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696B1 -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696B1
KR102646696B1 KR1020210075669A KR20210075669A KR102646696B1 KR 102646696 B1 KR102646696 B1 KR 102646696B1 KR 1020210075669 A KR1020210075669 A KR 1020210075669A KR 20210075669 A KR20210075669 A KR 20210075669A KR 102646696 B1 KR102646696 B1 KR 10264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air
container
scent
inj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660A (ko
Inventor
심을섭
Original Assignee
심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을섭 filed Critical 심을섭
Priority to KR102021007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5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용기 안에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안에서 기화된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외부로 발산시키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실장공간을 상부와 하부 실장공간으로 구획하는 도킹블록과, 케이스 내부의 상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도킹블록에 공급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에어펌프와, 에어펌프 각각에 대응되도록 케이스 내부의 하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도킹블록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내부에서 기화된 휘발성 향료를 용기 밖으로 배출하는 둘 이상의 향료저장용기와, 케이스의 상부 커버에 설치되며 도킹블록의 배기채널의 출구 측과 향 배출유도관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향 배출노즐 및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Air-injected multi-scented dispenser}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안에서 기화된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외부로 발산시키는 향기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종류의 향기를 지정된 순서로 발향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향기만을 선택적으로 발향시킬 수 있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쾌적한 실내의 분위기 조성 또는 유지를 위해 정해진 주기로 실내에 용액, 예컨대 방향제나 항균 탈취제를 분사하는 용액 분사기가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액 분사 방식은 가스 주입 분사 방식, 고체형 상온 휘발 방식, 액체형 가열 휘발 방식, 액체형 가압 분사 방식 등 크게 4 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에서 가스 주입 분사 방식은 용액을 가스와 함께 스틸이나 알루미늄 용기에 담아 가스의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와 용액이 동시에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온도가 50℃ 이상이면 용기가 폭발할 위험이 있고 분사 시 분사된 물방울 형태의 용액이 인체나 실내 장식 등에 직접 접촉하여 오히려 불쾌감을 주거나 실내 장식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고체형 상온 휘발 방식은 고체화된 향료 또는 겔 상태의 향료를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공기에 접촉시켜 휘발시키는 방식이므로, 고온에서 향료가 급속히 소모되는 문제가 있고, 액체형 가열 방식은 액상의 향료를 용기에 담고 심지를 꽂아 놓은 형태로 용기 외부로 돌출된 심지에 열을 가해 향을 발산시키는 방식으로 향이 발산되는 방향과 양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액체형 가압 분사 방식은 용액, 예컨대 액상의 향료가 충진된 용기를 공기 등으로 가압하여 액상의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분사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스 주입 분사 방식에 비해 안전하고, 고체형 상온 휘발 방식에 비해 향료 소모가 적을뿐더러, 액상의 향료가 분사되는 방향과 양을 컨트롤하기 쉬운 장점이 있어 가장 보편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액체형 가압 분사 방식 역시 분사된 용액이 사물 등에 직접 닿는 경우로 인해 사물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고, 한번의 분사로 많은 양의 용액이 강한 압력으로 멀리까지 분사됨으로써, 주변의 원치 않는 사람에게까지 그 사람의 취향이나 기호에 맞지 않는 향기가 전달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 사람이 거부감을 일으키는 등 오히려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89049호(공개일 2001.09.29.)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4002호(공개일 2013.11.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안에서 기화된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화방식으로, 주변 사물의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액적 분사 방식과는 달리 향기가 멀리 퍼지지 않고 장치 주변에만 은은하게 퍼져 원치 않는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향기를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발산시키거나,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맞춰 향기를 바꾸어가며 발산시킬 수 있어 기능성 및 사용자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실장공간을 상부와 하부 실장공간으로 구획하는 도킹블록;
케이스 내부의 상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도킹블록에 공급하는 에어펌프;
케이스 내부의 하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도킹블록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내부에서 기화된 휘발성 향료를 용기 밖으로 배출하는 향료저장용기;
케이스의 상부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도킹블록의 배기채널의 출구 측과 향 배출유도관으로 연결되는 향 배출노즐; 및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저장용기 및 향 배출노즐이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구성되고, 에어펌프는 둘 이상 복수의 향료저장용기 각각에 하나씩 매칭되어 매칭된 향료저장용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도킹블록에는 에어펌프 및 향료저장용기에 대응되는 개수로 흡기채널과 배기채널이 각각 형성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펌프의 압축공기 배출부가 대응되는 향료저장용기의 압축공기 유입통로와 도킹블록의 상기 흡기채널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되며, 상기 향료저장용기의 향 배출통로는 대응되는 향 배출유도관과 도킹블록의 상기 배기채널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기채널과 압축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에어펌프에서 향료저장용기로 압축공기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되고, 향료저장용기 내에서 기화된 향료가 상기 에어펌프가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떠밀려 배기채널과 향 배출유도관을 통해 향 배출노즐로 이송되고 상기 향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실장공간에는 둘 이상의 펌프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카트리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실장공간에는 둘 이상의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카트리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카트리지의 펌프 수용부 각각에 에어펌프가 하나씩 실장되며, 상기 하부 카트리지의 용기 수용부 각각에 향료저장용기가 하나씩 실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카트리지 또는 케이스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하부 커버에 상기 향료저장용기 장착 또는 교체를 위해 형성되는 개구에는 용기 밀착캡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밀착캡에는 향료저장용기가 상기 도킹블록에 밀착되도록 상기 향료저장용기의 저면으로부터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향료저장용기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휘발성 향료를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에 상기 압축공기 유입통로와 향 배출통로가 하나씩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압축공기 유입통로에는 압축공기가 에어펌프에서 향료저장용기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1 역류방지구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의 향 배출통로에는 기화된 향료가 압축공기와 함께 향료저장용기에서 향 배출유도관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2 역류방지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공기가 상기 제1 역류방지구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 변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기가 상기 향 배출유도관 중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배출통로의 출구를 시작점과 끝점으로 하는 폐곡선(Closed curve) 형태의 향 배출트랙이 상기 덮개부 상면에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배출노즐 각각의 주변에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터치센서가 하나씩 실장되며, 실장된 터치센서 중 특정 터치센서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터치가 감지된 해당 터치센서와 매칭되는 에어펌프에 동작 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전용 케이블을 통해 통신모듈이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 사용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통신모둘과 휴대용 단말 간 블루투스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장치 사용자 유무를 판단하고, 블루투스 연결이 없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향 선택정보를 해당 휴대용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인식하고, 동일 휴대용 단말이 이후 블루투스로 다시 연결되면, 사전에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작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의하면, 에어펌프가 발생시킨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안에서 기화된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화방식이므로, 종래 액적 형태로 향료를 분사하는 액체형 가압 분사 방식과는 달리 주변 사물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기화된 향료를 공기로 밀어내 소량씩 장치 외부로 뿜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향기가 멀리 퍼지지 않고 장치 주변에만 은은하게 퍼져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향기를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발산시키거나,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맞춰 향기를 바꾸어가며 발산시킬 수 있어 기능성 및 사용자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종의 향기 발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절단면도.
도 6은 향료저장용기의 사시도.
도 7은 향료저장용기의 절단면도.
도 8은 향료저장용기의 덮개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종의 향기 발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 도시한 개념도로서, 에어펌프, 향료저장용기, 소음기 및 향 배출노츨이 3개씩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종의 향기 발산 장치(1)는 적어도 둘 이상의 향료저장용기(40-1 ~ 40-3) 및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 하나씩 매칭되는 둘 이상의 에어펌프(30-1 ~ 30-3)를 포함한다.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 사이에서 에어펌프(30-1 ~ 30-3)가 발생시킨 압축공기가 상기 향료저장용기(40-1 ~ 40-3)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 사이를 유체가 유동될 수 있게 연결하는 도킹블록(20)을 구비한다.
에어펌프(30-1 ~ 30-3)는 제어부(70)의 통제로 동작된다. 제어부(70)의 통제로 상기 에어펌프(30-1 ~ 30-3)가 동작되면, 해당 에어펌프(30-1 ~ 30-3)와 상기 도킹블록(20)을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된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 압축공기가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향료저장용기(40-1 ~ 40-3)는 내부에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휘발성 향료(P)가 일정 높이로 채워져 있고, 액면 또는 고체면 상부의 기화공간(C)에는 기화된 향료로 채워진다.
도킹블록(20)에는 도면(도 1)의 예시와 같이, 에어펌프(30-1 ~ 30-3) 및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 대응되는 개수로 흡기채널(22-1 ~ 22-3)과 배기채널(23-1 ~ 23-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에어펌프(30-1 ~ 30-3) 각각에 형성되는 압축공기 배출부(32)가 대응되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의 압축공기 유입통로(45)와 상기 흡기채널(22-1 ~ 22-3)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되며, 향료저장용기(40-1 ~ 40-3) 각각에 형성되는 향 배출통로(46)가 대응되는 향 배출유도관(50-1 ~ 50-3)과 상기 배기채널(23-1 ~ 23-3)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특정 에어펌프(30-1 ~ 30-3)가 동작되어 해당 에어펌프(30-1 ~ 30-3)와 상기 도킹블록(20)을 통해 기구적으로 연결된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 압축공기가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되면, 기화공간(C)에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향료(향료저장용기 내에서 기화된 향료)가 압축공기에 떠밀려 향 배출통로(46)를 통해 향료저장용기(40-1 ~ 40-3) 밖으로 강제 배기되고, 향 배출유도관(50-1 ~ 50-3) 및 향 배출노즐(60-1 ~ 60-3)을 거쳐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둘 이상 복수의 향료저장용기(40-1 ~ 40-3) 각각에 저장된 향료(P)는 서로 다른 향을 발산하는 이종의 향료일 수 있다. 그리고 향료저장용기(40-1 ~ 40-3) 각각에 하나씩 매칭되는 둘 이상 복수의 에어펌프(30-1 ~ 30-3)는 사용자 설정에 기반한 제어부(70)의 통제에 따라 특정 에어펌프(30-1 ~ 30-3)만 구동되거나, 둘 이상 복수의 에어펌프(30-1 ~ 30-3)가 사전에 설정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와 같이 향료저장용기(40-1 ~ 40-3)가 3개이며, 3개의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 아로마 향(40-1번 용기), 대나무 향(40-2번 용기), 민트 향(40-2번 용기) 향료가 각기 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입력버튼(예컨대, 후술하는 터치센서(80-1 ~ 80-3)을 통해 사용자가 아로마 향(40-1번 용기)을 선택하면, 제어부(70)는 해당 용기(40-1)와 연결된 에어펌프(30-1)만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정해진 주기로 아로마 향만 은은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아로마 향(40-1번 용기)과 대나무 향(40-2번 용기)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부(70)는 해당 용기(40-1, 40-2) 각각에 연결된 에어펌프(30-1 ~ 30-2)를 정해진 주기에 따라 교대로 구동시켜 아로마 향과 대나무 향이 교대로 발산되도록 하며, 세가지 향을 모두 선택한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세 개의 에어펌프(30-1 ~ 30-3)를 정해진 주기로 번갈아 가면서 구동시켜 향이 번갈아 가면서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향료저장용기(40-1 ~ 40-3) 각각에 형성되는 향 배출통로(46)는 도킹블록(20)에 형성되는 배기채널(23-1 ~ 23-3)을 통해 대응되는 향 배출유도관(50-1 ~ 50-3)과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채널(23-1 ~ 23-3)과 접속되는 부분 반대편의 행 배출유도관(50-1 ~ 50-3) 각각의 단부에는, 압축공기에 밀려 용기 밖으로 배출되는 기화된 향료를 최종적으로 외부에 배출시키는 상기 향 배출노즐(60-1 ~ 60-3)이 연결된다.
향 배출노즐(60-1 ~ 60-3)은 속이 빈 단순 파이프 형 구조이거나, 관경이 배출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구성의 일반 노즐형 구조 또는 출구 측에 벤츄리를 갖는 벤츄리 노즐 형태 등을 비롯해, 기화된 향료(이하, '향기'라 함)를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구멍을 가진 구성이라면 특정 형상이나 구조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 가능하며, 향 배출유도관(50-1 ~ 50-3)은 그 중간에 소음기(52-1 ~ 52-3)를 구비할 수 있다.
소음기(52-1 ~ 52-3)는 좁은 통로를 따라 이동된 유체(향기+압축공기)가 향 배출노즐(60-1 ~ 60-3)을 통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될 경우, 배출 순간 급격한 압력변동과 그에 따른 팽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향 배출유도관(50-1 ~ 50-3) 중간에 설치되어 에어펌프(30-1 ~ 30-3) 구동 시 압축공기의 압력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기능한다.
소음기(52-1 ~ 52-3)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중간 격판(520)을 통해 소음기(52-1 ~ 52-3) 내부 공간이 유체(향기+압축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전실(522)과 후방에 위치하는 후실(524)로 구획되고, 전실(522)과 후실(524) 각각에 유입관(523)과 배출관(525)이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연통관(521)이 상기 중간 격판(520)을 관통해 상기 전실(522)과 후실(524)을 연결하도록 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전실(522)에 위치한 유입관(523)과 연통관(521), 그리고 후실(524)에 위치한 유입관(523) 연통관(521)이 정면에서 봤을 때 서로 평행하고 옆에서 봤을 때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여 소음기(52-1 ~ 52-3) 내부의 유체 유동 경로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하면, 소음 저감 효과와 더불어, 향 발산 압력을 낮추는 효과가 발휘되어 장치 주변에만 향을 은은하게 퍼트릴 수 있다.
전술한 둘 이상 복수의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 복수의 소음기(52-1 ~ 52-3) 및 제어부(70)는 케이스(10) 하나에 실장되어 전체가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외면부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버튼이 구비된다. 입력버튼은 사용자 터치로부터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센서 방식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알려진 푸시타입 버튼도 무방하다.
사용자 터치로부터 입력을 인식하는 방식일 경우 터치센서(80-1 ~ 80-3)는 일례로, 도면(도 1)의 예시와 같이 향 배출노즐(60-1 ~ 60-3) 주변 상부 커버(11)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나씩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장된 터치센서(80-1 ~ 80-3)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의 특정 터치센서를 터치하면, 제어부(70)는 터치가 감지된 해당 터치센서와 매칭되는 에어펌프(30-1 ~ 30-3)에 동작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로마 향(40-1번 용기) 발산에 관여하는 터치센서(80-1)를 사용자가 터치해 스위치를 턴 온 시키면, 제어부(70)가 해당 해당 터치센서(80-1)와 매칭되는 에어펌프(30-1)에 전류를 인가하여 동작시키고, 아로마 향(40-1번 용기) 스위치가 턴 온 된 상태에서 대나무 향(40-2번 용기) 스위치(터치센서(80-2))까지 턴 온 되면, 제어부(70)는 정해진 주기로 두 개의 에어펌프(30-1, 30-2)에 전류를 교대로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1)에 적용되는 상기 제어부(70)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9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모듈은 제어부(70)를 구성하는 제어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형 부품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별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90)는 일례로 컴퓨터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모듈은 전용 케이블(부호 생략)을 통해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료 잔량 정보를 비롯해 장치에 관한 모든 정보를 컴퓨터에 제공하거나, 컴퓨터로부터 작동에 관한 정보(향기 발산 순서, 동작 주기,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향 선택 등)를 입력 받아 이를 바탕으로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90)로 컴퓨터와 연결된 경우 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장치가 동작하면, 사용자가 없음에도 불필요하게 장치가 구동되어 향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컴퓨터와 연결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 사용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이 제어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90)는 다른 예로서 휴대 가능한 휴대용 단말,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션을 통해 원하는 향을 선택하거나, 요일별, 시간대별 작동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90)가 휴대용 단말인 경우에도 역시, 통신모둘과 휴대용 단말 간 블루투스 연결 여부를 통해 장치 사용자 유무를 제어부(70)가 판단하고, 블루투스 연결이 없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불필요하게 향료가 소모되지 않도록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부(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70)에는 또한, 휴대용 단말이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 연결 상태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향 선택정보를 해당 휴대용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인식하고, 동일 휴대용 단말이 이후 블루투스로 다시 연결되면, 사전에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 블루투스 연결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를 통해 여러 종류의 향 중 아로마 향을 선택 했다면, 해당 휴대용 단말이 블루투스로 다시 연결된 경우 제어부(70)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어 있던 직전 설정 정보(향 선택 정보)를 불러들여 아로마 향 분사에 관여하는 에어펌프(3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되, 에어펌프, 향료저장용기, 소음기 및 향 배출노츨이 3개씩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의 절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1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도킹블록(2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이 상부 실장공간(S1)과 하부 실장공간(S2)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구획된 케이스(10) 내부 실장공간 중 상부 실장공간(S1)에는 3개의 에어펌프(30-1 ~ 30-3)가 내설되며, 하부 실장공간(S2)에는 상기 에어펌프(30-1 ~ 30-3)에 하나씩 매칭되도록 3개의 향료저장용기(40-1 ~ 40-3)가 내설된다.
에어펌프들(30-1 ~ 30-3)은 케이스(10) 내부의 상부 실장공간(S1)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20)과 결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도킹블록(20)에 공급한다. 그리고 향료저장용기(40-1 ~ 40-3)들은 에어펌프(30-1 ~ 30-3) 각각에 대응되도록 하부 실장공간(S2)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20)과 결합되며, 도킹블록(20)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내부에서 기화된 휘발성 향료를 용기 밖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11)에는 3개의 향 배출노즐(60-1 ~ 60-3)이 서로 간 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향 배출노즐(60-1 ~ 60-3) 각각은 도킹블록(20)에 형성되는 3개의 배기채널(23-1 ~ 23-3)의 출구 측에 향 배출유도관(50-1 ~ 50-3)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향 배출유도관(50-1 ~ 50-3) 중간에는 에어펌프(30-1 ~ 30-3) 구동 시 압축공기의 압력변동에 따른 소음 저감을 위해 전술한 소음기(52-1 ~ 52-3)가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향 배출유도관(50-1 ~ 50-3)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기(52-1 ~ 52-3)가 향 배출유도관(50-1 ~ 50-3) 역할을 겸하게 된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70)는 케이스(10) 내부의 적소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상기 상부 실장공간(S1)의 에어펌프(30-1 ~ 30-3) 상부 공간에 제어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기판(72) 및 기판(72)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 그리고 통신모듈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를 구성하는 기판(72)에는 필요에 따라 수평센서(74, 도 1 참조)가 실장될 수도 있다. 수평센서(74)는 장치가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며, 제어부(70)는 수평센서(74)로부터 관련 정보(장치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졌는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에어펌프(30-1 ~ 30-3)에 작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킹블록(20)에는 앞선 도 1 및 도 3, 도 4와 같이 흡기채널(22-1 ~ 22-3)과 배기채널(23-1 ~ 23-3)이 세 개씩 형성된다. 이때 에어펌프(30-1 ~ 30-3)의 압축공기 배출부(32)와 대응되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의 압축공기 유입통로(45)가 도킹블록(20)의 상기 흡기채널(22-1 ~ 22-3)들을 통해 서로 기밀하게 접속되고, 향료저장용기(40-1 ~ 40-3)의 향 배출통로(46)와 대응되는 향 배출유도관(50-1 ~ 50-3)이 도킹블록(20)의 상기 배기채널(23-1 ~ 23-3)들을 통해 서로 기밀하게 접속될 수 있다.
에어펌프(30-1 ~ 30-3) 각각은 제어부(70) 통제에 따라 개별 또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작되거나, 임의 순서로 동작될 수 있다(랜덤 모드인 경우). 에어펌프(30-1 ~ 30-3) 동작으로 흡기채널(22-1 ~ 22-3)과 압축공기 유입통로(45)를 통해 에어펌프(30-1 ~ 30-3)에서 각각에 대응되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향료저장용기(40-1 ~ 40-3) 내 향기(기화된 향료)가 에어펌프(30-1 ~ 30-3)가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떠밀려 용기 밖으로 배출된다.
향료저장용기(40-1 ~ 40-3) 내 향기는 구체적으로, 에어펌프(30-1 ~ 30-3)가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떠밀려 향 배출통로(46) - 배기채널(23-1 ~ 23-3) - 향 배출유도관(50-1 ~ 50-3)(또는 향 배출유도관(50-1 ~ 50-3)과 소음기(52-1 ~ 52-3))를 차례로 경유하여 향 배출노즐(60-1 ~ 60-3)을 외웁에 기체 상태로 발산됨으로써, 주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장치 주변에만 은은하게 향기를 퍼트린다.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들은 전용 카트리지(24, 26)를 통해 상부와 하부 실장공간(S2)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에어펌프(30-1 ~ 30-3)들은 이에 대응되는 개수로 펌프 수용부(240-1 ~ 240-3)를 갖는 상부 카트리지(24)를 통해 상부 실장공간(S1)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향료저장용기(40-1 ~ 40-3)들 역시 이에 대응되는 개수로 용기 수용부(260-1 ~ 260-3)가 형성된 하부 카트리지(26)를 통해 하부 실장공간(S2)에 안정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상부 카트리지(24)와 하부 카트리지(26)는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들끼리 서로 간 간섭이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을 분리시켜 수용하는 역할을 주요하게 수행한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에어펌프(30-1 ~ 30-3)와 향료저장용기(40-1 ~ 40-3)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에어펌프(30-1 ~ 30-3)의 진동을 흡수/저감시켜 장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방진재로써도 기능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상부 카트리지(24)와 하부 카트리지(26)는, 자체적으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체 탄성을 갖는 소재로는 러버나 발포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 우레탄 등 다양한 탄성소재도 가능하다.
상부 카트리지(24)의 펌프 수용부(240-1 ~ 240-3) 각각에 에어펌프(30-1 ~ 30-3)가 하나씩 실장되며, 하부 카트리지(26)의 용기 수용부(260-1 ~ 260-3) 각각에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가 하나씩 실장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카트리지(24)는 도면(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두 개의 단위 카트리지(24-1, 24-2)로 분리 구성되어, 에어펌프(30-1 ~ 30-3)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그 내측의 에어펌프(30-1 ~ 30-3) 수용부에 에어펌프(30-1 ~ 30-3)를 하나씩 수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부 카트리지(24) 중 하측 단위 카트리지(24-2)와 하부 카트리지(26), 그리고 도킹블록(20) 각각이 개별 부품으로 형성된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카트리지(24) 중 하측 단위 카트리지(24-2)와 하부 카트리지(26), 그리고 도킹블록(20)은 하나의 단일 객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하부 카트리지(26) 또는 케이스(10)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하부 커버(12)에는, 상기 향료저장용기(40-1 ~ 40-3) 장착 또는 교체를 위한 개구(13-1 ~ 13-3)가 상기 용기 수용부(260-1 ~ 260-3)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13-1 ~ 13-3) 각각에는 용기 밀착캡(14-1 ~ 14-3)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밀착캡(14-1 ~ 14-3)에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가 상기 도킹블록(20)에 밀착되도록 상기 향료저장용기(40-1 ~ 40-3)의 저면으로부터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16)이 부착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0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 카트리지(26), 도킹블록(20), 상부 카트리지(24-1, 24-2)를 상호 결속시키는 막대형 결속부재를 가리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적용되는 향료저장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향료저장용기의 절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적용되는 향료저장용기(40-1 ~ 40-3) 각각은 크게, 용기부(42)와 덮개부(44)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42)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휘발성 향료(P)를 일정 높이로 수용하여 향료(P)의 액면 또는 고체면 상부에 기화공간(C)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부호 생략)가 형성된 구성일 수 있으며, 덮개부(44)는 상기 용기부(42)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덮개부(44)에는 에어펌프(30-1 ~ 30-3)가 발생시킨 압축공기가 도입되는 압축공기 유입통로(45)와 용기부(42) 내부로 도입된 압축공기에 밀려 용기부(42) 밖으로 향이 배출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향 배출통로(46)가 하나씩 형성된다. 이때 압축공기 유입통로(45)는 덮개부(44)의 정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향 배출통로(46)는 덮개부(44) 정중앙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44)의 상면에는 바람직하게, 향 배출통로(46)의 출구(덮개부 상면으로 노출되는 부분)를 시작점과 끝점으로 하는 폐곡선(Closed curve) 형태, 바람직하게는 도면(도 6)의 예시와 같이 원형의 링 모양으로 향 배출트랙(460)이 상기 음각 성형될 수 있다.
이처럼 덮개부(44)의 상면에 향 배출트랙(460)이 향 배출통로(46)와 연결되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되면, 향료저장용기(40-1 ~ 40-3)를 케이스(10)에 삽입할 때, 향 배출통로(46)의 출구 측을 배기채널(23-1 ~ 23-3) 입구 측과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용기의 방향성(회전 방향 위치)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향료저장용기(40-1 ~ 40-3)를 케이스(10)에 삽입했을 때 상기 압축공기 유입통로(45)의 입구 측이 전술한 흡기채널(22-1 ~ 22-3)의 출구 측과 기밀하게 접속되고, 향 배출통로(46)의 출구 측은 배기채널(23-1 ~ 23-3)의 입구 측과 기밀하게 접속된다(도 1 참조).
덮개부(44)의 상기 압축공기 유입통로(45) 및 향 배출통로(46) 중간에는 체크밸브로써 기능하는 역류방지구(48, 49)가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구(48, 49)는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유입통로(45)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구(48)와, 향 배출통로(46)에 설치되는 제2 역류방지구(49)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역류방지구(48)는 압축공기 유입통로(45)에 설치되어 압축공기가 에어펌프(30-1 ~ 30-3)에서 향료저장용기(40-1 ~ 40-3)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로써 기능하며, 제2 역류방지구(49)는 상기 향 배출통로(46)에 설치되어 향기가 압축공기와 함께 향료저장용기(40-1 ~ 40-3)에서 향 배출유도관(50-1 ~ 50-3)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밸브로써 기능한다.
제1, 제2 역류방지구(48, 49)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가 사용자 실수나 외부 충격 등에 기울어지거나 쓸어졌을 때, 항료저장용기(40-1 ~ 40-3)에 충진된 휘발성 향료(P)가 원치 않게 용기 밖으로 누액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액된 향료로 인한 주변 오염이나 누전 등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제1, 제2 역류방지구(48, 49)는 스프링과 볼로 구성된 일반적인 체크밸브 형태이거나, 도 8과 같이 제1 역류방지구(48)와 제2 역류방지구(49)가 하나의 단일 객체 형태로 구성되되, 제1 역류방지구(48)는 아래로 볼록한 돔(Dome) 모양으로 형성되어 만곡부에 +자형 절개부(480)를 갖는 탄성 절개막 형태로 구성되고, 제2 역류방지구(49)는 제1 역류방지구와 구성은 동일하고 방향만 반대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에 의하면, 에어펌프가 발생시킨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용기 안에서 기화된 향료를 용기로부터 밀어내 외부로 발산시키는 기화방식의 발향 매커니즘을 갖는다. 이러한 기화방식은 종래 액적 형태로 향료를 분사하는 액체형 가압 분사 방식과는 달리 주변 사물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기화된 향료를 공기로 밀어내 소량씩 장치 외부로 뿜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향기가 멀리 퍼지지 않고 장치 주변에만 은은하게 퍼져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향기를 선택하여 선택적으로 발산시키거나, 사전에 정해진 순서에 맞춰 향기를 바꾸어가며 발산시킬 수 있어 기능성 및 사용자 감성도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0 : 케이스 11 : 상부 커버
12 : 하부 커버 13-1 ~ 13-3 : 개구
14-1 ~ 14-3 : 용기 밀착캡 16 : 스프링
20 : 도킹블록 22-1 ~ 22-3 : 흡기채널
23-1 ~ 23-3 : 배기채널 24 : 상부 카트리지
26 : 하부 카트리지 30-1 ~ 30-3 : 에어펌프
32 : 압축공기 배출부 40-1 ~ 40-3 :향료 저장용기
42 : 용기부 44 : 덮개부
48 : 제1 역류방지구 49 : 제2 역류방지구
50-1 ~ 50-3 : 향 배출유도관 52-1 ~ 52-3 : 소음기
60-1 ~ 60-3 : 향 배출노즐 70 : 제어부
72 : 제어 기판 74 : 수평센서
80 : 터치센서 90 : 외부 디바이스
100 : 결속부재 240-1 ~ 240-3 : 펌프 수용부
260-1 ~ 260-3 : 용기 수용부 480 : 절개부
520 : 중간 격판 521 : 연통관
522 : 전실 523 : 유입관
524 : 후실 525 : 배출관
C : 기화공간 P : 향료
S1 : 상부 실장공간 S2 : 하부 실장공간

Claims (18)

  1.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실장공간을 상부와 하부 실장공간으로 구획하는 도킹블록;
    케이스 내부의 상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상기 도킹블록에 공급하는 에어펌프;
    케이스 내부의 하부 실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블록과 결합되며, 도킹블록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부터 내부에서 기화된 휘발성 향료를 용기 밖으로 배출하는 향료저장용기;
    케이스의 상부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도킹블록의 배기채널의 출구 측과 향 배출유도관으로 연결되는 향 배출노즐; 및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향료저장용기 및 향 배출노즐이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구성되고, 에어펌프는 둘 이상 복수의 향료저장용기 각각에 하나씩 매칭되어 매칭된 향료저장용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킹블록에는 에어펌프 및 향료저장용기에 대응되는 개수로 흡기채널과 배기채널이 각각 형성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의 압축공기 배출부가 대응되는 향료저장용기의 압축공기 유입통로와 도킹블록의 상기 흡기채널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되며,
    상기 향료저장용기의 향 배출통로는 대응되는 향 배출유도관과 도킹블록의 상기 배기채널을 통해 기밀하게 접속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채널과 압축공기 유입통로를 통해 에어펌프에서 향료저장용기로 압축공기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공급되고,
    향료저장용기 내에서 기화된 향료가 상기 에어펌프가 공급하는 압축공기에 떠밀려 배기채널과 향 배출유도관을 통해 향 배출노즐로 이송되고 상기 향 배출노즐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실장공간에는 둘 이상의 펌프 수용부가 형성된 상부 카트리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실장공간에는 둘 이상의 용기 수용부가 형성된 하부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카트리지의 펌프 수용부 각각에 에어펌프가 하나씩 실장되며,
    상기 하부 카트리지의 용기 수용부 각각에 향료저장용기가 하나씩 실장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카트리지 또는 케이스의 저면으로 결합되는 하부 커버에 상기 향료저장용기 장착 또는 교체를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용기 밀착캡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밀착캡에는 향료저장용기가 상기 도킹블록에 밀착되도록 상기 향료저장용기의 저면으로부터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저장용기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휘발성 향료를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상단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에 상기 압축공기 유입통로와 향 배출통로가 하나씩 형성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압축공기 유입통로에는 압축공기가 에어펌프에서 향료저장용기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1 역류방지구 설치되고,
    상기 덮개부의 향 배출통로에는 기화된 향료가 압축공기와 함께 향료저장용기에서 향 배출유도관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제2 역류방지구가 설치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압축공기가 제1 역류방지구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압력 변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기가 상기 향 배출유도관 중간에 설치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배출통로의 출구를 시작점과 끝점으로 하는 폐곡선(Closed curve) 형태의 향 배출트랙이 상기 덮개부 상면에 음각 형성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 배출노즐 각각의 주변에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터치센서가 하나씩 실장되며,
    실장된 터치센서 중 특정 터치센서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터치가 감지된 해당 터치센서와 사전에 매칭되도록 설정된 에어펌프에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기판에 수평센서가 실장되며,
    수평센서는 장치가 기울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평센서로부터 장치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졌는지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면 에어펌프에 작동 중지 명령을 출력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컴퓨터이고,
    전용 케이블을 통해 통신모듈이 상기 컴퓨터와 유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 사용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이고,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모듈이 상기 휴대용 단말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는 통신모둘과 휴대용 단말 간 블루투스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가 장치 사용자 유무를 판단하고, 블루투스 연결이 없으면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 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 단말과 블루투스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향 선택정보를 해당 휴대용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인식하고,
    동일 휴대용 단말이 이후 블루투스로 다시 연결되면, 사전에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작동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에어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KR1020210075669A 2021-06-10 2021-06-10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KR10264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69A KR102646696B1 (ko) 2021-06-10 2021-06-10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669A KR102646696B1 (ko) 2021-06-10 2021-06-10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660A KR20220166660A (ko) 2022-12-19
KR102646696B1 true KR102646696B1 (ko) 2024-03-11

Family

ID=8453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669A KR102646696B1 (ko) 2021-06-10 2021-06-10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27Y1 (ko) 2000-03-21 2000-09-01 이병곤 발향장치
WO2005068367A2 (en) 2004-01-07 2005-07-28 Longmark Industries, Llc Environmental sanitizer and odor remover for purification of foods, surfaces, air and water with disposable ozone generation electrode, pressure/flow adaptable venturi injector and aqueous phase filter device
KR200485094Y1 (ko) 2017-02-03 2017-11-29 주식회사 라이마코리아 아로마 분사장치
JP2018535710A (ja) 2015-09-16 2018-12-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マイクロ流体送達システム及びカートリッジ
JP2019166853A (ja) 2018-03-22 2019-10-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揮発成分放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57Y2 (ja) * 1990-10-22 1996-01-31 大成建設株式会社 香り供給装置
KR100366492B1 (ko) 2000-03-21 2003-01-14 이진우 발향장치
KR101409981B1 (ko) 2012-05-04 2014-06-20 키맥스(주) 방향 장치 및 방향 방법
WO2016205836A1 (en) * 2015-06-10 2016-12-22 5Th Screen Digital Inc. Fragrance cartridge and chamber dispersion system
KR20190001206U (ko) * 2017-11-13 2019-05-22 (주)디자인다다어소시에이츠 디퓨저 전자 디바이스
KR20200022922A (ko) * 2018-08-24 2020-03-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휴대 및 도킹 사용 가능한 디퓨저 어셈블리
KR20200027607A (ko) * 2018-09-04 2020-03-13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단말기의 스마트 디퓨저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6750079B1 (ja) * 2019-10-30 2020-09-02 株式会社アロマジョイン 香りカートリッジ、及び香りディスプレイへの香りカートリッジの着脱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27Y1 (ko) 2000-03-21 2000-09-01 이병곤 발향장치
WO2005068367A2 (en) 2004-01-07 2005-07-28 Longmark Industries, Llc Environmental sanitizer and odor remover for purification of foods, surfaces, air and water with disposable ozone generation electrode, pressure/flow adaptable venturi injector and aqueous phase filter device
JP2018535710A (ja) 2015-09-16 2018-12-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マイクロ流体送達システム及びカートリッジ
KR200485094Y1 (ko) 2017-02-03 2017-11-29 주식회사 라이마코리아 아로마 분사장치
JP2019166853A (ja) 2018-03-22 2019-10-0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揮発成分放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660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8007B (zh) 具有可变容积的液体储存器的电子吸烟装置
KR101689842B1 (ko) 향기 분사 장치
JP4918049B2 (ja) スプレー装置
ES2927548T3 (es) Dispositivo de inhalación electrónico
RU2585957C2 (ru) Способ раздачи жидкостей
EP1954407B1 (en) Volatile liquid droplet dispenser device
CA2589763A1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dispensing an active substance in spray form
JP7291249B2 (ja) 噴霧器及び電子噴霧装置
ZA200600414B (en) Portable device for vapour emanation by heating a volatile compound in a cartridge
CA2907459A1 (en) Apparatus for metered dose of odor control substance
RU2405398C2 (ru) Фен для сушки волос
KR102646696B1 (ko) 공기 주입식 다종의 향기 발산장치
CN112545063A (zh) 电子雾化装置
JP2011240142A (ja) 水密性芳香料定量吐出装置
US20220355320A1 (en) Containers for fragrances
JP4343314B2 (ja) 噴霧製品
KR101062960B1 (ko) 케미컬 발산 모듈 및 케미컬 디스펜서
US11090404B2 (en) Systems for dispensing fluid materials
KR102364886B1 (ko)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00053835A (ko) 휴대용 방제장치
KR200493715Y1 (ko) 자동 공간 소독 장치
US20220339650A1 (en) A Perfume Dosing Device
KR20220052513A (ko) 아로마 디퓨저 기능을 구비하는 가습기
GB2597669A (en) Atomised fluid dispensing device
WO2023017143A1 (en) Aerosol delivering system comprising a priming bulb, and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uch an aerosol deliv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