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18B1 -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18B1
KR102646418B1 KR1020200174304A KR20200174304A KR102646418B1 KR 102646418 B1 KR102646418 B1 KR 102646418B1 KR 1020200174304 A KR1020200174304 A KR 1020200174304A KR 20200174304 A KR20200174304 A KR 20200174304A KR 102646418 B1 KR102646418 B1 KR 10264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pe
intake
greenhous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636A (ko
Inventor
이태석
장재경
백이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7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습도를 저감 시킴으로써, 작물의 결로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DEVICES AND SYSTEMS THAT REDUCE THE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WITHOUT HEATING AND COOLING DEVICES}
본 발명은 온실 내 습도 제어를 위한 습도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시설원예 재배면적은 약 53,000ha로 그 중 67.2%가 무가온 재배 온실이며, 무가온 온실은 가온 온실에 비해 상대습도 조절, 과습으로 인한 병해 예방이 어렵다. 동절기 야간 무가온 온실 내부의 상대습도는 100%까지 높아지며, 야간, 새벽에 작물체에 결로 발생하고, 결로가 맺혀있는 시간이 길수록 곰팡이병 발병율은 증가할 수 있다.
현재 농업용 제습기가 개발되어 있으나 냉각식 제습기로 에너지 소비가 많은 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는,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온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이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온실 외부와 상기 온실 내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흡기관; 및 상기 흡기팬이 배치되는 흡기팬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온실 외부와 상기 온실 내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배기관; 및 상기 배기팬이 배치되는 배기팬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을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은 각각 흡기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은 각각 배기 밸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배기 밸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로부터 상기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은 제1 내지 제3 흡기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은 제1 내지 제3 배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이 제1 흡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배기관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상기 제1 흡기관 및 상기 제1 배기관과 연결된 제1 패널; 상기 제2 흡기관 및 상기 제2 배기관과 연결된 제2 패널; 및 상기 제3 흡기관 및 상기 제3 배기관과 연결된 제3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은, 상기 제1 흡기관 및 상기 제1 패널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 상기 제2 흡기관 및 상기 제2 패널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3 흡기관 및 상기 제3 패널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은, 상기 제1 배기관 및 상기 제1 패널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 상기 제2 배기관 및 상기 제2 패널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3 배기관 및 상기 제3 패널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1_1 내지 제1_3 패널; 상기 제4 내지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4 내지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2_1 내지 제2_3 패널; 및 상기 제7 내지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7 내지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3_1 내지 제3_3 패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관-패널 연결관과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연결하는 내부 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과 상기 배기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과 상기 배기팬은 최대 풍압이 400pa이고, 각각 복수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는,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3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와 제1 내지 제3 패널은 각각 제1 내지 제3 흡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패널은 각각 제1 내지 제3 배기관을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배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패널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시스템은,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기부의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 유입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서로 통신이 가능한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습도 저감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는, 온실 내부의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물의 결로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각 패널이 분리된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각 패널이 분리된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내부 연결관이 추가된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내부 연결관이 추가된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제어부가 추가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하량 측정 시스템을 스마트 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난방 장치가 없어 상대습도 조절이 어려운 무가온 온실에서, 별도의 난방 장치 없이 절대습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작물의 결로 발생과 습해를 예방하기 위한 습도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겨울철 외부의 찬 공기를 온실 내부의 장치로 유입시킴으로서, 온실 내부의 장치와 온실 내 과습한 공기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의 장치에 수분응축을 유도하여 온실 내 절대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는 동절기 차가운 외부 공기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냉각기, 난방 장치 등 에너지 소비가 많은 장치가 불필요하다. 이는, 무가온 온실 내 과습으로 인해 작물체에 결로가 맺히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습해 방제에 필요한 노동력, 방역비용 절감 및 작물 생산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100)는 흡기부(110), 흡기관(120), 패널(130), 배기관(140) 및 배기부(150)를 포함한다.
흡기부(110)는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온실 내부(20)로 유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기부(110)는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온실 내부(20)로 유입시키는 흡기팬(111), 흡기팬(111)이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온실 외부(10)와 온실 내부(20)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흡기관(113) 및 흡기팬(111)이 배치되는 흡기팬 수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팬(111)은 동력을 통해 작동하며, 풍압(pa)이 최대 300 pa까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흡기팬(111)은 흡기팬 수용부(115)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연결 흡기관(113)의 내부 공간을 통해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외부 연결 흡기관(113)을 통해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때, 흡기팬(111)은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흡기팬 수용부(115)에서 패널(13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기팬 수용부(115)에 도달한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흡기관(120)을 통해 패널(1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100)는 흡기팬(111)의 흡기량이 부족할 경우, 흡기팬(111)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흡기팬(111)은 흡기팬 수용부(115)의 내부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어, 흡기부(110)의 풍압(pa)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부 연결 흡기관(113)은 일 단부가 온실 외부(10)에 위치하고, 타 단부가 온실 내부(20)에 위치하는 흡기팬 수용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팬 수용부(115)의 내부에 위치한 흡기팬(111)에 의해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온실 내부의 패널(130)을 향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흡기팬 수용부(115)는 일측이 외부 연결 흡기관(113)과 연결되고, 타측이 흡기관(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흡기팬(1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팬 수용부(115)는 흡기팬(111)에 작동에 의해 외부 연결 흡기관(113)을 통해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흡기관(1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흡기팬 수용부(115)는 내부에 흡기팬(111)을 직렬 또는 병렬로 복수개 배치시킬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흡기관(120)은 흡기부(110)와 패널(13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기관(120)은 흡기부(110)의 흡기팬 수용부(115)와 패널(130)의 내부를 연결하여, 흡기부(110)가 흡기팬(111)을 통해 유입시킨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패널(130)의 내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패널(130)은 온실 내부(20)에 위치하고,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패널(1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패널(130)의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130)은 일측이 흡기관(120)과 연결되어 흡기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패널(1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겨울철 온실 외부(10)의 차가운 공기가 패널(1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온실 내부(20)의 수증기가 패널(130)의 표면에 응축될 수 있다.
또한, 패널(130)의 타측은 배기관(140)과 연결되어, 흡기부(110) 및 흡기관(120)을 통해 유입되었던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배기관(1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130)의 재질은 열 전도율이 높은 재질로서,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그래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배기관(140)은 흡기부(110) 및 흡기관(120)을 통해 온실 내부(20)에 위치한 패널(13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었던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다시 온실 외부(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패널(130)과 배기부(15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관(140)은 패널(130)의 내부와 배기부(150)를 연결하여 패널(130)의 내부의 공기를 배기부(1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기부(150)는 패널(130)의 내부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다시 온실 외부(10)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부(150)는 패널(130의 내부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51), 배기팬(151)이 패널(130)의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온실 외부(10)와 온실 내부(20)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배기관(153) 및 배기팬(151)이 배치되는 배기팬 수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팬(151)은 동력을 통해 작동하며, 풍압(pa)이 최대 300pa까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배기팬(151)은 배기팬 수용부(155)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연결 배기관(153)의 내부 공간을 통해 온실 내부(20)의 공기를 외부 연결 흡기관(153)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배기팬(151)은 온실 내부(20)에 위치한 패널(130) 내부의 공기가 배기팬 수용부(155)에서 온실 외부(1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기팬 수용부(155)에 도달한 패널(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 연결 배기관(153)을 통해 온실 외부(10)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100)는 배기팬(151)의 배기량이 부족할 경우, 배기팬(151)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배기팬(151)은 배기팬 수용부(155)의 내부에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되어, 배기부(150)의 풍압(pa)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100)는 무가온 온실에서, 열 전달율이 높은 재질의 패널(130) 내부로 차가운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서, 높은 습도의 온실 내부(20)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20)의 온도 변화 없이 온실 내부(20)의 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100)의 흡기관(120), 패널(130) 및 배기관(140)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습도 저감 장치(100)의 흡기관(120), 패널(130) 및 배기관(1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100)의 흡기관(120), 패널(130) 및 배기관(140)이 각각 세 개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복수의 흡기관(120_1, 120_2, 120_3)은 제1 흡기관(120_1), 제2 흡기관(120_2) 및 제3 흡기관(120_3)을 포함하고, 복수의 패널(130_1, 130_2, 130_3)은 제1 패널(130_1), 제2 패널(130_2) 및 제3 패널(130_3)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배기관(140_1, 140_2, 140_3)은 제1 배기관(140_1), 제2 배기관(140_2) 및 제3 배기관(140_3)을 포함한다.
제1 흡기관(120_1), 제2 흡기관(120_2) 및 제3 흡기관(120_3)은 일단이 모두 흡기부(110)의 흡기팬 수용부(115)와 연결되고, 제1 흡기관(120_1)의 타단은 제1 패널(130_1), 제2 흡기관(120_2)의 타단은 제2 패널(130_2), 제3 흡기관(120_3)의 타단은 제3 패널(130_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기관(120_1)을 통해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1 패널(130_1)로 유입되고, 제2 흡기관(120_2)을 통해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2 패널(130_2)로 유입되며, 제3 흡기관(120_3)을 통해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3 패널(130_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패널(130_1), 제2 패널(130_2) 및 제3 패널(130_3)에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흡기팬(111)과 배기팬(151)의 작동에 의해 제1 배기관(140_1), 제2 배기관(140_2) 및 제3 배기관(140_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배기관(140_1)은 제1 패널(130_1), 제2 배기관(140_2)은 제2 패널(130_2), 제3 배기관(140_3)은 제3 패널(130_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패널(130_1)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1 배기관(140_1)을 통해 배출되고, 제2 패널(130_2)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2 배기관(140_2)을 통해 배출되고, 제3 패널(130_3)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제3 배기관(140_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배기관(140_1, 140_2, 140_3)은 각각의 일단이 제1 내지 제3 패널(130_1, 130_2, 130_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배기관(140_1, 140_2, 140_3)의 각각의 타단은 모두 배기부(150)의 배기팬 수용부(15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패널(130_1, 130_2, 130_3)에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 가 제1 내지 제3 배기관(140_1, 140_2, 140_3)을 통해 배기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부(150)로 이동된 온실 외부(10)의 공기는 외부 연결 배기관(153)을 통해 온실 외부(1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100)는 온실 내부(20)의 온도보다 낮은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130)의 내부로 유입시켜 패널(130)의 표면에 수분 응축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20)의 절대습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100)는 패널(130)이 지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프레임(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90)은 2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2층 위치에 패널(130)이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130)은 프레임(190)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의 습도 저감 장치(200)는 도 1, 도 2a 및 도 2b의 습도 저감 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120)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140)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은 각각 흡기 밸브(12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145)은 각각 배기 밸브(14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저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에 제공된 각각의 흡기 밸브(123)를 조절하여 패널(13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패널 연결관(145)에 제공된 각각의 배기 밸브(143)를 조절하여 패널(130)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기관(120_1)에 연결된 제1 패널(130_1)의 경우, 제1 흡기관(120_1)에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의 일측이 연결되고, 제1 패널(130_1)의 내부와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의 타측이 연결되어, 제1 흡기관(120_1)으로 유입된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을 통해 제1 패널(130_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은 각각 흡기 밸브(123_1a, 123_1b, 123_1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흡기 밸브(123_1a, 123_1b, 123_1c)를 조절하여 제1 패널(130_1)에 유입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패널(130_1)에 연결된 제1 배기관(140_1)의 경우, 제1 배기관(140_1)에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의 일측이 연결되고, 제1 패널(130_1)의 내부와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의 타측이 연결되어, 제1 패널(130_1)의 내부에 있던 온실 외부(10)의 공기가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를 통해 제1 배기관(140_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은 각각 베기 밸브(143_1a, 143_1b, 143_1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기 밸브(143_1a, 143_1b, 143_1c)를 조절하여 제1 패널(130_1)에서 배출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200)는 상술한 제1 흡기관(120_1)과 제1 패널(130_1)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 및 제1 배기관(140_1)과 제1 패널(130_1)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과 동일하게, 제2 흡기관(120_2)과 제2 패널(130_2)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2a, 125_2b, 125_2c), 제2 배기관(140_2)과 제2 패널(130_2)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2a, 145_2b, 145_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저감 장치(200)는 제3 흡기관(120_3)과 제3 패널(130_3)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3a, 125_3b, 125_3c), 제3 배기관(140_3)과 제3 패널(130_3)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3a, 145_3b, 145_3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2a, 125_2b, 125_2c, 125_3a, 125_3b, 125_3c)은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과 동일하게 각각 흡기 밸브(123_2a, 123_2b, 123_2c, 123_3a, 123_3b, 123_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2a, 145_2b, 145_2c, 145_3a, 145_3b, 145_3c)은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과 동일하게 각각 배기 밸브(143_2a, 143_2b, 143_2c, 143_3a, 143_3b, 143_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흡기관(120), 패널(130), 배기관(140), 흡기관-패널 연결관(125), 배기관-패널 연결관(145), 흡기 밸브(123) 및 배기 밸브(143)의 개수는 한정 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각 패널이 분리된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각 패널이 분리된 평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의 습도 저감 장치(200)는 도 3a 및 도 3b의 습도 저감 장치(200)의 패널(130)이 각각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과 배기관-패널 연결관(145)에 하나의 패널(1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패널(130)이 분리된 경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되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생략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패널(130_1)은 제1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과 제1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을 연결하는 제1_1 패널(130_1a), 제2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b)과 제2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b)을 연결하는 제1_2 패널(130_1b) 및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c)과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c)을 연결하는 제1_3 패널(130_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130)은 온실 내부(20)의 공기와 접촉하는 외부 표면의 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온실 내부(20)의 공기가 패널(130)의 외부 표면에 응축되는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제2 패널(130_2) 및 제3 패널(130_1) 또한, 제1 패널(130_1)과 동일하게 각각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 및 배기관-패널 연결관(145)과 연결되는 각각의 패널(130_2a, 130_2b, 130_2c, 130_3a, 130_3b, 130_3c)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패널(130_2)은 제4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2a)과 제4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2a)을 연결하는 제2_1 패널(130_2a), 제5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2b)과 제5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2b)을 연결하는 제2_2 패널(130_2b) 및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2c)과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2c)을 연결하는 제2_3 패널(130_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패널(130_3)은 제7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3a)과 제7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3a)을 연결하는 제3_1 패널(130_3a), 제8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3b)과 제8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3b)을 연결하는 제3_2 패널(130_3b) 및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3c)과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3c)을 연결하는 제3_3 패널(130_3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패널(130_1), 제2 패널(130_2) 및 제3 패널(130_3)이 각각 3개의 패널로 분리되어, 총 9개의 패널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20)의 공기와 패널(130)이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30)에 응축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수분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복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 125_2a, 125_2b, 125_2c, 125_3a, 125_3b, 125_3c)은 각각 흡기 밸브(123_1a, 123_1b, 123_1c, 123_2a, 123_2b, 123_2c, 123_3a, 123_3b, 123_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 145_2a, 145_2b, 145_2c, 145_3a, 145_3b, 145_3c)은 각각 배기 밸브(143_1a, 143_1b, 143_1c, 143_2a, 143_2b, 143_2c, 143_3a, 143_3b, 143_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밸브를 통해 각 패널에 유입 및 배출되는 온실 외부(10)의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내부 연결관이 추가된 측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내부 연결관이 추가된 배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도 3b,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200)는 패널(130)의 내부에 흡기관-패널 연결관(125)과 배기관-패널 연결관(145)이 연결되는 내부 연결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연결관(135)은 복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 125_1b, 125_1c)과 복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 145_1b, 145_1c)을 패널(130)의 내부에서 연결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 형식의 내부 연결관(135)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130_1)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연결관(135)은 제1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a)과 제1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a)를 연결하는 제1 내부 연결관(135_1a), 제2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b)과 제2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b)을 연결하는 제2 내부 연결관(135_1b) 및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125_1c)과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145_1c)을 연결하는 제3 내부 연결관(135_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130_2) 및 제3 패널(130_3)의 내부에도 동일하게 각각의 내부 연결관(135_2a, 135_2b, 135_2c, 135_3a, 135_3b, 135_3c)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의 제어부가 추가된 블록도이다.
도 1, 도 2a, 도 2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100)는 흡기부(110), 패널(130), 배기부(15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흡기부(110)와 배기부(150)의 온실 외부(10)의 공기 유입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70)는 흡기부(110)와 배기부(150)의 흡기팬(111)과 배기팬(15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흡기팬(111)과 배기팬(151)의 풍압(pa)을 제어할 수 있으며, 흡기팬(111)과 배기팬(151)의 풍압(pa)은 0~400pa까지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흡기팬(111)과 배기팬(151)의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기부(150)가 온실 외부(10)의 공기를 유입하고, 흡기부(110)가 패널(13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 저감 장치를 사용할 경우, 온실의 시간별 온도, 습도 및 절대습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온도가 14.1℃, 상대습도가 93.0%, 절대 습도량이 11.29g/m3인 온실에서, 본 발명의 습도 저감 장치를 2시간 가동 후 온도 : 14.0℃, 상대습도 86.7%, 절대습도량 10.46g/m3 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온실의 절대 습도가 0.83g/m3 감소하고, 온도가 0.1℃ 감소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수를 활용하여 수분응축을 유도할 경우(ex, 라디에이터) 응축되는 수분은 많으나 온실 내의 온도가 떨어져, 작물이 냉해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패널식 수분응축이 이루어짐으로서, 가온 장치가 없는 무가온 온실에서 온실 내부 온도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수분응축을 유도하고 절대습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절기 외부의 찬 공기를 온실 내부로 주입하여 수분응축을 유도하고 공기 중 절대습도를 감소시키는 시스템으로, 작물의 결로 발생을 줄여주어 작물 생산성 향상, 방제로 인한 노동력 절감 및 생산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저감 시스템을 스마트 팜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습도 저감 시스템은 스마트팜(10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스마트팜(1000)은 습도 저감 시스템,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습도 저감 시스템은 흡기부(110),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 배기부(150)및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흡기부(110),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 배기부(150) 및 제어부(170)는 도 1, 도 2a, 도 2b 및 도 6에 개시된 흡기부(110),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 배기부(150) 및 제어부(17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습기 저감 시스템은 온실, 식물 공장 혹은 비닐하우스와 같은 작물 재배 시설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습도 저감 시스템의 제어부(170)는 서버(300)를 통해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00)은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PCS(Personal Communication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및 스마트 TV와 같은 고정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과 습도 저감 시스템의 제어부(170)를 연결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200 : 습도 저감 장치
110 : 흡기부
120 : 흡기관
130 : 패널
140 : 배기관
150 : 배기부
170 : 제어부

Claims (19)

  1.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온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팬;
    상기 흡기팬이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온실 외부와 상기 온실 내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흡기관; 및
    상기 흡기팬이 배치되는 흡기팬 수용부를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
    상기 배기팬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온실 외부와 상기 온실 내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배기관; 및
    상기 배기팬이 배치되는 배기팬 수용부를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은 각각 흡기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은 각각 배기 밸브를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배기 밸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로부터 상기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습도 저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은 제1 내지 제3 흡기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은 제1 내지 제3 배기관을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이 제1 흡기관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배기관과 연결되는, 습도 저감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상기 제1 흡기관 및 상기 제1 배기관과 연결된 제1 패널;
    상기 제2 흡기관 및 상기 제2 배기관과 연결된 제2 패널; 및
    상기 제3 흡기관 및 상기 제3 배기관과 연결된 제3 패널을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은,
    상기 제1 흡기관 및 상기 제1 패널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
    상기 제2 흡기관 및 상기 제2 패널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3 흡기관 및 상기 제3 패널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을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은,
    상기 제1 배기관 및 상기 제1 패널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
    상기 제2 배기관 및 상기 제2 패널을 연결하는 제4 내지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3 배기관 및 상기 제3 패널을 연결하는 제7 내지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1_1 내지 제1_3 패널;
    상기 제4 내지 제6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4 내지 제6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2_1 내지 제2_3 패널; 및
    상기 제7 내지 제9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7 내지 제9 배기관-패널 연결관과 각각 연결된 제3_1 내지 제3_3 패널을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관-패널 연결관과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연결하는 내부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과 배기팬은 최대 풍압이 300pa이고, 각각 복수개로 존재하는, 습도 저감 장치.
  17.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3 패널;
    상기 제1 내지 제3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와 제1 내지 제3 패널은 각각 제1 내지 제3 흡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패널은 각각 제1 내지 제3 배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흡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배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습도 저감 장치.
  18. 삭제
  19. 온실 외부의 공기를 온실 내부로 유입하는 흡기부;
    상기 온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외부 표면에 수분응축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를 다시 상기 온실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부;
    상기 흡기부와 상기 배기부의 상기 온실 외부의 공기 유입 및 배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서로 통신이 가능한 서버;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배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기관-패널 연결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패널의 내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관-패널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습도 저감 시스템.



KR1020200174304A 2020-12-14 2020-12-14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KR10264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304A KR102646418B1 (ko) 2020-12-14 2020-12-14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304A KR102646418B1 (ko) 2020-12-14 2020-12-14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36A KR20220084636A (ko) 2022-06-21
KR102646418B1 true KR102646418B1 (ko) 2024-03-12

Family

ID=8222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304A KR102646418B1 (ko) 2020-12-14 2020-12-14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60B1 (ko) * 2015-07-07 2017-04-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습 시스템
US20190141911A1 (en) * 2017-10-11 2019-05-16 GS Thermal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horticulture
US20190150376A1 (en) * 2016-04-08 2019-05-23 Van Der Hoeven Horticultural Projects B.V. Process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a feed of air and greenho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60B1 (ko) * 2015-07-07 2017-04-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습 시스템
US20190150376A1 (en) * 2016-04-08 2019-05-23 Van Der Hoeven Horticultural Projects B.V. Process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a feed of air and greenhouse
US20190141911A1 (en) * 2017-10-11 2019-05-16 GS Thermal Solutions Inc.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horticul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636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0232B (zh) 一种作物种子低温循环干燥机
KR102646418B1 (ko) 냉난방 장치 없이 온실 내부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 및 시스템
CN102550331B (zh) 全下沉式育种室
CN102524382A (zh) 粮仓用地能低温储粮系统
CN201888204U (zh) 一种用于粮食储存时烘烤干燥产生热风的装置
Musoni et al. Redesign of commonly used tobacco curing barns in Zimbabwe for increased energy efficiency
CN201251255Y (zh) 湿帘冷风机
KR20160074734A (ko) 건공기 유로를 구비한 백연저감 냉각탑
CN102538410A (zh) 太阳能热泵联供粮食干燥系统
CN203323273U (zh) 湿帘风机降温系统与高压喷雾降温系统联合的空调系统
CN110547130A (zh) 温室蓄热补温系统及方法
CN205546718U (zh) 一种温室系统
Bailey Limiting the relative humidity in insulated greenhouses at night
CN208129018U (zh) 一种苗木用玻璃温室空气循环装置
CN110692404A (zh) 一种用于辅助圆拱形温室蓄热的水循环系统装置
CN109028898B (zh) 一种横流式谷物干燥机
CN207146993U (zh) 一种节能蒸发式冷却器
CN207560923U (zh) 一种温室大棚智能温控系统
CN206323882U (zh) 一种桑树大棚的散热加湿设备
KR200412493Y1 (ko) 농업용 열풍기
CN205228206U (zh) 自然通风间接空冷与机械通风蒸发冷联合冷却系统
CN205536994U (zh) 应用于仙人掌饮片加工的热循环节能烘干设备
CN110553329A (zh) 雨水管地道风建筑外墙面降温系统及方法
CN219121121U (zh) 一种机力辅助通风间接空冷系统
CN215638418U (zh) 烘干房以及用于烘干房的烘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