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384B1 -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384B1
KR102646384B1 KR1020230061174A KR20230061174A KR102646384B1 KR 102646384 B1 KR102646384 B1 KR 102646384B1 KR 1020230061174 A KR1020230061174 A KR 1020230061174A KR 20230061174 A KR20230061174 A KR 20230061174A KR 102646384 B1 KR102646384 B1 KR 10264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rame
vertical
lifting frame
au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열규
유병호
인성근
Original Assignee
(주)한국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쏠텍 filed Critical (주)한국쏠텍
Priority to KR102023006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등의 다층 객석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이동 중에는 이용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상승하고, 관람 중에는 이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강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은, 받침부의 상부로 연결된 수직 프레임부, 상기 수직 프레임부에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부, 상기 승강 프레임부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양측 기둥, 상기 양측 기둥의 각 승강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승강하는 추락 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multi-story auditoriums such as performance halls, rises to a height that can prevent users from falling while they are moving, and does not obstruct the user's view during viewing. This relates to an auto-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as needed to prevent falling.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fram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 lifting frame part telescopical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art, and a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frame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illars on both sides, and a fall prevention bar that is coupled and elevated to connect between the respective elevating frame portions of the pillars on both sides.

Description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본 발명은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등의 다층 객석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이동 중에는 이용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로 상승하고, 관람 중에는 이용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강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ic 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which is installed in multi-story auditoriums such as performance halls, rises to a height that can prevent users from falling while they are moving, and does not obstruct the user's view during viewing. This relates to an auto-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as needed to prevent falling.

최근 소득 증가에 따라 생활수준이 함께 높이지면서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늘고 있다.Recently,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income, the number of users enjoy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s increasing.

문화생활은 공연 관람, 스포츠 관람, 전시회 관람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클래식 연주회, 콘서트 등은 전용 극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Cultural life takes place in various fields such as watching performances, sports, and exhibitions, and classical concerts and concerts are generally held in dedicated theaters.

이러한 공연 전용 극장은 많은 수의 관객을 수용하면서 무대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을 보다 안정된 시야로 관람하기 위하여 1층 객석과 함께 2층, 3층 등의 다층 객석이 설치되어 있다.These performance-only theaters are equipped with multi-story seats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along with seats on the first floor, in order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audiences and provide a more stable view of the performance taking place on the stage.

이렇게 공연 전용 극장의 객석이 다층으로 이루어질 때, 2층 이상의 상층 객석 전방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이 설치되어 관객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When the auditorium of a performance theater has multiple floors, safety railings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seats on the second or higher floors to prevent audiences from falling.

이러한 난간은 이용자들의 보행 중 안전을 감안하여 대부분 최저 성인의 허리 높이에서 최고 성인의 가슴 높이로 설치되어야 한다.In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users while walking, these handrails should be installed from the waist height of the lowest adult to the chest height of the highest adult.

그런데 공연 전용 극장의 스크린이나 무대는 1층 객석에 비해 조금 높은 높이로 설치되므로, 안전을 위해 난간이 높게 설치될 경우 상층 객석의 앞 열 쪽에 앉은 관객의 시야가 난간에 의해 가려져 공연 등을 관람하는데 방해를 준다.However, the screen or stage of a performance-only theater is installed at a slightly higher height than the first floor seats, so if the railings are installed high for safety, the view of the audience sitting in the front row of the upper floor seats is blocked by the railing,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watch the performance. It's disturbing.

이에 다층 객석에 난간을 낮게 설치하면 앞서 설명한 추락 방지 효과가 미비해지는 단점이 있다.Accordingly, installing low handrails in multi-story auditorium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all prevention effect described above is insufficient.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이용자들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공연 중 관객의 시야를 가리지 않을 수 있게 하는 안전 난간에 관한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afety railing technology that prevents users from falling when necessary and does not block the audience's view during the performance.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73298호, 등록실용 제20-0462592호 등이 있다.For reference, related prior technologies include Registration Patent No. 10-1273298 and Registration Utility No. 20-046259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이용자들의 이동과 같은 평상시에는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충분하게 높여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공연 중과 같이 이용자들이 객석에 앉아 있을 경우에는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낮춰서 관객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normal times, such as when users are moving,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can be sufficiently rais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when users are sitting in the audience, such as during a performance,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can be lowered to prevent the audience's view from being block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that allows the height of the fall prevention device to be freely changed as nee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받침부의 상부로 연결된 수직 프레임부, 상기 수직 프레임부에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부, 상기 승강 프레임부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양측 기둥,A vertical fram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 lifting frame part telescopical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art, a pillar on both sides provided with a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lifting frame part,

상기 양측 기둥의 각 승강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승강하는 추락 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all prevention bar that is coupled to connect between each of the elevating frame parts of the pillars on both sides and moves up and dow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서,And in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추락 방지대는 양 측단이 양측 승강 프레임부의 최상단에 연결된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저면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직바들, 상기 수직바들의 최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ll arrester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frame at both side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on both sides, vertical bar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and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connected to the lowermost ends of the vertical bars.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서,Additionally, in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추락 방지대는 상기 각 승강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된 수직 브래킷, 양측 수직 브래킷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평바들을 포함하되,The fall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vertical bracket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lifting frame, and horizontal bars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rackets on both sides and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평바들은 양측 끝단이 각 수직 브래킷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rizontal bars ar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each vertical bracke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서,In addition, in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기둥을 형성하는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이고,The lifting means is a motor-driven actuator that forms the pillar,

상기 양측 기둥의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동시 제어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terminal that is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each motor-driven actuator of the pillars on both sides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motor-driven actuator.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는,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양측 기둥의 수직 프레임부에 텔레스코픽 타입의 승강 프레임부가 결합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프레임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부에 연결된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추락 방지를 위한 기본적인 안전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공연 중 시야 가림이 발생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고,The height of the lifting frame can be adjusted by the lifting means as the telescopic type lifting frame is combined with the vertical frame of the pillars on both sides.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can be freely changed as needed, allowing the user to use it. It performs basic safety functions to prevent people from falling and can be used to prevent obstruction of vision during performances.

객석의 높이나 구조에 맞춰 추락 방지대의 형태 내지 설계 구조를 변경하여 제작 및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It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and use by changing the shape or design structure of the fall arrestor according to the height or structure of the audience seat.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로 기둥을 구성함으로써 작동 안정성 및 작동 중의 정숙성을 확보하면서 추락 방지대의 높이를 정밀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constructing the column with a motor-driven actuator,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while ensuring operational stability and quietness during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도 2의 샘플 사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보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front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9 are sample photographs of Figure 2.
Figure 10 is a main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reinforce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posting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signs, especially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tens, one's, and alphabets,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sign can be understood as a member that complies with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thick), small (or thin), or simplified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as a resul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reted as limited.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s (sun, aspect,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existence or possibility of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First~, ~Secon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er of manufacture, and the names are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For convenience in explaining the auto-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approximate, non-strict direction standard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gravity acts is set to the bottom,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e determined as shown, and the oth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related to the drawings, directions are specified and describ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기둥(10)과 추락 방지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which largely includes a pillar 10 and a fall prevention stand 2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받침부(11)의 상부로 연결된 수직 프레임부(12),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에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부(13)(14),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양측 기둥(10),A vertical frame part 1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 a lifting frame part 13 (14)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art 12 in a telescopic type, and a lifting frame part 13 (14). Columns on both sides (10) equipped with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상기 양측 기둥(10)의 각 승강 프레임부(13)(14)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승강하는 추락 방지대(2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 fall prevention bar 20 that is coupled to connect and elevate between the respective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of the pillars 10 on both sides.

먼저 상기 기둥(10)은 다층 객석의 최전방 상면이나 난간벽의 최상단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좌우 한 쌍의 기둥(10)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된다.First, the pillars 10 are installed on the front upper surface of a multi-story auditorium or at the top of a railing wall,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pillars 10 are formed as one set.

상기 받침부(11)는 설치 장소의 구조나 재질 등에 따라 가로, 세로 방향의 바닥 프레임이 추가로 연결되어 기둥(10)들의 설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1 can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floor fram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r material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installation of the pillars 10.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와 승강 프레임부(13)(14)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동일한 단면을 갖는 것으로써 서로 삽입 구조로 결합하여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수직 프레임부(12)와 승강 프레임부(13)(14)는 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and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have the same cross-section of a square or circular shap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telescopic manner by combining them with an insertion structure. In this case,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and the lifting frame portion 13 and 14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ame portions 13 and 14 have a square cross-sectional structure.

도면에서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에 대하여 2개의 승강 프레임부(13)(14)가 순차적으로 각 프레임부(12)(13)의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구조도 가능하다.In the drawing, a form in which two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each frame part 12 and 1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art 12 is shown representatively, but the opposite is true. Rescue is also possible.

즉, 도면과 달리 각 프레임부(12)(13)(14)의 전후좌우 너비가 수직 프레임부(12) < 제1 승강 프레임부(13) < 제2 승강 프레임부(14)로 이루어진 크기 관계를 가져,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에 대하여 2개의 승강 프레임부(13)(14)가 순차적으로 각 프레임부(12)(13)의 외부로 끼워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That is, unlike the drawings,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idths of each frame part 12, 13, and 14 have a size relationship of vertical frame part 12 < first lifting frame part 13 < second lifting frame part 14.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art 12, two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each frame part 12 and 13,

이때 텔레스코픽 타입을 이루는 승강 프레임부(13)(14)의 개수에 제한이 없다.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elescopic type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아울러 상기 받침부(11)에는 모터가 내장되어 상기 기둥(10)이 승강수단으로써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를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a motor is built into the support portion 11, so that the pillar 10 constitutes a motor-driven actuator as a means of lifting and lowering.

즉, 상기 승강수단은 공압이나 유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직선 운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기둥(10) 자체를 모터로 구동하는 선형 액추에이터로 구성하여 제조 단가의 절감 및 제조 용이성을 확보한다.In other words, the elevating means may be of various known linear motion methods such as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s, linear motors, etc., but the column 10 itself is composed of a linear actuator driven by a moto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facilitate manufacturing. secure.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수직 프레임부(12) 또는 승강 프레임부(13)(14)들 또는 이들 모두에는 각 승강 프레임부(13)(14)의 상하 높이 제한을 위한 스토퍼나 높이 감지용 리미트 스위치 등을 구비하여 추락 방지대(20)의 높이 조절 시 안전성 등을 확보한다.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or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or both, are provided with stoppers or height sensing devices for limiting the vertical height of each lifting frame portion 13 and 14. A limit switch, etc. is provided to ensure safety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ll prevention stand (20).

그리고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상기 기둥(10)의 승강 프레임부(13)(14) 사이를 연결하여 상승 시 이용자들의 추락을 방지하고, 하강 시 이용자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는 것으로써, 도 1과, 도 2 내지 7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And the fall prevention band 20 connects between the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of the pillar 10 to prevent users from falling when ascending and does not block the users' view when descending. It can be divided into 1 and the embodiments of FIGS. 2 to 7.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써,First,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양 측단이 양측 승강 프레임부(14)의 최상단에 연결된 상부 수평 프레임(21),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21)의 저면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직바(22)들, 상기 수직바(22)들의 최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수평 프레임(23)을 포함한다.The fall prevention band 20 includes an upper horizontal frame 21 with both side ends connected to the uppermost ends of the lifting frames 14 on both sides, a vertical bar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1 and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22), including a lower horizontal frame 23 connecting the lowermost ends of the vertical bars 22.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21)은 양측 끝단부가 좌우 기둥(10)의 최상측 제2 승강 프레임부(14) 상단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upper horizontal frame 21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econd lifting frame 14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illars 10 with bolts, etc.

상기 수직바(22)들은 상기 상구 수평 프레임(21)의 저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바(22)들의 각 하단에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23)이 결합하여, 본 발명의 추락 방지대(20)를 구성하게 된다.The vertical bars 22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bottom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1,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is coupled to each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s 22, thereby preventing the fall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vention band 20 is formed.

이때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23)의 전체 길이는 양측 기둥(10)의 각 받침부(11) 사이의 너비보다 짧게 형성되어야,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들이 모두 수직 프레임부(12)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추락 방지대(20)가 최저 높이로 하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should be shorter than the width between each support portion 11 of the pillars 10 on both sides, so that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are all vertical frame portions 12. In a state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device 20 can be lowered to its lowest heigh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Next,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양측 승강 프레임부(14)의 내측면에 결합된 수직 브래킷(24), 양측 수직 브래킷(24)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평바(25)들을 포함하되,The fall prevention stand 20 includes a vertical bracket 24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frame portion 14 on both sides, and horizontal bars 25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rackets 24 on both sides and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상기 수평바(25)들은 양측 끝단이 각 수직 브래킷(24)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s 25 are hinged to each vertical bracket 24.

상기 수직 브래킷(24)은 외측면에 전후면과 저면이 개구된'ㄷ'자 형태의 걸이부재(241)가 결합되어, 양측의 걸이부재(241)가 좌우 기둥(10)의 최상측 제2 승강 프레임부(14) 상단에 볼트 등으로 결합된다.The vertical bracket 24 is coupled to a 'ㄷ' shaped hanging member 241 with openings at the front, rear, and bottom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hanging members 241 on both sides are attached to the second uppermost side of the left and right pillars 10. It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lifting frame part 14 with a bolt, etc.

이러한 수직 브래킷(24)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회동축(242)이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각 회동축(242)에 상기 수평바(25)의 끝단이 결합된다.This vertical bracket 24 has a plurality of rotation axes 242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25 is coupled to each rotation axis 242.

이때 상기 걸이부재(241)는 좌우의 폭 너비가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의 좌우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들이 모두 수직 프레임부(12)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추락 방지대(20)가 최저 높이로 하강할 수 있게 한다.At this time, the hanging member 241 is form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thicknesses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so that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are all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In this state, the fall arrester 20 can be lowered to the lowest height.

아울러 도 8과 같이 하나의 걸이부재(241) 양 측면에 각각 상기 수직 브래킷(24)을 결합하면, 복수개의 추락 방지대(20)를 좌우로 연장하여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mbining the vertical brackets 24 on both sides of one hanging member 241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fall prevention bars 20 can be extended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수평바(25)들은 좌우 양측의 수직 브래킷(24)을 따라 상하 등간격으로 배열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수평바(25)들의 끝단이 상기 회동축(242)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브래킷(24)에 대하여 각도 변경이 가능하다.The horizontal bars 25 are coupled to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brackets 24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ends of each horizontal bar 25 are coupled to the pivot axis 242 to form the vertical brackets 24. ), the angle can be changed.

아울러 상기 회동축(242)이 장착되는 장착공은 좌우로 긴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수평바(25)들의 각도 변경 시 수평바(25)들의 경사도에 맞춰 상기 회동축(242)의 위치 변동이 이루어져, 수평바(25)들의 경사도에 따른 길이 차의 보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where the rotation axis 242 is mount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at is long on the left and right, so that when the angle of the horizontal bars 25 is change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axis 242 chang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ars 25. , the length difference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ars 25.

이에 도 9와 같이 좌우 양측의 받침부(11) 설치 높이가 다를 경우, 상기 수평바(25)들은 받침부(11)들의 높이 차만큼 사선으로 회동하여 연결되며, 이는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때 상기 수평바(25)들의 각도를 조절하여 안전 난간을 사선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installation heights of the supports 11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ure 9, the horizontal bars 25 are connected by rotating diagonally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upports 11, which means that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adjusting the angles of the horizontal bars 25, the safety railing can be installed in a diagonal sha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측 기둥(10)의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동시 제어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terminal that is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each motor-driven actuator of the pillars 10 on both sides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motor-driven actuator.

상기 제어단말은 도 8과 같이 각 기둥(10)의 모터 제어부에 유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컨트롤러(C)일 수도 있다.The control terminal may be a separate controller (C) connected by wire to the motor control unit of each pillar 10, as shown in FIG. 8.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모바일기기를 본 발명의 제어단말로 활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can be used as a control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Bluetooth.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는 기둥(1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최상측의 제2 승강 프레임부(14)에 결합된 추락 방지대(20)의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이는 공연장 등에서 안전 확보를 위해 추락 방지대(20)의 높이를 높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공연 중에만 추락 방지대(20)를 낮게 하강시켜 이용객들의 시야 확보에 방해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등, In this invention,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20 coupled to the second lifting frame 14 on the uppermost side can be freely chang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illar 10 forming the motor-driven actuator, which can be used in the performance hall. In order to ensure safety, the height of the fall arrester (20) is raised high, and the fall arrester (20) is lowered low only during the performance to avoid interfering with the users' visibility, etc.

설치 장소 및 목적 등의 필요에 따라 안전 난간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afety railing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purpos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최상측의 양측 끝단이 상기 제2 승강 프레임부(14)에 결합되는 형태인 바, 추락 방지대(20)의 최하측 양측 끝단이 별도로 고정되지 않아, 추락 방지를 위한 버팀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ll arrester 20 is in a form in which both uppermost ends are coupled to the second lifting frame portion 14, and the fall arrester 20 Since the two lowest ends of the device are not separately fixed, the support pressure to prevent falls may decrea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추락 방지대(20)의 상승 상태에서 추락 방지대(20)의 상, 하측 양측 끝단이 모두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에 고정되게 하는 보강수단을 추가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dds reinforcing means to ensure th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all arrester 20 are fixed to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when the fall arrester 20 is raised.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 승강 프레임부(13)는 반대편의 기둥(10)을 향하는 내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수용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상기 수용부(131)를 향하는 외측면이 개구되면서 전후로 밀폐된 걸림홈(26)을 포함하며,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lifting frame unit 13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31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pposite pillar 10, and the fall prevention band 2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portion 131. The outer surface facing the part 131 is open and includes a locking groove 26 that is sealed forward and backward,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수용부(131)에 상응하는 모양 및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수용부(13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되 상기 걸림홈(26)을 향해 하향 회동하도록 탄지되면서 수평 회동 시 제1 승강 프레임부(13) 내부로 돌출되는 누름부(132b)를 갖는 걸림판(132)과, 상기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하부로 돌출되어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132b)를 눌러서 상기 걸림판(132)이 상기 수용부(131)에 수용되도록 회동시키는 가압롤러(141)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means has a shape 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art 131, is hinged to the receiving part 131, and is rotatable. It is supported to rotate downward toward the locking groove 26, and when rotated horizontally, the first reinforcement means is rotated. A locking plate 132 having a pressing portion 132b protruding into the lifting frame 13, and a locking plate 132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lifting frame 14 when the second lifting frame 14 is lowered. It includes a pressure roller 141 that presses the pressing part 132b to rotate the locking plate 132 so that i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31.

제1 실시예의 하부 수평 프레임(23)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23)은 상면과 좌우 양 측면이 개구된 'ㄷ' 자 형태의 절곡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홈(26)이 형성된다.When representativ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of the first embodiment,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is made of a 'ㄷ'-shaped bent structure with openings on the upper surface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cking groove 26 is formed. do.

그리고 상기 제1 승강 프레임부(13)는 내측면의 일부가 상기 걸림홈(26)의 전후 폭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분리되어 상기 수용부(131)와 걸림판(132)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판(132)의 하단부가 상기 수용부(131)의 전후 내측 단부에 회전축(132a)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각 회전축(132a)에 토션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걸림판(132)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게 탄성 지지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ifting frame portion 13 is separated by a width small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locking groove 26 to form the receiving portion 131 and the locking plate 132, The lower end of the plate 132 is installed as a rotation axis 132a at the front and rear inner ends of the receiving portion 131, and a torsion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on each rotation axis 132a so that the locking plate 132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is elastically supported so that it rotates.

이때 상기 걸림판(132)은 수평 회동 상태에서 회동축(242)을 기준으로 제1 승강 프레임부(13) 내부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누름부(132b)를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locking plate 132 is rotated horizontally, a portion protruding into the first lifting frame portion 13 with respect to the pivot axis 242 forms the pressing portion 132b.

상기 가압롤러(141)는 상기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내부면에 결합하여 하부로 연장된 고정판(141a)에 축 결합되어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하측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된 것으로, 수평 회동 상태의 누름부(132b)와 가압롤러(141)가 상하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The pressure roller 14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ifting frame 14 and is axially coupled to a fixing plate 141a extending downward so that i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fting frame 14. When combined, the pressing portion 132b and the pressing roller 141 in a horizontally rotating state are positioned on the same line up and down.

이에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들이 모두 하강할 때 상기 가압롤러(141)가 상기 누름부(132b)를 눌러서 걸림판(132)이 상향 회동함에 따라 제1 승강 프레임부(13)의 수용부(131)에 수용되어, 승강 프레임부(13)(14)들이 모두 수직 프레임부(12)에 인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all descend, the pressing roller 141 presses the pressing part 132b and the stopping plate 132 rotates upward, so that the first lifting frame part 13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1,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are all inserted in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12.

그리고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들이 상승하면서 상기 걸림판(132)에 대하여 상기 가압롤러(141) 및 제2 승강 프레임부(14)로 가해지는 외력이 해소됨에 따라 걸림판(132)이 수평 상태로 하향 회동하게 되며, 이렇게 수평 회동한 걸림판(132)이 하부 수평 프레임(23)의 걸림홈(26)에 끼워지면서 하부 수평 프레임(23)을 전후로 받치게 되어, 결국 추락 방지대(20)의 좌우 양측 끝단이 상하로 모두 기둥(10)에 고정되면서, 추락 방지대(20)의 추락 방지를 위한 버팀 압력을 높일 수 있다.And as the lifting frame parts 13 and 14 ris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roller 141 and the second lifting frame part 14 with respect to the stopping plate 132 is relieved, so that the stopping plate 132 It rotates downward in this horizontal state, and the horizontally rotated locking plate 132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6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and supports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 back and forth, ultimately forming a fall prevention device. As both left and right ends of (20) are fixed to the pillar (10) both up and down, the support pressure to prevent fall of the fall arrester (20)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do not protec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기둥 11 : 받침부
12 : 수직 프레임부 13, 14 : 승강 프레임부
20 : 추락 방지대 21 : 상부 수형 프레임
22 : 수직바 23 : 하부 수형 프레임
24 : 수직 브래킷 25 : 수평바
*Explanation of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pillar 11: support
12: Vertical frame part 13, 14: Elevating frame part
20: Fall arrestor 21: Upper vertical frame
22: vertical bar 23: lower vertical frame
24: vertical bracket 25: horizontal bar

Claims (4)

받침부(11)의 상부로 연결된 수직 프레임부(12), 상기 수직 프레임부(12)에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부(13)(14),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양측 기둥(10),
상기 양측 기둥(10)의 각 승강 프레임부(13)(14) 사이를 연결하도록 결합되어 승강하는 추락 방지대(20),
상기 추락 방지대(20)의 상승 상태에서 추락 방지대(20)의 상, 하측 양측 끝단이 모두 상기 승강 프레임부(13)(14)에 고정되게 하는 보강수단을 포함하고,
하측 제1 승강 프레임부(13)는 반대편의 기둥(10)을 향하는 내측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수용부(131)를 포함하고,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상기 수용부(131)를 향하는 외측면이 개구되면서 전후로 밀폐된 걸림홈(26)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수용부(131)에 상응하는 모양 및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수용부(13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되 상기 걸림홈(26)을 향해 하향 회동하도록 탄지되면서 수평 회동 시 제1 승강 프레임부(13) 내부로 돌출되는 누름부(132b)를 갖는 걸림판(132)과, 상측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하부로 돌출되어 제2 승강 프레임부(14)의 하강 시 상기 누름부(132b)를 눌러서 상기 걸림판(132)이 상기 수용부(131)에 수용되도록 회동시키는 가압롤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
A vertical frame part 12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 a lifting frame part 13 (14)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part 12 in a telescopic type, and a lifting frame part 13 (14). Columns on both sides (10) equipped with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A fall prevention stand (20) that is coupled and elevated to connect between the respective elevating frame parts (13) and (14) of the two pillars (10),
It includes reinforcing means for securing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all arrester (20) to the lifting frame portions (13) and (14) when the fall arrester (20) is raised,
The lower first lifting frame portion 13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131 form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opposite pillar 10, and the fall prevention band 20 faces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It includes a locking groove (26) whose outer surface is open and sealed forward and backward,
The reinforcing means has a shape and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art 131, is hinged to the receiving part 131, and is rotatable. It is supported to rotate downward toward the locking groove 26, and when rotated horizontally, the first reinforcement means is rotated. A locking plate 132 having a pressing portion 132b protruding into the lifting frame 13, and a locking plate 132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econd lifting frame 14 when the second lifting frame 14 is lowered. An auto-lifting safety railing device comprising a pressure roller (141) that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132b) to rotate the locking plate (132)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양 측단이 양측 승강 프레임부(13)(14)의 최상단에 연결된 상부 수평 프레임(21),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21)의 저면에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직바(22)들, 상기 수직바(22)들의 최하단에 연결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ll prevention stand 20 has an upper horizontal frame 21, both side end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uppermost ends of the lifting frames 13 and 14 on both side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1, and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auto lifting safety guardrail device comprising vertical bars (22)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23) connected to the lowermost ends of the vertical bars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 방지대(20)는 상기 각 승강 프레임부(13)(14)의 내측면에 결합된 수직 브래킷(24), 양측 수직 브래킷(24)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열된 수평바(25)들을 포함하되,
상기 수평바(25)들은 양측 끝단이 각 수직 브래킷(24)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all prevention stand 20 is a vertical bracket 24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each lifting frame 13 and 14, and a horizontal bar connected between the vertical brackets 24 on both side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25), including:
An auto lifting safety handrai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bars (25) are hinged to each vertical bracket (2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기둥(10)을 형성하는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이고,
상기 양측 기둥(10)의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 모터 구동형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동시 제어하는 제어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리프팅 안전 난간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ifting means is a motor-driven actuator that forms the pillar 10,
An auto lifting safety guardrai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terminal that is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to each motor-driven actuator of the columns (10) on both sides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motor-driven actuator.
KR1020230061174A 2023-05-11 2023-05-11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KR102646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174A KR102646384B1 (en) 2023-05-11 2023-05-11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174A KR102646384B1 (en) 2023-05-11 2023-05-11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384B1 true KR102646384B1 (en) 2024-03-12

Family

ID=9029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174A KR102646384B1 (en) 2023-05-11 2023-05-11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38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12U (en) * 2009-06-30 2011-01-06 이종현 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KR200462592Y1 (en) * 2012-06-04 2012-09-20 강미옥 elevator type auditorium f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112U (en) * 2009-06-30 2011-01-06 이종현 Combination structure of fence
KR200462592Y1 (en) * 2012-06-04 2012-09-20 강미옥 elevator type auditorium f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5475T3 (en) Barrier and fence system
KR102100314B1 (en) Inverted motion base with suspended seating
US6581665B2 (en) Venetian blind with upper and lower slat units that can be adjusted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ir tilting angles
KR101329367B1 (en) Movable house
CA2128491A1 (en) Theater construction
US10639556B2 (en) System for a tilting amusement ride
KR102646384B1 (en) Auto lifting safety fence apparatus
KR101222931B1 (en) Pavilion with chair and dual safe handrail for protecting accident fall
EP2775057A1 (en) Barrier section and barrier including the barrier section.
KR102276299B1 (en) Stair combined use lift device
CN212390056U (en) Lifting support
KR101271329B1 (en) The scoreboard which can be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KR102650185B1 (en) Variable safety handrail device
KR101273298B1 (en) Level controllable safety-balustrade for concert hall
KR20230042820A (en) Height adjustable foldable ladder for work
KR20190042880A (en) Resting Facility
JP2019090322A (en) Temporary handrail
KR102336668B1 (en) Combination play system
WO1999061726A1 (en) Variable floor height tiered stand
KR102175558B1 (en) scaffold system
KR102177995B1 (en) Detachable safety railing with adjustable height
CN220580735U (en) Fence is kept apart in safety control
JP2020514597A (en) Auditorium
KR100656203B1 (en) A linkage stairs
KR20120105906A (en) Level controllable safety-balustrade for concert h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