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124B1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선택 방법 및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선택 방법 및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6124B1 KR102646124B1 KR1020160134903A KR20160134903A KR102646124B1 KR 102646124 B1 KR102646124 B1 KR 102646124B1 KR 1020160134903 A KR1020160134903 A KR 1020160134903A KR 20160134903 A KR20160134903 A KR 20160134903A KR 102646124 B1 KR102646124 B1 KR 102646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s
- time
- playback time
- playbac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4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claims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42895 Ch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AORKNGNJCEJBX-UHFFFAOYSA-N cyprodinil Chemical compound N=1C(C)=CC(C2CC2)=NC=1NC1=CC=CC=C1 HAORKNGNJCEJ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61—Proximity, similarity or dissimilarity meas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colour television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스코어별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스코어별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a는 용장성을 배제한 스코어별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b는 용장성을 배제한 스코어별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c는 용장성을 배제한 스코어별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한 경우의 화상의 재생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c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고(高)랭크 화상의 키 포인트 우선 설정에 있어서의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한 경우의 화상의 재생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a는 고랭크 화상의 키 포인트 우선 설정에 있어서의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b는 고랭크 화상의 키 포인트 우선 설정에 있어서의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c는 고랭크 화상의 키 포인트 우선 설정에 있어서의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d는 고랭크 화상의 키 포인트 우선 설정에 있어서의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하여 단시간 재생 화상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의 화상의 재생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a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하여 단시간 재생 화상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의 재생 시간 조정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b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하여 단시간 재생 화상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의 재생 시간 조정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c는 키 포인트 동기 최적화를 실행하여 단시간 재생 화상이 존재하고 있던 경우의 재생 시간 조정의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촬상 장치의 기능적 구성 중, 하이라이트 동화상 생성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적 구성을 갖는 도 1의 촬상 장치가 실행하는 하이라이트 동화상 생성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2; ROM, 13; RAM,
14; 버스, 15; 입출력 인터페이스,
16; 촬상부, 17; 센서부,
18; 입력부, 19; 출력부,
20; 기억부, 21; 통신부,
22; 드라이브, 31; 리무버블 미디어,
51; 모드 설정부, 52; 화상 취득부,
53; 특징량 산출부, 54; 동화상 재생 시간 설정부,
55; 화상 재생 시간 설정부, 56; 경로 설정부,
57; 스코어 보정부, 58; 화상 선택부,
59; 동화상 생성부, 71; 화상 기억부
Claims (20)
-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을 평가하는 평가 수단과,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의 평가 결과와 상기 개별 재생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재생 총 시간에 따른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선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 결과가 높고, 또한 선택되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상기 개별 재생 시간의 합계 시간이 상기 재생 총 시간을 넘지 않는 범위로 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간에 있어서의 유사도를 판정하는 유사도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유사도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 수단은 화상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 또는 촬영의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유사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정 수단은 유사도를 판정하는 대상의 화상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순번이 가까운 전후의 화상을 비교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수단은 화상의 내용에 관련된 정보, 또는 촬영의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촬영되는 화상의 촬영 타이밍에 관련된 정보가 분산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 총 시간에 있어서 화상의 전환 시점을 설정하는 전환 시점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전환 시점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상기 전환 시점을 고려하여,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시점 설정 수단은 악음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환 시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수단은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스텝과,
상기 화상 취득 스텝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복수의 화상을 평가하는 평가 스텝과,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스텝과,
상기 복수의 화상의 평가 결과와 상기 개별 재생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재생 총 시간에 따른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스텝은 선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 결과가 높고, 또한 선택되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상기 개별 재생 시간의 합계 시간이 상기 재생 총 시간을 넘지 않는 범위로 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선택 방법. -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수단,
상기 복수의 화상을 평가하는 평가 수단,
복수의 화상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의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수단,
상기 복수의 화상의 평가 결과와 상기 개별 재생 시간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재생 총 시간에 따른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선택되는 상기 화상의 평가 결과가 높고, 또한 선택되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상기 개별 재생 시간의 합계 시간이 상기 재생 총 시간을 넘지 않는 범위로 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상기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수단과,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과,
상기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 총 시간에 있어서 화상의 전환 시점을 설정하는 전환 시점 설정 수단과,
상기 전환 시점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 총 시간내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화상을 평가하는 평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평가 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가 높은 화상이 상기 전환 시점에 할당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의 개별 재생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는 해당 화상 자체, 또는 전후의 어느 하나의 화상의 개별 재생 시간을 변경하는 재생 시간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시점 설정 수단은 상기 전환 시점의 적어도 1개에 중요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소정의 중요도를 만족시키지 않는 상기 전환 시점에서의 화상의 전환을 실행하지 않도록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삭제
-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재생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다른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스텝과,
상기 취득 스텝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스텝과,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스텝과,
상기 재생 총 시간 설정 스텝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 총 시간에 있어서 화상의 전환 시점을 설정하는 전환 시점 설정 스텝과,
상기 전환 시점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 총 시간내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스텝은 평가 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가 높은 화상이 상기 전환 시점에 할당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서 취득된 상기 복수의 화상의 각각에 개별 재생 시간을 설정하는 개별 재생 시간 설정 수단,
재생 총 시간을 설정하는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
상기 재생 총 시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재생 총 시간에 있어서 화상의 전환 시점을 설정하는 전환 시점 설정 수단,
상기 전환 시점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 총 시간내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평가 수단에 의한 평가 결과가 높은 화상이 상기 전환 시점에 할당되도록 상기 소정 수의 화상을 선택하는 상기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26133 | 2015-11-18 | ||
JP2015226133A JP6418136B2 (ja) | 2015-11-18 | 2015-11-18 | 画像処理装置、画像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266A KR20170058266A (ko) | 2017-05-26 |
KR102646124B1 true KR102646124B1 (ko) | 2024-03-12 |
Family
ID=5881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4903A KR102646124B1 (ko) | 2015-11-18 | 2016-10-18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선택 방법 및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418136B2 (ko) |
KR (1) | KR102646124B1 (ko) |
CN (1) | CN107018348B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94441A1 (en) * | 2007-09-05 | 2010-04-15 | Daisuke Mochizuki | Image selection apparatus, image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3554A (ja) * | 2003-07-14 | 2005-02-03 | Seiko Epson Corp | 画像再生システム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再生方法 |
US8547114B2 (en) * | 2006-11-14 | 2013-10-01 |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 Capacitance to code converter with sigma-delta modulator |
JP2010177731A (ja) * | 2009-01-27 | 2010-08-12 | Nikon Corp | 画像再生装置及び撮像装置 |
JP2011009976A (ja) * | 2009-06-25 | 2011-01-13 | Hitachi Ltd | 画像再生装置 |
JP2011082915A (ja) * | 2009-10-09 | 2011-04-21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画像抽出方法及び画像抽出プログラム |
EP2577951A1 (en) * | 2010-05-26 | 2013-04-10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photographs that correspond to user preferences |
JP6012405B2 (ja) * | 2012-10-31 | 2016-10-25 | 株式会社三共 | スロットマシン |
CN104408687B (zh) * | 2014-10-31 | 2018-07-27 | 酷派软件技术(深圳)有限公司 | 一种图片播放的方法及装置 |
-
2015
- 2015-11-18 JP JP2015226133A patent/JP6418136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0-18 KR KR1020160134903A patent/KR102646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1-04 CN CN201610974411.XA patent/CN107018348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94441A1 (en) * | 2007-09-05 | 2010-04-15 | Daisuke Mochizuki | Image selection apparatus, image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8266A (ko) | 2017-05-26 |
JP6418136B2 (ja) | 2018-11-07 |
JP2017098638A (ja) | 2017-06-01 |
CN107018348B (zh) | 2020-02-07 |
CN107018348A (zh) | 2017-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28225B2 (ja) |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5451749B2 (ja) | 撮像装置、集積回路、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US20090073304A1 (en) | Imag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20140153900A1 (en) |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420094B1 (ko)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
US9723201B2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5879831B2 (ja) |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US10741214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lects image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KR101665175B1 (ko) | 화상 취득 장치, 화상 취득 방법 및 기록매체 | |
US1076239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10658006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selects images according to total playback time of image data, image sel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KR102646124B1 (ko)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선택 방법 및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 |
CN104935807A (zh) | 摄像装置以及摄像方法 | |
JP6720509B2 (ja) | 画像評価装置、画像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7098639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948960B2 (ja) | カメラ、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6213619B2 (ja) | 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230269472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JP2012235481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JP6424620B2 (ja) |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14138388A (ja) | 撮像装置 | |
JP6555978B2 (ja) |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16438792A (zh) |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程序 | |
JP2018026838A (ja) | カメラ、画像処理装置 | |
JP2018166314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