부터 형성되는 적외선 바코드 또는 가시광에 투명하고 적외선 파장들에서 불투명한 다른 바코드 구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열로, 바코드(92)는 사용자에게 투명할 것이고, 바코드(92)가 렌즈(76) 상에 형성되더라도, 디스플레이(14) 상의 콘텐츠의 사용자의 관찰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시선 추적기(86)는 시선 추적기(86)가 적외선 파장들에서 바코드(92)의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도록 렌즈(76) 쪽으로 향한다.
바코드들, 텍스트 정보, 또는 다른 가시광(및/또는 적외선 광) 마킹들은 레이저 마킹들, 패턴화된 잉크, 패턴화된 금속 코팅들, 및/또는 영역(90)과 같은 영역들에 형성된 다른 마킹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가시광 인코딩된 정보(예컨대, 광학적으로 저장된 정보)는 렌즈 모듈(70) 내의 가시광 이미지 센서 또는 디바이스(10) 내의 다른 곳에 있는 이미지 센서(예컨대, 센서들(16) 내의 가시광 이미지 센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텍스트, 아이콘들, 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들과 같은 가시광 인코딩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한 정보(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또는 사용자명과 같이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는 텍스트,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가능 정보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속하는 렌즈 모듈들이 혼동되지 않도록 렌즈 모듈들(74)을 표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 내의 이미지 센서(예컨대, 시선 추적기(87) 내의 이미지 센서 및/또는 다른 이미지 센서들)는 텍스트, 아이콘들, 또는 사용자에게 또한 인식가능한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상의 다른 패턴화된 구조체들을 광학적으로 판독할 수 있고/있거나, 이미지 센서는 바코드들과 같은 패턴들, 및 사용자 인식가능 텍스트 또는 아이콘들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패턴들을 판독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제거가능 렌즈 모듈(74) 내에 저장되고 있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는 복호화에 적합한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는 암호화 키와 동일할 수 있거나 암호화 키와 관련될 수 있음)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는 (예를 들어, 입출력 디바이스(22)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제어 회로부(12)는 원격 서버(예컨대, 온라인 서비스)로부터 키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패스워드, 사용자명, 또는 다른 정보가, 원하는 경우, 사용자 및/또는 디바이스(10) 내의 저장소로부터 수집될 수 있고, 온라인 서비스로부터 키를 획득할 시에 제어 회로부(1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배열들에서, 키들은 (예컨대, 디바이스(10)가 단일 가정의 구성원들에 의해서만 사용될 때) 렌즈 모듈(74)에 저장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제거가능 렌즈 모듈(74)에 저장된 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이들 예시적인 배열들 및/또는 다른 배열들은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강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8)을 사용하는 것에 수반되는 예시적인 단계들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100)의 동작들 동안, 디바이스(10)를 사용하기를 원하지만 특정 시각적 결함들(난시 등)이 있는 사용자는 그 사용자와 연관되는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을 디바이스(10)에 부착할 수 있다.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의 부착 동안, 렌즈 모듈들(74)과 같은 제거가능 렌즈 지지 구조체들은 렌즈 모듈들(70)과 같은 비-제거가능 렌즈 지지 구조체들과 정렬될 수 있어서, 렌즈들(76)이 대응하는 렌즈들(72)과 정렬되게 한다. 커플링 구조체들(82, 84)은 렌즈 모듈들(74, 72)을 함께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렌즈들(72)과 정렬되어 있는 렌즈들(76)의 존재는, 렌즈들(76)의 광학적 특성들이 렌즈들(72)의 광학적 특성들을 변경하도록(예를 들어, 렌즈 굴절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렌즈 비대칭성을 추가하여 사용자 난시를 보상하도록, 등을 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바이스(10)의 광학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력에 맞춰질 수 있다.
블록(102)의 동작들 동안,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10)의 제어 회로부(12)는 (예를 들어, 시선 추적기들(86), 가시광 이미지 센서, 판독기(82)와 같은 메모리 판독기 등을 사용하여)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판독되는 정보는 바코드, 텍스트, 다른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들(예컨대, 패턴화된 잉크, 패턴화된 금속, 또는 다른 패턴화된 구조체들)을 사용하여, 그리고/또는 전기적 데이터 저장 배열체들을 사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예컨대, 바코드(92), 가시적 정보(90), 및 도 3의 저장소(84) 내의 전기적으로 저장된 정보 참고).
대체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데이터가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경 처방(예컨대, 구면 렌즈 굴절력에 의해 핸들링될 사용자의 처방의 구면 성분, 비구면 렌즈 굴절력에 의해 핸들링될 사용자의 처방의 난시 성분, 및/또는 사용자의 처방의 동공간 거리), 처방일, 처방 만료일, 사용자의 사용자명 및 다른 사용자 크리덴셜들과 같은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과 연관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의 제조일, 제조자명, 일련 번호, 로트 번호, 및 모델명 또는 다른 모델 유형 정보와 같은 제조 정보, 렌즈들(76)에 대한 렌즈 재료들, 렌즈 굴절력들(예컨대, 구면 렌즈 굴절력 및/또는 비구면 렌즈 굴절력) 및/또는 비디오 재생 동안 제어 회로부(12)에 의해 수행된 보상 이미지 랩핑 동작들을 사용하여 추후에 교정될 수 있는 알려져 있는 수차들과 같은 렌즈들(76)의 다른 광학적 특성들,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102)의 동작들 동안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판독한 후에, 제어 회로부(12)는, 원하는 경우, 디바이스(10) 내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조정들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들은 시선 추적기들(86)로부터의 실시간 측정들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2)는 포지셔너들(58)을 사용하여, 시선 추적기들(86)로 측정된 사용자의 동공들의 위치들로부터 결정된 사용자의 동공간 거리의 실시간 측정들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제거가능 렌즈 모듈들(74)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에 대한 저장된 동공간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렌즈-대-렌즈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2)는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들(14) 상의 콘텐츠를 볼 수 있게 하는 데 만족스러운 로케이션에 렌즈들(72) 및 연관된 보완 렌즈들(76)을 배치하도록 도 2의 Z 축을 따라 디바이스(10) 내의 렌즈들의 위치들을 조정할 수 있다. 렌즈들(72, 76)을 이용한 이러한 포커싱 조정들은 사용자의 처방, 렌즈들(76)의 굴절력들, 및 렌즈들(76) 내의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획득된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들(72)이 조정가능한 굴절력을 갖는 배열들에서(예를 들어, 렌즈들(72)이 튜닝가능 렌즈들일 때), 제어 회로부(12)는 사용자의 처방의 구면 성분을 구현하도록 렌즈들(72)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처방의 비대칭 성분은 (일례로서) 보완 렌즈들(76)의 비대칭 부분을 사용하여 핸들링될 수 있다.
렌즈들(76)로부터 형성된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조정들을 행한 후에, 사용자는 디바이스(10)를 사용자의 머리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블록(104)의 동작들 동안, 제어 회로부(12)는 디바이스(10) 내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추가의 조정들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2)는 포지셔너들(58)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 내의 센서들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예컨대, 시선 추적기들(86)을 사용하여 수집된 측정된 동공간 거리에 기초하여) 좌측 및 우측 렌즈들(72)(및 좌측 및 우측 렌즈들(76))의 렌즈-대-렌즈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블록(104)의 동작들 동안, 홍채 스캐너, 지문 센서,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집하는 입출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이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어 회로부(12)가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와의 통신 링크를 확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를 공급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블록(108)). 사용자가 제어 회로부(12)에 의해 인증되지 않은 경우(예컨대, 사용자의 사용자명 및 패스워드 또는 다른 크리덴셜들(생체측정 정보 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제어 회로부(12)는, 블록(110)의 동작들 동안,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것을 방지하고/하거나,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하거나, 다른 적합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블록(106)의 동작들 동안 인증을 실패하는 시나리오들에서, 사용자는 블록(110)에서 인증 프로세스를 오버라이드하도록 허용될 수 있고/있거나, 추가의 인증 기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일부 구성들에서, 렌즈들(76)은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게임 선호도, 사용자 영화 선호도 등)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서, 제어 회로부(12)는, 블록(106)의 동작들 동안 사용자가 인증될 때까지 그리고 적절한 복호화 키(예를 들어,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획득될 때까지 이러한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정보는 제어 회로부(12)에 의해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눈 안경 처방(예컨대, 요구되는 광학적 처방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들(76)에 저장된 정보는 렌즈들(76)의 광학적 처방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사용자를 결정하고 제어 회로부(12)로부터 사용자의 저장된 처방을 검색한 후에, 제어 회로부(12)는 이러한 검색된 사용자 처방 정보를 렌즈들(76)의 처방과 비교하여 만족스러운 매칭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렌즈(76)의 처방이 사용자의 처방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 회로부(12)는 디스플레이(14) 및/또는 다른 출력 회로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가시적 및/또는 가청 경보를 발행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4) 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렌즈들(76) 내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렌즈들(76)이 특정 양의 배럴 왜곡, 핀쿠션 왜곡, 구면 수차, 색 수차 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광학 수차 정보가 포함되는 시나리오들에서, 제어 회로부(12)는, 블록(108)의 재생 동작들 동안,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이러한 왜곡을 보상하는 기하학적 변환 또는 다른 비디오 프로세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수차들이 없거나 거의 없는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일례로서, 렌즈들(76)이 특정 양의 핀쿠션 왜곡을 보이는 경우, 이러한 양의 핀쿠션 왜곡에 대한 정보가 렌즈들(76)에 저장될 수 있다. 재생 동작들 동안, 제어 회로부(12)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낮은 왜곡 및 수차들을 보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4)에 대한 콘텐츠에 보상 (배럴) 이미지 랩핑을 적용하여, 그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콘텐츠 관찰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체적으로, 제어 회로부(12)는 이미지 품질 및 사용자의 관찰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임의의 이미지 프로세싱 교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들은 색수차, 구면 수차 등을 교정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태양은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거가능 보완 렌즈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는, 일부 경우들에 있어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개인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와 연락하거나 그를 로케이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로케이션 기반 데이터, 전화 번호들, 이메일 주소들, 트위터 ID들, 집 주소들,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들(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들, 약물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안경 처방, 사용자명, 패스워드, 생체측정 정보, 동공간 거리, 또는 임의의 다른 식별 또는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의 이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더 큰 관심이 있는 타깃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은 사용자들이 전달된 콘텐츠의 계산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사용자에게 이득을 주는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다른 사용들이 또한 본 개시에 의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건강 및 피트니스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웰니스(wellness)에 대한 식견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웰니스 목표들을 추구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개인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송,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책임지고 있는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대체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사적이고 안전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산업적 또는 행정적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넘어서는 것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구현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러한 정책들은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고,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엔티티의 적법하며 적정한 사용들을 위해 수집되어야 하고, 이들 적법한 사용들을 벗어나서 공유되거나 판매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통지된 동의를 수신한 후에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단계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추가로,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되거나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조정되고,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비롯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컨대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이한 프라이버시 관례들은 각각의 국가의 상이한 개인 데이터 유형들에 대해 유지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는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는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들을 위한 등록 동안 또는 그 이후의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특정 유형의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을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사용자 특정 데이터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동의함"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본 개시는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사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액세스될 애플리케이션("앱(app)")을 다운로드할 시에 통지받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액세스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요소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 및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하는 것을 비롯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식별해제가 사용될 수 있다. 비식별화는, 적절한 때, 특정 식별자들(예컨대, 생년월일 등)을 제거하는 것,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주소 레벨에서가 아니라 도시 레벨에서의 로케이션 데이터를 수집함),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사용자들에 걸쳐서 데이터를 집계함), 및/또는 다른 방법들에 의해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가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의 결여로 인해 동작불가능하게 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콘텐츠를 아이 박스 내에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비-제거가능 렌즈, 및 비-제거가능 렌즈와 아이 박스 사이의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제어 회로부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광 방출기 및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갖는 시선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정보를 저장하는 바코드를 갖고, 바코드는 적외선 파장들에서 불투명하고 가시 파장들에서 투명하며, 이미지 센서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동안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코드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내의 클리어 렌즈 요소(clear lens element) 상에 적외선에 불투명하고 가시광에 투명한(infrared-opaque-and-visible-light-transparent) 잉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안경 처방, 안경 처방 만료일, 사용자명, 제조일자, 제조자, 일련 번호, 제조 로트(lot) 번호, 모델명, 모델 유형, 및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제거가능 보완 렌즈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안경 처방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텍스트를 광학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하고,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회로부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를 포함하고,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정보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렌즈 특성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특성은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렌즈 굴절력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특성은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비구면 렌즈 굴절력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특성은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광학 수차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부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될 때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사용자명, 일련 번호,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광학적 특성들, 및 안경 처방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에 의해 각각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렌즈들을 갖는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우측 및 좌측 렌즈들과 각각 정렬되는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거가능 좌측 및 우측 보완 렌즈들을 갖는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및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을 사용하여 좌측 및 우측 렌즈들과 연관된 렌즈 중심-대-렌즈 중심 간격을 조정하여 동공간 거리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정보를 저장하는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상의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는 시선 추적 시스템 내의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사용자의 안경 처방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사용자의 안경 처방에 기초하여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부,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아이 박스들로부터 보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아이 박스들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을 지지하는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하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비-제거가능 렌즈들과 아이 박스들 사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회로부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이 비-제거가능 렌즈들과 아이 박스들 사이에 있을 때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는 렌즈 포지셔너들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렌즈 포지셔너들을 사용하여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내의 좌측 및 우측 렌즈들과 연관된 렌즈-대-렌즈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광학적 처방을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광학적 처방과 사용자의 처방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는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광학적 왜곡을 특정하는 왜곡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 회로부는 왜곡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보상 교정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시스템으로서,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콘텐츠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상기 콘텐츠를 아이 박스(eye box) 내에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비-제거가능 렌즈;
    상기 비-제거가능 렌즈와 상기 아이 박스 사이의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거가능 보완 렌즈 ―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상기 제어 회로부에 의해 검색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됨 ―; 및
    광 방출기 및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갖는 시선 추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동안 상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바코드를 갖고, 상기 바코드는 적외선 파장들에서 불투명하고 가시 파장들에서 투명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동안 상기 바코드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내의 클리어 렌즈 요소(clear lens element) 상에 적외선에 불투명하고 가시광에 투명한(infrared-opaque-and-visible-light-transparent) 잉크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안경 처방, 안경 처방 만료일, 사용자명, 제조일자, 제조자, 일련 번호, 제조 로트 번호, 모델명, 모델 유형, 및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광학적 특성들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된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안경 처방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상기 텍스트를 광학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상기 회로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는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판독 디바이스는 상기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렌즈 특성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특성은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렌즈 굴절력(lens power)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특성은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비구면 렌즈 굴절력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특성은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와 연관된 광학 수차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가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에 커플링될 때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사용자명, 일련 번호,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의 광학적 특성들, 및 안경 처방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로서,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positioner)들;
    상기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에 의해 각각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렌즈들을 갖는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상기 우측 및 좌측 렌즈들과 각각 정렬되는 상기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에 제거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거가능 좌측 및 우측 보완 렌즈들을 갖는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및
    상기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동공간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을 사용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렌즈들과 연관된 렌즈 중심-대-렌즈 중심 간격을 조정하여 상기 동공간 거리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상의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 및
    상기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패턴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상기 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검색하는 이미지 센서 - 상기 이미지 센서는 시선 추적 시스템 내의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사용자의 안경 처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경 처방에 기초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포지셔너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헤드 장착형 디바이스.
  17. 전자 디바이스로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부;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아이 박스들로부터 보여질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 및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고 상기 아이 박스들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상기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을 지지하는 헤드 장착형 지지 구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상기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과 상기 아이 박스들 사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이 상기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과 상기 아이 박스들 사이에 있을 때 시선 추적 시스템의 적외선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렌즈 포지셔너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렌즈 포지셔너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으로부터 획득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제거가능 렌즈 시스템 내의 좌측 및 우측 렌즈들과 연관된 렌즈-대-렌즈 간격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광학적 처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제거가능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상기 광학적 처방과 사용자의 처방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보완 렌즈 시스템과 연관된 광학적 왜곡을 특정하는 왜곡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왜곡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기 콘텐츠에 보상 교정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217002933A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KR10264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7661A KR20240034268A (ko)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2108P 2018-07-30 2018-07-30
US62/712,108 2018-07-30
US16/276,286 2019-02-14
US16/276,286 US20200033560A1 (en) 2018-07-30 2019-02-14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Supplemental Lenses
PCT/US2019/018891 WO2020027873A1 (en) 2018-07-30 2019-02-21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supplemental lens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661A Division KR20240034268A (ko)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093A KR20210025093A (ko) 2021-03-08
KR102646729B1 true KR102646729B1 (ko) 2024-03-14

Family

ID=691793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933A KR102646729B1 (ko)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KR1020247007661A KR20240034268A (ko)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661A KR20240034268A (ko) 2018-07-30 2019-02-21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033560A1 (ko)
EP (1) EP3830629A1 (ko)
JP (2) JP2021532681A (ko)
KR (2) KR102646729B1 (ko)
CN (1) CN112513715A (ko)
WO (1) WO2020027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0297B1 (en) * 2018-08-30 2022-09-2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entral and peripheral displays
US20210251717A1 (en) * 2020-02-19 2021-08-19 Globus Medical, Inc. Extended reality headset opacity filter for navigated surgery
US11828944B1 (en) * 2020-04-09 2023-11-28 Apple Inc. Head-mounted device with optical module illumination systems
US11892701B2 (en) * 2020-04-17 2024-02-06 Apple Inc. Lens mounting structures for head-mounted devices
US20210325678A1 (en) * 2020-04-20 2021-10-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Optical Modules
US11948043B2 (en) * 2021-06-02 2024-04-02 Apple Inc. Transparent insert identification
EP4321923A1 (en) * 2021-08-05 2024-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gaze of user
US11779204B1 (en) * 2022-04-02 2023-10-10 Mantis Health, Inc. Interchangeable lens mechanism for a head-wor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lens mechanism
CN114859561B (zh) * 2022-07-11 2022-10-28 泽景(西安)汽车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可穿戴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EP4350487A1 (en) * 2022-08-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077694A1 (en) * 2022-09-02 2024-03-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Removable Light Seals
US20240103618A1 (en) * 2022-09-23 2024-03-28 Apple Inc. Corrected Gaze Direction and Orig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1435A1 (en) * 2015-07-31 2017-02-02 Google Inc. Unique Reflective Lenses to Auto-Calibrate a Wearable Eye Tracking System
JP2018501498A (ja) * 2014-09-30 2018-01-1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眼追跡によるリアルタイムレンズ収差補正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598A (ja) * 1992-12-25 1994-07-15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3527264B2 (ja) * 1993-08-06 2004-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赤外線吸収材料
JPH0882762A (ja) * 1994-07-15 1996-03-26 Sega Enterp Ltd 頭部搭載型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表示システム
US6879443B2 (en) * 2003-04-25 2005-04-12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Binocular viewing system
US8696113B2 (en) * 2005-10-07 2014-04-15 Percept Technologies Inc.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FR2906899B1 (fr) * 2006-10-05 2009-01-16 Essilor Int Dispositif d'affichage pour la visualisation stereoscopique.
JP5248980B2 (ja) * 2008-10-27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1386B2 (ja) * 2010-06-23 2015-01-14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眼鏡型表示装置
CN103959134B (zh) * 2011-11-24 2017-05-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头戴式显示器装置
AU2013370897B2 (en) * 2012-12-31 2017-03-30 Gente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itting head mounted vision augmentation systems
JP6264734B2 (ja) * 2013-03-13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EP2989502A1 (en) * 2013-04-25 2016-03-02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d mounted electro-optical device adapted to a wearer
EP3057089A4 (en) * 2014-01-20 2017-05-17 Sony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image output device and image output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EP3259632A4 (en) * 2015-02-17 2018-02-28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EP3062142B1 (en) * 2015-02-26 2018-10-03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for a near-eye display
US20160334643A1 (en) * 2015-05-15 2016-11-17 Elwha Llc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lens systems and methods
CN204964878U (zh) * 2015-08-12 2016-01-13 毛颖 一种可消除色差的头戴式显示装置
JP2017117455A (ja) * 2015-12-17 2017-06-29 株式会社テララコード研究所 光学コード、光学コードの作成方法、光学コードの読取方法、及びバーコードの読取装置
US10496882B2 (en) * 2016-08-22 2019-12-03 Lenovo (Singapore) Pte. Ltd. Coded ocular lens for identification
EP3296792A1 (en) * 2016-09-19 2018-03-21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managing the display of an image to a user of an optica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1498A (ja) * 2014-09-30 2018-01-18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眼追跡によるリアルタイムレンズ収差補正
US20170031435A1 (en) * 2015-07-31 2017-02-02 Google Inc. Unique Reflective Lenses to Auto-Calibrate a Wearable Eye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873A1 (en) 2020-02-06
JP2023081882A (ja) 2023-06-13
CN112513715A (zh) 2021-03-16
EP3830629A1 (en) 2021-06-09
KR20210025093A (ko) 2021-03-08
KR20240034268A (ko) 2024-03-13
JP2021532681A (ja) 2021-11-25
US20200033560A1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729B1 (ko) 보완 렌즈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시스템
EP3857296B1 (en)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
US11126004B2 (en) Head-mounted electronic display device with lens position sensing
US8638498B2 (en) Eyebox adjustment for interpupillary distance
US8810600B2 (en) Wearable display device calibration
CN113316735B (zh) 具有虚拟图像距离调节和矫正透镜的显示系统
US11150474B2 (en) Adjustable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facial mapping
US20200400948A1 (en) Display And Vision Correction System With Removable Lens
US2020008125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Attached to a Lens Element
CN209821509U (zh) 头戴式系统
US11960093B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s with gaze tracker alignment monitoring
CN209842236U (zh) 系统、头戴式设备和电子设备
US20230314820A1 (en) Head-Mounted Electronic Display Device With Lens Position Sensing
CN209821501U (zh) 电子设备、系统和头戴式设备
US2023041801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Lens Position Sensing
WO202400663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lens position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